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683A -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683A
KR20020055683A KR1020000084883A KR20000084883A KR20020055683A KR 20020055683 A KR20020055683 A KR 20020055683A KR 1020000084883 A KR1020000084883 A KR 1020000084883A KR 20000084883 A KR20000084883 A KR 20000084883A KR 20020055683 A KR20020055683 A KR 2002005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suspension mount
mount rubber
rubber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950B1 (ko
Inventor
이은봉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9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damper being connected to the stub axle and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를 벨로즈(bellows) 형상으로 형성하고,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과다한 압축으로 인한 베이스쉘(base shell)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러버링을 삽입/고정하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내에 일정한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Suspension mount rubber of shock absorb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를 벨로즈(bellows) 형상으로 형성하고,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과다한 압축으로 인한 베이스쉘(base shell)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러버링을 삽입/고정하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내에 일정한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 장치는 자동차의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게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현가 장치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코일 스프링(12)과, 상기 코일 스프링(12)의 진동을 흡수, 억제하는 쇼크 업소버(10) 및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현가 장치의 역할은 구동 바퀴에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할 때에 각 바퀴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할 때의 원심력에도 견디고, 각 바퀴가 차체에 대해 바른 위치로 지지가 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쇼크 업소버(10)는 통상 차체와 현가 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의 상단부가 쇼크 업소버(10)의 로드(14)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쇼크 업소버(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흡수된 진동 및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는 진동 및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런데, 종래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는 일체형 러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험로 주행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의 흡수 기능에 한계가 있고, 쇼크 업소버(10)의 베이스쉘(18)이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에 접촉시에 스프링 상수가 커져 진동수가 증대됨으로써, 자동차의 승차감 향상에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험로 주행시에는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과다한 압축으로 인하여 그 압축력이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의 충격 흡수력에 비해 더 증대되기 때문에 쇼크 업소버(10)의 베이스 쉘(18)이 스프링 고정 브라켓(13)에 부딪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쇼크 업소버(10)의 과다한 압축으로 인한 베이스쉘(18)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러버링(16)을 삽입/고정하고,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내에 일정한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밸브(17)를 설치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쇼크 업소버11 : 고정 볼트
12 : 코일 스프링13 : 스프링 고정 브라켓
14 : 로드15 :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16 : 러버링17 : 밸브
18 : 베이스쉘
이하,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는 자동차의 바퀴와 차체 사이에 설치된 쇼크 업소버(10)를 통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상단에 설치된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는 벨로즈 형상으로 형성되고, 쇼크 업소버(10)의 과다한 압축으로 인한 베이스쉘(18)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러버링(16)이 삽입/고정되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내에 일정한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밸브(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은 쇼크 업소버를 나타낸다.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상단에는 이 쇼크 업소버(10)를 차체에 고정되도록 고정 볼트(11)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2)이 탄설될 수 있도록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스프링 고정 브라켓(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로드(14)의 상부에는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는 벨로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내부도 벨로즈 형상으로 쇼크 업소버(10)의 로드(14)에 접촉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러버링(16)이 삽입/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의 내부의 공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가 배출되고 유입되는 밸브(1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험로 주행시에는 쇼크 업소버(10)의 베이스쉘(18)이 과다한 압축으로 인하여 그 압축력이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의 충격 흡수력에 비해 더 증대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쉘(18)이 스프링 고정 브라켓(13)에 부딪혀 손상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에 삽입되어 있는 러버링(16)이 이를 방지하며 그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의 손상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밸브(17)는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 내에 공기가 배출/유입되어 일정한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는 양로 및 험로 주행시에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코너링시에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바퀴와 차체 사이에 설치된 쇼크 업소버(10)를 통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상단에 설치된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는 벨로즈 형상으로 형성되고, 쇼크 업소버(10)의 과다한 압축으로 인한 베이스쉘(18)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러버링(16)이 삽입/고정되며,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15)내에 일정한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밸브(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KR1020000084883A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KR10057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883A KR100579950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883A KR100579950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683A true KR20020055683A (ko) 2002-07-10
KR100579950B1 KR100579950B1 (ko) 2006-05-12

Family

ID=2768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883A KR100579950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270A (zh) * 2021-11-02 2022-04-01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抗扭拉杆悬置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270A (zh) * 2021-11-02 2022-04-01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抗扭拉杆悬置结构
CN114261270B (zh) * 2021-11-02 2023-08-29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抗扭拉杆悬置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950B1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950B1 (ko)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서스펜션 마운트 러버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0361302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JP2003227537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270375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1998002370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101125301B1 (ko) 스트럿 가변 인슐레이터
KR100220151B1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
KR19980067934U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하부마운트
KR19980054132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200373588Y1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19980046563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부시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19980028529U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070027086A (ko) 차량의 스트러트용 인슐레이터
KR19980044673U (ko) 자동차용 타이어
KR20070030990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구조
KR19980065582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팅
KR19990035378A (ko) 현가장치의 쇽업소오바와 상 콘트롤 아암의 결합부 완충 부쉬구조
KR19990019816U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로워아암 부시
KR19980054349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어셈블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