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995B1 -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995B1
KR101676995B1 KR1020160075733A KR20160075733A KR101676995B1 KR 101676995 B1 KR101676995 B1 KR 101676995B1 KR 1020160075733 A KR1020160075733 A KR 1020160075733A KR 20160075733 A KR20160075733 A KR 20160075733A KR 101676995 B1 KR101676995 B1 KR 101676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ole
fixing member
fix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숙
정지승
Original Assignee
이현숙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숙,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현숙
Priority to KR1020160075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PHC 말뚝을 매립함으로써, 자립식 옹벽을 제공하는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설치하여, 옹벽의 배면에 수압을 감소 및 수압을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한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은 PHC 말뚝,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에서 상부 방향에 수직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스토퍼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PILE MODU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땅을 깎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을 가리킨다. 즉, 배후의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며, 배후의 토압에 대하여 옹벽의 보유내력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의 종류는 무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자중에 의해 안정을 유지하는 중력식 옹벽과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벽체, 뒤판, 앞판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각각 캔틸레버로 작용하는 캔틸레버 옹벽, 캔틸레버 옹벽의 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뒷부벽식 옹벽 및 캔틸레버 옹벽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앞부벽식 옹벽 등이 있다.
전술한, 종래 옹벽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캔틸레버 옹벽의 시공순서를 살펴보면, 옹벽을 시공할 곳에 터파기를 하고 기초면을 정리한다. 기초면이 정리되면 기초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기초 콘크리트가 지내력이 부족할 경우 지반개량 또는 파일을 더 설치하여 보강한다.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바닥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렇게 타설된 콘크리트에 벽체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캔틸레버 옹벽이 완성된다.
한편, 종래의 옹벽에 사용되는 PHC 말뚝 모듈은 등록특허공보 10-1112107와 같이 PHC 말뚝을 감싸는 소정 폭의 원형 띠 형태 강재밴드가 길이(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원형 띠 형태 강재밴드에 연결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종래의 옹벽에서 복수의 원형 띠 형태 강재밴드는 말뚝의 길이 방향에 위치 고정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PHC 말뚝을 매립함으로써, 자립식 옹벽을 제공하는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설치하여, 옹벽의 배면에 수압을 감소 및 수압을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한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은 PHC 말뚝,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에서 상부 방향에 수직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스토퍼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C 말뚝은 상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고정 몸체에는 원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에는 관통하는 다수의 제 3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을 갖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고정 몸체의 외면에 맞닿는 머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은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복수 설치된 상기 말뚝 모듈, 복수 상기 말뚝 모듈 각각에 연결된 스토퍼 및 이웃한 상기 말뚝 모듈의 상기 스토퍼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중의 우수를 상기 배수 패널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시공 방법은 PHC 말뚝을 설치하는 I 단계, 고정 부재를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는 II 단계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스토퍼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III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에서 상부 방향에 수직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C 말뚝은 상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몸체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시공 방법은 PHC 말뚝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고정 부재를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는 제 2 단계, 상기 고정 부재에 스토퍼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제 3 단계,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에 스토퍼를 결합하여 말뚝 모듈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말뚝 모듈을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중에 복수 설치하는 제 5 단계 및 서로 이웃한 상기 말뚝 모듈의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수 패널을 연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중과 상기 배수 패널 사이에 배수부를 설치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은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은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PHC 말뚝을 매립함으로써, 자립식 옹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은 지중의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설치하여, 옹벽의 배면에 수압을 감소 및 수압을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상단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PHC 말뚝을 나타내는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상단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상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PHC 말뚝을 나타내는 상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말뚝 모듈>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은 고정 부재(10), PHC 말뚝(20) 및 스토퍼 연결 부재(30)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10)는 PHC 말뚝(20)의 상단에 고정되는 도넛형 판상의 고정 몸체(11) 및 고정 몸체(11)에서 일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판형의 연장부(12)를 포함한다.
PHC 말뚝(20)은 공지 기술인 PHC 공법으로 제조되며,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빈 중공부가 형성된다. 또한, PHC 말뚝(20)의 상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 1 홀(2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10)의 고정 몸체(11)에는 복수의 제 1 홀(21)에 대응되는 위치 및 직경의 제 2 홀(111)이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홀(21)과 복수의 제 2 홀(111)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B)에 의해, 고정 부재(10)는 PHC 말뚝(20)의 상단에 용이하게 위치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연결 부재(30)는 연결 몸체(31)와 머리부(32)로 구성된다.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는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에 맞닿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에는 제 3 홀(121)이 형성되고,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에는 제 3 홀(121)에 대응되는 위치 및 직경의 제 4 홀(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의 제 3 홀(121)과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의 제 4 홀(311)에는 후술할 스토퍼가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볼트(B)와 너트가 체결되어, 스토퍼가 말뚝 모듈에 결합된다.
또한, 머리부(32)는 연결 몸체(31)에서 상단에서 대략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며, 고정 부재(10)의 고정 몸체(11)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머리부(32)의 일단 측면은 고정 몸체(11)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으며, 머리부(32)와 고정 몸체(11)는 서로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시공 방법>
상술한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말뚝 모듈의 시공 방법은 PHC 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고정 부재를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 및 고정 부재에 스토퍼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PHC 말뚝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공지 기술인 PHC 공법으로 제조되며,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빈 중공부가 형성된 PHC 말뚝(20)을 준비하고, PHC 말뚝(20)을 높이(상부) 방향으로 배치한다.
고정 부재를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상술한 고정 부재(10)의 고정 몸체(11)를 PHC 말뚝(20)의 상면에 안착한 후, 제 1 홀(21)과 제 2 홀(111)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볼트(B)를 삽입하여, PHC 말뚝(20) 상면에 고정 부재(10)를 결합한다.
고정 부재에 스토퍼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의 제 3 홀(121)과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의 제 4 홀(311)이 일치되도록 배치한 후, 제 3 홀(121)과 제 4 홀(311)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볼트(B)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한 후, 머리부(32)와 고정 몸체(11)가 맞닿는 영역을 용접하여, 스토퍼 연결 부재(30)를 고정 부재(10)에 결합한다.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시공 방법>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시공 방법은 말뚝 설치 단계, 굴착 단계, 말뚝 모듈 형성 단계, 스토퍼 고정 단계, 배수부 설치 단계 및 캡 콘크리트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말뚝 설치 단계는 지중(100)에 천공한 후, 가이드 벽체(G)를 설치한 후, PHC 말뚝(20)를 매입하고 고정한다.
이때, 지중(100)에 PHC 말뚝(20)을 매설하는 공법은 중굴압입공법 및 SIP공법, SDA공법, PRD공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굴착 단계, 말뚝 모듈 형성 단계, 스토퍼 고정 단계, 배수부 설치 단계에서는 옹벽을 설치할 전면을 굴착하고, PHC 말뚝(20)에 고정 부재(10) 및 스토퍼 연결 부재(30)를 결합하고, 스토퍼 연결 부재(30)에 스토퍼(3)를 결합한 후, 이웃한 스토퍼(3) 사이에 배수 패널(4)을 끼움 설치한 후, 지중(100)의 우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부를 설치한다.
여기서, 말뚝 모듈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말뚝 모듈의 시공 방법>에 따라 형성되며, 옹벽의 설치 구간에 따라 복수 형성된 PHC 말뚝(20) 각각에 고정 부재(10)를 통해 스토퍼 연결 부재(30)를 결합하여, 복수의 말뚝 모듈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수부의 구성은 후술할 옹벽의 구성에서 함께 설명하고,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도 10을 참조하면, 캡 콘크리트 설치 단계에서는 PHC 말뚝(20)에 형성된 중공을 밀폐하기 위해 PHC 말뚝(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옹벽의 마감을 위해 캡 콘크리트(7)를 설치한다. 이때, 캡 콘크리트(7)는 옹벽(1)의 횡 방향 저항을 확보하여 옹벽을 견고히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캡 콘크리트(7)는 외부에서 제작하여 상부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PHC 말뚝(20) 상부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캡 콘크리트(7)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캡 콘크리트(7) 내부에 철근 등을 배근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후, 배수 패널(4)의 전면에 마감 패널을 설치하여, 옹벽의 외관에 견고함과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옹벽>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1)은 PHC 말뚝(20)을 옹벽(1)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100)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설치한다. 이때, PHC 말뚝(20)은 공지 기술인 PHC 공법으로 제조되며,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빈 중공부가 형성된다. 또한, PHC 말뚝(20)은 원통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매입공법으로 지중(100)으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입공법은 중굴압입공법, SIP공법, SDA공법, PRD공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PHC 말뚝(20)의 상단에는 고정 부재(10)가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10)의 일측에 스토퍼(3)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는 PHC 말뚝(20)의 상단에 고정되는 도넛형 판상의 고정 몸체(11) 및 고정 몸체(11)에서 일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판형의 연장부(12)를 포함한다.
또한, PHC 말뚝(20)의 상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 1 홀(2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10)의 고정 몸체(11)에는 복수의 제 1 홀(21)에 대응되는 위치 및 직경의 제 2 홀(111)이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홀(21)과 복수의 제 2 홀(111)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B)에 의해, 고정 부재(10)는 PHC 말뚝(20)의 상단에 용이하게 위치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연결 부재(30)는 연결 몸체(31)와 머리부(32)로 구성된다.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는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에 맞닿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에는 제 3 홀(121)이 형성되고,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에는 제 3 홀(121)에 대응되는 위치 및 직경의 제 4 홀(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의 제 3 홀(121)과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의 제 4 홀(311)에는 후술할 스토퍼가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볼트(B)와 너트가 체결되어, 스토퍼가 말뚝 모듈에 결합된다.
또한, 머리부(32)는 연결 몸체(31)에서 상단에서 대략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며, 고정 부재(10)의 고정 몸체(11)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머리부(32)의 일단 측면은 고정 몸체(11)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으며, 머리부(32)와 고정 몸체(11)는 서로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스토퍼(3)는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연결 몸체(31)의 좌측, 우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어 연결되며, 스토퍼 연결 부재(30)의 일면에 직접 연결될 수 도 있으며, 고정 부재(10)의 연장부(12)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는 제 3 홀(121)과 제 4 홀(311)을 관통하는 볼트/너트의 결합에 의해 말뚝 모듈에 연결된다.
배수 패널(4)은 판형상을 가지며, 이웃한 스토퍼(3) 사이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볼트/너트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스토퍼(3)에 물리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배수 패널(4)은 대략 하단부에 지중(100)의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는 유공관(5) 및 매립부재(2)를 포함한다.
유공관(5)은 대략 원통형으로,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공관(5)은 친환경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공관(5)은 외주 둘레로 다수의 집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수와 함께 제 매립부재(2) 또는 지중(100)의 토사가 내부로 진입하여 집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공관(5)의 내주면에는 다공성의 부직포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공관(5)은 배수 패널(4)의 배수공(42)에 연통되게 형성된 연통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매립부재(2)는 지중(100)의 굴착면과 배수 패널(4) 사이의 공간에 매립되며, 지중(10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매립 사이 공극이 존재하는 모래 또는 쇄석 골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매립부재(2)를 지중(100)의 굴착면과 배수 패널(4) 사이 공간에 매립하여, 배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중(100)의 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 콘크리트(7)는 PHC 말뚝(20)에 형성된 중공을 밀폐하기 위해 PHC 말뚝(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옹벽(1)의 마감을 한다. 이때, 캡 콘크리트(7)는 옹벽(1)의 횡 방향 저항을 확보하여 옹벽을 견고히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캡 콘크리트(7)는 외부에서 제작하여 상부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PHC 말뚝(20) 상부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캡 콘크리트(7)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캡 콘크리트(7) 내부에 철근 등을 배근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 패널(4)의 전면에 마감 패널을 설치하여, 옹벽의 외관에 견고함과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옹벽 2: 매립부재
3: 스토퍼 4: 배수 패널
5: 유공관 7: 캡 콘크리트
10: 고정 부재 20: PHC 말뚝
30: 스토퍼 연결 부재
100: 지중

Claims (10)

  1. PHC 말뚝;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측면에서 [[상부 방향에 수직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스토퍼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방향은 상기 PHC 말뚝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고,
    상기 PHC 말뚝은 상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고정 몸체에는 원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관통하는 다수의 제 3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을 갖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고정 몸체의 외면에 맞닿는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측면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고정 몸체와 평행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측면은 상기 고정 몸체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머리부의 측면과 상기 고정 몸체의 외주면에 맞닿아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의 말뚝 모듈을 이용한 옹벽에 있어서,
    옹벽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복수 설치된 상기 말뚝 모듈;
    복수 상기 말뚝 모듈 각각에 연결된 스토퍼; 및
    이웃한 상기 말뚝 모듈의 상기 스토퍼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 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의 우수를 상기 배수 패널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7. PHC 말뚝을 설치하는 I 단계;
    고정 부재를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는 II 단계;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스토퍼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III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측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방향은 상기 PHC 말뚝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고,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하고,
    상기 PHC 말뚝은 상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몸체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관통하는 다수의 제 3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을 갖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고정 몸체의 외면에 맞닿는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측면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고정 몸체와 평행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측면은 상기 고정 몸체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제 3 홀 및 상기 제 4 홀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머리부의 측면과 상기 고정 몸체의 외주면이 서로 용접되어 맞닿는 것을 통해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모듈의 시공 방법.
  8. 삭제
  9. PHC 말뚝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고정 부재를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는 제 2 단계;
    상기 고정 부재에 스토퍼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제 3 단계;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에 스토퍼를 결합하여 말뚝 모듈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말뚝 모듈을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중에 복수 설치하는 제 5 단계; 및
    서로 이웃한 상기 말뚝 모듈의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수 패널을 연결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측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방향은 상기 PHC 말뚝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고,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하고,
    상기 PHC 말뚝은 상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몸체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PHC 말뚝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관통하는 다수의 제 3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을 갖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고정 몸체의 외면에 맞닿는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측면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고정 몸체와 평행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측면은 상기 고정 몸체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제 3 홀 및 상기 제 4 홀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머리부의 측면과 상기 고정 몸체의 외주면이 서로 용접되어 맞닿는 것을 통해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스토퍼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과 상기 배수 패널 사이에 배수부를 설치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 방법.
KR1020160075733A 2016-06-17 2016-06-17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KR101676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733A KR101676995B1 (ko) 2016-06-17 2016-06-17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733A KR101676995B1 (ko) 2016-06-17 2016-06-17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995B1 true KR101676995B1 (ko) 2016-11-17

Family

ID=5754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733A KR101676995B1 (ko) 2016-06-17 2016-06-17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9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68B1 (ko) * 2009-05-29 2009-12-17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원심 성형 중공 피씨 기둥 및 이것과 함께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철골 기둥을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20110034255A (ko) * 2009-09-28 2011-04-05 이현숙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101599931B1 (ko) * 2015-03-23 2016-03-04 이상현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68B1 (ko) * 2009-05-29 2009-12-17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원심 성형 중공 피씨 기둥 및 이것과 함께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철골 기둥을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20110034255A (ko) * 2009-09-28 2011-04-05 이현숙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101599931B1 (ko) * 2015-03-23 2016-03-04 이상현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903B1 (en) Casing assembly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s using the casing assembly
KR101112107B1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101571359B1 (ko)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1775844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1469603B1 (ko) 다목적 결속관을 구비한 루프용 강관의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677236B1 (ko) 2중 강판 토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KR101521556B1 (ko)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KR101676995B1 (ko) 말뚝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KR101676997B1 (ko) 캡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KR101182955B1 (ko) 보강리브가 구비된 원통 맨홀
KR101881577B1 (ko) 강재와 콘크리트로 보강된 중공형 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76937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JP4108690B2 (ja) 落石防止柵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2338259B1 (ko) 정화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119651B1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친환경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101978766B1 (ko)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983650B1 (ko)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KR101452185B1 (ko) 강관 콘크리트 복합말뚝과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03767B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어셈블리
KR102559540B1 (ko) 토류벽시스템용 토류벽체
KR20090003572A (ko)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