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628Y1 -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628Y1
KR200154628Y1 KR2019970003830U KR19970003830U KR200154628Y1 KR 200154628 Y1 KR200154628 Y1 KR 200154628Y1 KR 2019970003830 U KR2019970003830 U KR 2019970003830U KR 19970003830 U KR19970003830 U KR 19970003830U KR 200154628 Y1 KR200154628 Y1 KR 200154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late
wall
pipe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843U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2019970003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62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4Shaft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고안은 생활하수 또는 빗물을 일단 모아서 하수도관으로 흘러내려 보내기위하여 도로의 주변에 매설되는 맨홀 또는 빗물받이 등의 지중구조물을 합성수지재로 제작한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하수도관과의 접속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밀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의 토압에 견디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개선하기 위하여 ; 그 기술구성을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4개의 벽판(210)들이 상호간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수직통체부(200)와, 상기 수직통체부(200)의 하부에 접합되는 하나의 바닥판(100)과, 상기 수직통체부(200)들의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벽판(210)들은 파형단판(11)의 양면에 파평단판(12a)과 외평단판(12b)의 일체로 용착되어 벽중공부(13)를 가지는 합성수지 중공패널(10)로 제작되고, 상기 벽판(210)들의 필요한 위치에는 뚫려진 관연결구멍(220)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멍(220)에 내면에 상기 벽판(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는 작은 파이프를 끼워서 접합된 소켓관부(230)가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에 하수도관이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결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에 하수도관이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결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에 하수도관이 연결된 상태의 일부절결정면도
제4도는 본고안 합성수지제 구조물의 수직통체부 내측면전체에 걸쳐서 보강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절결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 합성수지제 구조물의 수직통체부 모서리부에 보강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평면상태단면도
제6도는 본고안 합성수지제 구조물의 수직통체부를 이루는 벽판의 모서리구성 예를 나타낸 평면상태발췌단면도
제7도는 본고안 합성수지제 구조물의 바닥판이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전명상태발췌단면도
제8도는 본고안 합성수지제 구조물의 덮개판이 현장콘크리트타설로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상태발췌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공패널 11 : 파형단판
12a : 내평단판 12b : 외평단판
13 : 벽중공부 100 : 바닥판
200 : 수직통체부 210 : 벽판
211 : 벽판카바 220 : 관연결구멍
230 : 소켓관부 233 : 돌출부
240 : 보강대 250 : 모서리덧판
300 : 덮개판 310 : 받침반
319 : 작업구멍 P : 하수도관
B : 수밀벨트 Fo : 외측거푸집
Fi : 내측거푸집
[고안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생활하수 또는 빗물을 일단 모아서 하수도관으로 흘러내려 보내기위하여 도로의 주변에 매설되는 맨홀 또는 빗물받이 등의 지중구조물을 합성수지재로 제작한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도로의 주변에는 각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를 집수하여 배수하는 맨홀 또는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하는 빗물받이 등의 지중구조물이 매설된다.
이러한 지중구조물은 지중에 매설되어서 받게 되는 토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종래의 지중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통례였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제 지중구조물은 중량이 무거워서 매설공사의 수행에 별도의 양중장비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공사비가 지나치게 증대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비교적 중량이 가벼워서 취급이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을 개발하여 왔다.
본 출원인은 최근에 제1도의 도시와 같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4개의 벽판(210)들이 상호간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수직통체부(200)와, 상기 수직통체부(200)의 하부에 접합되는 하나의 바닥판(100)과, 상기 수직통체부(200)들의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판(210)들은 파형단판(11)의 양면에 파평단판(12a)과 외평단판(12b)의 일체로 용착되어 벽중공부(13)를 가지는 합성수지 중공패널(10)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을 개발하여 출원한 사실이 있다.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은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에 주변의 토압을 충분히 감당하면서도 비교적 값싸고 중량이 가벼워서 운송과 취급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지는 나름대로 유용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의 선출원은 첫째 하수도관(P)을 벽판(210)에 뚫려져 형성되는 관연결구멍(220)에 밀실하게 접속시키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두께가 작은 합성수지 중공패널로 제작되는 벽판(210)에 뚫려져서 형성되는 관연결구멍(220)에 콘크리트제 하수도관(P)을 그대로 접속시키는 경우. 관연결구멍(220)자체가 밀실하지 못한 구조를 가지면서 또한 접속면적이 충분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상기의 선출원은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의 토압에 견디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하수도관과의 접속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밀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둘째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의 토압에 견디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개선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고안의 구성)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도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4개의 벽판(210)들이 상호간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수직통체부(200)와, 상기 수직통체부(200)의 하부에 접합되는 하나의 바닥판(100)과, 상기 수직통체부(200)들의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벽판(210)들은 파형단판(11)의 양면에 파평단판(12a)과 외평단판(12b)의 일체로 용착되어 벽중공부(13)를 가지는 합성수지 중공패널(10)로 제작되고, 상기 벽판(210)들의 필요한 위치에는 뚫려지는 관연결구멍(220)을 가진다는 점에서는 본인의 선출원과 그 기술개념이 같은 것이다.
단, 본 고안은 상기 관연결구멍(220)에 내면에 상기 벽판(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는 작은 파이프를 끼워서 접합하여 형성되는 소켓관부(230)를 가진다는 점에서 선출원과는 구분되는 기술구성상의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기술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벽판(210)에서 돌출되는 상기 소켓관부(230)의 내부로 하수도관(P)이 끼워지므로, 하수도관(P)과의 접속면적인 넓어져서 용이한 작업으로도 밀실한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는 본 실시예들도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4개의 벽판(210)들이 상호간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수직통체부(200)와, 상기 수직통체부(200)의 하부에 접합되는 하나의 바닥판(100)과, 상기 수직통체부(200)들의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벽판(210)들은 파형단판(11)의 양면에 파평단판(12a)과 외평단판(12b)의 일체로 용착되어 벽중공부(13)를 가지는 합성수지 중공패널(10)로 제작되고, 상기 벽판(210)들의 필요한 위치에는 뚫려지는 관연결구멍(220)의 내면에 상기 벽판(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는 작은 파이프를 끼워서 접합하여 형성되는 소켓관부(230)를 가진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제3도는 상기 소켓관부(230)의 내부에 하수도관(P)이 끼워져서 접속되는 기술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소켓관부(230)의 돌출부(233)와 하수도관(P)의 외부에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수밀벨트(B)로 체결하여 접속부에서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수직통체부(200)의 내면에는 합성수지재 보강대(240)가 일체로 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수지재 보강대(240)는 수직통체부(200)의 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을 경제적으로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제4도에는 상기 합성수지 보강대(240)가 수직통체부(200)의 내면상부 및 내면하부에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둘려져서 용착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며, 제5도에는 벽판과 벽판(210)이 직각으로 접하는 모서리부에만 용착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는 본 고안에서 합성수지 보강대(240)는 다양한 기술구성으로 수직통체부(200)의 내면에 용착되어서 수직통체부(200)의 주변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수직통체부(200)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4개의 벽판(210)들이 별도의 개체로서 절단가공된 후에 직각으로 접합되어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6도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합성수지제 중공패널(10)을 직각으로 구부려 접어서 수직통체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상기 중공패널의 외평단판(12b)은 모서리부에서 절개되고 그 외부에는 모서리덧판(250)이 일체로 용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바닥판(100)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수직통체부(200)를 형성하는 벽판(210)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제 중공패널(10)로 제작되어 수직통체부(200) 하단부에 일체로 용착되는 기술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수직통체부(200)의 하단부에 일체로 타설되어 형성되는 철근콘크리트의 기술구성을 가질수도 있다.
또, 수직통체부를 구성하는 벽판(210)들의 상단부에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벽판카바(211)가 덮여져서 벽판들의 벽중공부(1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판(300)은 제8도의 도시와 같이, 가운데에 작업구멍(319)이 뚫려지는 받침판(310)을 수직통체부(200)의 상부내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용착되는 보강대(240)에 올려놓고, 그 작업구멍(319)에서 수직하게 위로 연장되는 내측거푸집(Fi)과 지중구조물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외측거푸집(Fo)을 조립하여 철근배근을 완료한 후에 현장타설콘크리트로서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판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소켓관부의 내부로 하수도관이 끼워지므로, 하수도관과의 접속면적이 넓어져서 손쉬운 작업으로도 밀실한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직통체부의 내면에 일체로 용착되는 합성수지재 보강대가 수직통체부의 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을 경제적으로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4개의 벽판(210)들이 상호간에 직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수직통체부(200)와, 상기 수직통체부(200)의 하부에 접합되는 하나의 바닥판(100)과, 상기 수직통체부(200)들의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벽판(210)들은 파형단판(11)의 양면에 파평단판(12a)과 외평단판(12b)의 일체로 용착되어 벽중공부(13)를 가지는 합성수지 중공패널(10)로 제작되고, 상기 벽판(210)들의 필요한 위치에는 뚫려진 관연결구멍(220)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멍(220)에 내면에 상기 벽판(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는 작은 파이프를 끼워서 접합된 소켓관부(2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통체부(200)의 내면상부 및 내면하부에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둘려진 합성수지재 보강대(240)가 일체로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통체부(200) 벽판(210)과 벽판(210)이 직각으로 접하는 모서리부에 합성수지재 보강대(240)가 일체로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통체부(200)는 4개의 벽판(210)들이 별도의 개체로서 절단가공된 후에 직각으로 접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통체부(200)는 하나의 합성수지제 중공패널(10)으로 외평단판(12b)의 모서리부를 절개하여 직각으로 구부려 접고 그 외부에 모서리덧판(250)을 일체로 용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210)들의 상단부에는 벽판들의 벽중공부(1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벽판카바(211)가 덮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0)은 가운데에 작업구멍(319)이 뚫려지는 받침판(310)을 수직통체부(200)의 상부내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용착되는 보강대(240)에 올려놓고, 그 작업구멍(319)에서 수직하게 위로 연장되는 내측거푸집(Fi)과 지중구조물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외측거푸집(Fo)을 조립하여 철근배근을 완료한 후에 현장타설콘크리트로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KR2019970003830U 1997-03-05 1997-03-05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KR200154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830U KR200154628Y1 (ko) 1997-03-05 1997-03-05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830U KR200154628Y1 (ko) 1997-03-05 1997-03-05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843U KR19980059843U (ko) 1998-11-05
KR200154628Y1 true KR200154628Y1 (ko) 1999-08-16

Family

ID=1949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830U KR200154628Y1 (ko) 1997-03-05 1997-03-05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6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358A (ko) * 2001-10-10 2003-04-18 박동수 맨홀 접속부 덮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843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409B1 (ko) 터널용 측벽유공관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측벽유공관 시공방법
KR200154628Y1 (ko)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JP2004504521A (ja) 鋼管杭の頭部とコンクリート基礎との結合の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構造
KR100684666B1 (ko) 조적식 스테인레스 콘크리트 복합 구조를 갖는 저장탱크 및시공방법
JP3795681B2 (ja) 地下貯水槽用の充填部材
KR100209016B1 (ko)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9687B1 (ko) 암거용 어셈블리
KR20030070999A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0140140Y1 (ko) 맨홀
KR0140141Y1 (ko)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KR200177905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102621524B1 (ko) 플렌지가 달린 보조소켓 및 이를 이용한 수조 시공 방법
JP2003020696A (ja) 貯水装置
KR200260045Y1 (ko) 콘크리트 하수 박스 조립식 구조
KR100883798B1 (ko) 집수정
KR100411245B1 (ko) 분뇨저장고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240308Y1 (ko) Frp로 제작된 조립식 맨홀
JPH0341540Y2 (ko)
KR101676995B1 (ko)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KR20060114577A (ko)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JPH044038Y2 (ko)
KR100281308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0201321Y1 (ko) 물탱크의 조립 구조
KR200344166Y1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KR200268564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