KR20020062183A - 스텐실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텐실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183A
KR20020062183A KR1020020002660A KR20020002660A KR20020062183A KR 20020062183 A KR20020062183 A KR 20020062183A KR 1020020002660 A KR1020020002660 A KR 1020020002660A KR 20020002660 A KR20020002660 A KR 20020002660A KR 20020062183 A KR20020062183 A KR 2002006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tencil
sheet
film
stenci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103B1 (ko
Inventor
우치야마고이치
Original Assignee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41C1/14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by perforation using a thermal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41C1/145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by perforation using an energetic radiation beam, e.g. a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41C1/147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by imagewise deposition of a liquid, e.g. from an ink jet; Chemical perforation by the hardening or solubilizing of the ink impervious coating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41C1/148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by a traditional thermographic exposure using the heat- or light- absorbing properties of the pattern on the original, e.g. by using a fla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0Patched hole or de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필요한 강도를 가지면서 저 에너지로 매끄럽고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고, 천공성이 뛰어나며, 스텐실판을 사용하여 인쇄할 때, 잉크 전이량 조정이 용이하여 뒤묻음이 적으며, 인쇄성과 화상 선명성이 뛰어나고, 잼(jamming)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스텐실 시트,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스텐실 시트는 하기 수지 (A), (B) 또는 (C)로써 충전되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진다.
(A) 상기 시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
(B) 용제 가용성 수지
(C) 가열 점착성 수지

Description

스텐실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Stencil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tencil plate}
본 발명은 스텐실 시트(stencil sheet)와,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스텐실 시트의 고강도 및 고감도를 유지하면서 저 에너지로 천공될 수 있어, 스텐실 인쇄 장치(stencil printing apparatus)의 간소화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스텐실 시트와, 이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및 스텐실 시트로부터 스텐실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용어 "스텐실 시트"는 스텐실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원지를 의미하며, 용어 "스텐실판(stencil plate)"은 현재있는 그대로 스텐실 인쇄 작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시트를 의미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스텐실 시트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 염화 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결정성 열 가소성 수지 필름에 천연 섬유, 화학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이것들을 혼합해서 짠 티슈 종이(박엽지;thin paper), 부직포, 견직물 등의 다공성 지지체를 접착제로 점착한 구조인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개소 51-2512호 공보, 특개소 57-182495호 공보 등).
이러한 스텐실 시트를 사용할 때, 인쇄되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문자 또는 영상(이하, 가끔 화상으로 기재함)에 대응한 부분에 열 에너지를 지향시키거나 열 에너지를 부여하고, 상기 부분을 용융하여, 필름을 천공시킴으로써 스텐실판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스텐실판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동일한 재질의 필름인 경우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로 결정된다. 한편, 상기 필름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지만, 천공(perforating)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에 관해서 필름의 천공작업에 대한 강도와 감도에는 상반하는 요구 특성이 있어, 이들 양 요구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스텐실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특수 부분들을 용융함으로써 구멍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일정 이상의 열 에너지를 열 가소성 수지 필름에 부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천공작업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저 에너지량으로 매끄럽고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는(다시 말해서, 우수한 천공성을 가지는) 스텐실 시트(i)와,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ii)과,
이 스텐실 시트로부터 스텐실판을 제조하는 방법(iii)을 제공하는 것이며,
피인쇄체로 전이되는 잉크의 양을 제어하기 용이하고, 스텐실판을 사용하여 인쇄할 때, 뒷묻음이 작고 인쇄성과 인쇄 화상의 선명도가 우수하며 스텐실 인쇄 장치에서 이송과정동안 스텐실판의 잼(jamm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인쇄 드럼 주위에 감기거나 또는 인쇄 드럼 상에 적재될 때, 스텐실판 상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다시 말해서, 스텐실판이 이송성과 적재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스텐실 시트로 스텐실판이 제조된다.
본 발명자는 꾸준한 연구조사의 결과로써,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를미리 준비하고 상기 미세 구멍을 통해서 잉크 통과가 가능한 상기 시트의 미세 구멍에 상기 시트와는 다른 소정의 특성을 갖는 특정 재질의 충전재를 충전시키고, 그 후에 스텐실판의 제조 시에, 원고의 인쇄 화상에 대응한 부분의 충전재만을 제거하여 시트에 미세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도 1(a), (b), (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텐실 시트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2: 미세 구멍
3: 폴리프로필렌 시트4: 충전재
6: 스텐실 시트10: 다른 스텐실 시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이하와 같이 요약된다.
(1)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로, 상기 미세 구멍에 하기 (A), (B) 또는 (C)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스텐실 시트.
(A) 상기 시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
(B) 용제 가용성 수지
(C) 가열 점착성 수지
(2) 상기 문항(1)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합성 수지 필름인 스텐실 시트.
(3) 상기 문항(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미세 구멍의 개방부의 면적비가 20 내지 70%인 범위에 있으며, 개방부의 형태를 원으로 간주한 경우의 등가 원 직경이 5 내지 200μm의 범위에 있는 스텐실 시트.
(4) 상기 문항(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미세 구멍은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형인 스텐실 시트.
(5) 상기 문항(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두께가 1.5 내지 20μm의 범위인 스텐실 시트.
(6) 상기 문항(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한쪽 면에 추가로 다공성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스텐실 시트.
(7) 표면 위에 드릴형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합성 수지의 필름을 향하여 가압해서 미세 구멍을 형성하고 그후에 상기 미세 구멍을 충전재로써 충전하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8) 상기 문항(7)에 있어서, 상기 미세 구멍을 상기 충전재로 충전시키는 공정은 안에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의 상기 필름 상에 충전재로써 수지의 용액 또는 유탁액(emulsion)을 적용시키고, 상기 용액 또는 유탁액을 스퀴지(squeegee)로 압착하여 상기 미세 구멍 안으로 가압하고, 그 다음 수지의 용액 또는 유탁액을 고체화시키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9) 상기 문항(7) 또는 (8)에 있어서, 표면에 드릴형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합성 수지의 상기 필름에 가압하여 미세 구멍을 형성하고, 이 미세 구멍을 상기 충전재 또는 수지로 충전시킨 후, 상기 필름의 한쪽 면에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0) 상기 문항(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또는 수지는 하기 수지 (A), (B)와 (C)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A) 상기 필름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
(B) 용제 가용성 수지
(C) 가열 점착성 수지
(11) 상기 문항(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미세 구멍의 개방부의 면적비가 20 내지 70%인 범위에 있으며, 개방부의 형태를 원으로 간주한 경우의 등가 원 직경이 5 내지 200μm의 범위에 있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2) 상기 문항(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미세 구멍은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형인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3) 상기 문항(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가 1.5 내지 20μm의 범위인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4) 표면 위에 드릴형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합성 수지의 필름을 향하여 가압해서 미세 구멍을 형성하고 그후에 상기 미세 구멍을 (A) 상기 필름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와, (B) 용제 가용성 수지, 또는 (C) 가열 점착성 수지를 충전재로써 충전하여 얻어진 스텐실 시트를 사용된 상기 수지에 따른 하기 처리공정(a). (b) 또는 (c)을 각각 수행하여서, 원고(manuscript)의 인쇄 화상 또는 특정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만 상기 미세 구멍의 상기 수지가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a) 수지가 (A)인 경우는 스텐실 시트의 상기 필름의 표면에 열 에너지를 부여하여, 상기 수지를 용융시킨다.
(b) 수지가 (B)인 경우는 스텐실 시트의 상기 필름의 표면 상에 상기 수지를 용해하는 액체를 인가하거나 또는 부여하여, 상기 수지를 용해시킨다.
(c) 수지가 (C)인 경우는 가열해서 상기 수지를 원고에 접착시키는 동안 스텐실 시트의 상기 필름의 표면을 향하여 원고를 압착시킨다.
도면에서, 부호 "1"은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이고, 부호 "2"는 미세 구멍이며, 부호 "3"은 폴리프로필렌 시트이며, 부호 "4"는 충전재이고, 부호 "5"는 시퀴지이고, 부호 "6"은 스텐실 시트이며, 부호 "7"은 일부 구멍이 충전재로 충전된 미세 구멍을 갖는 합성 수지이고, 부호 "8"은 다공성 지지체이며, 부호 "9"는 미세 구멍(잉크가 통과하는)이고, 부호 "10"은 다른 스텐실 시트이다.
본 발명의 스텐실 시트에 있어서, 잉크 통과가 가능한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며, 시트 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i), 용제 가용성 수지(ii) 또는 가열 점착성 수지(iii)가 충전재로서 충전되며, 예를 들어, 원고의 인쇄된 화상에 대응한 부분에서 미세 구멍의 수지를 그 충전재의 특성에 따라서 용융, 용해 또는 열 접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텐실 시트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 자체를 소정의 부분에서 용융, 천공하는 종래와 비교하여 소량의 에너지로써 스텐실판을 형성하도록, 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텐실 시트에서 천공에 대한 감도가 실질적으로 시트의 두께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시트의 강도와 감도 쌍방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텐실 시트로부터 준비한 스텐실판(stencil plate)을 사용하여 인쇄할 때, 충전재 제거에 의해 본 발명의 스텐실시트에 형성된 미세한 관통 구멍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잉크가 과잉으로 통과하고 전이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뒤묻음(setoff)이 없는 양호한 인쇄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상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텐실 시트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미세 구멍에는 (i) 상기 시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 (ii) 용제 가용성 수지 또는 (iii) 가열 점착성 수지가 충전재로서 충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는 이 시트가 시트의 한쪽 면으로부터 다른쪽 면으로 잉크 통과가 가능한 다수의 미세한 연통 구멍을 갖는다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각각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스폰지 고무 시트, 합성 수지 발포체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 필름에는 필름 형성 성능이 있는 합성 수지가 사용되며, 예를 들면, 종래 공지된 결정성 열 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 염화 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체, 부티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과 다른 성분을 갖는 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스폰지 고무로서는 천연 고무 또는 각종 합성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 발포체로서는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두께는 스텐실 시트로서의 강도, 미세 구멍 형성의 용이성, 제조비용 등의 관점에서, 1.5 내지 20μ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15μ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 구멍은 정확한 화상 재현성 등의 관점에서 시트 전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세 구멍의 개방부의 면적비는 20 내지 7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범위이다. 개방부의 면적비가 70%를 넘으면 잉크가 구멍을 통과하기가 쉬워져, 인쇄물에 뒤묻음(setoff)이 생기기 쉽고, 또한 인쇄 화상이 스며들기 쉬워진다. 한편, 개방부의 면적비가 20% 미만에서는 잉크 투과성이 떨어져, 인쇄 화상이 희미해 선명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용어 "미세 구멍의 개방부의 면적비"는 시트의 일정 면적을 평면적으로 관찰한 경우에 개방부가 점유하는 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미세 구멍의 크기는 미세 구멍의 개방부를 형태가 원이라 간주한 경우의 등가 원 직경이 5 내지 200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μm의 범위이다. 등가 원 직경이 200μm을 넘으면 잉크가 구멍을 통과하기 쉬워지고, 인쇄물에 뒤묻음이 생기기 쉬워져, 인쇄 화상이 스며들 경우가 있다. 한편, 등가 원 직경이 5μm 미만에서는 잉크 투과성이 떨어져, 인쇄 화상이 희미해 선명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미세 구멍은 시트가 합성 수지 필름의 경우에는 표면에 드릴형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상기 필름면에 열 가압 접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가열된 롤러 또는 일반 롤러를 가열하는 동안 필름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돌기의 형상이나 크기에 의해 미세 구멍의 형상이나 크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형성되는 미세 구멍의 단면이 사다리꼴형이 되도록 드릴형 돌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구멍의 단면을 사다리꼴형하여 필름을 배열함으로써, 구멍 직경이 작은 개방부가 있는 필름 표면이 인쇄되는 피인쇄체와 접촉하여, 잉크의 피인쇄체로의 전이량 조절이 용이해져, 뒤묻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폰지 고무 시트 및 합성 수지 발포체 시트의 경우에 있어서, 시작부(beginning)에서 존재하고 시트 자체에서 연결된 작은 구멍이 미세 구멍으로 작용하지만, 균일한 관통 구멍을 얻기 위해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전재는 상기 시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 용제 가용성 수지 또는 가열 점착성 수지이지만, 이들 충전재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염료나 안료 등의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충전재로서 사용하는 시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저 에너지에서의 가열된 조건에서 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시트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융점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 시에 다른 단량체 또는 반응 성분으로 준비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시트로써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 또는 반응 성분으로서는 이소푸탈산, 아디핀산, 다이머산 등의디카본산, 디에틸렌 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저분자량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미세 구멍에 충전된 상기 수지는 예를 들면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또는 플래시 램프 등에 의한 섬광 조사, 적외선 조사, 레이저 광선 등의 펄스적 조사 또는 서멀 헤드 등을 사용하여 열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가열되어 용융됨으로써, 이것에 의해 원고의 문자나 화상에 대응한 미세한 관통 구멍(즉 잉크의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이 단계에서 부여되는 열 에너지량은 합성 수지 필름을 등의 시트를 용융하지 않은 에너지량이 된다.
또한 충전재로서 용제 가용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천공의 단계에서 열 에너지를 부여하지 않고, 상기 용제 가용성 수지를 용해하는 용제(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용제"는 용액을 포함한다)를 시트에 적용하거나 부여함으로써 시트가 천공되기 때문에, 천공을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 가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로키실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크릴아미드, 전분, 덱스트린, 알긴산, 아스콜빈산 및 수용성 폴리우레탄 등의 수용성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스티렌, 폴리 염화 비닐, 폴리 염화 비닐리덴, 폴리 플루오로화 비닐,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모든 용제 가용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사용해도 되고, 둘 이상 수지를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공중합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천공하기 위해서 상기 수지를 용해하는 용제으로서는 물,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 4-디옥산, 개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메틸아민, 에틸렌디아민, 피리딘 등 외에, 헥산, 헵탄, 옥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용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공에 사용되는 용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염료, 안료, 방부제, 습윤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미세 구멍에 충전된 상기 기술한 수지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술한 용제로써 용해할 때, 예를 들면, 드롭핑 피펫(dropping pipette), 주사기, 솔 및 스탬프 등의 부재, 만년필, 볼펜, 사인펜 등의 필기 도구, 잉크 젯 프린터 등의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합성 수지 필름 등의 시트의 소재로서는 충전재를 용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제에 대하여 내성이 양호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염화 비닐리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충전재로서 가열 점착성 수지를 충전재로써 사용할 경우는, 예를 들면, PPC 토너 등에 의해 문자나 화상이 형성된 원고를 먼저 시트 표면에 배치하여, 열 롤러나 아이론(iron) 등의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 가열하면서 압착하며, 상기 원고의 문자나 화상 부분의 상기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미세 구멍 내에 충전된 가열 점착성 수지를 열 접착시키고, 그 후에 상기 원고를 시트로부터 박리함과 동시에 문자나 화상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의 충전재를 박리하여 미세한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이 경우의 가열 점착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스티렌-아크릴오니트릴 공중합체계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수지, 부티랄 수지 등이 사용된다.
시트의 미세 구멍을 충전재로서 충전하는 것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a), (b) 및 (c)의 공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들 공정에서, 예를 들어,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미세 구멍(2)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1)을 폴리프로필렌 시트(3) 상에 배치하여, 충전재(4)의 용액 또는 에멀젼 등(하기 설명에서는 간략한 기술을 위하여 가끔 단지 용액으로 기술함)을 합성 수지 필름(1) 상에 분무하여 코팅하고, 그 후,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퀴지(5)로 스키징하여 충전재(4)를 미세 구멍(2)에 밀어넣는다. 이어서,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재(4)를 고화시키고 그 다음, 합성 수지 필름(1)을 폴리프로필렌 시트(3)으로부터 벗겨 본 발명의 스텐실 인쇄 시트(6)를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충전된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는 그 자체로 스텐실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시트의 한쪽 면에 종래 공지의 박엽지(tissue paper), 부직포, 스크린사(screen gauze) 등의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한 후 스텐실 시트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트를 다공성 지지체로 적층하는 것은 시트와 다공성 지지체를 접착제를 통해 접착하든지 가열 조건에서 서로에 대해서 압착하는 등의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지지체로서,덮개 부분에 융점이 낮은 합성 수지 성분을 사용한 덮개 코어 구조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크린사를 사용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텐실 시트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스텐실 시트(10)는 합성 수지 필름(7)과, 이 합성 수지 필름(7)의 한쪽 면에 적층된 다공성 지지체(8)로 구성되며, 상기 합성 수지 필름(7)은 단면이 사다리꼴형인 다수의 미세 구멍(2)을 필름 전면에 균일하게 가지며, 상기 미세 구멍에는 충전재(4)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부호 "9"는 도시하지 않은 서멀 헤드의 열 소자에 의해 열 에너지를 충전제에 부여하여 상기 충전재를 열 용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잉크 관통 구멍)이다.
이러한 스텐실 시트로 제조된 스텐실판을 사용할 때, 인쇄 시에는 다공성 지지체 쪽으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며 이 인쇄용 잉크는 합성 수지 필름(1)의 관통 구멍(9)을 통과하여 도시하지 않은 피인쇄체에 전사되기 때문에, 피인쇄체에의 잉크 공급이 과잉이 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인쇄물의 뒤묻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보기
이하, 본 발명을 보기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이들 특정 보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보기들에서, 미세 구멍의 개방부의 면적비는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를 직접 광학 현미경의 명시야 투과법(bright-field transmission method)으로 관찰하여, 피아스사(Pierce Corp.) 제작의 하이비젼(high-definition TV)에 대한 고화질 모니터를 대처할 수 있는 화상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모니터 배율 240배로 면적비를 구하고, 임의의 측정점 10개소에 대한 평균치로 도시하였다. 또한 개방부의 등가 원 직경은 먼저 프로세서 상의 화상에 대한 등가 원 직경을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흑백 반전 처리하여 반전 화상에 대한 개방부의 등가 직경을 결정하여 산술 평균함으로써, 얻어진 임의의 각 등가 원 직경의 측정점 10개소에 대한 평균치로 도시하였다.
보기 1
드릴형 돌기의 직경이 팁을 향하여 가늘어지며, 그 가장 가는 부분의 직경이 40μm인 열 롤러(온도 150℃)를 두께 3μm인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향하여 가압 접촉하여, 상기 필름에 미세 구멍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미세 구멍의 단면은 사다리꼴형이며, 개방 구멍 직경이 작은 쪽 면의 면적비는 35%, 등가 원 직경은 42μm이었다. 또한 개방 구멍 직경이 큰 쪽 면의 면적비는 45%, 등가 원 직경은 48μm이었다. 상기 필름에 형성된 미세 구멍에 도 1(a), (b), (c)의 방법으로 초산 비닐 수지를 충전하여, 본 발명의 스텐실 시트를 얻었다.
이 스텐실 시트를 서멀 헤드에 의해 천공한 후, 개방 구멍 직경이 작은 쪽 면이 인쇄 용지에 접하도록, 스텐실판을 이상 과학 공업사(RISO KAGAKU CORPORATION) 제작의 스텐실 인쇄기 리소그래프 GR375(상품명)에 장착하여 인쇄를 행한 바, 양호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보기 2
보기 1에서, 충전재로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가열 점착성 수지 또는 열융합성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는 보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텐실 시트를 얻었다.
이 스텐실 시트의 개방 구멍 직경이 큰 쪽 면에 PPC 토너 원고를 포개어 100℃로 가열한 가열 롤러로 열 압착하고, 그 후, 상기 PPC 원고를 원지로부터 박리하여 천공함으로써, 스텐실판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스텐실판을 이상 과학 공업사 제작의 스텐실 인쇄기 리소그래프 GR375(상품명)에 개방부가 작은 쪽 면이 인쇄 용지에 접하도록 장착하여, 인쇄를 행한 바 양호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보기 3
보기 1에 있어서, 충전제로서 폴리 비닐 알코올 수지(가용성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는 보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텐실 시트를 얻었다.
이 스텐실 시트에 잉크 젯 방식에 의해 물을 부여하여 천공함으로써, 스텐실판을 형성한 후, 이상 과학 공업사 제작의 간이 인쇄기 프린트 곳코(상품명)에 개방 구멍 직경이 작은 쪽 면이 인쇄 용지에 접하도록 장착하여, 유성 잉크를 공급하여 인쇄를 행한 바, 양호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스텐실 시트에 의하면, 다수의 잉크 통과가 가능한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의 미세 구멍에 상기 시트와는 다른 소정의 특성을 갖는 충전재를 충전시킴으로써, 원고에 대응한 부분의 충전재만을 제거하여 스텐실판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텐실 시트의 감도가 종래와 같이 합성 수지 필름 등의 시트 두께에 의존하지 않고,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저 에너지로써 고감도로 스텐실 시트를 천공할 수 있고; 스텐실 시트로부터 얻어진 스텐실판은 피인쇄체로 전이되는 잉크 전이량 조정이 용이하여 뒤묻음이 적고, 스텐실판을 사용하여 인쇄할 때, 인쇄성과 화상 선명성이 뛰어나며, 잼(jamm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우수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텐실 시트를 사용할 때, 저 에너지로 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천공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로, 상기 미세 구멍에 하기 (A), (B) 또는 (C)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스텐실 시트.
    (A) 상기 시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
    (B) 용제 가용성 수지
    (C) 가열 점착성 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합성 수지 필름인 스텐실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구멍의 개방부의 면적비가 20 내지 70%인 범위에 있으며, 개방부의 형태를 원으로 간주한 경우의 등가 원 직경이 5 내지 200μm의 범위에 있는 스텐실 시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미세 구멍은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형인 스텐실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두께가 1.5 내지 20μm의 범위인 스텐실 시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한쪽 면에 추가로 다공성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스텐실 시트.
  7. 표면 위에 드릴형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합성 수지의 필름을 향하여 가압해서 미세 구멍을 형성하고 그후에 상기 미세 구멍을 충전재로써 충전하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구멍을 상기 충전재로 충전시키는 공정은 안에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의 상기 필름 상에 충전재로써 수지의 용액 또는 유탁액(emulsion)을 적용시키고, 상기 용액 또는 유탁액을 스퀴지(squeegee)로 압착하여 상기 미세 구멍 안으로 가압하고, 그 다음 수지의 용액 또는 유탁액을 고체화시키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표면에 드릴형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합성 수지의 상기 필름에 가압하여 미세 구멍을 형성하고, 이 미세 구멍을 상기 충전재 또는 수지로 충전시킨 후, 상기 필름의 한쪽 면에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또는 수지는 하기 수지 (A), (B)와 (C)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A) 상기 필름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
    (B) 용제 가용성 수지
    (C) 가열 점착성 수지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미세 구멍의 개방부의 면적비가 20 내지 70%인 범위에 있으며, 개방부의 형태를 원으로 간주한 경우의 등가 원 직경이 5 내지 200μm의 범위에 있는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미세 구멍은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형인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가 1.5 내지 20μm의 범위인 스텐실 시트의 제조방법.
  14. 표면 위에 드릴형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합성 수지의 필름을 향하여 가압해서 미세 구멍을 형성하고 그후에 상기 미세 구멍을 (A) 상기 필름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와, (B) 용제 가용성 수지, 또는 (C) 가열 점착성 수지를 충전재로써 충전하여 얻어진 스텐실 시트를 사용된 상기 수지에 따른 하기 처리공정(a). (b) 또는 (c)을 각각 수행하여서 원고(manuscript)의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만 상기 미세 구멍의 상기 수지가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a) 수지가 (A)인 경우는 스텐실 시트의 상기 필름의 표면에 열 에너지를 부여하여, 상기 수지를 용융시킨다.
    (b) 수지가 (B)인 경우는 스텐실 시트의 상기 필름의 표면 상에 상기 수지를 용해하는 액체를 인가하거나 또는 부여하여, 상기 수지를 용해시킨다.
    (c) 수지가 (C)인 경우는 가열해서 상기 수지를 원고에 접착시키는 동안 스텐실 시트의 상기 필름의 표면을 향하여 원고를 압착시킨다.
KR10-2002-0002660A 2001-01-19 2002-01-17 스텐실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KR100436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2088A JP3602452B2 (ja) 2001-01-19 2001-01-19 孔版印刷用原紙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版方法
JPJP-P-2001-00012088 200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183A true KR20020062183A (ko) 2002-07-25
KR100436103B1 KR100436103B1 (ko) 2004-06-14

Family

ID=1887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660A KR100436103B1 (ko) 2001-01-19 2002-01-17 스텐실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098314A1 (ko)
EP (1) EP1225059A3 (ko)
JP (1) JP3602452B2 (ko)
KR (1) KR100436103B1 (ko)
CN (1) CN117173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4416B (zh) * 2013-03-01 2014-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丝网网版
JP6332687B2 (ja) * 2014-08-28 2018-05-3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製版方法及びスクリーンマス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1237A (en) * 1973-02-21 1976-09-21 Rhodes John M Plastic rotary printing screens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S57182495A (en) 1981-05-08 1982-11-10 Tomoegawa Paper Co Ltd Heat-sensitive stencile
DK456883A (da) * 1982-10-08 1984-04-09 Pilot Pen Co Ltd Stencil, stencilmaterialesaet samt en stencilduplikator
AT382558B (de) * 1985-02-12 1987-03-10 Kufstein Schablonen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iebdruckschablone
JPH05102512A (ja) 1991-10-09 1993-04-23 Nikko Kyodo Co Ltd 半導体放射線検出器の製造方法
JPH07237367A (ja) * 1994-02-28 1995-09-12 Riso Kagaku Corp 孔版印刷用原紙および製版方法
US5819652A (en) * 1994-12-14 1998-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ed cavity depth screening stencil
JPH1086545A (ja) * 1996-09-13 1998-04-07 Riso Kagaku Corp 感熱孔版原紙製版用組成物及び製版方法
JP3698343B2 (ja) * 1996-12-16 2005-09-21 東北リコー株式会社 感熱孔版印刷用マ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32057B2 (ja) * 1998-04-27 2005-03-23 株式会社リコー 感熱孔版印刷用マスター、その製造方法及び孔版製版印刷方法
DE19933525A1 (de) * 1999-07-16 2001-01-18 Schablonentechnik Kufstei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iebdruckschabl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5059A2 (en) 2002-07-24
US20020098314A1 (en) 2002-07-25
CN1171738C (zh) 2004-10-20
CN1365896A (zh) 2002-08-28
EP1225059A3 (en) 2002-11-06
JP3602452B2 (ja) 2004-12-15
JP2002211155A (ja) 2002-07-31
KR100436103B1 (ko) 2004-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7063B2 (en) Printing plate and process for plate-making using the same
KR100197321B1 (ko) 스텐실 인쇄용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0193925B1 (ko) 공판 인쇄용 원지의 제판방법
KR100197322B1 (ko) 공판 인쇄 시트의 제조방법
KR100436103B1 (ko) 스텐실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JP2002002140A (ja) 微多孔性孔版原紙およびその利用
JP3431700B2 (ja) 孔版印刷用原紙の製版方法及び製版装置
US5669300A (en) Process for perforating a solvent soluble stencil
KR0178407B1 (ko) 스텐실 인쇄 시이트 및 이를 사용하는 스텐실의 제조방법
KR100245378B1 (ko) 열민감성 스텐실원지의 제판방법
WO2010125376A1 (en) Microperforated film
JP3415244B2 (ja) 孔版印刷装置の製版装置
JP3477231B2 (ja) 水性溶剤穿孔性孔版印刷用原紙、その穿孔方法および印刷方法
JP2001232964A (ja) 感熱孔版原紙及びその製版方法
JPH0781265A (ja) 孔版印刷用原紙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2137354A (ja) 孔版式製版装置、製版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H08197707A (ja) 孔版印刷用原紙の製版方法および孔版印刷用原紙
JP2003170672A (ja) 感熱孔版原紙及びその製版方法
JPH08150789A (ja) 孔版印刷用原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58055A (ja) 孔版印刷用原紙の製版方法
JPH08324147A (ja) 孔版シートおよびその製版方法
JPH08197708A (ja) 孔版印刷用原紙及びその製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