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757A - 케이블을 회전면 상에 가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을 회전면 상에 가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757A
KR20020041757A KR1020010074117A KR20010074117A KR20020041757A KR 20020041757 A KR20020041757 A KR 20020041757A KR 1020010074117 A KR1020010074117 A KR 1020010074117A KR 20010074117 A KR20010074117 A KR 20010074117A KR 20020041757 A KR20020041757 A KR 20020041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ceiving surface
rotating
axis
displ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808B1 (ko
Inventor
메이어다니엘
Original Assignee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미첼 롤리에르
Publication of KR2002004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30/3028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by feeding a continuous band and winding it helically, i.e. the band is fed while being advanced along the drum axis, to form an ann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4Und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8Automated lay-up, e.g. using robots, laying fila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patterns
    • B29C70/382Automated fiber placement [AFP]
    • B29C70/384Fiber placement heads, e.g.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0Annular breaker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선속도 V1으로 공급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용 캡스턴(11; rotating capstan)을 포함하는 케이블 공급 수단(10)과, 수용면(2; receiving surface)에 대해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 means to displace the cable transversely)과, 상기 수용면 상에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4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표면 선속도 V2로 회전하는 수용면(2)에 가하기 위한 장치(1)에 대한 것이며,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은 케이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에서의 회전 운동과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선회 운동(pivoting movement)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횡방향으로의 변위를 수행하며, 선회 정도는 상기 속도 V1과 V2 간의 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을 회전면 상에 가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applying a cable onto a rotating surface}
본 발명은 회전하는 수용면 상에 케이블을 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며, 특히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카커스 보강부와 같이 타이어 외주 전체에 사용될 수 있는 환형 보강부를 타이어에 포함시킴으로 인한 장점은, 오래전에 입증되었다. 이러한 보강부는 특히 타이어 카커스 상에 방사상으로 둘러싸인 케이블을 포함하는 플라이(ply)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층은 현재 가황처리된 타이어에서 "제로-디그리 플라이(zero-degreeply)"로 불린다.
본원에서, 용어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직물 또는 금속제 코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코드는 미처리된 또는 경화된 고무 혼합물로 코팅될 수 있다.
고부하용으로 설계된 타이어와 같은 특정한 타이어에 제로-디그리 플라이를 만들기 위해 특히 금속 코드가 사용된다. 요즈음, 미경화된 타이어의 가황처리중에, 타이어는 가황처리용 주형(vulcanisation mould) 내에서 그 형상이 형성(shaping)되며, 이때 타이어의 최종 구조를 고려해야 한다. 제로-디그리 플라이에 금속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큰 어려움을 수반함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케이블의 강성도가 주형 내의 형상 형성과정 중에 케이블이 늘어나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방안이 고려되었다. 한 해결방안으로는 분할된 금속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제로-디그리 플라이는 가황처리 중에 타이어가 겪는 신장(elongation)에 순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이는 케이블의 상이한 섹션 간의 절취부(cut)로 인해 산화되기 더 쉬운 영역을 가황처리된 타이어에 형성한다. 그러므로, 이 해결방안은 만족스럽지 않다.
금속제 케이블의 성질에 대한 다른 해결방안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바이-일래스틱(bi-elastic) 금속제 코드를 사용하면 얻어진 미경화된 플라이의 강성도와 신장 특성 간의 절충점을 얻을 수 있다. 비록 흥미롭기는 하지만, 이러한 해결방안은 얻어진 가황처리된 제로-디그리 플라이를 보완하기 위해 부가적인 플라이, 고무 혼합물의 변경 등과 같이 원하는 미경화 및 가황처리된 타이어 구조에 상당한 변경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 3의 접근 방법은 가황처리 후에 원하는 구조를 얻기 위해 가황처리되지 않은 제품의 위치조정(positioning)을 변경하는 것이다. 이는 가황처리되지 않은 타이어에 물결 모양으로 위치조정하는 착상에 도달하게 되며, 케이블이 가황처리용 주형 내에서 일어나는 형상 형성 공정에 의해 가황처리된 타이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재치있는 해결방안도 실현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사실상, 가황처리되지 않은 타이어는 원통형 또는 약간 만곡된 드럼에서 형성되는 반면, 가황처리용 주형에서 나오는 가황처리된 타이어는 초기 형상에 비교하여 훨씬 더 만곡된다. 결과적으로, 형상 형성 중에, 타이어에서 이루어지는 변형이 숄더(shoulder) 부분보다 상기 타이어의 크라운(crown) 부분에서 더 크다. 그러므로, 생산 작업 중에, 제조되는 플라이가 크라운 또는 숄더 부분 근처의 임의의 방사상 위치에서 방사상으로 배향된 코드를 갖도록 그 방사상 위치에 따라 상이한 파형 또는 상이한 주기로 사인파 형태로(sinusoidally) 케이블을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유럽 공개공보 EP-0 724 949호는 사인파 형태로 회전면 상에 직물 또는 금속제 코드를 가하는 장치를 공개한다. 이러한 위치조정은 그 공급 방향에 대해 코드를 횡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인파의 진폭과 크기는 위치조정면의 회전 속도의 측정 및 조정과, 코드를 공급하는 부품과, 변위(displacement) 수단의 제어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변위 수단은 동력 휠(motorised wheel)에 부착된 커넥팅 로드를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코드 공급기(cord feeder)로 구성된다.
실질적으로는 위치조정면에서의 회전 속도가 고정되므로, 상기 표면 상에서의 코드의 진동 진폭을 연속적으로 수정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공급하는 부품의 속도가 공급되는 코드의 양을 수정하기 위해 변화되어야 하고, 휠에 대한 커넥팅 로드의 위치도 만들어지는 파형의 진폭의 변경에 동기화하기 위해 변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진폭을 연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원하는 사인 곡선의 함수인, 위치조정 속도 역시 코드 공급기의 동력에 의한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일련의 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을 선속도 V1으로 공급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용 캡스턴을 포함하는 케이블 공급 수단과, 수용면에 대해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상기 수용면 상에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본체(bod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표면 선속도 V2로 회전하는 수용면에 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의 횡방향 변위의 진폭은 상기 선속도 V1 및 V2 간의 비의 함수로 직접 제어되고, 상기 진폭은 케이블의 위치조정 중에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는 형성되는 사인 곡선의 진폭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도 매우 높은 케이블 위치조정속도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케이블을 선속도 V1으로 공급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용 캡스턴을 포함하는 케이블 공급 수단과, 수용면에 대해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수단과, 상기 수용면 상에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표면 선속도 V2로 회전하는 수용면에 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은 케이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에서의 회전 운동과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선회 운동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변위를 수행하며, 선회 정도는 상기 속도 V1과 V2 간의 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 수용면의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케이블을 공급하는 단계와,
- 상기 수용면 상에서 물결 모양을 이루도록 상기 수용면에 대해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 케이블이 상기 수용면 상에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히 타이어 제조 중에 회전 수용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가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는 케이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에서의 회전 운동과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선회 운동을 조합함으로써상기 횡방향으로의 변위가 이루어지며, 선회 정도는 상기 속도 V1과 V2 간의 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블을 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읽어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 입면도.
도 2는 도 1의 선 II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F에 따른 장치의 아래로부터 본 부분도.
도 4a 내지 4d는 각각 상이한 작동 상태를 예시하는 도 3의 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장치2: 수용면
도 1에서, 회전하는 수용면(2) 상에 케이블을 가하는 장치(1)는 본체(5)를 포함하며, 케이블은 상기 수용면의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및 접선방향으로 수용면(2) 상에서 가해진다. 수용면(2)은 V2로 표기되는 제어된 표면 선속도로 회전한다.
하기에서, '케이블 이동 방향'은 수용면(2)의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본체(5)는 수용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케이블을 공급하는 수단(10)과, 상기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과, 마지막으로 수용면(2) 상에 케이블을 위치시키는 수단(40)을 포함하며, 이들 다양한 장치는 수용면(2) 상에 케이블을 원하는 물결 모양으로 가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작용된다.
공급 수단(10)은 공급용 릴(supply reel;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인입 풀리(12; cable infeed pulley)를 포함한다. 풀리(12)의 회전축은 이 경우에 수용면(2)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다. 이는 공급용 릴이, 그 축 XX'가 롤러(12)의 축에 대해 수직인 캡스턴(11)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캡스턴(11)을 떠날 때 케이블은 실질적으로 그 이동방향으로 나와 상기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20, 30)으로 넘어간다.
캡스턴(11)은 모터(13)에 의해 전동 벨트(14)를 거쳐 구동되어, 케이블을 공급방향으로 V1으로 표기되는 선속도로 공급방향으로 공급한다. 수용면(2)의 표면 선속도 V2와 선속도 V1이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면, 수용면의 회전당 수용면(2) 상으로 공급되는 케이블의 양을 정할 수 있다.
변위 수단(20, 30)은 도 2 및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본체(5) 내에서 수단(30)과 함께 작용하는 안내용 헤드(20; guiding head)를 포함한다.
안내용 헤드(20)는 캡스턴의 회전축 XX'에 대해 수직인 커넥팅 로드(21)를 포함하며, 이 커넥팅 로드는 장치(1)의 외측을 향하는 면(210) 상에 두 개의 가이드 롤러(22, 23)를 가지며, 이들 가이드 롤러의 축은 상기 커넥팅 로드에 대해 수직이며 이들 가이드 롤러는 커넥팅 로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각각의 가이드 롤러(22, 23)는 캡스턴(11)에 의해 전달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중앙 홈(221, 231)을 갖는다. 케이블의 안내 및 그 횡방향으로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개의 가이드 롤러(22, 23)는 커넥팅 로드의 면(face)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어, 이들 가이드 롤러가 케이블 주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커넥팅 로드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접하고, 이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비록 이러한 배치가 유익하긴 하지만, 두 개의 가이드 롤러가 상호간에 오프셋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호 평행한 축을 갖는 스핀들(24, 25; spindle)이 볼 베어링(26)을 통해 커넥팅 로드(21)의 단부(211, 212)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이 스핀들(24, 25)의 축은 상기 커넥팅 로드(21)에 수직이다.
본 발명의 장치(application device)에 대해 커넥팅 로드(21)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opening)에서, 상기 스핀들(24, 25)은 각각 캡(241, 251; cap)을 갖는다.
변위 수단(30)은 두 개의 상호 평행한 스핀들(31, 32)을 포함하며, 이들 스핀들은 축 XX'에 대해 수직, 즉 케이블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이고, 이들 스핀들은 본체(5) 내에 장착된 볼 베어링(33) 내에서 회전하며 각각의 스핀들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전동 벨트(35)에 의해 구동 풀리(36, 37)에 각각 연결되는 공통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안내용 헤드(20)를 마주하는 본체(5)의 개구에서, 스핀들(31, 32)은 캡(311, 321)에 의해 각각 연장되며, 이들 캡(311, 321)은 상호 평행한 레버(27, 28)에 의해 캡(221, 231)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스핀들(24, 25)에 동력이 전달됨을 보장한다.
스핀들(31, 32, 24, 25)의 회전 속도는 V3로 표기된다.
케이블이 지나갈 때, 스핀들(31, 32)이 회전하면 레버(27, 28)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게 된다. 사실상, 레버(27, 28)가 캡(311, 321)에 고정된 그 축 둘레에서 선회하면 커넥팅 로드(21)를 스핀들(31, 32)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커넥팅 로드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커넥팅 로드(21)의 중심은 이러한 회전 중에 타원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체는 커넥팅 로드(21)에 대해 평행한 면 상에서 중력을 보상하기 위해 로드(21) 상에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전자석(38)을 갖는다.
수용면(2) 상에 케이블을 위치시키는 수단(40)은 그 회전축 Y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하는 위치결정용 롤러(41)를 포함하며, 그 외측 회전면(410)은 수용면(2)과 접촉하여 케이블이 상기 회전면과 수용면 사이를 지나간다. 이러한 위치결정용 롤러(41)는 두 개의 가이드 롤러(22, 23) 근처에 위치되어 이들 롤러로부터 오는 케이블을 받는다.
암(42; arm)은 그 일 단부(420)에서 위치결정용 롤러(41)를 지지하며, 암의 다른 단부는 본체(5)의 지지부(4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는 본체(5)의 탄성 조인트(45; elastic joint)에서 선회하도록 장착되어 케이블이 약간의 힘을 받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수용면(2) 상에 가해짐을 보장한다.
하기에는, 케이블을 소정의 주기의 사인곡선으로 만들 때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을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이 설명에 앞서, 주어진 수용면(2)의 선속도 V2에서, 케이블 공급 속도 V1을 조정하면 수용면(2)의 회전당 공급되는 케이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이 없을 때는, 스핀들(31, 32)이 회전하므로, 전자석(38)이 캡(311, 321)에 대해 레버(27, 28)의 위치를 고정하여 커넥팅 로드(21)를 홀드하고, 커넥팅 로드에 평행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커넥팅 로드의 중심은 원의 형태를 나타낸다. 케이블이 제공될 때, 속도 V1 = V2에 대해, 케이블이 직선으로 위치된다. 케이블 공급 속도 V1이 표면 선속도 V2보다 높을 때, 케이블은 레버(27, 28)가 선회하게 하는 추력(thrust)을 가하여 커넥팅 로드에 영향을 미치며, 스핀들(31, 32)의 회전은 레버의 위치가 변동되게 하며, 그다음에 다시 케이블의 추력이 작용된다. 그러므로, V1이 V2보다 높을 때, 스핀들의 회전 속도 V3으로 수용면(2)의 회전당 레버(27, 28)의 변경을 정할 수 있고, 상기 수용면 상의 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물결 모양의 주기도 정할 수 있다. 이러한 물결 모양의 진폭은 수용면(2)의 회전당 공급되는 케이블의 양으로 직접 얻어지는데, 왜냐하면 상기 파형의 진폭이 커넥팅 로드를 "밀어(pushing)" 레버(27, 28)의 경사각을 정하는 양이기 때문이다.
케이블의 성질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상,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케이블은 커넥팅 로드(21)에 추력 부재(thrust element)로서 작용하므로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소정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강성도는 금속제 케이블이 선택되면 용이하게 획득된다. 직물제 케이블의 경우에는, 전자석이 더 큰 역할을 차지하도록 즉, 횡방향으로의 커넥팅 로드(21)의 방향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케이블이 아니라 자석이 되도록 전자석의 힘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케이블 C에 진폭 A로 파형 주기 P를 만드는 커넥팅 로드(21)의 운동을 예시한다.
기호 X", Y" 및 Z"는 위치결정용 롤러(41)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세 개의 축으로 이루어진 직교 좌표계의 축을 나타내며, Z"는 캡스턴(11)의 회전축에 평행하며, 이 좌표계의 배향도 고려한다.
도 4a에서, 레버(27, 28)는 0의 각도를 가지며, 이는 스핀들(31, 32)이 스핀들(24, 25)과 각각 정렬되고 롤러(41)의 중심에서의 케이블의 위치는 좌표축 X"=0에 대응함을 의미한다. 이 상태가 상기 주기가 시작되는 상태이다.
도 4b에서, 스핀들(31, 32)은 90°회전하고, 그러므로 레버(27, 28)는 커넥팅 로드(21)가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극단의 위치(extreme position) 중의 하나에 있고, 케이블의 위치는 X"=A/2에 대응한다.
도 4c에서, 케이블이 다시 X"=0 위치에 있으며, 스핀들(31, 32)은 180°회전하여 레버(27, 28)가 스핀들(31, 32)과 스핀들(25, 24)이 정렬되는 위치로 복귀된다.
도 4d에서, 스핀들(31, 32)이 270° 회전하고 레버(27, 28)가 커넥팅 로드(21)의 제 2 "극단" 위치, 즉 도 4b에 도시된 위치에 비교하여 축 Y'-Y에 대해 반대쪽 끝에 있다.
이들 도면은 커넥팅 로드(21)의 운동이 수용면(2) 상의 케이블의 물결 모양을 제어하는 방식을 잘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수단의 횡방향 변위의 진폭이 상기 선속도 V1 및 V2 간의 비의 함수로 직접 제어되고, 상기 진폭은 케이블의 위치조정 중에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어, 형성되는 사인 곡선의 진폭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도 매우 높은 케이블 위치조정속도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9)

  1. 케이블을 선속도 V1으로 공급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전용 캡스턴(11)을 포함하는 케이블 공급 수단(10)과, 수용면(2)에 대해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과, 상기 수용면 상에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40)을 포함하는 본체(5)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표면 선속도 V2로 회전하는 수용면(2)에 가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의 횡방향 변위의 진폭은 상기 선속도 V1 및 V2 간의 비의 함수로 직접 제어되고, 상기 진폭은 케이블을 위치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은
    케이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회전 스핀들(31, 32)과, 상기 회전하는 스핀들 상에서 선회하도록 장착된 케이블 안내용 헤드(20)를 포함하는 케이블 배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용 헤드(20)가 레버(27, 28)에 의해 제 1 회전 스핀들(31, 32)에 연결되며, 이들 레버(27, 28) 자체는 제 2 스핀들(24, 25)을 통해 안내용 헤드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스핀들의 축은 제 1 스핀들의 축에 대해 평행하며 상기 안내용 헤드 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케이블 배치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안내용 헤드(20)가 안내용 헤드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 두 개의 케이블 가이드 롤러(22, 23)를 가지며, 상기 롤러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홈(221, 231)을 각각 갖는 케이블 배치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안내용 헤드(20)가 제 2 회전 스핀들(24, 25)을 지지하는 커넥팅 로드(21)를 포함하는 케이블 배치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5)는 중력을 보상하기 위해 안내용 헤드에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전자석(38)을 갖는 케이블 배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 제조에 사용되는 케이블 배치 장치.
  8. 케이블을 선속도 V1으로 공급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전용 캡스턴(11)을 포함하는 케이블 공급 수단(10)과, 수용면(2)에 대해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과, 상기 수용면 상에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40)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표면 선속도 V2로 회전하는 수용면(2)에 가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20, 30)은 케이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에서의 회전 운동과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선회 운동(pivoting movement)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횡방향으로의 변위를 수행하며, 선회 정도는 상기 속도 V1과 V2 간의 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치 장치.
  9. 수용면의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케이블을 공급하는 단계와,
    케이블이 상기 수용면 상에서 물결 모양을 이루도록 상기 수용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위되는 단계와,
    케이블이 상기 수용면 상에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히 타이어 제조 중에 회전하는 수용면 상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는 케이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에서의 회전 운동과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선회 운동을 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선회 정도는 수용면의 회전당 공급되는 케이블의 양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치 방법.
KR1020010074117A 2000-11-28 2001-11-27 케이블을 회전면 상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 KR100797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5461A FR2817251A1 (fr) 2000-11-28 2000-11-28 Appareil d'application d'un cable sur une surface rotative
FR00-015461 2000-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757A true KR20020041757A (ko) 2002-06-03
KR100797808B1 KR100797808B1 (ko) 2008-01-24

Family

ID=885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17A KR100797808B1 (ko) 2000-11-28 2001-11-27 케이블을 회전면 상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792989B2 (ko)
EP (1) EP1208963B1 (ko)
JP (1) JP4422937B2 (ko)
KR (1) KR100797808B1 (ko)
CN (1) CN1214933C (ko)
AT (1) ATE343470T1 (ko)
BR (1) BR0105733A (ko)
CZ (1) CZ20014275A3 (ko)
DE (1) DE60124056T2 (ko)
FR (1) FR2817251A1 (ko)
RO (1) RO120694B1 (ko)
SK (1) SK17062001A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63B1 (ko) * 2008-04-24 2009-04-1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캡플라이 부착장치
US10471610B2 (en) 2015-06-16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arm having weight compensation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33240A1 (en) * 2002-05-29 2003-12-12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strip to a rotary surface
ITBO20040226A1 (it) * 2004-04-20 2004-07-20 Unimac Srl Metodo e sistema per ottenere un fascio di fili contenente un determinato numeto di fili e,piu particolarmente, un fascio di fili ondulati
JP4904407B2 (ja) * 2010-02-08 2012-03-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カーカスプライの成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FR3030467B1 (fr) * 2014-12-23 2017-01-06 Michelin & Cie Dispositif de depose d'un fil ondule sur une surface de reception
CN107640645B (zh) * 2017-10-28 2019-04-12 中山泛亚电业有限公司 一种电缆智能收卷装置
JP6935726B2 (ja) * 2017-11-02 2021-09-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識別糸付着位置の制御装置
CN108068370B (zh) * 2017-11-09 2024-01-16 特乐斯特机械(上海)有限公司 一种轮胎生产线胎侧带自动过料分料对中装置
MX2020010650A (es) * 2018-04-18 2021-01-15 Pirelli Metodo para elaborar neumaticos verdes.
CN110280622B (zh) * 2019-05-14 2020-12-04 安徽管益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钢带辅助放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6368A (en) * 1968-06-10 1970-09-01 Deering Milliken R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thread
US4784455A (en) * 1982-03-17 1988-11-15 Thomas & Betts Corporation Strain relief connector for optical fiber
US4874455A (en) * 1987-01-29 1989-10-17 The Armstrong Rubber Co. Apparatus for forming endless tire reinforcing belts
FR2729976A1 (fr) * 1995-02-01 1996-08-02 Michelin & Cie Procede et dispositif pour appliquer un fil sur un sup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63B1 (ko) * 2008-04-24 2009-04-1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캡플라이 부착장치
US10471610B2 (en) 2015-06-16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arm having weight compensa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22937B2 (ja) 2010-03-03
KR100797808B1 (ko) 2008-01-24
BR0105733A (pt) 2002-07-16
CN1356217A (zh) 2002-07-03
RO120694B1 (ro) 2006-06-30
US20020062910A1 (en) 2002-05-30
DE60124056D1 (de) 2006-12-07
JP2002205346A (ja) 2002-07-23
EP1208963B1 (fr) 2006-10-25
DE60124056T2 (de) 2007-03-29
FR2817251A1 (fr) 2002-05-31
CN1214933C (zh) 2005-08-17
EP1208963A1 (fr) 2002-05-29
CZ20014275A3 (cs) 2002-07-17
ATE343470T1 (de) 2006-11-15
SK17062001A3 (sk) 2002-06-04
US6792989B2 (en)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2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strip to a rotary surface
KR100797808B1 (ko) 케이블을 회전면 상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
EP1785263A1 (en) Device to apply rubber tape
CA1043059A (en) Continuous manufacture of hollow fibrous reinforced resin articles
CN1618598A (zh) 在复曲表面上连续地铺设条带的方法
US44884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open-flanked or open-sided V-belts
US3761341A (en) Apparatus for guiding a strip to a support surface
JP5631986B2 (ja) 未加硫のラジアル空気入りタイヤを製造する組み立て品と方法
JPH11291363A (ja) タイヤ成型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成型方法
US3183134A (en) Tire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JP4301485B2 (ja) 一本のコードからタイヤ補強材を製造するための単一往復動アームを有する装置
US10307980B2 (en) Tire building applicator members and systems
JP2001205714A (ja) ベルト成形金型への芯体コード巻付け方法とその装置
US10328652B2 (en) Strip-winding method and strip-winding apparatus
US2855158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pneumatic tyres
US37119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ying cross filaments and the like
EP0583613B1 (en) Method of producing a vehicle tire reinforced tread belt
JP2000198095A (ja) 帯状ゴム部材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US38550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read strip to a carcass
CN109049775B (zh) 一种传送带的生产方法
WO2022030183A1 (ja) タイヤ製造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US200300195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re reinforcement
JP2698899B2 (ja) Vリブドベル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505806B1 (ko) 비드 이송 및 방향 전환장치
CA2553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ing belts with precise cord length and t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