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324A -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 독제 및 농약분해제 - Google Patents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 독제 및 농약분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324A
KR20020057324A KR1020010000302A KR20010000302A KR20020057324A KR 20020057324 A KR20020057324 A KR 20020057324A KR 1020010000302 A KR1020010000302 A KR 1020010000302A KR 20010000302 A KR20010000302 A KR 20010000302A KR 20020057324 A KR20020057324 A KR 2002005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assium
calcium
water
f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816B1 (ko
Inventor
양호석
Original Assignee
양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호석 filed Critical 양호석
Priority to KR10-2001-000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8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4Bo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01N57/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2Compounds of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및 농약분해제을 개시한다.
그 조성물은 물 1ℓ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공기 중에 있는 질소와 탄소를 끌어당기어 식물이 활용할 수 있어, 식물 생장조절 내지 발효(미생물 증식 보조제)의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 알칼리 에너지를 이용하는 값싸고 품질 좋은 무공해 발효사료로 응용될 수 있고, 특히, 농작물에 살포하여 잔류농약을 세척 내지 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살균, 소독, 탈취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및 농약분해제{strong alkali composition with complex functions, its manufacturing method, deodorizing and sterilizing agent containing it, and decomposing agent of agricultural chemicals containing it}
본 발명은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및 농약분해제에 관한 것으로,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공기 중에 있는 질소와 탄소를 끌어당기어 식물이 활용할 수 있어, 식물 생장조절 내지 발효(미생물 증식 보조제)의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 알칼리 에너지를 이용하는 값싸고 품질 좋은 무공해 발효사료로 응용될 수 있고, 특히, 농작물에 살포하여 잔류농약을 세척 내지 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살균, 소독, 탈취 등의 효과가 우수한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및 농약분해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각종 공해물질의 배출로 인하여 토양의 황폐 수질의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으며, 더욱 식물, 어류 등의 생육에 큰 지장을 초래하여 생태계까지도 변화시킴으로써 인류의 생존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축산업계와 축산인들의 가장 큰 문제는 가축의 전염병과 만성질환에 의한 동물약품 과다 사용과 항생제 남용을 비롯하여 사료 생산비와 환경 개선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또한, 농산물이나 식품의 품질이 중요시되면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품중의 잔류농약(농작물에 뿌린 농약이 농토와 물에 남아 식물의 뿌리를 통해 식품으로 먹는 부분에 흡수되는 농약)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는 등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만성독성시험을 통해 얻어진 1일 섭취허용량(ADI)을 기초로 하여 각 나라마다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는 약별 작물별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또 농약의 농작물 잔류시험을 토대로 농산물중의 농약이 잔류허용기준 이하가 되도록 하는 사용상의 기준이 정해져 있는데 이것이 「농약의 안전 사용기준」이다. 따라서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잘 지켜 수확한 농산물은 잔류농약의 문제가 없거나 그 양이 허용기준 이하로 잔류하게 되므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에서 벗어난 때에 잔류농약은, 잔류독성이라고 하는 중독증세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농약은, 직접 몸 속에 들어와서 경구 독성, 경피 독성, 흡입 독성이라고 하는 중독증세를 일으킨다.
잔류농약의 종류에는, 농약 그 자체가 잔류하고 있는 경우와 농약의 성분이 화학적으로 변화하여 생성된 물질이 잔류하는 경우가 있으며, 농약의 잔류성은 농약에 따라 다른 것으로, 유기염소제 농약(DDT, BHC)은 잔류성이 길고 유기인제 농약(파라티온, 말라티온 등)은 비교적 짧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에 살포된 농약의 잔류상태는 다음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농작물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것과, 둘째, 식물 표면층에 용해되어 있는 것과, 셋째, 식물체 내에 침투되어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과거의 보르도액은 첫 번째의 상태이기 때문에 세척할 경우 잘 떨어졌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농약의 성분은 물에 잘 녹지 않은 유성이기 때문에 표면층에 용해되거나 흡수되어 물에 씻어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침투성 살충제는 식물체 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아무리 씻어도 효과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잔류농약의 90%가 껍질부분에 존재한다. 현미의 경우에는 씨눈에 많이 잔류하며 마라손 농약은 80-90%가 잔류한다. 끓여서 조리를 할 경우 화학변화가 일어나 얼마간은 감소하나 농약 성분이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는다. 밀가루에 잔류한 스미치온은 조리하면 1/3로 감소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물로 씻고, 껍질을 벗기고, 가열을 해서 먹게 되면 잔류농약은 적어지게 된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처음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지만, 생산량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에 있다. 현행,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식품위생법 제7조의 기준과 규격에 의거(식품공전 제3장 7.5)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고, 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식품의 제조, 수입, 가공, 사용, 조리, 보존, 판매가 중지된다. 농림부에서는 농약관리법 제18조의 규정에 의거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농약의 안전 사용기준을 정하고 있어, 이 기준에 따라 농약을 사용하며 재배한 농작물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시장에 출하할 수없게 된다.
또한, 지금까지 개발된 탈취제는 미생물이나 효소제를 이용한 단순한 것들이다. 또, 현재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응용한 바이오 세라믹(Bio-CERAMICS(POWDER))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으나, 이것들은 대부분이 고온(50∼300℃)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있어, 사람, 농산물, 동물, 어류 등의 생명체는 실온 및 상온(20∼30℃)에서 활동이 왕성해지므로 고온에서 방사되는 바이오 세라믹의 원적외선 효과는 기대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현대문명의 절실한 문제점들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공기 중에 있는 질소와 탄소를 끌어당기어 식물이 활용할 수 있어, 식물 생장조절 내지 발효(미생물 증식 보조제)의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 알카리 에너지를 이용하는 값싸고 품질 좋은 무공해 발효사료로 응용될 수 있고, 특히, 농작물에 살포하여 잔류농약을 세척 내지 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살균, 소독, 탈취 등의 효과가 우수한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및 농약분해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물 1ℓ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ethylene-diamine-tetra-acetate)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제조방법은, 물 1ℓ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마련한 후, 물(H2O)을 60∼80℃로 가열한 후, 규산칼륨(K2O·nSiO2)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수용액을 만든 다음, 회전속도를 빨리 하여 글리세로 인산 칼슘(C3H7CaO6P), E.D.T.A 칼슘 2나트륨(C10H12CaN2Na2O8·2H2O), 염화칼슘(CaCl2)을 순차로 넣어가며 교반시켜 수용액을 만들고, 용해열반응을 보아가며 교반기 회전속도를 서서히 높여 브름화칼륨(KBr), 소르브산칼륨(O6H7KO2) 및 염화칼륨(KCl)을 첨가하며, 교반하는 과정에서 피로인산 나트륨(Na4P2O7·10H2O)을 열반응을 체크하며 넣은 다음, 20분후에 시클로 아밀로우스((C6H12O6)n)을 넣어 15분정도 교반하여 전체물질을 안정시킴으로써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피로인산 나트륨(Na4P2O7·10H2O)과 시클로아밀로우스((C6H12O6)n)의 첨가사이에 붕사 5∼10g을 첨가함으로써 붕사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유산염(AES) 17∼23wt.%, 이지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LDAD) 7∼11wt.%,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AEAE) 4∼6wt.%, 에틸알콜 2∼4wt.%, 파라돌엔슬폰산나트륨 2∼4wt.% 및 물 38∼48wt.%를 함유하며, 물 1ℓ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액상의 복합기능조성물(천연광물 추출물)을 15∼20wt.% 함유하고, 향 0.05∼0.15wt.%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농약분해제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물(H20) 85∼95wt.%, 에틸알코올(C2H5OH) 3∼7wt.%, 말티톨(C12H24O11) 0.5∼1.5wt.%을 함유하고, 또한, 물 1ℓ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액상의 복합기능조성물(천연광물 추출물)을 2∼4wt.% 함유하며, 또, 수산화칼륨(KOH) 0∼0.5wt.%, 박하향(Mentol) 0∼0.3wt.%, 계면활성제 0∼1.0wt.%,그리고, 안식향산나트륨(C7H5O2Na) 0∼0.1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붕사 5∼10g을 더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마련한다.
그 뒤, 물(H2O)을 60∼80℃로 가열한 후, 규산칼륨(K2O·nSiO2)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수용액을 만든 다음, 회전속도를 빨리 하여 글리세로 인산 칼슘(C3H7CaO6P), E.D.T.A 칼슘 2나트륨(C10H12CaN2Na2O8·2H2O), 염화칼슘(CaCl2)을 순차로 넣어가며 교반시켜 수용액을 만들고, 용해열반응을 보아가며 교반기 회전속도를 서서히 높여 브름화칼륨(KBr), 소르브산칼륨(O6H7KO2) 및 염화칼륨(KCl)을 첨가하며, 교반하는 과정에서 피로인산 나트륨(Na4P2O7·10H2O)을 열반응을 체크하며 넣은 다음, 20분후에 시클로 아밀로우스((C6H12O6)n)을 넣어 15분정도 교반하여 전체물질을 안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액상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이 제조된다.
붕사를 함유하기 위해서는 피로인산 나트륨(Na4P2O7·10H2O)과 시클로아밀로우스((C6H12O6)n)의 첨가사이에 붕사 5∼10g을 첨가한다.
상술한 성분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규산칼륨(K2OㆍnSiO2)
무색 또는 약간의 착색된 점조한 알칼리성 액체로서, 비누배합제, 표백제, 세정제 등으로 사용되며, 용해도에 있어서 알콜에 불용이지만, 물에 가용이며, K성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용해가 용이하다.
2)글리세로 인산 칼슘(C3H7CaO6P)
백색결정분말로서, 식품 칼슘 강화제, 의약품 등으로 사용되며, 용해도에 있어서는 50배의 H2O에 녹는다. 더욱 용이한 용해방법은, 구연산이나 젖산을 가하면 더욱 쉽게 물에 녹는다.
3)E.D.T.A 칼슘 2나트륨(C10H12CaN2Na2O8·2H2O)
백색 또는 유백색의 결정성 분말 또는 입자로서 용도는, 식품 첨가제(변색, 산화, 부패 방지, 맛의 보존), 병저림, 청량음료 등에 사용되며, 상온에서 물에 잘 녹는다(PH: 6.5∼8.0; 용해도: 30%)
4)염화칼슘(CaCl2)
백색결정으로 분말비중이 2.15이며, 강화제, 두부제조, 양조용 발효제, 건조제, 영양강력제 등으로 사용되고, 용해도는, 100g의 물에 -20℃에서 34.0g, 40℃에서 53.5g, 60℃에서 57.7g, 80℃에서 59.3g이 용해된다.
5)브름화칼륨(KBr)
백색결정으로 분말 비중이 2.756이며, 제약원료, 의약품, 특수비누 등에 사용되고, 글리세린이나 물에 쉽게 녹는다(PH:중성).
6)소르브산칼륨(O6H7KO2)
백색 또는 담갈색의 인편상 결정으로 결정성 분말 또는 입자로, 무취이거나 취기가 있으며, 곰팡이, 세균의 발육저지작용에 효과가 있어 보존료(특히 곰팡이 예방에 강함), 식육제품, 생선말린 제품 보관 등에 사용된다. 비중은 1.363으로서, 20℃에서 100cc물에 67.6g이 용해되고, 프로필렌 클리콜에는 상온에서 5.8g이, 에틸알코올에는 상온에서 0.3g이, 또, 5%의 식염수에는 상온에서 47.5g이 용해되고, 25%사당수에는 상온에서 51g이 녹는다.
7) 염화칼륨(KCl)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분말로서 물에 잘 녹으며, 식품첨가제, 절인 식품,통조림 등에 사용되고, PH는 수용액이 중성이다.
8) 피로인산 나트륨(Na4P2O7·10H2O)
무수,무색,투명의 결정체로서 비중은 1.82이고, 열을 주면 100℃에서 무수물이 된다. 용도로는 청결제, 세척제, 세제, 수처리, 의약, 식품첨가제, 영양제 등을 들 수 있고, pH는 10.0∼10.2이다.
9) 붕사(Na2B4O7·10H20)
무색,투명하며, 비중이 1.72이고, 용해도는 100cc의 물에 10℃에서 1.6g이 녹고, 80℃에서 60g이 녹는다. 알칼리성으로서 용도는, 도자기, 피혁탄닝, 방부제, 의약, 화장품, 부동액 원료, 제약 등을 들 수 있다.
10) 시클로 아밀로우스((C6H12O6)n)
백색 결정 내지 결정성 분말로서 물에 잘 녹으며, 알칼리성으로 의약품 농약, 식품, 화장품, 산화방지, 천연첨가물 등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액상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그 독성시험결과, 1:500배로 희석시킨 시료에 대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98-116호에 의한 급성독성시험 결과치로서 2000mg/Kg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먼저, 그대로 또는 설탕과 함께 토양처리용으로 실험하였다.
산성 비료와 산성비는 토양에 들어가서 이물질과 교환되며, 이에 따라 토양에 포함된 칼슘, 마스네슘, 칼륨 등이 토양으로부터 빗물에 씻겨 흘러내려 가게 되며, 산성 물질이 토양 안에 남게 되면 토양이 산성으로 변하고 산성 물질이 토양속의 금속 물질과 결합하여 토양이 독성을 띠게 된다. 이 독성물질은 식물뿌리를 못 자라게 하거나 죽게도 하고, 이에 따라 연작에 장애가 되며, 일부는 강으로 흘러 들어가 물 속의 생물에게도 해를 준다.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pH: 13이상의 강알칼리로서 상술한 산성토양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산성토양을 개질시켜 주며, 나아가,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공기 중에 있는 질소와 탄소를 끌어당기어 식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고구마 농사용으로 유기질 비료를 토양에 펴고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0.5ℓ를 당밀 2∼3Kg과 물 25말에 함께 섞어서 400∼500평의 밭에 고루 뿌리고 경운 또는 로타리작업을 하면 2 내지 3일 정도 되어서 발효 또는 토양에 열이 없어진 다음에 싹을 심은 결과, 토양처리관주용으로는 뿌리발육, 가스 장애, 미생물 증진, 산성 토양 중화에 효과적이었다.
엽면 시비용으로는 광합성 작용 촉진, 당도 증진 등의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냉해·동화 물질이 전이가 안될 때 뿌리거나, 산성비에 의한 피해 등에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였다. 즉, 볍씨 물불림 방법으로, (1) 볍씨를 소금 물가림하고 그 소금가림한 것을 물에 500배로 희석한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에 1시간 정도 담구어 놓았다가 세척을 한다. (2) 다시 물에 500배 희석한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에 볍씨를 담구어 4일후 건져내어 상토판에 넣는다(묘 굳힘을 할때, 냉해 우려가 있으므로 뿌려주면 더욱 좋음).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물의 흡수가 좋아 배아에 힘이 있고 뿌리가 잘 뻗으며, 균이나, 곰팡이의 예방효과가 있고, ③ 냉해에 강하며(냉해를 입었을 때 1000배로 뿌림), 규소 성분이 많아 잎이 튼튼하고, 결실이 좋아지며, 도정후 쌀의 산화가 늦어 밥맛이 좋아지고, 볍씨를 담구어 물을 갈아 주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벼 굳힘을 할 때 1∼2회로 뿌리는 것이 광합성 증대를 도모하고 냉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논에 내기전에 2번 정도 뿌려주고 모내기를 하면은 활착이 빠르고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이용하여 오이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방법은, 토양에 유기물을 펴고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500배에 백설탕 2∼3Kg을 혼용살포하고, 경운작업한 후, 7∼10일 후에 정식하였다. 씨앗은,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용액 400배액으로 8∼10일 정도 침종후 파종하였으며, 묘상은, 떡잎이 진 4∼5일 후에 500배액으로 살포하였고, 이식 2∼3일 전에 500배액으로 살포후 정식하였다. 본 밭에서는 1차 수확후 400배액으로 살포하였고, 또한, 상황에 따라 살포하였다(부득이 농약을 살포할 경우 농약살포후 1주일 후에 400배액으로 살포).
그 결과, 뿌리의 발달이 좋아져 뿌리가 겉으로 나오지 않고 깊이 들어갔으며(공극량 증대), 산성 토양의 염류와 수소이온이 분해되었고, 토양이 떼알구조를 만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지렁이가 생김). 또, 식물은, 노균병 및 잿빛 곰팡이병이 예방되었고, 곡과가 덜 생기고 착과율이 좋아졌으며(생산품의 과육이 단단하고 저장성이 뛰어나며, 공동과의 발생이 적고 오이 고유의 향이 남), 농약비료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었다(농약과 비료의 사용을 60∼80%정도 줄여 저공해 농산물 생산이 가능함). 잎이 두껍고 커지며 생육이 왕성해서 기존 정식거리보다 넓게심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잔디의 비료로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방법은, 엽면시비로서, 물과 400∼500배와 1,000∼1,500배 희석액으로 m2당 150∼200cc와 m2당 300∼400cc로 각 골프장의 그린, 티, 페어웨이 등에 3월부터 11월 사이에 살포하였으며, 산성제품의 비료나 농약 또는 백당과는 혼용하지 아니하였다. 또, 토양에 살포시 원액 1L당 백당 2Kg∼3Kg을 물에 녹여 물과 500배 희석액으로 m2당 200cc를 살포하였다.
잔디는 생장에 적당한 영양상태가 되지 않으면 종종 생장이 더디어지거나 고사하며 영양 결핍이 되면 황화현상(잎이 노랗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뿌리 발육 부진,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고 전체적으로 생장이 부진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살포함으로써 토양 염류집적과 생리장애를 없애주는 토양 개량제로써 염분농도를 중화시킬 뿐아니라, 공기중의 질소 성분을 이용하여 잔디 생장을 촉진하여 황화현상을 예방하고 잔류성분을 흡수하게 하며 미량요소의 결핍을 보충시켜주며, 토양의 호기성 미생물 중식으로 뿌리 발육 성장에 도움을 주어 런너 현상(매트현상)을 예방하는 등의 효과가 있었다. 또, 단립화된 토양을 입단구조로 바꾸어주며, 토양을 부드럽고 푸석푸석하게 해주고 통기성을 개선하여 불 뿐만 아니라, 과도한 화학비료 사용과 농약 사용으로 야기된 염기 및 유기독성을 중화시키는 데에도 탁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골프장의 경우, 그린 색상이 기존방법보다 오래 지속되고 잔디에 힘이 있었으며, 그린에 이끼가 끼지 않고 곰팡이가 서식하지 않았으며, 농약 살포량이 기존보다 현저하게 감소되고(년 평균 12회 이상 ∼20회 살포하던 것을 금년에는 예방시약만 5회 살포함), 살포직후에 외관상 표시가 안나 경기에 지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정화용으로 사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에서의 정화제(종균제, 미생물제 등)라 하면 활성균을 칭하며, 박테리아(균) 총수는 보통 수억에서 수십억마리(마리/g당)이상의 미생물제제로서 형상은 분말 또는 액상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사용법은 활성안정된 상태에서 유지관리시에 보통 투입량을 폭기조 용적대비 5∼50ppm을 매일 투입하게 되므로서 유지관리 비용이 과다하며, 처리기능상의 문제는 정화제(분말)가 유기물(95%이상)을 내포하기 때문에 제2의 오염원을 만들 수 있으며, 또 이후에 슬러지(sludge)처리의 대한 문제발생도 대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미생물제와 달리 기존에 자생된 박테리아와 유입하는 각종의 균을 혼합하면서 유기물 또한 결집시켜 유기성질소와 암모니아질소 발생을 억제시키며 생물균의 활성을 왕성하게 하고, 산소 소모량이 극대화, 즉, DO:3∼6ppm정도 유지시켜야 되나, 본 발명은 DO:2ppm이하에서도 양질의 처리수를 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슬러지감소와 처리수는 양호하게 된다. 단, 처음 시운전(seeding)시에 빨리 정상화시킬 때 일반 미생물제를 병행 처리하면 활성정상화가 단축시킬 수 있다.
처리효율성 고도처리에 첨가제로 사용할 때,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미생물 활성제로서 혐기성소화력도 강한 흡착력에 의하여 도움을 주며,주로 질소, 인등의 처리는 혐기성 상태에서 이루어질 때 질소, 인등의 감소 또한 현저하게 차이를 나타내며, 혐기성조를 병행 처리한 처리장은 70∼80%이상의 처리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원액 대비 설탕 1%첨가하고 지하수 or증류수를 300배율로 희석하여 오수정화처리시설 현장에서 사용하였으며, 폭기조 용량대비 20ppm을 2일 간격으로 투여하였다(4회 정도). BOD 180ppm, COD 200ppm 및 슬러지 180ppm의 폐수를 여과하고 교반/폭기한 후, 본 희석액을 투여한 결과, 3∼4일 후에 BOD 5ppm, COD 7ppm 및 슬러지 5ppm으로 정화되었으며, 약 3주후에는 육안으로 비교될 정도로 안정되었고, 보건제로서 미생물균제를 첨가하면서 함께 투여하면 고도처리 효과와 단기간에 안정처리가 이루어졌다. 유지관리시에는 주 1회∼2회 정도 폭기조 용량의 3ppm을 지속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안정화 처리를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유기물의 분해촉진에 의한 처리기능을 향상시키고, 오니의 부상, 팽화, 해체현상을 방지시키며, 사상균의 활동억제와 유효생물균의 보존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작용에 의한 악취제거, 즉, 가수분해, 산폐, 중합에서 오는 변질시 등의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원료 1ℓ를 수영장 물5ton에 분사기로 살포하여 투입한 결과, 수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세균들에 활동을 둔화시키고, 수영장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며, 이용객들에 피부병을 예방함을 알 수 있었고, 염소 농도를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물속의 암모니아나 악취를 제거시켜 주는 등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액상 음이온 알칼리 원료로서 다용도의 공산품,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등에 응용할 수 있고 사료발효제로서 사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에 의한 음이온 알칼리 처리효과는, 1) 사료 섭취량이 크게 증가하고, 2) 건물 소화율이 향상하였으며, 3) 셀룰로오즈 부분이 팽창되어 미생물이 더 쉽게 부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셀룰로오즈의 소화율이 높아지며, 4) 저질조사료의 에너지 이용성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며, 5) 가성소다는 취급시 위험성이 있으나, 안전하고, 6) 볏짚의 소화율을 50%이상 향상시켰으며, 7) 소화율(무처리구 →처리구)에 있어서는, 조섬유가 70 →81%로, 가용무질소물이 54 →63%로, 총탄수화물이 56 →67%로, 셀룰로오즈가 71 →81%로, 리그닌은 -4 →+16%로, 기타 탄수화물은 76 →77%로 향상하였고, 8) 가용성 영양소의 손실을 방지하였으며, 9) 암모니아 발생물질인 뇨질소량이 감소되고, 10) 니코틴산(Nicotinic acid)의 결핍으로 인한 성장률 저하를 회복시키는 것(옥수수의 니코틴산이 알칼리 처리로 말미암아 유효한 형태로 되기 때문)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물면역세포 증가에 있어서는, 음이온 알칼리 발효사료에 의해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바, 닭의 경우, 면역세포 증강효과, 즉, MHC-Class Ⅱ 발현세포 51.38%에서 투여후 1개월에 73.49% 높게 나타났으며, CD4T 림프구는 투여 전 17.25%에서 투여후 1개월후 33.28%로 나타났고, CD8T 림프구는 19%에서 22.68%로, B림프구는 18.39%에서 20.30%로 각각 면역기능이 증강됨을 알 수 있었다.
돼지의 경우, MHC-Class Ⅱ 발현세포가 투여 전 13.58%에서 투여후 1개월후 21%로 높게 나타났고, CD2T 림프구는 53.67%에서 58.32%로, CD4T 림프구는 16.51%에서 27.85%로, CD8T 림프구는 33.08%에서 38.27%로, B림프구는 5.35%에서 6.73%로 나타났고, 과립구는 5.0%에서 48.1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소의 경우, MHC-Class Ⅱ 발현세포가 투여 전 48.40%에서 1개월후 53.60%로, 2개월후 58.20%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CD2T 림프구는 36.70%에서 39.14%로, CD4T 림프구는 6.40%에서 1개월후 8.90%로, 2개월후 10.70%로 나타났고, CD8T 림프구는 25.08%에서 1개월후 15.8%로, 2개월후 13.9%로 나타났으며, B림프구는 30%에서 1개월후 52.2%로 2개월후 25.40%로 나타났다.
그 사료발효제로 발효시킨 사료는 섭취율이 높고, 소화율이 좋으며, 항병력이 강하고 영양가치가 매우 높은 특징을 가질 뿐 아니라 각 종의 농. 수. 축산 부산물, 예를 들어 밀, 미강, 왕겨, 톱밥 등을 발효원료로 활용하므로써, 사료 생산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원료이며, 실온 및 상온에서 발효할 수 있는 음이온 알칼리성 이온화 원료로서 유기물 및 무기물, 그 중 나트륨, 칼륨, 규소를 함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편적인 환경 온도(실온)에서 음이온을 방출하며, 그것은 일종의 미생물 활성제이며, 항균, 항바이러스 등 병균침입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료 및 축산물 품질을 바꾸는데 있어서 응용된 하나의 참신한 개념이다.
현재 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로 생산하고 있어 사료 원료에 대한 비용이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농·수·축산 부산물은 사료배합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제한된 양을 사용한다. 또한 배합사료에는 여러 가지의 첨가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항균제, 성장촉진제, 항생제 등을 사용하므로서 육질에 잔류성분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 축산물의 품질 및 맛으로 볼 때, 발효사료로 급여한 육질보다 배합사료로 사육한 육질은 요리 및 가공제품이 맛이 떨어진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일종의 신형 다용도 다기능성 제품인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발효제로 사용하여 발효시킨 사료는 다른 효소제 성장촉진제 등을 첨가할 필요가 없이 직접적으로 가축을 사육할 수 있어 육질에 잔류성 문제를 해결하는 무공해 제품이고 농가에 고소득을 보장할 수 가 있다.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발효제로서의 특징과 효과는, 다음 실험예에서와 같이, 액상 음이온 강알칼리 원료로서 생물세포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산균의 발효대사 활동을 도와주며 그 기능은 다방면이며, 예를 들어 1) 발효, 2) 육질개선, 3) 사료의 신선도 유지, 4)비녹말류, 탄수화물분해, 5) 항균작용, 6) 악취제거, 7) 항바이러스 작용, 8) 해독작용, 9) 면역성 증강, 10) 자외선으로 인한 손상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양돈사료에 응용의 예
1) 일반적인 유산균 발효와 달리 비교적 낮은 온도화에서도 사료를 발효시킨다.
2) 발효된 사료는 곰팡이 형성을 억제하므로서 저장기간이 30∼50일동안 신선도를유지할 수 있다(일반 발효사료는 10일 이내).
3) 일반 발효제로 발효시킨 사료보다 영양가치가 높고 섭취률, 사료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4) 음이온 알칼리 원료로서 유산균의 증식으로 면역기능이 강해지므로 약품사용이 감소된다.
5) 돈사내의 악취감소로 인한 스트레스 예방과 괘적한 환경유지가 가능하다.
6) 농·수·축산 부산물을 이용하게 되어 사료비용을 크게 절감한다.
7) 돼지의 증체율이 15∼20% 향상, 사료 소화율 10∼30% 향상, 육질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8) 항병력이 강화되고, 영양소가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모돈이 비육돈으로 성장하는 것을 극복하고, 특히 자돈의 설사병을 예방할 수가 있다.
양계에서는 산란율이 12% 향상되고, 자라에 응용된 것을 보면 물과 500∼600배로 희석하여 자라를 넣은 후에 자라의 구강병이 치료되었으며, 대하의 경우, 대하의 양식 기간중 물과 500∼600배 희석시킨 용기에 넣은 후, 대하의 면역기능이 크게 강화되었고, 또한 오리실험에서 알의 맛이 오리알 특유의 비린내가 크게 줄어들고 마치 계란 맛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신선도 유지의 면에서도 항균성이 뛰어나고, 부패균이 발생되지 않았다. 2차로 발효시킨 사료를 수분량을 13%이하로 건조시킨 결과, 60일 이상 신선도를 유지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였다.
음이온 알칼리 에너지인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은, 상온에서고효율의 음이온 방사효과와 원자의 이온화로 인하여 생체 활성화와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서 단백질 효소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환경조건을 단시간 내에 조성, 실온에서 고효율로 발효시키는 기능이 있다. 발효사료는 동물이나 인체에 꼭 필요한 다량의 필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이온 알칼리의 기능으로 인해 유기화합물을 분해 단백질의 아미노산화와 비타민 E, EPA(C20:5, ω3), DHA(C22:6, ω3) 등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 전환시키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산(오메가 6)과 알파 리놀렌산(오메가 3)을 다량 생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발효사료는 다양한 효과와 기능성으로 인해 동물특유의 악취발생이 없으며, 체내의 노린내와 비린내가 잔류되지 않아 도축시와 요리시 냄새 발생에 대한 혐오감이 없으며, 영양가 효율이 매우 높은 맛좋고 신선도가 뛰어난 저 콜레스테롤의 돼지고기를 비롯하여 비프, 치킨, 에그, 밀크 등 품질 좋은 안전성 축산물 생산과 환경 친화적 농장운영에 꼭 필요한 발효사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온 고효율 음이온 알칼리 효과 외에도 항균, 항바이러스, 소취, 소염, 혈전분해, 요산분해, 신진대사 촉진, 독성분해, 중금속 분해, 악취제거 및 냄새분해 기능과 단백질 효소 활성화(호기성 미생물 활성화를 위한 환경조성)로 발효촉매 기능이 매우 우수한 음이온 알칼리 원료이다.
또한, 양질의 자가 배합사료 생산을 실현시킬 수 있어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자가 배합사료는 인근 미곡종합처리장에서 구입한 쌀겨를 주원료로 하여 1차 발효를 시키며 돼지의 단백질 공급을 위해 자돈용과 성돈용을 구분하여 배합사료를 각각 50%, 20%씩 혼합, 배합한다. 여름의 경우 5일, 겨울은 15일간 발효시켜 생산된 양질의 사료를 돼지에 급여하면 각종 호흡기질병을 비롯하여 설사병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출하시까지 약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질병발생이 전무하여 40일령의 자돈을 입식 110Kg까지 1백 10일간 사육한 후 출하할 정도로 육성율이 좋다. 특히 분뇨 발생량이 배합사료 급여시보다 20∼25%정도 감소하여 돼지 입식후 출하 시까지 톱밥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며 냄새는 물론 파리도 생기지 않을 정도로 쾌적한 환경조성이 가능하다. H농장의 자가 배합사료 생산 정착은 돼지에게 필요한 최적의 영양을 급여키 위한 수많은 시험과 연구를 거듭한 결과이며 음이온 알칼리 원료를 이온화한 특수첨가제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실험연구에 의해 생산된 돼지고기는 거세를 안해도 응취가 없으며 기름기가 잘 분포되어 품질이 좋고, 일반돼지고기 기름이 하얗게 굳는 것과는 달리 맑고 투명하게 굳으며 담백한 맛을 내는 특징이 있다.
발효사료급여가 착유우에 대한 체세포수의 감소효과 및 유량 증대효과에 대한 시험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사료를, 착유우 규격의 공시품종인 홀스타인 18두(1. 대조구 : 9두, 2. 시험구 : 9두)에 대하여 첨가 급여시 우유중의 체세포수 변화 및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 젖소는 시험전 산유량과 체세포수를 조사하여 균등히 배치하였으며, 농후사료로서 대조구는, 배합사료를 1일 2회 급여(종축과 사양기준에 준함)하였으며, 시험구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발효시킨 발효사료를 기존 배합사료에 2%씩 섞어서 대조구와 같은 양의 사료를 급여하였다(조사료: 자유채식).
(1) 착유는, 1일 2회 파이프 라인 착유기로 착유하였고, (2) 원유채취는, 10일 간격으로 시험 개시전 2회, 시험개시후 3회 분방별 채취하였으며, (3) 체세포수 조사는 시료 채취후 체세포 검사기로 검사하였고, (4) 산유량 측정은, 개체별로 매일 조사하였다.
(1) 사료 섭취량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대조구
② 시험구
(2) 등급별 체세포수 검사
① 대조구(9두)
② 시험구(9두)
(3) 산유량 조사
(4) 유대조사
① 대조구
① 시험구
(5) 경제성 분석
위의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 섭취량 조사
대조구는 시험개시전 11.82Kg, 시험개시후 11.82Kg으로 변함이 없었으며, 시험구는 시험개시전 11.79kg, 시험개시후 11.81kg으로 사료 섭취량이 소량 증가되었다.
(2) 체세포수 조사
발효사료 급여전·후 증감에서 대조구는 1등급 발현율이 4.17%, 시험구는 29.17%로 증가하였고, 2등급 발현율이 대조구 1.39% 시험구는 2.78%이었으며, 3등급 발현율은 대조구가 4.17% 증가하였고 시험구는 8.33%가 감소하였으며, 4등급은 대조구가 8.33%, 시험구는 23.62%가 감소되었다.
원유 체세포수 등급 기준을 국제적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원유의 위생 향상 및 품질 고급화를 유도하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어 등급 향상에 의한 소득 증대가 예상된다.
(3) 산유량 및 유대조사
산유량은 대조구가 시험개시전(20일간) 4,860Kg, 시험개시후(30일간) 7,344Kg으로 나타났고, 시험구는 시험개시전 4,770kg시험개시후(30일간) 8,370kg으로, 시험개시후 시험구가 1,026Kg(30일간)을 높게 생산되었다. 이는 1일 1두당 시험구가 3.8Kg을 더 생산하였다.
유대는 대조구가 시험개시전 2,738,880원, 시험개시후 4,216,680원이며, 시험구가 시험개시전 2,710,099원, 시험개시후 5,124,424원으로 시험개시후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907,744원의 수익이 높게 나타났다.
(4)경제성 분석
5회에 걸쳐 10일간격으로 시험한 결과, 조수입은 대조구가 6,955,560원, 시험구가 7,834,523원이며, 경영비는 대조구가 1,456,090원, 시험구가 1,536,369원으로 나타나, 50일 동안의 소득은 대조구가 5,499,470원, 시험구가 6,298,154원으로, 시험구가 798,684원이 높게 나타나, 년간 5,830,394원의 소득과 1두당 년간 소득은 647,822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에 볼 때, 발효사료의 급여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체세포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유방염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우유의 등급이 향상되었고, 산유량 증대의 효과가 있어 유량증대와 등급향상에 의한 추가소득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양돈에 대한 질병예방 효과 및 증체율 시험결과
갓난 돼지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를 첨가 급여시 질병예방 효과와 증체율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서 155일간에 걸쳐 1) 돼지 질병발생 빈도 조사, 2) 항생제 사용 감소에 따른 안전한 축산물 공급, 3) 돼지 증체량 변화 조사 등을 3원교잡종의 품종에 대해 갓돈∼출하시까지의 60두에 대하여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대조구와 시험구의 설정은, ① 대조구: 20두(일반 배합사료 급여구), ② 시험 1 구: 20두(배합사료+ H사 효소제), ③ 시험 2 구: 20두(배합사료+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로 하고, 사료는, ① 갓난돼지(체중 5kg미만)의 대조구에 일반 배합사료를, 시험 1구에는 배합사료 + H사 효소제 2%를, 시험 2구에는 배합사료+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 5%를 급여하였고, ② 젓먹이 돼지(체중 5∼10Kg미만)에 있어서, 대조구는 배합사료를, 시험 1구에는 배합사료+ H사 효소제 2%를, 시험 2구에는 배합사료 +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 4%를 급여하였으며, ③ 젖뗀 돼지(체중 10∼25Kg미만)에 대해서는 대조구에는 배합사료를, 시험 1구에는 배합사료+ H사 효소제 1.5%를, 시험 2구에는 배합사료+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 3%를 급여하고, ④육성돈(체중 25Kg∼출하시까지)에 대해서는 대조구에 배합사료를, 시험 1구에는 배합사료 + H사 효소제 1%를, 시험 2구에는 배합사료+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 1%를 급여하였다. 그 시험성적은 다음과 같았다.
1)사료 섭취량 조사
2) 증체율 조사
3) 경제성 분석
또한, 항생제 투여 및 잔류검사에 있어서는, 비육 전기에만 항균제 함유 사료를 급여하고 비육 후기에는 모든 항균제를 제외시킨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돈육의 잔류 시험 결과 항균제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시험 전기간동안 대조구에 한해서 갓난 돼지시기에 설사가 발생하여 항균제 치료를 1일 하고 전시험구 및 대조구에서 질병이 걸리지 않아 항생제를 전혀 투여하지 않았다.
돈사내부 환경오염 방제는, 본 발명에 관련한 발효사료 투여군에서는 분뇨량이 감소하고 악취가 심하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또한, 155일 동안 시험을 하면서 사료 섭취량을 보면 대조구 4,630Kg/20두, 시험1구 4,640Kg/20두, 시험2구 4,765Kg/20두로 나타났고, 생체중량은 평균 1두당 대조구는 96.1Kg, 시험1구 99.2Kg, 시험2구 112.6Kg로 나타났다. 즉, 대조구에 비해 본 발명에 관련한 발효사료 투여군이 소득에 있어서 20두 기준 ₩650,328원, 평균 1두당 소득은 출하시까지 대저구보다 ₩32,516원의 소득이 기대된다. 또한 110Kg 도달 일령이 평균 175일 정도를 감안하면 획기적인 증체 효과를 나타낸다. 또, 농가의 만성 소모성 질병 방제에 따른 약품비, 각종 위생방역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양관리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면 생산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육계에 대한 질병에방 효과와 출하일령 단축시험
시험수를 35,000수로 하여 2000년 6월 28일∼7월 29일 (32일간) 본 발명에 관련한 발효사료와 액상사료를 입추시부터 첨가 급여시 질병예방 효과와 출하일령 단축을 시험하였으며, 시험방법은, 1)입추시 ∼10일령까지: H사 배합사료 5톤에 발효사료 60Kg(3포), 액상사료 매일 2∼3시간 급여하고, 2) 10일령 ∼20일령까지: H사 배합사료 5톤에 발효사료 40Kg(2포), 액상사료 매일 2∼3시간 급여하였으며, 3) 20일령 ∼출하까지 : H사 배합사료 5톤에 발효사료 20Kg(1포), 액상사료 매일 2∼3시간 급여하였다. 그 결과, 질병발생 빈도에 있어서는, 12회 육계를 사육하면서 콕시듐이 계속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 관련한 발효사료와 액상사료를 급여한 결과 콕시듐 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출하시까지 전혀 발생되지 않았으며, 기타 질병도 발생되지 않아 약품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출하일령에 있어서는, 32일령에 1.51Kg로 출하하였고 사료효율이 1.72, 생산지수는 262가 나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를 사용하면서 질병예방 효과, 출하일령 단축, 사료효율개선, 계사내부 암모니아 가스감소, 사료 기호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35,000수 규모에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를 24포를 급여하고 액상사료를 3말을 급여하여 총 구입비 876,000원을 투자하여 기존 약품 및 첨가제 구입비가 평균 1,300,000원에 비해 약 400,000원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폐사율 감소 및 출하단축으로 기존에 비해 약 2,500,000원 정도 소득을 올일 수 있었다.
어류에 대한 시험
13개월간 광어 및 우럭 각 100,000수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제를 미강에 톤당 1ℓ을 넣고 백설탕 2∼3Kg을 물에 희석하여 사료의 수분율을 30%정도 되게 골고루 살포후 15℃∼30℃ 온도하에서 발효시켜 시험하였다. 그 발효기간은, 봄, 여름, 가을 온도차이에 따라 4∼7일 정도면 완전 발효되고, 겨울철에는 4∼5일경부터 발효가 시작되어 13∼14일 정도 되면 완전 발효된다. 급여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를 생사료(고등어, 정어리, 명태, 기타잡어)에 5∼10%를 첨가하여 펠렛사료로 급여하였다.
그 시험결과, (1) 사료섭취율과 소화율이 매우 좋아지고, (2) 기존 항생제를 일체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현재까지 질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3) 수질오염 부분에서 기존의 바닷물을 1일에 2회 교환하던 것을 1주일에 한번 교환하여도 수질오염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물교환으로 인한 어류의 스트레스 예방에도 효과가 있었고, (4) 출하 및 성장부분에 있어서 대조군은 14∼15개월 정도 성장시켜 출하시키던 것을,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를 이용한 시험군을 12∼13개월만에 출하하게 되어 대조군보다 시험군이 2개월 정도 빠르며, 17%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 사료절감효과를 가져다주었으며, (5)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대조군보다 시험군이 육질이 쫄깃쫄깃하여 30∼35%의 고수익의 효과가 있었으며(도매가격으로 마리당 500원을 더 받음), (6) 폐사율 감소와 양식장 환경개선 효과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며 출하수량 증가로 총수입 증대와 경쟁력을 높여 좋은 제품임을 판단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제를 이용한 발효사료를 만들어 축산농가에서 직접 자급자족함으로써 설비 투자를 최소화하고 농·수·축산의 부산물 이용을 극대화하면 사료 생산비의 대폭절감과 가축의 만성질환 및 악성질환(유방염, PED, TGE, AR, PRRS, 구제역 및 각종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발효사료는 기존 배합사료에
다양하게 첨가하여 사용하면 각종 질병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며, 효소제나 발효균사체를 이용한 발효사료에 비해 맛과 영양가 면에서도 매우 월등하며 기능성과 신선도 유지면에서 기술적으로 앞서 있어 국내 및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기타 자라에 대해서도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에 의한 발효제를 물과 500∼600배로 희석하여 자라를 넣은 후에 자라의 구강병이 치료되었고, 대하(큰 새우)를 물과 500∼600배로 희석한 것에 넣은 후에 대하의 면역기능이 크게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유산염(AES) 17∼23wt.%, 이지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LDAD) 7∼11wt.%,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AEAE) 4∼6wt.%, 에틸알콜2∼4wt.%, 파라돌엔슬폰산나트륨 2∼4wt.% 및 물 38∼48wt.%를 함유하며,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액상의 복합기능조성물(천연광물 추출물)을 15∼20wt.% 함유하고, 향 0.05∼0.15wt.%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서, 그 농약분해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유산염(AES) 19.9wt.%, 이지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LDAD) 9wt.%,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AEAE) 5wt.%, 에틸알콜 3wt.%, 파라돌엔슬폰산나트륨 3wt.% 및 물 43wt.%를 혼합하여 교반한 후, 상술한 액상의 복합기능조성물(천연광물 추출물)을 17wt.% 첨가하고, 향 0.1wt.%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종래의 영일화학(주)의 솔솔입제를 이용하여 토양의 시료를 분해처리한 결과, 그 분해처리전의 잔류량(ppm)이 각 시료에 대해 0.08, 0.08, 0.09, 0.09이던 것이 분해제처리(24시간경과)후에는 0.05, 0.07, 0.04, 0.06으로 감소되어 24시간에 33%의 분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농약분해제의 경우, 본 실험에 사용된 농약의 표준품은 SUPELCO사제이며, 동물에 심각한 중독증상을 발생하는 오르간노포쉐이트(organophoshate) 계통의 대표적인 원예를 농약인디클로로보스(dichlorovos) 10ppm은, GC/MS에 의한 분석결과, 농약분해제의 원액상태에서는 5분만에 완전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5 희석액에서도 75%의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10분경과시 1:3, 1:5 희석액에서는 65%이상 감소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는, 물(H20) 85∼95wt.%, 에틸알코올(C2H5OH) 3∼7wt.%, 말티톨(C12H24O11) 0.5∼1.5wt.%을 함유하고, 또한,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액상의 복합기능조성물(천연광물 추출물)을 2∼4wt.% 함유하며, 또, 수산화칼륨(KOH) 0∼0.5wt.%, 박하향(Mentol) 0∼0.3wt.%, 계면활성제 0∼1.0wt.%, 그리고, 안식향산나트륨(C7H5O2Na) 0∼0.1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적인 탈취소독제의 예로, 물(H20): 90wt.%, 에틸알코올(C2H5OH): 5wt.%, 본 발명의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3wt.%, 말티톨(C12H24O11): 1wt.%, 수산화칼륨(KOH): 0.5wt.% 이하, 박하향(Mentol):0.2wt.% 이하, 계면활성제: 0.1wt.% 이하 및 안식향산나트륨(C7H5O2Na): 0.1wt.% 이하를 순차로 혼합,교반하여 탈취소독제를제조하여 시험한 결과, 아세트산(김치냄새) 5% 농도, 담배연기, 암모니아(분뇨냄새) 2.8% 농도, 트리메탈아민(생선냄새) 3.0% 농도에 대해 악취도를 0에서 5로 6단계로 구분한 때에 거의 무취(0)에 가까운 1(감지 취기)에 해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및 농약분해제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공기 중에 있는 질소와 탄소를 끌어당기어 식물이 활용할 수 있어, 식물 생장조절 내지 발효(미생물 증식 보조제)의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 알카리 에너지를 이용하는 값싸고 품질 좋은 무공해 발효사료로 응용될 수 있고, 특히, 농작물에 살포하여 잔류농약을 세척 내지 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살균, 소독, 탈취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ethylene-diamine-tetra-acetate)칼슘2나트륨 (C10H12CaN2Na2O8ㆍ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붕사(Na2B4O7) 5∼10g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3.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마련한 후,
    물(H2O)을 60∼80℃로 가열한 후, 규산칼륨(K2O·nSiO2)을 첨가하여 교반함을로써 수용액을 만든 다음, 회전속도를 빨리 하여 글리세로 인산 칼슘(C3H7CaO6P), E.D.T.A 칼슘 2나트륨(C10H12CaN2Na2O8·2H2O), 염화칼슘(CaCl2)을 순차로 넣어가며 교반시켜 수용액을 만들고, 용해열반응을 보아가며 교반기 회전속도를 서서히 높여 브름화칼륨(KBr), 소르브산칼륨(O6H7KO2) 및 염화칼륨(KCl)을 첨가하며, 교반하는 과정에서 피로인산 나트륨(Na4P2O7·10H2O)을 열반응을 체크하며 넣은 다음, 20분후에시클로 아밀로우스((C6H12O6)n)을 넣어 15분정도 교반하여 전체물질을 안정시킴으로써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피로인산 나트륨(Na4P2O7·10H2O)과 시클로아밀로우스((C6H12O6)n)의 첨가사이에 붕사(Na2B4O7) 5∼10g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의 제조방법.
  5.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유산염(AES) 17∼23wt.%, 이지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LDAD) 7∼11wt.%,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AEAE) 4∼6wt.%, 에틸알콜 2∼4wt.%, 파라돌엔슬폰산나트륨 2∼4wt.% 및 물 38∼48wt.%를 함유하며,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 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액상의 복합기능조성물(천연광물 추출물)을 15∼20wt.% 함유하고, 향 0.05∼0.15wt.%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농약분해제.
  6. 물(H20) 85∼95wt.%, 에틸알코올(C2H5OH) 3∼7wt.%, 말티톨(C12H24O11) 0.5∼1.5wt.%을 함유하고, 또한, 물 1ℓ기준를 기준으로 하여 (1) 규산칼륨을70∼80g, (2) 글리세로인산칼슘을 10∼20g, (3) E.D.T.A칼슘2나트륨(C10H12CaN2Na2O8·2H2O)을 25∼35g, (4) 염화칼슘을 5∼10g, (5) 브름화칼륨을 60∼70g, (6) 소브르산칼륨을 20∼30g, (7) 염화칼륨을 15∼25g, (8) 피로인산나트륨을 30∼40g, 그리고, (10) 시클로 아밀로우스를 90∼100g을 함유하는 액상의 복합기능조성물(천연광물 추출물)을 2∼4wt.% 함유하며, 또, 수산화칼륨(KOH) 0∼0.5wt.%, 박하향(Mentol) 0∼0.3wt.%, 계면활성제 0∼1.0wt.%, 그리고, 안식향산나트륨(C7H5O2Na) 0∼0.1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KR10-2001-0000302A 2001-01-04 2001-01-04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02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302A KR100402816B1 (ko) 2001-01-04 2001-01-04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302A KR100402816B1 (ko) 2001-01-04 2001-01-04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719A Division KR100402817B1 (ko) 2003-09-01 2003-09-01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농약분해제
KR10-2003-0060720A Division KR100402818B1 (ko) 2003-09-01 2003-09-01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324A true KR20020057324A (ko) 2002-07-11
KR100402816B1 KR100402816B1 (ko) 2003-10-22

Family

ID=2769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302A KR100402816B1 (ko) 2001-01-04 2001-01-04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183B1 (ko) 2011-01-27 2013-06-28 (주)비전앤바이오테크 미생물의 증식 및 발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4341A (en) * 1983-09-06 1987-03-31 Monsanto Company Method and tablet for sanitizing toilets
WO1990008558A1 (en) * 1989-01-27 1990-08-09 Trans Delta Corporation Stabilized sterilizing or disinfecting halogen containing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US5449658A (en) * 1993-12-07 1995-09-12 Zeneca, Inc. Bio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polyhexamethylene biguanide and EDTA, and methods for treating commercial and recreational water
JPH11228315A (ja) * 1998-02-12 1999-08-24 Showa Kk 殺菌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816B1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14329B (zh) 小耳朵猪的生态养殖方法
JP5459980B2 (ja) 健康食品並びに飼料並びに肥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用の複合発酵菌体物
CN109618944A (zh) 一种超敏蛋白复合酶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962490A (zh) 一种浒苔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
KR101346018B1 (ko)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 및 액상법제유황을 이용한 농작물재배방법
CN107279591A (zh) 一种生物鱼肥及其制备方法
CN104745196B (zh) 一种多功能oh‑游离基浓缩液的制造方法
JP2023179490A (ja) 有機物からリンを遊離する方法
KR20210010422A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24339A (ko) 친환경 발효액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2816B1 (ko)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02818B1 (ko)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탈취소독제
CN107488077A (zh) 茶麸有机肥制作方法
KR100402817B1 (ko) 강알칼리성 복합기능 조성물을 함유한 농약분해제
KR101834749B1 (ko) 인진쑥, 어성초, 및 자소엽을 이용한 동물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CN101690735A (zh) 一种复合微生物保健剂及其制备方法
KR20090102378A (ko) 쑥을 주원료로 하는 천연 살균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361246A (zh) 一种鳜鱼人工养殖用鱼肥
JPH0231651A (ja) 飼料
CN115849992A (zh) 阳光猪尿液肥
CN105707403A (zh) 禽畜粪生产复合元素富硒锗蝇蛆蛋白粉工艺
KR101280183B1 (ko) 미생물의 증식 및 발효 촉진용 조성물
CN114287522A (zh) 一种改善动物产品品质的方法
CN110810336A (zh) 一种黑猪散养方法
KR20210020641A (ko) 유기 게르마늄 마늘 재배방법과 그 유기 게르마늄 마늘을 이용한 흑마늘 가공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