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111A -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 Google Patents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111A
KR20020040111A KR1020000070034A KR20000070034A KR20020040111A KR 20020040111 A KR20020040111 A KR 20020040111A KR 1020000070034 A KR1020000070034 A KR 1020000070034A KR 20000070034 A KR20000070034 A KR 20000070034A KR 20020040111 A KR20020040111 A KR 2002004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
write
word line
bit lin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775B1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7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775B1/ko
Priority to US09/991,049 priority patent/US6600693B2/en
Priority to JP2001358135A priority patent/JP4618758B2/ja
Publication of KR2002004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4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bipolar type
    • G11C11/416Read-write [R-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1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19Read-write [R-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81Timing of a read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와 라이트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더블 데이터 레이트 형식으로 움직이는 QDR 소자에서 하나의 사이클에서 리드와 라이트가 가능하고, 또한 리드시 프리페치 형식을 적용하여 한번의 어드레스 변화에 버스트 길이에 맞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는 라이트 동작시 어드레스 버퍼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저장수단과, 리드 동작시 상기 어드레스 버퍼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리드 어드레스 저장수단과,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저장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상기 리드 어드레스 저장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리드 펄스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상기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출력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변환하여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디코더로 전달하는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METHOD OF DRIVE WORD LINE AND BIT LINE FOR READ AND WRITE IN QUAD DATA RATE SYNCHRONOUS SRAM AND CIRCUIT OF THEREOF}
본 발명은 쿼드 데이터 레이트(Quad Data Rate; QDR) 싱크로노스(synchronous) 에스램(SRAM)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드(read)와 라이트(write)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DDR) 형식으로 움직이는 QDR 소자에서 하나의 사이클(cycle)에서 리드와 라이트가 가능하고, 또한 리드시 프리페치(prefetched) 형식을 적용하여 한번의 어드레스 변화에 버스트 길이에 맞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동기식 에스램(SRAM)은 데이터 입력과 데이터 출력을 하나의 핀으로 사용하여 구성되어왔다. 이러한 구성은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주파수가 서로 제한 되게 설계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ZBT(Zero Bus Trunaround) SRAM 등이 만들어 지고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는 없었다.
QDR SRAM은 이와 같은 턴 어라운드 타임(Turn around time) 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데이터 입력과 데이터 출력의 핀을 완전히 분리하였다. 즉, 데이터의 입력과 데이터 출력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데이터의 입/출력핀을 분리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서, QDR 이라는 의미는 데이터 입력과 데이터 출력이 각각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e Rate; DDR)으로 구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QDR SRAM은 기존의 방식대로 리드(read)와 라이트(write)를 각각 다른 사이클(cycle)에서 하나씩 데이터를 리드(read)하거나 라이트(write)하면 입력과 출력이 DDR로 움직이는 주파수를 이룰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read)와 라이트(write)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DDR) 형식으로 움직이는 QDR 소자에서 하나의 사이클(cycle)에서 리드와 라이트가 가능하도록 한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드시 프리페치(prefetched) 형식을 적용하여 한번의 어드레스 변화에 버스트 길이에 맞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은,
리드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같은 주기내의 폴링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은,
라이트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폴링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다음 신호의 주기내의 라이징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은,
리드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같은 주기내의 폴링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고,
라이트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폴링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다음 신호의 주기내의 라이징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는,
라이트 동작시 어드레스 버퍼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저장수단과,
리드 동작시 상기 어드레스 버퍼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리드어드레스 저장수단과,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저장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상기 리드 어드레스 저장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리드 펄스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상기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출력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변환하여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디코더로 전달하는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신호는 라이트 명령이 입력된 클럭의 폴링 에지에서 동기되어 발생하고 다음에 이어지는 라이징 에지전에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리드 펄스 어드레스 신호는 리드 명령이 입력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기되어 발생하고 그 클럭의 폴링 에지전에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NAND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수단은 NOR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에 있어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교차점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메모리 셀부와,
상기 비트라인 각각에 하나의 컬럼 선택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가 각각 병렬접속되며, 하나의 컬럼 선택 신호에 의해 버스트 길이의 숫자에 비례한 셀들이 동시에 선택하도록 구성된 컬럼 패스 게이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각각에 병렬접속된 2개의 트랜지스터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작 타이밍도로서, 메인 클럭에 따른 워드라인이 엑티브되는 시점과 끝나는 시점을 리드와 라이트에 따라 표시한 동작 타이밍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각종 신호들의 동작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프리페치 리드에 사용된 컬럼 선택을 위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프리페치 리드에서 동시에 4개의 셀을 엑세스할 수 있는 컬럼 선택을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어드레스 버퍼부12 : 라이트 어드레스 레지스터부
14 : 리드 어드레스 레지스터부16 : 펄스 어드레스 생성부
18 :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 멀티플렉서부
20, 22, 30∼36 : 메모리 셀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QDR SRAM의 일반적인 동작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QDR SRAM은 리드(read)와 라이트(write)의 선택을 리드 포트 인에이블 바(read port enable bar; RPEb)와 라이트 포트 인에이블 바(write port enable bar; WPEb) 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메인 클럭(main clock) 신호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위의 두 신호를 받아들여서 리드(read)를 할지 라이트(write)를 할지 결정하게 된다. 이때, 라이트시 데이터 입력은 데이터 입력핀들을 통해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falling edge)에 맞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DDR 형식을 가지게 되고, 리드시 출력 역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에서 동기되어 DDR 방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QDR의 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 리드(read)와 라이트(write) 동작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첫번째로 도 1과 같이 리드와 라이트의 실행 구간을 하나의 사이클내에서 반(1/2) 사이클 타임씩 할당하여 완전히 분리하였다. 즉, 리드(read)를 위한 워드라인 활성화의 경우 언제나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시작하게 되고 이어지는 폴링 에지에 끝나게 설계하였다. 그리고, 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활성화의 경우 언제나 클럭의 폴링 에지에서 시작되고 이어지는 라이징 에지전에 모두 끝나게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데이터 입력과 데이터 출력이 동일한 클럭 내에서 같은 비율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두번째로는 도 2와 같은 구조의 리드(read)와 라이트(write)의 어드레스 디코더의 먹싱(muxing)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의 블록구성도로서, 라이트 동작시 어드레스 버퍼(10)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레지스터부(12)와, 리드 동작시 상기 어드레스 버퍼(10)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리드 어드레스 레지스터부(14)와,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레지스터부(12)에서 출력된 신호를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신호(WPA)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부(16; NAND1)와, 상기 리드 어드레스 레지스터부(14)에서 출력된 신호를 리드 펄스 어드레스 신호(RPA)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부(16; NAND2)와,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부(NAND1) 및 상기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부(NAND2)의 출력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변환하여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디코더로 전달하는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 멀티플렉서부(18; NOR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QDR 회로의 동작을 위해서는 라이트 어드레스 레지스터부(write address register; WAR: 12)와 리드 어드레스 레지스터부(read address register; RAR: 14)가 필요하다. 즉, 어드레스 버퍼부(10)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라이트의 경우 QDR에서는 라이트 명령을 받은 그 사이클에서 곧바로 셀 내부에 라이트하지 않고 적당한 타이밍에서 셀 내부에 라이트를 하기 때문에 라이트 어드레스 레지스터부(WAR: 12)에 저장시켜야만 한다.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레지스터부(WAR: 12)와 리드 어드레스 레지스터부(RAR: 14)로부터 어드레스를 받아서 셀 내부 디코더를 구동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1 사이클 내에 리드(read)와 라이트(write)가 동시에 발생하므로,이것을 효과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해서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write pulsed address; WPA)와 리드 펄스 어드레스(read pulsed address; RPA)를 생성하였다. 이 두 신호는 도 3과 같이 리드 펄스 어드레스(RPA)는 리드 명령에 대해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리드에 적당한 시간동안 발생되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WPA)의 경우에는 라이트가 필요한 사이클에 있어서 클럭의 폴링 에지에 동기되어 필요한 시간동안 발생되게 된다. 이때, 도 3에 표시된 리드 커맨드 펄스(read command pulse)와 라이트 명령 펄스(write command pulse)는 rpeb와 wpeb가 인에이블될 때 클럭(clock)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발생하는 내부 신호이다.
이와 같은 회로의 구성에서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WPA)와 리드 펄스 어드레스(RPA)는 리드와 라이트 각각 어드레스 레지스터로부터 오는 신호를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WPA)와 리드 펄스 어드레스(RPA)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그 뒤에 있는 리드 라이트 멀티플렉서 회로부(18)는 이 두 종류의 어드레스 신호를 하나의 버스(bus)로 묶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 어드레스가 하나의 사이클내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세번째로는, 셀 내의 데이터 리드 방식에서 프리페치(prefetched) 방식의 적용이다. 프리페치 방식이라함은 데이터를 리드할 시에 하나의 리드 동작에 2개의 셀을 동시에 리드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리드 데이터를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에서 모두 내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도 4에서와 같이 컬럼 선택 신호(yi) 하나에 2개의 셀이 동시에 선택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QDR SRAM의 리드(read)와 라이트(write)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버스트 길이의 크기에 맞춰 한 사이클내에 모두 데이터를 리드한다거나 라이트하는 방식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스트 길이가 4인 경우의 QDR 디바이스의 경우 하나의 리드 혹은 라이트 명령에 대해서 동시에 4개의 셀을 엑세스해서 리드 혹은 라이트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도 5와 같이 하나의 컬럼 선택 신호(yi)가 4개의 셀을 동시에 인에이블시킴으로써 가능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에 의하면, 하나의 사이클에서 리드와 라이트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서 리드와 라이트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DDR(Double Data Rate) 형식으로 움직이는 QDR 소자에서 리드와 라이트가 같은 비율로 이루어 질 수 있고, 또한 리드시 프리페치 형식을 적용시킴으로써 한번의 어드레스 변화에 2개의 데이터를 읽고 쓰는 버스트 길이 2와 4개의 데이터를 읽고 쓸수 있는 버스트 길이 4, 그리고 그 이상의 버스 길이에서도 문제없이 본 발명을 적용하여 QDR SRAM을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리드와 라이트 어드레스의 먹싱(muxing)을 통해서 라이트와 리드용 디코더를 따로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방식처럼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디코더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칩 래이아웃 사이즈 또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리드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같은 주기내의 폴링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2. 라이트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폴링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다음 클럭의 라이징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3. 리드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같은 주기내의 폴링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고,
    라이트 동작시 메인 컨트롤 클럭의 폴링 에지에 동기되어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선택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클럭의 다음 신호의 주기내의 라이징 에지 전에 디스에이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4.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라이트 동작시 어드레스 버퍼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저장수단과,
    리드 동작시 상기 어드레스 버퍼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는 리드 어드레스 저장수단과,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저장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상기 리드 어드레스 저장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리드 펄스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기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상기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출력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변환하여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디코더로 전달하는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신호는 라이트 명령이 입력된 클럭의 폴링 에지에서 동기되어 발생하고 다음에 이어지는 라이징 에지전에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펄스 어드레스 신호는 리드 명령이 입력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기되어 발생하고 그 클럭의 폴링 에지전에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 및 리드 펄스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NAND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수단은 NOR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
  9.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에 있어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교차점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메모리 셀부와,
    상기 비트라인 각각에 하나의 컬럼 선택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가 각각 병렬접속되며, 하나의 컬럼 선택 신호에 의해 버스트 길이의 숫자에 비례한 셀들이 동시에 선택하도록 구성된 컬럼 패스 게이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각각에 병렬접속된 2개의 트랜지스터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 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회로.
KR10-2000-0070034A 2000-11-23 2000-11-23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KR10038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034A KR100384775B1 (ko) 2000-11-23 2000-11-23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US09/991,049 US6600693B2 (en) 2000-11-23 2001-11-21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quad data rate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1358135A JP4618758B2 (ja) 2000-11-23 2001-11-22 クワッドデータレートシンクロナス半導体メモリ装置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034A KR100384775B1 (ko) 2000-11-23 2000-11-23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111A true KR20020040111A (ko) 2002-05-30
KR100384775B1 KR100384775B1 (ko) 2003-05-22

Family

ID=1970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034A KR100384775B1 (ko) 2000-11-23 2000-11-23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00693B2 (ko)
JP (1) JP4618758B2 (ko)
KR (1) KR1003847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92B1 (ko) * 2001-04-1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읽기와 쓰기 방법 및 장치
KR100498466B1 (ko) * 2002-11-30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데이터 기입 제어 회로를 가지는 4비트 프리페치방식 fcram 및 이에 대한 데이터 마스킹 방법
KR100870426B1 (ko) * 2007-04-03 2008-1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제어신호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US7698524B2 (en) 2005-11-30 2010-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utput of clock signal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7894296B2 (en) 2008-07-02 2011-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ort memory devices having clipping circuits therein that inhibit data errors during overlapp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KR101334111B1 (ko) * 2010-05-21 2013-11-28 지티이 코포레이션 쿼드 데이터 레이트(qdr) 제어기 및 그의 실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9075B2 (en) * 2001-05-15 2004-08-17 Leadtek Research Inc. DDR and QDR converter and interface card, motherboard and memory module interface using the same
US6973550B2 (en) * 2002-10-02 2005-12-06 Intel Corporation Memory access control
US7010713B2 (en) * 2002-12-19 2006-03-07 Mosaid Technologies, Inc. Synchronization circuit and method with transparent latches
JP4439838B2 (ja) 2003-05-26 2010-03-24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13483B2 (ja) * 2003-09-04 2011-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集積回路
US6967861B2 (en) * 2004-02-27 2005-1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ycle time in a quad data rate SRAM device
US7071731B1 (en) * 2005-01-21 2006-07-04 Altera Corporation Programmable Logic with Pipelined Memory Operation
US7355907B2 (en) * 2005-10-28 2008-04-08 Sony Corporation Performing read and write operations in the same cycle for an SRAM device
US7760576B2 (en) * 2007-11-08 2010-07-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high yield memory
US9576630B2 (en) 2010-07-09 2017-02-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mory devices and methods having multiple address accesses in same cycle
US8400864B1 (en) 2011-11-01 2013-03-19 Apple Inc. Mechanism for peak power management in a memory
US8705310B2 (en) 2012-08-24 2014-04-2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ccess methods and circuits for memory devices having multiple banks
US10095617B2 (en) * 2015-09-22 2018-10-0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device with flexible data transfer rate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CN105957552B (zh) * 2016-04-21 2018-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196B2 (ja) 1988-12-28 1995-12-18 株式会社東芝 スタティック型半導体メモリ
US5508964A (en) 1993-01-08 1996-04-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rite recovery time minimization for Bi-CMOS SRAM
JPH07312089A (ja) 1994-05-17 1995-11-28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
US5559752A (en) 1995-08-14 1996-09-24 Alliance Semiconductor Corporation Timing control circuit for synchronous static random access memory
KR0184464B1 (ko) * 1995-11-28 1999-05-15 김광호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디코딩 회로
JP2865078B2 (ja) 1996-10-02 1999-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10199257A (ja) 1997-01-17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11328967A (ja) 1998-05-14 1999-11-30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US6381684B1 (en) * 1999-04-26 2002-04-3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Quad data rate RA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92B1 (ko) * 2001-04-1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읽기와 쓰기 방법 및 장치
KR100498466B1 (ko) * 2002-11-30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데이터 기입 제어 회로를 가지는 4비트 프리페치방식 fcram 및 이에 대한 데이터 마스킹 방법
US7068550B2 (en) 2002-11-30 2006-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4-bit prefetch-type FCRAM having improved data write control circuit in memory cell array and method of masking data using the 4-bit prefetch-type FCRAM
US7698524B2 (en) 2005-11-30 2010-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utput of clock signal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100870426B1 (ko) * 2007-04-03 2008-1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제어신호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US7894296B2 (en) 2008-07-02 2011-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ort memory devices having clipping circuits therein that inhibit data errors during overlapp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KR101334111B1 (ko) * 2010-05-21 2013-11-28 지티이 코포레이션 쿼드 데이터 레이트(qdr) 제어기 및 그의 실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18758B2 (ja) 2011-01-26
KR100384775B1 (ko) 2003-05-22
US20020060949A1 (en) 2002-05-23
US6600693B2 (en) 2003-07-29
JP2002216479A (ja) 200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775B1 (ko) 쿼드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노스 에스램의 리드/라이트를위한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 구동 방법 및 그 회로
US553735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835443A (en)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with burst mode
KR100365386B1 (ko) 반도체메모리시스템과그동작방법및최대지연시간측정방법
US7327613B2 (en)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KR100815176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장치
US663644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mproved data transfer rate without providing a register for holding write data
KR100902125B1 (ko) 저전력 디램 및 그 구동방법
KR0154586B1 (ko) 반도체 기억장치
KR10019109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362193B1 (ko) 디디알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장치
KR20010003914A (ko) 기입 주기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기입 방법
KR100341181B1 (ko) 연속적인 읽기 동작을 지원하는 동기형 마스크 롬 장치
US5801996A (en) Data path for high speed high bandwidth DRAM
KR100473747B1 (ko)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JP4827399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9990083494A (ko) 반도체기억장치
KR20000013391A (ko)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회로
KR20030057470A (ko) 고속 동작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사용 및 설계 방법
US7016235B2 (en) Data sorting in memories
US678518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tegrated memory and logic
KR0154741B1 (ko) 듀얼포트 메모리 장치 및 듀얼포트 메모리 장치의 시리얼데이타 출력방법
US5701273A (en) Memory device
US5953739A (en) Synchronous DRAM cache using write signal to determine single or burst write
KR20030042906A (ko) 멀티 뱅크 구조를 포함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