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759A -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759A
KR20020029759A KR1020027002492A KR20027002492A KR20020029759A KR 20020029759 A KR20020029759 A KR 20020029759A KR 1020027002492 A KR1020027002492 A KR 1020027002492A KR 20027002492 A KR20027002492 A KR 20027002492A KR 20020029759 A KR20020029759 A KR 2002002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haping element
airbag module
receiving device
modul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219B1 (ko
Inventor
구추케데트레프
닐슨한스지.
짐머베우텔베른드유.
Original Assignee
덴턴 마이클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턴 마이클,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덴턴 마이클
Publication of KR2002002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 접혀진 팽창성 에어백(14)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기구(12)와 상기 모듈이 조립되어지는 경우, 상기 수용기구내에 에어백과 함께 배치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여요소(18)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에어백 모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
이러한 종류의 에어백 모듈들은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고, 접혀진 에어백과 함께 차량내에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기를 장착하고 있다.
측방 에어백에서, 이러한 에어백은 차량의 천정과 측벽사이의 천이(transition) 영역에 배치된 긴 에어백 모듈의 구성품이다. 사고 순간, 가스 발생기가 동작된 후, 에어백은 차량의 측벽과 각각의 차량 탑승자사이에서 보호용 에어 쿠션을 형성하도록 커튼과 같은 방식으로 수직 하방으로 전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류의 측방 에어백들은 "측방 커튼"으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특히, 측방 에어백에서 접혀진 에어백 또는 그 접혀진 에어백을 포함하는 모듈 각각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며, 그 이유는 상기 에어백 모듈이 차량 인테리어의 설계에서, 특히 시각적 이유에서 잘 들어 맞아야만 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에어백이 사고시에 사전에 의도된 방식으로 문제없이 잘 전개될 수 있어야만 하는것이다.
본 발명은 접혀진 팽창성 에어백을 갖는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12 수용기구
14 에어백
16 이중벽 영역
17 층
18 형상부여 요소
22 가스 유도 튜브
23 가스 유출 개구부
24 단부영역
26 오목부
28 단부영역
32 파공 이음매, 찢어짐 부분
34 고정유지 장치
본 발명의 목적(과제)은 차량내부에 간단한 방식으로 사전에 의도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에어백의 신뢰성 있는 전개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특히 제조하기 간편하고 그 구조적인 크기도 가능한 한 작게 이루어지는 상기와 같은 종류의 에어백 모듈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접혀진 팽창성 에어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기구와,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여 요소들이 제공되고, 상기 형상부여 요소는 상기 모듈이 조립되는 경우, 상기 수용기구내에 에어백과 함께 배치되어지는 특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백을 위한 수용기구내에 형상부여 요소를 배치하는 것은 에어백 모듈의 구조적인 크기를 거의 증대시킴없이 에어백 모듈에 형상 안정성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형상부여요소의 형태는 상기 에어백 모듈이 각각의 경우에 장착되어지는 차량에 바람직하게 균형을 이룬다. 상기 조립된 에어백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부여 요소의 결과로서 크기적으로 안정되며, 차량내에 아무런 문제없이 정확하게 장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백 모듈의 형상 안정성은 이러한 장착을 현저히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백 모듈의 소형화는 내측으로 뉘어진 형상부여요소를 통하여 이루어져서 그 공간 필요성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에어백 수용기구는 호스 또는 튜브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방 커튼" 형태의 측방에어백의 구성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용기구는 예를들면 실린더 또는 포트 형상의 하우징일 수 있고, 운전자용및 전방 탑승자용 에어백에 연계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종류의 하우징이 예를들면 직물재료의 가요성 벽 영역을 구비한다면, 본 발명을 통하여 형상 안정성이 이에 일치하여 성형된 형상부여요소들이 사용되어지는 이러한 종류의 하우징에도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용기구가 적어도 상기 형상부여요소의 영역에서 이중벽들과 함께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에어백 모듈이 조립되면, 상기 형상부여요소는 상기 수용기구의 2개의 벽들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기구내에 유사하게 배치된 에어백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이중벽 영역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포켓 또는 상기 형상부여요소용 포켓과도 같은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형상부여 요소는 이중벽 및/또는 포켓형 영역내에 간단하게 뉘어지거나 삽입되어질 수 있다. 이점에서, 상기 수용기구내의 형상부여요소의 배치는 상기 수용기구의 제작시에 이미 이루어지거나 또는 에어백 모듈의 조립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직물재료로 이루어진 수용기구내에서, 이중벽 또는 포켓형 영역 각각은 상기 수용기구를 형성하는 재료의 일치하는 박음질을 통하여 상기 수용기구의 제작중에 형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부여요소는 수용기구내에 박음질되어진다. 이를 통하여, 형상 안정성이 그 제조과정중에 상기 수용기구에 부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형상부여 요소는 대략 사각으로 또는 적어도 사각의 기본형상을 갖는 평편 스트립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로서는, 이러한 종류의 적어도 2개의 형상부여요소들이 제공되며, 상기 모듈이 조립될 때 이러한 2개의 형상부여요소들 사이에서 상기 수용기구내에 에어백이 배치되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상기 형상부여요소는 각각의 용도에 요구되어지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직사각형의 형태로 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점에서, 상기 형상부여요소는 원칙적으로 임의의 요구되어지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특히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부여요소는 예를들면 포트 형상의 수용기구 하우징의 가요성 측방벽 영역에 형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기구내에서, 포켓형 또는 이중 벽 영역은 각각의 형상부여요소에 대하여, 이들이 에어백 모듈의 조립도중에 박음질 되거나 또는 삽입되어지도록 제공된다. 조립된 모듈내에서, 상기 2개의 형상부여 요소들은 수용기구내에 접혀진 에어백을 위한유용한 공간을 이루는 평편 측면들이 서로 마주 하는 상태로 상기 수용기구내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적어도 상기 수용기구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거나 또는 수용기구의 단지 일부분을 따라서 연장할 수 있는 형상부여요소의 영역에서, 상기 접혀진 에어백은 형상부여 요소들 사이에서 신뢰성 있게 위치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제작방법이 보호되며, 여기서는 접혀진 팽창성 에어백을 위한 호스형 또는 튜브형 수용기구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중 벽 및/또는 포켓형 영역이 형성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여요소가 이 영역내에 배치된다.
상기 형상부여 요소는 수용기구내에 바람직하게 박음질되며, 상기 형상부여 요소의 박음질은 바람직하게는 수용기구의 제작도중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과, 상세한 설명및 참조도면들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조립이전 상태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분해도,
도 1b는 조립도중의 도 1a의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용 형상부여 요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용 형상부여 요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도 4에 일치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a및 1b의 에어백 모듈은 직물 재료의 호스형 수용기구 12, 평편한 직사각형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2개의 형상부여 요소들 18과, 내부에 가스 유도 튜브 22가 배치된 에어백 14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유도 튜브 22는 에어백 모듈의 미도시된 가스 발생기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서 에어 백 14은 사고시에 가스 유도 튜브 22및 상기 가스 유도 튜브 22내에 형성된 가스 유출 개구부 23들을 통하여 팽창된다. 상기 에어 백 14은 측방 에어백이며, 이는 차량의 천정 프레임 영역내에 배치되고, 사고시에는 가스 발생기의 작동후에 커튼과 같은 방식으로 하방으로 전개한다. 팽창된 상태에서, 에어백 14은 차량의 측벽과 각각의 차량 탑승자들 사이에서 매트와 같은 보호용 쿠션을 형성한다. 상기 에어백 14은 "천정 레일 에어백" 또는 "측방 커튼"으로도 불리워진다.
또한, 수용기구 12에는 도 1a및 1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파공이음매(tear-open seam) 또는 찢어짐 부분이 제공되며, 이는 수용기구 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사고시에 수용기구 12는 전개하는 에어 백 14을 통하여 상기 파공이음매 또는 찢어짐 부분에서 찢어지게 되어 에어백이 상기 수용 기구 12로 부터 나와서 완전하게 전개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기구 12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거나 사출될 수 있다. 그리고,수용기구 12로서 수축 필림(shrinking film)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호스형 또는 튜브형 구조체가 제작되어질 수 있는 어떠한 재료라도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가능하다. 박음질 되어질 수 있는 재료들이 상기 수용기구 12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기구 12에는 스트립과 같은 형상부여요소 18들을 위한 이중벽 영역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도 1a및 1b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형상부여요소 18들은 조립중에 상기 이중 벽 영역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들은 조립된 에어백 모듈내의 수용기구 12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위치내에 위치된다.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들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이들은 원칙적으로 다른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의 재료와 크기들은 각각의 경우에서 선택되어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들이 가능한 한 가벼운 무게로서 높은강성(stiffness)을 갖게 된다. 조립된 에어백 모듈에서, 그 형상은 상기 요소 18의 형상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1b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도중에, 상기 에어 백 14과 가스 유도튜브 22들은 2개의 형상부여요소 18들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들은 상기 수용기구 12의 미도시된 이중 벽 영역내로 평편 면들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삽입된다. 상기 형상 부여요소 18들과 에어백 14사이에는, 수용기구 12를 이루는 직물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수용기구 12의 벽이 있다.
도 1b에 도시된 에어백 14은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들 사이로 부분적으로 이미 밀려져서 상기 수용기구 12내로 진입되어 있으며, 에어백 모듈의 조립 도중에 서로 접혀져 있다. 여기에서, 적절한 크기로서 상기 에어백 봉투가 정해진 방식으로 접혀져서 놓여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용기구 12내로 에어백 봉투를 밀어 집어 넣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공정에서 불특정한 방식으로 서로 구겨지며, 이를 통하여 소위 "카오틱" 접음결과를 얻을 수 있다. 언더 커팅이 없는 또는 적어도 최소한의 언더 커팅을 갖는 카오틱 접음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사고시에 에어백 14의 신뢰성있고 신속한 전개를 보장하게 된다.
미도시된 에어백 모듈의 완전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들은 완전하게 수용기구 12내에 위치되고 에어백 14은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수용기구 12의 길이는 에어백 14이 완전하게 수용기구 12의 내부로 삽입되어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부여 요소들은 각각의 차량들과는 무관한 임의의 필요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직선의 형상부여 요소들 대신에, 임의의 필요한 방식에 따라서 굽혀진 또는 만곡된 요소들이 제공되어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형상부여 요소들은 임의의 필요한 규칙적 또는 불규칙한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파형과 같은 방식으로 연장하는 모서리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및 도 3은 단지 예시적인 가능한 구조의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서 직사각형의 기본형상이 시작점으로서 사용되었다.
도 2에 따른 상기 형상부여요소 18는 테이퍼진 단부 영역 24을 가진 직사각형 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따른 형상부여요소는 도 2에 도시된 요소에 비해 대략 2배 정도 길며, 오목부 26가 제공된다. 상기 오목부 26와 단부영역 2사이에는 테이퍼 영역이 존재하며 이는 경사진 상태로 연장하는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의한 결과로 존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보다 짧은 형상부여 요소 18는 측방 에어백용 에어백 모듈의 구성품이며, 자동차의 단지 전방 시트 또는 단지 후방시트들의 각각에 제공되어진다. 이와는 다르게, 도 3에 도시된 보다 긴 형상부여요소 18는 예를들면, 전체 차량의 내부 공간을 따라서 연장하고, 동시에 전방및 후방에 앉아 있는 자동차 탑승자의 보호를 위한 측방 에어백들을 위하여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요소 18의 단부 영역 24과 도 3에 도시된 요소 18의 오목부 26들은 에어백 모듈이 차량내에 장착되는 경우, B컬럼의 천정측 단부 영역에 위치된다.
도 4및 도 5는 각각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에어백 모듈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2개의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에어백 14의 접음방식에서 서로 다른 것이다.
도4에 따르면, 에어백 14은 규칙적인 접음형식으로 놓여지며, 상기 에어백 봉투는 상기 수용기구12의 파공 이음매 또는 찢어짐 부분 32로 부터 시작하여 상기 에어백 14이 그 개방단부가 결속되어지는 가스 유도튜브 22까지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연장하는 것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이와는 다르게 에어백 14이 "카오틱" 방식으로 접혀지며, 즉 에어백 봉투가 수용기구 12내에 밀어 넣어져서 불규칙적으로 서로 구겨져 있는 것이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 수용기구 12에는 평편 스트립형의 형상부여요소 18들을 위한 이중 벽 영역 16들이 제공된다. 상기 이중 벽 영역 16들은 각각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수용기구 12의 제작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직물 또는 섬유층 17의 박음질을 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층 17은 조립된 에어백 모듈내에서 상기 에어백 14과 각각의 형상부여요소 18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파공 이음매 또는 찢어짐 부분 32의 반대측에 놓인 수용기구 12의 측면상에, 그리고 가스 유도튜브 22의 영역내에 상기 수용기구 12는 각각의 경우에 브라켓트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유지 장치 34에 의해서 고정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기구 12는 이러한 영역에서 서로 박음질 되어질 수 있다.
도 4및 도 5로 부터, 형상부여요소 18에 필요한 공간 요구조건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적으로 안정되고 동시에 소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형상부여요소 18와 수용기구 12의 구체적인 구조와는 독립적으로, 상기요소 18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기구 1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거나 또는 수용기구 12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기구 12의 이중벽 및/또는 포켓형 영역 16들이 수용기구 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또는 단지 상기 형상부여 요소 18를 위해 제공되어지는 영역내에만 형성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기구 12내에 배치되어야 할 단지 하나의 형상부여요소 18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형상부여 요소 12는 수용기구 12의 제작도중에 박음질되어 짐으로써 수용기구 12로 부터 제거되지 못하도록 하고, 그들 스스로 수용기구 12로 부터 미끄러져 벗어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기구 12의 제작에서, 양측 단부에서 개방되어지는 단지 이중벽 영역 대신에, 일측 단부에서 개방되어지는 수용기구 12내의 포켓들을 형성하여 에어백 모듈의 제작중에 상기 형상부여요소 18가 각각의 경우에 개방 단부측을 통하여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은 임의의 요구되어지는 에어백에 관련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형상 안정성이 본 발명을 통하여 소위 "랩 하우징"방식의 운전자용 에어백및 전방 탑승자용 에어백들에도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랩 하우징"은 운전자및 전방 탑승자용 에어백들을 위한 하우징 같은 수용기구들이며, 이들은 자동차의 대쉬보드내에 또는 조향 휠내에 수용되어지는 것들이다. 이러한 하우징들은 안정된 프레임을 포함하여 기본 틀 또는 골격을 형성하고, 동시에 가요성 재료의, 즉 직물재료의 벽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의베이스및 커버도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텐트형의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가요성 벽 영역(측벽, 베이스및/또는 커버)에서, 상기 하우징의 필요한 형상에 따라 형성된 형상부여 요소들이 상기에서 호스형 또는 튜브형 수용기구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호스형 또는 튜브형 수용기구들 뿐만 아니라, "랩 하우빙"도 본 발명에 따라서 안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내부에 간단한 방식으로 사전에 의도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에어백의 신뢰성 있는 전개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특히 제조하기 간편하고 그 구조적인 크기도 가능한 한 작게 이루어지는 상기와 같은 종류의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접혀진 팽창성 에어백(14)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기구(12)와, 모듈이 조립될 때, 상기 수용기구(12)내에 에어백(14)과 함께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여요소(1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구(12)는 호스 또는 튜브형태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요소(18)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켓형 영역(16)이 상기 수용기구(12)내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구(12)는 적어도 상기 형상부여요소(18)의 영역내에서 이중 벽과 함께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요소(18)는 분리된 삽입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요소(18)는 외측으로 부터상기 수용기구(12)의 포켓형 및/또는 이중벽 영역(16)으로 삽입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요소(18)는 적어도 직물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기구(12)내에 박음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요소(18)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 요소(18)는 평편한 스트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요소(18)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적어도 직사각형의 기본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구(12)내에 배치된 형상부여요소(18)는 상기 수용기구(12)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2.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구(12)내에 배치된 형상부여요소(18)는 상기 수용기구(12)의 단지 일부분을 따라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구(12)의 포켓형 및/또는 이중벽 영역(16)은 단지 상기 형상부여요소(18)를 위하여 제공된 영역내에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형상부여요소(18)들이 제공되고, 상기 모듈이 조립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14)은 상기 2개의 형상부여 요소(18)들 사이에서 수용기구(12)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조립될 때, 상기 형상부여 요소(18)들은 평편한 면들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수용기구(12)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6. 적어도 하나의 이중벽 및/또는 포켓형 영역(16)이 접혀진 팽창성 에어백(14)을 위한 수용기구(12)내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영역(16)내에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여요소(18)가 배치되어지는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 제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여요소(18)는 적어도 직물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기구(12)내에 박음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 제작방법.
KR10-2002-7002492A 1999-08-27 2000-07-26 에어백 모듈 KR100497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0776.2 1999-08-27
DE19940776A DE19940776A1 (de) 1999-08-27 1999-08-27 Luftsack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759A true KR20020029759A (ko) 2002-04-19
KR100497219B1 KR100497219B1 (ko) 2005-06-23

Family

ID=791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492A KR100497219B1 (ko) 1999-08-27 2000-07-26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12213B1 (ko)
JP (1) JP3655238B2 (ko)
KR (1) KR100497219B1 (ko)
DE (2) DE19940776A1 (ko)
WO (1) WO20010159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1227B2 (en) 2006-11-07 2010-01-05 Hyundai Motor Company Dynamic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in automobile
WO2009143312A3 (en) * 2008-05-21 2010-02-2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ilm airbags
US8822357B2 (en) 2007-05-21 2014-09-02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ilm airbags made from ribb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5119B3 (de) * 2002-11-26 2004-05-06 Berger Seiba-Technotex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s Airbags in eine Umhüllung
DE202007003212U1 (de) * 2007-02-22 2007-07-26 Takata-Petri Ag Gassack für ein Kraftfahrzeug
JP5394145B2 (ja) * 2009-06-26 2014-01-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構造
CN104608733B (zh) * 2015-02-02 2017-01-11 上海东方久乐汽车安全气囊有限公司 一种帘式气囊包裹布套装装置
CN108437926B (zh) * 2017-02-16 2022-02-18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将气帘卷绕和/或折叠成管状体的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2964A1 (de) * 1996-10-18 1998-04-23 Happich Gmbh Gebr Airbagvorrichtung
DE19752989B4 (de) * 1996-12-02 2005-11-10 Toyoda Gosei Co., Ltd. Seitenairbag-Vorrichtung
EP0855315B1 (de) * 1997-01-24 2002-04-10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bagvorrichtung
JP3598781B2 (ja) * 1997-12-03 2004-12-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DE29802925U1 (de) * 1998-02-19 1998-06-18 Trw Repa Gmbh Baugruppe aus einem Gasgenerator und einem Gassack
US6073961A (en) * 1998-02-20 2000-06-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able side airbag curtain module
DE29814990U1 (de) * 1998-08-20 1998-12-17 Trw Repa Gmbh Gassac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1227B2 (en) 2006-11-07 2010-01-05 Hyundai Motor Company Dynamic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in automobile
US7820566B2 (en) 2007-05-21 2010-10-2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ilm airbags
US8822357B2 (en) 2007-05-21 2014-09-02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ilm airbags made from ribbons
USRE46533E1 (en) 2007-05-21 2017-09-0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ilm airbags
WO2009143312A3 (en) * 2008-05-21 2010-02-2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ilm airbags
GB2472962A (en) * 2008-05-21 2011-02-23 Automotive Tech Int Film airbags
GB2472962B (en) * 2008-05-21 2012-07-11 Automotive Tech Int Film airba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2213B1 (en) 2005-11-02
JP3655238B2 (ja) 2005-06-02
WO2001015941A1 (en) 2001-03-08
DE19940776A1 (de) 2001-03-01
KR100497219B1 (ko) 2005-06-23
DE60023721T2 (de) 2006-04-20
EP1212213A1 (en) 2002-06-12
JP2003508290A (ja) 2003-03-04
DE60023721D1 (de)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735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クと自動車
US5425551A (en) Cushion fold for a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system
EP0957007B1 (en) Airbag for front passenger and folding method thereof
US6805374B2 (en) Inflatable curtain cushion
EP1555168B1 (en) Leg-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occupant
US20070182134A1 (en) Knee-protecting airbag apparatus
EP1698526A1 (en) Airbag and airbag device
JP2004314706A (ja) 乗員拘束装置
JPH06191365A (ja) 自動車の膨張可能なガスバッグ
JP2000016222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BRPI0509725B1 (pt) módulo de air-bag
MXPA02003051A (es) Proteccion de dispositivo dinamicamente desplegado.
JP3030641U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08059719A1 (fr) Dispositif de retenue d'un équipier
US7178826B2 (en) Vehicle seat with a gas bag module integrated in a back rest
KR100497219B1 (ko) 에어백 모듈
EP4079582B1 (en) Side airbag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JP200432271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3579702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のガスバッグ、およびガスバッグを折り畳むための方法
EP1183169B1 (en) A method of assembling an airbag module
US20080079247A1 (en) Side Airbag Module For A Motor Vehicle
JP2003160019A (ja) エアバッグ
KR100650634B1 (ko) 측면 에어백및 그 접음방법
JP2000159045A (ja) エアバッグおよ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2003182502A (ja) 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