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470A - 램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램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470A
KR20020061470A KR1020010048191A KR20010048191A KR20020061470A KR 20020061470 A KR20020061470 A KR 20020061470A KR 1020010048191 A KR1020010048191 A KR 1020010048191A KR 20010048191 A KR20010048191 A KR 20010048191A KR 20020061470 A KR20020061470 A KR 2002006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rod bar
actuator
disk
r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리카와요시히로
아비코가오루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4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2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out of operative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 바에 부착된 마모가루가 헤드 크래시(crash)를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로딩(loading) 시의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경감시켜 최대 소비전류 값을 낮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파킹부(111∼114) 표면에 복수의 요철부(111a∼114a)를 가지며 파킹부 측의 램프면(101b∼104b)이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배치되어 있는 램프부재(61)를 갖는다. 로드 바(60-1∼60-4)의 핑거부(60-1b∼60-4b)에 부착된 마모가루는, 로드 바(60-1∼60-4)가 파킹부(111∼114)로 복귀할 때에 요철부(111a∼114a)에 의해 상대적으로 마찰되어 박리되어, 하드 디스크 상에는 낙하하지 않는다.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 액추에이터의 부하가 경감된다.

Description

램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RAMP MEMBER AND DISK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지 암의 선단에 로드 바를 구비하며, 섀시 베이스 상에 이 로드 바를 지지하는 램프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자기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는 컴퓨터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휴대 가능한 노트형 컴퓨터 장치는 부딪치거나 떨어뜨려 쓸데없이 충격을 받을 기회가 많다. 그래서, 노트형 컴퓨터 장치는 내(耐)충격성이 높은 구조일 것이 요구된다.
노트형 컴퓨터 장치에 설치되는 하드 디스크 장치는, 탁상용 컴퓨터 장치에 설치되는 하드 디스크 장치에 비하여 내충격성이 높은 구조일 것이 요구된다.
하드 디스크 장치는, 정지 모드 시에서의 슬라이더 상태로부터, 슬라이더가 하드 디스크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콘택트 스타트 스톱 방식과, 슬라이더가 하드 디스크의 외측까지 후퇴하는 로딩 언로딩 방식으로 분류된다. 로딩 언로딩 방식은 캐리지 암의 선단에 로드 바를 구비하는 동시에, 섀시 베이스 상에 이 로드 바를 지지하는 램프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슬라이더가 하드 디스크의 외측까지 후퇴했을 때에 로드 바가 램프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더가 로드 바를 통하여램프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언로딩」은 하드 디스크 상에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하드 디스크의 외측까지 후퇴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로딩」은 하드 디스크의 외측 위치에 후퇴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하드 디스크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내충격성의 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콘택트 스타트 스톱 방식에 비하여 로딩 언로딩 방식이 신뢰성이 높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노트형 컴퓨터 장치에 설치되는 하드 디스크 장치에는 로딩 언로딩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서 슬라이더가 후퇴하고 있는 언로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은 하드 디스크이며, 화살표 A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된다. 11은 램프부재로서 합성수지제의 성형 부품이고, 하드 디스크 장치의 섀시 베이스(도시 생략)에 나사 고정되어 있으며, 하드 디스크(10)의 외측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12는 상측의 로드 바, 13은 하측의 로드 바, 14는 상측의 슬라이더, 15는 하측의 슬라이더이다. 각 슬라이더(14, 15)의 단면에는 자기 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16은 캐리지 암이다. 캐리지 암(16)이 보이스 코일 모터 구조의 액추에이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로드 바(12, 13) 및 슬라이더(14, 15)가 화살표 B1 및 B2 방향으로 이동된다.
램프부재(11)는, 도 2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로드 바(12)에 대한 사다리꼴 형상의 안내부(20) 및 파킹부(21)와, 하측의 로드바(13)에 대한 사다리꼴 형상의 안내부(22) 및 파킹부(23)를 갖는다.
파킹부(21, 23)는 로드 바(12, 13)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평활한면을 갖는다.
안내부(20, 22)는 하드 디스크(10) 측의 경사져 있는 램프면(20a, 22a)과, 파킹부 측의 경사져 있는 램프면(20b, 22b)과, 그 사이의 면(20c, 22c)으로 이루어진다. 각 면은 로드 바(12, 13)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평활한 면이다. 또한, 램프면(20b, 22b)은 B1-B2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시에 언로딩 명령이 공급되면, 캐리지 암(16)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로드 바(12, 13)는 안내부(20, 22)를 넘어 파킹부(21, 23)까지 이동되어,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언로딩 완료 상태로 된다. 언로딩 완료 상태에서 로딩 명령이 공급되면, 캐리지 암(16)이 도 1a 중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로드 바(12, 13)는 안내부(20, 22)를 넘어 이동되어 로딩이 실행되며, 슬라이더(14, 15)가 하드 디스크(10) 상에 로딩되어 회전되고 있는 하드 디스크(10)의 상면(10a) 및 하면(10b)에 부상하여 대향하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을 개시한다.
도 1b 중에서 로드 바(12, 13)는 각각 파선(30, 31)을 따라 이동하고, 슬라이더(14, 15)는 각각 파선(32, 33)을 따라 이동한다.
언로딩 및 로딩이 실행될 때마다 로드 바(12, 13)가 램프부재(11)의 안내부(20, 22) 및 파킹부(21, 23)를 슬라이딩하고, 이 슬라이딩이 다수회 반복하여 실행되면, 램프부재(11)가 마모되고, 마모가루가 발생하여 이것이 로드 바(12, 13)에 부착된다. 로드 바(12, 13)에 부착된 마모가루는 언젠가는 박리되어 낙하한다.
로드 바(12, 13)에 부착된 마모가루의 박리가 슬라이더(14, 15)가 하드 디스크(10) 상에 로딩되었을 때에 발생하면, 마모가루가 하드 디스크(10) 상에 낙하한다. 이 하드 디스크(10) 상에 낙하한 마모가루가 부상하고 있는 슬라이더(14, 15)와 하드 디스크(10) 사이에 끼어 들어가면, 헤드 크래시(crash)를 야기시키고, 하드 디스크(10)의 기록면을 손상시키게 된다.
또한, 로딩 시에는 로드 바(12, 13)가 각각 램프면(20a, 22a)을 올라간다. 올라가는 타이밍은 동일하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도시 생략)의 부하는 커지게 되고,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전류가 필요했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장치의 소비전력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 로딩 시의 액추에이터(도시 생략)의 부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10)의 개수가 증가하여 슬라이더 수가 증가하고, 로드 바의 수가 증가하면 더 높아지고,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값이 더 높아져, 하드 디스크 장치의 소비전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이 하드 디스크 장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내에 설치되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된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장치의 소비전력이 높은 것은 문제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한 하드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하드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a 중의 램프부재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드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 중에서 슬라이더와 관련된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하드 디스크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도 3 중에서 로드 빔 및 그것과 관련된 부분을 뽑아내어 확대시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 중에서 로드 빔의 선단측 부분을 아래쪽으로부터 보아 확대시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3a 중의 램프부재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램프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램프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램프부재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램프부재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로딩 시의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하드 디스크 장치
51: 섀시(chassis) 베이스
52: 스핀들(spindle) 모터
53-1, 53-2: 하드 디스크
56-1, 56-2, 56-3: 캐리지 암
58-1∼58-4: 로드 빔
59-1∼59-4: 슬라이더
60-1∼60-4: 로드 바
60-1b∼60-4b: 핑거부
61: 램프(ramp)부재
62: 액추에이터
65: 프린트 기판 어셈블리
66: 디스크 인클로저(enclosure)
91∼94: 램프부
101∼104: 안내부
101b∼104b: 파킹(parking)부 측의 램프(ramp)면
111∼114: 파킹부
111a∼114a, 140, 142: 요철부(凹凸部)
141: 플레이트(plate) 형상의 부품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램프부재에, 로드 바가 이것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때에,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이 하드 디스크면에 낙하하는 것이 회피되어, 박리되어 낙하한 부착물에 기인하는 헤드 크래시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착물 박리수단은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복수의 요철부인 구성으로 한 것이다.
부착물 박리수단은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착물 박리수단은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복수의 요철부인 동시에, 요철부는 램프부재보다 단단한 재질제이고, 램프부재와 일체인 플레이트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요철부가 마모되기 어렵기 때문에, 부착물 박리 기능이 길게 지속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착물 박리수단은,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요철부와, 로드 바가 파킹부까지 도달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로드 바가 파킹부 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를 미소하게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미소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것이다.
액추에이터가 미소하게 구동되어 로드 바가 파킹부 내에서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효과적으로 박리시켜 낙하시킨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타이밍 어긋남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되고, 액추에이터 구동전류의 최대값이 낮아진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램프부재의 각 안내부의 파킹부 측의 파킹부 측 램프면이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캐리지 암 측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캐리지 암에 대한 로드 바의 위치가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램프부재에, 로드 바가 이것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때에,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하며,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타이밍 어긋남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이 하드 디스크면에 낙하하는 것이 회피되고, 박리되어 낙하한 부착물에 기인하는 헤드 크래시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되어, 액추에이터 구동전류의 최대값이 낮아진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고,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며, 캐리지 암의 선단의 로드 바를 안내하여 지지하는 램프부재에 있어서,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에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로드 바가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고,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며, 캐리지 암의 선단의 로드 바를 안내하여 지지하는 램프부재에 있어서, 램프부재의 각 안내부의 파킹부 측의 파킹부 측 램프면이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드 디스크 장치(50)를 나타낸다.도 3a는 커버부재(64)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 중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슬라이더에 관련된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Z1-Z2는 높이방향이다.
하드 디스크 장치(50)는 얕은 오목부를 갖는 섀시 베이스(51)와, 섀시 베이스(51) 상의 스핀들 모터(52)와, 스핀들 모터(52)의 로터에 고정되어 있는 직경이 2.5인치인 2개의 하드 디스크(53-1, 53-2)와, 섀시 베이스(51) 상의 축(5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캐리지 암(56-1, 56-2, 56-3)과, 이 캐리지 암(56-1∼56-3) 선단측의 스페이서(57-1∼57-4)와, 로드 빔(58-1∼58-4), 슬라이더(59-1∼59-4) 및 로드 바(60-1∼60-4)와, 섀시 베이스(51) 상에 나사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는 램프부재(61)와, 섀시 베이스(5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 암(56)을 왕복 회동시키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조의 액추에이터(62)와, 헤드 IC(63)와, 섀시 베이스(51)의 상면을 덮는 커버부재(64)와, 섀시 베이스(5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어셈블리(65)를 갖는 구성이다. 슬라이더(59-1∼59-4)의 단면에는 자기 헤드(66-1∼66-4)가 설치되어 있다. 섀시 베이스(51)와 커버부재(64)가 밀봉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크 인클로저(66)를 구성한다. 상기의 하드 디스크(53-1, 53-2) 등은 디스크 인클로저(6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하드 디스크 장치(50)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내에 설치되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된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하드 디스크(53-1, 53-2)는 스핀들 모터(52)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약 4000rpm으로 회전된다. 액추에이터(62)에 의해 캐리지 암(56-1∼56-3)이 화살표B1-B2 방향으로 회동되고, 슬라이더(59-1∼59-4)가 하드 디스크(53-1, 53-2) 면에 대하여 부상한 상태에서 이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며, 목적으로 하는 트랙을 주사하여 자기 헤드(66-1∼66-4)가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한다.
판독된 재생 신호는 헤드 IC(63)에 공급되고, 증폭된 후, 프린트 기판 어셈블리(65)에 공급된다. 헤드 IC(63)로부터 기록 신호가 공급되는 동시에, 헤드(66-1∼66-4)에 의해 판독된 재생 신호를 증폭시켜 프린트 기판 어셈블리(65)에 공급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 어셈블리(65)는 하드 디스크 콘트롤러(HDC)(81), RAM(82), ROM(83), MPU(84), 리드 채널(85), 서보 콘트롤러(SVC)(86), 드라이버(87, 8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MPU(84)는 ROM(8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고, 서보 콘트롤러(86)를 통하여 액추에이터(62)를 제어함으로써, 슬라이더(59-1∼59-4)를 램프부재(61)로부터 언로드시켜 하드 디스크(53-1, 53-2) 상에 로드하는 로드 동작 및 슬라이더(59-1∼59-4)를 하드 디스크(53-1, 53-2) 상으로부터 언로드시켜 램프부재(61) 상에 로드하는 언로드 동작을 행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바(60-1)는 본체부(60-1a)와 본체부(60-1a)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핑거부(60-1b)로 이루어지고, 본체부(60-1a)가 로드 빔(58-1)의 선단측 상면에 레이저 빔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핑거부(60-1b)가 로드 빔(58-1)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핑거부(60-1b)는 휨 강성(剛性)을 높이기 위해 압축한 프레스 가공이 되어 있고, 대략 반원통의 형상을 갖고있으며, 원통면(60-1b1)을 갖는다. 원통면(60-1b1)은 핑거부(60-1b)의 램프부재(61) 상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로드 빔(58-1)의 선단측에 짐벌(gimbal)부(58-1a)를 갖고, 이 짐벌부(58-1a)에 슬라이더(59-1)가 고정되어 있다. 로드 빔(58-1)의 기부(基部) 측이 스페이서(57-1)의 선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스페이서(57-1)의 기부 측이 캐리지 암(56-1)의 선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캐리지 암(56-2, 56-3), 스페이서(57-2∼57-4), 로드 빔(58-2∼58-4)은 상기의 캐리지 암(56-1), 스페이서(57-1), 로드 빔(58-1)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8은 램프부재(61)를 나타낸다. 도 4에 아울러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부재(61)는 액정 폴리머제의 성형 부품이고, 로드 바(60-1)에 대한 램프부(91), 로드 바(60-2)에 대한 램프부(92), 로드 바(60-3)에 대한 램프부(93), 로드 바(60-4)에 대한 램프부(94)를 갖는다.
램프부(91)는 안내부(101)와 파킹부(111)를 갖는다.
안내부(101)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하드 디스크(53-1) 측의 경사져 있는 램프면(101a)과, 파킹부 측의 경사져 있는 램프면(101b)과, 그 사이의 면(101c)으로 이루어진다. 각 면은 로드 바(60-1)의 핑거부(60-1b)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평활한 면이다.
파킹부(111)는 슬라이더(59-1)가 하드 디스크(53-1)의 상면을 상대적으로 주사하고 있을 때의 핑거부(60-1b)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이다. 언로드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로드 빔(58-1)은 휨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로드 빔(58-1)이 자연 상태로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파킹부(111)는 수평의 면이고, 복수의 요철부(111a)를 갖는다. 로드 바(60-1)의 핑거부(60-1b)에 부착된 연마가루를 핑거부(60-1b)가 파킹부(111)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박리시키기 위함이다.
다른 램프부(92, 93, 94)도 상기의 램프부(91)와 동일하게 안내부(102, 103, 104)와 파킹부(112, 113, 114)를 갖는다. 안내부(101)의 파킹부 측의 램프면(101b) 및 안내부(102, 103, 104)의 파킹부 측의 램프면(102b, 103b, 104b)은 B1-B2 방향상에서 B1 방향으로 차례로 어긋나 시프트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53-1, 53-2) 측으로부터 보아, 램프면(101b)의 종료단과 램프면(102b)의 개시단이 동일한 위치 P1이고, 램프면(102b)의 종료단과 램프면(103b)의 개시단이 동일한 위치 P2이며, 램프면(103b)의 종료단과 램프면(104b)의 개시단이 동일한 위치 P3이다. 로딩 시의 부하를 낮게 하기 위함이다. 파킹부(112, 113, 114)는 수평의 면이고, 요철부(112a, 113a, 114a)를 갖는다.
도 3a에 나타낸 언로드 완료 상태에서 로드 명령이 공급되면, 액추에이터(62)가 구동되어 캐리지 암(56-1∼56-3)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로드 바(60-1∼60-4)의 핑거부(60-1b∼60-4b)가 각각 안내부(101∼104)를 초과하여 도 4 중의 파선(121∼124)을 따라 이동하며, 슬라이더(59-1∼59-4)는 각각 파선(121∼124)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되고 있는 하드 디스크(53-1, 53-2) 상에 로드되어, 하드 디스크(53-1, 53-2) 면 상에 부상하여 대향하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을 개시한다.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시에, 언로드 명령이 공급되면, 액추에이터(62)가 구동되어 캐리지 암(56-1∼56-3)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로드 바(60-1∼60-4)는 각각 안내부(101∼104)를 초과하여 파킹부(111∼114)까지 이동되며, 도 3b에 나타낸 언로드 완료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 디스크 장치(50)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언로딩 및 로딩에 따라 발생하는 마모가루에 기인하는 헤드 크래시의 회피
하드 디스크 장치(50)가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고, 로드 및 언로드가 다수회 실행되면, 램프부(91∼94)가 마모되고, 마모에 의해 발생한 마모가루가 핑거부(60-1b∼60-4b)에 부착된다. 이 마모 및 마모가루의 핑거부(60-1b) 등에 대한 부착을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여기서, 각 파킹부(111∼114)는 요철부(111a∼114a)를 갖는다. 따라서, 언로드가 실행되어 핑거부(60-1b∼60-4b)가 파킹부(111∼114)에 도달했을 때, 및 로드가 개시되어 핑거부(60-1b∼60-4b)가 파킹부(111∼114)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마모가루가 요철부(111a∼114a)에 의해 상대적으로 마찰되어 핑거부(60-1b∼60-4b)로부터 박리되어 낙하한다. 마모가루의 핑거부(60-1b∼60-4b)로부터의 박리는 하드 디스크(53-1, 53-2) 외측의 장소에서 실행되고, 마모가루가 낙하하는 장소는 섀시 베이스(51) 상이며, 하드 디스크(53-1, 53-2) 상은 아니다.
또한, 핑거부(60-1b∼60-4b)는 언로딩 시마다 클리닝되고, 핑거부(60-1b∼60-4b)가 하드 디스크(53-1, 53-2)에 대향하는 상태에서는,핑거부(60-1b∼60-4b)에는 마모가루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핑거부(60-1b∼60-4b)로부터 하드 디스크(53-1, 53-2) 상에 마모가루가 낙하하지 않는다.
따라서, 핑거부(60-1b∼60-4b)로부터 낙하한 마모가루에 의해 헤드 크래시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또한, 도 5 중의 ROM(83)에는 언로드의 종료 시에 액추에이터(62)를 미소하게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언로드의 종료 시에, MPU(84)는 ROM(8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고, 서보 콘트롤러(86) 및 드라이버(88)를 통하여 액추에이터(62)가 미소하게 구동되며, 캐리지 암(56-1∼56-3)이 B1-B2 방향으로 미소하게 구동되고, 핑거부(60-1b∼60-4b)가 파킹부(111∼114)의 범위 내에서 B1-B2 방향으로 미소하게 왕복 구동된다. 이 동작 동안에, 마모가루는 요철부(111a∼114a)에 의해 상대적으로 마찰되어 핑거부(60-1b∼60-4b)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박리되어 낙하되고, 핑거부(60-1b∼60-4b)는 양호하게 클리닝된다.
2. 로딩 시의 액추에이터(62)의 부하 경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101, 102, 103, 104)의 파킹부 측의 램프면(101b, 102b, 103b, 104b)은 B1-B2 방향상에서 B1 방향으로 차례로 어긋나고 있기 때문에, 액추에이터(62)가 구동되어 캐리지 암(56-1∼56-3)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했을 때에, 최초로 핑거부(60-4b)가 램프면(104b)을 올라가고, 이어서 핑거부(60-3b)가 램프면(103b)을 올라가며, 이어서 핑거부(60-2b)가 램프면(102b)을 올라가고, 마지막으로 핑거부(60-1b)가 램프면(101b)을 올라간다.이와 같이, 핑거부(60-1b∼60-4b)가 램프면(101b, 102b, 103b, 104b)을 올라가는 타이밍이 어긋나고 있기 때문에, 액추에이터(62)의 부하가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경감된다.
이것에 의해, 로딩 시의 액추에이터(62)에 요구되는 구동전류의 최대값이 낮아진다. 종래는 로딩 시의 액추에이터의 최대 구동전류 값은 15㎃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딩 시의 액추에이터(62)의 최대 구동전류의 값은 종래의 1/4로 되어, 3.7㎃에 머무른다. 그 결과, 하드 디스크 장치(50)의 소비전력은 종래에 비하여 저감된다.
언로딩은 로딩 동작에 비하여 액추에이터(62)의 부하가 작다. 따라서, 핑거부(60-1b∼60-4b)가 각각 램프면(101a∼104a)을 올라가는 타이밍이 동시일지라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마모가루를 핑거부(60-1b∼60-4b)로부터 박리시키는 기구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 1 변형예의 램프부재(61A)를 나타낸다. 파킹부(111A)는 요철부(140)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품(141)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부품(141)이 램프부재(61A)와 일체로 되어 있는 구성이다. 부품(141)은 액정 폴리머보다 단단한 재질이다.
요철부(140)는 마모되기 어렵고, 요철부(140)는 끝이 뾰족해진 상태를 길게 계속하며, 요철부(140)가 핑거부(60-1b) 등에 부착된 마모가루를 제거하는 기능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길게 지속된다.
도 10은 제 2 변형예의 램프부재(61B)를 나타낸다. 파킹부(111B)는 메시(mesh) 형상의 요철부(142)를 갖는다.
액정 폴리머보다 단단한 재질이며, 메시 형상의 요철부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품을 인서트 성형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제 3 변형예의 램프부재(61C)를 나타낸다. 파킹부(111C)는 다수의 딤플(dimple)부(143)를 갖는다.
액정 폴리머보다 단단한 재질이며, 다수의 딤플부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품을 인서트 성형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제 4 변형예의 램프부재(61D)를 나타낸다. 파킹부(111D)는 표면 거칠기가 거친 면(144)을 갖는다.
다음으로, 로딩 시에 액추에이터(62)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부재(61E)는 파킹부 측의 램프면(101Eb, 102Eb)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이다. 로드 바(60E-1, 60E-2)는 핑거부(60E-1b, 60E-2b)가 B1-B2 방향으로 어긋나고 있다. 따라서, 로딩 시에는, 최초로 핑거부(60E-1b)가 램프면(101Eb)을 올라가고, 이어서 핑거부(60E-2b)가 램프면(102Eb)을 올라간다. 이것에 의해, 액추에이터(62)의 부하가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경감되고 있다.
이 구성은, 언로딩 시에, 핑거부(60E-1b, 60E-2b)가 디스크 측의 램프면(101Ea, 102Ea)을 올라가는 타이밍도 어긋나, 액추에이터(62)의 부하가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경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램프부재에, 로드 바가 이것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때에,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이 하드 디스크면에 낙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따라서, 박리되어 낙하한 부착물에 기인하는 헤드 크래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착물 박리수단은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복수의 요철부인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부착물 박리수단은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착물 박리수단은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복수의 요철부인 동시에, 요철부는 램프부재보다 단단한 재질제이고, 램프부재와 일체인 플레이트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요철부가 마모되기 어렵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부착물 박리 기능을 길게 지속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착물 박리수단은,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요철부와, 로드 바가 파킹부까지 도달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로드 바가 파킹부 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를 미소하게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미소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액추에이터가 미소하게 구동되어 로드 바가 파킹부 내에서 왕복 이동됨으로써,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효과적으로 박리시켜 낙하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타이밍 어긋남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되고, 필요한 구동전류를 낮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드 디스크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램프부재의 각 안내부의 파킹부 측의 파킹부 측 램프면이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캐리지 암 측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캐리지 암에 대한 로드 바의 위치가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로딩 언로딩 방식의 하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램프부재에, 로드 바가 이것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때에,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하며,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타이밍 어긋남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이 하드 디스크면에 낙하하는 것이 회피되고, 박리되어 낙하한 부착물에 기인하는 헤드 크래시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되고, 액추에이터 구동전류의 최대값을 낮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드 디스크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고,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며, 캐리지 암의 선단의 로드 바를 안내하여 지지하는 램프부재에 있어서,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에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로드 바가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고,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며, 캐리지 암의 선단의 로드 바를 안내하여 지지하는 램프부재에 있어서, 램프부재의 각 안내부의 파킹부 측의 파킹부 측 램프면이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는 램프부재가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시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캐리지 암이 회동되어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디스크 상에서 이동되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이 완료되면 언로딩이 실행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캐리지 암이 회동되어 슬라이더가 디스크의 외측까지 이동되고 선단의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를 넘어서 파킹부까지 도달하여 지지되며, 정보의 기록 및 판독 개시 시에는 로딩이 실행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캐리지 암이 언로딩 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파킹부에 위치하고 있는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를 넘어 이동되어, 슬라이더가 디스크 상으로 이동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재에, 상기 로드 바가 이것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때에, 상기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상기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박리수단은 상기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복수의 요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박리수단은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복수의 요철부이고,
    상기 요철부는, 램프부재보다 단단한 재질제이며, 상기 램프부재와 일체인 플레이트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박리수단은,
    상기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의 요철부와,
    상기 로드 바가 파킹부까지 도달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드 바가 파킹부 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를 미소하게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미소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는 램프부재가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시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복수의 캐리지 암이 회동되어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디스크 상에서 이동되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이 완료되면 언로딩이 실행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복수의 캐리지 암이 회동되어 슬라이더가 디스크의 외측까지 이동되고 선단의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를 넘어 파킹부까지 도달하여 지지되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 개시 시에는 로딩이 실행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캐리지 암이 언로딩 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파킹부에 위치하고 있는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를 넘어 이동되어, 슬라이더가 디스크 상으로 이동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타이밍 어긋남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상기 램프부재의 각 안내부의 파킹부 측의 파킹부 측 램프면이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어긋남 수단은, 각 캐리지 암에 대한 로드 바의 위치가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는 램프부재가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시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복수의 캐리지 암이 회동되어 슬라이더가 회전되는 디스크 상에서 이동되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이 완료되면 언로딩이 실행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복수의 캐리지 암이 회동되어 슬라이더가 디스크의 외측까지 이동되고 선단의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를 넘어 파킹부까지 도달하여 지지되고, 정보의 기록 및 판독 개시 시에는 로딩이 실행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캐리지 암이 언로딩 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파킹부에 위치하고 있는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를 넘어 이동되어, 슬라이더가 디스크 상으로 이동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재에, 상기 로드 바가 이것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때에, 상기 로드 바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상기 로드 바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하며,
    로딩 시에, 각 로드 바가 램프부재의 안내부에 올라탈 때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는 타이밍 어긋남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고,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며, 캐리지 암의 선단의 로드 바를 안내하여 지지하는 램프부재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재의 파킹부 표면에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부재.
  10. 안내부와 파킹부를 갖고,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보다 외측의 위치에 고정되며, 캐리지 암의 선단의 로드 바를 안내하여 지지하는 램프부재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재의 각 안내부의 파킹부 측의 파킹부 측 램프면이 로드 바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부재.
KR1020010048191A 2001-01-15 2001-08-10 램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 KR20020061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6661A JP2002216445A (ja) 2001-01-15 2001-01-15 ディスク装置
JPJP-P-2001-00006661 2001-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70A true KR20020061470A (ko) 2002-07-24

Family

ID=1887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191A KR20020061470A (ko) 2001-01-15 2001-08-10 램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74613B2 (ko)
EP (1) EP1225569A2 (ko)
JP (1) JP2002216445A (ko)
KR (1) KR200200614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4749A1 (en) * 2003-06-02 2004-1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KR100640614B1 (ko) * 2004-12-18 200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파킹용 램프
JP4459114B2 (ja) 2005-05-31 2010-04-28 東芝ストレージデバイス株式会社 ランプロード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ドライブ
KR100746195B1 (ko) * 2005-10-07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US7251096B1 (en) * 2005-10-24 2007-07-31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Shock induced cleaning for hard disk drives
US20070091507A1 (en) * 2005-10-26 2007-04-26 Seagate Technology Llc Load/unload ramp
CN100407294C (zh) * 2005-12-29 2008-07-30 深圳易拓科技有限公司 硬盘斜块
JP2007220240A (ja) * 2006-02-17 2007-08-30 Fujitsu Ltd 耐衝撃性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81B2 (ja) 1988-08-12 1996-03-29 富士通株式会社 ヘッド清掃方式
JPH0567379A (ja) * 1991-09-09 1993-03-19 Ne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5314434A (ja) 1992-05-12 1993-11-26 Hitachi Ltd 磁気記録装置
US5341260A (en) * 1992-12-04 1994-08-23 Seagate Technology, Inc. Reduced torque unloading ramp system for a hard disk drive
US5864448A (en) * 1995-10-24 1999-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lider and suspension retention and retraction system for high capacity disk drive
JPH10233012A (ja) 1997-02-19 1998-09-02 Sony Corp ディスク、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111038B2 (ja) * 1997-05-07 2000-11-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情報記録再生装置用ランプ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326416A (ja) 1997-05-26 1998-12-08 Hitachi Ltd 磁気ディスク装置と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6278584B1 (en) * 1997-10-27 2001-08-21 Seagate Technology, Inc. Friction control on HGA ramp load/unload surface
JP3275825B2 (ja) * 1998-03-06 2002-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ディスク装置
JP3295906B2 (ja) * 1998-06-11 2002-06-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ード/アンロードランプ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0076632A (ja) 1998-09-01 2000-03-14 Hitachi Ltd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0076811A (ja) * 1998-09-02 2000-03-14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3613610B2 (ja) * 1998-10-23 2005-01-26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ランプロード式磁気ディスク装置
US6246534B1 (en) * 1998-10-27 2001-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rd disk drive with lube on demand actuators
JP2000173030A (ja) 1998-12-02 2000-06-23 Nec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3742274B2 (ja) * 2000-04-03 2006-02-01 Tdk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93768A1 (en) 2002-07-18
US6674613B2 (en) 2004-01-06
JP2002216445A (ja) 2002-08-02
EP1225569A2 (en)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2154B1 (en) Disk drive having a ramp used for the controlled loading of a head of a head stack assembly onto a disk
US6151197A (en) Water slide suspension assembly having a stiffened vertically offset lift tab
KR100275179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EP1555654B1 (en) Suspension assembly having reinforced end-tab and actuator for disk drive adopting the same
CN1115667C (zh) 用于磁盘驱动器的浮动块清洁方法和装置
CN1941145A (zh) 数据存储装置
US6191915B1 (en) Suspension for disc drive that is capable of restraining excessive inclination of a head or occurrence of dimple separation when it is shocked, without enhancing the stiffness of a flexure
US6577473B1 (en) Disc drive ramp that accomodates shipping comb
US20020008938A1 (en) Reduced lubricant accumulating slider
KR20020061470A (ko) 램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
US7301730B2 (en) Suspension with stiffened end-tab for actuator in data storage device
JP2659502B2 (ja) 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EP1672620A2 (en) Head parking ramp for hard disk drive
WO2002099790B1 (en) Vertically-oriented servo track writer and method
US6639750B1 (en) Head loading/unload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device
US6301081B1 (en) Actuator and head lifting tab for a disk drive
US5986451A (en) Low z-height loader for a head gimbal assembly
US6437948B1 (en) Disk unit having a head suspension
KR20130007335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서스펜션 조립체와 헤드 파킹 장치
CN101083124A (zh) 磁头万向架组件及其制造方法
JPH05314434A (ja) 磁気記録装置
KR100320736B1 (ko) 디스크 드라이브 기록헤드 자가 세정을 위한 자기 디스크 및 그 세정방법
JP3077352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5332575A (ja) ヘッドのロード/アンロード制御方法及び記憶装置
JP2005332576A (ja) ヘッドのロード/アンロード制御方法及び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