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368A - 접속용 단자 및 이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접속용 단자 및 이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55368A KR20020055368A KR1020010077445A KR20010077445A KR20020055368A KR 20020055368 A KR20020055368 A KR 20020055368A KR 1020010077445 A KR1020010077445 A KR 1020010077445A KR 20010077445 A KR20010077445 A KR 20010077445A KR 20020055368 A KR20020055368 A KR 200200553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terminal
- conductive plate
- circuit board
- stri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회로기판을 평탄한 도체에 확실하게 압접시키는 접속용 단자로서, 특히, 접촉부가 경사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압접되어도, 접촉부의 불규칙한 변형이 없으며, 또한 최적의 접촉압을 유지하는 접속용 단자를 제공한다.
대략 띠형상의 도전성 판재(板材)(11)로 이루어지며, 이 띠형상 도전성판재(11)의 일단에 회로기판(30)에 고착하는 고정부(12)와, 고정부(12)의 연장선상에 있음과 동시에 띠형상 도전성판재(11)의 고정부(12)측으로 만곡되며 만곡부분(13)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여 대략 평탄한 도체에 압접되는 접촉부(14)를 형성한다.
또, 고정부(12)의 폭 방향으로부터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를 접촉부(14)를 향해 절곡시키며, 각 측벽부(16a, 16b)의 높이를 접촉부(14)가 평탄도체(40)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 접촉부(14)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는 높이로 한다.
또한, 한 쌍의 가늘고 긴 측벽부(16a, 16b)의 간격을 접촉부(14)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하여, 접촉부(14)의 양 측부가 상기 측벽부의 내측 측벽에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속용 단자 및 그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전화기 등에서 사용되는 고주파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계가 다른 것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로기판을 다른 회로기판, 밀봉(seal)판, 샤시, 케이스프레임 등에 접지시키는 경우에 유효한 접속용 단자 및 그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로기판, 예를 들면, 프린트회로기판 위에 어스용 단자를 실장하고, 이 어스용 단자를 접지도체에 압접시켜, 그 프린트회로기판을 접지시키는 어스용 단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068557호, 실용신안등록 제3064756호에 개시되어 이미 공지의 것으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이 중 특허 제3068557호에 개시된 어스용 단자로서, 도 6은어스용 단자를 프린트회로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100은 어스용 단자, 140은 접촉부, 141은 규제부, 160은 벽 형상부, 161은 클릭부, 300은 프린트회로기판, 250a 및 250b는 도체패턴, 260은 크림땜납, 400은 접지도체이다.
도 6은 접지도체(400)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어스용 단자(100)는 박판 띠형상의 금속부재를 구부려서 형성하고 있다.
이 금속부재의 길이방향의 중심부근이 프린트회로기판과 접합되는 접합부(120)이며, 접합부(120)에서는 단면이 산 형상이 되도록 금속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구부려, 접합부(120)의 한쪽 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산 형상부의 양측의 2개의 면(120a, 120b)이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이때, 접합부(120)의 길이방향의 중심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홈부가 형성되며, 그 결과, 한 쪽의 접합면(120a)이 다른 쪽의 접합면(120b)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금속부재는, 각 접합면(120a, 120b)의 반대측으로 접합부(120)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접합부(120)의 양단에서 절곡된 금속부재의 한쪽은, 접합부(120)의 단말부에서 되접어져, 접촉부(140) 및 규제부(141)를 형성하고 있다.
접촉부(140)는, 어스용 단자가 프린트회로기판(300)에 납땜된 상태로, 접지도체(400)에 맞접하며, 되접은 부분(130)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한다.
도 7은, 접촉부(140)가 접지도체(400)에 맞접하여 탄성 변형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 접촉부(140)가 접지도체(400)에 맞접하고 있지 않는 상태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탄성변형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접촉부(140)는, 접지도체(400)에 압접하여 도통하며, 프린트회로기판(300)은 접지도체(400)에 접속된다.
이 어스용 단자(100)는, 또한, 접촉부(140)가 탄성 변형하므로서, 그 접촉부(140)가 그 탄성한계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접촉부(140)의 어스용 단자(100)의 접촉부(140)에 연신하여 규제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141)는, 접촉부(140)가 소정의 양만큼 탄성 변형하면, 선단부분이 접합부(120)의 접합면의 반대면에 맞접하게 되어, 접촉부(140)의 탄성변형의 양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어스용 단자에 있어서, 규제부(141)의 선단부분은, 접촉부(140)가 접지도체(400)에 압접할 때마다 규제부(141)의 선단부가 접합면(120)의 반대면에 맞접하게 되므로서, 상기 맞접하는 면을 손상시켜 접촉불량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접지도체(400)에 의해 접촉부(140)가 압접되었을 때에 규제부(141)의 선단이 접합면의 반대면에 맞접하게 되는 것에서, 접촉부(140)의 이동범위도 규제되어, 접촉부(140)의 탄성변형에 의한 반발력, 즉, 접지도체(400)와 접촉부(140) 사이에 소정의 접촉압을 얻기가 곤란하였다.
또, 접촉부(140)의 탄성변형의 중심이 되는 되접은 부분(130)의 부근에 있어서, 땜납이 빨려 올라가는 소위 위킹현상이 발생하여, 이 되접은 부분의 부근에 땜납이 부착하므로서 접촉부의 탄성변형을 저해시켜 스프링의 성능저하를 유발시키는 일이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접촉부(140)의 탄성변형의 중심이 되는 되접은 부분(130)을, 접합부의 작은 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작은 접합면(120a)에 공급된 땜납(260a)이 접촉부(140)의 되접은 부분(130)까지 빨려 올라가는 일이 없어, 되접은 부분(130)에는 땜납(260a)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되접은 부분(130)을 접합부의 작은 접합면(120a)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고 있는 것에서, 접촉부(140)의 형상을 특수한 것으로 성형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성형에도 과제가 있었다.
또, 되접은 부분(130)의 근처까지 땜납(260a)이 부착하기 때문에, 접촉부(140)가 탄성변형 할 때마다 땜납고착부분에 박리하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접촉부가 탄성변형을 반복하면, 이 부분이 박리되고 크랙이 발생하여, 도통을 유지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도 8은,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064756호에 개시되어 있는 어스용 단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 어스용 단자는, 프린트회로기판(350)의 접지패턴에 설치하기 위한 기판부와, 이 기판부의 한변으로부터 일체임과 동시에 기판부에 대하여 대향하는 측으로돌출한 스프링콘택트(311)로 이루어지며, 또한, 기판부로부터 일체로 세워 스프링콘택트의 선단부와 결합하는 결합벽(360)을 설치한 구조에 특징이 있다.
이 어스용 단자는, 기판부로부터 일체로 세워WU 스프링콘택트(311)의 선단부와 결합하는 결합벽(36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끝 등이 닿아서 생기는 불규칙한 외력에 대해서는, 결합벽(360)이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하여, 단자의 변형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변형된 스프링콘택트와 샤시 등의 사이에서 접촉불량이 생기거나, 기판을 샤시에 수납할 때에, 변형된 스프링콘택트가 걸려 수납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하는 등의 불편을 제거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어스용 단자는, 실드패널 등과 접촉되는 경우, 직상에서 압접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콘택트의 불규칙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나, 그 방향이 어긋나 실드패널 등이, 예를 들면, 경사, 혹은 가로방향으로부터 스프링콘택트가 압박되는 경우에는, 이 스프링콘택트는 가로방향으로 찌부러져서, 불규칙한 변형을 하고, 이후, 설계대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이 어스단자는, 스프링콘택트가 실제로 실드패널 등과 접촉하는 부위는, 실드패널 등과 접촉한 상태에서도, 그 비접촉상태의 때와 동일하게, 결합벽의 선단부 보다 높은 위치로 하여 스프링콘택트의 가동범위(요동범위)로 허용폭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스프링콘택트에서는, 실드패널 등에 의해 과도하게 압박되는 경우, 콘택트의 선단이 기판부에 맞접하여, 이 가동범위가 제한되므로서, 최적의 탄성력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여, 확실하게 회로기판을 평탄한 도체에 압접시키는 접속용 단자 및 그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접촉부가 경사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압접되어도 접촉부의 불규칙한 변형이 없고, 또한, 최적의 접촉압을 유지하는 접속용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접속용 단자를 회로기판에 땜납으로 고착시키는 경우에, 접촉부의 탄성변형의 중심이 되는 만곡부 부근에 땜납이 빨려 올라가서 위킹현상에 의해, 만곡부 부근에 땜납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부가 설계와 같은 접촉압을 유지하는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접속용 단자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접속용 단자를 회로기판에 실장(實裝)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으로 절단한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1점 쇄선 부분(B)의 확대도면.
도 5는, 도 3의 1점 쇄선 부분(B)을 확대하여,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확대도면.
도 6은, 종래의 어스용 단자를 프린트회로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으로 절단한 측 단면도.
도 8은, 다른 종래의 어스용 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스프링콘택트를 걸림 결합벽으로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며, (B)는 결합벽으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속용 단자 11 : 띠형상 도전성판재
12 : 고정부13 : 만곡부
14 : 접촉부15a, 16b : 가늘고 긴 측벽부
17 : 분단고정부 18,18a,18b : 노칭(notching)
19 : 분단고정부 20a, 20b : 돌출부재
25 : 도전체패턴(회로기판도체)26 : 크림땜납
26a∼26f : 땜납 필릿(fillet) 30 : 회로기판
40 : 평탄도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갖는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접속용 단자는, 대략 띠형상의 도전성판재로 이루어지며, 이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일단에, 회로기판에 설치하는 고정부와, 그 고정부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그 띠형상 도전성판재가 그 고정부측으로 만곡됨과 동시에 그 만곡부분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여 대략 평탄한 도체에 압접되는 접촉부를 갖는다.
또한, 고정부의 폭 방향으로부터 띠형상 도전성판재를 절곡시켜 한 쌍의 측벽을 형성하며, 그 측벽부의 높이는, 그 접촉부가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 접촉부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는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속용 단자가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된 경우는, 양호한 접촉이 접촉부와 평탄도체 사이에 유지됨과 동시에, 과도한 압박력이 접촉부에 가해진 경우에도, 평탄도체가 측벽부에서 규제되어, 영구변형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 한 쌍의 측벽부의 간격을 접촉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하며, 접촉부가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 양단의 측부가 측벽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용 단자는, 회로기판을 평탄한 도체에 확실하게 압접시킬 수가 있다.
특히, 접촉부가 경사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압접되어도 접촉부가 불규칙하게 변형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최적의 접촉압을 유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 고정부와 만곡부 사이에 있어서, 만곡부에 가까운 위치에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양쪽 폭 방향으로 각각 돌기부재를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접속용 단자를 회로기판에 설치하였을 경우, 돌기부재는 회로기판에 맞접하여 안정된 장착을 실현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대략 띠형상 도전성판재로 이루어지며,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일단에, 회로기판에 설치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띠형상 도전성판재가 고정부측으로 만곡됨과 동시에 만곡부분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여 대략 평탄한 도체에 압접되는 접촉부를 갖는다.
또한, 고정부에 노칭(notching)을 형성하여 분리시키며, 분리된 고정부와 분리부는,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폭 방향으로부터 접촉부를 향해 절곡시켜 형성한 한 쌍의 측벽부에 의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의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 고정부에 복수의 노칭을 형성하여, 고정부를 복수의 고정부로 분단하고, 고정부와 분리부를 분리하여, 양자를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폭 방향으로부터 접촉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한 한 쌍의 측벽부에 의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5의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 측벽부의 높이는, 접촉부가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 접촉부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는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속용 단자가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된 경우는, 양호한 접촉이 접촉부와 평탄도체 사이에 유지됨과 동시에, 과도한 압박력이 접촉부에 가해진 경우에도, 평탄도체가 측벽부에서 규제되어, 영구변형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 한 쌍의 측벽부의 간격을 접촉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하여, 접촉부가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에, 양단 측부가 측벽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가 경사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압접되어도, 접촉부가 불규칙하게 변형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최적의 접촉압을 유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4 내지 7의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 고정부와 만곡부 사이에 있어서, 만곡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양쪽 폭 방향으로 각각 돌기부재를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4 내지 8의 어느 한 항의 접속용 단자를 사용하여, 이 어느 하나의 접속용 단자의 회로기판도체로의 설치는, 복수의 분단고정부 가운데 만곡부에 근접한 분리부를 제외한 고정부의 저면을 회로기판도체에 땜납에 의해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설치방법에 의해, 접속용 단자는, 고정부와 도체패턴 사이에 있어서 땜납으로 고착되며, 만곡부에 가까운 부분의 고정부에서는, 땜납에 의한 고정을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속용 단자를 회로기판으로 실장시킬 때에 고정부의 땜납이 위킹현상에 의해 만곡부에 빨려 올라가 탄성이 변화하는 일이 없게 되어, 접촉부의 상대방 평판도체로의 접촉압을 거의 설계시의 수치로 유지할 수가 있다.
동시에, 만곡부에 땜납이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 보이는 만곡부에 땜납이 부착되는 것에 의한 크랙발생의 결함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접속용 단자 및 그 단자를 회로기판에 설치한 상태를 도 1로부터 도 3에 도시한다.
도 1은 접속용 단자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속용 단자를 회로기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 절단한 측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평탄도체(40)는 생략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접속용 단자(1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펀칭에 의해 형성한 대략 띠 형상을 이룬 도전성판재(1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도전성판재(11)의 일단에 있어서 회로기판에 설치 고정하는 고정부(12)와, 이 고정부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띠형상 도전성판재(11)를 고정부측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접촉부(14)와, 고정부(12b)의 양쪽 폭 측으로부터 접촉부(14)를 향하여 띠형상 도전성판재(11)를 절곡시켜 세워 올린 한 쌍의 측벽부(16a, 16b)로 구성된다.
띠형상 도전성판재(11)는, 소정의 폭, 두께 및 길이를 갖고, 양(良)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하며, 이 금속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표면처리를 실시한다.
이 도전성판재의 폭, 두께 및 길이의 치수는, 단자의 용도에 따라 임의의 치수로 선정하는 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용의 어스단자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치수는, 밀리(mm)단위로 선정된다.
고정부(12)는, 후술하는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땜납으로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부(12b)의 대략 중앙부 부근에 노칭(18)을 형성하여, 고정부(12)와 후술하는 만곡부(13)를 분리시킨다.
도 1은, 하나의 노칭(18)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점선과 같이 복수의 노칭(18a, 18b)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고정부(12b)를 또한 복수의 고정부분으로 분단시켜도 좋다.
상기 각 노칭(18, 18a, 18b)의 형상은,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역V자형 또는 역U자형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노칭(18)은, 고정부(12b)의 대략 중앙부근에 형성하였으나, 이 노칭은 이 중앙부에 한정하지 않고, 만곡부(13)방향으로 치우친 위치로 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부(12b)와 만곡부(13) 사이에 있어서, 만곡부(13)에 근접한 위치에, 띠형상 도전성판재(11)의 양쪽 폭에 필요에 따라 돌출부재(20a, 20b)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재는, 접속용 단자(10)가 회로기판에 고정되었을 때에 회로기판 면에 맞접하여, 접속용 단자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접촉부(14)는, 고정부(12)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띠형상 도전성판재(11)를 도중에 고정부측으로 만곡시켜 형성하며, 이 만곡부분(13)에 의해 탄성 변형시켜 탄력성을 부여하고, 또한 후술하는 대략 평탄한 도체와의 접촉개소는, 면 또는 선 접촉이 달성되는 형상으로 성형시킨다.
또, 접촉부의 선단은 필요에 따라 반대측으로 만곡시켜, 선단이 직접 고정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한 쌍의 측벽부(16a, 16b)는, 고정부(12b)의 양 측부로부터 접촉부(14)를 향하여 띠형상 도전성판재(11)를 절곡시켜 세워 형성한다.
이 측벽은 단자의 길이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하는바, 대개 대략 길고가는 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b)에 노칭(18)을 형성한 경우, 고정부(12b)와 만곡부(13)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한 쌍의 측벽부(16a, 16b)에서 양자를 결합시킨다.
또, 한 쌍의 측벽부(16a, 16b)의 간격(L2)은, 접촉부(14)를 형성하는 띠형상 도전성판재(11)의 폭 간격(L1)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하여, 양측의 측벽부(16a, 16b)의 내벽면에 접촉 또는 근접시키는 폭으로 선정한다(도 2참조).
이에 의해, 접촉부(14)가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에, 접촉부(14) 폭의 단측면이 양 측벽부(16a, 16b)의 내벽면을 슬라이딩 운동하게 되어, 접촉부(14)의 가이드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평탄도체가 직상에서가 아닌 경사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접촉부(14)를 압접시키는 경우가 있어도, 이 한 쌍의 측벽부(16a, 16b)는 궤도를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가늘고 긴 측벽부(16a, 16b)의 높이(H)는, 평탄도체에 의해 접촉부(14)가 압박되어도, 이 접촉부(14)의 단부가 고정부(12)의 표면에 맞접하지 않고, 혹은 맞접해도 강하게 맞접하지 않으며, 또한 만곡부(13)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14)가 평탄도체에 접촉한 상태로 소정의 접촉압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로 한다(도 3참조).
이 높이의 설정에 의해, 평탄도체에 의해 접촉부(14)가 통상보다 강하게 압박되어도 한 쌍의 측벽부(16a, 16b)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접촉부(14)가 만곡부(13)를 중심으로 과도하게 변형하여 영구 변형하는 일이 없어져, 설계한대로 접촉압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접속용 단자(10)를 회로기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30은 회로기판이다.
이 회로기판(30)은, 접속용 단자(10)를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의 어스용 단자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회로기판에는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고주파발신회로 등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용 단자(10)는, 이 회로기판(30)에 땜납 등에 의해 고착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도체(40)는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40은 접속용 단자(10)를 통하여 회로기판(30)의 도체패턴(25)과 접속되는 대략 평탄한 도체로서, 다른 회로기판, 샤시, 케이스프레임 등이다.
또, 25는 회로기판(30)위에 인쇄 등에 의해 이루어진 회로의 도체패턴, 26은 크림땜납이다.
다음에,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접속용 단자(10)의 회로기판(30)으로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1점 쇄선 부분(B)의 확대도면을 나타낸다.
접속용 단자(10)에 형성한 노칭(18)이 하나인 경우, 두 개로 분단된 17, 19 중에 고정부(17)를 회로기판(30)위의 도전체패턴(25)에 땜납에 의해 고정한다.
그 설치방법은, 먼저, 회로기판(30)위의 도전체패턴(25)에 있어서,고정부(12a) 및 고정부(17)에 대응하는 도전체패턴(25)의 부분에 미리 크림땜납(26)을 주지의 메탈마스크에 의해 공급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분리부(19)는, 도전체패턴(25)과의 사이에서 땜납에 의해 고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고정부(17)를 크림땜납(26)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가(임시)고정시키고, 가고정된 회로기판(30)을 리플로잉 탱크에서 가열하므로서, 크림땜납(26)을 용융시켜 땜납 용접한다.
또한, 리플로잉 땜납처리는 주지의 방법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고정부(12b)에 있어서의 노칭부가 하나가 아닌, 2개(18, 18a), 또는 3개(18, 18a, 18b)인 경우에는, 도전체패턴(25) 위에 있어서 크림땜납(26)을 공급하는 부분은, 고정부(12a)로부터 고정부(17)를 향하여 공급하며, 이 고정부(12a)와 만곡부(13)에 있어서 분단되어, 만곡부(13)에 가까운 분단된 분리부(19)에 대응하는 부분에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곡부(13)에 근접한 분리부와 도전체패턴(26)의 부분은 땜납에 의한 고착을 하지 않는다.
이 땜납용접처리에 의해, 각 고정부(12a, 17)와 도전체패턴(25)에 공급된 크림땜납(26)은, 가열 용융되어 각 고정부의 주위로 흐르지만, 고정부(17)의 길이방향으로 흐른 땜납(16)은, 노칭(18)에 의해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그 땜납의 흐름은 이 노칭(18)에서 정지하며, 적어도, 다른 분리부(19) 또는, 만곡부(13)로의 흐름은 저지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각 고정부(12a, 17)는 땜납(26)에 의해 고정되고, 각 고정부의 양단에 있어서, 도면과 같이 땜납 필릿(26a, 26b)이 형성되어, 양자는 견고하게 고착된다.
또한, 땜납(26)은, 도전체패턴(25)위에 있어서, 각 고정부(12a, 17)와 대응하는 부분의 전면에 공급하였으나, 수 개소, 예를 들면 고정부(17)의 중앙부, 양 단부로 나누어 공급하여도 좋다.
또, 도 5는 도 3의 1점 쇄선 부분(B)을 확대하여, 고정부(12b)에 있어서의 노칭부를 복수개 형성한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3개의 노칭(18, 18a, 18b)에 의해, 각 노칭의 단부에 필릿(26a, 26c)~(26f)이 형성된다.
이 복수개의 노칭에 의해, 회로기판으로의 고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땜납 필릿을 형성하는 개소를 증가시킬 수가 있으므로, 노칭이 1개인 설치방법에 비해, 고착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이 설치방법에 의해, 접속용 단자(10)는, 각 고정부(12a, 17)와 도전패턴(25) 사이에 있어서 땜납으로 고착되며, 만곡부(13)에 가까운 부분의 분리부(19)에서는, 땜납에 의한 고정이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속용 단자(10)의 회로기판(30)으로의 실장에 있어서 고정부(12)의 땜납(26)이 위킹현상에 의해 만곡부(13)로 빨려 올라가 탄성이 변화하는 일이 없어져, 접촉부(14)의 상대방 평판도체로의 접촉압을 거의 설계시의 수치로 유지할 수가 있다.
동시에, 만곡부(13)에 땜납이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 볼 수있는 바와 같은 만곡부에 땜납이 부착하는 것에 의한 크랙발생의 문제는 완전히 회피될 수가 있다.
또, 이 설치상태에 있어서는, 접속용 단자(10)가 평탄도체(40)에 의해 압접되었을 경우에는, 양호한 접촉이 접촉부(14)와 도체(40) 사이에서 유지됨과 동시에, 과도한 압박력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도체(40)가 측벽부(16a, 16b)에서 규제되어, 영구 변형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접속용 단자 및 그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1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만의 접속단자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특히 만곡부(13)와 고정부(12)를 분리시키는 노칭(18)은 불가결하지 않으며, 또한, 반대로, 만곡부 부근에 땜납이 부착하는 것을 저지하는 접속용 단자의 경우에는, 한 쌍의 측벽부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접속용 단자에 의하면, 회로기판을 평탄한 도체에 확실하게 압접시킬 수가 있다. 특히, 접촉부가 경사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압접되는 경우에도 접촉부가 불규칙하게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한 최적의 접촉압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접속용 단자를 회로기판에 땜납으로 고착시킬 때에, 접촉부와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노칭에 의해, 접촉부의 탄성변형의 중심이 되는 만곡부 부근으로 땜납이 빨려 올라가는 위킹현상에 의하여 만곡부 부근에 땜납이 부착하는 것을 저지하므로서, 접촉부가 설계대로 접촉압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칭을 복수개 형성하므로서, 기판으로의 고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땜납 필릿을 형성하는 개소를 증가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1개의 노칭부를 형성하여 만곡부와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고착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Claims (9)
- 대략 띠형상의 도전성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일단에, 회로기판에 설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가 상기 고정부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만곡부분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여 대략 평탄한 도체에 압접되는 접촉부를 갖는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의 폭 방향으로부터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를 절곡시켜 한 쌍의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의 높이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는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간격을 상기 접촉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 양단 측부가 상기 측벽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와 상기 만곡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와 가까운 위치에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양쪽 폭 방향으로 각각 돌기부재를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대략 띠형상의 도전성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일단에, 회로기판에 설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가 상기 고정부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만곡부분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여 대략 평탄한 도체에 압접되는 접촉부를 갖는 접속용 단자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에 노칭을 형성하여 분리시키며, 분리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분리부는,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폭 방향으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절곡시켜 형성한 한 쌍의 측벽부에 의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에 복수의 노칭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를 복수의 고정부로 분단시키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분리부를 분리시키며, 양자를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폭 방향으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절곡시켜 형성한 한 쌍의 측벽부에 의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상기 측벽부의 높이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될 때, 상기 접촉부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는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간격을 상기 접촉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평탄도체에 의해 압접되었을 때, 양단 측부가 상기 측벽부의 내측 벽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와 상기 만곡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와 가까운 위치에 상기 띠형상 도전성판재의 양 폭방향으로 각각 돌기부재를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
-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속용 단자의 회로기판도체로의 설치는, 상기 복수의 분단고정부 중 상기 만곡부에 근접한 상기 분리부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의 저면을, 상기 회로기판도체에 땜납에 의해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402843A JP3605564B2 (ja) | 2000-12-28 | 2000-12-28 | 接続用端子及びこの端子の回路基板への取付け方法 |
JPJP-P-2000-00402843 | 2000-1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5368A true KR20020055368A (ko) | 2002-07-08 |
KR100819642B1 KR100819642B1 (ko) | 2008-04-04 |
Family
ID=1886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7445A KR100819642B1 (ko) | 2000-12-28 | 2001-12-07 | 접속용 단자 및 이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551149B2 (ko) |
EP (1) | EP1220364B1 (ko) |
JP (1) | JP3605564B2 (ko) |
KR (1) | KR100819642B1 (ko) |
CN (1) | CN1201440C (ko) |
DE (1) | DE60109262T2 (ko) |
TW (1) | TW548884B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887B1 (ko) * | 2007-08-27 | 2008-07-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메탈 마스크의 표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범핑 방법 |
KR101139489B1 (ko) * | 2010-09-02 | 2012-05-02 | 에더트로닉스코리아 (주) | 휴대폰용 접속단자 |
KR101316546B1 (ko) * | 2012-06-11 | 2013-10-15 | (주)세윤 | 터미널 콘택트 |
KR101366212B1 (ko) * | 2012-09-26 | 2014-02-24 |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 터미널 콘택트 |
KR101398169B1 (ko) * | 2013-12-06 | 2014-05-22 |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 단말기용 복합 기능성 인테나 클립 |
KR101400745B1 (ko) * | 2012-09-26 | 2014-05-29 |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 터미널 콘택트 |
KR101400747B1 (ko) * | 2012-10-08 | 2014-05-29 |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 터미널 콘택트 |
KR101463308B1 (ko) * | 2012-10-29 | 2014-11-18 |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454670C (zh) * | 2002-07-11 | 2009-01-21 | Itt制造企业公司 | 弹性电端子及其形成方法 |
DE10321420B3 (de) * | 2003-05-12 | 2005-02-10 |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 Elektrischer Leitungsverbinder mit Kurzschlussbrücke |
TW572404U (en) * | 2003-06-05 | 2004-01-11 | Molex Taiwan Ltd |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
JP3748868B2 (ja) | 2003-09-30 | 2006-02-22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高速伝送用接続シート |
TWM259337U (en) * | 2003-11-21 | 2005-03-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4170278B2 (ja) * | 2004-03-19 | 2008-10-2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
EP1700516B1 (de) * | 2004-04-08 | 2007-08-01 |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 Anordnung mit einem kontaktelement |
WO2005104007A1 (en) * | 2004-04-20 | 2005-11-03 | Molex Incorporated | Memory card connector |
JP2005318227A (ja) | 2004-04-28 | 2005-11-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2007234335A (ja) * | 2006-02-28 | 2007-09-13 | Tokai Rika Co Ltd | 固定部材、及び、固定部材の組付構造 |
JP5090675B2 (ja) * | 2006-06-26 | 2012-12-05 | 株式会社平和 | アース構造及び遊技機 |
CN201113124Y (zh) * | 2007-07-10 | 2008-09-10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池连接器 |
JP5074179B2 (ja) * | 2007-12-28 | 2012-11-14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コンタクト部材及び電気コネクタ |
CN101626116B (zh) * | 2008-07-10 | 2011-02-02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弹片 |
CN201289923Y (zh) * | 2008-09-28 | 2009-08-12 | Fci连接器新加坡有限公司 | 接触端子和电连接器 |
KR100965854B1 (ko) | 2010-02-02 | 2010-06-24 | 주식회사 선화정밀 |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
US8282430B2 (en) * | 2010-02-03 | 2012-10-09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tact |
US8298021B2 (en) * | 2010-11-04 | 2012-10-30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Contacting terminal |
CN202076508U (zh) * | 2011-03-07 | 2011-12-14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导电端子 |
DE102011112014B3 (de) * | 2011-08-30 | 2012-11-22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 Lötkontakt |
JP2013098692A (ja) * | 2011-10-31 | 2013-05-20 | Sharp Corp | 携帯端末 |
KR101309404B1 (ko) * | 2011-11-16 | 2013-09-17 | 황용태 | 단자 접속장치 |
KR101165558B1 (ko) * | 2012-01-04 | 2012-07-16 | 강태석 | 컨텍터 |
US8657636B2 (en) * | 2012-03-26 | 2014-02-25 | Dinkle Enterprise Co., Ltd | Metal clamp |
JP6177043B2 (ja) * | 2013-08-02 | 2017-08-09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コンタクト部材 |
KR200477426Y1 (ko) * | 2014-01-16 | 2015-06-09 |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 휴대 단말기용 접속단자 |
JP2016046020A (ja) * | 2014-08-20 | 2016-04-0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コンタクト部材 |
KR102272613B1 (ko) | 2015-03-09 | 2021-07-05 | 파코스(주) | 콘택트 |
US9768537B2 (en) * | 2015-03-31 | 2017-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JP6651393B2 (ja) * | 2016-03-25 | 2020-02-19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圧接コンタクト及び圧接コネクタ |
TWI620893B (zh) * | 2016-10-26 | 2018-04-11 | Luminescence Technology Corporation | Oled平面燈源模組 |
CN110100355B (zh) * | 2016-12-21 | 2022-01-25 | 阿莫技术有限公司 | 功能性接触器 |
CN112655118B (zh) * | 2018-08-29 | 2022-03-04 | 阿维科斯公司 | 电弹簧接触件、电弹簧接触条和电气设备 |
CN109417238B (zh) * | 2018-09-30 | 2020-11-27 | 北京比特大陆科技有限公司 | 接地件及主机 |
JP7232073B2 (ja) * | 2019-02-18 | 2023-03-0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接続端子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26998A1 (fr) * | 1982-05-13 | 1983-11-18 | Merlin Gerin | Interrupteur a arc tournant et a aimant permanent |
DE8412799U1 (de) * | 1984-04-26 | 1984-10-31 | William Prym-Werke Kg, 5190 Stolberg | SB-Verkaufsvorrichtung mit einer als Blisterpackung ausgebildeten Verkaufspackung fuer Fadenlegewerkzeuge wie Stricknadeln |
US5104324A (en) * | 1991-06-26 | 1992-04-14 | Amp Incorporated | Multichip module connector |
US5213513A (en) * | 1992-02-27 | 1993-05-25 | Seatt Corporation | Electric terminal |
JP3075461B2 (ja) * | 1994-12-09 | 2000-08-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基板用接触端子 |
US5655913A (en) * | 1995-09-26 | 1997-08-12 | Motorola, Inc. | Electrical interconnect contact |
US6116921A (en) * | 1998-02-16 | 2000-09-12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cessed solderball foot |
JP3068557B2 (ja) * | 1998-04-30 | 2000-07-24 | 北川工業株式会社 | プリント配線板の接地構造及び当該接地構造に用いられる導電部材 |
JP3064756U (ja) * | 1999-06-10 | 2000-01-21 |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ク. | ア―ス用端子 |
US6296495B1 (en) * | 1999-11-05 | 2001-10-02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Land grid package connector |
-
2000
- 2000-12-28 JP JP2000402843A patent/JP360556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12-07 KR KR1020010077445A patent/KR1008196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2-14 CN CN01144246.8A patent/CN120144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2-18 EP EP01130120A patent/EP122036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2-18 DE DE60109262T patent/DE6010926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2-18 US US10/017,298 patent/US655114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2-25 TW TW090132163A patent/TW54888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887B1 (ko) * | 2007-08-27 | 2008-07-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메탈 마스크의 표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범핑 방법 |
KR101139489B1 (ko) * | 2010-09-02 | 2012-05-02 | 에더트로닉스코리아 (주) | 휴대폰용 접속단자 |
KR101316546B1 (ko) * | 2012-06-11 | 2013-10-15 | (주)세윤 | 터미널 콘택트 |
KR101366212B1 (ko) * | 2012-09-26 | 2014-02-24 |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 터미널 콘택트 |
KR101400745B1 (ko) * | 2012-09-26 | 2014-05-29 |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 터미널 콘택트 |
KR101400747B1 (ko) * | 2012-10-08 | 2014-05-29 |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 터미널 콘택트 |
KR101463308B1 (ko) * | 2012-10-29 | 2014-11-18 |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
KR101398169B1 (ko) * | 2013-12-06 | 2014-05-22 |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 단말기용 복합 기능성 인테나 클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2203628A (ja) | 2002-07-19 |
US6551149B2 (en) | 2003-04-22 |
US20020086591A1 (en) | 2002-07-04 |
KR100819642B1 (ko) | 2008-04-04 |
CN1201440C (zh) | 2005-05-11 |
DE60109262D1 (de) | 2005-04-14 |
EP1220364A2 (en) | 2002-07-03 |
TW548884B (en) | 2003-08-21 |
DE60109262T2 (de) | 2006-05-04 |
CN1361558A (zh) | 2002-07-31 |
JP3605564B2 (ja) | 2004-12-22 |
EP1220364A3 (en) | 2003-09-10 |
EP1220364B1 (en) | 200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9642B1 (ko) | 접속용 단자 및 이 단자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방법 | |
US7377823B2 (en) | Press-fit pin | |
US7232317B2 (en) |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 |
KR100208637B1 (ko) | 인쇄 회로 기판 장착용 전기 커넥터 | |
US8337218B2 (en) | High density surface mount connector | |
CN214849145U (zh) | 连接器 | |
CN100580997C (zh) | 具有双短路触点的卡边缘电连接器 | |
US8591256B2 (en) | Wire-to-board connector and wire connector | |
TW201511422A (zh) | 電連接器 | |
KR100556571B1 (ko) | 커넥터 | |
CN109818174B (zh) | 端子 | |
CN112952428A (zh) |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 |
EP1775796A2 (en) | Board Connector | |
EP1361627B1 (en) |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 |
JP2000195615A (ja) | 誤差吸収コネクタ | |
CN212011334U (zh) | 电连接器 | |
JP3568507B2 (ja) | 導電部材 | |
JP3085572B2 (ja) | 接続用端子 | |
KR20020071452A (ko) | 수평 전기 커넥터 | |
US20230387633A1 (en) | Shield connector | |
CN109037988B (zh) | 电连接器 | |
CN115775999A (zh) | 连接器 | |
US20030216087A1 (en) |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6338633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 |
US20240128686A1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1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