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872A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872A
KR20020048872A KR1020010079330A KR20010079330A KR20020048872A KR 20020048872 A KR20020048872 A KR 20020048872A KR 1020010079330 A KR1020010079330 A KR 1020010079330A KR 20010079330 A KR20010079330 A KR 20010079330A KR 20020048872 A KR20020048872 A KR 2002004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rticle
electrical connector
contactor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라사와마사아키
카세사부로
키히라사토루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2004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8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Abstract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접속한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 및/또는 제2의 물품에 걸고, 그 접촉자를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직접 접촉시키는 경우, 전선 또는 전선이 달린 접촉자가 하우징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적어도 어느 한쪽의 물품(210, 220)에 걸림과 동시에, 접속시에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면하는 정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되고 또한 한쪽의 단부(113a)가 측면까지 도달하여 개방되어 있는 수용홈(113)을 보유하는 하우징(110)과, 수용홈(113)에 삽입되어 걸림과 동시에,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압착 등으로 접속되는 접속부(121)를 보유하고, 수용홈(113)에 있어서 접속부(121)보다도 수용홈(113)의 폐쇄측에 설치되어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접촉하는 접촉부(122)를 보유하는 접촉자(120)와, 적어도 수용홈(113)의 개방측의 단부(113a)를 피복하여 하우징(110)에 걸린 리테이너(130)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Description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판, 전기부품 등으로 예시되는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의 분야에 속한다.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암수 결합하는 한쌍의 압착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접속형태는 예컨대 제1의 물품에서 인출된 전선을 수형의 압착커넥터에 압착접속하고, 제2의 물품에서 인출된 전선을 암형의 압착커넥터에 압착접속하며, 이들 수형의 압착커넥터와 암형의 압착커넥터를 결합하여 접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커넥터를 사용한 접속구조에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 커넥터 주위의 소형화를 향상시키는 것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제1의 물품으로부터 전선이 인출되고 있을 때에, 이 전선에 압착 또는 압접에 의해 접속한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 및/또는 제2의 물품에 걸고, 이 전기커넥터의 접촉자를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직접 접속시킴으로써 접속구조에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의 수를 하나로 하고, 이것에 의해서 접속구조의 비용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그 경우,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에 일단이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접촉자를 삽입하여 검과 동시에, 접촉자에 접속된 전선을 홈의 개방단에서 하우징 밖으로 인출하도록 하면, 전기커넥터의 제조성, 전기커넥터로의 전선의 접속작업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렇게 한 경우에는, 전선이 감김력을 받아서 홈에서 떠올랐을 때에는, 전선 또는 전선이 달린 접촉자가 하우징에서 탈락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조립함으로써 전선 또는 전선이 달린 접촉자가 하우징에서 탈락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경우의 단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여서 사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 때의 사시도,
도 4a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평면도,
도 4b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정면도,
도 4c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저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평면도,
도 6b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정면도,
도 6c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측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으로의 리테이너의 걸림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단면도,
도 9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걸 때의 사시도,
도 10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단면도,
도 11은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으로의 리테이너의 걸림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 때의 사시도,
도 13은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건 때의 사시도,
도 15는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사시도,
도 16은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7은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8은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9는 제5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기커넥터 110 : 하우징
111 : 정면 112a~112d : 측면
113 : 수용홈 120 : 접촉자
121 : 접속부 122 : 접촉부
130 : 리테이너 131 : 커버
132 : 암 136 : 창
210 : 제1의 물품 211 : 전선
212 : 오목함몰부 212a : 세로벽
220 : 제2의 물품 221 : 도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의 물품의 전선을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이다. 이 전기커넥터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물품에 걸림과 아울러, 접속시에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면하는 정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또한 한쪽의 단부가 측면까지 도달하여 개방되어 있는 수용홈을 보유하는 하우징과, 이 수용홈에 삽입되어 걸림과 아울러, 제1의 물품의 전선에 압착 또는 압접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부를 보유하고, 수용홈에 있어서 접속부 보다도 수용홈의 폐쇄측에 설치되어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보유하는 접촉자와, 적어도 수용홈의 개방측의 단부를 덮어서하우징에 걸린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기커넥터의 접촉자 접속부를 제1의 물품의 전선에 압착에 의해 접속하고, 접촉자를 하우징의 수용홈에 삽입하여 걸어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건다. 또는 접촉자를 하우징의 후용홈에 삽입하여 걸고나서 접촉자의 접속부를 제1의 물품의 전선에 압착에 의해 접속하고,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건다.
이어서, 하우징을 제1의 물품에 걸고, 2개의 물품을 소정의 위치관계로 배치하여 연결하면,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고, 전선과 도전부가 접촉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는, 하우징을 제2의 물품에 걸면,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촉하고, 전선과 도전부가 접촉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을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면,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촉하고, 전선과 도전부가 접촉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촉하기 때문에, 접점의 접촉압력이 확보되어 물품간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히 행해진다. 이 접속구조에서는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사용하는 전기커넥터의 수가 1개이기 때문에 전기커넥터의 사용수 삭감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전선을 전기커넥터로 접속하기 위한 압착작업 또는 압접작업이 1회로 완료되므로, 작업성 개선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하우징을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거는 경우, 전기커넥터를 통하여 2개의 물품이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로 나사 등의 연결수단으로 2개의 물품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지고,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접속구조로 사용되는 전기커넥터가 1개이기 때문에,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전기커넥터가 점유하는 공간이 작아져서 접속구조가 소형으로 된다.
전선이 감김력을 받아서 수용홈에서 부상되는 방향으로 굽어져도 전선이 리테이너에 수용되기 때문에, 전선 또는 전선이 달린 접촉자가 하우징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접점의 접촉압력을 확보하여 물품간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하면서, 전기커넥터의 사용수 삭감 및 작업성 개선에 의해 접속구조의 대폭적인 비용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이 감김력을 받아서 수용홈 측으로 굽어져도 전선이 리테이너에 수용되기 때문에 전선 또는 전선이 달린 접촉자가 하우징에서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을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었을 때에는,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의 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전기커넥터(100)는 제1의 물품의 전선을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서는 제1의 물품(210)으로서 전기제품의 케이스를 예시하고, 이 제1의 물품(210)이 전선(211)을 보유하고 있다. 또, 제2의 물품(220)으로서 프린트 배선판을 예시하고, 이 제2의 물품(220)이 보유하는 도전부(221)로서 도전패드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물품의 개념 및 도전부의 개념은, 이것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은 유체물이면 되고, 도전부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부재이면 된다.
상기 전기커넥터(100)는 제1의 물품(210)에 걸리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의 수용홈(113)에 삽입되어 걸린 접촉자(120)와, 하우징(110)에 걸린 리테이너(1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편의상, 하우징(110)의 한변에 따르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이것에 대략 직행하는 방향을 폭방향, 전후방향 및 폭방향에 대략 직행하는 방향을 높이방향이라 한다. 하우징(110)은 접속시에, 즉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을 전기커넥터(100)를 통하여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였을 때에,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면하는 정면(111)과, 이 정면(111)의 둘레가장자리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대략 직육면체이기 때문에, 전후방향 양단의 측면(112a, 112b) 및 폭방향 양단의 측면(112c, 112d)을 보유한다. 하우징(110)에는 정면(111)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113)은 한쪽의 단부(113a)가 하나의 측면(112a)까지 도달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홈(113)은 개방측 단부(113a) 및 폐쇄측 단부(113b)를 보유하게 되고, 개방측 및 폐쇄측의 방향성이 가능하게 된다. 수용홈(113)은 접촉자(120)의 수만큼 폭방향으로 늘어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의 측면(112c, 112d)에는 후술하는 제1의 물품(210)의 가이드돌기가 끼워넣어지는 걸림홈(114)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이와 같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물품에 걸 수 있고 접촉자를 조성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자(120)는 전기전도성을 보유하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자(120)는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접속되는 접속부(121)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접촉되는 접촉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122)는 수용홈(113)에 있어서 접속부(121) 보다도 수용홈(113)의 폐쇄측에 설치되어 있다. 접촉자(120)는 수용홈(113)에, 개방된 쪽에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압착형의 접촉자(120)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부(121)는 접촉자(120)에 형성된 배럴이고, 이 배럴은 전선(211)의 심선을 압착하는 와이어배럴(121a)과, 이 전선을 피복과 함께 압착하는 절연배럴(121b)로 이루어진다. 접촉부(122)는 직사각형의 소재에 의해 폭방향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곡선을 그리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높이방향으로 휘는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접촉부(122)의 선단은 필요에 따라서 폭방향에서 보아 산형으로 접어 굽어져서 접점을 형성하고 있고, 이 접점이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홈(113)에서 하우징(110)의 정면(111)의 밖으로 나와 있다. 접촉자의 형상은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자는 만곡시키지 않고 예를 들면 ヘ자형으로 굽혀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이 접촉부(122)에 압출가공 등으로 딤플(122a)이 형성되어,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로의 접점이 확정되기 쉽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컨택트·랜스에 의한 걸림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접촉자(120)에 돌출편(124)을 설치하고, 이 돌출편(124)을 랜스로서 하우징(110)의 수용홈(113)에 개구하는 걸림창(115)에 걸고 있다. 이것과는 역으로, 이른바 하우징·랜스에 의한 걸림구조를 채용하여도 좋고, 그 때에는 하우징에 돌출편을 설치하고, 이 돌출편을 접촉자의 걸림창에 건다. 또 랜스를 사용하지 않고 접촉자를 하우징에 끼워맞추어도 좋다.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30)는 적어도 수용홈(113)의 개방측 단부(113a)를 덮고 하우징(110)에 걸려 있다. 리테이너(130)는 수용홈(1130에 끼워맞추는 커버(131)와, 하우징(110)에 거는 암(1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131)는 각 수용홈(113)에 끼워맞추도록 빗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132)은 L자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커버(131)에 연결되고, 하우징(110)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 암(132) 및 하우징 측면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클로가 설치되고, 다른쪽에 걸림클로에 결합하는 걸림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암(132)은 커버(131)의 폭방향의 양단에 2개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측면(112c, 112d)을 따라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112c, 112d)에는 걸림클로(116)가 설치되고, 암(132)에는 걸림클로(116)에 결합하는 걸림오목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자(120)의 접속부(121)가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고, 이 전선이 달린 접촉자(120)가 하우징(110)의 수용홈(113)에 걸린 상태에서, 리테이너(130)를 수용홈(113)의 개방측에서 폐쇄측으로 향해서 밀어 넣으면, 커버(131)가 수용홈(113)에 끼워맞춰지고, 암(132)이 하우징(110)의 측면(112c, 112d)을 따라서 진행하여, 걸림클로와 걸림오목부의 결합에 의해서 리테이너(130)가 하우징(110)에 걸린다.
상기 하우징(110)은 물품에 형성된 오목함몰부에 끼워맞춤으로써 물품에 걸린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은 이 오목함몰부(212)에 결합가능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12)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12)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12)에서 노출되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오목함몰부(212)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세로벽(212a)에는 깊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기(2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쪽 측면(112c, 112d)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13)가 끼워맞추는 걸림홈(114)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14)과 가이드돌기(213)는 소정의 압력으로써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이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도 1 및 도 2의 상태). 여기서는 전기커넥터(100)에 걸림홈(114)을 형성함과 아울러 오목함몰부(212)에 가이드돌기(213)를 형성하였지만, 역으로 전기커넥터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오목함몰부에 걸림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여기서는 오목함몰부(212)는 홈형으로 하였지만, 오목함몰부는 전기커넥터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다른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걸림홈 및 가이드돌기를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의 측벽을 오목함몰부의 세로벽에 면접촉시키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을 제1의 물품에 걸어도 좋다. 이들은 이하의 접속형태로 설명하는 오목함몰부(212, 2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의 접속부(121)를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압착에 의해 접속하고, 접촉자(120)를 하우징(110)의 수용홈(113)에 삽입하여 걸고, 리테이너(130)를 하우징(110)에 건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에 걸며, 2개의 물품(210, 220)을 소정의 위치관계로 배치하여 나사고정 등으로 연결하면,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고, 전선(211)과 도전부(221)가 접촉자(1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2의 물품(22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25)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은 이 오목함몰부(225)에 끼워맞출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는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25)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25)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마주보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오목함몰부(225)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세로벽(225a)에는 하우징(110)의 걸림홈(114)에 끼워맞추는 가이드돌기(226)가 각각 깊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14)과 가이드돌기(226)는 소정의 압력으로써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이 제2의 물품(220)에 결린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의 접속부(121)를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접속하고, 하우징(110)을 제2의 물품(220)에 걸면,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여 전선(211)과 도전부(221)가 접촉자(1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0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또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12)가, 제2의 물품(22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2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은 이 오목함몰부(221, 225)에 끼워맞출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는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오목함몰부(212)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12)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12)에서 노출되도록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오목함몰부(225)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25)의 깊이방향에 일치하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마주보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오목함몰부(212, 225)에는 가이드돌기(213, 226)가 각각 형성되고, 걸림홈(114)과 가이드돌기(213, 226)는 소정의 압력으로써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이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의 접속부(121)를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접속하고,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걸면,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고, 전선(211)과 도전부(221)가 접촉자(1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촉하기 때문에, 접점의 접촉압력이 확보되어 물품간(210, 220)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히 행해진다. 이 접속구조에서는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사용하는 전기커넥터의 수가 1개이므로 전기커넥터의 사용수 삭감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전선(211)을 전기커넥터(100)에 접속하기 위한 작업자 압착작업 또는 압접작업이 1회로 완료되므로, 작업성 개선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거는 경우, 전기커넥터(100)를 통하여 2개의 물품(210, 220)이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로 나사 등의 연결수단으로 2개의 물품(210, 220)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지고,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접속구조로 사용되는 전기커넥터(100)가 1개이기 때문에,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전기커넥터가 점유하는 공간이 작아져서 접속구조가 소형으로 된다.
그 경우, 전기커넥터(100)를 물품(210, 220)에 거는 단계에서, 또는 건 후에, 도 1 및 도 2, 도 8 및 도 10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211)이 예를 들면 화살표 방향으로 감김력을 받아서 수용홈(113)에서 부상되는 방향으로 굽어져도, 전선(211)이 리테이너(130)에 수용되기 때문에 전선(211) 또는 전선이 달린 접촉자(120)가 하우징(110)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리테이너(130)는 적어도 수용홈(113)의 개방측 단부(113a)를 덮고하우징에 걸린 것이면 되고, 그렇게 하면 전선이 리테이너에 수용되기 때문에 전선 등의 하우징으로부터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와 같이, 리테이너(130)가 수용홈(113)에 끼워맞추는 커버(131)와, 하우징(110)에 거는 암(132)를 구비한 경우에는, 리테이너(130)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하우징(110)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물품에 거는 구조로서 일체의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10)을 물품(210) 및/또는 물품(220)에 형성된 오목함몰부(212) 및/또는 오목함몰부(225)에 끼워맞추도록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을 물품(210 및/또는 220)에 걸도록 하면, 전기커넥터(100)를 물품(210 및/또는 220)의 오목함몰부(212 및/또는 225)에 끼워맞추면 전기커넥터(100)가 물품(210 및/또는 220)에 걸리므로 걸림시의 작업성이 좋다.
이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의 설명을 부호와 함께 그대로 인용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추가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는 제1실시예와는 리테이너의 구성이 다르다. 리테이너(130)는 판형상 커버(131)와, 이 커버(131)를 하우징(110)에 거는 암(132)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131)는 하우징(110)의 정면(111)에 피복되고, 끝변에서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커버(131)에는 접촉자(120)의 접촉부(122)를 외부로 꺼내는 창(135)이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130)가 박육부(135)를 개재하여 하우징(110) 정면(111)의 후단변에 연결되어 있지만, 달리 예를 들면 힌지결합으로 하여도 좋다. 암(132)은 커버(131)에서 하우징(110)의 측면(112c, 112d)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암(132) 및 하우징 측면(112c, 112d) 중 어느 한쪽에 걸림클로가 설치되고, 다른쪽에 걸림클로에 결합하는 걸림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암(132)은 커버(131)의 폭방향의 양단에 2개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측면(112c, 112d)을 따라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112c, 112d)에는 걸림클로(116)가 설치되고, 암(131)에는 걸림클로(116)에 결합하는 걸림오목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와 같이 하면, 도 11의 상단에 나타내는 도면과 같이, 커버(131)를 하우징(110)의 정면(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두고,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압착접속한 접촉자(120)를 하우징(110)의 수용홈(113)에 삽입하고나서 커버(131)를 회전하여 하우징(110)의 정면(111)에 피복하면, 걸림클로(116)와 걸림오목부(132a)의 결합에 의해서 리테이너(130)가 하우징(110)에 걸린다. 이렇게 하면, 리테이너(130)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하우징(110)에 장착할 수 있고, 또 리테이너(130)가 하우징(11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 관리상 유리하다.
도 12 및 도 13은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은, 물품에 형성된 오목함몰부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오목함몰부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의 세로벽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117)을 보유하고 있고, 이 블레이드편(117)의 압압에 의해 하우징(110)이 물품에 걸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에서의 폭방향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측면(112c, 112d)에 각각 블레이드편(117)을 설치하고 있다. 리테이너(130) 및 그 하우징(110)으로의 걸림형태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의 어느 걸림형태라도 좋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 오목함몰부(212)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은 오목함몰부(212)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오목함몰부(212)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212)의 세로벽(212a)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117)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12)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12)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12)로부터 노출되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접속형태에 있어서의 전기커넥터(100)에 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도 14는, 상기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2의 물품(220)에 오목함몰부(225)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은 오목함몰부(225)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오목함몰부(225)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225)의 세로벽(225a)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117)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25)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25)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마주보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접속형태에 있어서의 전기커넥터(100)에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8 및 도 9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제3실시예와 같이 하면,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써 높은 걸림력이 얻어진다. 게다가 오목함몰부(212, 225)의 내부치수에 발생하는 치수오차가 블레이드편(117)의 휨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물품(210, 220) 및 전기커넥터(100)의 수율이 향상된다.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에 블레이드편(117)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블레이드편(117)의 탄성복원력이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에 작용하므로, 걸림 후에 전기커넥터(100)가 물품(210, 220)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도 15는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에는, 하우징(110)에 록클로(118)가 설치되고, 록클로(118)를 물품에 걸므로써 하우징(110)이 물품에 걸린다. 이 실시예의 경우, 록클로(118)는 하우징(110)에서의 폭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록클로(118)의 선단에는 폭방향으로 향한 훅(118a)이 설치되고, 이 훅(118a)이 물품에 형성된 록구멍을 통하여 그 둘레가장자리에 걸린다. 리테이너(130) 및 그 하우징(110)으로의 걸림형태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의 어느 걸림형태이어도 좋다. 도 16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2의 물품(220)에 록구멍(222)을 형성하고, 록클로(118)는 하우징(110)에서 접촉부(122)가 노출되는 면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록클로(118)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이 접속형태에서의 전기커넥터(100)에 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8 및 도 9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도 17은 상기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 록구멍(215)을 형성하고, 록클로(118)는 하우징(110)에서 접촉부(122)가 노출되는 면과 높이방향으로 반대측의 면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접촉부(122)와 높이방향으로 반대측의 면이 제1의 물품(210)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록클로(118)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이 접속형태에서의 전기커넥터(100)에 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제4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써 높은 결합력이 얻어진다.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에 록클로(118)를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록클로(118)의 걸림력이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에 작용하기 때문에, 걸림 후에 전기커넥터(100)가 물품(210, 220)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거는 형태로는, 제1실시예의 걸림형태, 제3실시예의 걸림형태, 제4실시예의 걸림형태를 조합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그 모든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일예로서 도 18에 나타낸 것은,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에 제1실시예의 걸림형태로 검과 아울러, 제2의 물품(220)에 제4실시예의 걸림형태로 건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록클로(118)의 외면에 걸림홈(114)을 설치하고, 제1의 물품(210)에 가이드돌기(213)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하우징(110)과 오목함몰부(212)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거는 형태로 한 경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또는 제2의 물품(220)에 거는 형태로 얻어지는 작용 및 효과에 더하여, 전기커넥터(100)를 통하여 2개의 물품(210, 220)이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로 나사 등의 연결수단으로 2개의 물품(210, 220)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지고,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도 19는 제5실시예를 나타낸다. 제5실시예는 이상의 실시예의 어디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제5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에 비하여, 접촉자(120)가 압접형인 점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접속부(121)는 접촉자(120)의 전후방향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슬롯이고, 이 슬롯에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의 심선을 압접하도록 하고 있다.
제5실시예와 같이 하면,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를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접속하는 경우, 접촉자(120)의 접속부(121)인 슬롯에 있어서 전선(211)에 압접접속된다. 즉, 제1실시예의 접촉자(120)을 압접형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를 하우징(110)의 수용홈(113)에 삽입하여 걸고나서 접촉자(120)의 슬롯(접속부)(121)을 제1의 물품(210)의전선(211)에 압접에 의해 접속하고, 리테이너(130)을 하우징(110)에 건다. 그리고, 이 전선이 달린 전기커넥터(100)를 제1의 물품(210) 및/또는 제2의 물품(220)에 걸고,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촉시키면,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이 접촉자(120)를 통하여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제2실시예의 접촉자(120)를 압접형으로 하였을 때에는, 커버(131)를 하우징(110)의 정면(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두고,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을 수용홈(113)에 수용된 접촉자(120)의 슬롯(접속부)(121)에 압접하고나서 커버(131)를 회전하여 하우징(110)의 정면(111)에 씌우면, 걸림클로와 걸림오목부의 결합에 의해서 리테이너(130)가 하우징(110)에 걸린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하우징을 물품에 거는 실시예, 밸크로패스너로 예시되는, 마찰력으로 거는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을 물품에 거는 실시예가 포함된다.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앞의 발명의 개요에서 설명한 제1의 전기커넥터를 충분히 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이하에 설명한 제2 및 제3의 전기커넥터도 충분히 설명되었다.
제2의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수용홈에 끼워맞춰지는 커버와, 하우징에 걸리는 암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접촉자의 접속부를 제1의 물품의 전선에 압착 또는 압접에 의해 접속하고나서, 리테이너를수용홈에 끼워맞추어 암을 하우징에 걸면,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장착된다. 따라서, 리테이너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다.
제3의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의 건기커넥터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하우징의 정면에 피복되고, 끝변에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접촉자의 접촉부를 외부로 꺼내는 창이 형성된 판형상의 커버와, 이 커버를 하우징에 거는 암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를 하우징의 정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두고, 접촉자의 접속부를 제1의 물품의 전선에 압착 또는 압접에 의해 접속하고나서, 커버를 회전하여 하우징의 정면에 피복하고 암을 하우징에 걸면,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장착된다. 따라서, 리테이너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하우징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 관리상 편리하다.

Claims (3)

  1.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을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100)로서, 이 전기커넥터(100)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물품(210, 220)에 걸림과 동시에, 접속시에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면하는 정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되고 또한 한쪽의 단부(113a)가 측면까지 도달하여 개방되어 있는 수용홈(113)을 보유하는 하우징(110);
    이 수용홈(113)에 삽입되어 걸림과 동시에, 제1의 물품(210)의 전선(211)에 압착 또는 압접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부(121)를 보유하고, 수용홈(113)에 있어서 접속부(121)보다도 수용홈(113)의 폐쇄측에 설치되어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접촉하는 접촉부(122)를 보유하는 접촉자(120); 및
    적어도 수용홈(113)의 개방측의 단부(113a)를 피복하여 하우징(110)에 걸린 리테이너(1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130)는 수용홈(113)에 끼워맞추는 커버(131)와, 하우징(110)에 거는 암(1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130)는, 하우징(110)의 정면(111)에 피복되고, 끝변에서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접촉자(120)의 접촉부(122)를 외부로 꺼내는 창(136)이 형성된 판형상의 커버(131)와, 이 커버(131)를 하우징(110)에 거는 암(1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010079330A 2000-12-18 2001-12-14 전기커넥터 KR20020048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4529A JP2002184507A (ja) 2000-12-18 2000-12-18 電気コネクタ
JPJP-P-2000-00384529 2000-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872A true KR20020048872A (ko) 2002-06-24

Family

ID=1885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330A KR20020048872A (ko) 2000-12-18 2001-12-14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89082B2 (ko)
EP (1) EP1215768B1 (ko)
JP (1) JP2002184507A (ko)
KR (1) KR20020048872A (ko)
CN (1) CN1255903C (ko)
DE (1) DE60121709D1 (ko)
HK (1) HK1046781B (ko)
TW (1) TW536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4501B2 (ja) * 2000-12-18 2009-01-2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184502A (ja)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WO2004049511A1 (ja) * 2002-11-28 2006-03-30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面に形成された導体のための電気接続構造
US7004791B2 (en) * 2003-10-16 2006-02-28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tact housing and process for making a contact housing
CN2706895Y (zh) * 2004-05-21 2005-06-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20060286839A1 (en) * 2005-06-21 2006-12-21 Bethurum Gary C Electrical Disconnect With Push-In Connectors
US7527509B1 (en) * 2005-06-21 2009-05-05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disconnect with push-in connectors
US7727002B2 (en) * 2006-06-21 2010-06-01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disconnect with adjacent wire receptacle boxes
JP4793471B2 (ja) * 2009-05-19 2011-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分離可能なコネクタ
DE102011005542A1 (de) * 2011-03-15 2012-09-20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Anordnung
CN102801030B (zh) * 2011-05-23 2015-04-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DE102011076962A1 (de) * 2011-06-06 2012-12-06 Robert Bosch Gmbh Direktsteck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teuergerät
DE102012100815B3 (de) * 2012-02-01 2013-01-2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Elektrisches Kupplungselement
JP5952626B2 (ja) * 2012-04-19 2016-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コネクタ
JP5947640B2 (ja) * 2012-07-03 2016-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と基板の接続構造
JP6016126B2 (ja) * 2013-08-07 2016-10-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熱線端子への給電線配索構造
JP2015207353A (ja) * 2014-04-17 2015-11-19 Smk株式会社 電線用コネクタ
JP5896009B1 (ja) * 2014-12-12 2016-03-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JP6350876B2 (ja) * 2015-06-18 2018-07-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195610B2 (ja) * 2019-04-25 2022-12-26 北川工業株式会社 接触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035A (en) * 1970-02-25 1972-07-25 Amp Inc Pcb hinged pod connector
FR2497007A1 (fr) * 1980-12-23 1982-06-25 Labinal Perfectionnements aux boitiers de connexions electriques et aux organes de connexion destines a equiper de tels boitiers
JPH0665092B2 (ja) * 1989-06-27 1994-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35607Y2 (ja) * 1991-10-18 1997-05-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575981U (ja) * 1992-03-18 1993-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ラス板用コネクタ
JP2611081B2 (ja) * 1992-03-30 1997-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係止構造
JP3106282B2 (ja) * 1995-04-13 2000-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2737352B1 (fr) * 1995-07-28 1997-08-29 Itt Composants Instr Connecteur e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circuit(s) integre(s) a contact
JPH09306576A (ja) 1996-05-08 1997-11-28 Thomas & Betts Corp <T&B> バッテリィ用端子
JPH09320672A (ja) * 1996-05-29 1997-12-12 Yazaki Corp コネクタ
BR9802812A (pt) 1997-08-29 1999-11-03 Whitaker Corp terminal para curto-circuito e conector.
JP3463856B2 (ja) * 1998-03-05 2003-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JP3598811B2 (ja) 1998-05-14 2004-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端子とこれを組み込んだ嵌合検知用コネクタ
US5980322A (en) 1998-09-01 1999-11-09 3Com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usible link for use between media connectors and computer communications cards
JP2000231961A (ja) * 1998-12-08 2000-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102722A (en) 1998-12-28 2000-08-15 Lucent Technologies Inc. Upgradeable communication connector
US6217396B1 (en) 1999-07-06 2001-04-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U-shaped spring contacts
US6099356A (en) * 1999-07-19 2000-08-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pression connector
JP3534393B2 (ja) 2000-04-14 2004-06-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部品ユニットの電気的接続構造、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033154A (ja) * 2000-07-17 2002-01-31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5768A2 (en) 2002-06-19
HK1046781A1 (en) 2003-01-24
DE60121709D1 (de) 2006-09-07
CN1255903C (zh) 2006-05-10
HK1046781B (zh) 2006-11-17
US6589082B2 (en) 2003-07-08
TW536857B (en) 2003-06-11
CN1360363A (zh) 2002-07-24
EP1215768B1 (en) 2006-07-26
JP2002184507A (ja) 2002-06-28
EP1215768A3 (en) 2005-04-20
US20020076993A1 (en)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8872A (ko) 전기커넥터
KR20020048873A (ko) 전기커넥터
JP3086849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100396870B1 (ko) 리테이너 부착된 압접 커넥터
JPH02244574A (ja) コネクタ
KR20020048871A (ko) 전기커넥터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JP407402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CN111725647B (zh) 连接器
CN209730233U9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合
KR20050044267A (ko) 멀티 접속형 헤더 커넥터 및 이것에 접속하는 세로 장착형소켓 커넥터 및 가로 장착형 소켓 커넥터
JP3013128B2 (ja) コネクタ用シェル
JP4303148B2 (ja) 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
JP3060508U (ja) ライトアングル型コネクタ
JP3883364B2 (ja) 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TW202401922A (zh) 扁平型導體用電連接器
JP2006286652A (ja) 電気コネクタ
TW202401921A (zh) 扁平型導體用電連接器
TW202343905A (zh) 電連接裝置
JP2006286652A5 (ko)
KR20100124543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0306839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135171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