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470A -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 Google Patents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470A
KR20020035470A KR1020010068969A KR20010068969A KR20020035470A KR 20020035470 A KR20020035470 A KR 20020035470A KR 1020010068969 A KR1020010068969 A KR 1020010068969A KR 20010068969 A KR20010068969 A KR 20010068969A KR 20020035470 A KR20020035470 A KR 20020035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ront wheel
frame
groov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493B1 (ko
Inventor
박민식
박현욱
박예원
Original Assignee
박민식
박현욱
박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식, 박현욱, 박예원 filed Critical 박민식
Publication of KR2002003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8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4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8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braking more than on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자전거의 앞바퀴 포크; 앞바퀴축; 뒷바퀴축; 조향장치 등을 개선하고,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종방향, 횡방향 또는 종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연결수단을 구비한 자전거로서, 혼자서 자전거를 운전하다가 동종의 자전거를 만났을 때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자전거에 부착된 상기 결합수단과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상기 자전거를 종방향, 횡방향 또는 종횡방향으로 결합하여 쉽게 다인승 자전거로 전환시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이클링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이다.

Description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본 발명은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자전거의 앞바퀴 포크; 앞바퀴축; 뒷바퀴축; 조향장치 등을 개선하고,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종방향, 횡방향 또는 종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연결수단을 구비한 자전거로서, 혼자서 자전거를 운전하다가 동종의 자전거를 만났을 때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자전거에 부착된 상기 결합수단과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상기 자전거를 종방향, 횡방향 또는 종횡방향으로 결합하여 쉽게 다인승 자전거로 전환시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이클링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1인이 구동하는 방식이고 2인 이상이 구동하는 방식의 자전거는 그 용도에 따라 특수하게 제작되어야만 하였으며, 한번 2인 이상 구동할 수 있는 자전거를 제작하면 다시 1인승 자전거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즉 종래에는 1인승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여 2인 이상이 구동할 수 있는 자전거가 전무 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하게 제작된 2인 이상의 전용 자전거는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갔으며, 일반적으로 좌우회전에 대하여 큰 회전반경을 필요로 하므로 굴곡이 심하거나 회전반경이 작은 코너를 운전할 때 자전거의 유연성에 문제가 생기고, 상기 2인 이상의 전용자전거를 주차하거나 혼자서 운전하기가 쉽지 않은점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자전거와 같이, 혼자서 사이클링을 하다가 동종의 자전거를 만났을 때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종방향, 횡방향 또는 종횡방향으로 자전거를 연결하여 여러 사람이 함께 사이클링을 할 수 있는 결합수단 및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수단 및 연결수단을 적용하여 상호 연결된 상기 자전거를 운행을 하다가 도로면의 굴곡, 좌우회전 등에 있어서 방향전환을 위한 조향수단을 구비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우측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좌측면도,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정면도,
도 1d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앞바퀴축의 정면도,
도 1e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뒷바퀴축의 정면도,
도 1f는 도 1e의 A-A선 단면도,
도 1g는 도 1e의 B-B선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앞바퀴를 분리하고 이를 분리바퀴 고정대에 장착한 상태의 좌측면도,
도 2b는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앞바퀴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도 2c는 도 2a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앞바퀴포크의 확대도,
도 3a는 조향프레임이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3c는 조향프레임이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3d는 도 3c의 평면도,
도 3e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향프레임이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3f는 도 3e의 평면도,
도 3g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향프레임이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3h는 도 3g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부재 및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연결부재를 평행하게 연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4c는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4d는 연결부재를 평행하게 연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4e는 도 4c를 결합한 자전거의 우측면도,
도 4f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측단면도,
도 4g는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의 측단면도,
도 4h는 연결부재를 보관하기 위한 연결봉홀더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좌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횡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브레이크시스템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앞바퀴11: 앞바퀴축
2,2': 앞바퀴포크21: 반원형홈
22: 매미고리23: 힌지
24: 반원형홈덮개25: 이탈방지레버
26: 복원스프링27: 걸림편
28: 고정홈3: 프레임부재
31: 수평프레임32: 경사프레임
33: 뒷바퀴프레임34: 조향프레임
35: 지지목프레임36: 고정나사홀
37: 고정볼트38: 고정너트
4: 뒷바퀴41: 뒷바퀴축
42: 체인스프로켓43: 체인기어
500,500',501,501',502: 결합부재50: 볼
51: 덮개52: 하우징
53: 원형링54: 걸림턱
55: 매미고리56: 힌지
57: 타원형홀58: 볼하우징
59: 볼하우징덮개6,6',6": 연결부재
60: 매미고리61: 긴연결봉
62: 짧은연결봉63: 연결고리
64: 개폐편65: 내장스프링
66: 지지봉67: 스프링
68: 홀더덮개69: 힌지
600: 연결봉홀더7: 브레이크시스템
71: 브레이크선72: 고정자
73: 숫연결자74: 암연결자
75: 홀8: 분리바퀴보관대
81: 바퀴홀더91: 원형단면홈
92: 사각단면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앞바퀴, 뒷바퀴, 프레임, 조향장치, 구동장치 및 제동장치 등으로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앞바퀴포크; 상기 앞바퀴포크를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앞바퀴축 및 뒷바퀴축; 상기 조향장치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한 조향프레임; 및 분리된 상기 앞바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분리바퀴보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나의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로부터 분리된 상기 앞바퀴포크를 다른 자전거의 상기 뒷바퀴축에 결합하여 동종의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상호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앞바퀴, 뒷바퀴, 프레임, 조향장치, 구동장치 및 제동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한 조향프레임; 상기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결합부재; 상기 앞바퀴 및 뒷바퀴의 축 상에 상기 결합부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앞바퀴축 및 뒷바퀴축; 및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되어 횡방향에 위치한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앞바퀴축과 뒷바퀴축에 상기 결합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평행 또는 교차하도록 횡방향에 위치한 동종의 자전거에 부착된 결합부재와 연결하여 동종의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의 우측면도를 도시한다.상기 도면에 있어서, 자전거는 프레임부재(3); 앞바퀴(1); 뒷바퀴(4); 핸들; 구동장치; 제동장치 등을 구비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자전거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500)와 연결부재(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500)는 앞바퀴축(11)과 뒷바퀴축(41) 상에 형성된 홈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연결수단 즉, 연결부재(6)는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은 수평프레임(31)의 외주면에 부착된 연결봉홀더(600)에 보관되어 일반적인 자전거와 동일하게 사이클링을 즐길 수 있도록 제작된 자전거이다. 도 5b에 의하면, 상기 핸들이 부착된 조향프레임(34)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때 상기 핸들을 포함하는 앞바퀴포크(2)를 수직으로 세워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부재(3) 즉, 수평프레임(31)과 경사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어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평상시 혼자 사이클링을 즐기거나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자전거의 선두 자전거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향프레임(34)을 경사지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핸들은 상기 조향프레임(34)으로부터 상향으로 "ㄱ"자가 되도록 꺾어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한 후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분기하여 핸들손잡이를 형성하였으며, 이렇게 형성된 상기 핸들은 상기 조향프레임(34)을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시킬 때 180도 회전시켜 상기 핸들을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의 상기 뒷바퀴(4) 상에 위치하고 있는 분리바퀴보관대(8)는 각도의 변형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었으며, 종방향으로 상기 자전거를 연결할 때 분리되는 상기 앞바퀴(1)를 상기 분리바퀴보관대(8)에 고정 보관할 수 있도록 바퀴홀더(8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좌측면도이며, 상기 연결부재(6)가 보관된 후면에 위치하는 브레이크시스템(7)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시스템(7)의 브레이크선(71)은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부재(3)에 고정되어 브레이크선(71a)이 상기 핸들에 고정되고, 브레이크선(71c)가 상기 뒷바퀴를 제동하기 하여 연결되며, 브레이크선(71b)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선두 자전거의 브레이크선(71d)에 연결되며, 브레이크선(71d)는 뒤로 연결되는 자전거의 브레이크선(71b)에 연결되도록 분기되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선(71)은 고정자(72)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부재(3)에 고정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로 연결되는 자전거의 브레이크선(71d)은 혼자서 자전거를 운전할 때 상기 분리바퀴보관대(8)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정면도이며, 상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앞바퀴포크(2)는 상기 앞바퀴축(11)의 내측에 형성된 원형단면홈(91)에 결합되며, 상기 앞바퀴포크(2)가 결합되는 상기 원형단면홈(91)은 상기 뒷바퀴축(41) 상에 뒷바퀴프레임(33)이 결합되는 홈보다 넓은 간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3)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봉홀더(600)가 위치하고 있다.
도 1d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앞바퀴축의 정면도이며, 상기 앞바퀴축(11)은 상기 앞바퀴(1)의 양측방향으로 상기 앞바퀴포크(2)가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원형단면홈(91)과 상기 결합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는 사각단면홈(9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단면홈(91)에 결합되는 상기 앞바퀴포크(2)는 내면이 원형단면을 갖도록 가공되어 상기 앞바퀴포크(2)를 상기 앞바퀴축(11) 상의 상기 원형단면홈(91)에 결합한 후 상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조향프레임(34)을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시켜 원활하게 조향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e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뒷바퀴축의 정면도이며, 상기 뒷바퀴축(41)은 일측에 체인스프로켓(42)이 부착되고, 양측방향으로 뒷바퀴프레임(33)이 고정되며, 외측방향으로 상기 원형단면홈(91)과 상기 사각단면홈(9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뒷바퀴축(41)은 상기 앞바퀴축(11)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원형단면홈(91)과 사각단면홈(92)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의 기능은 상기 앞바퀴축(11)과 동일하다.
도 1f는 도 1e의 A-A선 단면도이며,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단면홈(92)은 그 사각형 단면이 상기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의 원형단면에 내접하도록 형성이 되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상기 결합부재(500)의 걸림턱(54)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g는 도 1e의 B-B선 단면도이며,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단면홈(91)은 상기 뒷바퀴축(41)의 원형단면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포크(2)가 상기 뒷바퀴축(41) 상의 상기 원형단면홈(91)에 결합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앞바퀴를 분리하고 이를 분리바퀴 고정대에 장착한 상태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도시된 상기 앞바퀴포크(2)는 상기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하고자 할때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포크(2)의 단부에 반원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홈(21)과 맞대어지는 반원형홈덮개(24)를 구비하며, 상기 반원형홈(21)과 상기 반원형홈덮개(24)를 힌지(23)로 연결하며, 상기 반원형홈덮개(24)에 형성된 매미고리(22)를 사용하여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기 앞바퀴포크(2)의 반원형홈(21)과 상기 반원형홈덮개(24)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종방향으로 2대 이상의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려면 뒤쪽으로 연결되는 상기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1)를 분리해야만 하므로 상기 앞바퀴포크(2)의 매미고리(22)를 젖혀 열고 자전거를 살짝 들어올리면 상기 앞바퀴(1)는 자중에 의하여 분리되며, 분리된 상기 앞바퀴(1)를 상기 분리바퀴보관대(8)에 얹혀놓고 이를 바퀴홀더(81)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앞바퀴(1)가 분리된 상기 자전거 앞바퀴포크(2)의 상기 반원형홈(21)을 앞쪽에 위치하는 동종의 다른 상기 자전거의 상기 뒷바퀴축(41)의 원형단면홈(91)에 맞추어 끼우고 역시 상기 반원형홈(21)이 형성된 반원형홈덮개(24)를 상기 앞바퀴포크(2)의 상기 반원형홈(21)에 젖혀 맞대고 상기 매미고리(22)로 채우면 2대의 상기 자전거가 종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동종의 자전거들을 종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매미고리(22)는 운행중 충격에 의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체 잠금기능이 있는 잠금장치 부가형 매미고리(22)를 사용하며, 도로면의 경사 및 굴곡면에서 유연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포크(2) 양단의 상기 반원형홈(21)과 그에 맞대어지는 상기 반원형홈덮개(24)의 반원형홈(21)의 내경은 상기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 상에 형성된 상기 원형단면홈(91)의 외경보다 회전 공차만큼만 약간 크게 형성하여 상기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이 상기 상기 앞바퀴포크(2) 양단의 상기 반원형홈(21)과 그에 맞대어지는 상기 반원형홈덮개(24)의 반원형홈(21)의 내경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의 상기 원형단면홈(91) 또는 상기 앞바퀴포크(2) 및 반원형홈덮개(24)의 반원형홈(21)에 각각 베어링을 장착하여 회전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2b는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앞바퀴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상기 앞바퀴포크(2)는 상기 앞바퀴축(11)의 상기 원형단면홈(91)과 다른 자전거의 뒷바퀴축(41)에 형성된 상기 원형단면홈(91)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프레임부재(3)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봉홀더(600)가 위치하고 있다.
도 2c는 도 2a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앞바퀴포크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c의 상기 앞바퀴포크(2')는 상기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끝단이 "Y"자 형태로 벌어져 고정홈(28)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8)의 일측 목부분에 이탈방지레버(25)를 부착하며, 상기 이탈방지레버(25)와 상기 고정홈(28)의 일측 단을 복원스프링(26)으로 연결하며, 상기 고정홈(28)의 타측 목부분에 상기 이탈방지레버(25)가 걸려 고정되어 상기 고정홈(28)을 개폐하기 위한 걸림편(27)이 형성되어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앞바퀴포크(2)에 상기 앞바퀴(1)를 끼워 넣어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상기 원형단면홈(91)을 끝단이 "Y"형태로 벌려진 상기 고정홈(28) 가까이 접근시킨 후 상기 앞바퀴포크(2')를 중력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홈(28)으로 상기 앞바퀴축(11)의 원형단면홈(91)이 미끄러져 들어가고, 상기 앞바퀴축(11)의 원형단면홈(91)이 상기 고정홈(28)의 끝에 도달하면 상기 복원스프링(26)과 연결된 상기 이탈방지레버(25)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되면서 상기 걸림편(27)에 걸려서 상기 고정홈(28)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앞바퀴포크(2')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매미고리(22)를 채워줄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손쉽게 상기 앞바퀴(1)를 분해 결합할 수 있다.
도 3a는 조향프레임이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상기 조향프레임(34)에는 상기 핸들과 일체화된 상기 앞바퀴포크(2)를 수직상태 또는 경사상태로 조절 가능하도록 프레임부재(3) 즉, 수평프레임(31)과 경사프레임(32)에 각각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목프레임(35)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목프레임(35)에는 상기 프레임부재(3)와 다양한 각도 즉, 상기 앞바퀴포크의 수직 또는 경사 상태에서의 각도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고정나사홀(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며,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이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부재(3)의 단부는 "ㄷ"자 형태로 가공하고, 여기에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이 끼워져 상기 고정나사홀(36)에 상기 고정볼트(37) 및 고정너트(38)로 나사결합을 행한다.
도 3c는 조향프레임이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3a의 상기 조향프레임(34)을 상기 앞바퀴축(11)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목프레임(35)과 상기 프레임부재(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나사홀(36)에 상기 고정볼트(36) 및 고정너트(37)를 끼워넣어 나사결합을 행한다. 이때 상기 자전거는 상기 뒷바퀴축(41)을 중심으로 약간 들려서 결합된다.
도 3d는 도 3c의 평면도이며, 도 3b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3)에 끼워진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이 상기 프레임부재(3)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e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향프레임이 경사지게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조향프레임(34)은 상기 핸들과 일체화된 상기 앞바퀴포크(2)를 수직 또는 경사로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조향프레임(34)에 연결되는 프레임부재(3) 즉, 상기 수평프레임(31)과 상기 경사프레임(32)을 원호형의 파이프로 제작하고, 상기 프레임부재(3)를 연장 확관시키며,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은 상기 조향프레임(34)과 일체로 또는 일반적인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조향프레임(34)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을 원호형태로 형성하여 연장 확관된 상기 프레임부재(3)에 끼워넣고, 상기 프레임부재(3)와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을 상호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한다. 상기 프레임부재(3)와 상기 지지목프레임(35)에는 상기 나사결합을 위한 다수 개의 고정나사홀(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f는 도 3e의 평면도이며,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이 삽입되어 일체화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3)를 파이프형태로 가공하고, 여기에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이 끼워져 상기 고정나사홀(36)에 상기 고정볼트(37) 및 고정너트(38)를 끼워 넣어 나사결합을 행한다.
도 3g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향프레임이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조향프레임(34)을 수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도 3e의 상태에서 결합된 상기 고정볼트(37) 및 고정너트(38)를 풀어 원호형의 상기 조향프레임(34)을 상기 앞바퀴축(11)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빼내고,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목프레임(35)과 상기 프레임부재(3) 즉, 상기 수평프레임(31)과 경사프레임(32)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나사홀(36)에 고정볼트(37) 및 고정너트(38)를 끼워넣어 나사결합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역시 상기 자전거는 상기 뒷바퀴축(41)을 중심으로 약간 들려서 결합된다.
도 3h는 도 3g의 평면도이며, 도 3f와 같이 파이프가공된 상기 프레임부재(3)에 끼워진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이 상기 프레임부재(3)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부재 및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각단면홈(92)이 형성된 상기 앞바퀴축(11), 원형링(53)이 다수개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500) 및 양단에 연결고리(63)가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6)가 상호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상기 결합부재(500)와 상기 연결부재(6)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합부재(500)는 상기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에 각각 형성된 사각단면홈(92)에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6)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목적으로 힌지(56)와 매미고리(55)에 의하여 개폐 고정될 수 있는 덮개(51)를 구비하고, 하우징(52)의 일측면은 상기 사각단면홈(9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된 사각홈이 가공되어 걸림턱(5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52)의 내면은 상기 앞바퀴축(11)과 뒷바퀴축(41)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단면 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내면이 가공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52)의 측면과 하면 상에 각각 상기 원형링(53)이 형성되었다. 상기 하우징(52)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은 상기 연결부재(6)를 사용하여 상기 자전거를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연결할 때 상기 연결부재(6)가 끼워지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우징(52)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은 상기 연결부재(6)를 사용하여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상기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때 상기 연결부재(6)가 끼워지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6)는 상기 결합부재(500)에 형성된 원형링(53)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방향에 위치한 자전거와 "X"자 형태로 교차 연결하기 위한 긴연결봉(61)과 평행으로 연결하기 위한 짧은연결봉(62)으로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서로 다른 상기 연결봉(61,62)의 양단부에 상기 결합부재(500)의 측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에 끼워지기 위한 상기 원형링(53)의 내경과 동일한 단면적(d1=d2)을 갖도록 형성된 연결고리(63)와 상기 연결고리(63)를 내장스프링(65)의 작용으로 단속하기 위한 개폐편(64)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b는 연결부재를 평행하게 연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결합부재(500')의 사시도이며, 도 4a에서 도시된 상기 결합부재(500)와 동일하게 상기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의 상기 사각단면홈(9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며, 단지 횡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자전거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짧은연결봉(62)을 사용하여 평행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52)의 일측면에 한개의 원형링(53)이 형성되어 있다.
도 4c는 프레임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501)의 사시도이며, 상기 결합부재(501)는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목적으로 힌지(56)와 매미고리(55)에 의하여 개폐 고정될 수 있는 상기 덮개(51)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51)와 상기 하우징(52)의 내측면은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의 단면 형상으로 내면이 천공되었으며, 상기 하우징(52)의 측면과 하면 상에 각각 상기 원형링(53)이 형성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은 타원형으로 각각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으므로, 상기 하우징(52)의 내면 역시 타원형홀(57)이 형성되었다.
도 4d는 연결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501')의 사시도이며, 도 4c에서 도시된 상기 결합부재(501)와 동일하게 상기 앞바퀴포크(2) 및 뒷바퀴프레임(33)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52)의 내면이 타원형홀(57)이 형성되었으며, 단지 횡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자전거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짧은연결봉(62)을 사용하여 평행하게 연결하기 위하여상기 하우징(52)의 일측면에 한개의 상기 원형링(53)이 형성되었다.
도 4e는 도 4c를 결합한 자전거의 우측면도이며, 도면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는 상기 수평프레임(31)의 일측 상에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을 상기 연결봉홀더(68)를 사용하여 고정 보관하며,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도4c에 의한 상기 결합부재(501)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자전거는 평상시 도 4e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501)를 휴대하거나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고정하여 사이클링은 할 수도 있으며, 사이클링 도중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만나면 상기 수평프레임(31) 상에 보관된 상기 연결부재(61,62)를 상기 결합부재(501)와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자전거를 연결할 수 있다.
도 4f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측단면도이며, 상기 연결부재(6')는 상기 결합부재(500,500',501,501')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연결하고 신축성을 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의 양단부는 상기 원형링(53)에 끼워 넣기 위하여 상기 원형링(53)의 내경과 동일한 단면적 갖도록 연결고리(63)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고리(63)를 내장스프링(65)에 의하여 단속하기 위한 상기 개폐편(64)을 구비하며,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을 절단하여 일측단을 파이프가공 및 확관을 행하여 지지봉(66)을 형성하고, 파이프가공된 내부 공간에 스프링(67)을 위치시키며, 절단된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의 다른 일측단이 파이프가공 및 확관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67)과 연결하여 형성된다.
도 4g는 프레임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의 측단면도이며,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결합부재(502)는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6")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목적으로 반구홈이 형성된 볼하우징(58); 및 볼(50)을 상기 볼하우징(58)에 위치시킨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하우징덮개(59)로 이루어지고, 이를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고정하기 위하여 "U"볼트 또는 홀더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02)에 고정될 상기 연결부재(6")는 상기 결합부재(502)에 형성된 상기 볼하우징(58)과 상기 볼하우징덮개(59)에 고정되어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긴연결봉(61) 및 상기 짧은연결봉(62)의 양단부에 상기 볼하우징(58)에 안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볼(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h는 연결부재를 보관하기 위한 연결봉홀더(600)의 단면도이며, 상기 연결봉홀더(600)는 상기 연결부재(6,6',6") 즉,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을 상기 자전거의 수평으로 위치한 프레임부재(31) 상에 수평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재(31)의 외주면에 힌지(69)를 통해 고정된 홀더덮개(68)와 매미고리(60)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재(31)의 일측면에 고정된 홀더덮개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31)의 타측면에는 브레이크선(71)이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홀(7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때 선두 자전거 이후에 연결되는 자전거는 상기 짧은연결봉(62) 만을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동종의 상기 자전거의 결합부재(500',501',502)에 평행으로 연결되므로 한개의 연결봉 즉, 상기 짧은연결봉(62) 만을 보관하고 사이클링을 행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두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뒤로 동종의 다른 자전거가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두번째 위치하는 자전거는 선두에 위치하는 자전거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앞바퀴(1)를 분리하여 도 2a에 도시된 상기 분리바퀴보관대(8)에 고정 보관하며, 상기 앞바퀴(1)를 분리한 상기 앞바퀴포크(2)는 선두 자전거의 상기 뒷바퀴축(41)에 형성된 상기 원형단면홈(91)에 끼워져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상기 자전거의 연결을 행한다. 두번째 이후로 연결되는 동종의 상기 자전거들 역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상호 연결을 행하며,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을 할 때 상기 결합부재(500,501)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 5b는 도 5a의 좌측면도이며, 선두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뒤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자전거는 앞바퀴(1)를 분리하여 분리바퀴고정대(8)에 경사지게 고정시키고, 상기 자전거의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 앞바퀴포크(2)를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으로 위치시켜 고정한다. 이때, 선두 이후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자전거의 상기 핸들을 180도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앞바퀴포크(2)의 수직 고정으로 인하여 앞으로 전진된 상기 핸들을 파지하기 곤란했던 점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를 종횡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횡방향으로 동종의 상기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앞바퀴축(11)과뒷바퀴축(41)에 형성된 상기 사각단면홈(92)에 상기 결합부재(500,500')를 일측으로 결합하고,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자전거 역시 상기 결합부재(500,500')를 각각 대향하게 결합한다. 우선,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자전거는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 모두를 사용하여 평행 및 교차하게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자전거와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11)과 뒷바퀴축(41)에는 도 4a에 의한 결합부재(500)가 서로 마주보며 부착되었고, 좌측 선두에 위치한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11)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재(500)와 우측 선두에 위치한 자전거의 상기 뒷바퀴축(41)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재(500)는 하면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이 위로 향하게 결합되고, 우측 선두에 위치한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11)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재(500)와 좌측 선두에 위치한 자전거의 상기 뒷바퀴축(41)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재(500)는 하면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이 아래로 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500)를 결합한 이유는 상기 원형링(53)에 상기 긴연결봉(61)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연결할 때 상기 긴연결봉(61)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위상을 달리하고자 함이다. 상기 결합부재(50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에는 상기 짧은연결봉(62)이 평행하게 연결되어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선두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11)의 상기 결합부재(500)에 연결된 상기 짧은연결봉(62)은 핸들에 의하여 조향을 실시할 때 상기 앞바퀴(1)가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돕게 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선두 자전거 이후에 위치하는 동종의 상기 자전거는 상기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에 도 4b에 도시된 결합부재(500')를 결합시키고, 상기 짧은연결봉(62)을 평행하게 연결한다. 상술한 종횡방향으로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결합부재(500,500')는 도 4c 또는 도 4d의 결합부재(501,501')로 대체 사용가능하며, 또한 신축성있는 도 4f의 연결부재(6')를 사용하여 연결을 행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4g의 상기 결합부재(502)와 상기 연결부재(6")를 사용하여 평행하게 자전거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자전거의 제동을 위해서는 선두에 위치한 자전거에 의한 일괄적인 제동을 행하고자 상기 브레이크선(71)을 종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브레이크시스템(7)이 제공된다. 상기 브레이크시스템(7)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단이 "Y"형상으로 분기된 상기 브레이크선(71) 중 브레이크선(71a)는 자전거의 핸들에 연결되고, 다른 브레이크선(71c)는 뒷바퀴(4)에 연결되어 제동이 이루어지며, 분기된 브레이크선(71b)는 선두 자전거의 브레이크선(71d)와 연결되며, 또 다른 브레이크선(71d)는 뒤에 연결되는 자전거의 브레이크선(71b)와 연결된다. 이때, 다른 자전거와 연결되는 분기된 상기 브레이크선(71b,71d)의 유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스크류식으로 형성된 숫연결자(73)와 암연결자(74)를 형성하고 이를 상기 자전거의 상기 수평프레임(31)에 형성된 고정자(72)에 끼워 고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연결된 상기 브레이크시스템(7)에 의한 제동은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자전거의 핸들에 마련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선두 자전거 뿐만 아니라 상기 브레이크선(71)을 통하여 전달되는 장력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위치하는 모든 자전거에 대하여 제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종래의 자전거와 같이 개인이 혼자 사이클링을 하다가 동종의 자전거를 만나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자전거에 휴대하고 결합부재와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손쉽게 분리 결합하여 종횡방향으로 연결 대수에 상관없이 상기 자전거를 연결한 형태 즉, 다인승 자전거로 전환시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이클링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여 운행할 때 조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향프레임을 두어 조향시 회전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를 주차할 때에는 연결된 자전거를 분리하여 주차하므로 주차에 대한 종래의 다인승 자전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자전거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이 함께 사이클링을 행함으로써, 최근 컴퓨터 보급으로 개인주의화 되는 사회에서 타인과 어울리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동질성에 의한 사교 및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고, 단체심과 협동심을 부양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Claims (18)

  1. 앞바퀴(1), 뒷바퀴(4), 프레임, 조향장치, 구동장치 및 제동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1)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앞바퀴포크(2,2');
    상기 앞바퀴포크(2,2')를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
    상기 조향장치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한 조향프레임(34); 및
    분리된 상기 앞바퀴(1)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분리바퀴보관대(8)를 포함하여 자전거를 구성되고, 하나의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1)로부터 분리된 상기 앞바퀴포크(2,2')를 다른 자전거의 상기 뒷바퀴축(41)에 결합하여 동종의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2. 앞바퀴(1), 뒷바퀴(4), 프레임, 조향장치, 구동장치 및 제동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한 조향프레임(34);
    상기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결합부재(500,500',501,501',502);
    상기 앞바퀴(1) 및 뒷바퀴(4)의 축 상에 상기 결합부재(500,5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 및
    상기 결합부재(500,500',501,501',502)에 연결되어 횡방향에 위치한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연결부재(6,6',6")를 포함하여 자전거를 구성하고, 상기 앞바퀴축(11)과 뒷바퀴축(41)에 상기 결합부재(500,500')를 부착하고 상기 연결부재(6,6')를 평행 또는 교차하도록 횡방향에 위치한 동종의 자전거에 부착된 결합부재(500,500')와 연결하여 동종의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포크(2)는 상기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포크(2)의 단부에 반원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홈(21)과 맞대어지는 반원형홈덮개(24)를 구비하며, 상기 반원형홈(21)과 상기 반원형홈덮개(24)를 힌지(23)로 연결하며, 상기 반원형홈덮개(24)에 형성된 매미고리(22)를 사용하여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포크(2')는 상기 자전거를 종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끝단이 "Y"자 형태로 벌어져고정홈(28)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8)의 일측 목부분에 이탈방지레버(25)를 부착하며, 상기 이탈방지레버(25)와 상기 고정홈(28)의 일측 단을 복원스프링(26)으로 연결하며, 상기 고정홈(28)의 타측 목부분에 상기 이탈방지레버(25)가 걸려 고정되며, 상기 고정홈(28)을 개폐하기 위한 걸림편(27)이 형성되어 상기 앞바퀴축(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포크(2,2')가 다른 자전거의 뒷바퀴축(41)에 형성된 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축(11)은 양측방향으로 원형단면홈(91)과 사각단면홈(92)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축(41)은 일측에 체인스프로켓(42)이 부착되고, 양측방향으로 뒷바퀴프레임(33)이 고정되며, 외측방향으로 원형단면홈(91)과 사각단면홈(92)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프레임(34)에는 상기 핸들과 일체화된 상기 앞바퀴포크(2,2')를 수직상태 또는 경사상태로 조절 가능하도록 프레임부재(3) 즉, 수평프레임(31)과 경사프레임(32)에 각각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목프레임(35)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목프레임(35)에는 상기 프레임부재(3)와 수직 또는 경사상태의 각도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고정나사홀(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프레임(34)은 상기 핸들과 일체화된 상기 앞바퀴포크(2,2')를 수직 또는 경사로 조절 가능하도록 핸들목 부분에 연결된 프레임부재(3)를 원호형의 파이프로 제작하고, 상기 프레임부재(3)를 절단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기 프레임부재(3)를 연장 확관시키며, 지지목프레임(35)은 상기 조향프레임(34)과 일체로 또는 일반적인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조향프레임(34)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을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연장 확관된 상기 프레임부재(3)에 끼워넣고, 상기 프레임부재(3)와 상기 지지목프레임(35)을 상호 고정볼트(37) 및 고정너트(38)로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나사홀(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퀴보관대(8)는 동종의 다른 자전거와 종방항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앞바퀴(1)를 적재하여 고정하기 위한 바퀴홀더(81)를 구비하고, 이를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00,500')는 상기 앞바퀴축(11) 및 뒷바퀴축(41)에 각각 형성된 사각단면홈(92)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6,6')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목적으로 힌지(56)와 매미고리(55)에 의하여 개폐 고정될 수 있는 덮개(51)를 두고, 하우징(52)의 일측면은 상기 사각단면홈(9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된 사각홈을 가공하여 걸림턱(54)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52)의 내면은 상기 앞바퀴축(11)과 뒷바퀴축(41)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단면 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내면이 가공되며, 상기 하우징(52)의 측면과 하면 상에 원형링(53)이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01,501')는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6,6')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목적으로 힌지(56)와 매미고리(55)에 의하여 개폐 고정될 수 있는 덮개(51)를 두고, 상기 덮개(51)와 하우징(52)의 내측면은 상기 앞바퀴포크(11)와 뒷바퀴프레임(33)에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포크(11)와 뒷바퀴프레임(33)의 단면 형상으로 내면이 천공되었으며, 상기 하우징(52)의 측면과 하면 상에 원형링(53)이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02)는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6")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목적으로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고정될 수 있는 반구홈이 형성된 볼하우징(58); 및
    볼(50)을 상기 볼하우징(58)에 위치시킨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하우징덮개(59)로 이루어지고 이를 상기 앞바퀴포크(2)와 뒷바퀴프레임(33)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4. 제2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는 상기 결합부재(500,500',501,501')에 형성된 원형링(53)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재(500,500',501,501')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에 끼워 넣기 위하여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의 양단부에 상기 원형링(53)의 내경과 동일한 단면적 갖도록 형성된 연결고리(63), 상기 연결고리(63)를 내장스프링(65)에 의하여 단속하기 위한 개폐편(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5. 제2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는 상기 결합부재(500,500',501,501')에 형성된 원형링(53)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연결하고 신축성을 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재(500,500',501,501')에 형성된 상기 원형링(53)에 끼워 넣기 위하여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의 양단부에 상기 원형링(53)의 내경과 동일한 단면적 갖도록 형성된 연결고리(63), 상기 연결고리(63)를 내장스프링(65)에 의하여 단속하기 위한 개폐편(64)을 구비하며,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을 절단하여 일측단을 파이프가공 및 확관을 행하여 지지봉(66)을 형성하고, 파이프가공된 내부 공간에 스프링(67)을 위치시키며, 절단된 상기 긴연결봉(61)과 짧은연결봉(62)의 다른 일측단이 파이프가공 및 확관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67)과 연결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6. 제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는 상기 결합부재(502)에 형성된 볼하우징(58)과 볼하우징덮개(59)에 고정되어 횡방향으로 동종의 다른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긴연결봉(61) 및 짧은연결봉(62)의 양단부에 상기 볼하우징(58)에 안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볼(5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6',6")를 상기 자전거의 수평으로 위치한 프레임부재(31) 상에 수평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재(3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69)를 통해 고정된 홀더덮개(68)와 매미고리(60)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재(31)의 일측면에 고정된 홀더덮개고정부가 형성되며, 타측으로 브레이크선(71)이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홀(75)이 형성된 연결봉홀더(600)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의 브레이크선(71)은 수평으로 위치한 프레임부재(31) 상에 형성된 고정자(72)에 끼워 고정되고, 양단이 "Y"형상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선(71) 중 브레이크선(71a)는 자전거의 핸들에 연결되고, 다른 브레이크선(71c)는 뒷바퀴(4)에 연결되어 제동이 이루어지며, 분기된 브레이크선(71b)는 선두 자전거의 브레이크선(71d)와 연결되며, 또 다른 브레이크선(71d)는 뒤에 연결되는 자전거의 브레이크선(71b)와 연결되며, 다른 자전거와 연결되는 분기된 상기 브레이크선(71)의 유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스크류방식으로 형성된 숫연결자(73)와 암연결자(74)를 형성한 브레이크시스템(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KR10-2001-0068969A 2000-11-06 2001-11-06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KR100465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65639 2000-11-06
KR1020000065639 2000-11-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993U Division KR200264729Y1 (ko) 2001-11-06 2001-11-06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470A true KR20020035470A (ko) 2002-05-11
KR100465493B1 KR100465493B1 (ko) 2005-01-13

Family

ID=1969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969A KR100465493B1 (ko) 2000-11-06 2001-11-06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4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602B1 (ko) * 2007-04-27 2008-11-21 박민식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KR100869603B1 (ko) * 2008-07-09 2008-11-21 박민식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KR20150098044A (ko) * 2014-02-19 2015-08-27 신예인 자전거 견인 짐받이
WO2021193994A1 (ko) * 2020-03-27 2021-09-30 주식회사 빅버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170B1 (ko) 2017-12-08 2018-12-24 주식회사 빅버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602B1 (ko) * 2007-04-27 2008-11-21 박민식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KR100869603B1 (ko) * 2008-07-09 2008-11-21 박민식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KR20150098044A (ko) * 2014-02-19 2015-08-27 신예인 자전거 견인 짐받이
WO2021193994A1 (ko) * 2020-03-27 2021-09-30 주식회사 빅버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93B1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767B2 (en) Carry-on foldable stepper scooter
US9010792B2 (en) Torque element for a motor-driven bicycle
DE602004008604T2 (de) Fahrrad
CA1235164A (en) Bicycle frame having a modifiable structure
DE102016102361B4 (de) Entfernbare energie-versorgungseinheit für ein fahrrad
US6968754B2 (en) Space maximizing means for keeping or storing bicycles
US5842710A (en) Coupling device for bicycles
EP2426042B1 (de) Elektrische Antriebseinheit für Fahrräder und Motofahrräder
JPH0717222B2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に関する改良
DE69824250T2 (de) Motorangetriebenes Fahrrad
JPH07179189A (ja) マウンテンバイク
DE20108414U1 (de) Vorderräder-Einheit für einen Roller
FR2736612A3 (fr) Mecanisme de transmission sans chaine pour bicyclettes
KR100465493B1 (ko)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FR2864018A1 (fr) Bicyclette ayant deux modes de pedalage
US7059441B2 (en) Mount frame for an electric motor-driven wheeled vehicle
DE3739515A1 (de) Vorrichtung zum zusammenkuppeln zweier fahrraeder
KR200264729Y1 (ko)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US4527811A (en) Seat attachment and steering arrangement for recumbent bicycle or the like
US7163224B1 (en) Motorcycle handlebar mounting assembly
JPH0143674B2 (ko)
US6406047B1 (en) Tommy two drive bicycle
CN108688757A (zh) 快速释放机构及使用其的自行车
KR100892571B1 (ko) 삼륜 자전거
KR200428483Y1 (ko) 역방향 핸들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