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724A -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724A
KR20020059724A KR1020027006135A KR20027006135A KR20020059724A KR 20020059724 A KR20020059724 A KR 20020059724A KR 1020027006135 A KR1020027006135 A KR 1020027006135A KR 20027006135 A KR20027006135 A KR 20027006135A KR 20020059724 A KR20020059724 A KR 20020059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tergent composition
percarbonate
acid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굴드폴앤소니
데이비드슨니콜라에텔
스컴프수잔주디스
스컴프코엔마리엣트앨버트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20059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11D3/3955Organic 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6Phosphates, including poly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과탄산염 공급원을 포함하고, 32℃, 상대 습도 80%에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노출시킨 후,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0% 내지 1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인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라이드 이온을 2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과탄산염 공급원과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 0.06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인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당해 세제 조성물은 온도와 상대 습도가 높은 조건을 포함하는 기후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세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s}
세제 제품을 고온다습한 기후, 산업 환경, 가정 환경 또는 기타 이러한 환경의 조합, 즉 온도와 상대습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지역에 보관해 두면, 제품을 보관하는 동안, 세제 조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 입자 크기가 증가하면, 제품의 외관이 오래된 제품처럼 조악해져서 소비자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주고, 특히 제품이 핸드 세척용품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여러해 동안, 세탁산업에서는 세제 조성물의 이러한 평균 입자 크기 증가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그러나, 이제 본 발명자들은 보관 중 세제 조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 증가의 원인을 성공적으로 밝혀 내었다.
세탁 산업에서는 고온 또는 다습한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에서 가용 산소의 공급원으로서 과붕산염을 사용해 왔다. 과립형 세제 제형에 표백 시스템을 첨가하는 것은 세제의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며, 세탁산업에서는 일반적인 관행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을 온도와 상대습도가 높은 조건하에서 보관할 때 세제 조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 증가의 원인이 과붕산염임을 밝혀내었다. 이론에 얽메일 필요없이, 이러한 조건하에서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은 수화되어 과붕산나트륨 4수화물로 된다고 여겨진다. 과붕산나트륨 4수화물은 다른 세제 성분에 결합하는 젤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세제 성분의 크기가 불규칙하며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세제 성분에서의 평균 입자 크기의 증가로 제품은 외관이 조악해져서 소비자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준다.
본 발명자들은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인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가용 산소의 공급원으로서 과붕산나트륨 대신, 선택된 과탄산나트륨을 사용할 때, 입자 크기 증가의 문제가 경감되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제품을 고온다습한 조건에 보관할 때, 예를 들면, 32℃, 상대습도 80%에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노출시킨 후, 세제 조성물이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0% 내지 1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점에서, 주된 입자 크기가 보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제품을 소비자의 구매를 일으키는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세탁 산업에 큰 이익을 가져오며 특히 핸드 세척용품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상태에서 보관한 후, 세제 조성물이 원래의 벌크 밀도의 90% 내지 100%의 벌크 밀도를 가지는 점에서, 이의 벌크 밀도를 유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여전히 제품이 세척과정 동안 유효하고 정확하게 용량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특별히 선택된 과탄산나트륨, 즉 클로라이드 이온을 2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과탄산나트륨, 또는 유동화 베드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과탄산나트륨을 사용함으로써, 위의 과탄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이 특히 안정함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과탄산염 공급원을 포함하고, 32℃, 상대습도 80%에서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완전히 노출시킨 후,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0% 내지 1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인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탄산염 공급원이 클로라이드 이온을 2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탄산염 공급원과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 0.06중량% 미만을 포함하고, 과탄산염 공급원이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인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도와 상대수분 함량이 높은 조건을 포함하는 기후에서 보관되는 세제 조성물에 응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표백제 함유 세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세탁용 세제 조성물, 소킹(soaking)용 세제 조성물, 또는 기타 가정용 세제 조성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세제 조성물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은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 바람직하게는200g/l 내지 55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g/l 내지 550g/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0g/l 내지 500g/l이다.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은 과탄산염, 바람직하게 과탄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과탄산염 공급원을 포함하며, 추가로 다른 형태의 과탄산염이 또한 본 발명의 과탄산염 공급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과탄산염과 함께,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타 가용 산소의 공급원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 과립형 세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지만, 과탄산염이 과립형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일한 과수화물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크기
세제 조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든 입자의 평균입자 크기이다.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과탄산염 공급원과 임의의 추가적 세제 성분을 포함한다. 과립형 세제 조성물이 32℃, 상대습도 80%의 조건에 24시간 동안 노출될 때, 이러한 조건에 노출된 후, 세제 조성물은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평균 입자 크기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 20중량%,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기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2중량% 미만,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계면활성제 25중량%,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1.6비율 실리케이트 계면활성제 6중량%,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탄산염 계면활성제 15중량% 및 과탄산나트륨(예: 실시예 참조, 과탄산나트륨 샘플 1 및 2) 10중량%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100g을 32℃, 상대습도 80%로 조절된 주위 조건를 가진 인큐베이터 속의 페트리 디쉬 위에 어떠한 외부 장벽 없이 둔다. 세제 조성물을 인큐베이터 속에서 이러한 조건에 24시간 동안 노출시킨다.
평균 입자 크기는 세제 조성물을 위의 조건에 노출시키기 전과 후에 측정한다. 세제 조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ISO 3118(1976)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제품 100g을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사용되는 체 크기는 250㎛, 425㎛, 600㎛, 850㎛, 1180㎛ 및 2000㎛이며,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하기 전에 제품을 5분 동안 체에 놓아둔다. 실시예 1을 참조하라.
벌크 밀도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팽대한 파우더, 과탄산염 공급원 및 추가의 세제 성분을 포함하고,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이다. 세제 조성물을 32℃, 상대습도 80%의 조건에서 8주 동안 보관한 경우, 이러한 조건에서 보관 후, 세제 조성물은 원래의 벌크 밀도의 90% 내지 100%의 벌크 밀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벌크 밀도의 변화는 아래와 같이 측정한다.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 20중량%,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기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2중량% 미만,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25중량%,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1.6비율 실리케이트 6중량%, 팽대한 파우더 형태의 탄산염 15중량% 및 과탄산나트륨(예: 실시예의 과탄산나트륨 샘플 1 및 2 참조) 10중량%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1.5kg을 32℃, 상대습도 80%로 조절된 주위 조건을 가진 방에서 전형적인 세탁용 세제 제품의 포장 안에 보관한다. 세제 조성물을 이러한 조건에서 8주 동안 보관한다.
벌크 밀도는 세제 조성물을 위의 조건에 보관하기 전과 후에 측정한다. 세제 조성물의 벌크 밀도는 ISO 3424(1975)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시예 2를 참조하라.
기타 바람직한 세제 조성물의 성분
세제 조성물은 포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어떤 것일 수 있고, 이들의 배합물일 수도 있다. 인산나트륨 또는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세제 조성물은 포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36중량%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35중량%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35중량%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중량% 내지 30중량%로 포함한다. 또한, 포스페이트를 소량 함유하거나 전혀 함유하지 않는 세제 조성물도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포스페이트의 전형적인 공급원을 아래에 기재한다.
세제 조성물은 거품을 많이 생성하는 세제 제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거품을 많이 생성하는 어떠한 세제 제형일 수 있고 이들의 일부일 수도 있다. 세제 조성물은 거품 억제제를 5중량%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2중량% 미만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거품 억제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것일 수 있고, 이들의 배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품 억제제는 비누, 파라핀 및 왁스 중의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배합물이다. 또한, 세제 조성물은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을 0.06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것일 수 있고 이들의 배합물일 수도 있다. 거품 억제 실리콘을 포함하여, 전형적인 거품 억제제를 아래에 기재한다.
세제 조성물은 수분 함량이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6중량% 내지 9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분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상 인산나트륨, 통상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세제 조성물에 존재하는 어떠한 자유 물 분자 또는 수화물 형태의 물 분자를 의미한다.
보유 알칼리도로 세제의 완충 능력을 측정한다. 이는 0.2M 염산을 pH 7.5로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NaOH 또는 세제 조성물의 양이다.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pH 7.5에 대하여 측정한 보유 알칼리도가 세제 조성물 100g당 NaOH 6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 조성물은 금속 킬레이트제를 0.05중량%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내지 1.5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한다. 금속 킬레이트제는, 아래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중금속 이온을 킬레이트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킬레이트제일 수 있거나, 이들의 배합물일 수도 있다.
표백 시스템
본 발명의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과탄산염 공급원을 포함한다. 과탄산염 공급원은 가용 산소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다른 가용 산소의 공급원이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표백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전형적인 표백 시스템을 아래에 기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표백 시스템"은 본 발명의 목적상 과탄산염 공급원과 추가의 표백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이에 대한 과산(過酸) 또는 전구체를 포함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표백 시스템을 의미한다.
과탄산염 공급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과탄산염 공급원"은 본 발명의 목적상 전형적으로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과탄산나트륨인 임의의 과탄산염 공급원을 의미한다.
세제 조성물은 과탄산염 공급원을 세제 조성물의 0.01중량% 내지 12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7중량%의 수준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탄산염 공급원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동화 베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동화 베드 공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어떤 것일 수 있다.
과탄산염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이온 또는 클로라이드 함유 화합물을 2중량%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미만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중량% 미만으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
세제 조성물은 피복된 과탄산염의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과탄산염 공급원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어떠한 피복물, 또는 이들의 배합물로 피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복물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다.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은 피복물이 과탄산염의 공급원의 표면에 존재하도록 과탄산염 공급원을 피복물과 접촉시켜 형성한다. 피복물은 과탄산염 공급원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방식으로 과탄산염 공급원의 표면에 존재한다.
피복된 과탄산염의 공급원은 과탄산염 공급원을 이산화탄소와 접촉시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표면 위에 중탄산나트륨의 피복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공정은 수분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피복된 과탄산염 공급원 입자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입자의 0.01중량%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중량% 내지 10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피복물을 포함한다. 또한, 과탄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임의의 세제 성분이 이러한 방식으로 피복될 수 있다.
피복된 과탄산염은 유동화 베드 공정에 의해서 및/또는 피복물을 과탄산나트륨의 표면 위에 분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과탄산염 공급원의 평균 입자 크기는 50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85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800㎛이다.
추가의 세제 성분
세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추가의 세제 성분을 포함한다. 이들 세제 성분을 아래에 기재한다. 세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빌더, 킬레이트제 및 표백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알콕시화 계면활성제
또한, 본질적으로 어떤 알콕시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콕시화 계면활성제는 알킬페놀의 비이온성 축합물, 비이온성 에톡시화 알콜, 비이온성 에톡시화/프로폭시화 지방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과의 비이온성 에톡시화/프로폭시화 축합물, 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디아민 첨가 생성물과의 비이온성 에톡실레이트 축합 생성물의 부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지방족 알콜과 1 내지 75몰의, 특히 약 50몰까지의, 또는 1 내지 15몰의, 바람직하게는 11몰까지의 알킬렌 옥사이드,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축합 생성물인 비이온성 알콕시화 알콜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무수 입자 성분에 포함되는 가장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지방족 알콜의 알킬 쇄는 직쇄 또는 측쇄상의 1차 또는 2차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탄소원자를 6 내지 22개 함유한다.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그룹을 가지는 알콜과 알콜 1몰당 2 내지 9몰, 특히 3 또는 5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축합 생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계면활성제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장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데, 특히 화학식 R2CONR1Z의 화합물[여기서, R1은 H, C1-18, 바람직하게는 C1-C4하이드로카빌, 2-하이드록시 에틸, 2-하이드록시 프로필,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보다 바람직하게는 C1또는 C2알킬, 가장 바람직하게는 C1알킬(즉, 메틸)이고, R2는 C5-C31하이드로카빌, 바람직하게는 직쇄 C5-C19또는 C7-C19알킬 또는 알켄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쇄 C9-C17알킬 또는 알켄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쇄 C11-17알킬 또는 알켄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Z는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실이 쇄에 직접 결합된 직쇄 하이드로카빌쇄를 가지는 폴리하이드록시하이드로카빌이거나, 이들의 알콕시화(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 또는 프로폭시화) 유도체이다]이 바람직하다. Z는 바람직하게는 환원성 아미노화 반응에서의 환원당으로부터 유도될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Z는 글리시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비이온성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계면활성제는 C12-C14, C15-C17및/또는 C16-C18알킬 N-메틸 글루카미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그룹을 가지는 알콜과 알콜 1몰당 2 내지 9몰, 특히 3 또는 5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축합 생성물과 C12-C18알킬 N-메틸 글루카미드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한 가지 방법이 WO 9206984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약 95중량%의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와 지방산 에스테르 및 사이클릭 아미드 등의 소량의 바람직하지 못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전형적으로 약 80℃ 이상에서 용해되는 생성물이 당해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비이온성 지방산 아미드 계면활성제
또한, 지방산 아미드 계면활성제 또는 알콕시화 지방산 아미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화학식 R6CON(R7)(R8)의 화합물[여기서, R6은 탄소수 7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7,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의 알킬그룹이고, R7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4하이드록시알킬 및 -(C2H4O)xH{여기서, x는 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7이 R8과 상이하며, x가 1 또는 2인 것, x가 3 내지 11까지 또는 바람직하게 5까지인 것이다]을 포함한다.
지방산의 비이온성 알킬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또한, 지방산의 알킬 에스테르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화학식 R9COO(R10)의 화합물[여기서, R9는 탄소수 7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7,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인 알킬 그룹이고, R10은 C1-C4알킬, C1-C4하이드록시알킬 또는 -(C2H4O)xH{여기서, x는 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이다}이고, 바람직하게는 R10이 메틸 또는 에틸 그룹이다]을 포함한다.
비이온성 알킬폴리사카라이드 계면활성제
또한, 알킬폴리사카라이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986년 1월 21일에 레나도(Llenado)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65,647호에 기재되어 있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소수성 그룹과, 사카라이드 단위 1.3 내지 10을 함유하는 친수성 그룹인 폴리글리코사이드 등의 폴리사카라이드를 가지는 것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는 화학식 R2O(CnH2nO)t(글리코실)x[여기서, R2는 알킬, 알킬페닐,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킬페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알킬 그룹은 탄소수 10 내지 18이다)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2 또는 3이고, t는 0 내지 10이고, x는 1.3 내지 8이다]이다. 글리코실은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로부터 유도된다.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는데, 특히 분자량 1000 내지 1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2000 내지 8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00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세제용으로 유용한 어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라도 적합하다. 예는 음이온성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카복실레이트 및 사코시네이트의 염(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암모늄 및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치환 암모늄염을 포함함)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설페이트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기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등의 이세티오네이트, N-아실 타우레이트, 메틸 타우라이드의 지방산 아미드, 알킬 석시네이트 및 설포석시네이트, 설포석시네이트의 모노에스테르(특히, 포화 및 불포화 C12-C18모노에스테르), 설포석시네이트의 디에스테르(특히, 포화 및 불포화 C6-C14디에스테르), N-아실 사코시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로진, 수소화 로진 등의 레진 산 및 수소화 레진 산이 적합하고, 레진 산 및 수소화 레진 산은 수지(tallow oil)의 형태로 존재하거나 수지로부터 유도된다.
음이온성 설페이트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음이온성 설페이트 계면활성제는 직쇄 및 측쇄상의 1차 및 2차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지방 올레오일 글리세롤 설페이트, 알킬 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에테르 설페이트, C5-C17아실-N-(C1-C4알킬) 및 -N-(C1-C2하이드록시알킬)글루카민 설페이트, 및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의 설페이트와 같은 알킬폴리사카라이드의 설페이트를 포함한다(비이온성 비-설페이트 화합물을 본 발명에서 기재한다).
알킬 설페이트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직쇄 및 측쇄상의 1차 C9-C22알킬 설페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C11-C15측쇄 알킬 설페이트와 C12-C14직쇄 알킬 설페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1분자당 0.5 내지 5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시화된 C10-C18알킬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는 1분자당 0.5 내지 7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시화된 C11-C18, 가장 바람직하게는 C11-C15알킬 설페이트이다.
음이온성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음이온성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는 C5-C20직쇄 또는 측쇄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특히 메틸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C6-C221차 또는 2차 알칸 설포네이트, C6-C24올레핀 설포네이트, 설폰화 폴리카복실산, 알킬 글리세롤 설포네이트, 지방 아실 글리세롤 설포네이트, 지방 올레일 글리세롤 설포네이트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카복실레이트 계면활성제
적합한 음이온성 카복실레이트 계면활성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알킬 에톡시 카복실레이트, 알킬 폴리에톡시 폴리카복실레이트 계면활성제 및 비누('알킬 카복실류'), 특히 특정 2차 비누를 포함한다.
적합한 알킬 에톡시 카복실레이트는 화학식 RO(CH2CH2O)xCH2COO-M+의 화합물[여기서, R은 C6내지 C18알킬 그룹이며, x는 0 내지 10의 범위이고, 에톡시화 분포는, x가 0인 물질의 양이 중량 기준으로 20% 미만인 정도이고, M은 양이온이다]을 포함한다. 적합한 알킬 폴리에톡시 폴리카복실레이트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RO-(CHR1-CHR2-O)x-R3의 화합물[여기서, R은 C6내지 C18알킬 그룹이며, x는 1 내지 25이고, R1및 R2는 수소, 메틸산 라디칼, 석신산 라디칼, 하이드록시석신산 라디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8의 치환 또는 비치환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을 포함한다.
적합한 비누 계면활성제는 2차 탄소에 결합된 카복실 단위를 함유하는 2차 비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2차 비누 계면활성제는 2-메틸-1-운데칸산, 2-에틸-1-데칸산, 2-프로필-1-노난산, 2-부틸-1-옥탄산 및 2-펜틸-1-헵탄산의 수용성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계면활성제이다. 또한, 어떤 비누도 거품 억제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사코시네이트 계면활성제
기타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R-CON(R1)CH2COOM의 알칼리 금속사코시네이트[여기서, R은 C5-C17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알켄일 그룹이고, R1은 C1-C4알킬 그룹이고, M은 알칼리 금속 이온이다]이다. 바람직한 예는 미리스틸 및 올레오일 메틸 사코시네이트의 나트륨염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임의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또는 입자의 0.1중량% 내지 60중량%의 수준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중량% 내지 20중량%의 수준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5중량% 내지 5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존재한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5:1 내지 1: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1:1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이다.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 안정화제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0:1이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모노-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비스-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양이온성 모노-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양이온성 모노-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의 화합물[여기서, R1은 탄소수 약 6 내지 약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약 16,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약 6 내지 약 11의 알킬 또는 알켄일 잔기이고, R2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약 3의 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메틸이고, R4는 수소(바람직함), 메틸 및 에틸로부터 선택되고, X-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제공하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틸설페이트, 설페이트 등의 음이온이고, A는 C1-C4알콕시, 특히 에톡시(즉, -CH2CH2O-), 프로폭시, 부톡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p는 1 내지 약 30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15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8이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양이온성 모노-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는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C6-C18하이드로카빌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6-C14, 특히 C6-C11알킬, 바람직하게는 C8및 C10알킬이고, X는 전하의 균형을 제공하는 임의의 편리한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이다]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위의 형태의 화합물은 에톡시(CH2CH2O) 단위(EO)가 부톡시, 이소프로폭시[CH(CH3)CH2O] 및 [CH2CH(CH3O)] 단위(i-Pr) 또는 n-프로폭시 단위(Pr), 또는 EO 및/또는 Pr 및/또는 i-Pr 단위의 혼합물로 대체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비스-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비스-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탄소수 약 6 내지 약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약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약 11,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10의 알킬 또는 알켄일 잔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메틸이고, R3및 R4는 독립적으로 다양할 수 있고, 수소(바람직함), 메틸 및 에틸로부터 선택되고, X-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틸설페이트, 설페이트 등의 음이온이고, A 및 A'는 독립적으로 다양할 수 있고 각각 C1-C4알콕시, 특히 에톡시(즉, -CH2CH2O-), 프로폭시, 부톡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p는 1 내지 약 30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4이고, q는 1 내지 약 30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4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와 q는 둘 다 1이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양이온성 비스-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는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C6-C18하이드로카빌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6, C8, C10, C12, C14알킬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X는 전하의 균형을 제공하는 임의의 편리한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이다]이다. 위에서 언급된 일반적인 양이온성 비스-알콕시화 아민 구조에 대하여,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은 (코코넛)C12-C14알킬 부분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기 때문에, R2는 메틸이고 ApR3및 A'qR4는 각각 모노에톡시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다른 양이온성-비스 알콕시화 아민 계면활성제는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C6-C18하이드로카빌, 바람직하게는 C6-C14알킬이고, 독립적으로 p는 1 내지 약 3이고, q는 1 내지 약 3이고, R2는 C1-C3알킬, 바람직하게 메틸이고, X는 음이온, 특히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이다]을 포함한다.
위의 형태의 다른 화합물은 에톡시(CH2CH2O) 단위(EO)가 부톡시(Bu), 이소프로폭시[CH(CH3)CH2O] 및 [CH2CH(CH3O)] 단위(i-Pr) 또는 n-프로폭시 단위(Pr), 또는 EO 및/또는 Pr 및/또는 i-Pr 단위의 혼합물로 대체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와 알킬 암포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적합한 아민 옥사이드는 화학식 R3(OR4)xN0(R5)2의 화합물[여기서, R3은 탄소수 8 내지 26의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아실아미도프로필 및 알킬 페닐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탄소수 2 내지 3의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x는 0 내지 5, 바람직하게 0 내지 3이고, 각각의 R5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거나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을 1 내지 3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이다]을 포함한다. C10-C18알킬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및 C10-18아실아미도 알킬 디메틸아민 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알킬 암포디카복실산의 적합한 예는 미국 뉴 저지주 데이톤에 소재하는 미라놀, 인코포레이티드(Miranol, Inc.)가 제조한 미라놀{Miranol(TM)} C2M Conc.이다.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
또한,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2급 및 3급 아민의 유도체, 헤테로사이클릭 2급 및 3급 아민의 유도체 또는 4급 암모늄, 4급 포스포늄 또는 3급 설포늄 화합물의 유도체로서 널리 언급될 수 있다. 베타인과 설타인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이다.
적합한 베타인은 화학식 R(R1)2N+R2COO-의 화합물[여기서, R은 C6-C18하이드로카빌 그룹이고, 각각의 R1은 전형적으로 C1-C3알킬이고, R2는 C1-C5하이드로카빌 그룹이다]이다. 바람직한 베타인은 C12-18디메틸-암모니오 헥사노에이트와 C10-18아실아미도프로판(또는 에탄) 디메틸(또는 디에틸) 베타인이다. 또한, 복합 베타인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수용성 빌더 화합물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빌더 화합물을 포함하며, 전형적으로는 조성물 또는 입자의 0중량% 내지 36중량%,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35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중량% 내지 30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빌더 화합물은 위에 언급된 수준으로 존재하는 포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다.
기타 전형적인 수용성 빌더 화합물은, 폴리카복실산이 2개 이하의 탄소원자,붕산염,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카복실산 라디칼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량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산의 형태,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카복실레이트 또는 폴리카복실레이트 빌더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일 수 있지만, 단량체 폴리카복실레이트가 가격 및 성능 면에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카복시 그룹을 1개 포함하는 적합한 카복실레이트는 락트산, 글리콜산 및 이들의 에테르 유도체의 수용성 염을 포함한다. 카복시 그룹을 2개 포함하는 폴리카복실레이트는 에테르 카복실레이트 및 설피닐 카복실레이트는 물론 석신산, 말론산, (에틸렌디옥시)디아세트산, 말레산, 디글리콜산, 타르타르산, 타르트론산 및 푸마르산의 수용성 염을 포함한다. 카복시 그룹을 3개 포함하는 폴리카복실레이트는 석시네이트 유도체{예: 영국 특허 제1,379,241호에 기재된 카복시메틸옥시석시네이트, 영국 특허 제1,389,732호에 기재된 락트옥시석시네이트 및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7205873호에 기재된 아미노석시네이트}와 옥시폴리카복실레이트 물질{예: 영국 특허 제1,387,447호에 기재된 2-옥사-1,1,3-프로판 트리카복실레이트}은 물론, 특히 수용성 시트레이트, 아코니트레이트 및 시트라코네이트를 포함한다.
카복시 그룹을 4개 포함하는 폴리카복실레이트는 영국 특허 제1,261,829호에 기재된 옥시디석시네이트, 1,1,2,2-에탄 테트라카복실레이트, 1,1,3,3-프로판 테트라카복실레이트 및 1,1,2,3-프로판 테트라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설포 치환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복실레이트는 영국 특허 제1,398,421호 및 제1,398,422호와 미국 특허 제3,936,448호에 기재된 설포석시네이트 유도체와 영국 특허 제1,439,000호에 기재된 열분해된 설폰화 시트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카복실레이트는 1분자당 3개 이하의 카복시 그룹을 포함하는 하이드록시카복실레이트, 보다 특히 시트레이트이다.
붕산염 빌더와, 세제 보관 또는 세탁 조건하에서 붕산염을 생성하는 붕산염 생성 물질 함유 빌더도 본 발명에서 유용한 수용성 빌더이다.
수용성 포스페이트 빌더의 적합한 예로는 알칼리 금속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피로포스페이트, 나트륨 및 칼륨 및 암모늄 피로포스페이트, 나트륨 및 칼륨 오르토포스페이트, 중합도 범위가 약 6 내지 21인 나트륨 폴리메타/포스페이트, 및 피트산의 염이다.
부분 가용 또는 불용 빌더 화합물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타 세제 성분은 부분적으로 가용성이거나 불용성인 빌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주로 수불용성인 빌더의 예는 나트륨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적합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는 화학식 Naz[(AlO2)z(SiO2)y]·xH2O의 단위 셀[여기서, z 및 y는 6 이상이고, z 대 y의 몰 비는 1.0 대 0.5이며, x는 5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76,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64이다]을 갖는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물질은 수화된 형태이고, 10 내지 28%,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내지 22%의 물을 결합된 형태로서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물질이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는 천연 물질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합성 결정질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온 교환 물질은 상표명 제올라이트(Zeolite) A, 제올라이트 B, 제올라이트 P, 제올라이트 X, 제올라이트 H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시판된다. 제올라이트 A는 화학식
Na12[(AlO2)12(SiO2)12]·xH2O의 화합물[여기서, x는 20 내지 30이고, 특히 27이다]이다. 제올라이트 X는 화학식 Na86[(AlO2)86(SiO2)106]·276H2O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결정성 층상 실리케이트는 화학식
NaMSixO2x+1·yH2O의 화합물[여기서, M은 나트륨 또는 수소이고, x는 1.9 내지 4의 수이며, y는 0 내지 20의 수이다]이다. 이러한 형태의 결정성 층상 규산나트륨은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164 514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제조방법은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3417649호 및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3742043호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위의 화학식의 x는 바람직하게는 2, 3 또는 4의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이다. 가장 바람직한 물질은 NaSKS-6으로서 훽스트 아게(Hoechst AG)가 시판하는 δ-Na2Si2O5이다.
유기 퍼옥시산 표백 시스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퍼옥시산 전구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구체와 과탄산염 공급원이 동일 반응계에서 반응하여 유기 퍼옥시산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수행에 있어서는, 예비형성된 유기 퍼옥시산이 당해 조성물 속으로 직접 혼입된다.
퍼옥시산 표백 전구체
퍼옥시산 표백 전구체는 과가수분해 반응에서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퍼옥시산을 생성하는 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퍼옥시산 표백 전구체는 다음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L은 이탈 그룹이고, X는 필수적인 임의의 작용기이고, 따라서 과가수분해시에 생성된 퍼옥시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적합한 퍼옥시산 표백 전구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N- 또는 O-아실 그룹을 포함하며, 전구체는 다양한 부류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부류는 무수물, 에스테르, 이미드, 락탐 및 이미다졸과 옥심의 아실화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들 부류 내에서 유용한 물질들의 예는 영국 공개특허공보 제1586789호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에스테르는 영국 공개특허공보 제836988호, 제864 798호, 제1147871호 및 제2143231호와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170 38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탈 그룹
이탈 그룹(이하, L 그룹)은 최적 시간 프레임(예: 세탁 사이클)내에 과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반응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L이 너무 반응성인 경우, 이러한 활성제는 표백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해 안정화시키기가 어렵다.
바람직한 L 그룹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여기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 아릴 또는 알크아릴 그룹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쇄이며, R4는 H 또는 R3이고, Y는 H이거나 가용성 그룹이다]으로부터 선택된다. R1, R3및 R4중의 어느 하나는, 예를 들면, 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할로겐, 아민, 니트로실, 아미드 및 암모늄 또는 알킬 암모늄 그룹을 포함하는 필수적인 임의의 작용성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가용성 그룹은 -SO3 -M+, -CO2 -M+, -SO4 -M+, -N+(R3)4X_및 O<--N(R3)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SO3 -M+및 -CO2 -M+[여기서, 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쇄이고, M은 표백 활성제에 가용성을 부여하는 양이온이며, X는 표백 활성제에 가용성을 부여하는 음이온이다]이다. 바람직하게는, M은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이고, 나트륨 및 칼륨이 가장 바람직하고, X는 할로겐화물, 수산화물, 메틸설페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음이온이다.
알킬 퍼카복실산 표백 전구체
알킬 퍼카복실산 표백 전구체는 과가수분해시에 퍼카복실산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의 바람직한 전구체는 과가수분해시에 과아세트산을 제공한다.
이미드 형태의 전형적인 알킬 퍼카복실산 전구 화합물은 알킬렌 그룹이 탄소원자를 1 내지 6개 포함하며, 특히 알킬렌 그룹이 탄소원자를 1, 2 및 6개 포함하는 N,N,N1,N1테트라 아세틸화 알킬렌 디아민을 포함한다. 테트라아세틸 에틸렌 디아민(TAED)이 특히 바람직하다. TAED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응집 입자 속에 존재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당해 입자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속에 존재한다.
기타의 알킬 퍼카복실산 전구체는 나트륨 3,5,5-트리메틸 헥사노일옥시벤젠 설포네이트(이소-NOBS), 나트륨 노나노일옥시벤젠 설포네이트(NOBS), 나트륨 아세톡시벤젠 설포네이트(ABS) 및 펜타아세틸 글루코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제 조성물은 TAED를 0.1중량%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내지 0.7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5중량% 내지 0.6중량%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제 조성물은 NOBS를 0.1중량% 내지 4중량%, 바람직하게는 0.2중량% 내지 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중량% 내지 2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7중량% 내지 1.9중량% 포함한다.
또한, 세제 조성물은 NOBS와 TAED의 배합물도 포함할 수 있는데, 위에서 기재한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아미드 치환된 알킬 퍼옥시산 전구체
화학식
또는
의 화합물[여기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 그룹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렌 그룹이며, R5는 H이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그룹이고, L은 필수적으로 임의의 이탈 그룹일 수 있다]을 포함하는 아미드 치환된 알킬 퍼옥시산 전구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적합하다. 이러한 형태의 아미드 치환된 표백 활성제 화합물은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170 386호에 기재되어 있다.
퍼벤조산 전구체
퍼벤조산 전구 화합물은 과가수분해시에 퍼벤조산을 제공한다. 적합한 0-아실화 퍼벤조산 전구 화합물은 치환 또는 비치환 벤조일 옥시벤젠 설포네이트, 소르비톨, 글루코스 및 모든 사카라이드와 벤조일화제의 벤조일화 생성물, 및 이미드 형태의 화합물(예: N-벤조일 석신이미드, 테트라벤조일 에틸렌 디아민 및 N-벤조일 치환 우레아)을 포함한다. 적합한 이미다졸 형태의 퍼벤조산 전구체는 N-벤조일 이미다졸과 N-벤조일 벤즈이미다졸을 포함한다. 기타 유용한 N-아실 그룹 함유 퍼벤조산 전구체는 N-벤조일 피롤리돈, 디벤조일 타우린 및 벤조일 피로글루탐산을 포함한다.
벤즈옥사진 유기 퍼옥시산 전구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32 294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82 80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벤즈옥사진 형태의 전구 화합물, 특히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H, 알킬, 알크아릴, 아릴 또는 아릴알킬이다]이 또한 적합하다.
예비 형성된 유기 퍼옥시산
유기 퍼옥시산 표백 시스템은 예비 성형된 유기 퍼옥시산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퍼옥시산 화합물의 바람직한 부류는 화학식또는의 아미드 치환된 화합물[여기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 아릴 또는 알크아릴 그룹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렌, 아릴렌 및 알크아릴렌 그룹이며, R5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아릴 또는 알크아릴 그룹이다]이다. 이러한 형태의 아미드 치환된 유기 퍼옥시산 화합물은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170 386호에 기재되어 있다.
기타의 유기 퍼옥시산은 디아실퍼옥사이드 및 테트라아실퍼옥사이드, 특히 디퍼옥시도데칸디오산, 디퍼옥시테트라데칸디오산 및 디퍼옥시헥사데칸디오산을 포함한다. 모노 및 디퍼아젤라산, 모노 및 디퍼브라실산 및 N-프탈로일아미노퍼옥시카프로산이 또한 본 발명에서 적합하다.
중금속 이온 격리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임의의 세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임의 세제 성분으로서 중금속 이온 격리제를 포함한다. 중금속 이온 격리제란 중금속 이온을 격리(킬레이트)시키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 성분은 칼슘 및 마그네슘을 킬레이트하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지만, 우세하게 이들은 중금속 이온(예: 철, 망간 및 구리)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중금속 이온 격리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0.05중량%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중량% 내지 1.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금속 이온 격리제는 유기 포스포네이트[예: 아미노 알킬렌 폴리(알킬렌 포스포네이트), 알칼리 금속 에탄 1-하이드록시 디스포스포네이트 및 니트릴로 트리메틸렌 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위의 종류 중에서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포네이트), 에틸렌 디아민 트리(메틸렌 포스포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포네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렌 1,1 디포스포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중금속 이온 격리제는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폴리아미노카복실산[예: 에틸렌디아미노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 디석신산, 에틸렌디아민 디글루타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렌디아민 디석신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염]을 포함한다. 에틸렌디아민-N,N'-디석신산(EDDS)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치환된 암모늄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중금속 이온 격리제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17 542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99 133호에 기재되어 있는, 2-하이드록시에틸 디아세트산 또는 글리세릴 이미노 디아세트산 등의 이미노디아세트산 유도체이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16 102호에 기재되어 있는 이미노디아세트산-N-2-하이드록시프로필 설폰산 및 아스파트산 N-카복시메틸 N-2-하이드록시프로필-3-설폰산 격리제가 또한 본 발명에서 적합하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09 382호에 기재되어 있는 β-알라닌-N,N'-디아세트산, 아스파트산-N,N'-디아세트산, 아스파트산-N-모노아세트산 및 이미노디석신산 격리제가 또한 적합하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76 257호에는, 적합한 아미노계 격리제가 기재되어 있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10 331호에는, 콜라겐, 케라틴 또는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적합한 격리제가 기재되어 있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28 859호에는, 적합한 알킬 이미노디아세트산 격리제가 기재되어 있다. 디피콜린산 및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복실산이 또한 적합하다. 또한, 글리신아미드-N,N'-디석신산(GADS), 에틸렌디아민-N,N'-디글루타르산(EDDG)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렌디아민-N,N'-디석신산(HPDDS)이 적합하다.
효소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임의의 세제 성분에 유용한 또 다른 바람직한 임의의 세제 성분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 효소이다.
바람직한 추가적 효소 물질은 세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혼입되는 시판중인 리파아제, 큐티나제, 아밀라제, 중성 및 알칼리성 프로테아제, 에스테라제, 셀룰라제, 펙티나제, 락타아제 및 퍼옥시다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효소는 미국 특허 제3,519,570호 및 미국 특허 제3,533,139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시판중인 프로테아제 효소는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Novo Industries A/S](덴마크)가 상표명 알칼라제(Alcalase), 사비나제(Savinase), 프리마제(Primase), 두라짐(Durazym) 및 에스퍼라제(Esperase)로 시판하는 효소, 기스트-브로케이즈(Gist-Brocades)가 상표명 막사타제(Maxatase), 막사칼(Maxacal) 및 막사펨(Maxapem)으로 시판하는 효소, 제넨커 인터내쇼날(Genencor International)이 시판하는 효소 및 솔베이 엔자임즈(Solvay Enzymes)가 상표명 옵티클린(Opticlean) 및 옵티마제(Optimase)로 시판하는 효소를 포함한다. 프로테아제 효소는 조성물의 0.0001중량% 내지 4중량%의 활성 효소의 수준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당해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아밀라제는, 예를 들면, 영국 특허 제1,269,839호(노보)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의 특정 균주로부터 수득한 α-아밀라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시판되는 아밀라제는, 예를 들면, 기스트-브로케이즈가 상표명 라피다제(Rapidase)로 시판하는 아밀라제와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상표명 테르마밀(Termamyl) 및 반(BAN)으로 시판하는 아밀라제를 포함한다. 아밀라제 효소는 조성물의 0.0001중량% 내지 2중량%의 활성 효소의 수준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당해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지방분해 효소는 입자의 0.0001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001중량% 내지 3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001중량% 내지 0.5중량%의 활성 지방분해 효소의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리파아제는, 예를 들면, 슈도모나스 슈도알칼리게네스(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또는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를 포함하는, 후미콜라 속(Humicolasp.), 더모마이세스 속(Thermomycessp.) 또는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sp.)의 리파아제 생성 균주로부터 수득된 진균 또는 세균 유래일 수 있다. 이들 균주의 화학적으로 또는 유전학적으로 변형된 돌연변이주로부터 수득된 리파아제가 또한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바람직한 리파아제는 유럽 특허공보 제0 218 2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슈도모나스 슈도알칼리게네스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리파아제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258 06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미콜라 라누기노사(Humicola lanuginosa)로부터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숙주로서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Aspergillus oryza)에서 유전자를 발현시킴으로써 수득되는데, 이것은 상표명 리폴라제(Lipolase)로 덴마크 박스바에르트에 소재하는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시판하고 있다. 당해 리파아제는 또한 1989년 3월 7일에 허여된 휴즈-젠센(Huge-Jensen) 등의 미국 특허 제4,810,414호에 기재되어 있다.
유기 중합체성 화합물
유기 중합체성 화합물은 바람직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임의의 세제 성분의 추가적 세제 성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입자상 성분이 함께 결합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입자상 성분의 구성 성분으로서 존재한다. 유기 중합체성 화합물이란,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서 점토 응집제(clay flocculating agent)로서 기재되어 있는 임의의 고분자량 유기 중합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해 세제 조성물에서 분산제, 및 재부착 방지(anti-redeposition) 및 오물 현탁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중합체성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유기 중합체성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입자의 0.1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5중량% 내지 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15중량%의 수준으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속에 혼입된다.
유기 중합체성 화합물의 예는, 폴리카복실산이 2개 이하의 탄소원자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카복실 라디칼을 포함하는, 수용성 유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카복실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후자의 형태의 중합체는 영국 공개특허공보 제1596756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염의 예는,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말레산 무수물과 이들의 공중합체이며, 당해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20,000 내지 100,000, 특히 40,000 내지 80,000이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05 282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05 283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51 62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파트산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포함하여 폴리아미노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또한, 말레산, 아크릴산, 폴리아스파트산 및 비닐 알콜로부터 선택된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삼원중합체, 특히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인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혼입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기 중합체성 화합물은 셀룰로스 유도체(예: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점토 분산제/재부착 방지제로서의 또 다른 유기 화합물은 화학식
의 에톡시화 양이온성 모노아민 및 디아민[여기서, X는 H,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그룹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그룹이고, a는 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예: 에틸렌, 프로필렌, 헥사메틸렌)이고, b는 1 또는 0이며, 양이온성 모노아민(b=0)인 경우, n은 16 이상이고, 전형적인 범위는 20 내지 35이며, 양이온성 디아민(b=1)인 경우, n은 약 12 이상이고, 전형적인 범위는 약 12 내지 약 42이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분산제/재부착 방지제는 유럽 특허공보 제011 965호, 미국 특허 제4,659,802호 및 미국 특허 제4,664,848호에 기재되어 있다.
거품 억제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세제 조성물은 거품 억제제를 조성물의 5중량%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4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중량%의 수준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거품 억제제는 비누, 파라핀 및 왁스 중의 하나이거나 이들의 임의의 배합물이다. 거품 억제제가 거품 억제 실리콘인 경우, 세제 조성물은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을 0.06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거품 억제 시스템은, 예를 들면, 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과 2-알킬 알칸올 거품 억제 화합물을 포함하여, 임의의 공지된 거품 억제 화합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거품 억제 화합물이란 본 발명에서 세제 조성물의 용액에 의해, 특히 용액이 교반될 때, 생성되는 거품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거품 억제 화합물은 실리콘 성분을 함유하는 임의의 거품 억제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이다. 이러한 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은 또한 전형적으로 실리카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산업상 일반적인 용어인 "실리콘"은 다양한 형태의 실록산 단위와 하이드로카빌 그룹을 포함하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각종 중합체를 포괄한다. 바람직한 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은 실록산, 특히 트리메틸실릴 말단 차단 단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당해 조성물은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을 0.6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의 적합한 거품 억제 화합물은 모노카복실릭 지방산과 이들의 가용성 염을 포함한다. 이들 물질은 1960년 9월 27일자로 웨인 세인트 존(Wayne St. Joh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2,954,347호에 기재되어 있다. 거품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모노카복실릭 지방산과 이들이 염은 전형적으로 탄소수 10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하이드로카빌 쇄를 가진다. 적합한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및 리튬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과 암모늄염 및 알칸올암모늄염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거품 억제 화합물은, 예를 들면, 고분자량의 지방 에스테르(예: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1가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C18-C40케톤(예: 스테아론) N-알킬화 아미노 트리아진[예: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와 탄소수 1 내지 24의 1급 또는 2급 아민 2 내지 3몰과의 생성물로서 생성된, 트리 내지 헥사 알킬멜라민 또는 디 내지 테트라 알킬디아민 클로트리아진], 프로필렌 옥사이드, 비스 스테아르산 아미드 및 모노스테아릴 디-알칼리 금속(예: 나트륨, 칼륨, 리튬) 포스페이트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거품 억제 시스템은 다음의 (a), (b), (c)를 포함한다.
(a) 거품 억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 실록산(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의 50중량%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 75중량% 내지 95중량%의 수준)(i)과 실리카(거품 억제 화합물의 1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 5중량% 내지 25중량%의 수준)(ii)를 배합하여 포함하는 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여기서, 실리카/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은 5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4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중량%의 수준으로 혼입된다).
(b) 분산제 화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 함량이 72 내지 78%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대 프로필렌 옥사이드 비율이 1:0.9 내지 1:1.1인 실리콘 글리콜 레이크(rake) 공중합체를 5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4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중량%의 수준으로 포함하는 분산제 화합물{특히 바람직한 이러한 형태의 실리콘 글리콜 레이크 공중합체는 상표명 DCO544로서 다우 코닝(DOW Corning)이 시판하고 있는 DCO544이다}.
(c) 불활성 담체 유체 화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도가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인 C16-C18에톡시화 알콜을 5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4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중량%의 수준으로 포함하는 불활성 담체 유체 화합물.
가장 바람직한 입자형 거품 억제 시스템은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210 731호에 기재되어 있고, 실리콘 거품 억제 화합물과 융점 범위가 50℃ 내지 85℃인 유기 담체 물질(글리세롤과 탄소수 12 내지 20의 탄소 쇄를 가지는 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한다)을 포함한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210 721호에는, 유기 담체 물질이 융점 범위가 45℃ 내지 80℃이고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탄소 쇄를 가지는 지방산 또는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다른 바람직한 입자형 거품 억제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점토 유연 시스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점토 무기 화합물 및 임의의 점토 응집제를 포함하는 점토 유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점토 무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스멕타이트 점토 화합물이다. 스멕타이트 점토는 미국 특허 제3,862,058호, 제3,948,790호, 제3,954,632호 및 제4,062,647호에 기재되어 있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명의의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99 575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13 146호에는, 적합한 유기 중합체 점토 응집제가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성 이염 억제제
또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중합체성 이염 억제제를 0.01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이염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 N-비닐피롤리돈과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a)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는 다음 화학식 I의 단위를 포함한다.
위의 화학식 I에서,
P는 중합 가능한 단위이고,
A는,,, -O-, -S- 또는 -N-이며,
x는 0 또는 1이고,
R은 N-O 그룹의 질소가 결합될 수 있거나 N-O 그룹의 질소가 이들 그룹의 일부분인 지방족, 에톡시화 지방족,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지환족 그룹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N-O 그룹은 화학식또는[여기서, R1, R2및 R3은 지방족 그룹,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지환족 그룹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 또는/및 y 또는/및 z는 0 또는 1이며, N-O 그룹의 질소는 결합될 수 있거나 N-O 그룹의 질소가 이들 그룹의 일부분을 형성한다]로 나타낼 수 있다. N-O 그룹은 중합 가능한 단위(P)의 부분일 수 있거나 중합체 주쇄에 결합될 수 있거나, 이들 두 경우의 조합일 수 있다.
N-O 그룹이 중합 가능한 단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적합한 폴리아민 N-옥사이드는, R이 지방족, 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민 N-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당해 폴리아민 N-옥사이드의 한 가지 부류는, N-O 그룹의 질소가 R- 그룹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폴리아민 N-옥사이드의 그룹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아민 N-옥사이드는 R이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예: 피리딘, 피롤, 이미다졸, 피롤리딘, 피페리딘, 퀴놀린, 아크리딘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인 화합물이다.
다른 적합한 폴리아민 N-옥사이드는 N-O 그룹이 중합 가능한 단위에 결합된 폴리아민 옥사이드이다. 이들 폴리아민 N-옥사이드의 바람직한 부류는, R이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지환족 그룹이며 N-O 작용성 그룹의 질소가 위의 R 그룹의 일부분인 화학식 I의 폴리아민 N-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이들 부류의 예는 R이피리딘, 피롤, 이미다졸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의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인 폴리아민 옥사이드이다.
폴리아민 N-옥사이드는 거의 모든 중합도에서 수득될 수 있다. 당해 물질이 목적하는 수용성 및 염료 현탁 기능을 갖는 한 중합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전형적으로, 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1,000,000의 범위내이다.
b) N-비닐피롤리돈과 N-비닐이미다졸과의 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범위가 5,000 내지 50,000인 N-비닐이미다졸과 N-비닐피롤리돈과의 공중합체가 본 발명에서 적합하다.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N-비닐이미다졸 대 N-비닐피롤리돈의 몰 비가 1:0.2이다.
(c) 폴리비닐피롤리돈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서는 또한 평균 분자량이 2,500 내지 40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제품명 PVP K-15(점도 분자량: 10,000), PVP K-30(평균 분자량: 40,000), PVP K-60(평균 분자량: 160,000) 및 PVP K-90(평균 분자량: 360,000)으로, 미국 뉴욕주 뉴욕시와 캐나다 몬트리올에 소재하는 아이에스피 코포레이션(ISP Corporation)이 시판하고 있다. PVP K-15는 또한 아이에스피 코포레이션이 시판하고 있다. 바스프 코포레이션이 시판하는 다른 적합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소칼란(Sokalan) HP 165 및 소칼란 HP 12를 포함한다.
(d) 폴리비닐옥사졸리돈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또한 중합체성 이염 억제제로서 폴리비닐옥사졸리돈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옥사졸리돈의 평균 분자량은 2,500 내지 400,000이다.
(e) 폴리비닐이미다졸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또한 중합체성 이염 억제제로서 폴리비닐이미다졸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이미다졸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400,000이다.
형광 증백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또한 특정 형태의 친수성 형광 증백제를 약 0.005중량% 내지 5중량%로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친수성 형광 증백제는 화학식
의 화합물[여기서, R1은 아닐리노, N-2-비스-하이드록시에틸 및 NH-2-하이드록시에틸로부터 선택되고, R2는 N-2-비스-하이드록시에틸, 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 모르필리노, 클로로 및 아미노로부터 선택되며, M은 나트륨 또는 칼륨 등의 염 형성 양이온이다]을 포함한다.
위의 화학식에서, R1이 아닐리노이고 R2가 N-2-비스-하이드록시에틸이며 M이 나트륨 등의 양이온인 경우, 형광 증백제는 4,4'-비스[(4-아닐리노-6-(N-2-비스-하이드록시에틸)-s-트리아진-2-일)아미노]-2,2'-스틸벤디설폰산 및 이의 이나트륨염이다. 이러한 특정한 형광 증백제 종류는 시바 가이기 코포레이션(Ciba-Geigy Corporation)이 상표명 티노팔(Tinopal)-UNPA-GX로 시판하고 있다. 티노팔-UNPA-GX는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서 유용한 바람직한 친수성 형광 증백제이다.
위의 화학식에서, R1이 아닐리노이고 R2가 N-2-하이드록시에틸-N-2-메틸아미노이며 M이 나트륨 등의 양이온인 경우, 형광 증백제는 4,4'-비스[(4-아닐리노-6-(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s-트리아진-2-일)아미노]-2,2'-스틸벤디설폰산 이나트륨염이다. 이러한 특정한 형광 증백제 종류는 시바 가이기 코포레이션이 상표명 티노팔 5BM-GX로 시판하고 있다.
위의 화학식에서, R1이 아닐리노이고 R2가 모르필리노이며 M이 나트륨 등의 양이온인 경우, 형광 증백제는 4,4'-비스[(4-아닐리노-6-모르필리노-s-트리아진-2-일)아미노]-2,2'-스틸벤디설폰산 나트륨염이다. 이러한 특정한 형광 증백제 종류는 시바 가이기 코포레이션이 상표명 티노팔 AMS-GX로 시판하고 있다.
양이온성 섬유 유연제
양이온성 섬유 유연제가 또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세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속으로 혼입될 수 있다. 적합한 양이온성 섬유 유연제는 영국 공개특허공보 제1514276호 및 유럽 특허공보 제0 011 34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불용성 3급 아민 또는 2개의 장쇄 아미드 물질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섬유 유연제는 전형적으로 0.5중량% 내지 15중량%, 통상적으로 1중량% 내지 5중량%의 전체 수준으로 혼입된다.
기타 임의적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세제 성분에 포함하기에 적합한 다른 임의의 세제 성분은 가장 바람직하게 향료, 착색 및 충전제 염을 포함하는데, 황산나트륨이 바람직한 충전제 염이다.
조성물의 형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양한 화합물의 건조-혼합, 압출, 압축 및 응집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입자는 조성물의 분리된 성분으로서 조성물에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 또는 화합물에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과립상, 박편상, 성형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리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세탁방법
본 발명의 세탁방법은 전형적으로 세제 조성물 유효량이 용해되거나 현탁되어 있는 기계세탁용 또는 손세탁용 수성 세탁 용액으로 더럽혀진 세탁물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제 조성물 유효량이란 세탁 용액 부피 1L 내지 65L 속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제품 40g 내지 300g을 의미하며, 이는 종래의 세탁방법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전형적인 제품 용량과 세탁 용액 부피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세탁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의 포장
표백 조성물의 상업적 시판품은 제지, 카드보드, 플라스틱재 및 임의의 적합한 라미네이트로 구축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포장 방법은 유럽 특허출원 제94921505.7호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약어
세제 조성물에서, 약어로 표시된 성분 표기는 다음의 의미를 가진다.
LAS : 나트륨 직쇄 C11-13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LAS(I) : 칼륨 직쇄 또는 측쇄 C11-13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TAS : 나트륨 수지 알킬 설페이트
CxyAS : 나트륨 C1x-C1y알킬 설페이트
C46SAS : 나트륨 C14-C162급(2,3) 알킬 설페이트
CxyEzS : 에틸렌 옥사이드 z몰과 축합된 나트륨 C1x-C1y알킬 설페이트
CxyEz : 에틸렌 옥사이드 평균 z몰과 축합된 C1x-C1y주로 직쇄 1차 알콜
QAS : R2가 C12-C14인 R2·N+(CH3)2(C2H4OH)
QAS 1 : R2가 C8-C11인 R2·N+(CH3)2(C2H4OH)
APA : C8-C10아미도 프로필 디메틸 아민
비누 : 수지와 코코넛 지방산의 80/20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나트륨 직쇄 알킬 카복실레이트
STS : 나트륨 톨루엔 설포네이트
CFAA : C12-C14(코코) 알킬 N-메틸 글루카미드
TFAA : C16-C18알킬 N-메틸 글루카미드
TPKFA : C12-C14상부 호울 컷(whole cut) 지방산
STPP : 무수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TSPP : 테트라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제올라이트 A : 1차 입자 크기가 0.1 내지 10㎛인 화학식Na12(AlO2SiO2)12·27H2O의 수화 나트륨 알루미노실리케이트(무수 화합물을 기준으로 표시한 중량)
NaSKS-6 : 화학식 δ-Na2Si2O5의 결정성 층상 실리케이트
시트르산 Ⅰ :무수 시트르산(80%의 입자 크기가 40㎛ 내지 70㎛이고 부피 중앙 입자 크기가 55㎛임)
시트르산 Ⅱ : 시트르산 무수물 또는 1수화물(80%의 입자 크기가 15㎛ 내지 40㎛이고 부피 평균 입자 크기가 25㎛임)
말산 : 무수 말산(80%의 입자 크기가 50㎛ 내지 100㎛이고 부피 중앙 입자 크기가 75㎛임)
말레산 : 무수 말레산(80%의 입자 크기가 5㎛ 내지 30㎛이고 부피 중앙 입자 크기가 15㎛임)
타르타르산 : 무수 타르타르산(80%의 입자 크기가 25㎛ 내지 75㎛이고 부피 중앙 입자 크기가 50㎛임)
탄산염 Ⅰ : 무수 탄산나트륨(입자의 80용적%의 입자 크기가 50㎛ 내지 150㎛이고 부피 중앙 입자 크기가 100㎛임)
탄산염 Ⅱ : 무수 탄산나트륨(입자의 80용적%의 입자 크기가 35㎛ 내지 75㎛이고 부피 중앙 입자 크기가 55㎛임)
중탄산염 II : 무수 중탄산나트륨(입자의 80용적%의 입자 크기가 100㎛ 내지 200㎛이고 부피 메디안 입자 크기가 150㎛임)
중탄산염 I : 무수 중탄산나트륨(입자의 80용적%의 입자 크기가 15㎛ 내지 40㎛이고 부피 중앙 입자 크기가 25㎛임)
실리케이트 : 비결정질 규산나트륨(SiO2: Na2O=2.0:1)
황산염 : 무수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 무수 황산마그네슘
시트레이트 : 입자 크기 분포가 425㎛ 내지 850㎛이고 활성도가 86.4%인 삼나트륨 시트레이트 2수화물
MA/AA : 평균 분자량이 약 70,000인 1:4 말레산/아크릴산 공중합체
MA/AA(1) : 평균 분자량이 약 10,000인 4:6 말레산/아크릴산 공중합체
AA : 평균 분자량이 4,500인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중합체
CMC :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셀룰로스 에테르 : 신에츠 케미칼(Shin Etsu Chemicals)이 시판하는 중합도 650의 메틸 셀룰로스 에테르
프로테아제 :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상표명 사비나제로 시판하는 활성 효소 3.3중량%의 단백분해 효소
프로테아제 I: 제넨커 인터내쇼날 인코포레이티드가 시판하는 WO 95/1059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활성 효소 4중량%의 단백분해 효소
알칼라제 :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시판하는 활성 효소 5.3중량%의 단백분해 효소
셀룰라제 :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상표명 카레짐(Carezyme)으로 시판하는 활성 효소 0.23중량%의 셀룰로스 분해 효소
아밀라제 :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상표명 터마밀(Termamyl) 120T로 시판하는 활성 효소 1.6중량%의 아밀로스 분해 효소
리파아제 :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상표명 리폴라제로 시판하는 활성 효소 2.0중량%의 지질 분해 효소
리파아제(1) :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상표명 리폴라제 울트라(Lipolase Ultra)로 시판하는 활성 효소 2.0중량%의 지질 분해 효소
엔돌라제 : 노보 인두스트리즈 아/에스가 시판하는 활성 효소 1.5중량%의 엔도글루카나제 효소
PB4 : 공칭 화학식 NaBO2·3H2O·H2O2의 과붕산나트륨 4수화물 함유 입자(입자는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950㎛이고 85%의 입자 크기가 850㎛ 내지 950㎛임)
PB1 : 공칭 화학식 NaBO2·H2O2의 무수 과붕산나트륨 표백제 함유 입자(입자는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800㎛이고 85%의 입자 크기가 750㎛ 내지 950㎛임)
과탄산염 :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탄산나트륨 공급원(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과탄산염 공급원 부분 참조)
피복된 과탄산염 : 앞에서 기재된 바(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과탄산염 공급원 부분 참조)와 같고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공급원{중탄산나트륨 및/또는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4.5중량%의 피복물을 가지고유동화 베드 공정에 의해 제조되거나(과탄산염 샘플 2), 탄산나트륨 및/또는 황산나트륨을 4.5중량% 포함하고 결정체/분류 공정, 예를 들면, 솔베이(Solvay)에 의해 제조됨}
NOBS : 나트륨염 형태의 노나노일 옥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입자(입자는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750㎛ 내지 900㎛이다)
NAC-OBS : (6-논아미도카프로일)옥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입자(입자는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825㎛ 내지 875㎛이다)
TAED I :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입자(입자는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700㎛ 내지 1000㎛이다)
TAED II : 입자 크기가 150㎛ 내지 600㎛인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DTPA :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DTPMP : 몬산토가 상표명 디퀘스트(Dequest) 2060으로 시판하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포네이트)
광활성화 : 표백(1) 덱스트린 가용 중합체 속에 캡슐화된 설폰화 아연 프틀로시아닌
광활성화 : 표백(2) 덱스트린 가용 중합체 속에 캡슐화된 설폰화 알루미노 프틀로시아닌
증백제 1: 디나트륨 4,4'-비스(2-설포스티릴)비페닐
증백제 2: 디나트륨 4,4'-비스(4-아닐리노-6-모폴리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스틸벤-2,2'-디설포네이트
EDDS : 나트륨염 형태의 에틸렌디아민-N,N'-디석신산, (S,S) 이성체
HEDP : 1,1-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PEGx : 분자량 x(전형적으로 4,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PEO : 평균 분자량 50,000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TEPAE :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에톡실레이트
PVI : 평균 분자량 20,000의 폴리비닐 이미도솔
PVP : 평균 분자량 60,000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중합체
PVNO : 평균 분자량 50,000의 폴리비닐피리딘 N-옥사이드 중합체
PVPVI : 평균 분자량이 2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과 비닐이미다졸과의 공중합체
QEA : 비스((C2H5O)(C2H4O)n)(CH3)-N+-C6H12N+-(CH3)
비스((C2H5O)-(C2H4O))n(여기서, n은 20내지 30이다)
SRP 1 : 음이온으로 말단 캡핑된 폴리에스테르
SRP 2 : 디에톡시화 폴리(1,2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짧은 블록 중합체
PEI : 평균 분자량 1800이며 질소당 7개의 에틸렌옥시 잔기의 평균 에톡시화도를 가지는 폴리에틸렌이민
실리콘 거품 억제제 : 거품 조절제 대 분산제의 비가 10:1 내지 100:1인, 분산제로서 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거품 조절제
불투명화제 : 바스프 악티엔게셀샤프트(BASF Aktiengesellschaft)가 상표명리트론(Lytron) 621로 시판하는 수계 모노스티렌 라텍스 혼합물
왁스 : 파라핀 왁스
실시예 1
세제 조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앞에서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한다(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평균 입자 크기 부분 참조).
평균 입자 크기(MPS, mean particle size)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세제 조성물은 앞에 기재되어 있다(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평균 입자 크기 부분 참조).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을 10중량%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과붕산나트륨 샘플)의 평균 입자 크기를 또한 나타내고, 과탄산나트륨을 10중량% 포함하는 두 가지 세제 조성물(과탄산나트륨 샘플 1과 2,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기재 내용 참조)을 32℃, 상대 습도 80%의 조건에 노출시키기 전(0시간)과 24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24시간)의 평균 입자 크기도 앞에서 기재된 방법(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평균 입자 크기 부분 참조)으로 나타낸다.
과탄산나트륨 샘플 1은 탄산나트륨 및/또는 황산나트륨을 4.5중량% 가진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포함시키고 결정체/분류 공정, 예를 들면, 솔베이에 따라 제조한다.
과탄산나트륨 샘플 2는 중탄산나트륨 및/또는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피복물 4.5중량%를 포함하는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포함시키고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은 유동화 베드 공정으로 제조한다.
결과
세제 조성물의 입자 크기 분포(PSD, 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아래에 나타낸다.
입자 크기(체크기) 과붕산나트륨 샘플 과탄산나트륨 샘플 1 과탄산나트륨 샘플 2
PSD(0시간) PSD(24시간) PSD(0시간) PSD(24시간) PSD(0시간) PSD(24시간)
2000 0 0.16 0.02 0.58 0 0.01
180 2.95 10.89 5.19 7.23 4.45 3.98
850 6.71 18.84 11.13 14.01 9.31 9.52
600 11.12 21.29 16.3 18.56 19.6 20.92
425 16.88 20.16 15.83 25.02 16.75 21.73
250 37.32 30.85 29.54 34.14 28.62 37.89
44.82 26.24 41.95 26.2 41.02 32.67
MPS(㎛) 311 473 346 437 351 386
과붕산염 샘플 과탄산염 샘플 1 과탄산염 샘플 2
시간 O시간 24시간 0시간 24시간 0시간 24시간
MPS(㎛) 387 593 456 540 452 467
MPS(㎛)에서의 증가 206 84 5
MPS에서의 증가(원래 MPS에 대한 %) 52% 26% 10%
이들 데이타는, 과붕산나트륨에 대응되는 것으로, 선택된 과탄산나트륨이 세제 조성물에 포함될 때, 세제 조성물을 32℃, 상대 습도 80%에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노출시킨 후 앞에서 기재한 방법(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평균 입자 크기 부분 참조)으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0% 내지 130%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2
과붕산염 샘플 과탄산염 샘플 1 과탄산염 샘플 2
0주 8주 0주 8주 0주 8주
벌크 밀도(g/l) 485 423 475 436 475 446
벌크 밀도(원래의 벌크 밀도에 대한 %) 100 87 100 92 100 94
이들 데이타는, 과붕산나트륨에 대응되는 것으로, 선택된 과탄산나트륨이 세제 조성물에 포함될 때, 세제 조성물을 32℃, 상대 습도 80%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앞에서 기재한 방법(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평균 입자 크기 부분 참조)으로 측정한 벌크 밀도가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90% 내지 100%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아래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다.
A B C D E F G H I
TPKFA 5 2 3 1
LAS 3 20 1 15 20 2
QAS 2 10
C28E3S 3 2 5
C28E7 10 2 1 5 10
C68AS 20 15 10
TAS 15
MES 1 6 4 15
SADS 10 3 1
STPP 45 20 25 10 30 1 25
제올라이트 A 5 10 1 6 16 15
실리케이트 1 10 6 9 4 15 6 4 6
탄산염 20 10 15 5 20 5
건조 탄산염 1 1 4 10
DTPA 0.4 1 0.3 2 0.1 2
황산마그네슘 0.2 2 0.1
시트르산 6 5 2.5 3 8 4 0.1
MA/AA 0.8 0.9 1 0.2
MA/AA(1) 0.1 0.8
AA 1 0.7
CMC 0.2 0.4 0.4 0.8
SRP1 0.1 0.2
SRP2 0.2 0.1 0.2
프로테아제 0.1 0.6 0.8
프로테아제 I 0.2 0.1 0.6
셀룰라제 0.1 0.4 0.2
아밀라제 0.6 0.1 0.05
아밀라제 II 0.2 0.6 0.1
리파아제 0.1 0.6 0.5
리파아제 I 0.1 0.2
엔돌라제 0.6 0.2
PB1 1
NOBS 2 1 0.5 4 1.5 4 2 1.5 3
TAED 1 0.5 2 0.6 2 1.6 1 1
과탄산염 3 4 12 1 4 1 2 3 1
피복된 과탄산염 12 12 3 4 7 4 6 7 5
광활성화된 표백제 1 0.05 0.05
광활성화된 표백제 2 0.05
증백제 1 0.3 0.05 0.1
증백제 2 0.1 0.05 0.3
실리콘 거품 억제제 0.2 0.1 0.05 0.05
향료 0.5 0.2 1 2
기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래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다.
J K L M N O P Q R
TPKFA 2
LAS 20 15 3 20 15 15 20 15
QAS 2 0.5
C28E3S 4
C28E7 2 1 20
C68AS 10
TAS 6 5
MES 8
SADS 3
STPP 35 25 25 15 20 25 30 10 15
제올라이트 A 8 20 4
실리케이트 8 7 1.4 6 1.5 9 9 9
탄산염 10 12 20 9 12 20 10 15 15
건조 탄산염 1 3 7
DTPA 0.9 0.5 1 1 0.3 0.5 0.4 0.8 0.9
황산마그네슘 0.6 1.4 0.8 1.4 1.2 1
시트르산 4 10
MA/AA 1 0.5 0.5 1 0.5 1 1.5 0.1
MA/AA(1) 0.6 0.75
AA 1 0.5
CMC 0.5 0.4 0.8 1 0.4 0.2 0.4 0.4 0.3
SRP1 0.3 0.1
SRP2 0.4 0.1
프로테아제 0.7 0.4 0.1 0.2 0.2 0.2 0.1
프로테아제 I 0.2 0.1 0.05 0.4 0.3 0.6 0.1 0.7
셀룰라제 0.1 0.2 0.05
아밀라제 0.1 0.1 0.6 0.6
아밀라제 II 0.05 0.1 0.15 0.3
리파아제 0.2 0.1
리파아제 I 0.1
엔돌라제
PB1
NOBS 1.9 1.5 2 0.5 1.5 1.9 1 0.7
TAED 0.5 1.5 0.6
과탄산염 3 4 2 2 4
피복된 과탄산염 4 10 5 10 7 8 6 10 4
광활성화된 표백제 1 0.01
광활성화된 표백제 2 0.01
증백제 1 0.05 0.05 0.05 0.05 0.05 0.1 0.05
증백제 2 0.1 0.1 0.05 0.1 0.05
실리콘 거품 억제제 0.2 0.15 0.05 0.01 0.01
향료 0.25 0.4 0.3 0.1 0.6 0.4 0.2 0.4
기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laims (15)

  1.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과탄산염 공급원을 포함하고, 32℃, 상대 습도 80%에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노출시킨 후,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0% 내지 1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인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32℃, 상대 습도 80%의 조건하에 8주 동안 보관한 후, 원래의 벌크 밀도의 90 내지 100%의 벌크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2℃, 상대 습도 80%에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노출시킨 후, 원래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4. 클로라이드 이온 또는 클로라이드 함유 화합물을 2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과탄산염 공급원과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 0.06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벌크 밀도가 570g/l 미만인 과립형 표백제 함유 세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탄산염 공급원이 유동화 베드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세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탄산염 공급원이 클로라이드 이온을 2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36중량%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35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중량% 내지 30중량%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누, 파라핀 및 왁스 중의 하나이거나 이들의 임의의 배합물인 거품 억제제를 5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가능 거품 억제 실리콘을 0.06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세제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7.5에 대하여 측정한 보유 알칼리도가 세제 조성물 100g당 NaOH 6g 이상인 세제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탄산염 공급원이 0.01중량% 내지 12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7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세제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킬레이트제를 0.05중량% 내지 2중량%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복된 과탄산염 입자를 포함하며, 피복물이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임의의 배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피복된 과탄산염 입자가 피복된 과탄산염 입자의 0.01중량%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4중량%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중량% 내지 10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피복물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KR1020027006135A 1999-11-13 2000-11-10 세제 조성물 KR20020059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26799.9 1999-11-13
GB9926799A GB2356201A (en) 1999-11-13 1999-11-13 Detergent compositions
PCT/US2000/030870 WO2001036580A1 (en) 1999-11-13 2000-11-10 Detergent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724A true KR20020059724A (ko) 2002-07-13

Family

ID=1086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135A KR20020059724A (ko) 1999-11-13 2000-11-10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228188A1 (ko)
JP (1) JP2003527465A (ko)
KR (1) KR20020059724A (ko)
CN (1) CN1423690A (ko)
AR (1) AR033657A1 (ko)
AU (1) AU1480901A (ko)
BR (1) BR0015541A (ko)
CA (1) CA2388838A1 (ko)
CZ (1) CZ20021639A3 (ko)
GB (1) GB2356201A (ko)
HU (1) HUP0204153A3 (ko)
MA (1) MA25877A1 (ko)
MX (1) MXPA02004788A (ko)
WO (1) WO2001036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7707B1 (en) * 2006-06-16 2011-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JP5386285B2 (ja) * 2008-12-15 2014-01-15 花王株式会社 自動食器洗浄機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1026456A (ja) * 2009-07-27 2011-02-10 Diversey Co Ltd 酸素系粉末洗浄剤組成物
JP5700469B2 (ja) * 2012-12-28 2015-04-15 花王株式会社 衣料用粉末洗剤組成物
CN106811336A (zh) * 2015-11-30 2017-06-09 常州西品科技有限公司 家用清洁剂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6460B1 (ko) * 1973-04-20 1976-12-17 Interox
US3951838A (en) * 1973-10-10 1976-04-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ilica sol stabilizers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sodium percarbonate in solid bleaches and detergents
GB1553505A (en) * 1975-05-13 1979-09-26 Interox Chemicals Ltd Sonduim percarbonate
LU72575A1 (ko) * 1975-05-23 1977-02-10
FR2323631A1 (fr) * 1975-09-15 1977-04-08 Ugine Kuhlmann Persels mixtes stables en melange lixiviel
US4260508A (en) * 1979-08-15 1981-04-07 The Clorox Company Stabilized alkali metal percarbonate powder bleach
GB9007999D0 (en) * 1990-04-09 1990-06-06 Unilever Plc Particulate bleaching detergent composition
KR100289001B1 (ko) * 1993-05-06 2001-05-02 오오히라 아키라 안정화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US5902682A (en) * 1993-07-17 1999-05-11 Degussa Aktiengesellschaft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EP0653481A1 (en) * 1993-11-11 1995-05-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EP0891417B1 (en) * 1996-03-27 2002-03-06 SOLVAY INTEROX (Société Anonyme)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percarbonate
DE19830946A1 (de) * 1998-07-10 2000-01-13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Persauerstoffver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8188A1 (en) 2002-08-07
AU1480901A (en) 2001-05-30
WO2001036580A1 (en) 2001-05-25
CN1423690A (zh) 2003-06-11
GB9926799D0 (en) 2000-01-12
HUP0204153A3 (en) 2005-04-28
HUP0204153A2 (hu) 2003-03-28
MXPA02004788A (es) 2002-08-30
JP2003527465A (ja) 2003-09-16
CZ20021639A3 (cs) 2002-11-13
GB2356201A (en) 2001-05-16
MA25877A1 (fr) 2003-10-01
BR0015541A (pt) 2006-03-01
CA2388838A1 (en) 2001-05-25
AR033657A1 (es)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0501T3 (es) Composiciones detergentes.
MXPA99003628A (en) Detergent compositions
JP2001524145A (ja) 洗剤粒子
EP1119604B1 (en) Foaming system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0906386B1 (en) Detergent composition
JP2000500812A (ja) 特定の粒子径を有する酸供給源を含んでなる洗剤組成物
EP0866118A2 (en) Detergent particle
GB2315763A (en) Preparation of an agglomerated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surfactant a an acid source
KR20020059724A (ko) 세제 조성물
MXPA98000273A (en) Detergent compositions
GB2337054A (en) Effervescent particle
GB2323386A (en) Effervescent detergent granules
JP2000501447A (ja) 洗剤組成物
JPH11514041A (ja) 洗剤組成物
GB2323848A (en) Detergent particle
EP0915949A1 (en) Detergent compositions
JP3739409B2 (ja) 洗剤組成物
GB2337055A (en) Effervescent particle
JP3773540B2 (ja) 洗剤組成物
JPH11506160A (ja) 陽イオン洗剤化合物
JPH11514042A (ja) 洗剤の製法および洗剤組成物
EP1019467B1 (en)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GB2323372A (en) An effervescent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MXPA99008629A (en) Detergent granule
MXPA01003515A (en) Foaming system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