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738Y1 -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 Google Patents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738Y1
KR200151738Y1 KR2019960021392U KR19960021392U KR200151738Y1 KR 200151738 Y1 KR200151738 Y1 KR 200151738Y1 KR 2019960021392 U KR2019960021392 U KR 2019960021392U KR 19960021392 U KR19960021392 U KR 19960021392U KR 200151738 Y1 KR200151738 Y1 KR 200151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synthetic resin
visually impaired
soft synthetic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397U (ko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환
주식회사테크노.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주식회사테크노.티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2019960021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738Y1/ko
Publication of KR980009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장애자(맹인)가 손가락 끝으로 만져서 읽을 수 있도록 한 점자를 평면상태의 지면에 에폭시 수지를 공판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돌출시킴으로써 시각장애자가 점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손가락 끝으로 만질 때 부드러운 감촉을 주므로 손가락 끝의 감각이 무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회 점자를 누르면서 만져도 점자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점자를 공판 인쇄방법으로 인쇄하므로 점자책자의 제작이 용이하여 비용발생을 저렴화할 수 있으며 사물의 형상을 입체화하므로서 시각장애자가 사물의 명칭을 들었을 때 사물의 형상을 연상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공공장소의 안내판과 같이 시각장애자의 활동에 지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點字)
본 고안은 시각장애자(맹인)가 문자를 인식할 때 사용하는 점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명상태인 연질의 합성수지를 글자가 인쇄된 종이의 상면에 공판인쇄로서 돌출되게 형성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자가 함께 글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點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점자는 눈으로 사물을 식별할 수 없는 시각장애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또는 평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으로 돌출시켜서 시각장애자가 이를 손가락 끝으로 만져서 문자 및 부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점자는 두꺼운 종이에 점자판(또는 점자기)이라는 기구로 점자판에 형성된 점칸에 송곳처럼 생긴 점필을 이용하여 서로가 약속된 문자나 기호를 돌출시켜 왔고 점자로 이루어진 책자를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돌출 송곳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나 기호로 배열된 압압판을 가지는 프레스 기기에 점자용 종이를 삽입하여 돌출부가 타공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압압하여 점자로 이루어진 종이를 제작하여 왔으나, 종이의 재질 상태에 따라 프레스의 압력이 변화되므로 점자가 타공되지 않도록 지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기가 대단히 어려웠고 돌출된 점자가 날카로워 시각장애자의 손가락 끝의 감각을 둔화시키는 단점이 발생되었으며 장기간 사용하면 돌출된 부위가 만져지는 힘에 의하여 돌출된 부위가 눌려져서 평면과 거의 같게 무뎌지므로 이때에는 점자를 인식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점자로 된 책자를 장기간 사용이나 보관이 불가능한 폐단이 발생되었고, 더욱이 동물의 형상이나 사물의 형상을 파악하기란 평면상태에 인쇄된 일반 인쇄물로서는 불가능하고 시각장애자가 실물을 만져보아야 하므로 시각장애자들이 사물의 형상을 인식하기에는 부분적인 형상을 시각장애자 스스로가 조합하여 연상하여야 하므로 사물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대단히 어려워 이름을 듣고 그 형태를 연상할 수 없으므로 일반인들과의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아 일반인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자가 서로의 대화를 기피하게 되고 따라서 사회적응이 저하되므로 항상 고립된 생활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평면상태에 연질의 합성수지로서 돌출시키는 점자기계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91946호가 창출되었으나, 상기의 선발명은 튜브내에 연질의 합성수지를 삽입한 후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 튜브가 움직이면서 점자의 글자를 이루는 돌기를 하나씩 형성하는 것으로서, 튜브가 움직이면서 작업하거나 다수개의 튜브가 하나의 글자만을 형성하므로 작업속도가 더디고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안내문구와 같이 단순한 문장으로 이루어진 소량의 점자판을 제조할 때 가능하지만 문장의 내용이 많은 소설이나 사용안내서 등과 같이 글자의 내용이 많은 책자 등에는 사용하기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발생되었고 일반 인쇄기계와 함께 사용할 수 없어 실용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점자기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점자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책자의 한쪽에 해당하는 모든 글자를 공판인쇄판에 형성한 후 종이의 상면에 공판인쇄로 인쇄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글자의 수가 많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책자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일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책자에 점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자의 관계회복과 시각장애자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도록 하고, 책자의 한쪽에 해당하는 글자를 한번에 인쇄할 수 있도록 하여 글자가 많은 점자책자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점자책자의 인쇄를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일반인쇄와 같이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과 실용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點字)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자 2 : 종이
3 : 연질의 합성수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이(2)의 상면에 연질의 합성수지(3)로 점자(1)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종이(2)의 상면 전체에 인쇄되는 모든 문장을 일정한 배열과 틀에 맞추어 정해진 형태로 공판인쇄틀에 형성한 후 연질의 합성수지(3)를 액상상태에서 공판인쇄로서 점자(1)를 인쇄한 후 연질의 합성수지(3)를 경화시켜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설이나 안내책자 등 문장으로 이루어져서 한쪽에 해당하는 모든 글자를 일정한 배열과 형태를 가지는 점자화된 형태를 공판인쇄틀에 형성한 후 공판인쇄틀에 액상으로 된 연질의 합성수지(3)를 삽입하여 종이(2)의 상면에 공판인쇄를 하면 공판인쇄틀에 형성된 점자에 의하여 종이(2)의 상면에 반구형의 형상으로 점자(1)가 형성된다.
이후, 액상으로 된 연질의 합성수지(3)를 경화시키면 점자(1)로된 책자가 완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종이(2)에는 일반인도 식별이 가능한 글자가 인쇄를 한 상태에서 그 표면에 투명의 연질의 합성수지(3)로 점자(1)를 형성하면 일반인과 함께 시각장애자가 소설이나 동화책 및 안내책자들을 읽을 수 있게 되어 일반인용 책자와 시각장애자용 책자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일반인과 시각장애자가 함께 공용으로 책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판인쇄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2)에 인쇄된 사물의 외곽형상(5)을 따라 반구형의 점(4)들을 연결시키면 시각장애자가 점(4)을 따라 사물의 형상(5)을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써 사물의 명칭을 들었을 때 시각장애자가 사물의 형상(5)을 용이하게 연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각장애자를 둔 부모나 시각장애자와 함께 책을 읽으면서 사물의 형상(5)을 교육하기에 편리한 것이고 시각장애자가 일반인과 대화를 할때 사물의 형상(5)을 연상하면서 대화가 가능하게 되어 시각장애자의 사회적 고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점자를 형성함에 있어 점자를 이루는 하나하나의 점들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공판인쇄에 의하여 책자의 한쪽의 한줄을 동시에 인쇄하므로써 점자책자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소설이나 동화 및 안내책자 등과 같이 많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책자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점자책자를 제조할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고, 일반인이 식별 가능한 책자에 점자를 함께 형성하므로써 시각장애자의 사회적 고립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종이(2)의 상면에 연질의 합성수지(3)로 점자(1)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종이(2)의 상면 전체에 인쇄되는 모든 문장을 일정한 배열과 틀에 맞추어 정해진 형태로 공판인쇄틀에 형성한 후 연질의 합성수지(3)를 액상상태에서 공판인쇄로서 점자(1)를 인쇄한 후 연질의 합성수지(3)를 경화시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點字).
  2. 제1항에 있어서, 종이(2)에 인쇄된 사물의 외곽형상(5)을 따라 반구형의 점(4)들을 연결시키어 시각장애자가 점(4)을 따라 사물의 형상(5)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點字).
KR2019960021392U 1996-07-19 1996-07-19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KR200151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392U KR200151738Y1 (ko) 1996-07-19 1996-07-19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392U KR200151738Y1 (ko) 1996-07-19 1996-07-19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397U KR980009397U (ko) 1998-04-30
KR200151738Y1 true KR200151738Y1 (ko) 1999-07-15

Family

ID=1946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392U KR200151738Y1 (ko) 1996-07-19 1996-07-19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7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17U (ko) 2015-03-18 2016-09-28 유종혁 해루질 조과통 운반용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397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553B2 (en) Braille computer monitor
US4878844A (en) Teaching aid having tactile feedback
KR200151738Y1 (ko)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자용 점자
US2526633A (en) Chinese typewriter
US1061913A (en) Means for producing a correct writing habit.
US4425095A (en) Tactile writing aid
EP0169959B1 (en) Braille print board
US20070190500A1 (en) Method for expressing characters for reading by tactile sense and apparatus
KR101166660B1 (ko) 프린터를 이용한 점자출력물 제작방법
US4573926A (en) Braille print board
US3959894A (en) Perceptual cells writing guide
CN220390801U (zh) 一种明盲对照3d印刷品
US20120304875A1 (en) Embossing wheel and Anvil for Braille Printer
US20090129843A1 (en) Print Head for Braille Printer
EP3187340B1 (en) Braille printing system and braille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7304513A (ja) 点字打刻用受体、点字打刻具、及び製品打抜装置
JP3079362U (ja) インデックスマーカー
CN2134924Y (zh) 书写复合印膜
SU777666A1 (ru) Тренажер дл обучени работе с клавиатурой пишущей машины
JPS5919336B2 (ja) 点字印刷板
WO2019207209A1 (en) Braille teaching aid
JPS6111735Y2 (ko)
KR20230014223A (ko) 스티커형 점자 필름
CN115709609A (zh) 供失明人和健视人都能阅读的书籍
KR970005465Y1 (ko) 컴퓨터 프린트용 양식작성 도움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701

Effective date: 20040109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701

Effective date: 200401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