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59B1 -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359B1
KR101571359B1 KR1020130163324A KR20130163324A KR101571359B1 KR 101571359 B1 KR101571359 B1 KR 101571359B1 KR 1020130163324 A KR1020130163324 A KR 1020130163324A KR 20130163324 A KR20130163324 A KR 20130163324A KR 101571359 B1 KR101571359 B1 KR 10157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lumn
concrete foundation
foundation pile
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432A (ko
Inventor
정경수
최종문
김대근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3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기둥; 상기 강관기둥의 하측에 구비되고,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어 상부의 상기 강관기둥을 지지하는 근입강관; 및,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을 연결하고,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어 지압력을 제공하는 연결링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근입강관의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지압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링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은 내부가 중공된 원형강관 또는 사각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에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과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전단홀이 구비되고, 상기 강관기둥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강관기둥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플레이트는 상기 충전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 사이를 차단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근입강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슬라임이 외부로 누출되도록, 상기 근입강관의 최상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누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홀은, 상기 근입강관의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누출홀의 상단이 상기 연결링플레이트에 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관기둥에서 전달된 하중을 연결링플레이트와 근입강관을 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초파일과 근입강관의 일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CONNECTONG STRUCTURE OF STEEL TUBE AND FOUNDATION PILE}
본 발명은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지지력을 향상시킨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지하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에 흙막이공사를 한 다음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토사를 전부 반출한 뒤 맨 아래층에서부터 구조물을 축조해 올라가는 순타설 공법과, 흙막이를 시공하고 1층 구조물을 축조한 뒤 그 구조물을 흙막이용 버팀대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지반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축조해 내려가는 역타설 공법 또는 탑다운 공법이 있다.
최근, 토지이용의 극대화 차원에서 지하공사가 점차 고심도화되고 있고, 특히 순타설 공법에 의한 시공시에는 흙막이 붕괴의 위험이나 주변건물들의 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발생과 함께 시각적으로도 불안하고 공시기간이 길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있어서 탑다운 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탑다운 공법을 이용하여 건물 시공시에 기초 작업을 위해서 H형강 또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등의 골조용 기둥을 우선 시공한다.
골조용 기둥으로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콘크리트 강관 기둥은 원형 또는 각형의 강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기둥을 의미하며, 이러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Concrete Filled Tube, CFT)을 골조의 주요 구성 부재 중 기둥 부재로 사용하여 고축력에 저항하는 구조를 CFT 기둥 구조라 한다.
이러한 CFT 기둥의 구조는 기둥의 강관이 콘크리트를 구속함으로써 강성, 내력, 변형 등의 구조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내와 및 시공 등 다방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심의 빌딩, 고층복합시설 등과 같은 건축물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된 구멍 내부에 H형강의 플랜지면에 복수 개의 전단스터드(2)가 부착된 기둥(1)을 세우고, 천공구멍(H)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3)을 형성하여 기둥(1)을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H형강은 구조적으로 강축과 약축이 존재하는바,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는 기둥(1)에 H형강을 사용할 경우, 횡력에 저항하는 부재 단면에 강축과 약축이 존재하여 하중 저항의 비대칭성이 발생하여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기둥(1)과 콘크리트 기초파일(3)의 접합시 기둥의 수직도의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단스터드(2)는 기둥(1)과 콘크리트 기초파일(3)과의 일체성의 확보를 통해 전단력에 대한 보강을 위해, 기둥(1)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기초파일(2)의 형성을 위한 천공직경을 크게 해야 하고, 이에 따라 천공 작업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파일기초(3)에 매립되는 기둥(1)의 직경이 작은 강관을 사용해야 하는 제한이 따르고, 이때에는 경제적인 설계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는 전단스터드(2)는 전단력에 대한 보강을 위해 전단스터드(2) 간에 거리의 확보를 위해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되어야 하는바, 천공깊이가 깊어져서 콘크리트 기초파일(3)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시공비용을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파일(3)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을 하는 과정에서 천공된 구멍에는 상당량의 슬라임이 발생될 수 있고, 이렇게 발생되는 슬라임은 천공과정에서 아주 강한 바람과 같은 유체를 이용하여서 배출처리를 수행하지만 지중에 남아 있는 슬라임이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기는 어렵다.
그 결과, 콘크리트 기초파일(3)의 형성을 위한 천공구멍 내부에 슬라임이 여전히 존재할 수 있고, 천공구멍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섞여, 콘크리트 기초파일(3)에 매립되는 기둥(1)의 내부에서 함께 경화될 경우에는 콘크리트 기초파일(3)과 매립되는 기둥(1)의 일체성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초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는 기둥에 돌출 형성되는 전단스터드를 배제하고 전단홀을 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과 근입강관의 일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천공직경 및 천공깊이를 감소시켜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대칭축 단면을 가지고 있는 근입강관을 사용함으로써, 약축과 강축이 존재하는 H형강에 비하여 단면특성이 우수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콘크리트 기초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을 하는 과정에서 천공된 구멍에 형성된 공기 또는 슬라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강관기둥; 상기 강관기둥의 하측에 구비되고,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어 상부의 상기 강관기둥을 지지하는 근입강관; 및,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을 연결하고,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어 지압력을 제공하는 연결링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근입강관의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지압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링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은 내부가 중공된 원형강관 또는 사각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에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과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전단홀이 구비되고, 상기 강관기둥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강관기둥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플레이트는 상기 충전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 사이를 차단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근입강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슬라임이 외부로 누출되도록, 상기 근입강관의 최상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누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홀은, 상기 근입강관의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누출홀의 상단이 상기 연결링플레이트에 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매립링플레이트는 상기 근입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근입강관의 둘레방향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보다 깊이 매립되는 매립링플레이트를 상기 근입강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연결링플레이트는 상기 기초파일의 내부에 매립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의 전단스터드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어 지압력을 제공하는 연결링플레이트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강관기둥에서 전달된 하중을 연결링플레이트와 근입강관을 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초파일과 근입강관의 일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근입강관에 형성되는 매립링플레이트와, 복수의 전단홀의 구성을 통하여 강관기둥과 콘크리트기초파일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과 근입강관의 일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천공직경 및 천공깊이를 감소시켜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을 연결하고, 상기 강관기둥 및, 상기 근입강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연결링플레이트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강관기둥과 근입강관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에도 양자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근입강관은 내부가 중공된 원형강관 또는 사각강관으로 구성하여 대칭축 단면을 가지고 있는 근입강관을 사용함으로써, 약축과 강축이 존재하는 H형강에 비하여 단면특성이 우수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근입강관의 최상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누출홀을 통하여, 천공직경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근입강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또는 슬라임을 용이하게 배출시켜 근입강관과 근입강관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링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의 전단스터드가 구비함으로써, 강관기둥과 콘크리트기초파일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과 근입강관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종래의 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근입강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10)는 강관기둥(100), 근입강관(200) 및 연결링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10)는 강관기둥(100)과, 상기 강관기둥(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매립되어 상부의 상기 강관기둥(100)을 지지하는 근입강관(200) 및, 상기 강관기둥(100)과 상기 근입강관(200)을 연결하고, 상기 강관기둥(100) 및, 상기 근입강관(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매립되어 지압력을 제공하는 연결링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기둥(100)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강합성되는 충전강관기둥(100)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근입강관(200)은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매립되어, 상부의 강관기둥(100)의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은 강관기둥(100)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고, 근입강관(200)과 강관기둥(100)의 사이에 연계되어 형성되는 연결링플레이트(300)에 의해 상부의 강관기둥(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근입강관(200)은 강관기둥(100)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과 강관기둥(100)의 직경이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근입강관(200)이 상부의 강관기둥(100)보다 직경이 작은 경우에 근입강관(200)은 강관기둥(100)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때에 비해 근입강관(200)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해야 한다. 이는 근입강관(200)과 콘크리트 기초파일(F)이 접촉하는 접합면적이 작아 단위표면적당 근입강관(200)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또한, 근입강관(200)은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보다 깊이 매립될수록 근입강관(200)의 직경이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의 하부에 직경이 감소되는 단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천공구멍(H)의 깊이가 충분히 확보되어 근입강관(200)에 의해 충분한 지압력이 확보되어 근입강관(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강관기둥(100)을 지지할 수 있는 경우에 하부의 근입강관(200)의 직경을 감소시켜 근입강관(200)의 제작에 사용되는 강재량을 절감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에는 둘레방향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지압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링플레이트(210)가 구비될 수 있다. 매립링플레이트(210)는 강관기둥(100)과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 근입강관(200)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파일(F)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구멍(H)의 천공직경 및 천공깊이를 감소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기둥과 콘크리트 파일기초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10)와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100)과 콘크리트 기초파일(F)의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10)를 천공직경의 면에서 비교해보면, 본 발명이 콘크리트 기초파일(F)의 천공직경 및 천공깊이가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파일(F)보다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매립링플레이트(210)는 근입강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링플레이트(210)는 근입강관(200)의 둘레방향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매립링플레이트(210)는 근입강관(200)의 둘레방향의 외주면만으로 돌출되는 형태와, 내주면으로만 돌출되는 형태, 내주면과 외주면으로 모두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링플레이트(210)는 근입강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보다 깊이 매립되는 매립링플레이트(210)를 근입강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매립링플레이트(210)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력은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매립되는 깊이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근입강관(200)은 내부가 중공된 원형강관 또는 사각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200)에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전단홀(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단홀(200)의 구성을 통하여 강관기둥(100)과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 근입강관(200)의 일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근입강관(200)은 원형강관 또는 사각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원형강관 및 사각강관과 같이 폐합단면을 형성하는 부재는 H형강에 비해 휨응력에 저항하는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이 원형강관으로 구성될 경우, 보강재로 사용된 원형강관이 대칭축 단면을 가지고 있어 약축과 강축이 존재하는 H형강 띠장에 비하여 단면특성이 우수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은 사각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강관과 마찬가지로 사각강관 또한 대칭축 단면을 가지고 있어, H형강에 비하여 단면특성이 유리하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기둥(100)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강합성되는 충전강관기둥(100)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플레이트(300)는 상기 충전강관기둥(100)과 상기 근입강관(200) 사이를 차단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근입강관(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슬라임이 외부로 누출 가능하도록, 상기 근입강관(200)의 최상단부 외주면에는 누출홀(2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의 최상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누출홀(230)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누출홀(230)은 반원형태의 반홀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반원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형태의 누출홀(230)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플레이트(300)는 충전강관기둥(100)과 상기 근입강관(200) 사이를 차단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천공구멍(H)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F)을 형성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함께 근입강관(200) 내부를 통하여 상승하는 공기 및 슬라임은 근입강관(200)의 상부를 밀폐하는 연결링플레이트(300)에 의해 차단되어 슬라임 등이 충전강관기둥(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링플레이트(300)에 의해 상부로의 이동이 차단된 슬라임 등이 근입강관(200)의 상단에 형성된 누출홀(230)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근입강관(200)과 근입강관(200)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연결링플레이트(300)는 충전강관기둥(100)과 상기 근입강관(200) 사이를 차단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로 구비하는 것은 충전강관기둥(100)의 충전시 연결링플레이트(300)가 충전강관기둥(100)의 하부를 밀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플레이트(300)는 상기 기초파일의 내부에 매립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플레이트(3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의 전단스터드(2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b에는 연결링플레이트(300) 상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전단스터드(240)는 실선으로 도시하고, 연결플레이트 하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전단스터드(240)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상측과 하측 중 어느 일측의 전단스터드(240)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단스터드(240)는 콘크리트 기초파일(F)에 매립되어 강관기둥(100)과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 근입강관(200)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강관(200)은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웨브를 포함하는 H 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200)에는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웨브, 상기 하부플랜지의 내면에 접하도록 제공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어 복수의 전단보강판(2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는 근입강관(200)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강관기둥(100)과 연결링플레이트(300)의 구성에 도 7에 도시된 근입강관(200)이 모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근입강관(200)만을 도시하였다.
전단보강판(250)은 근입강관(200)의 상부플랜지, 상기 웨브 및, 상기 하부플랜지의 내면에 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공될 있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전단보강판(250)은 상기 상부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래지의 폭보다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단보강판(250)은 상기 H형강에 수평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플랜지의 폭보다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 근입강관(20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H형강으로 구성되는 근입강관(200)의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F)과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전단홀(220)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기둥 2: 전단스터드
3: 콘크리트 기초파일
10: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100: 강관기둥 200: 근입강관
210: 매립링플레이트 220: 전단홀
230: 누출홀 240: 전단스터드
250: 전단보강판 300: 연결링플레이트
F: 콘크리트 기초파일 H: 천공구멍

Claims (9)

  1. 강관기둥;
    상기 강관기둥의 하측에 구비되고,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어 상부의 상기 강관기둥을 지지하는 근입강관; 및,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을 연결하고,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매립되어 지압력을 제공하는 연결링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근입강관의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지압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링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은 내부가 중공된 원형강관 또는 사각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근입강관에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과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전단홀이 구비되고,
    상기 강관기둥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강관기둥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플레이트는 상기 충전강관기둥과 상기 근입강관 사이를 차단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근입강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슬라임이 외부로 누출되도록, 상기 근입강관의 최상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누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홀은,
    상기 근입강관의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누출홀의 상단이 상기 연결링플레이트에 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링플레이트는 상기 근입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근입강관의 둘레방향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보다 깊이 매립되는 매립링플레이트를 상기 근입강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플레이트는 상기 기초파일의 내부에 매립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의 전단스터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63324A 2013-12-25 2013-12-25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KR10157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324A KR101571359B1 (ko) 2013-12-25 2013-12-25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324A KR101571359B1 (ko) 2013-12-25 2013-12-25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32A KR20150075432A (ko) 2015-07-06
KR101571359B1 true KR101571359B1 (ko) 2015-11-25

Family

ID=5378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324A KR101571359B1 (ko) 2013-12-25 2013-12-25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7026A (zh) * 2018-11-09 2019-03-08 北京智博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支持向量机的桩身完整性类别自动识别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30B1 (ko) 2018-07-02 2019-02-26 정성철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9235776A (zh) * 2018-10-31 2019-01-18 吉林省建苑设计集团有限公司 插入式预制钢管混凝土柱与基础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CN109356021A (zh) * 2018-11-27 2019-02-19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水上临时支墩及其施工方法
KR102312602B1 (ko) * 2020-05-19 2021-10-15 한국전력공사 강관전주 기초부 구조체
KR102639094B1 (ko) * 2022-05-12 2024-02-22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콘 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 강재 기둥 기초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5478558A (zh) * 2022-09-27 2022-12-16 西安荣仕科技有限公司 一种双钢板-混凝土组合筒与基础连接结构
KR102654273B1 (ko) * 2023-05-16 2024-04-03 (주)렉스코 강재기둥과 연결된 ㄱ형 전단보강근을 갖는 강합성 프리캐스트 교각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549A (ja) * 2001-06-14 2002-12-26 Kawasaki Steel Corp 杭基礎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549A (ja) * 2001-06-14 2002-12-26 Kawasaki Steel Corp 杭基礎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7026A (zh) * 2018-11-09 2019-03-08 北京智博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支持向量机的桩身完整性类别自动识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32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359B1 (ko)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JP7194471B2 (ja) 変断面角管を用いた環形囲い堰及び掘削工事仮施設構造物及び施工方法
KR101928054B1 (ko)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JP2013256793A (ja) 地下構造の施工方法及び地下構造
KR101648704B1 (ko) 지중벽체 구조물
CN106437033A (zh) 一种钢管混凝土柱埋入式柱脚
JP6764642B2 (ja) 免震構造及び免震構造物の施工方法
JP2016211215A (ja) 支柱下端部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剛結構造体
KR100849226B1 (ko) ClP에 의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방법
KR20130021952A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KR100662524B1 (ko) 수평 뼈대구조와 이를 이용한 지하 흙막이 버팀 공법
KR101701495B1 (ko) 수직, 수평 보강재를 갖는 각형강관 기둥을 이용한 탑다운공법
KR20200006648A (ko) 토류벽 및 그 시공방법
JP2009270358A (ja) 構造物
CN211621964U (zh) 一种逆作钢管混凝土柱与顺作钢管柱连接节点
KR101297110B1 (ko) 충전 강관
KR101511172B1 (ko) Cft 합성기둥과 rc 와이드 보의 접합부 구조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452185B1 (ko) 강관 콘크리트 복합말뚝과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JP2009068203A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