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664A -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664A
KR20020060664A KR1020020036159A KR20020036159A KR20020060664A KR 20020060664 A KR20020060664 A KR 20020060664A KR 1020020036159 A KR1020020036159 A KR 1020020036159A KR 20020036159 A KR20020036159 A KR 20020036159A KR 20020060664 A KR20020060664 A KR 2002006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nk
curing
print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욱
Original Assignee
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욱 filed Critical 황욱
Priority to KR102002003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0664A/ko
Publication of KR2002006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점자를 형성한 스크린용 필름을 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한 스크린용 인쇄판의 상부에 종이를 올려놓고 UV잉크로 스크린 인쇄한 UV잉크층과; 상기 UV잉크층이 인쇄된 상기 종이를 자외선 경화기로 경화시킨 경화층을 포함하며, 비장애인과 약시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칼라점자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어떠한 점자라도 그 분량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UV잉크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에 친화적이라는 효과가 제공되고, 칼라점자(묵자포함)로서 비장애인과 약시장애인들의 점자 문자인식율을 크게 높여 점자교육 및 보급에 기여하게 되며, 획기적으로 점자의 강도가 높아져 점자가 쉽게 눌려짐으로써 점자의 인식률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도에 강해 장기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실용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인쇄기계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그 제조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Braille for a blind pers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UV잉크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에 친화적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자(Braille)란 시각장애인(A blind person)이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 또는 평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으로 돌출시킨 것을 일컫는다. 이에, 시각장애인들은 돌출된 점자를 손가락 끝으로 만지거나 접촉해서 점자에 내재된 문자 및 부호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점자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비교적 두꺼운 종이에 점자판(소위, "점자기"라 함)이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점자판에 형성된 점칸에 송곳처럼 생긴 점필을 이용하여 돌출시키는 압입방식의 점자 인쇄법이다. 이는 간단한 인쇄물의 경우에 주로 채용된다.
만일, 이 방식으로 대량의 인쇄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문자나 기호, 혹은 부호로 배열된 압입판을 갖는 프레스기에 점자용 종이를 삽입하여 돌출부가 타공되지(뚫리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압입하여 점자로 된 인쇄물을 제작한다.
둘째, 근자에 들어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컴퓨터용 점자프린터를 사용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컴퓨터용 점자프린터 인쇄법이다. 이는 용량이나 처리속도가 빠른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는 바, 그 인쇄물의 출력속도가 비교적 빠를 뿐만 아니라 오기를 정정함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전자의 압입방식의 점자 인쇄법에 의해 만들어진 점자 인쇄물은 종이의 재질 상태에 따라 프레스의 압력이 변화되기 때문에 지면에 돌출부를 일정하여 형성시키기가 비교적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컴퓨터용 점자프린터 인쇄법에 의해 제조된 점자 인쇄물은 그 출력 전용지가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들이 인쇄물을 구입하는데 따른 구입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두 방식 모두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돌출된 부위가 만져지는 힘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점자를 점차 인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습도에 약해 점자로 된 인쇄물을 장기간 사용하거나 보관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면 또는 평면에 연질의 합성수지로서 돌출시키는 점자 기계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91946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발명은, 튜브 내에 연질의 합성수지를 삽입한 후,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 튜브가 움직이면서 점자의 글자를 이루는 돌기를 하나씩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개시된 발명은 튜브가 직접 움직이면서 작업하거나 다수개의 튜브가 하나의 글자만을 형성하고 있는 바, 그 작업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안내문구와 같이 단순한 문장으로 이루어진 소량의 인쇄물을 제조할 때는 적합할 수 있으나 문장의 내용이 많은 소설이나 사용 안내서 등과 같은 인쇄물을 제조하기에는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공지된 발명은 통상의 인쇄기계와 호환될 수 없기 때문에 실용성이 저하되며 이 이유로 인해 점자 인쇄물의 제조 비용을 고가로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점자라도 그 분량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UV잉크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에 친화적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자의 강도가 높아져 점자가 쉽게 눌려짐으로써 점자의 인식률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도에 강해 장기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실용성이 증대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인쇄기계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그 제조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을 제조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계 구성도,
도 2e는 도 1에 도시된 점자 인쇄물 낱장의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점자 인쇄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인쇄물 낱장의 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쇄물 10a : 점자
12 : 컴퓨터 20 : 인쇄판
26 : UV잉크층 28 : 경화층
30 : 스크린 인쇄기 40 : 자외선 경화기
50 : 안료층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점자를 형성한 스크린용 필름을 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한 스크린용 인쇄판의 상부에 종이를 올려놓고 UV잉크로 스크린 인쇄한 UV잉크층과; 상기 UV잉크층이 인쇄된 상기 종이를 자외선 경화기로 경화시킨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경화기는 자외선에너지(100~400nm)를 발산하여 액상의 상기 UV잉크층을 고상의 상기 경화층으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UV잉크층에 소정의 안료층을 첨가하여 칼라로 된 상기 점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점자를 형성한 스크린용 필름을 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한 스크린용 인쇄판의 상부에 종이를 올려놓고 UV잉크로 스크린 인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자외선 경화기로 UV잉크를 경화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기는 100~400nm의 자외선에너지를 발산하여 액상의 상기 UV잉크를 경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UV잉크에 소정의 안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을 제조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계 구성도이며, 도 2e는 도 1에 도시된 점자 인쇄물 낱장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점자 인쇄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10a) 인쇄물(10, 도 1 참조)은, 컴퓨터(12)에 의해 점자(10a)를 형성한 스크린용 필름을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한 스크린용 인쇄판(20)의 상부에 인쇄 대상의 종이(22)를 올려놓고 UV잉크(24)로 스크린 인쇄한 UV잉크층(26, 도 2e 참조)을 형성한 후, UV잉크층(26)이 인쇄된 종이(22a)를 자외선 경화기(40)로 경화시킨 경화층(28, 도 2e 참조)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 때, 자외선 경화기(40)는 100~400nm의 자외선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액상의 UV잉크층(26)을 고상의 경화층(28)으로 경화 및 고화시킨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자(10a)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 처음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2)를 이용하여 스크린인쇄용 필름(미도시)을 만든 후, 이를 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점자(10a)가 형성된 스크린용 인쇄판(20)을 마련한다(S10, 도 3 참조).
후막제판방식이란 여러 번 유제를 덧입혀서 겹의 두께를 일정한 높이까지 올린 후 완성된 제판틀{인쇄판(20)}을 제조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컴퓨터(12)를 이용하여 스크린인쇄용 필름을 만들게 되면, 점자(10a)를 이루는 하나 하나의 점들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점자(10a) 책자 및 인쇄물(10)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현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처럼 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스크린용 인쇄판(20)을 만든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판(20)의 상부에 인쇄 대상의 종이(22)를 올려놓고, UV잉크(24, Ultra-Violet Ink, "자외선 경화잉크"라고도 함)를 도포한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기(30)로 스크린 인쇄하여 인쇄 대상의 종이(22)에 UV잉크층(26)을 형성한다(S20, 도 2e 및 도 3 참조).
즉, 인쇄판(20)에 UV잉크(24)를 삽입한 후, 인쇄 대상 종이(22)의 상면에 스크린 인쇄를 하면 인쇄판(20)에 형성된 돌출부(20a)에 의하여 종이(22)의 상면에 돌출된 형상으로 점자(10a)가 형성된다. UV잉크층(26)을 형성할 경우에는 반자동 혹은, 자동화된 통상의 스크린 인쇄기(30)를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UV잉크층(26)의 특성상 그 점성이 좋아 점자(10a)를 돌출되게 유지한다.
또한, 범용화된 스크린 인쇄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설비를 가진 어떠한 업체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추가의 효과를 제공한다.
UV잉크층(26)이 형성되고 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잉크층(26)이 인쇄된 종이(22a)를 100~400nm의 자외선에너지가 발산되는 자외선 경화기(40)에 통과시켜 UV잉크층(26)을 경화 및 고화시킨다(S30, 도 2e 및 도 3 참조). 이처럼 자외선 경화기(40)를 통해 액상의 UV잉크층(26)을 급속하게 고화시키게 되면 점자(10a)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인쇄물(10)의 점자(10a)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고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반 인쇄물(10)처럼 그 양에 무관하게 대량 인쇄를 행할 수 있다.
UV잉크층(26)을 형성한 후, 자외선 경화기(40)를 통해 UV잉크층(26)을 고화 및 경화시키게 되면, 종래의 에폭시수지로 된 점자(10a) 인쇄물(10)에 비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에폭시수지로 된 점자(10a) 인쇄물(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경화를 위해 반드시 일정한 경화제를 첨가한 후, 열경화방식을 수행해야만 한다. 열경화방식이란 열을 쬐어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그 경화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방식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와 소정의 경화제는 작업자의 건강에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환경에 친화적이지 못한 유기 용제이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을 줄여야 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UV잉크(24)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UV잉크(24)는 기존의 합성수지인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점자(10a) 형성 보다 짧은 경화시간을 가지므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잉크와 비교하여 순간건조, 저온고속의 생산성, 생에너지, 무용제, 무공해 등 많은 이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에폭시수지 및 경화제는 환경에 친화적이지 못한데 반해, UV잉크(24)는 무공해 잉크이기 때문에 환경에 친화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인 UV잉크(24) 사용에 따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UV잉크(24)의 특성상 점자(10a)의 강도가 높아져 점자가 쉽게 눌려짐으로써 점자(10a)의 인식률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도에 강해 점자(10a) 인쇄물(1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점자(10a) 인쇄물(1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환경친화적인 UV잉크(24)를 사용하고, 이를 자외선 경화시키고 있는 바, 어떠한 점자(10a)라도 그 분량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UV잉크(24)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에 친화적이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쇄물(10)의 점자(10a)는 그 강도가 높아져 종래와 같이, 점자(10a)가 쉽게 눌려짐으로써 점자(10a)의 인식률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도에 강해 장기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실용성이증대된다.
그리고,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의 인쇄 기계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그 제조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UV잉크(24)를 사용하고, 이를 자외선 경화시킴으로써 점자(10a) 인쇄물(10)을 제조한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점자(10a) 인쇄물(10)의 경우에는 앞을 전혀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력이 약하긴하지만 색깔 구별이 가능한 약시의 장애인인 경우에는 점자에 색을 입힘으로서 점자를 눈과 손을 이용하여 점자를 인지할 수 있고 비장애인이 점자를 배우는데에 있어 점자를 눈과 손을 이용하여 점자를 인지할 수 있어 교육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투명의 UV잉크층(26)에 소정의 안료층(50, 도 4 참조)을 더 첨가하여 점자는 물론 묵자(일반글자)까지도 확인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안료란 색을 내는 물질을 일컫는다.
이처럼 UV잉크(24)에 안료를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칼라풀한 점자(10b)를 형성하게 되면, 앞을 전혀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은 어렵더라도 약시장애인들에게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떠한 점자라도 그 분량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UV잉크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에 친화적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자의 강도가 높아져 점자가 쉽게 눌려짐으로써 점자의 인식률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도에 강해 장기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실용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인쇄기계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그 제조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비교적 상당한 시력을 갖는 약시장애인과 비장애인 점자교육을 위하여 상술한 점자에 갈라풀한 안료를 첨가하여 칼라점자를 제공함으로써 그동안 약간의 시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시각장애인들과 같은 점자교육을 받음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비장애인점자 교육에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점자를 형성한 스크린용 필름을 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한 스크린용 인쇄판의 상부에 종이를 올려놓고 UV잉크로 스크린 인쇄한 UV잉크층과;
    상기 UV잉크층이 인쇄된 상기 종이를 자외선 경화기로 경화시킨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기는 자외선에너지(100~400nm)를 발산하여 액상의 상기 UV잉크층을 고상의 상기 경화층으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잉크층에 소정의 안료층을 첨가하여 칼라로 된 상기 점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4.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점자를 형성한 스크린용 필름을 후막제판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한 스크린용 인쇄판의 상부에 종이를 올려놓고 UV잉크로 스크린 인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자외선 경화기로 UV잉크를 경화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기는 100~400nm의 자외선에너지를 발산하여 액상의 상기 UV잉크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UV잉크에 소정의 안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KR1020020036159A 2002-06-26 2002-06-26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KR20020060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159A KR20020060664A (ko) 2002-06-26 2002-06-26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159A KR20020060664A (ko) 2002-06-26 2002-06-26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312U Division KR200293085Y1 (ko) 2002-07-25 2002-07-25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664A true KR20020060664A (ko) 2002-07-18

Family

ID=2772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159A KR20020060664A (ko) 2002-06-26 2002-06-26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06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98B1 (ko) * 2005-08-18 2007-04-18 이경도 레터 프레스 인쇄방법
KR100860490B1 (ko) * 2008-04-02 2008-09-26 이상권 친환경적인 점자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친환경적인점자인쇄물
KR100923724B1 (ko) * 2009-07-01 2009-10-27 (주)코리아유니테크 엠보 인쇄층 제조방법 및 엠보 인쇄용 제판
KR20230162275A (ko) 2022-05-20 2023-11-28 조윤정 시각장애인을 위한 실크 점자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실크 점자 인쇄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563A (ja) * 1996-10-28 1998-05-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絵合わせカード
JPH10193774A (ja) * 1996-11-15 1998-07-28 Niyuurongu Seimitsu Kogyo Kk 点字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58783U (ko) * 1997-02-27 1998-10-26 김선득 원단의 표면에 점자 표기를 형성한 라벨(Lab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563A (ja) * 1996-10-28 1998-05-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絵合わせカード
JPH10193774A (ja) * 1996-11-15 1998-07-28 Niyuurongu Seimitsu Kogyo Kk 点字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58783U (ko) * 1997-02-27 1998-10-26 김선득 원단의 표면에 점자 표기를 형성한 라벨(Lab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98B1 (ko) * 2005-08-18 2007-04-18 이경도 레터 프레스 인쇄방법
KR100860490B1 (ko) * 2008-04-02 2008-09-26 이상권 친환경적인 점자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친환경적인점자인쇄물
KR100923724B1 (ko) * 2009-07-01 2009-10-27 (주)코리아유니테크 엠보 인쇄층 제조방법 및 엠보 인쇄용 제판
KR20230162275A (ko) 2022-05-20 2023-11-28 조윤정 시각장애인을 위한 실크 점자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실크 점자 인쇄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7532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it verschiedenen Zeichen versehenen Kunststoff-Gerätetasten
CN106738610A (zh) 钢化玻璃与塑胶件的复合结构及其制造方法
KR20020060664A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및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JPS62251183A (ja) 樹脂に対する印刷方法
KR200293085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쇄물
EP230548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ruckerzeugnissen mit einem taktilen Aufdruck
KR101343337B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의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CN101547236A (zh) 手机键盘的制作方法
KR101166660B1 (ko) 프린터를 이용한 점자출력물 제작방법
CN1325281C (zh) 生产模制组件的方法
JPH06278350A (ja) 印章作成装置
EP1304712B1 (de) Taste mit angespritzter Kappe
KR101340212B1 (ko) 볼록 문자 부착 버튼의 제조 방법
JP2011224803A (ja) 印刷シート、印刷シート中間体及び印刷シートの製造方法
CN104064072B (zh) 一种字模及其使用方法
KR100875643B1 (ko) 경질 수지 점자의 인쇄방법
DE19623118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Tastenschaltern und dadurch hergestelltes Erzeugnis
KR101998227B1 (ko) 프린터를 이용한 점자출력물 제작방법
DE1991847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chriften eines flächigen klebenden Systems aus einem Polymer, insbesondere eines transdermalen therapeutischen Systems
CN2415411Y (zh) 书法练字模具
JP3022172U (ja) 凸レンズ状加工を施したカバーシート
KR100907426B1 (ko)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3179661U (ja) 革用打刻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革用打刻キット
KR200151738Y1 (ko)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CN2554744Y (zh) 中英文笔画定型练字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