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165A - 유기 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165A
KR20020034165A KR1020027001007A KR20027001007A KR20020034165A KR 20020034165 A KR20020034165 A KR 20020034165A KR 1020027001007 A KR1020027001007 A KR 1020027001007A KR 20027001007 A KR20027001007 A KR 20027001007A KR 20020034165 A KR20020034165 A KR 2002003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luminescent
electroluminescent device
optical interference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716B1 (ko
Inventor
호프스트라피터지.
크라스노프앨렉시
Original Assignee
룩셀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룩셀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룩셀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3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소자로부터의 전체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광학간섭부재를 갖는 새로운 유기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애노드, 전계발광층 및 캐소드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간섭부재가 2개의 층 사이에 배치되고, 그래서 디스플레이를 여기시키는데 필요한 전기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류 구동 유기 디스플레이에 적당하다. 이 광학간섭부재는 디스플레이상에 입사된 주변광의 적어도 일부의 상쇄 광학 간섭을 일으키는 두께를 갖도록 선택된다. 또한, 이 광학간섭부재의 물질은 애노드, 캐소드 및 전계발광층에 관련된 광학간섭부재의 위치에 따라, 전계발광층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 또는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과 양립할 수 있는 일의 함수를 갖도록 선택된다.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소자를 흐르는 적합한 전류를 보장할 수 있고, 그래서 유기 전계발광층의 전기적인 브레이크다운등을 감소시키고 소자의 전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전계발광소자(ELDs)는 잘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상이한 물질의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층은 전형적으로 투명한 전방 전극층, 전계발광층 및 후방 전극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압이 이러한 전극에 인가될 때, 전계발광층은 활성화되어 이 전계발광층을 통과하는 전기 에너지의 일부를 광으로 변환시킨다. 그후에, 이러한 광은 정면 전극층을 통해 발광되는데, 이 정면 전극층은 발광된 광에 투명하여 소자의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계발광소자는 특히 컴퓨터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컴퓨터 및, 고 신뢰도, 저중량, 및 저전력 소비와 같은 특징이 중요한 군사, 항공전자공학 및 항공 우주산업과 같은 특수한 용도에 사용되는 다른 전자 장치용 고품질 디스플레이로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CRT")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에 비해서 특정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 퍼스널 컴퓨터 및 다른 소비자 산업에서 그 품질로 인하여 인정을 받아가고 있다.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의 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층 사이에 박막을 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호 대 반사된 주변광 비(signal-to-reflected-ambient light ratio; "SRA") 및 콘트라스트비("CR")와 같은 선택된 디스플레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내에 박막층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해, 신호 대 반사된 주변광 비는
와 같이 정의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SRA는 신호 대 반사된 주변광 비,
Lem은 소자의 방사된 휘도,
R은 소자의 반사율, 및
Lamb은 주변광 휘도,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입사된 주변광이고,
화소화된 소자에서 콘트라스트비는
와 같이 정의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CR은 콘트라스트비,
Lon은 활성 또는 "온" 화소의 방사된 휘도,
Loff은 비활성 또는 "오프" 화소의 방사된 휘도,
R은 소자의 반사율, 및
Lamb은 주변광 휘도,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입사된 주변광이다.
전계발광소자내의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특정 타입의 박막층은 미국 특허 5,049,780호[Dobrowolski]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계발광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 사이에 놓인 실질적으로 투명한 광학 간섭층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전계발광소자의 콘트라스트비의 향상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고 특히 불량 콘트라스트 및 글레어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항공 전자 공학 및 군사 응용에 있어서 중요하다. 상쇄 간섭의 원리를 사용하여, 광학 간섭층은 박막층의 인터페이스에서 반사 및/또는 투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2개의 반대위상(out-of-phase) 전자파를 중첩시킴으로써 주변광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층의 적당한 두께를 선택함으로써 관심의 전자파장(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반사된 가시 주변광파)에서의 광학적인 상쇄 간섭은 예외적인 콘트라스트비 및/또는 신호 대 반사된 주변광 비가 가능하게 한다.
Dobrowolski는 일반적으로 전압 구동 무기 전계발광소자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에서 전계발광층은 무기물질로 형성되고, 이 전압 구동 무기 전계발광소자는 전형적으로 무기 전계발광층의 전기적 브레이크다운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 투명한 유전층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무기 전계발광소자는 전형적으로 소자내의 전하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류 전류("ac")로 전압 구동되고 전력공급된다. Dobrowolski는 투명한 유전층이 없는 직류("dc") 전계발광소자의 사용을 생각하였지만, 그러한 무기 소자는 여전히 전압 구동되고 일반적으로 전계발광층을 절연파괴시키는 경향이 있다.
전압 구동 무기 전계발광소자에 비하여 (컬러 향상 및 필요한 구동 전압을 감소시키는 전류 흐름에 대한 감소된 배리어와 같은) 특정 장점을 제공하는 현대 전류 구동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출현으로, 이러한 유기 소자의 콘트라스트비 및/또는 신호 대 주변광 비를 향상시킬 필요가 생겼고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필요를 채우는 적합한 광학 간섭 전계발광소자를 찾을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광으로부터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박막 광학 간섭층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간섭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일부를 통한 개략단면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간섭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일부를 통한 개략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결점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새로운 유기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의 정면에서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광학 간섭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이 소자는 애노드층; 캐소드층(애노드층 및 캐소드층중 적어도 하나는 방출되는 전계발광의 적어도 일부에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애노드층 및 캐소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전계발광층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인 제1 에너지 특성 및 전계발광층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인 제2에너지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층; 및 2개의 층 사이에 배치되고, 광학간섭부재가 애노드 및 전계발광층 사이에 있을 때 제1 에너지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의 함수를 갖고, 광학간섭부재가 캐소드 및 전계발광층 사이에 있을 때 제2 에너지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의 함수를 갖고, 전계발광소자의 스펙트럼 반사율이 수정되어 뷰어로의 전계발광소자에 의해 주변광의 반사율이 감소되도록 하는 두께와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간섭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된 스펙트럼에 광을 방출하는 전계발광소자가 제공되는데, 이 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층 및 캐소드층을 포함하며, 이 애노드층 및 캐소드층중 하나는 전계발광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선택된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에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이 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층 및 캐소드층 사이에 유기 전계발광층을 포함하는데, 이 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층에 대하여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을 갖고 캐소드층에 대하여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을 갖는다. 이 소자는 투명층을 통해 반사된 주변광을 감소시키도록 작동가능하고 선택된 일의 함수를 갖는 광학간섭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 광학간섭부재는 전계발광층 및 애노드층과 캐소드층중 하나 사이에 있으며, 각각의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레벨 및 선택된 일의 함수사이의 차이는 제로에 접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자의 정면에서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기판상에 애노드층을 배치하는 단계;
애노드층과 관련된 제1 에너지 특성 및 캐소드층과 관련된 제2 에너지 특성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층을 애노드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뷰어에게 주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제2 에너지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의 함수를 갖는 광학간섭부재를 전계발광층에 배치하는 단계;
이 광학간섭부재상에 캐소드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소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자의 정면에서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계발광소자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기판상에 애노드층을 배치하는 단계;
뷰어로의 주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일의 함수를 갖는 광학간섭부재를 애노드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전계발광층으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이고 일의 함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에너지 특성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층을 간섭 부재상에 배치하는 단계;
캐소드층을 전계발광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소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애노드에 대한 제1 에너지 특성 및 상기 캐소드에 대한 제2 에너지 특성을 가지며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있는 유기 전계발광층으로부터 광을 방출하는 단계;
상기 전계발광층으로 입사되는 주변광을 수용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일의 함수를 갖고 상기 전계발광층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중 하나 사이에 배치된 광학간섭부재의 입사 표면에서 상기 주변광으로부터 상쇄 간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의 함수 및 각각의 에너지 특성 사이의 차이는 제로에 접근한다.
적어도 하나의 광학간섭부재의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소자를 통하여 적당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보장하게 되고, 그래서 유기 전계발광층의 절연파괴등을 줄이고 소자의 전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여전히 뷰어로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상 모드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되었다. 소자(10)는 전계발광 투과 애노드(12), 애노드(12) 뒤에 배치된 전계발광층(14), 전계발광층(14) 뒤에 배치된 광학간섭부재(16) 및 간섭 부재(16) 뒤에 배치된 캐소드(18)를 포함한다. 소자(10)는 소자(10)를 통하여 일정한 전류를 구동하기 위해 애노드(12) 및 캐소드(18)를 통하여 전류원(20)에 접속된다.
전계발광 투과 애노드(12)는 산화주석인듐(ITO) 또는 산화아연(ZnO)와 같은 방출되는 전계발광의 적어도 일부에 투명한 임의의 도전성 물질이다. 본 실시예에서, 애노드(12)는 약 1500Å의 두께를 갖는 산화주석인듐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계발광 투과 애노드(12)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약 1000Å 내지 약 3000Å, 또는 약 1200Å 내지 약 2000Å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계발광층(14)은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 Alq3) 또는 폴리(n-비닐 카르보잘; PVCZ)와 같은 유기 전계발광 물질이며, 여기에서 광의 광자는 전자가 층(14)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lumo")로부터 떨어질 때 방출되고, 여기에서 이 전자들은 층(14)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homo")내의 정공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전계발공 층(14)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광을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층(14)은 당업자가 이러한 층의 적절한 다른 두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약 1000Å의 두께를 갖는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의 전기적 특성에 정통한 사람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EHOMO)는 약 5.4 eV인데, 이것은 또한 층(14)의 표면으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또는 층(14)의 일의 함수로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약 3.0eV인데, 이것은 ELUMO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의 EHOMO와 ELUMO사이의 차이는 약 2.4eV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유기 물질이 선택될 수 있어서(즉, 물질을 선택하거나 불순물로 물질을 변형시킴으로써) EHOMO와 ELUMO사이의 차이가 가시광선의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약 1.5eV 내지 약 3.0eV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간섭부재(16)는 반흡수층(16a) 및 투명층(16b)을 포함한다. 반흡수층(16a)은 부분적으로 반사적인데, 즉, 가시 스펙트럼내에서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부분적으로 투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185Å의 두께를 갖는 마그네슘은(Mg:Ag)으로 만들어진다. 다른 적당한 물질에는 Inconel™, 니켈(Ni), 티타늄 또는 적절한 유기 물질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층들의 적절한 두께가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물질의 소광 계수 및 그 두께는 광학 간섭을 간과하면 사전 선택된 파장에서 층(16a)으로부터의 반사율이 적어도 약 35 %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 에너지의 나머지는 투과되거나 흡수되고, 열의 형태로 소산된다. 이와 유사하게, 광학 간섭을 간과하면 사전 선택된 파장에서의 층(16a)을 통한 투과율은 적어도 약 35 %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층(16a)의 소광 계수 및 그 두께는 광학 간섭을 간과하면 사전 선택된 파장에서의 층(16a)을 통과하는 투과율이 약 30%에서 약 40%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층(16a)의 반사표면에서 적절한 상쇄 간섭을 얻기 위해 2개의 패스 이후에 층(16a)을 통해 투과되는 광의 양은 본래 층(16a)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도전층(16b)은 산화주석인듐(ITO)으로 만들어지고 약 840Å의 두께를 갖는다. 다른 적당한 물질 및 층 두께가 산화아연(ZnO)과 같이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층(16b) 물질의 소광 계수 및 그 두께는 광학 간섭을 간과하면 사전 선택된 파장에서 층(16b)을 통하는 투과율이 약 80%보다 더 크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 %가 되도록 선택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층(16b)에 대한 사전 선택된 파장은 층(16a)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 사전 선택된 파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생산된 소자(10)가 가시광선 스펙트럼에 걸쳐서 바람직한 광학 간섭 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가시 광선 스펙트럼의 중심인 약 550nm의 파장이 층(12,14) 및 부재(16)의 적당한 두께 및 물질을 결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현재 바람직한 사전 선택된 파장이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파장을 선택함으로써 부수적으로 얻는 유익은 적외선을 포함한 가시광선 밖의 전자기 에너지를 반사하여 디스플레이의 가열을 감소시키는 소자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필요한대로 다른 파장이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섭 부재(16)는 일의 함수 ΦOIM또는, 부재(16)의 표면으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으로써 그 양을 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전하 또는 정공은 전류원(20)으로부터 애노드(12)를 통해 전계발광층(14)으로 흐르고, 여기에서, 양전하 또는 정공은 전류원(20)으로부터 캐소드(18), 광학간섭부재(16)를 통해 전계발광층(14)으로 흐르는 전자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층(14)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 전자를 용이하게 주입하기 위해, 부재(16)에 대해 물질은 절대값으로 표시된 ELUMO및 ΦOIM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도록 선택된다. 이 표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 차이 X가 제로에 접근하기 위해, X는 약 0.0 내지 약 1.5 eV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 차이 X는 약 0.1 내지 약 1.3 eV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차이 X는 약 0.6 내지 1.0eV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층(16a)이 마그네슘은으로 만들어지고 층(16b)은 산화주석인듐으로 만들어진 본 실시예에서, 부재(16)의 전체 일의 함수 ΦOIM는 약 3.6eV이다. ELUMO가 약 3.0eV이기 때문에, 차이 X는 약 0.6eV가 된다.
캐소드(18)는 약 500Å의 두께를 갖는 마그네슘은이고, 본 발명에서 반사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소드(18)는 약 250Å 내지 약 20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적당한 도전성 물질 및 두께가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재(16)의 두께 및 물질 및 그 구성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애노드(12),전계발광층(14), 및 캐소드(18)의 물질 및/또는 두께를 고려하는 동작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소자(10)는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앞서의 실시예에서, 애노드(12)는 유리 기판상에 증착되고 그 위에 연속층이 역시 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후에 전체 소자(10)가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실링된다. 소자(10)를 제조하는 다른 적당한 기판 및 수단이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기판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전계발광층(14)이 폴리(n-비닐 카르보잘)인 경우에, 스핀 코팅이 층(14)에 대한 적합한 제조 기술이 될 수 있다.
이제 소자(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다음은 설명을 위한 단순화된 모델이고, 본 동작에 무시할 만한 영향을 주는 소자(10)의 동작중에 발생되는 다른 물리적 현상이 본 설명을 위해 가정되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류원(20)은 '온'이고, 그래서 정공이 애노드(12)를 통해서 전계발광층(14)으로 구동된다. 그다음, 이러한 정공은 전류원(20)으로부터, 캐소드(18) 및 광학간섭부재(16)를 통해 층(14)으로 이동된 전자와 결합한다. 절대값으로 표시된 ELUMO및 ΦOIM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한다는 사실은 소자(10)를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에 대한 배리어를 감소시키고, 그래서 층(14)의 브레이크다운을 방지하거나 금지시킨다. 층(14)내의 정공 및 전자의 재결합은 화살표(Lem)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이 애노드(12)의 정면 또는 외부 표면을 통해서 뷰어쪽으로 방출되게 한다.
동시에, 화살표(Lam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변광은 소자(10)상에 입사되어애노드(12) 및 전계발광층(14)을 통과한다. 반흡수층(16a)상에 입사된 주변광(Lamb)은 부분적으로 반사되고, 부분적으로 흡수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투과된다. 반흡수층(16a)을 통하여 투과된 광은 투명층(16b)을 통과하고, 여기에서 이 투과된 광은 캐소드(18)에 의해 반사되어 투명층(16b)을 역으로 투과통과하며, 이러한 반사되는 지점에서 이러한 반사광은 층(16a)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반사된 광과 180도 반대위상으로 반전되고, 따라서 이러한 두 반사광은 상쇄 간섭하여 실질적으로 서로를 소광시키게 된다. 이러한 두 반사광에서 발견되는 다른 에너지는 반흡수층(16a) 및 캐소드(18)에 의해 흡수되고, 여기에서 그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열로서 방산된다. 결과적으로 뷰어로의 역반사광(Lref)은 감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광(Lref)은 광학간섭부재(16) 없이 조립된 전계발광소자에 비하여 약 90%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여전히 절대값으로 표시된 ELUMO및 ΦOIM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도록 하는 앞서 언급된 수용가능한 파라미터 및 범위내에 있어야 하지만, 광학간섭부재(16)에 대하여 상이한 물질, 두께 및 소광 계수를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소자(10)내의 다른 층에 대하여 적절한 두께 및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반사광(Lref)은 약 99.5%나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수용가능한 범위내에 있는 ELUMO및 ΦOIM사이의 에너지 레벨에서의 더 많은 차이가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또한 소자(10)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내의 전기 효율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당히 수정된 광학간섭부재(16)가 소자(10)의 다른 층과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일반적으로 10a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재 번호로 표시되었다. 소자(10a)는 전계발광 투과 애노드(12), 애노드(12) 뒤에 배치된 광학간섭부재(16'), 간섭 주재(16') 뒤에 배치된 전계발광층(14), 및 전계발광층(14) 뒤에 배치된 캐소드(18)를 포함한다. 소자(10a)는 소자(10) 및 층(14)을 통하여 일정한 전류를 구동시키기 위해 애노드(12) 및 캐소드(18)를 통하여 전류원(20)에 접속된다.
전계발광 투과 애노드(12)는 산화주석인듐(ITO) 또는 산화아연(ZnO)과 같이 적어도 방출된 전계발광의 일부에 투명한 임의의 도전성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애노드(12)는 약 1500Å의 두께를 갖는 산화주석인듐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계발광 투과 애노드(12)는 상이한 두께, 예를 들어, 약 1000Å 내지 약 3000Å, 또는 약 1200Å 내지 약 2000Å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전계발광층(14)은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 Alq3) 또는 폴리(n-비닐 카르보잘; PVCZ)와 같은 유기 전계발광 물질이며, 여기에서 광의 광자는 전자가 층(14)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lumo")로부터 떨어질 때 방출되고, 여기에서 이 전자들은 층(14)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homo")내의 정공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전계발광층(14)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광을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본 실시예에서, 층(14)은 당업자가 이러한 층의 적절한 다른 두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약 1000Å의 두께를 갖는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의 전기적 특성에 정통한 사람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EHOMO)는 약 5.4 eV인데, 이것은 또한 층(14)의 표면으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또는 층(14)의 일의 함수로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약 3.0eV인데, 이것은 ELUMO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의 EHOMO와 ELUMO사이의 차이는 약 2.4eV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유기 물질이 선택될 수 있어서(즉, 물질을 선택하거나 불순물로 물질을 변형시킴으로써) EHOMO와 ELUMO사이의 차이가 가시광선의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약 1.5eV 내지 약 3.0eV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간섭부재(16')는 산화주석인듐(ITO)로 만들어지고 약 745Å의 두께를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도전층(16c)을 포함한다. 산화아연(ZnO) 또는 적당한 유기 물질과 같은 다른 적당한 물질이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층(16c)의 산화주석인듐은 550nm의 광 파장에서 1/4파장 스택으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산화주석인듐의 화학량론을 제어함으로써) 수정되고 층(16c)을 통하는 투과율이 약 8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필요한대로 다른 파장이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간섭부재(16')는 일의 함수 ΦOIM로서 측정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정공은 전류원(20)으로부터 애노드(12) 및 광학간섭부재(16')를 통해서 전계발광층(14)로 흐르고, 이 전계발광층(14)에서 정공은 전류원(20)으로부터 캐소드(18)를 통하여 전계발광층(14)으로 흐르는 전자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전계발광층(14)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용이하게 끌어내기 위하여, 부재(16')를 위한 물질은 절대값으로 표시된 EHOMO및 ΦOIM사이의 차이 Y가 제로에 접근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표현은 다음과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절대값으로 표시된 EHOMO및 ΦOIM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도록 차이 Y는 약 0.0 내지 약 1.5 eV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차이(Y)가 약 0.1 내지 1.3 eV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이(Y)가 약 0.4 내지 약 1.0 eV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층(16a)이 마그네슘은으로 만들어지고 층(16b)은 산화주석인듐으로 만들어지는 본 실시예에서, 부재(16)의 전체 일의 함수 (ΦOIM)는 약 5.0eV이다. EHOMO가 약 5.4eV이기 때문에, 차이(Y)는 약 0.4eV이다.
캐소드(18)는 약 500Å의 두께를 갖는 마그네슘은이고 본 실시예에서 반사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50Å 내지 약 2000Å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적당한 도전성 물질 및 두께가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재(16')의 두께 및 물질 및 그 구성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애노드(12), 전계발광층(14), 및 캐소드(18)의 물질 및/또는 두께를 고려하는 동작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소자(10a)는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앞서의 실시예에서, 애노드(12)는 유리 기판상에 증착되고 그 위에 연속층 또한 증착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다음, 전체 소자(10a)는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실링된다. 소자(10a)를 제조하는 다른 적당한 기판 및 수단이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기판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전계발광층(14)이 폴리(n-비닐 카르보잘)인 경우에, 스핀 코팅은 층(14)을 위한 적당한 제조 기술일 수 있다.
소자(10a)의 동작을 이제 설명할 것이다. 다음은 설명을 위한 단순화된 모델이고, 동작에 대란 영향을 무시할 수 있도록 소자(10a)의 동작중에 일어나는 다른 물리적 현상이 가정되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류원이 '온'이고, 그래서 정공 또는 양전하는 애노드(12) 및 광학간섭부재(16)를 통해서 전계발광층(14)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양전하는 그 다음에 캐소드(18)를 통해서 전류원(20)으로부터 층(14)으로 이동된 전자와 결합한다. 절대값으로 표시된 EHOMO및ΦOIM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기 때문에, 소자(10a)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대한 배리어는 감소되고, 그래서 층(14)의 브레이크다운을 방지하거나 금지시킨다. 층(14)내의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은 화살표(Lem)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이 애노드(12)의 정면을 통하여 뷰어쪽으로 방출되게 한다.
동시에, 화살표(Lam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변광은 소자(10a)상에 입사되고 애노드(12)를 통하여 통과하여 투명층(16c)상에 입사된다. 층(16c)상에 입사된 주변광(Lamb)의 약 절반이 반사되고, 나머지는 투과된다. 층(16c)을 통하여 투과된 광은 전계발광층(14)의 표면에 대하여 반사되어 층(16c)을 역으로 투과한다. 층(16c)의 1/4 파장 두께로 인하여, 층(14)으로부터 반사된 이러한 광은 층(16c)으로부터 반사된 광과 180도 반대위상으로 반전되고, 그래서 이러한 2개의 반사광은 상쇄 간섭하여 실질적으로 서로 소광시키게 된다. 이러한 2개의 반사광내에서 발견되는 다른 에너지는 층(16c)을 통해 투과된다. 이러한 결과로 소자(10)로부터 뷰어로의 역 반사되는 광(Lref)은 감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광(Lref)은 층(16')이 없는 전계발광소자에 비하여 약 0.5% 내지 약 2%의 범위만큼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구성요소의 특정 조합만이 여기에 설명되었지만, 특징 및 구성요소의 필요한 부분 및/또는 이러한 특징 및 구성요소의 대안적인 조합이 필요한대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소자로부터의 반사율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전계발광소자의 상이한 층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로부터 분리된 다중 광학간섭부재를 제공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16') 및 층(16)은 층(14)의 양측면상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광학간섭부재는 상이한 결과를 얻기 위해 투명층이거나 투명층 및 반흡수층의 조합일 수 있고, 이러한 상이한 종류의 광학간섭부재가 또한 소자 전체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적절하게,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 및/또는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및 광학간섭부재의 일의 함수 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게 함으로써, 반흡수층이 없는 투명층이 유기 전계발광층 및 캐소드 사이에 사용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투명층 및 반흠수층의 조합이 애노드 및 전계발광층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가 유기 전계발광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정면층을 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병렬로 이격된 복수의 애노드를 포함하고 캐소드는 일반적으로 애노드와 수직인 다수의 이격된 캐소드를 포함하는 화소화된 유기 전계발광 컴퓨터 디스플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소자(10)의 사용자에게 상이한 인식가능 패턴을 생성시키도록 애노드 및 캐소드는 특별하기 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패턴화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디스플레이가 특별화되거나 패턴화될 때, 펄싱된 DC와 같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고, 및/또는, 형성된 전하를 감소시키도록 주기적인 역극성 '프레시' 펄스를 더함으로써 개별적인 화소 또는 패턴은 화이어링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장치는 또한 노트북 컴퓨터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처럼, 능동 매트릭스를 갖는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 유기 전계발광소자에서 사용되기 위해 적당하게 수정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그러한 멀티 컬러 및 전 컬러 디바이스는 스택킹된 투명 유기 전계발광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광학간섭부재가 이러한 2개의 스택킹된 층 사이에 있는 경우에, 그 일의 함수 및 애노드에 가장 가까운 전계발광층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레벨 사이의 차이는 제로에 접근해야 하고, 또한 이 일의 함수 및 캐소드에 가장 가까운 전계발광층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레벨 사이의 차이 역시 제로에 접근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한 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학간섭부재의 일의 함수는 주변의 전계발광층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의 평균이어야 한다.
멀티 컬러 및 전 컬러 디바이스는 패턴화된 적-녹-청 유기층을 통해(즉, 인히어런트 컬러 특성을 갖는 물질을 선택하거나 층상의 패턴을 적절하게 도핑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컬러화 기술은 백-이미터(white-emitter) 및 적절한 필터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이 이러한 컬러 디바이스 및 다른 컬러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캐소드 및 전계발광층 사이의 전자 수송 층 및/또는 애노드 및 전계발광층 사이의 정공 수송 층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소자를 위해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광학간섭부재는 수송층 및 전계발광층 사이에 놓일 수 있거나 수송층이 전계발광층 및 광학간섭부재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체 소자를 통하여 전류가 용이하게 흐르게 하기 위하여, 일의 함수 및 전계발광층의 애노드 측 및/또는 캐소드측 각각과 관련된 에너지 레벨 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도록 하는 일의 함수를 여전히 갖게 하기 위해 광학간섭부재가 선택되리라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적절한 수송층이 광학간섭부재내로 포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가 전방 애노드 및 후방 캐소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적어도 정면층이 방출되는 전계발광의 적어도 일부에 투명하기만 하다면, 전방 캐소드 및 후방 애노드를 갖는 소자에 본 발명이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소자로부터의 전체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광학간섭부재를 갖는 새로운 유기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이 광학간섭부재는 디스플레이상에 입사된 주변광의 적어도 일부 상쇄 광학 간섭을 야기하는 두께를 갖도록 선택된다. 또한, 광학간섭부재의 물질은 전계발광층에 대하여 광학간섭부재의 위치 및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전계발광층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 또는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레벨 및 일의 함수 사이의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도록 하는 일의 함수를 갖도록 선택된다. 광학간섭부재용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소자에 향상된 적절한 전류가 흐르게 하고, 그래서 유기 전계발광층의 전기적 브레이크다운등을 감소시켜서 소자의 전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결국, 반흡수층 및 투명층이 광학간섭부재를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실시예에서, 그러한 광학간섭부재를 소자의 후측에서 전극과 접촉하도록 놓게 되면 흡수막에 비하여 적외선 주변광 신호의 반사율을 실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그래서 디스플레이의 가열을 감소시키고 전계발광층의 손상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 및 취지를 벗어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물론 잘 이해할 것이다.
각각의 개별적인 공보,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전체가 참조문헌으로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표시된와 같이, 여기에 언급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 출원의 동일한 전체문헌이 여기에 참조문헌으로 첨부되었다.

Claims (31)

  1. 정면에서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애노드층;
    캐소드층으로서,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면이고 전계발광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소드층;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애노드측과 관련된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 및 캐소드측과 관련된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층;
    상기 뷰어로의 주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간섭부재로서, 상기 광학간섭부재가 상기 애노드측에 있을 때 상기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1 에너지 레벨 및 일의 함수 사이의 제1 차이가 제로에 접금하도록 하고, 상기 광학간섭부재가 상기 캐소드측에 있을 때 상기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2 에너지 레벨 및 상기 일의 함수 사이의 제2 차이가 제로에 접근하도록 하는 상기 일의 함수를 갖는 광학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이는 약 제로eV 내지 약 1.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제1 차이는 약 0.1eV 내지 약 1.3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이는 약 0.4eV 내지 약 1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 레벨은 약 5.4eV이고, 상기 일의 함수는 약 5.0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의 함수 및 상기 제2 에너지 특성 사이의 상기 제1 차이는 약 제로 eV 내지 1.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이는 약 0.1eV내지 약 1.3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이는 약 0.6eV 내지 약 1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 레벨은 약 3.0eV이고 상기 일의 함수는약 3.6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발광층은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발광층은 폴리(n-비닐 카르보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간섭부재는 상기 전계발광층 및 상기 캐소드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간섭부재는 반흡수층 및 투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흡수층은 마그네슘은이고 상기 투명층은 산화주석인듐이며, 상기 광학간섭부재는 3.6eV의 일의 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간섭부재는 상기 애노드 및 상기 전계발광층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간섭부재는 투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산화주석인듐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간섭부재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학간섭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층 및 상기 애노드층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유기 전계발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간섭부재는 2개의 상기 전계발광층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는 패턴화된 유기 전계발광 컴퓨터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는 화소화되고 상기 애노드는 복수의 일반적으로 평행인 애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는 상기 복수의 일반적으로 평행인 애노드의 각각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복수의 캐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는 컬러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층 및 상기 전계발광층 사이에 전자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전계발광층 사이에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솽학 간섭 부재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7. 상기 전계발광소자의 정면의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광학 간섭 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애노드층;
    캐소드층으로서, 애노드층 및 캐소드층중 적어도 하나는 방출된 전계발광의 적어도 일부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소드층;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계발광층의 최상위 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인 제1 에너지 특성 및 상기 전계발광층의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인 제2 에너지 특성을 가즌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층; 및
    상기 2개의 층 사이에 배치되고, 공학 간섭 부재가 상기 애노드 및 상기 전계발광층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제1 에너지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의 함수를 갖고, 상기 광학간섭부재가 상기 캐소드 상기 전계발광층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제2 에너지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의 함수를 가지며, 상기 전계발광소자레 의해 상기 뷰어로의 주변광의 반사율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계발광소자의 스펙트럼 반사율이 수정되게 하는 두께 및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광학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간섭 전계발광소자.
  28. 선택된 스펙트럼에서 광을 배출하는 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애노드층;
    캐소드층으로서,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중 하나는 상기 전계발광층에 의해 방출된 상기 선택된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소드층;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 사이에 있고, 상기 애노드층에 대한 최상위점유 분자 오비탈 및 상기 캐소드층에 대하여 최하위 미점유 분자 오비탈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층; 및
    선택된 일의 함수를 갖고 상기 투명층을 통하여 반사된 주변광을 감소시키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전계발광층 및 상기 애노드층 및 상기 캐소드층중 하나 사이에 있는 광학간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일의 함수 및 각각의 분자 오비탈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레벨 사이의 차이는 제로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9. 상기 전계발광소자의 정면의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애노드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애노드측과 관련된 제1 에너지 특성 및 캐소드측과 관련된 제2 에너지 특성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층을 상기 애노드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뷰어로의 주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에너지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의 함수를 갖는 광학간섭부재를 상기 전계발광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캐소드층을 상기 광학간섭부재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계발광소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전계발광소자의 정면의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노드층을 기판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뷰어로의 주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일의 함수를 갖는 광학간섭부재를 상기 애노드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전계발광층으로부터 전자를 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이고 상기 일의 함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에너지 특성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층을 상기 광학간섭부재상에 배치하는 단계;
    캐소드층을 상기 전계발광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계발광소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뷰어에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있고 상기 애노드에 대하여 제1 에너지 특성 및 상기 캐소드에 대하여 제2 에너지 특성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층으로부터 광을 방출하는 단계;
    상기 전계발광층으로 입사된 주변광을 받는 단계; 및
    선택된 일의 함수를 갖고 상기 전계발광층 및 상기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중 하나 사이에 배치된 광학간섭부재의 입사 표면에서 상기 주변광으로부터 상쇄 간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의 함수 및 각각의 에너지 특성 사이의 차이는 제로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01007A 1999-07-27 2000-07-21 유기 전계발광디바이스 KR100752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61,137 1999-07-27
US09/361,137 US6411019B1 (en) 1999-07-27 1999-07-27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165A true KR20020034165A (ko) 2002-05-08
KR100752716B1 KR100752716B1 (ko) 2007-08-29

Family

ID=2342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007A KR100752716B1 (ko) 1999-07-27 2000-07-21 유기 전계발광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6411019B1 (ko)
EP (2) EP1208611A1 (ko)
JP (1) JP2003505849A (ko)
KR (1) KR100752716B1 (ko)
CN (1) CN1199294C (ko)
AU (1) AU6256500A (ko)
CA (1) CA2378442A1 (ko)
WO (1) WO20010082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381B1 (ko) * 2004-11-29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475B1 (ko) * 2002-12-05 2009-01-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952273B1 (ko) * 2003-03-18 2010-04-12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019B1 (en) * 1999-07-27 2002-06-25 Luxell Technologie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W585895B (en) * 1999-09-02 2004-05-01 Nippon Steel Chemical Co Organic EL material
JP2001279429A (ja) * 2000-03-30 2001-10-10 Idemitsu Kosan Co Ltd 素子用薄膜層の成膜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846437B2 (en) * 2000-11-28 2005-01-25 Astaris, Llc Ammonium polyphosphate solutions containing multi-functional phosphonate corrosion inhibitors
US7288887B2 (en) 2001-03-08 2007-10-30 Lg.Philips Lcd Co. Ltd. Devices with multiple organic-metal mixed layers
US6841932B2 (en) 2001-03-08 2005-01-11 Xerox Corporation Display devices with organic-metal mixed layer
CA2352390A1 (en) * 2001-07-04 2003-01-04 Luxell Technologies Inc. Contrast enhancement apparatus
US20030007736A1 (en) * 2001-07-04 2003-01-09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optical transceiver
US6750609B2 (en) 2001-08-22 2004-06-15 Xerox Corporation OLEDs having light absorbing electrode
US7071613B2 (en) * 2001-10-10 2006-07-04 Lg.Philips Lc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6861810B2 (en) 2001-10-23 2005-03-01 Fpd System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7961682B2 (en) 2002-04-11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between base stations of different protocol revisions in a CDMA system
US7579771B2 (en) 2002-04-23 2009-08-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86496B2 (en) 2002-04-24 2010-08-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3317971A (ja) 2002-04-26 2003-11-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AU2003229422A1 (en) * 2002-05-03 2003-11-17 Luxell Technologies Inc. Contrast enhanced oleds
WO2003094253A2 (en) * 2002-05-03 2003-11-13 Luxell Technologies Inc. Dark layer for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CA2419121A1 (en) * 2002-05-03 2003-11-03 Luxell Technologies, Inc. Dark layer for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CA2422895A1 (en) * 2002-05-06 2003-11-06 Luxell Technologies In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7242140B2 (en) * 2002-05-10 2007-07-10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resin bank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7897979B2 (en) 2002-06-07 2011-03-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372436B2 (en) 2002-06-11 2008-05-13 Luxell Technologies, Inc. OLED display with contrast enhancing interference members
JP4216008B2 (ja) 2002-06-27 2009-0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ならびに前記発光装置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ゴーグル型ディスプレイ、カーナビゲーショ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dvdプレーヤー、電子遊技機器、または携帯情報端末
US7045955B2 (en) * 2002-08-09 2006-05-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4186101B2 (ja) * 2002-09-04 2008-11-2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4371297B2 (ja) * 2002-10-02 2009-11-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
JP4580160B2 (ja) * 2002-10-08 2010-11-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JP3944906B2 (ja) * 2002-11-1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CA2411683A1 (en) * 2002-11-13 2004-05-13 Luxell Technologies Inc. Oled with contrast enhancement features
KR100879474B1 (ko) * 2002-12-05 2009-01-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6936960B2 (en) * 2003-01-10 2005-08-30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s having improved contrast
WO2004095507A2 (en) * 2003-04-23 2004-11-04 Zheng-Hong Lu Light-emitting devices with an embedded charge injection electrode
US20040256978A1 (en) * 2003-05-27 2004-12-23 Gang Yu Array comprising organic electronic devices with a black lattice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7045954B2 (en) * 2003-06-17 2006-05-16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ith reduction of ambient-light-reflection by disposing a multilayer structure over a semi-transparent cathode
US20050052119A1 (en) * 2003-09-08 2005-03-10 Gang Yu Organic electronic device having low background luminescence
JP4428979B2 (ja) * 2003-09-30 2010-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JP4497881B2 (ja) * 2003-09-30 2010-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パネル
GB0401613D0 (en) * 2004-01-26 2004-02-25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WI231723B (en) * 2004-04-16 2005-04-21 Ind Tech Res Inst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8067886B2 (en) 2004-05-25 2011-11-29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omposite optical destructive electrode for high contrast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0579194B1 (ko) * 2004-05-28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EP2271183B1 (en) * 2004-07-23 2015-03-1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and illuminator
US7449830B2 (en) 2004-08-02 2008-11-11 Lg Display Co., Ltd. OLEDs having improved luminance stability
TWI233319B (en) * 2004-08-10 2005-05-21 Ind Tech Res Inst Full-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CA2577342A1 (en) * 2004-08-23 2006-03-02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High performance light-emitting devices
US20060138946A1 (en) * 2004-12-29 2006-06-29 Jian Wang Electrical device with a low reflectivity layer
US7554112B1 (en) 2005-03-10 2009-06-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es for forming and using the same
JP2006260853A (ja) * 2005-03-15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照明装置
US7777407B2 (en) 2005-05-04 2010-08-1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comprising a doped triazine electron transport layer
US8487527B2 (en) 2005-05-04 2013-07-1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CN100369288C (zh) * 2005-05-11 2008-02-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电激发光显示元件
US7943244B2 (en) 2005-05-20 2011-05-17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etal-organic mixed layer anodes
US7728517B2 (en) 2005-05-20 2010-06-01 Lg Display Co., Ltd. Intermediate electrodes for stacked OLEDs
US7811679B2 (en) 2005-05-20 2010-10-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with light absorbing metal nanoparticle layers
US20070138637A1 (en) * 2005-12-19 2007-06-21 Shiva Prakash Electronic device having low background luminescence, a black layer, or any combination thereof
US7687989B2 (en) * 2006-12-01 2010-03-30 Global Oled Technology Llc Emissive displays having improved contrast
JP4757186B2 (ja) * 2006-12-28 2011-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アレイおよび有機発光素子アレイパッケージ
WO2008123833A1 (en) * 2007-04-04 2008-10-1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 light emissive device structur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200919758A (en) * 2007-10-22 2009-05-01 Univ Nat Taiwa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energy-recycling capability
FR2925746B1 (fr) * 2007-12-21 2010-01-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affichage comportant des filtres colores et des elements photoemissifs alignes electroniquement
TWI372575B (en) * 2008-03-04 2012-09-11 Chimei Innolux Corp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GB2460822A (en) * 2008-06-03 2009-12-16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8643000B2 (en) * 2008-11-18 2014-02-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electronic device with low-reflectance electrode
KR101084239B1 (ko) * 2009-12-08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R2962853A1 (fr) * 2010-07-13 2012-01-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et ecran a faible reflectivite.
CN103137882A (zh) * 2011-11-22 2013-06-05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951223B1 (ko) 2012-10-26 2019-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183714A (zh) * 2013-05-22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装置及制备方法、显示屏及其终端
CN104183711A (zh) * 2013-05-22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装置、显示屏及其终端
CN104183720A (zh) * 2013-05-22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装置、显示屏及其终端
CN104183749A (zh) * 2013-05-22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倒置有机电致发光装置、显示屏及其终端
CN104183748A (zh) * 2013-05-22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装置、显示屏及其终端
KR102132464B1 (ko) * 2013-06-07 2020-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0131B1 (ko) 2013-06-17 2020-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4715B1 (ko) 2013-06-18 2020-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0713B1 (ko) 2013-06-25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N107195797B (zh) * 2017-06-28 2019-1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60333C (fi) * 1980-04-24 1981-12-10 Lohja Ab Oy Elektroluminens-aotergivningskomponent
CA1302547C (en) 1988-12-02 1992-06-02 Jerzy A. Dobrowolski Optical interference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ow reflectance
US5049760A (en) * 1990-11-06 1991-09-17 Motorola, Inc. High speed complementary flipflop
US5343050A (en) * 1992-01-07 1994-08-30 Kabushiki Kaisha Toshiba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low barrier height
US5652067A (en) * 1992-09-10 1997-07-29 Toppan Printing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3274527B2 (ja) * 1992-09-22 2002-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発光素子とその基板
US5804919A (en) * 1994-07-20 1998-09-08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Resonant microcavity display
JP3551475B2 (ja) * 1994-06-25 2004-08-04 凸版印刷株式会社 薄膜型el素子
JP3249297B2 (ja) * 1994-07-14 2002-01-21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US5846506A (en) * 1994-10-07 1998-12-08 Degussa Aktiengesellschaft Precipitated silicas
JP2931229B2 (ja) * 1995-02-13 1999-08-09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1997007653A1 (en) * 1995-08-11 1997-0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luminescent lamp using multilayer optical film
JPH09204981A (ja) 1996-01-26 1997-08-05 Nippon Steel Chem Co Ltd 有機el素子
WO1997038452A1 (en) 1996-04-10 1997-10-16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High contrast electroluminescent displays
JPH1079297A (ja) * 1996-07-09 1998-03-24 Sony Corp 電界発光素子
JPH10125469A (ja) 1996-10-24 1998-05-15 Tdk Corp 有機el発光素子
JP3472432B2 (ja) * 1997-03-28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反射防止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el素子
US6667494B1 (en) * 1997-08-19 2003-1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JPH11167373A (ja) * 1997-10-01 1999-06-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6133693A (en) * 1998-07-30 2000-10-17 Alliedsignal Inc. Interconnects and electrodes for high luminance emissive displays
GB9901334D0 (en) 1998-12-08 1999-03-10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splay devices
US6366017B1 (en) * 1999-07-14 2002-04-02 Agilent Technologie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with distributed bragg reflector
US6411019B1 (en) * 1999-07-27 2002-06-25 Luxell Technologie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329571B1 (ko) * 2000-03-27 2002-03-23 김순택 유기 전자 발광소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475B1 (ko) * 2002-12-05 2009-01-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952273B1 (ko) * 2003-03-18 2010-04-12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유기 el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01381B1 (ko) * 2004-11-29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5849A (ja) 2003-02-12
CA2378442A1 (en) 2001-02-01
CN1199294C (zh) 2005-04-27
EP1208611A1 (en) 2002-05-29
WO2001008240A1 (en) 2001-02-01
EP1300891A1 (en) 2003-04-09
AU6256500A (en) 2001-02-13
US6551651B2 (en) 2003-04-22
WO2001008240A9 (en) 2002-08-29
US6411019B1 (en) 2002-06-25
US20030127971A1 (en) 2003-07-10
US20040052931A1 (en) 2004-03-18
US20020039871A1 (en) 2002-04-04
CN1369116A (zh) 2002-09-11
US20020153834A1 (en) 2002-10-24
KR100752716B1 (ko) 2007-08-29
US6784602B2 (en)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716B1 (ko) 유기 전계발광디바이스
JP4951130B2 (ja)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8191B1 (ko) 유전체 캐핑층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들
TWI448195B (zh) 有機電致發光裝置,包括該有機電致發光裝置之顯示裝置及製造有機電致發光裝置之方法
US7432648B2 (en) Microcavity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partially reflective electrodes
JP4769068B2 (ja)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12569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high contrast ratio
KR20010107695A (ko) 유기 발광 소자에서의 주위광 반사율 저하법
KR100454748B1 (ko) 유기el패널 및 이를 위한 필터
US9165984B2 (en) OLEDs for use in NVIS capable devices
WO2003005776A1 (en) El device with enhanced contrast
JP2002260858A (ja)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186101B2 (ja) 有機el表示装置
KR100528916B1 (ko) 배면발광형 전계발광소자
KR100384291B1 (ko) 저 반사율을 가지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JP4990587B2 (ja)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4120B1 (ko) 전계발광소자
JP2001076884A (ja) 有機el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