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862A -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862A
KR20020052862A KR1020000082330A KR20000082330A KR20020052862A KR 20020052862 A KR20020052862 A KR 20020052862A KR 1020000082330 A KR1020000082330 A KR 1020000082330A KR 20000082330 A KR20000082330 A KR 20000082330A KR 20020052862 A KR20020052862 A KR 2002005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rip
motor
motor hold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최문환
임동원
금용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8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2862A/ko
Publication of KR2002005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립이 연마캐빈에 진입되기 전에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를 제거하는 노트리밍부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레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행베이스, 주행베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전후진실린더, 주행베이스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베이스, 일단은 회동베이스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주행베이스에 연결설치되어 회동베이스를 회동하도록 하는 승하강실린더, 회동베이스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모터홀더, 일단은 회동베이스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모터홀더에 연결설치되어 모터홀더를 회동시키는 개폐실린더, 모터홀더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설치된 상부요철롤, 회동베이스에 돌출형성되어 상부요철롤에 대응하는 하부요철롤을 더욱 포함하는 노트리밍부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트리밍부 제거장치{REMOVING DEVICE OF NON-TRIMMING PAR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냉연공장의 코일그라인딩라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립 엣지부의 노트리밍부를 제거하는 노트리밍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냉연공장에서는 스트립의 표면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트립을 연마하는 연마설비가 설치된다. 스트립을 연마하는 연마설비는 연마캐빈의 내부에 텐션롤과 콘택트롤에 연마벨트가 권취되어 스트립의 표면을 연마하고 콘택트롤의 하부에는 빌리롤이 설치되어 스트립을 오프셋시킨다. 여기에 진입되는 스트립은 수요가의 요구에 의해 소정의 폭으로 절단된 스트립으로 슬리팅하는 나이프가 마모되는 등의 이유로 일부가 절단되지 않는 노트밍부가 발생되기도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연마설비를 도2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연마캐빈(90)의 내부에 콘택트롤(91)과 텐션롤(92)에 연마벨트(93)가 권취되고 이 연마벨트(93)가 스트립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그리고 연마캐빈(9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되는 빌리롤(94)이 스트립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연마캐빈(90)의 스트립 공급방향에 롤가이드(95)에서 회전하는 아이들롤(96)이 설치되어 스트립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연마캐빈에 노트리밍부가 있는 스트립이 진입되게 되면 노트밍부가 연마벨트를 절단시키고 콘택트롤과 빌리롤의 표면이 손상되므로 연마벨트나 롤들을 교체하기 위한 정비시간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트립이 연마캐빈에 진입되기 전에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를 제거하는 노트리밍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리밍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마설비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주행베이스 14 : 전후진실린더
16 : 회동베이스 18 : 승하강실린더
20 : 모터홀더 22 : 개폐실린더
24 : 모터 26 : 상부요철롤
28 : 하부요철롤 30 : 유도가이드
46 : 제어판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행베이스, 주행베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전후진실린더, 주행베이스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베이스, 일단은 회동베이스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주행베이스에 연결설치되어 회동베이스를 회동하도록 하는 승하강실린더, 회동베이스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모터홀더, 일단은 회동베이스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모터홀더에 연결설치되어 모터홀더를 회동시키는 개폐실린더, 모터홀더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설치된 상부요철롤, 회동베이스에 돌출형성되어 상부요철롤에 대응하는 하부요철롤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주행베이스위에 설치되어 요철롤에서 제거된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를 유도하는 유도가이드를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리밍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리밍부 제거장치는 레일(10)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행베이스(12), 주행베이스(12)를 이동시키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전후진실린더(14), 주행베이스(12)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베이스(16), 일단은 회동베이스(16)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주행베이스(12)에 연결설치되어 회동베이스(16)를 회동시키는 승하강실린더(18), 회동베이스(16)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모터홀더(20), 일단은 회동베이스(16)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모터홀더(20)에 연결설치되어 모터홀더(20)를 회동시키는 개폐실린더(22), 모터홀더(20)에 고정설치되는 모터(24),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며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설치된 상부요철롤(26), 회동베이스(16)에 돌출형성되어 상부요철롤(26)에대응하는 하부요철롤(28), 주행베이스(12)위에 설치되어 요철롤(26,28)에서 제거된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를 유도하는 유도가이드(30)로 이루어진다.
주행베이스(12)는 레일(10)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레일(10)은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연장설치되며 주행베이스(12)의 양측에는 주행바퀴(13)가 설치되어 레일(10)위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주행베이스(12)의 양측으로 센서가이드베이스(12a)가 돌출형성되고 센서가이드베이스(12a)에는 센서가이드(11)가 설치되는데 스트립 진행방향의 센서가이드(11)에는 스트립의 엣지를 감지하는 엣지감지센서(32)가 설치되고 스트립 공급방향의 센서가이드(11)에는 스트립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34)가 설치된다.
한편 엣지감지센서(32)와 위치감지센서(34)는 제어판넬(36)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판넬(34)에서 연산되어 전후진실린더(14)를 제어하게 된다.
전후진실린더(14)는 주행베이스(12)를 이동시키도록 주행베이스(12)의 양측에 설치되는데 전후진실린더베이스(14a)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14b)가 레(10)일과 평행하도록 주행베이스(12)의 센서가이드베이스(12a)에 연결설치된다.
회동베이스(16)는 주행베이스(12)위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주행베이스(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가이드(12b)에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17)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17)이 회동베이스(16)를 관통하게된다.
승하강실린더(18)는 일단은 회동베이스(16)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주행베이스(12)에 연결설치되어 회동베이스(16)를 회동시키게 된다. 즉 승하강실린더(18)가 신장되므로 회동베이스(16)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회전축(17)을 중심으로회동베이스(16)가 회동하게 된다.
모터홀더(20)는 회동베이스(16)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모터홀더(20)의 양측이 회동베이스(16)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므로 모터홀더(20)가 회동베이스(16)의 힌지(16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된다. 또한 모터홀더(20)의 하부에는 터치바(20a)가 설치되고 회동베이스(16)의 측면에 모터홀더(20)의 회동을 감지하도록 오픈센서(38)가 설치되고 모터홀더(20)의 회전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회동베이스(16)의 측면에 설치된 오픈센서(38)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판넬(36)로 전달하고 제어판넬(36)에 전달된 신호는 연산되어 개폐실린더(22)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개폐실린더(22)는 일단은 회동베이스(16)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모터홀더(20)에 연결설치되어 모터홀더(20)를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폐실린더(22)가 신장되므로 회동베이스(16)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모터홀더(20)가 회동베이스(16) 상부의 힌지(16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된다.
모터(24)는 모터홀더(20)에 고정설치되며 모터(24)의 구동축(24a)에는 상부요철롤(26)이 결합되어 스트립을 가압하게 된다.
상부요철롤(26)은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며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부요철롤(26)은 모터(24)의 구동축(24a)에 결합되므로 주행베이스(12)가 이동되어 상부요철롤(26)이 노트리밍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개폐실린더(22)가 신장하면 모터홀더(20)가 회전하여 상부요철롤(26)이 스트립을 가압하게 된다.
하부요철롤(28)은 회동베이스(16)에 돌출형성되어 상부요철롤(26)에 대응하며 노트리밍부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요철롤(26)에 의해 스트립이 가압되면 하부요철롤(28)이 스트립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므로 요철롤(26,28)사이에 스트립이 밀착된다.
유도가이드(30)는 주행베이스(12)위에 설치되어 요철롤(26,28)에서 제거된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를 유도하게 되는데 유도가이드(30)는 상부요철롤(26)의 회전에 의해 제거되는 노트리밍부가 진입될 수 있는 각도로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설치된 전후진실린더(14)가 신장하게 되면 피스톤로드(14b)가 주행베이스(12)에 연결설치되므로 주행베이스(12)가 레일(10)을 따라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주행베이스(12)가 이동하여 엣지감지센서(32)가 스트립의 엣지부를 감지하게 되면 엣지감지센서(32)로부터 제어판넬(36)에 신호가 전달되고 이 신호는 제어판넬(36)에서 연산되어 전후진실린더(14)를 고정시켜 주행베이스(12)를 정지시키게 된다.
주행베이스(12)가 정지하게 되면 스트립의 폭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34)가 스트립의 폭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스트립의 진행되는 중에 노트리밍부가 위치감지센서(34)에 진입하게 되면 위치감지센서(34)로부터 제어판넬(36)에 신호가 전달되어 노트리밍부의 폭이 감지되고 주행베이스(12)를 노트리밍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주행베이스(12)의 위치는 상부요철롤(26)과 하부요철롤(28)의 선단이 노트리밍부의 내측 경계선에 오도록 한다.
주행베이스(12)가 이동되면 개폐실린더(22)를 작동시켜 모터(24)를 수직으로 회동시킨다. 모터(24)가 회동되면 모터(24)의 구동축(24a)에 설치된 상부요철롤(26)이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는 상부요철롤(26)과 하부요철롤(28) 사이에 밀착된다.
스트립의 노트리밍부가 요철롤(26,28)에 밀착되어 고정되면 승하강실린더(18)를 신장과 수축을 반복시켜 노트리밍부가 꺽어져 스트립과 분리되도록 한다.
노트리밍부가 스트립과 분리되면 모터(24)를 구동시켜 상부요철롤(26)을 회전키므로 노트리밍부가 배출시킨다. 또한 요철롤(26,28) 사이에서 배출된 노트리밍부는 유도가이드(30)로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리밍부의 제거장치는 노트리밍부가 연마캐빈에 진입되기전에 노트리밍부를 제거하므로 연마캐빈내의 연마벨트와 롤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연마벨트와 롤의 수명이 연장되어 정비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2)

  1. 스트립 연마설비에 있어서,
    레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주행베이스, 상기 주행베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전후진실린더, 상기 주행베이스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베이스, 일단은 상기 회동베이스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주행베이스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회동베이스를 회동하도록 하는 승하강실린더, 상기 회동베이스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모터홀더, 일단은 상기 회동베이스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모터홀더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모터홀더를 회동시키는 개폐실린더, 상기 모터홀더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설치된 상부요철롤, 상기 회동베이스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요철롤에 대응하는 하부요철롤을 포함하는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요철롤에서 제거된 스트립의 노트리밍부를 유도하는 유도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는 노트리밍부의 제거장치.
KR1020000082330A 2000-12-26 2000-12-26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KR20020052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330A KR20020052862A (ko) 2000-12-26 2000-12-26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330A KR20020052862A (ko) 2000-12-26 2000-12-26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862A true KR20020052862A (ko) 2002-07-04

Family

ID=2768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330A KR20020052862A (ko) 2000-12-26 2000-12-26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28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4200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브레이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KR19990012559U (ko) 철제롤용 이물자동제거장치
KR100408658B1 (ko) 스트립 에지의 나이프 버 제거장치
KR100431445B1 (ko) 압연라인의 디프렉트롤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0052862A (ko) 노트리밍부 제거장치
KR100889501B1 (ko) 스트립 측선단부 연마장치
KR100770198B1 (ko) 스킨 패스 압연기의 워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78669B1 (ko) 스트립 에지 스크랩 권취장치
KR100864441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절단 장치
KR100742876B1 (ko)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KR20040090214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롤 크리닝 장치
KR100478724B1 (ko) 수직 루퍼의 판쏠림 교정장치
KR200227578Y1 (ko) 코일 선단부 연삭장치
KR200215179Y1 (ko) 스트립 코일의 엔드마크 방지장치
KR100939263B1 (ko) 환도 연마장치
KR101125813B1 (ko) 런아웃테이블의 불량테일 스트립 절단장치
KR100923471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빌리롤 부착 스와프 제거장치
KR20050030064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제동장치
KR200286762Y1 (ko) 용접전단기의 스크랩 이송장치
KR100948924B1 (ko) 피딩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0885213B1 (ko) 코일 권취공정의 스트립 용접부위 흠 발생 방지장치
KR100805724B1 (ko) 헤어라인 가공설비의 스폿롤 복구장치
KR200175353Y1 (ko) 밀에지재의 에지 돌출부 제거장치
KR20030020047A (ko) 롤연마기의 샌딩블록 우드 교환장치
KR200199433Y1 (ko) 열연코일의 크롭절단용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