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774A -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774A
KR20020053774A KR1020017008806A KR20017008806A KR20020053774A KR 20020053774 A KR20020053774 A KR 20020053774A KR 1020017008806 A KR1020017008806 A KR 1020017008806A KR 20017008806 A KR20017008806 A KR 20017008806A KR 20020053774 A KR20020053774 A KR 2002005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members
view
column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가야히로시
Original Assignee
추후기재
가부시키가이샤 세프트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기재, 가부시키가이샤 세프트 겐큐쇼 filed Critical 추후기재
Publication of KR2002005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7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2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 A45F2003/125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with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대량생산성이 우수한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방향으로 대략 수직인 적어도 한 쪽의 표면에서 물체와 접하는 것이다. 스페이서는 두께방향을 따른 길이성분을 갖는 복수의 기둥형상부재(12a)와, 복수의 기둥형상부재(12a)의 선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13a)를 구비한다. 복수의 기둥형상부재(12a)는 베이스부재(15)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스페이서는 연질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페이서내부에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통하기 쉽고, 게다가 스페이서와 접하는 측의 물체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SPACER}
이전부터, 여름 등의 더운 시기에는 등나무제의 방석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등나무제의 방석은 등나무를 짜서 만들어진 것이고, 그 조직을 헐겁게 짰다. 이 때문에, 그 방석의 내부에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통되기 쉽고, 그 방석에 앉으면, 사람은 엉덩이부분이 시원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등나무제의 방석은 사람의 엉덩이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등나무제의 방석은 공기가 빠져나가는 공간이 좁고, 엉덩이부와 접촉하는 면적도 크므로, 충분한 냉각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 등나무제의 방석은 딱딱하므로, 앉았을 때 울퉁불퉁한 느낌이 나는 동시에,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대량생산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등나무제의 방석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통풍성이 좋고, 대량생산성이 우수한 스페이서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방석, 요, 의자, 소파, 구두의 안창, 란도셀, 건축자재, 벽장매트, 냉장고용 트레이, 다다미깔개, 발 등에 이용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1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2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3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4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5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6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7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8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9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10의 스페이서 일부의 개략 평면도로, 그 스페이서 일부의 A-A선 단면도 및 그 스페이서의 기둥형상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방석을 의자위에 얹은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그 방석의 개략평면도 및 그 방석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란도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플로어용 부재의 개략평면도 및 그 플로어용 부재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레저매트의 개략정면도 및 그 레저매트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기브스용 붕대의 일부 대략 사시도 및 그 기브스용 붕대를 팔에 감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진동방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통풍성의 향상을 꾀할수 있는 동시에 대량생산성이 우수한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된, 그 두께방향으로 대략 수직인 적어도 한 쪽의 표면에서 물체와 접하는 스페이서로서, 상기 두께 방향의 길이성분을 갖는 복수의 기둥형상부재와, 복수의 상기 기둥형상부재의 한 쪽의 끝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기둥형상부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복수의 기둥형상부재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일체성형함으로써,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상부재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가 공간을 통해 다른 부재와 겹치는 일은 없다. 이 때, 복수의 상기 기둥형상부재의 다른 쪽 끝의 측에 시트형상부재를 고정부착해도 좋다.
또한,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기둥형상부재는 적어도 세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를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원에 따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서는 두개의 물체(인체를 포함)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위에 물체를 올려놓음으로써, 물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위치에 유지해 둘 수 있다. 그런데, 만약 물체에 접촉하지 않고 그 물체를 공중에 뜨게 할 수 있다고 하면, 여러가지 장점이 얻어진다. 즉, 물체의 전체표면이 자연히 유통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고, 물체근방에 있어서의 통풍성이 향상한다. 또, 물체가 공중에서 고립하므로, 물체에 다른 물체로부터의 열이 전해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물체에 유체나 분체 등이 닿아도 물체가 유체 등에 의해 파묻히게 되는 일이 없다. 그외,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당연히,물체에 접촉하지 않고 그 물체를 공중으로 뜨게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실현불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물체를 얹음으로써 물체를 공중으로 뜨게 한 상태에 가깝게 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이상적인 스페이서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스페이서는 이하의 각 요건을 만족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첫째로, 스페이서의 두께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율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스페이서내의 공간을 넓게 해서 공기가 그 공간을 지나기 쉽게 할 수 있다. 둘째로, 물체에 접하는 측의 스페이서의 개구율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물체와 스페이서와의 접촉면적을 작게 해서, 물체를 공중으로 뜨게 한 상태에 가깝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스페이서와 접촉하는 측의 물체의 면에도 공기가 충분히 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밖에도, 스페이서의 용도 등에 따른 요건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운반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스페이서로서는 밀도가 낮고 충분히 가벼운 것이 요구된다. 또, 스페이서를 인체에 접해서 이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스페이서에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스페이서를 예를 들면 요 등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몸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가 요구된다. 또한, 스페이서가 지지하는 물체에 상처를 내거나 하는 일이 없을 것, 사람이 올랐을 때에 울퉁불퉁한 등의 위화감이 적을 것도 요구된다.
상술한 종래의 등나무제의 방석은 이들 요건을 그다지 만족하지 않고, 이상적인 스페이서로부터 상당히 동떨어진다라고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이상적인 스페이서에 조금이라도 가까워질 수 있도록, 상기의 각 요건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제안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대략 편평하게 형성된, 그 두께방향으로 대략 수직인 적어도 한 쪽 표면에서 물체와 접하는 것이고, 두께방향을 따른 길이성분을 갖는 복수의 기둥형상부재와, 복수의 기둥형상부재의 선단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연결부재를 복수개 설치한 경우에는, 하나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된 복수의 기둥형상부재로 구성되는 부분을 돌출부라고 칭하도록 한다.
실제, 이러한 스페이서는 베이스부재를 통해 각 기둥형상부재가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기둥형상부재를 하나씩 따로따로 한 것은 스페이서의 제조가 번거롭고, 실용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단, 사용시에 있어서는, 스페이서는 그 전체가 반드시 일체적일 필요는 없다. 스페이서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해서 사용하거나, 또, 예를 들면 5cm각씩의 작은 피스의 스페이서를 병렬해서 사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는 연질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가열유동화한 플라스틱을 금형내에 밀어넣고, 스페이서를 성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형을 이용해서 일체성형하고 있으므로, 스페이서는 이러한 일체성형시에는 그 두께방향을 따라서는 어느 부분도 공간을 통해 다른 부분과 겹치는 일은 없다. 이 제한을 제외하면, 연결부재 및 기둥형상부재의 형상은 상당히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는 여러가지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 일체성형한 후에, 예를 들면,시트형상 보강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접착해서 스페이서를 만든 경우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공간을 통해 시트형상 보강부재가 다른 부분과 겹치는 일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의 재료로서 연질플라스틱을 이용함으로써, 재료비가 저렴하며, 강도의 조정도 용이하다라는 이점이 있다. 플라스틱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은 매우 저렴하며, 또한 소각시 등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페이서에 있어서 기둥형상부재의 배치밀도, 기둥형상부재 및 연결부재의 형상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 가는 재질의 강도나 용도 등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스페이서의 재질, 형상을 바꿈으로써 스페이서의 내중량성이나 유연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의 두께도, 주로 그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인체와 접촉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나 강도 등을 고려해서 스페이서의 두께를 어느 정도의 범우내의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벽장매트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방석을 올려 놓았을 때 스페이서가 내려앉는 일없고, 공기의 유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면 되므로,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당히 폭넓게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스페이서의 두께는 2mm∼50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는 통상, 연결부재의 측에 물체가 접하도록 해서 사용된다. 이 때문에, 인체와 접촉시키는 목적으로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경우, 스페이서의 돌출부끼리의 간격이 넓으면, 그 위에 사람이 올라갔을 때 돌출부의 울퉁불퉁한 느낌이 나게 된다. 이 울퉁불퉁한 느낌을 없애기 위해서는 돌출부끼리의 간격의 상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나의 연결부재가 세개 또는 네개의 기둥형상부재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기둥형상부재끼리의 간격을 최대 3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스페이서를 건축자재나 대형 구조물 등, 특정의 용도의 것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는 그 내부에 공기를 자연스럽게 유통시킨다라는 목적을 갖는 것으로, 공기의 통풍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두께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율을 어느 정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개구율은 30퍼센트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페이서내부를 자연유통하는 공기가 물체에 접하는 비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물체에 접하는 측의 스페이서의 개구율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개구율은 20퍼센트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에서는 통풍성의 향상을 꾀하고, 게다가 스페이서와 접하는 측의 물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열전도가 작고, 단열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방석으로서 사용할 때 엉덩이부에 땀이 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엉덩이부를 시원하게 느끼게 하는 냉각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에서는 하나의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기둥형상부재는 적어도 세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를 점이나 선형상이 아니라 면형상에 가까운 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지하는 물체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울퉁불퉁한 느낌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 연결부재를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연결부재를 면형상에가까운 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울퉁불퉁한 느낌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물체에 접하는 측의 스페이서의 개구율을 크게 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발생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각종 스페이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의 스페이서로서는 예를 들면 5cm×4cm 등의 작은 피스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1)
도 1의 (a)는 실시예1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1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1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스페이서(10a)는 복수의 돌출부(11a)가 직사각형의 베이스부재(15)위에 배치된 것이고, 스페이서(10a)의 전체형상은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1a)는 베이스부재(15)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11a)는 도 1의 (c)에 나타내듯이, 네개의 기둥형상부재(12a)와,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상 연결부재(13a)로 이루어진다. 각 기둥형상부재(12a)는 베이스부재(15)로부터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기둥형상부재(12a)의 선단은 연결부재(13a)의 각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11a)의 각각의 기둥형상부재(12a)의 하단부는 그것에 인접하는 세개의 돌출부(11a)의 기둥형상부재(12a)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각 돌출부(11a)는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2)
도 2의 (a)는 실시예1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2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2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스페이서(10b)는 복수의 돌출부(11b)가 직사각형의 베이스부재(15)위에 배치된 것이고, 스페이서(10b)의 전체형상은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1b)는 베이스부재(15)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11b)는 도 2의 (c)에 나타내듯이, 세개의 기둥형상부재(12b)와, 원형의 프레임형상 연결부재(13b)로 이루어진다. 각 기둥형상부재(12b)는 베이스부재(15)로부터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기둥형상부재(12b)의 선단은 연결부재(13b)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의 (a)에 나타내듯이, 스페이서(10b)를 위에서 볼 때,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기둥형상부재(12b)가 이루는 각도는 120°이다. 또, 각 돌출부(11b)의 각각의 기둥형상부재(12b)의 하단부는 그것에 인접하는 세개의 돌출부(11b)의 기둥형상부재(12b)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각 돌출부(11b)는 규칙적으로 배치되고, 위에서 보면 대략 벌집모양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3)
도 3의 (a)는 실시예3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3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3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스페이서(10c)는 도 2의 스페이서(10b)의 변형예이며, 주로연결부재의 형상이 다르다. 도 3의 스페이서(10c)에서는 각 돌출부는 세개의 기둥형상부재(12c)와, 연결부재(13c)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재(13c)를 정삼각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하고 있다. 각 기둥형상부재(12c)의 선단은 연결부재(13c)의 각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외의 구조는 도 2의 스페이서(10b)와 거의 동일하다.
(실시예4)
도 4의 (a)는 실시예4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4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4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스페이서(10d)는 도 2의 스페이서(10b)의 변형예이며, 주로 연결부재의 형상이 다르다. 도 4의 스페이서(10d)에서는 각 돌출부(10d)는 세개의 기둥형상부재(12d)와, 연결부재(13d)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재(13d)를 역Y자형상으로 하고 있다. 각 기둥형상부재(12d)의 선단은 연결부재(13d)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외의 구조는 도 2의 스페이서(10b)와 거의 동일하다.
(실시예5)
도 5의 (a)는 실시예5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5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5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스페이서(10e)는 도 2의 스페이서(10b)의 변형예이며, 주로 연결부재의 형상이 다르다. 도 5의 스페이서(10e)에서는 각 돌출부(10e)는 세개의 기둥형상부재(12e)와, 연결부재(13e)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재(13e)를 2중의 원형 링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외의 구조는 도 2의 스페이서(10b)와 거의 동일하다.
(실시예6)
도 6의 (a)는 실시예6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6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6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스페이서(10f)는 복수의 돌출부(11f)가 직사각형의 베이스부재(15)위에 배치된 것이고, 스페이서(10f)의 전체형상은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1f)는 베이스부재(15)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11f)는 도 6의 (c)에 나타내듯이, 두개의 기둥형상부재(12f)와, 막대형상의 연결부재(13f)로 이루어진다. 각 기둥형상부재(12f)는 베이스부재(15)로부터 연직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기둥형상부재(12f)의 선단은 연결부재(13f)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돌출부(11b)는 그 길이방향이 가지런하도록 해서 일정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7)
도 7의 (a)는 실시예7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7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스페이서(10g)는 도 6의 스페이서(10f)의 변형예이며, 각 돌출부(11f)의 배치의 방법만이 다르다. 즉 도 7에 나타내듯이, 길이방향으로 옆으로 한 돌출부(11f)가 설치된 열과, 길이방향을 세로로 한 돌출부(11f)가 설치된 열을 교대로 규칙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위에서 보면, 돌출부(11f)는 바둑판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외의 구조는 도 6의 스페이서(10f)와 거의 동일하다.
(실시예8)
도 8의 (a)는 실시예8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8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8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스페이서(10h)는 복수의 돌출부(11h)가 직사각형의 베이스부재(15)위에 배치된 것이고, 스페이서(10h)의 전체형상은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1h)는 베이스부재(15)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11h)는 도 8의 (c)에 나타내듯이, 네개의 기둥형상부재(12h)와, 열십자형상의 연결부재(13h)로 이루어진다. 각 기둥형상부재(12h)는 베이스부재(15)로부터 연직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기둥형상부재(12h)의 선단은 연결부재(13h)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돌출부(11h)는 일정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9)
도 9의 (a)는 실시예9의 스페이서의 개략 평면도, 도 9의 (b)는 그 스페이서의 개략측면도, 도 9의 (c)는 그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스페이서(10i)는 도 8의 스페이서(10h)의 변형예이며, 주로 연결부재의 형상이 다르다. 도 9의 스페이서(10i)에서는 각 돌출부(11i)는 세개의 기둥형상부재(12i)와, 연결부재(13i)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재(13i)를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하고 있다. 각 기둥형상부재(12i)의 선단은 연결부재(13i)의 각 변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외의 구조는 도 8의 스페이서(10h)와 거의 동일하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1 내지 9의 각 스페이서(10a, 10b, …, 10i)에 공통되는 사항을 설명한다.
실시예1 내지 9의 각 스페이서(10a, 10b, …, 10i)에서는 각 기둥형상부재는 두께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의 지름이 예를 들면 0.2mm∼1cm로 된다. 또, 기둥형상부재끼리의 간격은 예를 들면 2mm∼30mm로 된다. 따라서,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1평방센치미터당 기둥형상부재의 수는 0.1∼25개이다. 또, 각 스페이서(10a, 10b, …, 10i)의 두께(돌출부의 높이)는 약 10mm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의 두께가 얇으므로,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라도 그 배치장소로 곤란할 일은 없다. 이러한 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예1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각 스페이서(10a, 10b, …, 10i)에서는 돌출부를 약 1cm간격으로 종횡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인체와 접촉시키는 목적으로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울퉁불퉁한 감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이 울퉁불퉁한 감을 더욱 억제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재의 위에 그물모양의 소재를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각 스페이서(10a, 10b, …, 10i)는 연질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 등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당연히, 기둥형상부재와 연결부재는 절단부위없이 연결되어 있고, 특히 그 형상에 따라서는 기둥형상부재에서 연결부재에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이행하고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일체성형하고 있으므로, 각 스페이서(10a, 10b, …, 10i)는 두께방향을 따라서는 어느 부분도 공간을 통해 다른 부분과 겹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각 스페이서(10a, 10b, …, 10i)에서는 도 1 내지도 9의 (c)에 있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된 기둥형상부재에 대향하는 베이스부재의 부분이나, 연결부재에 대향하는 베이스부재의 부분에는 소정의 구멍(17a, 17b, …, 17i)이 형성되어 있다.
각 실시예1 내지 9에 나타낸 작은 피스의 스페이서로부터 예를 들면 2m×2m의 큰 스페이서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즉, 스페이서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각 피스의 변을 맞춰서 병렬로 해두고, 그 인접부분을 열융착함으로써, 큰 스페이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초음파를 쬐어서 각 피스를 융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임의의 크기의 스페이서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이때, 작은 스페이서나 특정형상의 스페이서는 큰 스페이서로부터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각 피스를 큰 기판상에 접착하거나, 각 피스가 절곡가능하도록 각 피스를 연결구로 연결해도 큰 스페이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1 내지 9의 각 스페이서의 특징으로서는, 먼저, 두께방향에서 봤을 때 단위면적당 연결부재의 개수가 많으므로, 울퉁불퉁한 감이 적은 점을 들 수 있다. 또, 유연성이 크고, 경량이어도 무거운 하중에 견딜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여러가지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연결부재를 정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한 스페이서(10a)는 각 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매우 무거운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를 요 등으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각부재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매우 경량이 되는 동시에 유연성이 좋아지므로, 상기 스페이서는 가벼운 것을 지지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범용성이 있다.
또, 상기 실시예1 내지 9의 각 스페이서에 있어서, 각 돌출부는 각가 독립해 있고 위로부터의 압압력이 매우 강하면 돌출부가 내려앉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각 스페이서의 강도향상을 도모하고 싶은 경우에는 복수의 돌출부 중 일부의 돌출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인접하는 기둥형상부재끼리 또는 연결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보강용 부재를 설치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1 내지 9의 각 스페이서에서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에 다수의 큰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의 위에 복수의 돌출부가 배치된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방석으로서 적용하는 경우, 베이스부재를 아래로 해서 돌출부의 상단부측에 몸을 올리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방석으로는 뒤집어서 사용한다라는 것이 고려되지만, 베이스부재에 큰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서의 몸에 접하는 부분의 면적이 적어지고, 방석을 상하 반대로 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베이스부재에 다수의 큰 구멍을 형성하면, 스페이서가 보다 경량화되고, 유연성도 증가한다라는 이점도 있다.
(실시예10)
도 10의 (a)는 실시예10의 스페이서(20)의 일부의 개략평면도, 도 11의 (b)는 그 스페이서(20)의 일부의 A-A선 단면도, 도 10의 (c)는 그 스페이서(20)의 기둥형상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스페이서(20)는 제1망구멍형상부재(21)와, 제2망구멍형상부재(22)와, 복수의 기둥형상부재(23)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1망구멍형상부재(21)는 복수의 제1상부레일(21a)과, 복수의 제2상부레일(21b)을 갖는다. 복수의 제1상부레일(21a)은 도 10의 (a)에 있어서 옆으로 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제2상부레일(21b)은 도 10의 (a)에 있어서 세로로 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상부레일(21a)의 배열간격과 제2상부레일(21b)의 배열간격을 같게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제1망구멍형상부재(21)의 망구멍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된다.
한편, 제2망구멍형상부재(22)는 복수의 제1하부레일(22a)과, 복수의 제2하부레일(22b)을 갖는다. 복수의 제1하부레일(22a)은 도 10의 (a)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45°기운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제2하부레일(22b)은 도 10의 (a)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45°기운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하부레일(22a)의 배열간격과 제2하부레일(22b)의 배열간격을 같게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제2망구멍형상부재(22)의 망구멍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된다. 여기에서, 제2망구멍형상부재(22)의 망구멍은 제1망구멍형상부재(21)의 망구멍보다 커지도록 형성한다.
또, 밑에서 봤을 때 제1하부레일(22a)과 제2하부레일(22b)이 교차하는 부분은 제1상부레일(21a)과 제2상부레일(21b)이 교차하는 부분에 일치하도록, 제1망구멍형상부재(21)와 제2망구멍형상부재(22)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망구멍형상부재(22)의 교차부분과 그것에 대응하는 제1망구멍형상부재(21)의 교차부분을 연결하도록 해서 기둥형상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기둥형상부재(23)는 제1상부레일(21a)과 제2상부레일(21b)의 교차점 중,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에는 하나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기둥형상부재(23)는 제1망구멍형상부재(21) 또는 제2망구멍형상부재(22)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기둥형상부재(23)는 두께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대략 정팔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실시예10에서는 제1망구멍형상부재(21)(또는 제2망구멍형상부재(22))가 본 발명의 연결부재에 해당하고, 제2망구멍형상부재(22)(또는 제1망구멍형상부재(21))가 실시예1에서 말하는 베이스부재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생각하면, 연결부재는 하나로 된다.
이 실시예10의 스페이서(2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20)는 두께방향을 따라서는 어느 부분도 공간을 통해 다른 부분과 겹치는 일은 없다.
실시예10의 스페이서(20)는 상측 및 하측이 망구멍형상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울퉁불퉁한 감이 적고, 매우 경량이며 유연성이 크다. 또, 이러한 스페이서(20)는 상하를 반대로 해도, 기능이 바뀌지 않는다라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20)를 상하 반대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20)에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둥형상부재(23)를 굵게 하면 좋다. 이 실시예10의 스페이서(20)는 전술한 이상적 스페이서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지지하는 대상물의 관점에서 몇개로 분류할 수 있다.즉, 인체 또는 그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페이서와, 인체이외의 물체를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페이서와, 기타의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페이서이다. 인체 또는 그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방석, 의자, 소파, 요, 구두의 안창, 건축자재인 플로어용 부재나 인공잔디, 레저매트, 목욕용 발, 비치샌들, 기브스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인체이외의 물체를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벽장매트, 냉장고용 트레이, 다다미의 깔개, 다다미의 안창, 주방용 물빼기용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그외의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란도셀이나 배낭, 방충복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페이서의 적용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방석, 의자, 소파에의 적용예)
도 11은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방석을 의자위에 올린 상태를 나타낸 도, 도 12의 (a)는 그 방석의 개략평면도, 도 12의 (b)는 그 방석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러한 방석(50)은 도 11에 나타내듯이, 의자(X)위에 올려놓고 사용한다. 물론, 벤치나 소파 등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방석(50)은 도 12에 나타내듯이, 세로 400mm, 가로 400mm의 정사각형의 스페이서(10i)와, 천시트(51)로 이루어진다. 즉, 이 예에서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로서 도 9에 나타낸 스페이서(10i)를 이용하고 있다. 통상, 스페이서(10i)의 연결부재(13i)가 상측에 오도록 방석(50)을 둔다.
천시트(51)는 스페이서(10i)의 상측 및 하측을 덮고 있다. 천시트(51)의 소재는 공기를 충분히 투과하는 것이면 어느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천시트(51)는 주로 사람이 앉았을 때 앉는 느낌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방석(50)에서는, 사람이 앉았을 때 엉덩이부의 바로 하측에 스페이서(10i)에 의해 공기의 유통로가 확보된다. 그리고, 스페이서(10i)는 상측의 개구율이 크고, 통풍성이 우수하므로, 장시간 앉아 있어도 스페이서(10i)의 엉덩이부에 접하는 부분의 온도가 체온에 의해 상승하는 일은 없고, 또한, 땀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쾌적하게 지낼 수 있다. 또, 스페이서(10i)의 베이스부재(15)에 다수의 큰 구멍을 형성해 두면, 방석(50)을 뒤집어서 사용해도 통풍성이 유지되며, 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야외의 벤치에 앉는 경우에도, 이러한 방석(5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사람은 그 방석(50)을 벤치에 깔고, 그 위에 앉는다. 여기에서, 스페이서(10i)의 유연성·경량성에 의해 방석(50)을 둥글게 해서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다. 특히, 한여름의 땡볕하에서 야외의 벤치에 앉는 경우에도 스페이서(10i)는 열전도가 그다지 좋지 않으므로, 벤치의 열이 엉덩이부에 전달되기 어렵고, 엉덩이부가 뜨거워지는 일은 없다.
또, 상기 방석(50)에는 반드시 천시트(51)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천시트(51)는 앉는 느낌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예를 들면 스페이서(10i)의 돌출부를 빽빽히 형성하면, 그것만으로 울퉁불퉁한 감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그것을 의자나 소파 등의 착좌부에 미리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다.
(요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도, 상기 방석의 경우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하면 된다. 단, 요의 경우에는 통상, 베드시트를 위에 씌워 사용하므로, 스페이서를 반드시 천시트로 덮을 필요는 없다.
이러한 요에서는, 그 위에 사람이 엎드려 누웠을 때 몸 바로 하측에 스페이서에 의해 공기의 유통로가 확보되므로, 장시간 자도 스페이서의 몸에 접하는 부분의 온도가 체온에 의해 상승하는 일은 없고, 또한, 땀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게 지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요의 평가시험을 행했다. 그것에 의하면, 온도가 25℃이상 열대야에 본 요를 사용하면, 충분히 시원하게 느껴지며,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졌다.
(구두의 안창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구두의 안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30cm×15cm의 스페이서를 발형태에 맞춰 절단함으로써, 그 사람에게 맞는 구두의 안창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로 만든 구두안창을 이용하면, 스페이서의 통풍성에 의해 발에 땀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페이서의 유연성에 의해 쿠션성이 좋고, 구두의 착용감이 좋다라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자갈 등이 구두안으로 들어와도, 연결부재의 측에서 베이스부재로 떨어져 버리므로 자갈 등에 의해 발이 상처입는 일은 없다.
또, 스페이서를 구두안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위면적당 받는 중량(압력)이 크므로, 예를 들면 기둥형상부재의 굵기를 어느정도 굵게 할 필요가 있다.
(란도셀, 배낭에의 적용예)
도 13은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란도셀의 개략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도 13에서는 스페이서를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란도셀(60)은 도 13에 나타내듯이, 란도셀본체(61)와, 란도셀본체(61)의 등에 접촉하는 부분에 부착된 스페이서(10i)를 갖는다. 스페이서(10i)는 연결부재가 등과 대향하도록 해서 예를 들면 면형상 테이프 등에 의해 란도셀본체(6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종래의 란도셀은, 예를 들면 그 안에 많은 짐을 넣고 있으면, 란도셀이 등을 압압하고, 그 등부분에 많은 땀이 나게 된다. 도 13의 란도셀(60)은 란도셀(60)을 등에 매었을 때 스페이서(10i)에 의해 등과 란도셀본체(61)사이에 공기의 유통로가 확보되므로, 더워져서 등에 대량의 땀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란도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배낭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플로어용 부재, 인공잔디에의 적용예)
도 14의 (a)는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플로어용 부재의 개략평면도, 도 14의 (b)는 그 플로어용 부재의 C-C선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인 플로어용 부재로서는 융단, 다다미, 목판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이러한 플로어용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어용 부재(70)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세로 30cm, 가로 30cm의 정사각형의 스페이서(10i)와, 천시트(71)를 갖는다.
천시트(71)는 스페이서(10i)의 연결부재(13i)의 측을 덮는 것이다. 천시트(71)의 소재는 통기성이 좋고 또한 튼튼한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천시트(71)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연결부재(13i)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천시트(71)를 설치함으로써, 울퉁불퉁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울퉁불퉁한 느낌을 더욱 억제하기 위해서는 천시트와 연결부재사이에 그물형상의 소재를 끼워넣도록 하면 된다.
사용시에는 30cm×30cm의 플로어용 부재(70)는 스페이서(10i)의 연결부재(13i)가 상측이 되도록 해서 바닥면에 깐다.
이러한 플로어용 부재(70)는 스페이서(10i)가 단열성이 우수하므로, 융단과 마찬가지로, 겨울의 추울 때 그 위를 맨발로 걸어도 그다지 차가운 느낌이 들지 않는다. 게다가, 스페이서(10i)는 통풍성이 우수하므로, 더운 계절에 사람이 그 위에서 자도, 몸이 더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땀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10i)는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그 위를 걸을 때의 느낌이 좋고, 또한, 융단과 마찬가지로 그다지 발소리가 나지 않는다. 그리고, 가령 굴러도 큰 상처를 입을 걱정이 없다. 또한, 표면에 천시트(71)를 씌운 것에 의해 먼지 등이 내부로 들어오는 일이 없고, 융단의 경우에 비해 청소가 간단하다. 게다가, 융단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와 같이, 진드기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플로어용 부재(70)는 미리 소정 사이즈의 스페이서(10i)에 천시트(71)를 고정부착해 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소정 사이즈의 스페이서(10i)를 바닥면에 깐 후에, 모든 스페이서(10i)의 상면에 한 장의 천시트를 고정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천시트를 스페이서(10i)에 고정부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천시트위에서 소정 연결부재(13i)에 초음파를 쬐어 점적으로 천시트와 연결부재(13i)를 융착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모든 스페이서(10i)를 한 장의 천시트로 덮을 수 있으므로, 먼지 등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그 청소가 매우 간단하다.
또,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상기 플로어용 부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인공잔디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단, 인공잔디의 경우에는 스페이서를 녹색으로 착색할 필요가 있다. 또, 인공잔디의 기능상, 그 상측에는 천시트를 씌우지 않고, 그상태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서에 천시트를 씌우거나 안씌우는 것은 용도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이러한 스페이서를 이용한 인공잔디는 종래의 인공잔디와 같이 잎모양의 것을 빽빽히 형성한 것은 아니므로, 그 청소작업을 청소기를 이용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풀사이드의 플로어용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 풀사이드는 콘크리트로 만들고, 여름의 땡볕하에 그 콘크리트상을 맨바로 걸으려고 하면, 뜨거워서 걸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풀사이드의 풀로어용 부재로서 사용하면, 스페이서가 단열성이 우수하므로, 여름의 땡볕하에서도 그 플로어용 부재의 온도는 그다지 오르지 않고, 그 위를 맨발로 걸어도 그만큼 뜨거움이 느껴지지 않는다. 게다가, 이러한 플로어용 부재에 끼얹는 물은 스페이서의 하측에 떨어져 버리므로, 이 플로어용 부재는 물빠짐이 좋다라는 이점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우사 등의 축사에 있어서의 플로어용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플로어용 부재상에 배출된 가축의 배설물은 물을 뿌리면서 브러시로 닦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로어용 부재는 물빠짐이 좋으므로, 언제나 말라 있어 매우 위생적이다.
(레저매트, 비치매트에의 적용예)
도 15의 (a)는 실시예9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레저매트의 개략 정면도, 도 15의 (b)는 그 레저매트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레저매트(80)는 스페이서(10i)와, 시트형상 부재로서의 플라스틱필름(81)을 구비한다. 플라스틱필름(81)은 스페이서(10i)의 하측에서 베이스부재(15)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필름(81)을 설치하고 있는 것은 통상, 레저매트는 지면상에 갈아 사용되므로, 스페이서(10i)자체를 레저매트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하면, 스페이서(10i)의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흙이나 모래가 들어오기 때문이다.
플라스틱필름(81)을 스페이서(10i)에 고정부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그 플라스틱에 적합한 접착제를 이용하면 된다. 또는, 스페이서(10i) 및 플라스틱필름(81) 중 어느 한 쪽을 열을 쬐어 조금 녹힌 후, 양쪽을 접착시켜 열융착해도 좋다. 특히, 레저매트(80)의 사이즈가 작으면, 스페이서(10i) 및 플라스틱필름(81) 중 어느 한 쪽에 초음파를 쬐어 부분적으로 녹인 후, 양자를 접촉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융착할 수 있다.
이러한 레저매트(80)는 스페이서(10i)의 유연성에 의해, 가령 요철이 심한지면에 깐 경우라도, 그 위에 앉은 사람은 그다지 그 요철감을 느끼는 일은 없다. 또, 가령 구두를 신은 채로 레저매트(80)에 올라가서 흙 등이 연결부재(13i)에 부착해도, 그것을 손으로 털면, 흙 등을 연결부재(13i)에서 아래의 베이스부재(15)에 간단하게 떨어트릴 수 있다. 또한, 물을 엎지른 경우에도, 물은 베이스부재(15)에 떨어지므로, 연결부재(13i)의 표면에는 그다지 끈적이는 느낌이 남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러한 레저매트(80)는 통기성이 좋은 것,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것에 더해 매우 쓰기 편리하다.
또, 레저매트와 같은 사용목적을 갖는 비치매트에도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치매트도 상기 레저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하면 된다.
(목욕용 발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목욕탕의 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은 스페이서가 단열성이 우수함으로써,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고, 게다가 스페이서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빠짐이 좋다라는 특징이 있다.
(비치샌들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비치샌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치샌에서는, 스페이서는 연결부재가 발바닥과 대향하도록 해서 비치샌들의 발을 얹은 면에 설치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로서는 발바닥과 접하는 측의 개구율이 비교적 큰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모래사장 등에서 놀고 있을 때 비치샌들에 모래나 물이 스며들어도 스페이서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떨어지므로, 발바닥에 모래등이 그다지 붙지 않게 된다.
(기브스에의 적용예)
일반적으로, 기브스는 골절 등의 경우에 환부에 감는 붕대위에 석고를 바르고, 그것을 고정함으로써, 환부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브스를 하면, 환부의 통기성이 나빠지므로, 땀이 나고 가려움이 발생하여 환자에게 큰 고통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기브스용 붕대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기브스용 붕대의 일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6의 (b)는 그 기브스용 붕대를 팔에 감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기브스용 붕대(90)는 스페이서(10i)와, 접착부(91)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 16의 (a)에서는 스페이서(10i)를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스페이서(10i)는 두께 약 3mm정도의 가늘고 긴 벨트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브스용 붕대(90)는 유연성이 우수하다. 접착부(91)는 스페이서(10i)의 긴 변의 한 쪽측에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0i)와 접착부(91)는 플라스틱 인젝션성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 접착부(91)의 표면 중 스페이서(10i)의 연결부재와 같은 측의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예를 들면, 팔을 절골한 경우에는, 기브스용 붕대(90)를 연결부재와 환부가 대향하도록 해서 환부에 감는다. 이 때, 도 16의 (b)에 나타내듯이, 접착부(91)를 스페이서(10i)의 베이스부재의 일부에 겹쳐 그 일부에 접착시킴으로써, 기브스용붕대(90)는 환부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러한 기브스용 붕대(90)는 매우 얇으므로, 손이나 발 등의 대략 원통형 부분이면, 그 형상에 맞춰 원활하게 감아 고정할 수 있다. 가벼운 골절이면, 이렇게 기브스용 붕대(90)를 감는 것만으로, 환부를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심한 골절이면 그 기브스용 붕대(90)위에 석고를 발라 환부를 고정한다.
이러한 기브스용 붕대(90)는 스페이서에 의해 환부의 통기성이 유지되므로, 환부에 땀이 나거나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것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방충복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벌집을 제거하는 작업이나 양봉작업을 행할 때, 작업자의 몸전체를 덮도록 해서 착용하는 방충복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충복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으로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를 각각, 열성형에 의해 몸의 각 부에 맞춘 형상으로 제작한다. 다음에, 이들 각 파트의 스페이서를 봉합함으로써, 방충복이 얻어진다. 또, 이 경우, 방충복을 입고 있는 사람이 벌에 쏘이는 일이 없도록, 예를 들면 스페이서의 돌출부의 배치간격을 빽빽히 하는 동시에 기둥형상부재의 높이를 어느 정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충복에서는 작업자가 벌에 쏘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페이서가 통기성이 우수하므로,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벽장매트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벽장매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벽장에 방석을 겹쳐 쌓아서 넣어 두면,결로에 의해 벽장바닥과 접한 방석부분이 축축해지는 일이 있다. 벽장매트는 벽장바닥에 깔아 바닥과 방석사이의 통풍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벽장매트로서는 목제의 발이 이용되고 있지만, 방석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목제의 발은 두껍고, 방석과의 접촉면적도 크게 하고 있고, 통풍성도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라고는 할 수 없다. 또, 목제의 발은 제조비용이 든다라는 문제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기둥형상부재의 굵기를 어느 정도 굵게 설정하면 방석 등의 하중에 견딜 수 있고, 또한 통풍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벽장매트로서 사용함으로써, 방석이 축축해 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조비용도 저렴하다라는 이점도 있다. 또한, 큰 사이즈의 스페이서를 소정 사이즈로 절단함으로써, 각각의 벽장에 적합한 사이즈의 벽장매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냉장고용 트레이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냉장고용 트레이로서 적용할 수 있다. 냉장고에서는 내부에 찬 공기를 순환시키고 있다. 냉장고용 트레이에 식품 등을 올려놓은 경우, 그 식품 등을 충분하고 또한 균일하게 냉각하기 위해서는 식품 등의 전체면에 찬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물체와 접하는 측의 개구율이 크고, 또한 상하방향을 따라서도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스페이서로 제작한 냉장고용 트레이에서는, 그 트레이에 올리는 식품 등에는 상하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도 충분히 공급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식품 등을 충분히 냉각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식품 등의 각 구분을 균일하게 차게 할 수 있다.
(다다미의 깔개, 다다미의 안창으로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바닥판과 다다미사이에 까는 다다미깔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다미를 바닥판위에 까는 것만으로는 바닥판과 접하는 다다미의 이면측이 축축해지고, 그 부분이 부패하게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통풍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스페이서를 다다미의 깔개로서 사용함으로써, 다다미의 이면측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최근, 저렴한 다다미로서, 표측만이 다다미처리로 되어 있으나, 그 내부는 안창으로서의 우레탄이 들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다다미에 있어서, 우레탄대신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이용함으로써, 통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다다미의 안창으로서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이용해도 우레탄을 이용한 경우와 거의 같은 저렴한 가격으로 다다미를 제공할 수 있다.
(주방용 물빼기용구에의 적용예)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물빠짐이 좋으므로, 주방용 물빼기용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스페이서는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그 물빼기용구상에 식기나 컵 등을 떨어트려도 깨지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두께방향의 길이성분을 갖는 복수의 기둥형상부재와, 복수의 기둥형상부재의 한 쪽끝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갖는 것에 의해, 내부에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통하기 쉽고, 통풍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게다가 스페이서와 접하는 측의 물체의 접촉면적을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열전도가 작고, 단열성이 우수하다. 또, 예를 들면 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으로 복수의 기둥형상부재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대량생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스페이서는 방석, 요, 의자, 소파, 구두의 안창, 란도셀, 건축자재, 벽장매트, 냉장고용 트레이, 다다미깔개, 발 등에 이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스페이서에서는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베이스부재의 상하양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스페이서에서는 기둥형상부재를 직선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인젝션성형이 가능한 범위에서, 기둥형상부재를 곡선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17에 기둥형상부재(12j)가 곡선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11j)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기둥형상부재(12j)를 곡선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11j)에는 상하방향, 전후좌우방향을 따라 적당한 탄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1j)의 탄성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진동방지재나 쇼크방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진동방지재는 진동물의 진동을 바닥 등에 전달시키지 않는 목적으로, 혹은 바닥 등의 진동을 물체에 전달시키지 않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물체와 바닥 등과의 사이에 끼워 사용된다. 종래의 진동방지재로서는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듯이, 다수의 판형상 돌출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고무제의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제의 진동방지재에서는 진동방지효과가 그다지 좋지 못했다. 이것에 대해서, 도 17에 나타낸 돌출부(11j)를 갖는 스페이서는 탄성이 우수하므로, 그 스페이서를 적용한 진동방지재는 종래의 것에 비해 진동방지효과가 크다. 또, 억제하고 싶은 소정의 주파수대역의 진동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쉽다라는 이점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풍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단열성 및 대량생산성이 우수하므로, 예를 들면, 방석, 요, 의자, 소파, 구두의 안창, 란도셀, 건축자재. 벽장매트, 냉장고용 트레이, 다다미의 깔개, 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대략 편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방향으로 대략 수직인 한 쪽 또는 양쪽 표면에서 물체와 접하는 스페이서로서,
    상기 두께 방향의 길이성분을 갖는 복수의 기둥형상부재와, 복수의 상기 기둥형상부재의 한 쪽 끝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기둥형상부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형상부재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플라스틱의 인젝션성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상부재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재가 공간을 통해 다른 부재와 겹쳐져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둥형상부재의 다른 쪽 끝의 측에 시트형상부재를 고정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기둥형상부재는 세개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를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연결부재를 망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KR1020017008806A 1999-10-22 1999-10-22 스페이서 KR20020053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5835 WO2001015574A1 (en) 1999-10-22 1999-10-22 Spa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774A true KR20020053774A (ko) 2002-07-05

Family

ID=1423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806A KR20020053774A (ko) 1999-10-22 1999-10-22 스페이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222884A1 (ko)
KR (1) KR20020053774A (ko)
CN (1) CN1333665A (ko)
AU (1) AU6228899A (ko)
BR (1) BR9917011A (ko)
CA (1) CA2371860A1 (ko)
MX (1) MXPA01009849A (ko)
WO (1) WO2001015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155900A0 (en) * 2000-11-20 2000-12-14 Reynolds, Christopher John A mat
EP1454560A1 (en) * 2003-03-05 2004-09-08 Korea Industrial Fastener Corporation Cushion for a back support
EP1985208B1 (en) * 2006-02-13 2019-11-13 SFT Laboratory Co., Ltd. Spacer for human body
EP3177197B1 (en) * 2014-08-05 2021-06-23 Milliken & Company Two part floor covering
CN107709888B (zh) 2015-07-21 2021-05-11 捷温汽车系统(中国)有限公司 用于氛围控制支撑装置的连接器
JP6125586B2 (ja) * 2015-09-09 2017-05-10 一朗 巽 リュックサック
JP2021194188A (ja) * 2020-06-12 2021-12-27 株式会社セフト研究所 スペーサー
US11779097B1 (en) * 2021-09-27 2023-10-10 Brice H Sokolowski Modular spacer device for airflow between a user and a wearable ba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8609U (ko) * 1978-06-05 1979-12-17
JPS5521947A (en) * 1978-08-02 1980-02-16 Nissan Motor Seat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1860A1 (en) 2001-03-08
WO2001015574A1 (en) 2001-03-08
CN1333665A (zh) 2002-01-30
BR9917011A (pt) 2002-01-29
EP1222884A1 (en) 2002-07-17
MXPA01009849A (es) 2002-05-06
AU6228899A (en) 200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7471B1 (en) Baby mat
KR200467325Y1 (ko) 열 발생가능한 카펫 구조물
JP6739245B2 (ja) ペット用ベッド
KR20020053774A (ko) 스페이서
JP6940066B2 (ja) 人工芝構造体
JP3136985U (ja) 積層型ネット敷物
JP2020099360A (ja) ペット用ベッド
US20090004409A1 (en) Artificial pet grass
KR20200020670A (ko) 쿠셔닝 구조물
EP0870449B1 (en) Bed mattress with variable characteristics of carrying capacity throughout its length
KR101597112B1 (ko)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0688U (ko) 탈부착식 또는 일체형 접합구조의 타공형 탄성층이 구비된 물매트용 매트리스
JP3168485U (ja) デザイン性半畳型クッションの連結敷物。
JP2009214351A (ja) 装飾繊維基層マット
CN215913947U (zh) 一种厚薄可调节的防水型垫子
JP2518329Y2 (ja) 密生植物栽培用マット
JPH11332725A (ja) 樹脂パイプ配列マット
JP3149468U (ja) 靴の中敷き
JP3166332U (ja) オールシーズン用藺草敷物
JP2004084198A (ja) 浴水可能な高耐水畳
JP3018327U (ja) スリッパ
JPS6122482Y2 (ko)
JPH0742286Y2 (ja) 密生植物栽培用マット
JP2022161012A (ja) 足枕
US20080200087A1 (en) Ventilatio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