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769A -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769A
KR20020047769A KR1020000076374A KR20000076374A KR20020047769A KR 20020047769 A KR20020047769 A KR 20020047769A KR 1020000076374 A KR1020000076374 A KR 1020000076374A KR 20000076374 A KR20000076374 A KR 20000076374A KR 20020047769 A KR20020047769 A KR 2002004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ubway
laser
tr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353B1 (ko
Inventor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오승환
주식회사 아이오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환, 주식회사 아이오복스 filed Critical 오승환
Priority to KR10-2000-007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3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하철 열차(300)의 각 창문(400) 외측상단에 영상 데이터를 레이저 빔으로 조사하도록 된 레이저 발생기(28)와 레이저 발생기(28)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감지부(30)를 설치하고, 지하철 역사(200)에는 레이저 발생기(28)에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수단(10)을 설치하여 운행되는 지하철의 열차(300)로부터 터널의 벽면(100)으로 광고용 레이저 영상을 조사하여 승객이 창문(400)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고, 승객은 운행 시간동안의 무료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며,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열차(300)가 역사(200)에 진입하기 전에 터널의 격리벽(27)에 광고용 레이저 영상을 조사함으로써, 열차(300)를 기다리는 승객이 무료할 수 있고, 열차(300)를 기다리는 승객을 대상으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SUBWAY DISPLAY SYSTEM USING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발생기를 지하철 열차의 창문 외측 상부에 설치하고 열차가 터널을 통과할 때 광고 영상을 터널의 벽면에 조사하여 열차가 운행되는 동안 승객이 창문을 통하여 벽면에 조사되는 광고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하철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열차 내부에는 승객의 무료함을 해소하고 제품 및 회사를 알리기 위한 여러가지 광고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물은 대부분 포스터 형식으로 제작되어 열차의 내부 측면이나 측벽과 천정 사이의 라운드부에 부착되는 정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은 정적인 광고로부터 무료함을 해소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이러한 정적인 광고물은 승객의 시선을 끌지 못하여 광고효과를 얻지 못하였고, 광고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직접 벽면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행되는 지하철의 열차로부터 터널의 벽면으로광고용 레이저 영상을 조사하여 승객이 창문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기 전에 터널의 격리벽에 광고용 레이저 영상을 조사하여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을 대상으로 광고 행위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발생기의 촛점조절부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수단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수단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레이저 발생기가 설치된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5b는 레이저 발생기가 설치된 열차가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수단 20 : 작동부
22 : 데이터 저장부 24 : 영상 데이터 변환기
26 : 출력부 28 : 레이저 발생기
30 : 감지부 32 : 진출감지센서
34 : 진입감지센서 4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변환기와,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과,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레이저 영상으로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고, 발생된 레이저 영상이 지하철 터널의 벽면에 조사되도록 열차의 각 창문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레이저 발생기로 이루어진 작동부; 상기 레이저 발생기가 각각 설치된 열차가 지하철의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진출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출감지센서와, 상기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입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입감지센서를 구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진출감지센서로부터 진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차가 역사로부터 벗어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지하철 터널의 벽면에 조사되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로부터 진입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레이저 발생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은 지하철 역사의 열차 출구측에 설치되어 진입한 열차를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개시 신호를 발생하고, 열차가 지하철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종료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의 입력개시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작동부에 구비된 데이터 수신수단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의 입력종료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통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작동부의 데이터 저장부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한 메모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렌즈와 지하철 벽면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정,역회전 작동되는 스텝모터; 상기 스텝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피니언과, 상기 구동피니언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렌즈에 설치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출감지센서와, 상기 진입감지센서는 밝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밝기감지센서 또는 열차의 차체 외면과 벽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거리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는 적외선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변환기와,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과,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레이저 영상으로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고, 발생된 레이저 영상이 지하철 역사에 위치한 터널 격리벽에 조사되도록 지하철 역사의 수직천정에 설치되는 레이저 발생기로 이루어진 작동부; 상기 레이저 발생기가 각각 설치된 열차가 지하철의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진출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열차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입감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출/입감지센서와, 상기 진출/입감지센서의 진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차가 역사로부터 벗어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터널 격리벽에 조사되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고,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면, 상기 레이저 발생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발생기의 촛점조절부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수단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수단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레이저 발생기가 설치된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5b는레이저 발생기가 설치된 열차가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100"은 지하철 터널의 벽면이고, "200"은 지하철 역사이며, "300"은 열차이고, "400"은 열차의 창문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은 각종 영상 테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10)과,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변환하여 터널의 벽면에 조사하기 위한 작동부(20)와, 열차(300)가 역사(200)로 진입되거나 역사(20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력수단(10)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작동부(20)로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제 1실시예에 의한 입력수단(10)은 지하철 역사의 열차 출구측에 설치되어 진입한 열차를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개시 신호를 발생하고, 열차가 지하철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종료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와,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의 입력개시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작동부(20)에 구비된 무선신호 처리기(21)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의 입력종료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기 위한 무선데이터통신부(1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는 열차(300)가 역사(200)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정차된 상태를 감지하고 정차된 열차(300)가 역사(200)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감지센서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사(200)의 출구측(열차(300)가 벗어나는 측의 터널) 벽면(100) 또는 역사(200) 터널의 천정에 설치되어 열차(300)가 감지되면 데이터 입력개시 신호를 발생시키고, 열차가 감지되지 않으면 입력종료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적외선 감지센서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로 열차(300)가 위치하여 열차(300)가 감지되면 개시 신호를,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서 열차(300)가 벗어나게 되면 종료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의 개시/종료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중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반적인 무선데이터 전송장치인 통상적인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통신기(IR :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으로 이루진다. 상기 블루투스는 무선데이터통신 규격을 말하는 것으로, 최대 전송속도가 1Mbps에 최대 전송거리 10m의 무선데이터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데이터 통신부(13)와 열차(300)에 설치된 데이터 수신수단(21)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무선데이터 통신부(13)는 역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작동부(2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무선데이터 통신부(13)는 각각의 역사(200)에 설치되어 새로운 영상 데이터가 작동부(2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선택된 하나의 역사(200)에만 설치하고, 내장된 저장수단(13A)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수단(13B)을 통하여 상기 작동부(2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20)는 상기 입력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레이저 발생기(28)로 출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입력수단(10)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2)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변환기(24)와,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6)과, 상기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레이저 영상으로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고, 발생된 레이저 영상이 지하철 터널의 벽면(100)에 조사되도록 열차(300)의 각 창문(400)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레이저 발생기(28)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작동부(20)는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갖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기(28)는 데이터 저장부(22), 영상 데이터 변환기(24) 및 출력부(26) 등과 분리되어 열차(30)의 각 창문(400)에 설치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가 일체화 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레이저 발생기(28)를 하나의 데이터 저장부(22), 영상 데이터 변환기(24), 출력부(26) 및 제어부(40)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이저 발생기(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8A)와 지하철 벽면(28B)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28C)와, 상기거리감지센서(28C)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정,역회전 작동되는 스텝모터(28D)와 상기 스텝모터(28D)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피니언(28E)과, 상기 구동피니언(28E)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렌즈(28A)에 설치되는 피동기어(28F)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28A)의 촛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28G)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렌즈(28A)와 벽면(100) 간의 거리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발생기(28)의 레이저빔 조사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감지부(3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300)의 진입/출입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이저 발생기(28)가 각각 설치된 열차(300)가 지하철의 역사(20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진출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출감지센서(32)와, 상기 열차(300)가 역사(200)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입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입감지센서(34)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진출감지센서(3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300)의 마지막 객차에 설치되어 마지막 객차가 역사(20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진출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3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300)의 첫 객차에 설치되어 첫번째 객차가 역사(200)에 진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진입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진출감지센서(32)와 진입감지센서(34)는 열차(300)의 외벽과 터널의 벽면(100)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밝기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밝기감지센서는 터널 내부의밝기와 역사(200)의 밝기 차이를 감지하여 열차(300)가 역사(200)에 진입되었는지 진입된 열차(300)가 역사(200)로부터 벗어났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출감지센서(32)와 진입감지센서(34)는 하나의 레이저 발생기(28)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레이저발생시(28)가 한쌍의 진출/입감지센서(32,34)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감지부(30)의 진출감지센서(32)로부터 진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차가 역사로부터 벗어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지하철 터널의 벽면에 조사되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34)로부터 진입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레이저 발생기(28)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40)는 상기 입력수단(1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22)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변환기(24)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여 레이저 발생기(28)로 하여금 광고용 영상이 지하철 터널의 벽면(100)에 조사되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작동부(20)의 레이저 발생기(28)가 역사(200)에 정차한 열차(300)의 각 창문(400) 외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수단(10)의 무선데이터 통신부(13)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열차(300)가 진행하여 마지막 객차가 역사(200)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진출감지센서(32)가 열차(300)의 진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진출감지센서(32)로부터 발생한 진출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는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기(24)를 제어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출력부(26)에 의해 레이저 발생기(28)로 출력되고, 상기 레이저 발생기(28)는 상기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된 광고용 영상을 상기 벽면(100)에 조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광고용 영상은 정지된 문자일 수 있고, 동영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이저 발생기(28)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은 승객이 각각의 창문(400)을 통하여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승객은 운행되는 열차(300)의 내부에서 각각의 창문(400)을 통하여 지하철 터널의 벽면(100)에 표현되는 광고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영상 데이터를 다양하고 순차적으로 조사하게 된다면 승객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00)에 조사되는 새로운 광고를 열차(300)에 탑승한 동안 계속하여 창문(400)을 통하여 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광고용 영상 데이터가 레이저 발생기(28)를 통하여 터널의 벽면(100)에 조사되는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300)의 첫번째 객차가 다음 역의 역사(200)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진입감지센서(34)는 벽면(100)과의 거리 또는 밝기에 의해 열차(300)가 역사(200)에 진입했음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진입감지센서(34)로부터 발생된 진입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레이저 발생기(28)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는 레이저 빔이 역사(200)에서 열차(300)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열차(300)가 진입한 역사(2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통신부(13)가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역사(200)의 출구측에 설치된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가 열차(300)의 역사(200) 진입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열차(300)의 역사(200)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부(13)는 저장수단(13A)에 저장되어 있던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수단(13B)을 통하여 상기 작동부(20)의 수신수단(21)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수신수단(21)으로 전송된 새로운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차(300)가 운행하여 마지막 객차가 역사(200)를 벗어났음이 상기 역사(200)의 출구측에 설치된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가 감지하게 되면,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부(13)는 데이터의 전송을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열차(300)의 마지막 객차가 역사(200)를 벗어나게 되면 마지막 객차에 설치된 진출감지센서(32)가 이를 감지하여 진출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진출감지센서(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 레이저 발생기(28)가 다시 작동되어 영상 데이터를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은 열차(300)가 운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승객은 연속적으로 새로운 광고를 접하게 되고, 따라서 승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게 되어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입력수단(10)의 제 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20)의 데이터 저장부(22)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한 메모리 드라이브(15)로 구성된다. 이러한 메모리 드라이브(15)는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메모리스틱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상 테이터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열차(300)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일정한 구간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된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메모리스틱을 상기 메모리 드라이브(15)에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새로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드라이브(15)를 통하여 읽어들여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한 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발생기(28)가 역사(200)의 수직천정(27A)에 설치된 것이다. 이는 승객이 열차(300)를 기다리는 동안 광고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 2실시예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10)과, 상기 입력수단(10)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2)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변환기(24)와,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6)과, 상기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레이저 영상으로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고, 발생된 레이저 영상이 지하철 역사(200)에 위치한 터널 격리벽(27)에 조사되도록 지하철 역사(200)의 수직천정(27A)에 설치되는 레이저 발생기(28)로 이루어진 작동부(20)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28)가 각각 설치된 열차(300)가 지하철의 역사(20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진출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출/입감지센서(70)와, 상기 진출/입감지센서(70)로부터 진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차가 역사(200)로부터 벗어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터널 격리벽(27)에 조사되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고, 열차(300)가 역사(200)로 진입하면 상기 레이저 발생기(28)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진출/입감지센서(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사(200)의 하부 수직벽 특히 열차(300)가 진입하는 측과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열차(300)가 역사(200)로 진입하면 진입신호를 발생시켜 작동중인 레이저 발생기(28)가 정지되도록 하고, 열차(300)가 역사(200)로부터 벗어나면 진출신호를 발생시켜 정지되었던 레이저 발생기(28)가 다시 작동되어 광고용 영상이 상기 격리벽(27)에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 드라이브(1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작동부(20)의 레이저 발생기(28)가 고정물 즉, 역사(200)의 하부 수직벽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20) 및 제어부(40)의 기능과 작용은 전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은 승객이 열차(300)를 기다리는 무료한 시간동안에 역동적인 광고영상을 시청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열차(300)가 역사(200)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은 레이저발생기(28)로부터 조사되는 광고 영상을 감상할 수 있으나, 열차(300)가 진입하게 되면, 이를 상기 진출/입감지센서(70)가 감지하여 레이저 발생기(28)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다시 열차(300)가 역사(20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정지되었던 레이저 발생기(28)가 다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은 지하철 열차의 각 창문 외측상단에 영상 데이터를 레이저 빔으로 조사하도록 된 레이저 발생기와 레이저 발생기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지하철 역사에는 레이저 발생기에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수단을 설치하여 운행되는 지하철의 열차로부터 터널의 벽면으로 광고용 레이저 영상을 조사하여 승객이 창문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고, 승객은 운행 시간동안의 무료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기 전에 터널의 격리벽에 광고용 레이저 영상을 조사함으로써,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이 무료할 수 있고,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을 대상으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8)

  1.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10);
    상기 입력수단(10)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2)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변환기(24)와,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6)과, 상기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레이저 영상으로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고, 발생된 레이저 영상이 지하철 터널의 벽면에 조사되도록 열차의 각 창문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레이저 발생기(28)로 이루어진 작동부(20);
    상기 레이저 발생기(28)가 각각 설치된 열차가 지하철의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진출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출감지센서(32)와, 상기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입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입감지센서(34)를 구비한 감지부(30);
    상기 감지부(30)의 진출감지센서(32)로부터 진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차가 역사로부터 벗어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지하철 터널의 벽면에 조사되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34)로부터 진입신호를 입력받아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레이저 발생기(28)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10)은 지하철 역사의 열차 출구측에 설치되어 진입한 열차를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개시 신호를 발생하고, 열차가 지하철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종료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개시/종료 센서(12);
    상기 데이터 입력개시/종료 센서(12)의 입력개시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작동부(20)에 구비된 데이터 수신수단(21)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개시/종료 센서(12)의 입력종료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통신부(1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10)은 상기 작동부(20)의 데이터 저장부(22)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한 메모리 드라이브(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기(28)는 렌즈(28A)와 지하철 벽면(28B)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28C);
    상기 거리감지센서(28C)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정,역회전 작동되는 스텝모터(28D);
    상기 스텝모터(28D)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피니언(28E)과, 상기구동피니언(28E)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렌즈(28A)에 설치되는 피동기어(28F)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28A)의 촛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28G);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감지센서(32)와, 상기 진입감지센서(34)는 밝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밝기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감지센서(32)와, 상기 진입감지센서(34)는 열차의 차체 외면과 벽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거리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종료 센서(12)는 적외선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8.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10);
    상기 입력수단(10)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2)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변환기(24)와,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6)과, 상기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레이저 영상으로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고,발생된 레이저 영상이 지하철 역사에 위치한 터널 격리벽(27)에 조사되도록 지하철 역사의 수직천정(27A)에 설치되는 레이저 발생기(28)로 이루어진 작동부(20);
    상기 레이저 발생기(28)가 각각 설치된 열차가 지하철의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고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출감지 신호와 진입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진출/입감지센서(70);
    상기 진출/입감지센서(70)로부터 진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차가 역사로부터 벗어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터널 격리벽(27)에 조사되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고, 상기 진출/입감지센서(70)로부터 진입신호를 입력받아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면 상기 레이저 발생기(28)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작동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KR10-2000-0076374A 2000-12-14 2000-12-14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KR10039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374A KR100390353B1 (ko) 2000-12-14 2000-12-14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374A KR100390353B1 (ko) 2000-12-14 2000-12-14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054U Division KR200229907Y1 (ko) 2000-12-14 2000-12-14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769A true KR20020047769A (ko) 2002-06-22
KR100390353B1 KR100390353B1 (ko) 2003-07-12

Family

ID=276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374A KR100390353B1 (ko) 2000-12-14 2000-12-14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312A2 (ko) * 2010-01-25 2011-07-28 박봉구 광고 영상용 프로젝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812A (ja) * 1999-01-22 2000-08-04 Stanley Electric Co Ltd 駅構内の照明付き広告装置
US6115305A (en) * 1999-06-15 2000-09-05 Atm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video display chip
KR200205927Y1 (ko) * 2000-07-11 2000-12-01 허근 프로젝션을 이용하여 영상을 투영하는 광고 장치
KR20000072470A (ko) * 2000-09-05 2000-12-05 박철 벽면 반사 잔상을 이용한 영상 재생기
KR20000072469A (ko) * 2000-09-05 2000-12-05 박철 다중 제어 방식을 이용한 터널 벽면 반사 열차 광고 시스템
KR20020044604A (ko) * 2000-12-06 2002-06-19 오양근 지하철 영상 광고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312A2 (ko) * 2010-01-25 2011-07-28 박봉구 광고 영상용 프로젝터
WO2011090312A3 (ko) * 2010-01-25 2011-12-01 박봉구 광고 영상용 프로젝터
CN102714004A (zh) * 2010-01-25 2012-10-03 朴凤丘 用于广告图像的投影仪
GB2489642A (en) * 2010-01-25 2012-10-03 Bong Gu Park Protector for advertisement images
US8766876B2 (en) 2010-01-25 2014-07-01 Yong Jae Seo Projector for advertising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353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558B1 (ko) 자율주행차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284445A (zh) 用于辅助驻车操纵的方法和装置
GB2414845A (en) Gaming machine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KR100972793B1 (ko) 비상구 안내장치
KR10039035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 시스템
JP4930043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距離認識方法とこれに用いる光ビーコン、車載機
KR200229907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 광고장치
ES2396688T3 (es) Sistema de interfaz para transportador de pasajeros
JP5482090B2 (ja) エレベーター表示装置
JP2005153671A (ja) 車両用表示操作装置
EP3369883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system
EP3854649A1 (en) Self-driving vehicle
KR200229906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지하철역 광고장치
JP2006350765A (ja) 人間検知器
CN107393536A (zh) 车辆状态通知装置及其方法
KR20180005165A (ko) 역 또는 임의의 다른 공공장소 내의 주변환경을 동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JP4586004B2 (ja) お化け屋敷
JP4399176B2 (ja) 遠隔操作玩具、並びにその拡張ユニット及び付属装置
JP2009012148A (ja) ペット型ロボット
KR900003157Y1 (ko) 노선 안내 전자표시기
JP2004133701A (ja) 視覚障害者誘導装置、視覚障害者進路案内装置、杖および視覚障害者歩行支援システム
KR100194494B1 (ko) 주차 유도 시스템
JP2019087927A (ja) 赤外線操作システム
KR200317449Y1 (ko) 시각장애자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0753115B1 (ko) 차량 탑승자 인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