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401A -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33401A KR20020033401A KR1020010053435A KR20010053435A KR20020033401A KR 20020033401 A KR20020033401 A KR 20020033401A KR 1020010053435 A KR1020010053435 A KR 1020010053435A KR 20010053435 A KR20010053435 A KR 20010053435A KR 20020033401 A KR20020033401 A KR 200200334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crystal panel
- screen
- panel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액정 패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복수의 화면이나 한 화면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폴드식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된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액정 패널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화면 내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화면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하나의 타이밍 콘트롤러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액정 패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복수의 액정 화면이나 한 화면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액정 패널(10), 각각의 게이트 구동신호와 데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액정패널(10)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20) 및 소우스 드라이버(30),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와 소우스 드라이버(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콘트롤러(40) 및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0)는 상기 소우스 드라이버(30) 내에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는 표시화면의 라인별 스캐닝 기능을 행하며, 소우스 드라이버(30)는 표시화면에 화상신호를 보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0)는 외부에서 소정의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와 소우스 드라이버(3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일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는 중소형의 액정 패널 하나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한편, 최근 IT사업의 지속적인 개발기술과 아울러 IMT2000사업의 기대시장에 힘입어 모바일 중소형 디스플레이장치들이 기존의 문자 음성 서비스 이외에도 이메일 서비스나 동화상 서비스까지 지원가능해지면서 웹 환경에서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수용하는 시기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사용환경에 있어서도 대형화 및 다양한 화면구현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를 비롯한 중소형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외형적인 기술흐름은 기존의 기본적인 서비스에서 일부 간단한 부가서비스를 가미하는 조건에서 점점 더 경박단소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경박단소의 저변에는 소비자들의 휴대편리성 요구가 가장 큰 이유가 되었고, 이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소재부품기술과 구동기술의 고도화 및 저소비전력의 개발대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휴대 단말기를 비롯한 중소형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대형화욕구는 포터블한 소형화에 상반되는 요구로서 디스플레이가 대형화가 되게 되면 그에 따른 소재부품과 구동부의 사이즈/볼륨(Size/Volumn)의 증가를 수반하게 되고, 소비전력도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의 유지용량시간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 결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최소한의 액정 화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나타낼 수 없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화면을 갖추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제한을 받는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액정 화면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액정 패널을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액정 화면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얻어지는 다양한 크기의 액정 화면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다양한 화면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시킨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확장 가능한 액정 패널이 접혀진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4개의 액정 패널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4개의 액정 패널과 2개의 제어기가 하나와 같은 형태로 접혀진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2개의 액정 패널이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2개의 액정패널과 제어기가 가로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4개의 액정 패널이 펼쳐지고 하나의 제어기가 펼쳐진 상태의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하나의 제어기가 더 펼쳐진 상태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시킨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액정 패널을 수평방향으로 확장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시킨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액정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확장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병합 및 패널분할의 설명의 위한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111 : 전자기기 몸체 120,121 : 액정 패널 세트
120a-120d,121a,121b,121d : 액정 패널 122,123 : 가이드 레일
130,130a,130b,131 : 제어기 140 : 연결수단
160,170,190 : 힌지 180,180a,180b : 배터리
200a-200d : 게이트 드라이버 300a-300d : 소우스 드라이버
400 : 타이밍 콘트롤러 410 :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
420 : 화면구현정보 입력부 430 :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
500 : 전원부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폴드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중 하나의 액정 패널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몸체와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중 하나의 액정 패널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몸체와 고정되고,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은,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폴드식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게이트 구동신호와 데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각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우스 드라이버와, 시스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액정 패널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화면 내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화면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 중 선택된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되는 액정 패널 내에서의 디스플레이 형태인 화면구현정보가 입력되는 화면구현정보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해당 액정 패널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동되는 액정 패널 내에서 상기 화면구현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화면구현정보에 따른 패널 병합 및 분할과 화면분할 등의 해당 디스플레이가 가능토록 하는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소우스 드라이버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시킨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확장 가능한 액정 패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확장 가능한 액정 패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몸체(110)에,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액정 패널 세트(120)와 이들 액정 패널 세트(120)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기(130)가 갖추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 세트(120)는 여러 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라 도 2에서부터 도 8에 까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들 액정 패널(120a-120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폴드(Fold)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중 하나의 액정 패널(120a)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나 연결축과 같은 축선회 연결수단(140)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몸체(110)와 축선회 할 수 있게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미설명 부호인 (180)은 배터리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액정 패널 세트(120)가 연결수단(140)을 통하여 전자기기의 몸체(11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140)을 중심으로 하여 액정 패널 세트(120)를 들어올린 상태로 하여 사용할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120a-120d)은 힌지(160,170)를 통하여 서로 접고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 힌지(160,17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액정 패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즉 큰 화면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 세트(120)를 전자기기의 몸체(110)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에서 개개의 액정 패널(120a-120d)을 펼쳐 이들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기(130)도 여러 개의 제어기가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될 수 있으며, 도 4에서 도 8까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어기(130a,130b)가 서로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었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제어기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제어기(130a,130b)중의 하나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190)를 통하여 서로 접고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힌지(19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제어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상기의 액정 패널(120a-120d)과 마찬가지로 제어기(130)를 액정 패널(120a,120d)의 개수만큼 펼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상기 제어기(130) 내부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는 하나이며, 제어기(130)가 복수개라는 의미는 그 내부의 메인 콘트롤러는 하나이지만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소정의 키들이 제어기(130a),(130b)로 분산 형성됨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액정 패널 세트(120)와 제어기(130)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로 사용할 수가 있는 바, 이를 도 4에서부터 도 8까지의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우선 도 4는 다수개의 액정 패널과 제어기가 접혀져 하나의 액정 패널과 제어기만을 갖춘 구성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 수가 있는 바, 이러한 상태는 전자기기를 휴대하거나 하나의 액정 패널만으로 충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도 5는 2개의 액정 패널(120a,120b)을 상하로 펼치고, 하나의 제어기(130)만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2개의 액정 패널(120a,120d)을 가로 방향으로 펼치면서 동시에 제어기(130a,130b)도 가로방향을 따라 펼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을 모두 펼치고, 1개의 제어기(130a)만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 모두와 2개의 제어기(130a,130b) 모두를 펼쳐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시킨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슬라이드식으로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 실시 예로, 도 9는 액정 패널이 수평으로 확장되고, 도 10은 액정 패널이 수직으로 확장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몸체(111)에,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액정 패널 세트(121)와 이들 액정 패널 세트(121)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기(131)가 갖추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 패널 세트(121)는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액정 패널(121a)과 액정 패널(121d), 액정 패널(121a)과 액정패널(121b)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22)(123)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질 수 있게 되며, 액정 패널(121a)이 전자기기의 몸체(111)에 고정되거나 또는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131) 내의 소정의 키입력을 통해 상기 액정 패널(121b) 또는 액정 패널(121b)이 가이드 레일(122),(123)을 따라 액정 패널(121a)로부터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액정 패널이 2개인 경우를 예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실시예와 같이 그 이상의 액정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도 구현 가능할 것이나, 상기 실시 예에 비해 그 볼륨에 있어서 제약이 있을 것이다.
도 11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일 실시 예에 적용한 경우의 구성도로, 상기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20a-120d)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200a-200d) 및 소우스 드라이버(300a-300d)가 각각의 액정 패널(120a-120d)에 대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액정 패널(120a-120d)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화면 내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하나의 타이밍 콘트롤러(400) 및 전원부(5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도 11과는 달리 상기 소우스 드라이버(300a-300d)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도시하지 않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콘트롤러로부터의 소정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액정 패널의 구동 형태 즉, 디스플레이 모드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410)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되는 액정 패널 내에서의 디스플레이 형태인 화면구현정보가 입력되는 화면구현정보 입력부(420)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410)의 판별결과에 따라 해당 액정 패널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동되는 액정 패널 내에서 상기 화면구현정보 입력부(420)에 입력된 화면구현정보에 따른 패널 병합 및 분할과 화면분할 등의 해당 디스플레이가 가능토록 하는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액정 패널(120a-120d)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또한 선택된 화면 내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을 모두 사용하고자 제어기(130)의 소정의 키를 통해 해당 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도시하지 않은 휴대 전화기의 메인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41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410)는 입력된 신호를 판별하여 현재 사용자가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을 모두 사용하고자한다는 정보를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로 입력하며, 이를 수신한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각각의 액정 패널(120a-120d)에 전원부(50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액정 패널(120a-120d)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기(130)의 소정의 키를 통해 자신이 사용할 액정 패널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선택된 액정 패널 내에서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선택하기 위해 화면구현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기(130)의 소정의 키를 통해 화면구현정보가 입력되면, 이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 콘트롤러를 통해 화면구현정보 입력부(420)에 입력되며, 화면구현정보 입력부(420)에 입력된 화면구현정보는 상기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입력된 화면구현정보에 맞게 해당 화면이 구현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소우스를 처리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 각각에 서로 다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화면구현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도시하지 않은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서로 다른 화상 데이터 소우스를 화면구현정보에 맞게 각각 처리하여 이를 해당 패널(120a-120d)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일 예로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에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디폴트로 한다고 할 경우, 상기와 같이, 각각의 액정 패널(120a-120d)에 서로 다른화상 데이터 소우스에 의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려면 상기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각각의 액정 패널(120a-120d)에 디스플레이 될 화상 데이터 소우스의 화소정보에서 x축 및 y축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화소 사이의 화소를 제거하여 x축 및 y축 각각에 대하여 1/2의 화소정보만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화상 데이터 소우스가 수신된다는 전제조건에서 구현 가능한 것이다.
만일, 상기에서 액정 패널(120a)에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디폴트로 한다고 하면, 상기와 같이 액정 패널(120a-120d) 각각에 서로 다른 화상 데이터 소우스에 의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경우, 상기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 소우스에 대한 화소 삭제 또는 보간 등의 별도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각각의 화상 데이터 소우스를 해당 액정 패널(120a-120d)에 표시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을 사용하여 각각의 액정 패널(120a-120d)에 대하여 서로 다른 화면을 보던 중 도 4와 같이 하나의 액정 패널(120a)만을 사용하여 하나의 화면을 보고자 해당 신호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410)는 이를 판별하여 사용자가 액정 패널(120a)만을 사용하고자 한다는 정보를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로 입력하며, 이에 따라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전원부(500)를 제어하여 액정 패널(120a)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나머지 액정 패널(120b,120c,120d)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액정 패널(120a)에 하나의 화면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에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를 디폴트로 한다고 할 경우,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도시하지 않은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하나의 화상 데이터 소우스를 화면구현정보에 맞게 x축 및 y축 화소정보 중 1/2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액정 패널(120a)에 완전한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2개의 액정 패널(120a,120d)만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당 키를 입력하면 이는 도시하지 않은 휴대 전화기의 메인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410)에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410)에서 사용자가 액정 패널(120a,120d)만을 사용하기를 원함을 판별하여 해당정보를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에 입력하면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전원부(500)를 제어하여 액정 패널(120a,120d)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12a와 같이 2개의 액정 패널(120a(패널1),120d(패널2))내에서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즉, 하나의 화상 데이터 소우스가 2개의 패널에 연결되어 보내져 패널 병합되도록 해당 키를 입력하면 이는 화면구현정보 입력부(420)를 통해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2개의 액정 패널(120a,120d)에 하나의 화상 데이터 소우스에 의해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x축의 화소정보는 그대로, y축의 화소정보는 1/2로 하여(상기와 같이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에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를 디폴트로 한다고 할 경우) 2개의 액정 패널(120a,120d)에 하나의 완전한 화면이 패널 병합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 경우, 액정 패널(120a,120d)에의 주사는 액정 패널(120a)과 액정 패널(120d)의 각각의 라인을 동시에 주사하거나 또는 액정 패널(120a)의 첫 번째 라인을 주사하고 난 후, 액정 패널(120d)의 첫 번째 라인을 주사하며, 다시 액정 패널(120a)의 두 번째 라인을 주사하고, 액정 패널(120d)의 두 번째 라인을 주사하는 순차주사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2b와 같이 2개의 액정 패널(120a(패널1),120d(패널2))에 각각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즉, 패널 분할 되도록 할 경우에는(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에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를 디폴트로 가정할 경우) 상기 4개의 액정 패널(120a-120d) 각각에 서로 다른 독립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경우와 마찬가지로 x축 및 y축 화소정보 중 1/2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면 되며, 이 경우 주사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동시 주사 또는 순차 주사로 행한다.
상기와 다른 화면구현형태로서 도 13과 같이 하나의 액정 패널 내에서 각기 다른 여러 화면을 보고자 할 경우, 즉, 서로 다른 화상 데이터 소우스를 하나의 패널 내에 일정 부분 나누어 표시하는 화면분할을 원할 경우 해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정 패널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액정 패널 내에서 여러 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나의 액정 패널에만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므로(4개의 액정 패널(120a-120d)에 하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를 디폴트로 가정할 경우) x축 및 y축각각 1/2의 화소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며, 하나의 액정 패널에 복수개(예 :3개)의 서로 다른 화상 데이터 소우스에 의한 화면이 표시되므로 x축은 1/2로 줄어든 화소정보를 다시 분할을 원하는 화면에 맞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430)에서 입력된 화면구현정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소우스를 처리하여 해당 액정 패널 내에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첫째, 다수개의 중소형 액정 패널을 선택적으로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중소형 액정 패널을 사용하여 대형 액정 패널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증대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의 액정 패널 구동을 선택적으로 가져감에 따라 소비전력을 효율화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기존의 타이밍 콘트롤러에 부가적인 이미지 제어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별도의 칩이나 보드가 필요 없이도 다양한 형태의 화면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폴드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중 하나의 액정 패널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몸체와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중 하나의 액정 패널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몸체와 고정되고,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복수개의 액정 패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폴드식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게이트 구동신호와 데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각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우스 드라이버와, 시스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액정 패널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화면 내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화면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 중 선택된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와;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되는 액정 패널 내에서의 디스플레이 형태인 화면구현정보가 입력되는 화면구현정보 입력부와;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판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해당 액정 패널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동되는 액정 패널 내에서 상기 화면구현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화면구현정보에 따른 패널 병합 및 분할과 화면분할 등의 해당 디스플레이가 가능토록 하는 패널 구동/표시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상기 소우스 드라이버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00061682 | 2000-10-19 | ||
KR1020000061682 | 2000-10-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3401A true KR20020033401A (ko) | 2002-05-06 |
Family
ID=1969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3435A KR20020033401A (ko) | 2000-10-19 | 2001-08-31 |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3340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16651A (zh) * | 2019-12-10 | 2020-04-17 |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 车辆、车机设备、可扩展式车机显示屏幕及控制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270U (ja) * | 1991-06-06 | 1993-01-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表示器付電子機器 |
JPH0571954U (ja) * | 1992-03-01 | 1993-09-28 | 光雄 菊地 | 携帯型電子機器 |
KR960015136A (ko) * | 1994-10-25 | 1996-05-22 | 전봉식 | 책모양 책크기의 퍼스널 미니 컴퓨터 |
JPH09311737A (ja) * | 1996-05-24 | 1997-12-02 | Sony Corp | 表示装置 |
JPH1063195A (ja) * | 1996-08-13 | 1998-03-06 | Sony Corp |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9980060033U (ko) * | 1997-03-07 | 1998-11-05 | 명순복 |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구조 |
US6088220A (en) * | 1997-10-02 | 2000-07-11 | Katz; Michael | Pocket computer with full-size keyboard |
KR200233506Y1 (ko) * | 2001-02-28 | 2001-09-28 | 박형순 | 여러 화면을 지원하는 접을 수 있는 모니터 |
-
2001
- 2001-08-31 KR KR1020010053435A patent/KR200200334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270U (ja) * | 1991-06-06 | 1993-01-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表示器付電子機器 |
JPH0571954U (ja) * | 1992-03-01 | 1993-09-28 | 光雄 菊地 | 携帯型電子機器 |
KR960015136A (ko) * | 1994-10-25 | 1996-05-22 | 전봉식 | 책모양 책크기의 퍼스널 미니 컴퓨터 |
JPH09311737A (ja) * | 1996-05-24 | 1997-12-02 | Sony Corp | 表示装置 |
JPH1063195A (ja) * | 1996-08-13 | 1998-03-06 | Sony Corp |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9980060033U (ko) * | 1997-03-07 | 1998-11-05 | 명순복 |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구조 |
US6088220A (en) * | 1997-10-02 | 2000-07-11 | Katz; Michael | Pocket computer with full-size keyboard |
KR200233506Y1 (ko) * | 2001-02-28 | 2001-09-28 | 박형순 | 여러 화면을 지원하는 접을 수 있는 모니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16651A (zh) * | 2019-12-10 | 2020-04-17 |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 车辆、车机设备、可扩展式车机显示屏幕及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40821E1 (en) | Multi-display electronic devices having open and closed configurations | |
JP3659139B2 (ja) | Ram内蔵ドライバ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 |
US7016703B2 (en) |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folded state | |
US7239742B2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 |
US20070139297A1 (en) | Display apparatus | |
JP2002123233A (ja) | 信号線駆動回路、画像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 |
JPH0695621A (ja) | 液晶表示制御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CN209328493U (zh) | 一种基于柔性屏的双屏显示驱动电路及电子产品 | |
JP4751582B2 (ja) | 駆動回路、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これの駆動方法 | |
US9542721B2 (en) | Display control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 |
KR20010002767A (ko) | 디지털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털 액자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 |
US7411567B2 (en) | Display apparatus | |
JP2002312066A (ja) | 着脱自在な増設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用コンピュータ及び増設用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 |
KR20020033401A (ko) | 확장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시스템 | |
JP5556283B2 (ja) | 電子書籍リーダ機能を有する携帯機器 | |
JP2001312228A (ja) | 表示装置、表示方法と表示部内蔵携帯型装置 | |
JP2003023490A (ja) | 携帯端末、携帯端末における情報表示方法 | |
KR100424468B1 (ko) |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 |
JP2002162946A (ja) | 平面表示装置 | |
KR200172840Y1 (ko) | 양면 액정 모니터 | |
JP2003229953A (ja) | 表示コントローラ、電気機器、及び、折り畳み可能な携帯型の電話機 | |
KR100672346B1 (ko) | 폴더형 이동 단말기 | |
KR101479842B1 (ko) | 2단 접이식 구조의 다중 디스플레이형 통신 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 |
CN111429855B (zh) | 视角切换电路及显示装置 | |
JPH10177430A (ja) | 携帯用情報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801 | Dismissal of trial |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422 Effective date: 200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