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141Y1 -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0141Y1 KR0140141Y1 KR2019960027856U KR19960027856U KR0140141Y1 KR 0140141 Y1 KR0140141 Y1 KR 0140141Y1 KR 2019960027856 U KR2019960027856 U KR 2019960027856U KR 19960027856 U KR19960027856 U KR 19960027856U KR 0140141 Y1 KR0140141 Y1 KR 01401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ynthetic resin
- wall
- cover
- plat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4—Shaft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주변에 매설되어 우천시에 낙하되는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에 관한것으로; 자체의 중량이 가벼워서 운송과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에 주변의 토압을 충분히 감당하여서 그 주변의 토사들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여주기 위하여; 그 기술을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호간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벽판(100a)들과, 상기 벽판(100a)들의 하부를 밀실하게 연결하는 하나의 바닥판(100b)과, 상기 벽판(100a)들의 상단부에 둘려서 덮여지는 금속재의 덮개받침대(200)와, 상기 덮개받침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은 직사각형의 파형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파형단판부(101)와, 그 파형단판부(101)의 양측면에 일체로 용착되며 평평한 면을 가지는 내단판부(102)와 외단판부(103)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 중공판넬(100)로 제작되는 것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 합성수지재 빗물받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의 (a),(b)는 본 고안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의 접합구조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의 접합부가 용융수지로 용접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의 벽판보강구조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의 벽판에 연결관을 받쳐주는 덧댐판이 부착된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공판넬 100a : 벽판
100b : 바닥판 101 : 파형단판부
102 : 내단판부 103 : 외단판부
110 : 절개경사부 120 : 테두리부
130 : 마구리부 140 : 중공부
150 : 연결관공 200 : 덮개받침대
201 : 수평판부 202 : 외측판부
203 : 내측판부 300 : 덮개판
310 : 빗물구멍 400 : 용융수지
500 : 보강재 501 : 너트
502 : 장볼트 600 : 덧댐판
610 : 덧댐구멍 700 : 연결관
A : 접합부
본 고안은 자체의 중량이 가벼워서 운송과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에 주변의 토압을 충분히 감당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주변에는 우천시에 낙하되는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하는 빗물받이가 매설된다.
이러한 빗물받이는 지중에 매설되어서 토압을 받게되므로 토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종래의 빗물받이는 기성콘크리트로 공장에서 제작되어 공사현장으로 운송되어 매설되거나,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통례였다.
그러나, 기성콘크리트 빗물받이는 콘크리트의 비중이 커서 기성제품의 중량이 매우 무거워지므로, 그 매설공사의 수행에 별도의 양중장비 뿐 아니라,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되므로, 전체적인 공사비가 지나치게 증대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현장타설로 제작되는 콘크리트 빗물받이는 현장타설에 필요한 거푸집의 설치와 탈형 및 콘크리트의 양생에 소모되는 시간과 인력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공사비가 지나치게 증대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러한 콘크리트 빗물받이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그 재료를 콘크리트 대신에 합성수지재로 대체시킨 합성수지재 빗물받이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다. 합성수지재가 콘크리트에 비하여 비중이 작기 때문이다.
합성수지재 빗물받이는 콘크리트 빗물받이에 비하여 전체적인 중량이 매우 가벼워서 매설공사의 수행에 별도의 양중장비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종래의 합성수지재 빗물받이는 콘크리트 빗물받이와 그 기술적구성이 동일하였으며, 단지 그 벽체부와 바닥부가 콘크리트 빗물받이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되었다. 이는 합성수지재가 비교적 값이 비싼 소재이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제작되는 종래의 합성수지재 빗물받이는 콘크리트 빗물받이보다 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이 취약하여서, 매설이 완료된 후에 토압을 충분히 견디지 못하고 그 형상이 일그러져서 그 주변의 토사들이 붕괴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의 중량이 가벼워서 운송과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에 주변의 토압을 충분히 감당하여서 그 주변의 토사들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제1도 및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호간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벽판(100a)들과, 상기 벽판(100a)들의 하부를 밀실하게 연결하는 하나의 바닥판(100b)과, 상기 벽판(100a)들의 상단부에 둘려서 덮여지는 금속재의 덮개받침대(200)와, 상기 덮개받침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은 직사각형의 파형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파형단판부(101)와, 그 파형단판부(101)의 양측면에 일체로 용착되며 평평한 면을 가지는 내단판부(102)와 외단판부(103)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 중공판넬(100)로 제작됨을 그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토압을 크게 받는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이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므로, 중량이 가벼워져서 운송과 취급이 간편하여, 별도의 양중장비와 많은 인력이 동원되지 아니하여도 매설공사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공판넬의 형상을 가지므로 합성수지재의 사용량에 비하여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의 두께가 충분히 커져서 토압을 충분히 지탱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은 그대로 구현하면서도 부수적인 기술사상들이 부가되거나 이미 언급된 구성요소들은 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들이다.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그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이 상호 직각되는 방향으로 견고하게 접합되어서 제작된다. 그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을 접합하는 접합구조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 것들중의 하나는 제3도의 (a)에 도시와 같이, 벽판(100a)들은 하나의 길다란 중공판넬의 내단판부(102)와 파형단판부(101)를 소정의 위치마다 45도의 각도로 절개하고 그 절개경사부(110)를 상호 직각방향으로 접어서 일체로 용접하여 접합하여서 제작하고, 바닥판(100b)은 상기 벽판(100a)들의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벽판(100a)들의 내측하단부에 끼운후에, 벽판(100a)들의 테두리부(120)와 바닥판(100b)의 마구리부(130)가 상호 직각되게 맞대어서 용접하여 접합하는 것이다. 이때 바닥판(100b)은 벽판(100a)들의 외부치수에 맞게 절단되어 벽판(100a)들의 하부에 맞닿아 접합될 수도 있다.
다른 하나는 제3도의 (b)에 도시와 같이,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들을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후에, 그 테두리부(120)들과 마구리부(130)들을 상호 직각되게 맞대어서 용접하여 접합하는 것이다.
또, 용접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접합부(A)에 용융수지(400)를 놓고서, 접합부(A)의 상호간을 맞대어서 용융수지(400)가 접합부(A)에 노출되는 중공부(140)에 침투되면서 그 주변의 합성수지를 동시에 용융하여 일체로 접합시키는 용융수지를 이용한 용접방법이 예시되고 있다. 여기에서, 접합부(A)는 절개경사부(110)나, 테두리부(120) 또는 마구리부(130)를 총괄하여 지칭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의 접합구조는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의 상호간을 일체로 용접시킬 뿐아니라, 접합부(A)를 용융수지(400)로서 보강시킴으로써, 접합부(A)를 보강하여서 지중에 매설될 경우,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에 작용하는 토압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준다.
한편, 제5도에는 벽판(100a)들의 내부에 보강재(500)를 소정의 간격마다 관통시켜서 보강시킴으로써, 벽판(100a)들이 토압을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벽판(100a)의 보강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의 보강재(500)는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 양단부가 너트(501)로서 체결되는 장볼트(502)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덮개받침대(200)는 금속재로 제작되며, 제1도 및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벽판(100a)들의 상단부를 수평하게 덮는 수평판부(201)와, 상기 수평판부(201)의 외측에서 직각으로 꺽여져서 상부로 연장되는 외측판부(202)와, 상기 수평판부(201)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꺽여져서 하부로 연장되는 내측판부(203)로 구성된다.
이러한 덮개받침대(200)는 벽판(100a)들의 상단부에 덮여져서 그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판(3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벽판(100a)들에 분산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덮개받침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덮개판(300)은 기성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소정의 위치마다 빗물구멍(310)들이 뚫려진다.
또, 상기 벽판(100a)들중 어느하나에는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연결관(700)이 끼워지는 연결관공(150)이 뚫려지고 그 연결관공(150)이 뚫여지는 연결벽판(100a)에는 상기 연결관공(150)과 상응하는 덧댐구멍(610)이 뚫려지는 덧댐판(600)이 일체로 부착되어서 연결관(700)을 견고하게 받쳐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자체의 중량이 가벼워서 운송과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에 주변의 토압을 충분히 감당하여서 그 주변의 토사들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8)
-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호간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벽판(100a)들과, 상기 벽판(100a)들의 하부를 밀실하게 연결하는 하나의 바닥판(100b)과, 상기 벽판(100a)들의 상단부에 둘려서 덮여지는 금속재의 덮개받침대(200)와, 상기 덮개받침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덮개판(3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은 직사각형의 파형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파형단판부(101)와, 그 파형단판부(101)의 양측면에 일체로 용착되며 평평한 면을 가지는 내단판부(102)와 외단판부(103)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 중공판넬(100)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은 하나의 길다란 중공판넬(100)의 내단판부(102)와 파형단판부(101)를 소정의 위치마다 45도의 각도로 절개하고 그 절개경사부(110)를 상호 직각방향으로 접어서 일체로 용접하여 접합하여서 제작하고, 바닥판(100b)은 상기 벽판(100a)들의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벽판(100a)들의 내측하단부에 끼운후에, 벽판(100a)들의 테두리부(120)와 바닥판(100b)의 마구리부(130)가 상호 직각되게 맞대어서 용접하여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후에, 그 테두리부(120)와 마구리부(130)를 상호 직각되게 맞대어서 용접하여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과 바닥판(100b)은 그 접합부(A)에 용융수지(400)를 놓고서, 접합부(A)의 상호간을 맞대어서 용융수지(400)가 접합부(A)에 노출되는 중공부(140)에 침투되면서 그 주변의 합성수지를 동시에 용융하여 일체로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의 내부에는 보강재(500)를 소정의 간격마다 관통시켜서 보강시킴으로써, 벽판(100a)들이 토압을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0)는 그 양단부가 너트(501)로서 체결되는 장볼트(502)의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100a)들중 어느하나에는 연결관(700)이 끼워지는 연결관공(150)이 뚫려지고 그 연결관공(150)이 뚫여지는 연결벽판(100a)에는 상기 연결관공(150)과 상응하는 덧댐구멍(610)이 뚫려지는 덧댐판(600)이 일체로 부착되어서 연결관(700)을 견고하게 받쳐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받침대(200)는 금속재로 제작되며, 벽판(100a)들의 상단부를 수평하게 덮는 수평판부(201)와, 상기 수평판부(201)의 외측에서 직각으로 꺽여져서 상부로 연장되는 외측판부(202)와, 상기 수평판부(201)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꺽여져서 하부로 연장되는 내측판부(20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7856U KR0140141Y1 (ko) | 1996-09-02 | 1996-09-02 |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7856U KR0140141Y1 (ko) | 1996-09-02 | 1996-09-02 |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4704U KR19980014704U (ko) | 1998-06-25 |
KR0140141Y1 true KR0140141Y1 (ko) | 1999-04-01 |
Family
ID=1946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7856U KR0140141Y1 (ko) | 1996-09-02 | 1996-09-02 |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014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3798B1 (ko) * | 2008-04-04 | 2009-02-19 | 에스에이치공사 | 집수정 |
-
1996
- 1996-09-02 KR KR2019960027856U patent/KR01401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4704U (ko) | 1998-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11158B1 (en) | Footing for support of structure such as building | |
US4459063A (en) | Building construction | |
KR0140141Y1 (ko) | 합성수지재 빗물받이 | |
JP6137394B1 (ja) | 低層建築物及び基礎工事用アンカーホルダー | |
KR101636511B1 (ko) | 건축물용 지하 집수정 | |
KR0140140Y1 (ko) | 맨홀 | |
CN215758512U (zh) | 一种公路桥梁的整体预制式梳齿板伸缩装置 | |
CN216920292U (zh) | 一种预制管桩及其支护结构 | |
US4878329A (en) | Structural panels for walls, floors and roofs having exterior metal layers and an insulating concrete core | |
KR200154628Y1 (ko) | 합성수지제 지중구조물 | |
JPH0473381A (ja) | 自立電柱及びその建柱工法 | |
JP3913311B2 (ja) | 建物の高さ調整方法 | |
KR830001196Y1 (ko) | 조경블록 타설형 형틀 | |
JP3142519B2 (ja) | 建築物の基礎用型枠材 | |
JPS6128833Y2 (ko) | ||
JP3559504B2 (ja) | 陸屋根等へのチャンネル材の取付構造 | |
KR200246052Y1 (ko) | 측구 설치 구조물 | |
JPH0327126Y2 (ko) | ||
JP3782604B2 (ja) | 地下室ユニットを備えるユニット建物用基礎構造 | |
JP3097953B2 (ja) | 合成樹脂製マンホ―ル | |
JPS5918016Y2 (ja) | 大型山形屋根材の接続装置 | |
JPS5853378Y2 (ja) | 大型山形屋根材の接続装置 | |
KR200225650Y1 (ko) | 연약지반용 박스구조물 | |
JP2022142069A (ja) | ビニールハウス | |
KR910004015Y1 (ko) | 조립식 개거수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0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