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098A - 전동조리기 - Google Patents

전동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098A
KR20020050098A KR1020010072948A KR20010072948A KR20020050098A KR 20020050098 A KR20020050098 A KR 20020050098A KR 1020010072948 A KR1020010072948 A KR 1020010072948A KR 20010072948 A KR20010072948 A KR 20010072948A KR 20020050098 A KR20020050098 A KR 20020050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tter
rib
main body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네야스시
고야마히데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20050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나 다시마 등, 분쇄재료에 관계없이, 최적의 분쇄를 할 수 있는 전동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체(1)에 탑재된 커터(6)를 설치한 용기대(5)와 이 용기대(5)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단면이 약간 원추 형상의 용기(15)를 구비하고, 용기(15) 내면의 커터(6) 단부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터(6)에 근접하는 수직방향의 리브(17)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전동조리기{ELECTROMOTIVE COOKER}
본 발명은 차 잎이나 건어물재료 등의 조리재료를 분쇄하기 위한 전동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과일이나 건어물재료 등의 조리재료를 분쇄하는 전동조리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동조리기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특개평10-11794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를 내장한 본체와, 이 본체상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추고, 또한 본체의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커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용기기대와 상기 용기기대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기는 거의 바닥이 있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차 잎 등의 가벼운 재료를 분쇄하는 경우, 어느 정도 분쇄되면 커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풍이나 원심력에 의해, 차 잎이 용기의 상부공간 내에 체류하면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재료가 커터에 닿기 어렵고, 재료를 분말상으로 분쇄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특허출원인은 특원평 10-351709호에서, 용기를 약간 원추형상으로 한 전동조리기를 출원하였고, 용기를 약간 원추형상으로 구성에 의해, 커터의 회전에 의해 감겨 올라간 재료에, 용기 내벽면으로부터 하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분쇄재료가 커터를 향해 대류하기 쉬워져 재료의 절삭효율을 향상할 수 있도록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에 있어서, 다시마나 녹미채 등의 비교적 가벼운 재료를 분쇄하면, 재료가 커터의 선단부와 용기 내벽면과의 사이에 잔뜩 쌓여 커터의 회전지 저지되고, 재료의 분쇄할 수 없게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차나 다시마 등, 분쇄재료에 관계없이, 최적의 분쇄를 할 수 있는 전동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조리기의 요부파단도이다.
도 2는 용기대와 용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용기의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링모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2:전동기
5:용기대6:커터
15:용기17:리브
19:리브20:링부재
본 발명은 전동기를 내장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탑재되는 커터를 설치한 용기대와 이 용기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단면이 약간 원추형상의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면의 커터단부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터에 근접하는 수직방향의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전동기를 내장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탑재되는 커터를 설치한 용기대와 이 용기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단면이 약간 원추형상의 용기와, 상기 용기 내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착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부재에 상기 착탈부재의 용기의 장착상태로, 상기 커터단부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커터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수직방향의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커터의 회전 궤적 내에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리브의 하단과 커터 단부의 틈새를 5㎜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아래에 상술한다.
1은 전동기(2)를 내장하는 본체로, 이 본체(1) 상면에 돌출시킨 전동기(2)의 회전축(3)에 조인트부재(4)가 부착되어 있다.
5는 상기 본체(1) 상부에 탑재되는 용기대로, 저면 중앙에 커터(6)의 축(7)을 지지하여 커터(6)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커터(6)의 축(7) 하단에는 상기 전동기(2)의 조인트부재(4)에 걸어맞추는 캡링(8)이 부착되어 있다.
9는 상기 용기대(5) 상면 외주부에 형성된 주벽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로, 이 암나사부(9)에 후술하는 용기(15)가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터(6)는 상기 축(7)에 부착부에서 수평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선단을 아래쪽을 향해서 절곡형성한 상도(上刀)와, 축(7)의 부착부에서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지게함과 동시에, 선단을 위쪽을 향해 절곡형성한 하도(下刀)(11)로 이루어진 한 쌍의 주도(主刀)와, 상기 상도(10) 및 하도(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조도(1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보조도(12)는 단면이 약간 V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도의 단부는 후술하는 용기(15) 내벽에 근접하여 있으므로, 차 잎과 같은 부드럽고 자잘한 재료를 분쇄할 때에도, 용기(15)와 커터(6) 단부의 사이에차 잎이 떠돌지 않고, 확실하게 커터(6)의 날로 분쇄할 수 있고, 분말상으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3은 상기 용기대(5)의 상면 외주부에 형성된 고리모양의 홈으로,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 링모양의 패킹(14)이 설치되고, 상기 용기대(5)에 후술하는 용기(15)를 부착했을 때에, 용기(15)와 용기대(5)를 수밀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15는 상기 용기대(5)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 용기로, 단면이 약간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5)의 원추각도는 분쇄재료의 용량이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정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12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도이다.
16은 상기 용기(15) 외주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리브로, 상기 용기(15)를 분리할 때의 손잡이가 되도록 되어 있다.
17은 상기 용기(15) 내주면의 상기 커터(6)의 주도 단부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로, 다시마나 녹미채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를 분쇄하는 경우에, 커터(6)의 주도(특히 하도(11))선단과 용기(15)의 미세한 틈새에 재료가 끼는 상태가 되어도, 커터(6)가 잠김상태가 되기 전에 재료가 상기 리브(17)에 당접함으로써 상방에 튀어올려져, 재료가 커터(6)와 용기(15)내면 사이에서 떨어져, 다시 커터(6)위로 낙하하여,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브(17)의 하단과 커터(6)의 하도(11)선단과의 틈새(S)는 5㎜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이로 인해 커터(6)와 용기(15)의 사이에 끼워진 재료가 확실하게 리브(17)에 당접하여 떨어지고 커터(6)가 잠김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
상기 리브(17)는 본 실시예에서는 180도 간격으로 2군데 형성되어 있고, 리브(17)를 1군데만 형성한 경우와 비교해서 분쇄효율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리브(17)의 수는 용기(15)의 직경치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하는 것으로, 보다 큰 지름의 용기라면 리브(17)도 숫자를 많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8은 상기 용기(15) 저부에 형성된 다리부로, 약간 원추 모양으로 형성된 용기(15)를 분리시킬 때에 테이블 등에 놓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기(15)에 차 잎을 넣어 용기대(5)에 부착하고, 전동기(2)를 구동하면, 커터(6)가 회전하여 재료가 잘게 분쇄된다. 이 때, 잘게 분쇄된 재료는 용기(15)의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올라가지만, 용기(15)를 약간 원추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재료가 커터(6)를 향해 낙하하고, 다시 절삭되어 보다 고와지고, 이 대류를 반복함으로써 차 잎을 분말상으로 분쇄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마나 녹미채를 분쇄하는 경우에, 커터(6)의 주도(특히 하도(11)) 단부와 용기(15)와의 사이에 재료가 낀 상태가 되어도, 커터(6)의 회전에 의해 재료가 동시에 용기(15) 내주면을 이동하여, 용기(15) 내면에 형성된 리브(17)에 당접함으로써 재료가 튀어올라가 커터(6)와 용기(15)사이의 틈새에서 떨어져 다시 커터(6) 위에 낙하하여 분쇄되고, 커터(6)의 잠김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리브(17)의 하단과 커터(6)선단의 틈새(S)는 5㎜이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터(6)의 주도단부와 용기(15)의 사이에 재료가 낀 재료를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고, 커터(6)의 잠김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료의 분쇄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15)내면에 리브(17)를 일체 형성하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19)를 형성한 링 부재(20)를 용기(15) 개구에서 삽입하는 구성을 해도 좋고, 이 경우 사용 후는 링 부재(20)를 제거함으로써 용기(15) 및 리브(19)의 세정을 하기 쉬워져, 위생적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용기를 약간 원추형상으로 함으로써 차 잎과 같이 가벼운 재료를 분쇄한 경우라도, 커터를 향해 재료를 낙하시켜서 분쇄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기 내면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다시마 등의 딱딱한 재료를 분쇄할 때에, 커터와 용기의 사이에 재료가 낀 경우에도 재료가 리브에 당접함으로써 튀어올라 떨어지고, 다시 커터 위에 낙하하여 분쇄되고,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커터의 잠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용기를 약간 원추형상으로 함으로써 차 잎과 같이 가벼운 재료를 분쇄한 경우라도, 커터를 향해 재료를 낙하시켜 분쇄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기 내면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다시마 등의 딱딱한 재료를 분쇄할 때에, 커터와 용기의 사이에 재료가 낀 경우에도 재료가 리브에 당접함으로써 튀어올라 떨어지고, 다시 커터 위에 낙하하여 분쇄되어,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커터의 잠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리브는 용기에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구조로 조립성의 저하를초래하지 않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용기를 약간 원추형상으로 함으로써 차 잎과 같이 가벼운 재료를 분쇄한 경우라도, 커터를 향해 재료를 낙하시켜 분쇄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기 내면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다시마 등의 딱딱한 재료를 분쇄할 때에, 커터와 용기의 사이에 재료가 낀 경우에도 재료가 리브에 당접함으로써 튀어올라 떨어지고, 다시 커터 위에 낙하하여 분쇄되어,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커터의 잠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리브를 별체(別體)로 함으로써, 용기의 세정이 쉬워져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리브를 커터의 회전궤적 내에 붙여서 형성함으로써, 다시마 등의 딱딱한 재료가 커터와 용기의 사이에 끼인경우라도, 재료를 리브에 확실하게 당접시켜서 떼어낼 수 있고, 보다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커터의 잠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리브의 하단과 커터단부의 틈새를 5㎜이하로 형성함으로써, 커터와 용기 사이에 끼인 재료를 보다 확실하게 리브에 당접시켜서 떼어낼 수 있고, 커터가 잠김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전동기를 내장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탑재되는 커터를 설치한 용기대와 이 용기대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면이 대체로 원추형상의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면의 커터단부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터에 근접하는 수직방향의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조리기.
  2. 전동기를 내장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탑재되는 커터를 설치한 용기대와 이 용기대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면이 대체로 원추형상의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면의 커터단부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터에 근접하는 수직방향의 리브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조리기.
  3. 전동기를 내장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탑재되는 커터를 설치한 용기대와 이 용기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단면이 대체로 원추형상의 용기와 상기 용기 내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착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부재에 이 착탈부재 용기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커터단부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터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수직방향의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조리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커터의 회전궤적 내에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조리기.
  5.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하단과 커터단부의 틈새를 5㎜이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조리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하단과 커터단부의 틈새를 5㎜이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조리기.
KR1020010072948A 2000-12-19 2001-11-22 전동조리기 KR20020050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4957 2000-12-19
JP2000384957A JP2002177155A (ja) 2000-12-19 2000-12-19 電動調理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098A true KR20020050098A (ko) 2002-06-26

Family

ID=1885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948A KR20020050098A (ko) 2000-12-19 2001-11-22 전동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177155A (ko)
KR (1) KR20020050098A (ko)
CN (1) CN11796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2362B2 (en) 2003-08-26 2008-09-09 Homeland Housewares, Llc Portable blender
US7441944B2 (en) 2003-08-26 2008-10-28 Homeland Housewares, Llc Drinking extension for blender container
US6817750B1 (en) 2003-08-26 2004-11-16 Homeland Housewares, Llc Individualized blender
FR2885024A1 (fr) * 2005-04-29 2006-11-03 Seb Sa Recipient de travail pou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KR100997020B1 (ko) 2008-05-01 2010-11-25 홍소영 알약분쇄기
EP3865195B1 (en) 2019-02-15 2023-12-13 Spin Master Ltd. Toy assembly and extensible objec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9653A (zh) 2002-07-24
JP2002177155A (ja) 2002-06-25
CN1179697C (zh)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2341T3 (es) Dispositivo para triturar cubos de hielo.
CN101291609B (zh) 用于切碎食品特别是冰块的装置
US5487511A (en) Blender blades and system adapted for ice crushing
US5823672A (en) Food blender with two blade assemblies
US20110226140A1 (en)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s
JP6605626B2 (ja) 上下移動及びスイング型ミキサー
KR20020050098A (ko) 전동조리기
RU2423903C2 (ru) Проти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323245B1 (ko) 믹서구조
JP2003259994A (ja) 調理器
KR19980064772A (ko) 믹서기
KR100373866B1 (ko) 전동조리기
JPH10179427A (ja) 電動調理器
KR910004496Y1 (ko) 식품 컷트 분쇄기
CN220124551U (zh) 一种食品加工机
KR20130059517A (ko) 핸드믹서기의 칼날 보호커버
KR20210053508A (ko) 마늘 다지기(터치쿡 2) 장치
CN220824192U (zh) 料理机
JP3559731B2 (ja) 食品粉砕器
JP2597416B2 (ja) 調理器用おろしカッター
KR200343854Y1 (ko) 소형믹서
KR200368485Y1 (ko)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커터
JPS6216985Y2 (ko)
CN115415021A (zh) 一种厨余垃圾研磨装置及厨余垃圾处理器
KR200390495Y1 (ko)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