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755A -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755A
KR20020043755A KR1020000072861A KR20000072861A KR20020043755A KR 20020043755 A KR20020043755 A KR 20020043755A KR 1020000072861 A KR1020000072861 A KR 1020000072861A KR 20000072861 A KR20000072861 A KR 20000072861A KR 20020043755 A KR20020043755 A KR 20020043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chip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resin mask
substrat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044B1 (ko
Inventor
윤태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0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4Components including terminals inserted in holes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ed to printed contacts on the walls of the holes or at the edges thereof or protruding over or into the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909Post-treatment of the bump connector or bonding area
    • H01L2224/8193Reshaping
    • H01L2224/81935Reshaping by heating means, e.g. reflow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17Multilayer substrate
    • H01L2924/15172Fan-out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 H01L2924/15174Fan-out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in different layers of the multilaye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1Disposition
    • H01L2924/19101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 H01L2924/19107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off-chip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re Bond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으로, 종래의 패키지 제조 공정에 필요한 플럭싱 공정, 플럭스 세정 고정 및 언더필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으로, (a) 활성면에 범프가 형성된 반도체 칩과, 상부면에 상기 범프가 접속될 기판 패드와 상기 기판 패드를 제외한 상기 기판 패드의 주위에 소정의 두께로 반경화 상태의 수지 마스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면에 반대되는 하부면에 상기 기판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더볼 패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기판 패드에 상기 반도체 칩의 범프가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지 마스크 상부면에 반도체 칩을 탑재하는 단계와; (c) 상기 반도체 칩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상기 범프가 상기 기판 패드에 접합되도록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볼 패드에 각기 솔더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지 마스크는 상기 반도체 칩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채운 후 경화되어 수지 봉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ckage}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반도체 칩을 탑재하는 패키징(packaging) 기술도 고속, 고기능, 고밀도 실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 반도체 칩을 최소한의 공간상에 패키징하는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BGA) 패키지,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 CSP) 등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패키지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탭(TAB; Tape Automated Bonding) 및 플립 칩 본딩(flip chip bonding) 등의 다양한 전기적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실장된다. 이들 전기적 접속 방법 중에서 고속, 고기능, 고밀도 실장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플립 칩 본딩이며, 플립 칩 본딩 공정에는 접속의 매개체로서 반도체 칩의 전극 패드나 회로 기판의 기판 패드 상에 금속 범프(metal bump)를 제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쇄회로기판(20; 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10)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50)의 종래기술에 따른 제조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 공정(40)은 범프(14)가 형성된 반도체칩(10)과 인쇄회로기판(20)을 준비하는 단계로부터 출발한다(41). 반도체 칩(10)은 활성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12)에 소정의 높이로 범프(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20)은 기판 몸체(21)와, 기판 몸체(21)에 형성된 다층의 배선 패턴층(25)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23은 솔더 레지스트층(solder resist layer)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반도체 칩(10)이 플립 칩 본딩될 인쇄회로기판(20)의 기판 패드(24)에 플럭스(flux)를 도포(42)한 다음 반도체 칩(10)을 탑재한다(43). 그리고, 반도체 칩의 범프(14)가 인쇄회로기판(20)의 기판 패드(24) 접합될 수 있도록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한다(44). 계속해서 리플로우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범프(14) 주위에 남아 있는 플럭스와 찌꺼기를 제거하는 세정 공정과 범프(14)가 접합된 부분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액상의 성형수지로 봉합하는 언더필(underfill) 공정(45)이 진행된다. 언더필 공정은 액상의 성형수지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상의 성형수지에 대한 경화 공정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인쇄회로기판(20)의 솔더볼 패드(28)에 솔더볼(29)을 부착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기판 패드(24)와 솔더볼 패드(28)는 내부 배선층(2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50)의 제조 방법은 다단계의 공정을 거쳐 반도체 칩(10)을 패키징하기 때문에, 생산성 및 경제성 확보에 문제가 있다. 더불어 각 공정별로 불량발생요인도 산재해 있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 그 불량의 정확한 원인분석 및 해결이 쉽지 않다.
특히,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50)의 제조 방법은 플럭싱(fluxing) 공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리플로우 공정 이후에 플럭스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면 수지 봉합부(30)와 인쇄회로기판(20)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공정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럭싱 공정, 플럭스 세정 및 언더필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4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반도체 칩이 정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반도체 칩 부착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리플로우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솔더볼 부착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60 : 반도체 칩 12, 62 : 전극 패드
14, 64 : 범프 20, 70 : 인쇄회로기판
30, 80 : 수지 봉합부 29, 79 : 솔더볼
50, 100 : 반도체 패키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으로, (a) 활성면에 범프가 형성된 반도체 칩과, 상부면에 상기 범프가 접속될 기판 패드와 상기 기판 패드를 제외한 상기 기판 패드의 주위에 소정의 두께로 반경화 상태의 수지 마스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면에 반대되는 하부면에 상기 기판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더볼 패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기판 패드에 상기 반도체 칩의 범프가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지 마스크 상부면에 반도체 칩을 탑재하는 단계와; (c) 상기 반도체 칩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상기 범프가 상기 기판 패드에 접합되도록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볼 패드에 각기 솔더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지 마스크는 상기 반도체 칩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채운 후 경화되어 수지 봉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수지 마스크는 반경화 상태의 에폭시 수지 또는 포토 솔더 레지스트이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 상부면에 형성된 수지 마스크는 반도체 칩의 활성면에 형성된 범프의 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60)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90)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한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한편,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제조 공정은 반도체 칩(60)과 인쇄회로기판(70)의 준비 단계로부터 출발한다(91). 반도체 칩(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면의 전극 패드(62)에 소정의 높이로 범프(6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범프(64)는 솔더 범프(solder bump)지만, 금도금 범프(Au plating bump) 또는 지주 범프(stud bump)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인쇄회로기판(70)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기판 몸체(71)와, 기판 몸체(71)에 형성된 다층의 배선 패턴층(77)으로 구성된다. 배선 패턴층(77)은 기판 몸체(71)의 상부면에 플립 칩 본딩될 반도체 칩(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패드(74)를 포함하는 상부 배선층과, 기판 몸체(71)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솔더볼(도 7의 79)이 융착되는 솔더볼 패드(78) 및 기판 몸체(71)의 내부에 형성되며 기판 패드(74)와 솔더볼 패드(78)를 연결하는 내부 배선층(76)으로 이루어지며, 배선 패턴층(77)은 기판 몸체(71)에 형성된 구리 박막(copper foil)을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솔더볼이 부착될 솔더볼 패드(78)와, 범프(64)가 접합될 기판 패드(74)를 제외한 인쇄회로기판(70)의 전면에 솔더 레지스트층(73; solder resist layer)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70) 상부면의 기판 패드(74)를 제외한 솔더 레지스트층(73) 상에 소정의 두께로 반경화(semi-cure) 상태의 수지 마스크(81; resin mask)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지 마스크(81)는 각각의 기판 패드(7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83)를 포함하며, 개구부(83)는 인쇄회로기판(70)의 제조 공정에서 마스크 필름(mask film)을 사용하거나 식각 방법(etching method)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수지 마스크(81)로는 반경화 상태의 언더필용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또는 솔더 레지스트층(73)과 동일한 재질의 포토 솔더 레지스트(Photo solder resist; PS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솔더 레지스트층(73)의 상부면에 형성된 수지 마스크(81)는 반도체 칩(60)의 활성면에 형성된 범프(64)의 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구부(83)는 적어도 범프(64)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칩(60)을 인쇄회로기판(70)의 상부면에 탑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92). 즉, 이송수단(68)이 반도체 칩의 범프(64)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70)의 상부면에 정렬한 상태에서 수지 마스크(81) 상부면에 반도체 칩(60)을 탑재하되, 반도체 칩의 범프(64)가 그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판 패드(74)가 노출된 수지 마스크의 개구부(83)에 삽입되도록 반도체 칩(60)을 수지 마스크(81)의 상부면에 탑재한다. 이때, 반도체 칩(60)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70)에서 반도체 칩(60)이 이송도중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탑재할 때 소정의 힘 예컨대, 10 내지 13kgf으로 반도체 칩(60)을 눌러 수지 마스크(81) 상부면에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소정의 힘으로 반도체 칩(60)을 수지 마스크(81) 상부면에 탑재함으로써, 반경화 상태의 수지 마스크(81) 상부면에 반도체 칩(60)이 소정의 접착력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70)의 이송도중 예컨대, 다음에 진행될 리플로우 장비로 이동하는 도중에 인쇄회로기판(70)의 상부면에서 반도체 칩(6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된다(93). 즉, 반도체 칩(60)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반도체 칩의 범프(64)가 기판 패드(74)에 접합되도록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한다. 예컨대, 리플로우 공정은 10 내지 13kgf 힘을 반도체 칩(60)에 가하면서 최대 220℃에서 6분 내지 7분 정도 진행되며, 전체 공정 시간은 약 12분 정도이다. 이때,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될 때 반경화 상태의 수지 마스크(도 5의 81)는 녹아 범프(64) 주위를 채운 후 경화되어 수지 봉합부(80)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더볼(79) 부착 공정이 진행된다(94). 즉,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볼 패드(78)에 각기 솔더볼(79)을 부착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100)의 제조 공정은 완료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따르면, 수지 마스크를 사용하여 반도체 칩을 인쇄회로기판에 탑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럭싱 공정과 그에 따른 플럭스 세정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플럭스 사용에 따른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플로우 공정에서 수지 봉합부를 함께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봉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언더필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단계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3)

  1. 인쇄회로기판 상에 플립 칩 본딩된 반도체 칩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으로,
    (a) 활성면에 범프가 형성된 반도체 칩과,
    상부면에 상기 범프가 접속될 기판 패드와 상기 기판 패드를 제외한 상기 기판 패드의 주위에 소정의 두께로 반경화 상태의 수지 마스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면에 반대되는 하부면에 상기 기판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더볼 패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기판 패드에 상기 반도체 칩의 범프가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지 마스크 상부면에 반도체 칩을 탑재하는 단계와;
    (c) 상기 반도체 칩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상기 범프가 상기 기판 패드에 접합되도록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볼 패드에 각기 솔더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지 마스크는 상기 반도체 칩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채운 후 경화되어 수지 봉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마스크는 반경화 상태의 에폭시 수지 또는 포토솔더 레지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면에 형성된 수지 마스크는 상기 반도체 칩의 활성면에 형성된 범프의 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20000072861A 2000-12-04 2000-12-04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064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861A KR100648044B1 (ko) 2000-12-04 2000-12-04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861A KR100648044B1 (ko) 2000-12-04 2000-12-04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755A true KR20020043755A (ko) 2002-06-12
KR100648044B1 KR100648044B1 (ko) 2006-11-23

Family

ID=2767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861A KR100648044B1 (ko) 2000-12-04 2000-12-04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0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044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453B1 (en) Electronic package having flip chip integrated circuit and passive chip component
US6546620B1 (en) Flip chip integrated circuit and passive chip component package fabrication method
US679119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7569935B1 (en) Pillar-to-pillar flip-chip assembly
JP2592038B2 (ja) 半導体チップ実装方法および基板構造体
KR10035286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52285A1 (en)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3622435B2 (ja)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070020812A1 (en) Circuit board structure integrated with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907188B2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実装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179686B2 (en) Mounted structural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972209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JP2005340448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KR100674501B1 (ko) 플립 칩 본딩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칩 실장 방법
JP3485509B2 (ja) フリップチップ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5949B2 (ja) 配線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648044B1 (ko)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JP432477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561969B2 (ja) 半導体装置
KR100549299B1 (ko) 반도체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459171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3297977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0475338B1 (ko) 와이어본더를이용한칩스케일패키지및제조방법
KR100481424B1 (ko) 칩 스케일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0127034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