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953A -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 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유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 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유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953A
KR20020060953A KR1020027004582A KR20027004582A KR20020060953A KR 20020060953 A KR20020060953 A KR 20020060953A KR 1020027004582 A KR1020027004582 A KR 1020027004582A KR 20027004582 A KR20027004582 A KR 20027004582A KR 20020060953 A KR20020060953 A KR 20020060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d communication
spread
synchroniz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무라유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네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네익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네익스
Publication of KR2002006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유선 통신 디바이스(30)는 1차 변조부(32)와 PN 부호 발생부(34)와 확산 변조부(36)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8)를 구비한다. 1차 변조부(32)는 송신 데이터를 1차 변조하여, 1차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PN 부호 발생부(34)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PN 부호를 발생한다. 확산 변조부(36)는 PN 부호에 근거하여 1차 변조 신호를 확산 변조하여, 확산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8)는 동기 신호 및 확산 변조 신호를 유선 통신로(3)로 송출한다. 이 때문에, 수신기는 유선 통신로(3)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역확산 복조하기 위한 확산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스펙트럼 확산을 유선 통신로에 적용하였을 때 데이터 통신을 고속화 가능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 유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 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 유선 통신 시스템{Wire communication device, wire communication apparatus, wire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 communication system}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고속 데이터 통신은 전화 회선과 공용된 기설 또는 신설 금속 케이블로 이루어진 통신선을 통해 실현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에는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규격에 근거한 통신 방식 및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로 대표되는 xDSL 이라고 불리는 통신 방식이 있다.
HomePNA는 통상의 전화와 공용할 수 있도록 가정 내의 전화 회선을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다중화하여, 기존의 전화 회선을 10Mbps 정도의 네트워크로서 이용하기 위한 규격이다. 또한, ADSL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으로, 전화의 가입자선에 있어서 수백 ㎑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신을 다중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유선 통신로를 통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 장치, 유선 통신 시스템, 및 유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유선 통신로로 송출되는 다중화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도 5는 유선 통신로 상의 다중화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도 6a 및 도 6b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주요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7a 및 도 7b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주요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
그러나, ADSL에 있어서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다심(多芯)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심 케이블을 구성하는 개개의 통신선 사이에 있어서의 혼선(cross talk), 및 상호 주파수 간섭에 의한 페이딩(fading)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HomePNA에서는 송신하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서 버스트(burst) 변조된 반송파를 신호선으로 송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HomePNA에 있어서도, ADSL과 마찬가지로 통신 장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들의 통신 방식에 생기는 통신 장해를 회피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유선 통신에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 스펙트럼 확산 방식은 이하의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1) 간섭 신호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2) 신호의 전력 밀도가 낮기 때문에, 다른 회선, 특히 협대역 회선에 주는 간섭이 작다. (3) 통신 상대를 선택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4) 회선 통신의 비닉성(秘匿性)이 높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을 유선 통신에도 적용하면, 이러한 이점을 누릴 수 있다. 그런데, 스펙트럼 확산 통신에서는 수신기에 있어서의 복조용의 PN 부호는 그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에 있어서의 변조용의 PN 부호와 비동기로 발생된다. 이 때문에,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2개의 부호의 동기를 취하는 것, 즉 동기 포착이 필요하다. 동기 포착은 수신기에 있어서의 PN 부호열과 수신 신호의 자기 상관을 구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동기 포착을 위한 오버헤드가 생긴다.
한편, 현재에 있어서도, 또한 장래에 있어서도, 유선 통신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현재의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동기 포착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이 동기 포착을 위해 시간은 1회의 통신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량에 관계없이, 개개의 통신을 행할 때마다 필요하다. 그래서, 동기 포착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 만일 가능하다면 동기 포착을 위한 시간을 실질적으로 없애는 것은 고속 데이터 통신를 위해서 필요하다.
유선 통신 및 스펙트럼 확산 방식에 관한 문헌으로서는 일본 특개평 9­ 162839호 공보(이하, 문헌이라고 함)가 있다.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유선 통신장치에서는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선의 특성에 따른 전력 밀도 분포에 스펙트럼 확산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수신 전력을 최대로 한다. 그런데, 문헌에서는 동기 포착을 위해 시간에 관해서 어떠한 검토도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펙트럼 확산을 유선 통신로에 적용하였을 때 데이터 통신을 고속화 가능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 유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1차 변조부와 부호 발생부와 확산 변조부와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1차 변조부는 송신 데이터를 1차 변조하여, 1차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부호 발생부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확산 부호를 발생한다. 확산 변조부는 확산 부호에 대해서 1차 변조 신호를 확산 변조하여, 확산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동기 신호를 유선 통신로로 송출할 수 있으며, 또한 확산 변조 신호를 유선 통신로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산 부호는 적절하게는 PN 부호이다.
이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된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확산 변조된 확산 변조 신호에 더하여, 동기 신호도 유선 통신로로 송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역확산 복조하기 위한 확산 부호의 생성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에 더하여, 역확산 복조부와 1차 복조부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역확산 복조부는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역확산 복조하여 역확산 신호를 생성한다. 1차 복조부는 이 역확산 신호를 1차 복조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과 이 수단에 결합되어 기준 신호를 여파하여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수단을 또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필터수단은 기준 신호의 기본 주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동기 신호는 실질적으로 단일 정현파 및 단일 여현파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도록 생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부호 발생부에 결합되어 기준 주기마다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생성수단을 또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필터수단과 부호 발생부 사이에 결합되어 기준 주기마다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생성수단을 또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1차 변조부는 펄스 생성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펄스 생성수단으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의해 송출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동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유선 통신로에 결합되어, 확산 변조 신호의 유무에 관계없이 동기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유선 통신로에 결합되어 유선 통신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을 더욱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유선 통신로에 결합되어 유선 통신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분리수단에 결합되어, 분리수단으로부터의 신호로부터 기본 주기마다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발생수단을 또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부호 발생부와 역확산 복조부와 1차 복조부를 구비한다. 부호 발생부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확산 부호를 발생한다. 역확산 복조부는 유선 통신로로부터의 신호를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역확산 복조하여, 역확산 신호를 생성한다. 1차 복조부는 이 역확산 신호를 1차 복조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들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복조하기 위해서,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 확산 부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수신 데이터는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복조한 후에 이 역확산 신호를 1차 복조함으로써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또는 신호 재생부에 있어서 생성될 수 있다. 신호 재생부에서는 동기 신호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유선 통신로에서 제공되는 신호로 재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동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스펙트럼 확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동기 신호로부터 동기 타이밍을 결정할 때, 노이즈(noise)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선 통신장치는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와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를 구비한다. 이 유선 통신장치에 있어서는 각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1차 변조부와 부호 발생부와 확산 변조부와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갖는다. 또한, 각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역확산 복조부와 1차 복조부를 또한 가질 수 있다. 각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구성의 각각, 요컨대 1차 변조부, 부호 발생부, 확산 변조부, 통신 인터페이스부, 역확산 복조부, 및 1차 복조부에는 이미 설명된 각각의 구성 또는 앞으로 설명될 각각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유선 통신장치에서는 신호 발생부는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과 이수단에 결합되어, 지불 기준 신호를 여파하여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수단을 또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선 통신장치이다. 유선 통신장치는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와 각각이 한 끝 및 다른 끝을 갖는 복수의 유선 통신선을 구비한다. 각 유선 통신선의 한 끝은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에 접속되는 동시에, 각 유선 통신선의 다른 끝은 유선 통신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유선 통신선의 일부는 통신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유선 통신 방법에서는 송신기와 이 송신기에 유선 통신로를 통해서 접속된 수신기 사이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방법은 이하의 스텝 즉, (a) 송신 데이터를 1차 변조하여, 1차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과 (b)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를 유선 통신로로 송출하는 스텝과 (c) 동기 신호에 동기한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1차 변조 신호를 확산 변조하여, 확산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과 (d) 확산 변조 신호를 유선 통신로로 송출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확산 신호에 더하여 동기 신호도 유선 통신로로 송출된다. 유선 통신로 상의 동기 신호는 확산 변조 신호를 역확산 복조하기 위한 확산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부가하여, 이 유선 통신방법은 이하의 스텝(e), (f), (g)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방법은 계속되는 스텝, 즉, (e) 소정의 주기를 갖는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재생하는 스텝과, (f) 이 신호를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된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역확산 복조하여, 역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과, (g) 역확산 신호를 1차 복조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동기 신호는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재생된다.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역확산 복조를 위한 확산 부호가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복조하는 동시에 1차 복조함으로써, 수신 데이터가 생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기술을 고려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장치, 및 유선 통신방법의 적절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1)는 집합 주택 및 호텔과 같은 다수의 단말이 필요한 장소에 적용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는 분산국(5)과 통신 케이블(7)과 기지국(9)을 포함한다. 기지국(9)은 다심(多芯)케이블과 같은 통신 케이블(7)에 포함되는 전화 회선(3)을 통해서 개개의 분산국(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화 회선(3)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와이어선을 갖는다. 또한, 기지국(9)은 통신 케이블(21)을 통해서 인터넷과 같은 고속 통신 회선망(23)에 접속되어 있다. 분산국에는 예를 들면 가정 내의 전화 회선(11)을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13) 및 전화기(15)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1)는 또한, PBX와 같은 전화 교환기(17)에 접속되어 있다. 전화 교환기(17)는 통신 케이블(19)을 통해서 공중 전화 회선망(PSTN)과 같은 전화 회선망(23)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3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30)는 기지국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선 통신 디바이스(30)는 데이터 입력단자(30a)에 수신한 송출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함으로써 생성된 송출 신호를 신호 입출력단자(30b)를 통해서 송출하는 동시에, 스펙트럼 확산 부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도 신호 입출력단자(30b)를 통해서 송출한다. 또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30)는 신호 입출력단자(30b)에 수신한 신호를 스펙트럼 역확산함으로써 생성된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단자(30c)에 제공한다. 이 스펙트럼 역확산할 때, 상기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 확산 부호를 이용 가능하다. 이 때문에, 유선 통신 디바이스(30)를 사용하는 통신에서는 동기 포착을 할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해서, 유선 통신 디바이스(30)는 1차 변조부(32)와 확산 부호 발생부(34)와 확산 변조부(36)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8)와 동기 신호 발생부(40)와 역확산 복조부(42)와 1차 복조부(44)를 구비한다.
1차 변조부(32)는 데이터 입력단자(30a)로부터의 송출 데이터를 입력(32a)에 수신한다. 1차 변조부(32)는 또한, 이 송출 데이터를 1차 변조한 후에, 1차 변조 신호를 출력(32b)에 제공한다. 이 변조에는 AM 변조 및 FM 변조와 같은 아날로그변조 방식, 또는 PSK 변조 및 FSK 변조와 같은 디지털 변조 방식이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바이페이즈(bi-phase) 코드 변환, CMI 변환, 복류(複流) RZ 변환, 바이폴러(bipolar) 변환, AMI(다이 코드(diecord)) 변환, 및 NRZI 변환 등의 각 방식이 포함된다. 또한, 1차 변조부(32)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동기 신호는 송출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 또는 시리얼(serial) 전송시에 이용할 수 있다.
확산 부호 발생부(34)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에 수신하는 동기 신호 입력(34a)을 갖는다. 확산 부호 발생부(34)는 또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생성된 확산 부호를 출력(34b, 34c)에 제공한다. 확산 부호는 적절하게는 PN 부호이다. 이 외에도, 스펙트럼 확산 통신에 이용할 수 있는 부호는 확산 부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확산 변조부(36)는 1차 변조부(32)로부터의 1차 변조 신호를 입력(36a)에 수신하고, 또한 확산 부호 발생부(34)로부터의 확산 부호를 입력(36c)에 수신한다. 확산 변조부(36)는 그 승산부(36d)에 있어서 1차 변조 신호에 확산 부호를 승산함으로써, 1차 변조 신호를 확산 변조한다. 확산 변조된 신호는 출력(36b)에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부(38)에 송신된다.
동기 신호 발생부(40)는 확산 부호 발생부(34) 등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동기 신호 발생부(40)는 예를 들면, 기준 신호 발생수단(46), 필터수단(48) 및 동기 펄스 발생수단(50)을 포함한다. 기준 신호 발생수단(46)은 동기 신호를 위한 기본 주기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발생하도록 작동한다. 기준 신호 발생수단(46)에 있어서 주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정 발진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주기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MHz 정도가 적합하다. 필터수단(48)은 기준 신호 발생수단(46)에 있어서 발생된 기준 신호를 여파하여, 기본 주기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중요하게 포함하는 기준 주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동기 펄스 발생수단(50)은 기준 주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준 주기마다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펄스 신호는 1차 변조부(32), 확산 부호 발생부(34), 및 1차 복조부(44)에 출력(40a)으로부터 제공되며, 또한, 기준 주기 신호는 동기 신호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8)에 출력(40b)으로부터 제공된다.
송신에 관해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8)는 확산 변조부(36)로부터의 확산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38a)과 동기 신호 발생부(40)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38d)을 갖는다. 이들의 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8)에 있어서 처리된 후에 입출력(38b)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8)는 신호 다중화수단(52), 및 신호 송출수단(54)을 갖는다. 신호 다중화수단(52)은 동기 신호 및 확산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들의 신호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다중화된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신호 송출수단(54)은 이 다중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38b)에 제공한다. 또한, 신호 송출수단(54)은 확산 변조 신호 및 동기 신호를 전화 회선(3)으로 송출하는 동시에, 확산 변조 신호가 없을 때도 동기 신호를 전화 회선(3)으로 송출하도록 동작한다. 도 4는, 다중화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동기 신호 성분이 S110에 의해서 지정되며, 및 확산변조 신호 성분이 S120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다. 참고를 위해서, 도 4에는 300㎐ 내지 3,4㎑로 스펙트럼 성분을 갖는 전화 음성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파선(S100)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신에 관해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8)는 입출력(38b)에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처리한 후에 출력(38c)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8)는 신호 수신수단(56)을 갖는다. 도 5는 전화 회선(3) 상에 다중화되어 있는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전화 음성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S130 에 의해서 지정되고, 확산 변조 신호 성분이 S140 에 의해서 지정되며, 동기 신호 성분이 S150 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다. 신호 수신수단(56)은 전화 회선(3)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38c)에 제공한다.
역확산 복조부(42)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8)로부터의 신호를 입력(42a)에 수신하고, 확산 부호 발생부(34a)로부터의 확산 부호를 입력(42c)에 수신한다. 역확산 복조부(42)는 그 승산부(42d)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확산 부호를 승산함으로써, 수신 신호를 역확산 복조한다. 역확산 복조된 신호는 출력(42b)에 제공된다. 전화 회선(3) 상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몇개의 신호 성분이 존재한다. 역확산 복조부(42)에는 이것들의 신호 성분이 입력되지만, 역확산 복조부(42)에서는 특정한 확산 부호에 동기한 신호만이 복조된다. 때문에, 역확산 복조부(42)는 확산 부호와 상관이 있는 신호 성분만을 출력(42b)에 제공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확산 변조 신호 성분(S150)을 다른 신호 성분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1차 복조부(44)는 역확산 신호를 입력(44a)에 수신한다. 1차 복조부(44)는 수신한 역확산 신호를 1차 복조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1차 복조 방식은 1차 변조에 있어서 채용된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결정되어 있다. 수신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단자(30c)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44b)에 제공된다. 또한, 1차 복조부(44)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기 신호를 입력(44c)에 수신할 수 있다. 이 동기 신호는 수신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으로서, 또는 시리얼 전송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1)에 적용할 수 있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3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31)는 유선 통신로를 통해서 기지국에 접속된 분산국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선 통신 디바이스(31)는 데이터 입력단자(31a)에 수신한 송출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함으로써 생성된 송출 신호를 신호 입출력단자(31b)에 제공한다. 이 때, 스펙트럼 확산 부호는 신호 입출력단자(31b)를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또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31)는 신호 입출력단자(31b)에 수신한 수신 신호를 스펙트럼 역확산함으로써 생성된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단자(31c)에 제공한다. 이 스펙트럼 역확산할 때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 신호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유선 통신 디바이스(31)에서도, 동기 포착을 할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해서, 유선 통신 디바이스(31)에서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30)에 포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8) 및 동기 신호 발생부(40) 대신에 통신인터페이스부(60) 및 동기 신호 재생부(64)가 채용되어 있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31)는 이들의 부분 이외의 구성 부분으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선 통신 디바이스(30)와 마찬가지로, 1차 변조부(32), 확산 부호 발생부(34), 확산 변조부(36), 역확산 복조부(42), 및 1차 복조부(44)를 구비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60) 및 동기 신호 재생부(66)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송신에 있어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는 확산 변조부(36)로부터의 확산 변조 신호를 입력(60a)에 수신한다. 이들의 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에 있어서 처리된 후에 입출력(60b)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60)는 입력(50a)에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동시에 증폭된 신호를 출력(60b)에 제공하기 위한 신호 송출수단(54)을 갖는다.
수신에 있어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는 입출력(60b)에 수신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확산 변조 신호 성분을 출력(60c)에 제공하는 동시에, 출력(60d)에 동기 신호 성분을 제공한다. 출력(60d)에 동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60)는 유선 통신로 상의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동기 신호 분리수단(62)을 갖는다. 이 동기 신호 성분은 도 5에 있어서, S150 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다. 동기 신호 분리수단(62)은 전화 회선(3) 상에 나타나는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 성분(S150)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로서 동작한다.
동기 신호 재생부(66)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로부터의 추출 신호를입력(66a)에 수신하여, 이 추출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재생한다. 이를 위해서, 동기 신호 재생부(66)는 예를 들면, 동기 신호 추출수단(68) 및 동기 펄스 발생수단(70)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추출수단(68)은 통신 인터페이스부(6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동기 신호를 위한 기준의 주기를 포함하는 기준 주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서, 동기 신호 추출수단(68)은 추출 신호를 여파하고, 기준의 주기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주요하게 포함하는 기준 주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 펄스 발생수단(70)은 기준 주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준 주기마다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30)와 마찬가지로, 이 펄스 신호는 1차 변조부(32), 확산 부호 발생부(34), 및 1차 복조부(44)에 출력(66a)으로부터 제공된다.
이어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서, 유선 통신 디바이스(30)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 동작을 설명한다. 파형(W100)은 동기 신호 발생부(40)의 기준 신호 발생수단(46)에 의해서 발생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이 신호[파형(W100)]는 필터수단(48)에 의해서 여파되어, 파형(W110)에 도시되는 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파형(W110)]는 동기 펄스 발생수단(50)에 의해서 파형 정형되어 파형(W120)에 도시되는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파형(W120)]는 1차 변조부(32) 및 확산 부호 발생부(34)에 제공된다.
1차 변조부(32)는 신호(파형(W120))에 동기하여, 시각(t1)에 있어서 1차 변조를 개시한다. 이 결과 1차 변조부(32)는 시각(t1)부터, 파형(W140)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1차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확산 부호 발생부(34)도 신호[파형(W120)]에 동기하여, 시각(t1)에 있어서 확산 부호의 발생을 개시한다. 이 결과 확산 부호 발생부(34)는, 시각(t1)부터, 파형(W130)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확산 부호열을 생성한다.
이들 2개의 신호들[파형(W130), 파형(W140)]은 확산 변조부(36)에 제공된다. 확산 변조부(36)는, 1차 변조 신호(파형(W140))에 확산 변조를 실시한 결과 확산 변조 신호[파형(W180)]를 생성한다.
확산 변조 신호(W180)는 통신 인터페이스(38)에 제공된다. 확산 변조 신호[파형(W180)]는 유선 통신로로 송출되기 위해서 동기 신호[예를 들면, 파형(W110)]로 다중화된 후에, 유선 통신로[도 2의 전화 회선(3)]로 송출된다.
도 6b는 시각(t2 내지 t3)에 있어서의 송출 데이터 신호의 파형(W150), 확산 부호 신호의 파형(W160), 확산 변조 신호의 파형(W180)을 도시한다. 확산 변조부(36)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1차 변조 신호[파형(W140)]에 확산 부호[파형(W130)]를 승산한다. 1차 변조 신호에는 이미 변조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 변조 신호도 복잡한 파형이 된다. 이 때문에, 이들을 도시하는 것만으로는 1차 변조 신호(파형(W140), 확산 부호(파형(W130), 및 확산 변조 신호(파형(W180))의 관련을 반드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때문에, 도 6b에서는, 1차 변조 신호로부터 1차 변조 성분을 제외한 파형, 즉 송출 데이터(파형(W150))와 확산 신호[파형(W130)]의 승산 결과[파형(W170)]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W170)으로 도시되는 신호는 확산 변조부(36)에 나타나지 않는 가상적인 신호이다. 그렇지만, 확산 변조 신호의 파형(W180)과 파형(W170)을 비교하면, 확산 부호[파형(W160)]를사용하여 1차 변조 신호에 확산 변조를 행하는 것이, 이것들의 신호의 승산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서, 유선 통신 디바이스(31)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의 동작을 설명한다. 파형(W200)은 통신 인터페이스(60)에 있어서 수신되는 동기 신호 성분을 도시한다. 이 신호 성분[파형(W200)]은 출력(66d)을 통해서 동기 신호 재생부(66)에 제공된다. 동기 신호 발생부(66)에서는 동기 신호 추출수단(68)이, 이 신호 성분[파형(W200)]으로부터, 기준 주기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주요하게 포함하는 신호[파형(W210)]를 생성한다. 동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상당히 좁기 때문에, 파형(W210)으로 도시되는 신호 성분을 파형(W200)으로부터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파형(W210)은 동기 펄스 발생수단(70)에 의해서 파형 정형되어, 파형(W220)에 도시되는 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파형(W220)]는 1차 복조부(44) 및 확산 부호 발생부(34)에 제공된다.
확산 부호 발생부(34)는 파형(W220)으로 도시되는 신호에 동기하여, 시각(t1)에 있어서 확산 부호의 발생을 개시한다. 이 결과 확산 부호 발생부(34)는 시각(t1)부터, 파형(W230)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확산 부호열을 생성한다.
역확산 복조부(42)에는 2개의 신호들[파형(W230, W250)]이 제공된다. 역확산 복조부(42)는 이 2개의 신호들의 승산 결과[파형(W240)]를 1차 복조부(44)에 제공한다.
1차 복조부(32)는 파형(W220)으로 도시되는 신호에 동기하여, 시각(t1)에 있어서 1차 복조를 개시한다. 이 결과 1차 복조부(44)는 시각(t1)부터, 파형(W280)으로 도시되는 수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7b는 시각(t2 ~ t3)에 있어서의 신호 중 확산 신호 성분의 파형(W250), 역확산 부호 신호의 파형(W270), 및 수신 데이터의 파형(W280)을 도시한다. 도 7b에 있어서도, 도 6b와 같은 취지에 의해, 역확산 복조부(42)에 있어서의 승산 연산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확산 신호 성분으로부터 1차 변조 성분을 제외한 신호[파형(W260)]와 확산 부호 신호[파형(W270)]의 승산 결과 요컨대 수신 데이터[파형(W280)]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W250)과 파형(W260)을 비교하면, 확산 부호[파형(W270)]를 사용하여 수신 신호[파형(W250)]에 역확산 복조를 행하는 것이, 이것들의 신호의 승산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 2 실시예)
도 8을 참조하면, 유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유선 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80)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산국(84, 86, 88)들과 이들이 접속하기 위한 유선 통신로(82)를 갖는다. 기지국(80)은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 90b, 90n)와 동기 신호 발생 디바이스(98)를 구비한다. 각 분산국(84, 86, 88)은 유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면, 도 3의 31)를 구비한다. 기지국(80) 내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 90b, 90n)는 각각 유선 통신로 내의 개개의 금속 쌍 와이어(82a, 82b, 82n)를 통해서, 분산국(84, 86, 88)에 접속되어 있다. 분산국(80)과 기지국(84, 86, 88)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이 실현되고 있다. 유선 통신로(82)는 예를 들면 다심 케이블이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는 송수신 유닛(92a), 송신 제어 유닛(94a), 및 수신 처리 유닛(96a)을 갖는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90b, 90n)도,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와 마찬가지로, 각각 송수신 유닛(92b, 92n)과 송신 제어 유닛(94b, 94n)과 수신 처리 유닛(96b, 96n)을 구비한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송신 제어 유닛(92a)은 송수신 유닛(92a)에 제공하는 송출 데이터를 처리하고, 수신 처리 유닛(96a)은 송수신 유닛(92a)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83a)는 송수신 유닛(85a), 송신 제어 유닛(87a), 및 수신 처리 유닛(89a)을 갖는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83b, 83n)도, 유선 통신 디바이스(83a)와 마찬가지로, 각각, 송수신 유닛(85b, 85n)과 송신 제어 유닛(87b, 87n)과 수신 처리 유닛(89b, 89n)을 구비한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 90b, 90n)는 각각, 상이한 확산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확산 부호 발생부를 갖는다. 또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83a, 83b, 83n)는 각각 상이한 확산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확산 부호 발생부를 갖는다. 그렇지만,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 90b, 90n)는 유선 통신로(82)를 통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는 분산국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83a, 83b, 83n)와 공통의 확산 부호를 갖고 있다.
이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개개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고유의 PN 부호를 사용하여 스펙트럼 확산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인접 메탈 쌍 와이어로부터 혼선에 의해서 유발된 노이즈는 다른 PN 부호에 의해서 확산 변조된 신호 성분이다. 또한, 이 스펙트럼 확산 신호는 동일의 PN 부호를 갖는 특정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만 복조된다. 때문에, 이 유발 노이즈는 다른 확산 부호를 갖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복조 신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의 송수신 유닛(92a)은 도 9에 도시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는, 도 2 및 도 3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와 유사한 구성을 구비한다. 송수신 유닛(92a)의 주요부(102)는 송출 데이터를 입력(102a)에 수신하고, 확산 변조 신호를 입출력(102b)에 제공한다. 주요부(102)는 또한, 입출력(102b)에 유선 통신로(8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을 처리하여 수신 데이터를 출력(102c)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주요부(102)는 1차 변조부(32)와 확산 변조부(34)와 확산 부호 발생부(36)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8)와 역확산 복조부(42)와 1차 복조부(44)를 구비한다. 주요부(102)는 동기 신호 발생부(40)를 포함하지 않지만,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 발생 디바이스(98)로부터 입력(102d)에 제공된다. 이 때문에, 기지국(80) 내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90a, 90b, 90n)를 위해서, 공통된 동기 신호 발생 디바이스(98)가 배치되어 있다. 동기 신호 발생 디바이스(98)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기 신호 발생부(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기지국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서는 스스로 확산 변조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동기 신호를 유선 통신로(82)로 송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분산국에 있어서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이 동기 신호를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하는 한편, 스스로 확산 변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및 분산국에는 항상 동기 신호가 제공되고 있다. 때문에, 기지국 및 분산국 모두가 이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확산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 포착을 하지않고, 기지국과 분산국 사이에 있어서 동기가 확립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유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하면,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적용하여도 동기 포착을 위해 시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송신을 고속으로 동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체 이중 또는 반 이중의 쌍방향의 고속 스펙트럼 확산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금까지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장치, 및 유선 통신 방법에 관한 설명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선 통신 디바이스는 몇 개인가의 확산 부호로부터 선택된 확산 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디바이스 및 유선 통신장치에서는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생성되는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확산 변조된 확산 신호에 더하여, 동기 신호도 유선 통신로로 송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역확산 복조하기 위한 확산 부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동기 포착이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 방법에 의하면, 유선 통신로로부터의 동기 신호는 스펙트럼 확산 신호를 역확산 복조하기 위한 확산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로서 이용된다. 이 때문에, 이 신호의 근거하여, 확산 변조 및 역확산 복조를 위한 확산 부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복조할 수 있고, 또한 송출 데이터를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종래와 같은 동기 포착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스펙트럼 확산을 유선 통신로에 적용하였을 때 데이터 통신을 고속화 가능한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장치, 유선 통신 시스템 및 유선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1)

  1. 송신 데이터를 1차 변조하여, 1차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1차 변조부와,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확산 부호를 발생시키는 부호 발생부와,
    상기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상기 1차 변조 신호를 확산 변조하고, 확산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변조부 및,
    상기 동기 신호를 유선 통신로로 송출하는 동시에, 상기 확산 변조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로로 송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역확산 복조하고, 역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역확산 복조부 및,
    상기 역확산 신호를 1차 복조하고,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1차 복조부를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이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기준 신호를 여파하여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상기 기준 신호의 기본 주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실질적으로 단일의 정현파(正弦波) 및 단일의 여현파(余弦波)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도록 생성되어 있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발생부에 결합되고 기준 주기마다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과 상기 부호 발생부 사이에 결합되고, 기준 주기마다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변조부는 상기 펄스 생성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펄스 생성수단으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의해 상기 송출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동작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선 통신로에 결합되고 상기 확산 변조 신호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동기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선 통신로에 결합되어 상기 유선 통신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기를 갖는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재생하는 신호 재생부를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선 통신로에 결합되어 상기 유선 통신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분리수단으로부터의 신호로부터 기본 주기마다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발생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부호는 PN 부호인, 유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상기 확산 변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비해 좁은, 유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와,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유선 통신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과, 이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기준 신호를 여파하여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선 통신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기재된 유선 통신장치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와,
    각각이 한 끝 및 다른 끝을 갖는 복수의 유선 통신선을 구비하고,
    각 유선 통신선의 한 끝은 상기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에 접속되는 동시에, 각 유선 통신선의 다른 끝은 상기 유선 통신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유선 통신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선 통신선의 일부는 통신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는 유선 통신 시스템.
  20. 송신기와, 이 송신기에 유선 통신로를 통해서 접속된 수신기와의 사이에 있어서 통신을 행하는 유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1차 변조하고, 1차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과,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를 유선 통신로로 송출하는 스텝과,
    상기 동기 신호에 동기한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상기 1차 변조 신호를 확산 변조하여 확산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 및,
    상기 확산 변조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로로 송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유선통신 방법.
  21. 송신기와, 이 송신기에 유선 통신로를 통해서 접속된 수신기와의 사이에 있어서 통신을 행하는 유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를 갖는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유선 통신로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재생하는 스텝과,
    상기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된 확산 부호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를 역확산 복조하여, 역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 및,
    상기 역확산 신호를 1차 복조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유선 통신 방법.
KR1020027004582A 2000-08-10 2001-08-10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 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유선 통신 시스템 KR20020060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43082 2000-08-10
JP2000243082 2000-08-10
PCT/JP2001/006936 WO2002015426A1 (fr) 2000-08-10 2001-08-10 Dispositif de communication par fil, appareil de communication par fil, procede de communication par fil et systeme de communication par f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53A true KR20020060953A (ko) 2002-07-19

Family

ID=1873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582A KR20020060953A (ko) 2000-08-10 2001-08-10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 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유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31196A1 (ko)
EP (1) EP1233533A4 (ko)
KR (1) KR20020060953A (ko)
CN (1) CN1389027A (ko)
AU (1) AU2001277768A1 (ko)
WO (1) WO2002015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4108B2 (ja) * 2002-03-08 2004-09-08 イビデン産業株式会社 有線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その通信方法および有線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CN100442724C (zh) * 2005-09-16 2008-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用户通讯线路串扰测试方法及设备
FI121770B (fi) * 2007-05-28 2011-03-31 Tellabs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tahdistusinformaation siirtämiseksi
US7773664B2 (en) * 2008-03-18 2010-08-10 On-Ramp Wireless, Inc.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with meshing
US8520721B2 (en) 2008-03-18 2013-08-27 On-Ramp Wireless, Inc. RSSI measurement mechanism in the presence of pulsed jammers
US8477830B2 (en) 2008-03-18 2013-07-02 On-Ramp Wireless, Inc. Light monitoring system using a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US7733945B2 (en) * 2008-03-18 2010-06-08 On-Ramp Wireless, Inc. Spread spectrum with doppler optimization
US20090239550A1 (en) * 2008-03-18 2009-09-24 Myers Theodore J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with location tracking
US8958460B2 (en) * 2008-03-18 2015-02-17 On-Ramp Wireless,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media access control system
US20100195553A1 (en) * 2008-03-18 2010-08-05 Myers Theodore J Controlling power in a spread spectrum system
US7782926B2 (en) * 2008-03-18 2010-08-24 On-Ramp Wireless, Inc.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and method
DE102008057445B4 (de) * 2008-11-14 2020-10-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ldbussystem mit Spread-Spektrum
US8363699B2 (en) 2009-03-20 2013-01-29 On-Ramp Wireless, Inc. Random timing offset determination
US8773964B2 (en) * 2010-09-09 2014-07-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DMA-based crosstalk cancellation for on-chip global high-speed links
CN112093066A (zh) * 2020-11-20 2020-12-18 南京钰顺软件有限公司 一种环境勘测用无人机的多方式信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5208A (en) * 1982-01-18 1984-10-02 Ricketts James A Wired spread spectrum data communication system
US4641322A (en) * 1983-10-18 1987-02-03 Nec Corporation System for carrying out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through an electric power line
JPS61281639A (ja) * 1985-04-26 1986-12-12 Sanyo Electric Co Ltd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における同期方式
JP2740612B2 (ja) * 1993-01-18 1998-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H06291700A (ja) * 1993-04-01 1994-10-18 Kokusai Electric Co Ltd 回線品質測定器
JPH07135481A (ja) * 1993-11-09 1995-05-2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基準信号同期形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US5559828A (en) * 1994-05-16 1996-09-24 Armstrong; John T. Transmitted refer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using a single carrier with two mutually orthogonal modulated basis vectors
JPH08316877A (ja) * 1995-05-19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US5748677A (en) * 1996-01-16 1998-05-05 Kumar; Derek D. Reference signal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6111895A (en) * 1997-05-14 2000-08-29 At&T Corp. Wideband transmission through wire
JP3481471B2 (ja) * 1998-11-06 2003-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および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法
JP2001144653A (ja) * 1999-08-27 2001-05-25 Ibiden Sangyo Kk 有線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33533A4 (en) 2007-05-09
US20030031196A1 (en) 2003-02-13
AU2001277768A1 (en) 2002-02-25
WO2002015426A1 (fr) 2002-02-21
EP1233533A1 (en) 2002-08-21
CN1389027A (zh)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0953A (ko) 유선 통신 디바이스, 유선 통신 장치, 유선 통신 방법 및유선 통신 시스템
JP3003839B2 (ja) Cdma通信方法および装置
US7286508B2 (en) Signal format in multi-carrier CDMA transmission system
KR100896835B1 (ko)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JPS6335025A (ja) デジタル無線伝送系
AU5650196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ultirate coding and detection i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9327072A (ja) Cdma通信方法及び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KR20020019977A (ko) 송신기 레벨에서 주파수 확산 및 시간 확산을 실행하는전송방법
JPH117486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1515150A (ja) データ伝送方法、送信機及び受信機
JPH10107771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式
JP3063648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JP2850858B2 (ja) Cdma送受信方式
JP2001197146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2077098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010101629A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JP3139707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4245305B2 (ja) 同期方法、送信機および受信機
US6975585B1 (en) Slotted synchronous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or multi-drop networks
JP4236486B2 (ja) Adslアネックスc送受信機のttr同期
JP3187304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方式通信装置
JP2001298401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H0884132A (ja) 符号分割多重通信装置
JP4519351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3353551B2 (ja) 符号多重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