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577A -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577A
KR20060114577A KR1020050036762A KR20050036762A KR20060114577A KR 20060114577 A KR20060114577 A KR 20060114577A KR 1020050036762 A KR1020050036762 A KR 1020050036762A KR 20050036762 A KR20050036762 A KR 20050036762A KR 20060114577 A KR20060114577 A KR 20060114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wich wall
storage structure
folding
welde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846B1 (ko
Inventor
강동열
하정림
김정환
Original Assignee
하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정림 filed Critical 하정림
Priority to KR102005003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84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2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4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level indicators, detachable tabs or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08Integral flaps for tying above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5Mar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시공이 신속하고 위생적이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스테인레스-콘크리트 복합 단축 시공이 가능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는 벽체와 바닥판 및 상판으로 이루어져 있되, 원통 형상의 내측 피재(120)와; 상기 내측 피재(120)로부터 소정 유격(w)을 유지하게 외부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외측 피재(220)와; 상기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 결합된 복수개의 연결재(410 ∼ 440)와;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연결재(410 ∼ 440)에 고착되게 양생된 철근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심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재(410 ∼ 440)에 의해 상기 심재(320), 상기 내측 피재(120) 및 상기 외측 피재(220)가 합체되어 있다.
저수구조, 스테인레스, 콘크리트, 연결재, 피재, 심재

Description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RESERVOIR STRUCTURE HAVING SANDWICH TYPE WELDINGLESS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립 시스템(LIPP SYSTEM)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지막 단계의 다중접힘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2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3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3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4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4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샌드위치 벽체의 심재 및 피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이 배수지에 적용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30', 30" : 다중접힘부 110 : 바닥판
111, 112 : 연결리브 114 : 상판
120 : 내측 피재 220 : 외측 피재
320 : 심재 400 : 배수지
410 ∼ 440 : 연결재 411 ∼ 441 : 'ㄷ'자형 탄착고정부
본 발명은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심재로서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철근 콘크리트의 내면과 외면을 감싸는 피재에 의해 신속한 시공과 반영구적으로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리 시설 중에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 시설, 배관 시설, 펌프 시설, 정수 처리 시설, 폐수 처리 시설 등이 있으며, 특히 물탱크 시설이나 정수 처리 시설은 물이 오염되지 않게 깨끗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다수의 정수 처리 시설 중 착수정은 수돗물의 원료가 되는 자연상태 그대로의 물인 원수의 유량을 균등하게 조정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약품투입시설은 원수 중 각종 탁질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원수량과 수질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PAC(폴리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소석회, 활성탄 등 약품을 혼화지에 투입하는 시설이다. 혼화지는 원수에 정수약품을 투입하여 교반기로 균일하게 섞어주는 설비이다. 응집지는 혼화지에서 균일하게 섞인 혼탁 물질(탁질)을 가라앉기 쉬운 큰 덩어리로 응결시키고, 침전지는 응집지에서 응결된 큰 덩어리(floc)를 가라앉혀 맑고, 깨끗하게 한다. 여과지는 침전지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 부유물질을 모래, A/C(안트라사이트)로 여과(filtering)시키고,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오존접촉 및 생물활성탄 여과지를 통과시켜 여과지에서 제거되지 않은 물 속의 유해한 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정수지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거친 정수에 염소소독 및 불소투입을 실시한 후 일시 저장하고, 송수펌프시설은 모터펌프로 수돗물을 각 가정과 배수지로 밀어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수지는 수요를 위해 물을 일시적으로 공급대기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압, 누수 등과 같은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곳에 설치되어서 자연압력으로 각 가 정에 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런 배수지는 지하나 건물 내에 설치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대용량의 공간을 갖는 구조물로서, 시공경제상 대부분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왔으며, 그 형태도 6면체를 이룸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재질의 배수지는 구조적 강도나 수밀성 및 경제성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수분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세월이 지나면서 내벽에 물이끼가 끼거나 부식이 되며, 이에 따라서 정수지에서 입수된 깨끗한 물이 각 가정으로 도달되기도 전에 오염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지 내주면을 도장하는 경우에도 수돗물 자체의 소독약제나 배수지 청소 및 살균 시에 사용하는 세척 소독제(예 : CARELAR BIO, CARELAR PLUS) 등에 의해 도료가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이탈되어 수질이 오염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물탱크 조립 구조는 기존에 시공된 콘크리트 재질 물탱크의 내주면에 얇은 스테인리스 패널을 피복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2746호와 제2000-165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단순히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부에 스테인레스 패널을 라이닝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스테인레스 패널이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문제점이 야기됨과 동시에, 패널 자체를 면적 확장 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구를 사용하여 코너 부위와 패널 연접 부위를 연결 및 수밀을 처리하여야 하는 복잡하고도 어려운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으며, 오랜 사용시 콘크리트에서 누수가 발생될 때, 토수, 토압에 의한 누수 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19228호를 통해서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 및 그의 시공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는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진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로서, 중간부위에 복수개의 절곡부위와 고정편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주변끼리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제1, 제2스테인레스패널과; 네 모서리에 홈들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주변끼리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철제패널과; 상기 홈에 대응한 축의 양측 끝단에 제1, 제2지지판을 결합시킨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빔을 포함하되; 상기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상기 가로빔이 상기 제1스테인레스패널의 홈과 상기 철제패널의 홈에 각각 결합된 측벽 패널 거푸집 조립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상기 바닥을 시공하기 위해, 상기 제2스테인레스패널이 콘크리트 양생 전의 바닥 콘크리트에 덮여지고, 상기 패널들과 상기 콘크리트들이 일체형 구조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에서는 모든 패널을 넓이 방향으로 확장시킬 때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많은 용접 부위가 형성되며, 바닥과 벽체의 콘크리트를 일체로 시공하여 시공 기간이 다소 길어지고, 복잡한 단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는 콘크리트 타설시 배수 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양생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복수개의 가로빔들의 양쪽 끝단 각각을 스테인레스 패널과 철제 패널 사이에 용접을 통해 결 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용접 부위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많은 용접 작업자를 요구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는 스테인레스와 철근 보강 콘크리트가 일체형 구조로 되어 보강재가 없는 안전한 구조이나, 거푸집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각종 패널과 가로빔을 결합시켜야 함에 따라 작업이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립 시스템(1)(LIPP SYSTEM)은 독일에서 개발된 탱크 구조로서, 용접 부위가 없으며 비숙련자도 시공 가능하고 완전 배수가 가능하며 내부 보강재가 없는 안전한 구조물로 'KS B 6282'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립 시스템(1)은 자체 구조만으로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구조적 강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접힘부(2)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무용접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랜 시간 사용후, 수밀 유지와 유지 보수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 즉, 일단 누수가 다중접힘부(2)에서 발생하게 되면, 누수된 곳으로부터 사선을 따라 물이 나선 형상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어느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었는지 파악하기가 어렵고, 또한 다중접힘부(2) 자체가 탱크의 아래쪽부터 위쪽까지 모두 나선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누수 부위에 대한 유지 보수가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의 립 시스템(1)은 다중접힘부(2)에서의 나선형상에 따른 누수 문 제, 상대적으로 약한 내구성 문제, 반영구적 사용에 대한 안전성 확보 문제 및 유지 보수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없어서, 대규모 수리 시설인 배수지로서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 시공이 신속하고 위생적이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스테인레스-콘크리트 복합 단축 시공이 가능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재에 고착된 연결재의 양끝단을 내측 피재와 외측 피재에 무용접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와 바닥판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내측 피재와; 상기 내측 피재로부터 소정 유격을 유지하게 외부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외측 피재와; 상기 내측 피재의 다중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피재와 상기 외측 피재의 사이에 결합된 복수개의 연결재와; 상기 내측 피재와 상기 외측 피재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연결재에 고착되게 양생된 철근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심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재에 의해 상기 심재, 상기 내측 피재 및 상기 외측 피재가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지를 설치하기 위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지중에 확보하는 터파기 단계와; 상기 확보한 공간의 지면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지면 고르기 공사단계와; 상기 지면 위에 철근, 매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저부를 완성하는 바닥 콘크리트 기저부 공사단계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바닥판을 고정시키는 바닥판 공사단계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다중격벽 형상으로 원통형의 내측 피재와, 상기 내측 피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원통형의 외측 피재를 배열하고, 복수개의 연결재로 상기 내측 피재를 상기 외측 피재에 결합시키고, 복수개의 연결리브로 상기 내측 피재 및 상기 외측 피재를 상기 바닥판에 결합시키는 샌드위치 벽체 공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지막 단계의 다중접힘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 명에서 사용된 제2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3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3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4연결재의 역할 및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4연결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샌드위치 벽체의 심재 및 피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이 배수지에 적용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는 립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구성적 특징을 더 구비한 본 발명의 제조장치(10)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제조장치(10)는 스테인레스 코일, 선 코팅(pre-coated material) 스테인레스 코일, 기타 철판재 코일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고 그러한 코일을 풀어서 스트립 상태로 배출시키는 릴멤버(11)(reel member)와; 원형을 유지하면서 탱크 형상 유지/구조물 지지/멤버 장착대의 역할을 담당하는 링멤버(12)(ring member)와; 이런 링멤버(12)의 일측 원주에 설치되어서 상기 릴멤버(11)로부터 공급받은 스트립의 상끝단부와 하끝단부에 서로 다른 절곡 형상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파일멤버(13)와; 상기 링멤버(12)의 타측 원주에 설치되어서 상기 프로파일멤버(13)에서 빠져나온 서로 다른 절곡 형상의 끝단부를 합체시켜 다중접힘 부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폴딩멤버(14) 및; 상기 폴딩멤버(14)의 스트립 입구부위에 설치되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절곡 형상의 끝단부의 사이에 실링재를 주입함에 따라, 상기 폴딩멤버(14)를 통과하여 완성된 다중접힘부의 모든 내측면에 실링재(예 : 수밀용 실리콘, 에폭시 수지, 겔 상태의 테프론수지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링재)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실링멤버(1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릴멤버(11)로부터 빠져나온 스트립의 상끝단부와 하끝단부는 일자형 단면 형상(a, b)을 갖는다. 그리고, 프로파일멤버(13)에 의해 가공되어 빠져나오는 스트립의 상끝단부와 하끝단부는 앞서 언급한 서로 다른 절곡 형상, 즉 스트립 상끝단부는 아래쪽으로 끝단이 꺾여있고 세워진 'ㄷ'자 단면 절곡 형상(c)을 갖고, 스트립 하끝단부는 좌측으로 끝단이 꺾여 있고 눕혀진 'ㄷ'자 단면 절곡 형상(d)을 갖는다.
이러한 절곡 형상(c, d)을 상끝단부와 하끝단부에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한 스트립은 나선 방향으로 회전한다.
나선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폴딩멤버(14)의 스트립 입구부위 전방에는 상단 스트립(31)과 하단 스트립(32)이 높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적층 배치된다.
상단 스트립(31)의 하단 끝단부와 하단 스트립(32)의 상단 끝단부는 폴딩멤버(14)의 스트립 입구부위 전방 위치에서 작업자에 의해 교합되어서, 도면부호 'e'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된다.
여기서, 하단 스트립(32)의 상끝단부에 해당하는 절곡 형상(c)이 상단 스트립(31)의 하끝단부에 해당하는 절곡 형상(d)의 내측 공간에 교합된다.
이런 상황 하에서, 실링멤버(15)는 앞서 언급한 실링재를 절곡 형상(c, d)의 사이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그리고, 실링재가 도포되어 있고 상호 교합된 스트립의 절곡 형상(e)은 상기 폴딩멤버(14)의 1차 내지 5차 폴딩디바이스를 각각 통과하면서, 도면부호 'f', 'g', 'h', 'i', 'j'로 표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변화된다.
결국 최종 단계(도면부호 'j' 참조)에서 상단 스트립(31)과 하단 스트립(32)은 다중접힘부(30)를 통해서 무용접 결합부위를 갖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장치(10)에 의해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나선 튜브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의 기본형 피재(20)가 완성된다.
기본형 피재(20)가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에서 콘크리트의 내측면(내원주면)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경우 '내측 피재(120)'(도 4참조)라 호칭되며, 또한, 기본형 피재(20)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한 후 콘크리트의 외측면(내원주면)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경우 '외측 피재(220)(도 4참조)'라 호칭될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접힘부(30)는 상기 언급된 내측 피재 또는 외측 피재에서 탱크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로 존재하되 스트립의 감긴 방향(예 : 나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런 다중접힘부(30)는 상단 스트립(31)의 하끝단부와 하단 스트립(32)의 상 끝단부를 다중 절곡 및 적층하여 복수개의 겹(예 : 5겹)으로 접혀져 있되, 접혀지고 적층된 사이사이에 실링재(50)를 더 개재시켜 수밀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실링재(50)는 상단 스트립(31)과 하단 스트립(32)의 최초 절곡 부위의 연접부위에서 약간 돌출된 부위(51)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접힘부(30)는 무용접 결합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단 스트립(31)과 하단 스트립(32)이 만나는 나선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다중접힘부(30)는 나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측 피재 또는 외측 피재에서 나선형 플랜지의 역할을 하여 구조적 강성 증가에 일조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는 소정 간격(w)(예 : 35㎝)을 유지하되 축심이 상호 일치된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를 갖는다.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는 앞서 언급한 제조장치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며 무용접 형식으로 수 십분에서 한 두시간 내에 모두 완성된다.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설치 방식은 다음과 같다. 외측 피재(220) 완성 후, 별도로 완성된 내측 피재(120)를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외측 피재(220)의 안쪽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간격(w)을 1m 이상으로 유지하는 경우, 내측 피재(120)를 제조장치에 의해 완성한다. 이후, 내측 피재(120)의 외부에 제조장치를 재 설치한다. 이런 경우, 크레인의 인양 없이 바로 외측 피재(220)를 내측 피재(120)의 바깥쪽에서 간격(w)을 유지하면서 제작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에서 바닥판(110)은 원형, 원추형, 주름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바닥판(110)은 외측 피재(220)의 직경에 상응한 직경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여, 각각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연결리브(111, 112)(도 14 참조)에 의해 내측 피재(120)의 하단 원주테두리와 외측 피재(220)의 하단 원주테두리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물빠짐을 양호하게 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배관된 다공성 파이프(300)가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파이프(300)는 그의 일측 끝단이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상부로 표출되도록 배치되며, 그의 타측 끝단이 외측 피재(220)에 복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배수구(310)에 연결되어 있어서, 결국 콘크리트의 양생시에 발생되는 수분을 외측 피재(220)의 바깥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안쪽에 설치된다.
배수구(31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측 피재(220)로부터 배수구에 대응한 직경만큼 원형판재를 도려낸다.
이렇게 도려된 원형판재에 다수개의 통공을 천공하고, 원형판재의 외곽에 파이프연결테두리를 돌출되게 부설한다. 이렇게 제작한 원형판재를 다시 도려낸 곳에 몇 곳만을 점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고정된 배수구(310)에 해당하는 원형판재의 파이프연결테두리에 다공성 파이프(300)의 타측을 연결한 후, 연결지점을 고정링,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는 다공성 파이프(300)의 설치 공간을 제외한 모든 면적에 걸쳐서 철근, 매시(mesh) 등과 같은 통상의 철근 보강재(321)와 레미콘 등의 콘크리트(322)가 바이브레이터와 같은 타설 장비에 의해 기밀하게 충진되어, 결국 철근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심재(320)가 합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심재(320)는 레미콘 등을 이용한 통상의 철근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양성되어 내측 피재(120)의 표면과 외측 피재(220)의 표면에 완전 합체되어서 샌드위치 벽체로서 완성된다.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는 거푸집으로서의 기능과 심재(320)와의 일체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에서 설명할 다양한 타입의 연결재(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타입별로 제1 내지 제4연결재로 호칭되어 있음)에 의해서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연결재의 특징은 용접 회수를 최소로 하거나 아예 용접 없이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를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데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에서는 가로빔의 양쪽 끝단이 스테인레스 패널과 철제 패널의 사이에서 모두 용접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최소 2개소 내지 최대 4개소에서 용접을 요 구하고, 연결 지점도 가로빔 한 개당 양쪽 끝단, 즉 2개의 연결 지점을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제1 내지 제4연결재는 최대 1개소의 용접 부위만을 요구하거나 아예 용접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를 연결하며, 더욱 특징이 있는 부위는 연결재 한 개당 복수개의 연결 지점을 제공하여 용접 회수를 최소화하거나 혹은 아예 용접이 필요 없음과 동시에 여러 연결 지점에서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을 하나하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재(410)는 두 개의 연결지점을 갖되, 그 중 하나는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내측 피재(120)에 결합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용접 등과 같은 고정방식에 의해 외측 피재(2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제1연결재(410)는 바형상의 축(412)의 일측 끝단에 'ㄷ'자형 탄착고정부(411)를 형성하고, 축(412)의 타측 끝단에 고정판(413)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형상의 축(412)은 'ㄷ'자형 탄착고정부(411)와 고정판(413)의 사이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하 경사 방향,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경사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형상의 축(412)은 심재(320)의 콘크리트 양생시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그리고, 바형상의 축(412)과 'ㄷ'자형 탄착고정부(411) 및 고정판(413)은 양 생된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심재(320)의 내부에서 고착된다.
바형상의 축(412)이 심재(320)의 내부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ㄷ'자형 탄착고정부(411)가 끝단이 꺾여 있어서 걸쇠와 같은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바형상의 축(412)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더라도, 'ㄷ'자형 탄착고정부(411)에 의해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에 안정되게 용접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ㄷ'자형 탄착고정부(411)는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의 경사 상부위에 걸치게 형성된 'ㄱ'자 꺾쇠와, 이런 'ㄱ'자 꺾쇠로부터 연장되어 경사 하부위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ㄴ'자 꺾쇠형상을 갖고 있다.
'ㄱ'자 꺾쇠와 'ㄴ'자 꺾쇠의 끝단 사이의 간격은 다중접힘부(30)의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의 기저부(31)의 두께에 상응하게 벌려져 있다.
'ㄷ'자형 탄착고정부(411)는 기저부(3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다중접힘부(30)에 억지결합 방식으로 끼워질 때, 자체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ㄱ'자 꺾쇠와 'ㄴ'자 꺾쇠가 벌려졌다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됨에 따라, 다중접힘부(30)를 감싸게 탄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고정판(413)은 외측 피재(220)의 내주면에 용접, 볼트 등과 같은 통상의 금속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런 경우, 적어도 물과 접촉하는 부위 또는 근처 부위에는 어떠한 용접 부위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샌드위치 벽체를 특징을 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다공성 파이프(300)는 철사(390)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1연결재 (410)를 비롯하여, 하기에 설명할 모든 제2, 제3, 제4연결재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공성 파이프(300)는 철근 콘크리트 양생시에도 변함 없이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도록, 제1연결재(410)를 비롯한 제2, 제3, 제4연결재에서 철사(390) 또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재(410)는 5개의 연결지점을 갖되, 그 중 4개는 각각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내측 피재(120)에 결합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용접 등과 같은 고정방식에 의해 외측 피재(2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제2연결재(420)는 연결 다리가 많은 스파이더 또는 'X'자 형상을 갖는 연결와이어(422)의 4개의 타측 끝단 각각에 앞서 설명한 'ㄷ'자형 탄착고정부(421)를 형성하고, 연결와이어(422)의 겹친 곳에 용접부위(423)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개의 'ㄷ'자형 탄착고정부(421)는 제2연결재(420)로 하여금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에 용접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해준다.
제2연결재(420)의 용접부위(423)는 외측 피재(22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 철근 콘크리트가 양생되며, 그 결과, 바형상의 축(412)과 'ㄷ'자형 탄착고정부(411) 및 고정판(413)은 양생된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심재(320)의 내부에서 고착된다.
제2연결재(420)는 외측 피재(220)의 한 개의 용접부위(423)를 기준으로 4개의 'ㄷ'자형 탄착고정부(421)를 통해 내측 피재(120)와 연결됨에 따라, 용접 횟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파이더 또는 'X'자 형상의 연결와이어(422)의 형 상적 특징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 외측 피재(220)와 내측 피재(120)가 상호 연결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9내지 도 12에 개시된 제3연결재(430)와 제4연결재(440)는 완전한 무용접에 의해 샌드위치 벽체를 형성시킬 수 있는 특징을 본 발명에게 제공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3연결재(430)는 두 개의 연결지점을 갖되, 그 중 하나는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내측 피재(120)에 결합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의 폴딩시에 함께 접힘으로써 합체되는 방식에 의해 외측 피재(2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제3연결재(430)는 바형상의 축(432)의 일측 끝단에 'ㄷ'자형 탄착고정부(431)를 형성하고, 축(432)의 타측 끝단에 상대적으로 매우 얇고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폴딩고정판(433)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연결재(430)의 'ㄷ'자형 탄착고정부(431)는 앞서 제1, 제2연결재에서 설명한 'ㄷ'자형 탄착고정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3연결재(430)의 폴딩고정판(433)은 외측 피재(220)에서 상단 스트립의 하끝단부의 절곡 형상과 하단 스트립의 상끝단부의 절곡 형상 사이에 배치되며, 이후, 제조장치의 폴딩멤버(14)를 통과하면서 상기 절곡 형상에 상응하게 절곡됨에 따라서,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와 합체된다.
이런 제3연결재(430)도 심재(320)에 고착된 상태에서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사이를 무용접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제4연결재(440)는 5개의 연결지점을 갖되, 그 중 4개는 각각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내측 피재(120)에 결합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의 폴딩시에 합께 접힘으로써 합체되는 방식에 의해 외측 피재(2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제4연결재(440)는 스파이더 또는 'X'자 형상의 연결와이어(442)의 4개의 타측 끝단 각각에 앞서 설명한 'ㄷ'자형 탄착고정부(441)를 형성하고, 연결와이어(442)의 겹친 곳(444)에 상기 탄착고정부(44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ㄴ'자 폴딩고정구(443)를 부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개의 'ㄷ'자형 탄착고정부(421)도 앞서 제2연결재에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서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에 탄착 고정된다.
제4연결재(440)의 'ㄴ'자 폴딩고정구(443)의 상단 부위는 용접에 의해 연결와이어(442)의 겹친 곳(444)에 고정되어 있고, 'ㄴ'자 폴딩고정구(443)의 수평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평면적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ㄴ'자 폴딩고정구(443)의 수평 부위는 외측 피재(220)에서 상단 스트립의 하끝단부의 절곡 형상과 하단 스트립의 상끝단부의 절곡 형상 사이에 배치되며, 이후, 제조장치의 폴딩멤버(14)를 통과하면서 상기 절곡 형상에 상응하게 절곡됨에 따라서,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와 합체된다.
이런 제4연결재(430)도 심재(320)에 고착된 상태에서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사이를 무용접 방식으로 역시 연결함과 함께, 다중 지점에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피재 또는 외측 피재의 원자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뿐만 아니라, 선 코팅(pre-coated material) 스테인레스 코일의 스트립도 사용이 가능하다.
선 코팅(pre-coated material) 스테인레스 코일의 스트립은 본 발명에 개시된 다중접힘부(30")로 하여금 클래드 적층 형식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해준다.
이런 경우, 다중접힘부(30")의 내부에 수밀을 위한 별도의 실링재의 도포가 필요 없게되어 신속한 내측 피재 및 외측 피재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는 대용량 물 저장 시설인 지상 또는 지하(지중)의 배수지(400)를 비롯하여 물 저장과 관련된 수리 시설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배수지(400)는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 ① 터파기 공사, ② 지면 고르기 공사, ③ 바닥 콘크리트 기저부 공사, ④ 바닥판 공사, ⑤ 샌드위치 벽체 공사, ⑥ 배관 및 콘크리트 타설 공사, 그리고 ⑦ 상판 및 마무리 공사의 시공 순서로 축조된다.
만일, 본 발명의 배수지(400)가 건물(도시 안됨) 내부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시공 순서 중 터파기 공사가 생략될 것이다.
① 터파기 공사단계
이 공사에서는 착굴기, 발파 등, 일반적인 토목 기술을 사용하여 원하는 면 적과 깊이 만큼 땅을 파서 내려가서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배수지(40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② 지면 고르기 공사단계
여기에서는 흙과 자갈을 적당히 섞어서 배수지(40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지면을 편평하게 형성한다.
③ 바닥 콘크리트 기저부 공사단계
이는 부직포, 지오네트 등과 같은 토목 시트를 지면 위에 깐 후, 거푸집 부설과 함께 철근 및 매시 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바닥 콘크리트 기저부를 완성하는 공사이다.
④ 바닥판 공사단계
여기에서는 콘크리트 기저부의 상부에 스테인레스 판재를 보강프레임과 함께 편평하게 하는 공사로서, 외측 피재(220)의 직경에 상응한 평면적을 갖도록 바닥판(110)을 제작한 후, 앵커를 이용하여 바닥판(110)을 콘크리트 기저부에 고정시킨다.
⑤ 샌드위치 벽체 공사단계
작업자는 바닥판(110)의 상부에서 앞서 설명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내측 피재(120)와, 상기 내측 피재(120)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원통형의 외측 피재(220)를 제조한다. 이후, 작업자는 바닥판(110) 위에 다중격벽 형상으로 내측 피재(120) 및 외측 피재(220)를 배열한다.
이때, 제1연결재와 제2연결재는 내측 피재(120) 및 외측 피재(220)의 완성 후에 탄착 고정 방식과 용접 등에 의해 연결 시공된다. 반면, 제3연결재와 제4연결재는 그의 일측 끝단을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에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결합시키고, 그의 타측을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의 제조시에 함께 접어 합체시켜 연결 시공된다.
또한,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하부 테두리가 바닥판(110)에 연접한 각각의 코너부위에는 연결리브(111, 112)가 면접촉 방식으로 각각 용접되어 있다.
연결리브(111, 112)는 'ㄴ'자 단면을 갖는 앵글이며,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의 원주에 대응한 링형상을 갖는다.
연결리브(111, 112)는 면접촉한 해당 피재(120, 220)와 바닥판(110)의 코너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용접됨에 따라 바닥판(110)과 해당 피재(120, 220)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내측 피재(120)의 내부에는 동일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다중격벽, 내부 사다리 등과 같은 내부 구조물(115)이 더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배관 및 콘크리트 타설 공사단계
이 공사에서는 통상의 배수지에 적합한 입수, 출수, 청소, 월류, 연결에 필요한 각종 배관(113)을 설치하고, 다공성 파이프(300)와 철근 및 매시를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 부설한다. 이때, 작업자는 외측 피재(220)에 앞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배수구(310)를 형성하고, 다공성 파이프(300)를 관통하게 상기 배수구(310)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 재(22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소정 시간동안 양생시켜 철근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심재(320)를 완성한다. 이런 경우, 심재(320)의 내, 외측에는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가 합체된다.
⑦ 상판 및 마무리 공사단계
여기에서는 통상의 다중격벽 물탱크의 상판 구조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저수구조 상부에 상판(114)을 시공한다. 이후, 지상 배수지의 경우, 각종 외장 또는 페인트를 외측 피재(220)의 외표면에 시공하거나, 외부사다리 등을 외측 피재(220)에 고정 및 부설한다. 반면, 지하 배수지(400)의 경우, 흙메우기를 수행하여 지하 배수지(400)를 제외한 상기 터파기 했던 공간을 토사로 충진시키고 주변 청소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에서는 측벽 패널 공사와 같이 수많은 스테인레스패널, 철제패널 등을 용접에 의해 완성할 필요 없이, 단시간에 두 개의 피재를 모두 완성할 수 있어서, 스테인레스-콘크리트 복합 구조물을 단기간에 완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는 용접이 거의 필요 없거나 용접을 아예 하지 않더라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피재들의 사이에 각종 연결재를 부설할 수 있음에 따라, 물과 접촉하는 부위에 용접선이 거의 없는 무용접 배수지로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는 용접이 거의 필요 없거나 전혀 용접할 필요 없는 특유의 결합 방식, 예컨대 탄착 고정 방식과, 스트립의 폴딩시에 합께 접힘으로써 합체되는 방식에 의해, 제1내지 제4연결재를 내측 피재와 외측 피재 사이에 결합하여 공사 기간과 용접 회수를 단축시킬 수 있고, 용접 관련 작업 인력의 사용이 대폭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는 배수구를 외측 피재에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기간이 짧아지고, 물빠짐이 좋아 건실한 콘크리트 양생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벽체와 바닥판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내측 피재(120)와;
    상기 내측 피재(120)로부터 소정 유격(w)을 유지하게 외부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외측 피재(220)와;
    상기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 결합된 복수개의 연결재(410 ∼ 440)와;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연결재(410 ∼ 440)에 고착되게 양생된 철근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심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재(410 ∼ 440)에 의해 상기 심재(320), 상기 내측 피재(120) 및 상기 외측 피재(220)가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접힘부(30)는 상단 스트립(31)의 하끝단부와 하단 스트립(32)의 상끝단부를 다중 절곡 및 적층하여 복수개의 겹으로 접혀져 있되, 접혀지고 적층된 사이사이에 실링재(50)를 더 개재시키되, 상기 실링재(50)는 수밀용 실리콘, 에폭 시 수지, 겔 상태의 테프론수지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410)는 바형상의 축(412)의 일측 끝단에 'ㄷ'자형 탄착고정부(411)를 형성하고, 상기 축(412)의 타측 끝단에 고정판(413)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ㄷ'자형 탄착고정부(411)가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상기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420)는 스파이더 또는 'X'자 형상을 갖는 연결와이어(422)의 4개의 타측 끝단 각각에 'ㄷ'자형 탄착고정부(421)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와이어(422)의 겹친 곳에 용접부위(423)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430)는 바형상의 축(432)의 일측 끝단에 'ㄷ'자형 탄착고정부(431)를 형성하고, 상기 축(432)의 타측 끝단에 상대적으로 매우 얇고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폴딩고정판(433)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ㄷ'자형 탄착고정부(431)가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상기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폴딩고정판(433)이 상기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의 폴딩시에 함께 접힘으로써 상기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에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440)는 스파이더 또는 X자 형상의 연결와이어(442)의 4개의 타측 끝단 각각에 'ㄷ'자형 탄착고정부(441)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와이어(442)의 겹친 곳(444)에 상기 탄착고정부(44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ㄴ'자 폴딩고정구(443)를 부착하고 있되,
    상기 'ㄷ'자형 탄착고정부(441)가 탄착 고정 방식에 의해 상기 내측 피재(120)의 다중접힘부(3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ㄴ'자 폴딩고정구(443)가 상기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의 폴딩시에 함께 접힘으로써 상기 외측 피재(220)의 다중접힘부(30')에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의 사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물빠짐을 양호하게 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배관된 다공성 파이프(300)가 더 부설되어 있고, 상기 다공성 파이프(300)는 철사(390)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재(410 ∼ 44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피재(220)에는 복수개의 다공성 통공을 갖는 복수개의 배수구(310)가 더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피재(120)와 외측 피재(220)의 하부 테두리가 상기 바닥판(110)에 연접한 각각의 코너부위에는 'ㄴ'자 단면으로서 링형상을 갖는 연결리브(111, 112)가 각각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피재(120)와 상기 외측 피재(220)의 원자재는 스테인레스 코일 스트립과, 선 코팅(pre-coated material) 스테인레스 코일의 스트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11. 배수지를 설치하기 위한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지중에 확보하는 터파기 단계와;
    상기 확보한 공간의 지면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지면 고르기 공사단계와;
    상기 지면 위에 철근, 매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저부를 완성하는 바닥 콘크리트 기저부 공사단계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바닥판을 고정시키는 바닥판 공사단계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다중격벽 형상으로 원통형의 내측 피재와, 상기 내측 피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원통형의 외측 피재를 배열하고, 복수개의 연결재로 상기 내측 피재를 상기 외측 피재에 결합시키고, 복수개의 연결리브로 상기 내측 피재 및 상기 외측 피재를 상기 바닥판에 결합시키는 샌드위치 벽체 공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벽체 공사단계 이후에는, 상기 배수지에 적합한 입수, 출수, 청소, 월류, 연결에 필요한 각종 배관을 설치하고, 다공성 파이프와 철근 및 매시를 상기 내측 피재와 상기 외측 피재의 사이에 부설하고, 복수개의 배수구를 상기 외측 피재에 형성한 후, 상기 배수구를 상기 다공성 파이프에 관통하게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상기 내측 피재와 상기 외측 피재의 사이에 타설하여 심재를 완성하고, 상기 내측 피재와 상기 외측 피재가 심재의 내, 외측에 합체되는 배관 및 콘크리트 타설 공사단계를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의 시공방법.
KR1020050036762A 2005-05-02 2005-05-02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63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62A KR100663846B1 (ko) 2005-05-02 2005-05-02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62A KR100663846B1 (ko) 2005-05-02 2005-05-02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289U Division KR200389942Y1 (ko) 2005-05-02 2005-05-02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577A true KR20060114577A (ko) 2006-11-07
KR100663846B1 KR100663846B1 (ko) 2007-01-09

Family

ID=3765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762A KR100663846B1 (ko) 2005-05-02 2005-05-02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8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22B1 (ko) * 2011-03-31 2011-06-28 (주)동일웰텍 상승 수단을 이용하여 겹이음 용접된 물탱크 제조방법 및 그 물탱크, 이 물탱크 제조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보수방법
KR101278988B1 (ko) * 2011-02-17 2013-07-02 주식회사 새움아쿠아텍 나선형 폴딩 장치를 이용한 덮개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88B1 (ko) * 2011-02-17 2013-07-02 주식회사 새움아쿠아텍 나선형 폴딩 장치를 이용한 덮개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1043922B1 (ko) * 2011-03-31 2011-06-28 (주)동일웰텍 상승 수단을 이용하여 겹이음 용접된 물탱크 제조방법 및 그 물탱크, 이 물탱크 제조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846B1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899B1 (ko) 화장실 바닥 방수체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N102767218B (zh) 卫生间沉箱用框架、卫生间沉箱及施工方法
CN86108409A (zh) 用于多层楼房的楼房系统的改进
KR100663846B1 (ko)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89942Y1 (ko) 무용접 샌드위치 벽체를 갖는 저수구조
AT506225B1 (de) Schwimmbecken
KR200414927Y1 (ko) 우수 저류조 제작 구조
KR100521352B1 (ko)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84666B1 (ko) 조적식 스테인레스 콘크리트 복합 구조를 갖는 저장탱크 및시공방법
CN1059726C (zh) 一种楼板与管道间隙防渗漏施工方法及设备
JP5315208B2 (ja) 排水容器
CN104746902A (zh) 一种整体卫浴
KR100559073B1 (ko) 보강 샌드위치 벽체구조를 갖는 정수처리 탱크
KR100810523B1 (ko) 장력식 상판을 구비한 무용접 저수구조물
CN210421374U (zh) 一种混凝土泵管清洗及渣、水分离回收利用系统
CN208347370U (zh) 一种快速安装的大型水池
CN209759116U (zh) 用于反硝化滤池的滤板
KR100600500B1 (ko) 암거 가설용 튜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암거 시공방법
CN204626542U (zh) 一种整体卫浴
KR101181455B1 (ko) 패널 조립형 콘크리트 배수지의 시공방법
KR101215873B1 (ko) 누수 및 부식 방지가 완벽한 빗물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작방법
JP2003239316A (ja) 地下構造物
CN204252266U (zh) 活动废水池
KR200316464Y1 (ko)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배수지
CN204510904U (zh) 一种整体卫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