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은 일측면에 우수배수구를 형성하고 상기 우수배수구에 연결된 우수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빗물받이 맨홀에 있어서, 상기 우수배수구보다 아래의 맨홀 측면에 형성된 수분공급구와, 상기 수분공급구에 연결되어 맨홀 외부에 위치하고 그 표면에 다수의 수분공급용 통공이 형성된 중공 원추형 수분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10)이보도(80)와 도로(110)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보차도경계석(100)에 인접하여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로수 또는 조경수 등(90)은 보도(80)와 도로(110)와의 경계부분에 인접하여 보도(80)상에 식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10)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10)의 일측면에는 우수배수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수배수구(20)에는 우수배수관(30)이 연결되어 있어, 맨홀에 일정량 이상으로 모인 우수는 상기 우수배수관(30)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우수배수구(20)보다 아래의 맨홀 측면에는 가로수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구(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분공급구(40)는 맨홀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분공급구(40)의 구성으로서 흙 등의 이물질이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맨홀 내부에 모인 우수는 상기 수분공급구(40)을 통해 가로수 등에 원활히 공급되어 진다.
상기 수분공급구(40)에는 그 표면에 다수의 수분공급용 통공(120)이 형성된 중공 원추형 수분공급관(50)이 맨홀 외부로 돌출되게 연결된다.
맨홀에 모인 우수는 상기 수분공급구(40)와 상기 수분공급관(50)을 통해 자연스럽게 가로수에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수분공급구(40)와 상기 수분공급관(50)은 맨홀의 상부에 위치할수록, 정화된 우수를 가로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구(40)와 수분공급관(50)의 위치가 맨홀의 상부일수록, 맨홀내부에 일정량의 우수가 모이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환경오염에 의한 산성비의 자연 정화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구(40)와 상기 중공 원추형 수분공급관(50)은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관(50)의 외부에는 자갈(60)이 포설되고, 가로수 또는 조경수 (90)의 하단부에는 세골재(70)가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자갈(60) 및 세골재(70)를 포설함으로써, 가로수 또는 조경수 (90)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 및 공기를 가로수 등(90)에 원활히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맨홀 외부로부터 상기 수분공급관(50)의 표면에 형성된 통공(120)을 통해 맨홀의 내부로 미세한 실트질의 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관(50)의 외부는 부직포로 둘러 쌓여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분공급관(50)의 외부를 부직포로 둘러쌓음으로써, 실트질의 흙이 맨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 원추형 수분공급관(50)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 원추형 수분공급관 (50)은 맨홀의 중심부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그 반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원추형 수분공급관(50)의 표면에는 다수의 수분공급용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맨홀의 내부에 모인 우수는 상기 수분공급구(40)를 지나 상기 수분공급관(50)의 표면에 형성된 수분공급용 통공(120)을 통해 가로수 또는 조경수(90)에 공급된다.
상기 수분공급용 통공(120)의 크기는 상기 수분공급관(50)의 외부에 포설된 자갈 및 세골재의 크기보다 작아 수분공급관(50) 외부의 상기한 자갈 등이 수분공급관(50) 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관(50)에는 걸림턱(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분공급관(50)은 상기 걸림턱(130)이 상기 수분공급구(40)의 맨홀 내부면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분공급구(40)와 연결된다.
상기 수분공급관(5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PV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10)이 공동주택단지, 도심지 소공원, 천연잔디구장, 녹지공원 등과 같은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분공급관(50)은 이들 지역에 식수된 가로수 또는 조경수 등(90)의 식물에 충분한 수분을 자연스럽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천시 우수는 보도(80) 또는 도로(110) 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보도(80) 또는 도로(110)의 표면은 보통 불투성이기 때문에, 우수는 직접 땅속으로스며들지 못하고, 상기 보도(80) 또는 도로(110)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자연스럽게 경사진 보도(80) 또는 도로(110)의 표면을 따라 흐른 우수는 빗물받이 맨홀로 향하게 된다. 빗물받이 맨홀의 내부에 고인 우수는 일정량에 도달할 때까지 모이게 되고, 이 기간동안 환경오염에 의한 산성비는 자연정화된다.
우수가 맨홀의 일측면에 형성된 우수배수구(20)보다 많이 모이게 되면, 우수는 우수배수구(20) 및 우수배수관(30)을 통해 하천으로 흐른다.
한편, 우수는 상기 우수배수구(20)를 통해 하천으로 흐를 뿐만 아니라, 상기 우수배수구(20)보다 아래의 맨홀 측면에 형성된 수분공급구(40)을 통해서도 흐르게 된다.
수분공급구(40)를 통과한 우수는 수분공급구(40)에 연결된 중공 원추형 수분공급관(50)으로 향하고, 상기 수분공급관(50)의 표면에 형성된 통공(120)을 통하여 수분공급관(50)의 외부로 빠져나간다.
수분공급관(50)의 외부로 나간 우수는 상기 수분공급관(50)의 외부에 포설된 자갈(60) 및 가로수 또는 조경수(90)의 하부 지하에 포설된 세골재를 통해 가로수 또는 조경수(90)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10)을 통해, 정화된 우수가 가로수 또는 조경수(90) 등에 자연스럽게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가로수에 의한 수분흡수로 인하여 홍수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습한 기간에는 가로수 또는 조경수(90) 하부 지하에 포함된 과도한 수분이 상기 수분공급관(50)의 표면에 형성된 통공(120)을 통해 역으로 맨홀(10)쪽으로 빠져나옴으로써, 가로수 또는 조경수(90)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