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413A - 분뇨탱크 - Google Patents

분뇨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413A
KR20020030413A KR1020000061029A KR20000061029A KR20020030413A KR 20020030413 A KR20020030413 A KR 20020030413A KR 1020000061029 A KR1020000061029 A KR 1020000061029A KR 20000061029 A KR20000061029 A KR 20000061029A KR 20020030413 A KR20020030413 A KR 20020030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portion
concrete
concrete bottom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0006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413A/ko
Publication of KR2002003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4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7Corrugated or zig-zag structures; Folded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65D88/08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with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23Special coating or treatment of the in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부의 상면에 금속판의 하단부를 매립 고정시켜서 측벽부를 조립 설치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내압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분뇨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분뇨탱크는 콘크리트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부(10)와,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에 고정되어서 내부공간이 확보되도록 세워지는 측벽부(20)와,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와 측벽부(20) 내면 전체에 방수시이트(31)를 접합하여서 된 내부방수층(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20)는 휨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판(21)을 주소재로하여 그 금속판(21)의 하단부를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의 상부에 매립 고정시켜서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뇨탱크{Tank for Livestock's Excrements}
본발명은 가축들의 분뇨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분뇨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한 구조로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내압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할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분뇨탱크에 관한 것이다.
가축들의 분뇨는 주변이나 하천을 크게 오염시키는 오염원으로 인식되어 있는 바, 이전부터 축산농장에서는 주변이나 하천을 오염시키는 가축들의 분뇨를 저장하여서 귀중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분뇨탱크를 시설하여 왔다.
이와 같은 분뇨탱크는 이미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에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현장콘크리트로서 시공하여서 된 콘크리트 분뇨탱크가 있다.
그러나, 이 콘크리트 분뇨탱크에 있어 그 측벽부를 현장콘크리트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키고, 경화된 측벽부로부터 다시 거푸집을 해체하여야 하는 번거롭고도 까다로운 작업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콘크리트 분뇨탱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여 왔으며, 그 결과 1998년 3월 27일자 특허출원 제10816호로서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을 선출원하여, 2000년 4월 21일자 특허제261764호로서 특허받은 사실이 있다.
이 분뇨탱크는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여 주며 적절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면에 깔려져서 수밀하게 부착되는 방수성 바닥시이트와, 상기 바닥시이트의 테두리 상부에 지지되며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가로부재들이 일정높이마다 세로부재들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외곽틀체부와, 상기 외곽틀체부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바닥시이트에 밀실하게 부착되며 등간격으로 굴곡이 형성된 굴곡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벽부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분뇨탱크에 의하면 외곽틀체부와 굴곡판들을 조립하여서 측벽부를 구성하므로, 번거롭고 까다로운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작업을 생략하여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기초부와 측벽부의 내면이 합성수지 시이트로서 덮여져서 내부식성이 크게 향상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 분뇨탱크에 있어 그 측벽부는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서 만들어진 굴곡판의 하단부를 바닥시이트에 부착하여서 설치하게 되므로,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내압하중을 집중적으로 작용받게 되면 그 측벽부를 이루는 굴곡판이 바닥시이트로부터 들떠서 발생된 틈새로 분뇨가 유출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측벽부의 굴곡판 하단부를 고정시켜서 설치하고자 할 때에 콘크리트 기초부에 앵커볼트들을 일일이 매립하고, 그 앵커볼트로서 다시 체결된 가로부재로서 굴곡판 하단부를 고정시켜서 설치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부의 상면에 금속판의 하단부를 매립 고정시켜서 측벽부를 조립 설치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측벽부가 집중적으로 작용되는 내압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측벽부를 콘크리트 바닥부에 간단히 고정시켜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켜 주는 분뇨탱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의 분뇨탱크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2는 본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분료탱크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크리트 바닥부 20: 측벽부
21: 금속판 22: 보강앵글
23: 파형금속판 23a: 굴곡파형
30: 내부방수층 31: 방수시이트
32: 신축연결띠 40: 덮개부
본발명의 분뇨탱크도 콘크리트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부(10)와,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에 고정되어서 내부공간이 확보되도록 세워지는 측벽부(20)와,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와 측벽부(20) 내면 전체에 방수시이트(31)를 접합하여서 된 내부방수층(30)으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분뇨탱크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측벽부(20)는 휨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판(21)을 주소재로하여 그 금속판(21)의 하단부를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의 상부에 매립 고정시켜서 설치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은 금속판(21) 하단부를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의 상면에 매립 고정시켜서 측벽부(20)를 설치하기 때문에, 내압하중을 집중적으로 작용받는 측벽부(20)의 하단부와 콘크리트 바닥부(10)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서 분뇨가 유출됨을 방지하여 주며, 측벽부(20)를 용이하게 콘크리트 바닥부(10)에 고정시켜서 설치할 수 있게 하여서 불필요한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감축시켜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는 그 단면내에 바닥철근이 매립되는 수평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로 시공하여서, 상기 측벽부(20)를 견실하게 지탱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는 준비된 형틀(미도시) 내에 매립철근을 배근하고 미경화콘크리트를 수평하게 타설 경화시켜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 측벽부(20)는 그 측벽부를 이루는 금속판(21)의 하단부를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의 상부에 매립 고정시켜서 설치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분뇨탱크 내에 채워진 분뇨에 의하여 내압하중을 집중적으로 작용받게 되는 측벽부(20)의 하단부와 콘크리트 바닥부(10)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서 분료가 유출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20)는 원통체의 형상으로서 말아진 금속판(21)의 양단부를 서로 맞댐 용접하여서 내부에 분뇨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20)의 외주면 둘레에는 일정간격마다 보강앵글(22)들을 설치하여서, 상기 측벽부(20)가 작용되는 내압하중을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방수층(30)은 상기 측벽부(20)와 콘크리트 바닥부(10) 내면에 접합되는 방수시이트(31)로서 밀실하게 형성하여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분뇨가 임의로 유출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시이트(31)들이 서로 맞대어지는 접속부위에는 신축연결띠 (32)를 융착시켜서 기밀성을 유지시켜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측벽부(20)의 상부에는 금속판(41)으로서 수평하게 덮여지는 덮개부(40)를 별도로 설치하여서 된다.
도2는 본발명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측벽부(20)는 상하방향으로 굴곡파형(23a)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파형금속판(23)을 주소재로하여서 콘크리트 바닥부(10) 상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측벽부(20)는 굴곡파형(23a)들이 형성된 파형금속판(23)을 주소재로하여서 설치되기 때문에, 작용되는 내압하중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부의 상면에 금속판의 하단부를 매립 고정시켜서 측벽부를 조립 설치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내압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부(10)와,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에 고정되어서 내부공간이 확보되도록 세워지는 측벽부(20)와,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 (10)와 측벽부(20) 내면 전체에 방수시이트(31)를 접합하여서 된 내부방수층(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20)는 휨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판(21)을 주소재로하여 그 금속판(21)의 하단부를 상기 콘크리트 바닥부(10)의 상부에 매립 고정시켜서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20)는 상하방향으로 굴곡파형(23a)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파형금속판(23)을 주소재로하여서 콘크리트 바닥부(10) 상에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탱크.
KR1020000061029A 2000-10-17 2000-10-17 분뇨탱크 KR20020030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029A KR20020030413A (ko) 2000-10-17 2000-10-17 분뇨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029A KR20020030413A (ko) 2000-10-17 2000-10-17 분뇨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413A true KR20020030413A (ko) 2002-04-25

Family

ID=1969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029A KR20020030413A (ko) 2000-10-17 2000-10-17 분뇨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04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06B1 (ko) * 2001-12-14 2004-07-07 김성곤 분뇨 저장 및 발효 탱크
KR200465610Y1 (ko) * 2010-07-26 2013-02-28 갈원홍 분뇨의 배출이 용이한 분뇨 저장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06B1 (ko) * 2001-12-14 2004-07-07 김성곤 분뇨 저장 및 발효 탱크
KR200465610Y1 (ko) * 2010-07-26 2013-02-28 갈원홍 분뇨의 배출이 용이한 분뇨 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12849A (ja) 円筒型貯留タンクとその組立工法
KR100905031B1 (ko)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20020030413A (ko) 분뇨탱크
KR10047210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정화조탱크 구조물 및 상기 정화조탱크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조립세트와 그 시공방법
JP3947622B2 (ja) Pc貯槽の側壁
JP7232661B2 (ja) 構造物、構造物の施工方法
JP2004011130A (ja) ジャケット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76092B1 (ko)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JPH0156219B2 (ko)
KR100274219B1 (ko) 축산분뇨탱크
JPS61155521A (ja) 鋼管杭防食用補強材支持金具付き組立型枠
JP3448753B2 (ja) Pc貯槽の頂部構造
JP2004162455A (ja) 杭頭接合構造
JP3366575B2 (ja) タンクおよびタンクの製造方法
KR100397847B1 (ko) 강관 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JP7169930B2 (ja) 構造物、構造物の施工方法
JP7175792B2 (ja) 構造物、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394435B1 (ko) 대형수조의 설치구조
JPH1135094A (ja) Frpとprc壁体より構成された貯液槽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0324541B2 (ko)
KR20100039606A (ko) 강합성을 이용하여 급속시공이 가능한, 기둥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95180Y1 (ko) 파형강판 구조물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JP3234579B2 (ja) タンクの防水構造
KR200154628Y1 (ko)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