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493A -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493A
KR20020050493A KR1020000079650A KR20000079650A KR20020050493A KR 20020050493 A KR20020050493 A KR 20020050493A KR 1020000079650 A KR1020000079650 A KR 1020000079650A KR 20000079650 A KR20000079650 A KR 20000079650A KR 20020050493 A KR20020050493 A KR 20020050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parts
weight
montmorillonite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863B1 (ko
Inventor
박준상
이석민
Original Assignee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찬구
Priority to KR10-2000-007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8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32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liquid component
    • C08L2207/324Liquid component is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층간으로 잘 흡수되는 용매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하여 폴리스티렌/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마스터 배치를 만들고, 이 마스터 배치를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는 투과율,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마스터 배치 제조시 고분자량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에 비하여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Method to prepare styrene type block copolymer nanocomposites}
본 발명은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용매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건조시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 다음,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와 용융 혼합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고분자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복합재(nanocomposite) 기술은 1987년 일본의 토요다(Toyota) 자동차에 의해 최초로 개발된 기술로, 기존에 각종 플라스틱 소재의 기계적·열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있던 무기 필러(inorganic filler)의 표면을 각종 유기화제로 처리하여 기존 무기 필러의 분산성을 100∼1000배 정도 향상시켜 소량의 무기 필러로도 강성과 내열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고분자 나노복합재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실리케이트 층을 완전히 분산시키는 박리형 나노복합재(exfoliated nanocomposites)와 실리케이트 층 사이에 고분자가 삽입되어 있는 삽입형 나노복합재(intercalated nanocomposites)로 구분되어지며, 고분자 수지의 내충격성, 인성, 투명성의 손상없이 강도와 강성도, 가스투과 억제능, 방염성, 내마모성, 고온안정성 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노복합재 기술은 상기한 바와 같이 1987년 일본 Toyota 연구진들에 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나일론 단량체를 실리케이트 층 사이에 삽입시키고, 이를 층간 중합(이하, 중합법이라 한다)함으로써 층간 거리(d-spacing)가 100Å 가까이 증가하는 박리현상이 보고된 이래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이다(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B; Polymer Physics, Vol. 31, 1755-1758(1993),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B; Polymer Physics, Vol. 32, 625-630(1994)).
그러나, 이런 중합법은 양이온 중합이 가능한 경우에만 이용될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용액법을 들 수 있는 바,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5∼10 중량부의 용액을 만든 후, 3∼10 중량부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건조하여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용액법은 과량의 용매를 사용해야 하고, 별도의 용매제거 공정이 필요하며, 고분자가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 사이로 단순 삽입만 되거나 용매 건조과정 중에 층간 거리가 다시 좁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극성 고분자에 화학적 개질(modification)을 통하여 극성 그룹을 도입함으로써 개질된 고분자가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층간 사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후, 이 개질된 고분자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용융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만든 다음 고분자와 혼합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서, 1997년 일본 Toyota 연구팀은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가 그라프트(graft)된 프로필렌 올리고머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재를 개발하였다(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66, 1781-1785 (1997), Macromolecules, Vol. 30, 6333-6338, (1997)).
상기와 같은 점토 분산 고분자 나노복합재 제조 기술은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 층상 구조를 갖는 점토광물의 층사이로 고분자 수지를 침투시켜 층상구조의 박리를 유발하여 고분자 수지에 나노 스케일의 실리케이트 시트상 기본단위를 박리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얻어진 고분자 나노복합재는 범용 고분자의 낮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분자 나노복합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몬모릴로나이트는 높은 축비(aspectratio: 500∼1000)를 가진 대표적인 2:1 스멕타이트(smectite)계 층상 점토로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거리는 1㎚ 미만 정도이나 양이온의 종류 및 수분함량에 따라 층간거리가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연상태에서는 층 사이에 Na+나 Ca2+등이 수분과 같이 존재하며 층간거리가 대략 1㎚ 미만정도인데, 탄소원자수 6∼18 사이의 암모니윰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유기화제로 양이온 치환반응을 시키면 층간거리가 2∼3㎚인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가 생성된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판상의 Na+몬모릴로나이트가 뭉쳐있는 스멕타이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넓어진 층사이로 고분자가 삽입되어 나노복합재가 형성된다(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67, 87-92 (1998)).
하지만 점토광물의 기본단위인 판상 실리케이트는 판과 판사이의 강력한 인력으로 인하여 고분자 수지에 박리, 분산시키기가 매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분자량의 유기화제를 실리케이트 층상구조 사이에 삽입시켜 유기화시킨 후 고분자 수지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줌으로써 박리,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용융 상태의 고분자 사슬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유기화된 점토 실리케이트 층 사이에 삽입시키고 이를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몬모릴로나이트 시트를 분산시키는 컴파운딩법이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나일론이나 폴리올, 폴리비닐알코올, 에폭시수지와 같은 극성고분자들은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층간 삽입이 비교적 용이하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무극성 고분자들은 층간 삽입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무극성 고분자나 극성이 약한 고분자를 컴파운딩법에 적용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다(Macromolecules, Vol. 28, 8080-8086 (1995),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Letter, Vol. 15, 1481-1483 (1996),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Letter, Vol. 16, 1670-1672 (1997)).
그러나 무극성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개질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며, 극성 그룹으로 개질화를 너무 많이 시키면 개질되지 않은 고분자와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무극성 고분자나 극성이 약한 고분자를 개질하지 않고도 나노복합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극성이 약한 고분자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사이에 삽입시키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던 중,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용매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하여 건조시켜 마스터 배치를 만든 후, 이를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와 용융혼합한 결과, 투명도의 저하없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 수지를 용매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건조하여 마스터 배치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배치와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와 용융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판상의 Na+몬모릴로나이트가 뭉쳐 있는 그림이고,
도 2는 점토분산 나노복합재 제조 도식도로서,
(a)삽입형 나노복합재, (b)박리형 나노복합재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1단계는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통상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데는 무극성의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용융혼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무극성의 고분자를 개질화하는데 있어서의 복잡한 절차를 해소하고 다량의 개질화로 인한 고분자와의 상용성 저하를 막기 위해,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다.
이때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은 분자량이 20,000g/mol 이하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바람직하기로는 5,000∼20,000g/mol인 것이다.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이 5,000g/mol보다 작으면 그 효과가 크지 않으며, 20,000g/mol보다 클 경우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투명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매는 상기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 수지를 잘 용해시키면서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가 층간사이로 잘 흡수될 수 있는 용매가 바람직한 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만족시켜주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마스터 배치 제조시 용매의 사용량은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에 대하여 100∼6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 바, 만일 그 사용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저분자량의 고분자를 녹이기 힘들고, 6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용매량이 너무 많아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 등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중간 범위인 300 중량부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는 미국 Southern Clay사의 Cloistite 6A를 사용하였다.
Cloisite 6A는 Na-몬모릴로나이트를 다이메틸 다이하이드로게네이티드 탈로우 암모니윰(dimethyl dihydrogenated tallow ammonium)으로 유기화 처리한 것으로 유기화된 정도만 각각 다른 것이다. Cloisite 6A는 층간거리가 34.60 Å이고 유기화제의 농도가 140meq/100g 이다.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Na-몬모릴로나이트 20g을 80℃의 증류수 4ℓ에 분산시킨다. 여기에 유기화된 암모니윰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 7g을 80℃ 증류수 500㎖에 녹인 후 혼합한다. 30분간 교반 후 24시간 방치를 하면 흰색 침전물이 생성된다. 흰색 침전물을 원심분리기로 분리한 후 증류수로 2∼3회 세척하여 100℃에서 24시간 건조하면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를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은 저분자량 폴리스티렌을 용매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건조하여 마스터 배치를 만든다. 이때,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는 저분자량 폴리스티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20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50 중량부보다 작으면 저분자량 폴리스티렌 함량이 많아져 폴리머와 혼합시 물성을 저하시키며, 200 중량부보다 많으면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층 사이로 충분한 양의 폴리스티렌이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분산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 다음, 얻어진 마스터 배치와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를 용융혼합하여 본 발명의 나노복합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에틸부틸-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아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가 있는데 이들 공중합체들은 열가소성 탄성체라고 불리며 양말단에 스티렌 블록이 존재하고 가운데 부분에 고무블록이 존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물성 거동이 비슷하다.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SBS)를 사용하였다.
마스터 배치와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혼합시 그 사용량은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가 3∼10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사용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없고, 상기 범위보다 많을 경우 추가 투입으로 인한 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투명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고분자가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 사이로 삽입된 정도에 따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 거리가 넓어지기 때문에 층간 삽입 정도를 알기 위해 고분자와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를 혼합한 후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장치로 층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샘플은0.3mm 두께의 필름으로 만든 후, 분당 2°의 측정 속도로 1∼10°의 2θ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인장시험은 ASTM D-425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샘플은 핫프레스로 10분간 압축하여 두께 3mm의 시료를 제작한 후, JIS K6301 시편커터기로 인장 시편을 만들어 분당 500mm의 cross head 속도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투명도 실험을 위하여 0.3mm 두께의 필름으로 샘플을 만든 후, 자외선 분광광도계(Ultra Violet Spectrometer,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425nm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분자량 폴리스티렌 100 중량부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0 중량부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100 중량부와 혼합한 후 70℃에서 진공건조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SBS 100 중량부에 상기 마스터 배치 6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Banbary mixer)에 넣고 130℃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XRD로 샘플내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저분자량 폴리스티렌 100 중량부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0 중량부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100 중량부와 혼합한 후 70℃에서 진공건조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SBS 100 중량부에 상기에서 제조한 마스터 배치 10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 넣고 130℃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XRD로 샘플내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저분자량 폴리스티렌 100 중량부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0 중량부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100 중량부와 혼합한 후 70℃에서 진공건조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SBS 100 중량부에 상기에서 제조한 마스터 배치 20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 넣고 130℃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XRD로 샘플내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SBS 100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 넣고 13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SBS 100 중량부와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 5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 넣고 130℃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SBS 100 중량부와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5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 넣고 130℃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XRD로 샘플내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SBS 100 중량부와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5 중량부 및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 5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 넣고 130℃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XRD로 샘플내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SBS 100 중량부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0 중량부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100 중량부와 혼합한 후 70℃에서 진공건조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SBS 100 중량부에 상기에서 제조한 마스터 배치 10.53 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를 이용하여 130℃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50℃ 조건에서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0분간 눌러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인장시험기로는 인장강도를, XRD로 샘플내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 3
수지조성(중량부) SBS 100 100 100
PS 3 5 10
O-MMT 3 5 10
층간거리(Å) 36.21 37.20 37.60
인장강도(kgf/cm2) 220 250 265
300% modulus(kgf/cm2) 35 41 45
투과율(%) 80 78 76
S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PS:폴리스티렌(분자량 20,000g/mol)O-MMT: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Cloisite 6A : 34.60Å
비교예
1 2 3 4 5
수지조성(중량부) SBS 100 100 100 100 100
PS - 5 - 5
O-MMT - - 5 5 5
층간거리(Å) - - 35.20 35.60 36.31
인장강도(kgf/cm2) 210 180 210 220 210
300% modulus(kgf/cm2) 33 41 35 40 34
투과율(%) 82 73 75 72 78
S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PS:폴리스티렌(분자량 20,000g/mol)O-MMT: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 Cloisite 6A : 34.60Å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SBS에 단순 혼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모두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해 보면 인장강도가 14% 저하되었으며,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를 SBS와 혼합한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인장강도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SBS와 혼합한 비교예 4의 경우에도 인장강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것으로 보아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과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를 SBS와 단순 용융혼합을 하였을 경우에는 인장강도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한 실시예 2와 컴파운딩법으로 단순혼합한 비교예 4의 경우 동일 조성비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이용한 실시예 2의 투과율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과 마스터 배치 제조시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이용한 비교예 5의 기계적 물성을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을 이용한 실시예의 기계적 물성결과가 향상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 수지를 용매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건조하여 마스터 배치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배치와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와 용융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은 분자량이 5,00020,000g/mol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는 저분자량 폴리스티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60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는 저분자량 폴리스티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200 중량부로 되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에틸부틸-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및 스티렌-아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마스터 배치의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용융혼합시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가 3∼10 중량부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KR10-2000-0079650A 2000-12-21 2000-12-21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KR10041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50A KR100411863B1 (ko) 2000-12-21 2000-12-21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50A KR100411863B1 (ko) 2000-12-21 2000-12-21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493A true KR20020050493A (ko) 2002-06-27
KR100411863B1 KR100411863B1 (ko) 2003-12-18

Family

ID=2768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650A KR100411863B1 (ko) 2000-12-21 2000-12-21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8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3541A1 (fr) * 2003-12-16 2005-06-17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materiaux composites, materiaux composites et mise en oeuvre de ceux-ci.
KR100508880B1 (ko) * 2002-08-14 2005-08-1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저분자량 올리고머를 이용한 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0533937B1 (ko) * 2002-05-16 2005-1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인너라이너용 고무조성물
US7329702B2 (en) 2004-09-27 2008-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495051B2 (en) 2004-09-27 2009-0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ano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691932B2 (en) 2004-09-27 2010-04-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composition and nanocomposites therefrom
US8193270B2 (en) 2004-12-14 2012-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composites and nanocomposi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82B1 (ko) 2004-11-30 2006-10-11 가람테크(주) 섬유화가 가능한 나노복합체 펠렛의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나노복합체 펠렛
KR100769753B1 (ko) * 2006-12-19 2007-10-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사이드월용 고무조성물
KR102629940B1 (ko) 2023-04-18 2024-01-26 이현석 합성수지재 슬리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슬리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447A (ko) * 1994-05-06 1995-12-20 유현식 벤토나이트가 함유된 abs 수지조성물
JP2000026835A (ja) * 1998-07-13 2000-01-25 Bridgestone Corp 防水シール材
JP2000178392A (ja) * 1998-10-07 2000-06-27 Toray Ind Inc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US6384121B1 (en) * 1998-12-07 2002-05-0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meter/clay nanocomposite comprising a functionalized polymer or oligomer and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0344231B1 (ko) * 2000-01-21 2002-07-2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10076519A (ko) * 2000-01-26 2001-08-16 윤덕용 폴리올레핀/점토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0373183B1 (ko) * 2000-10-12 2003-02-2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머 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937B1 (ko) * 2002-05-16 2005-1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인너라이너용 고무조성물
KR100508880B1 (ko) * 2002-08-14 2005-08-1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저분자량 올리고머를 이용한 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
FR2863541A1 (fr) * 2003-12-16 2005-06-17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materiaux composites, materiaux composites et mise en oeuvre de ceux-ci.
WO2005058750A1 (en) * 2003-12-16 2005-06-30 Solvay (Société Anonym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material and use thereof
US7674849B2 (en) 2003-12-16 2010-03-09 Solvay (Société Anonym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material and use thereof
EA013236B1 (ru) * 2003-12-16 2010-04-30 Солвей (Сосьете Аноним)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ы его переработки
US7329702B2 (en) 2004-09-27 2008-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495051B2 (en) 2004-09-27 2009-0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ano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691932B2 (en) 2004-09-27 2010-04-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composition and nanocomposites therefrom
US8193270B2 (en) 2004-12-14 2012-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composites and nanocompos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863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1297B1 (en) General approach to nanocomposite preparation
US6838508B2 (en) Polyolefin-based nanocomposite and preparation thereof
EP0598836B1 (en) Melt process formation of polymer nanocomposite of exfoliated layered material
EP1276801B1 (en)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propylene graft copolymers
ES2393937T3 (es) Copolímero de bloque reactivos como aditivos para la preparación de compuestos de silicato-polímero
KR100411863B1 (ko)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JP2008525536A (ja) ポリマー粘土ナノコンポジットの相溶化
KR100356534B1 (ko) 삽입형 나노복합재 제조 방법
KR100824133B1 (ko) 유기화제가 제거된 박리형 클레이 나노 미립자-고분자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562204B1 (ko) 열가소성 탄성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KR20020002786A (ko)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200135A (ja) Absナノ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73183B1 (ko) 폴리머 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0367552B1 (ko) 결정성 폴리스티렌-유기점토를 함유하는 나노복합재료 및이의 제조방법
KR100550254B1 (ko)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나노복합 수지 조성물
KR100377004B1 (ko)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탄성체 나노복합재
KR100371232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KR100508880B1 (ko) 저분자량 올리고머를 이용한 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
US8664308B2 (en) Compatibilizers for producing nanocomposites, microcomposites and polymer blends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m
KR100550264B1 (ko)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486594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1940B1 (ko) 폴리올레핀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Li et al.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 (butylene terephthalate) based nanocomposites
KR100545402B1 (ko) 용액법에 의한 점토 분산 폴리올레핀 나노복합재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복합재
KR100411864B1 (ko)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