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725A -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725A
KR20020029725A KR1020000060382A KR20000060382A KR20020029725A KR 20020029725 A KR20020029725 A KR 20020029725A KR 1020000060382 A KR1020000060382 A KR 1020000060382A KR 20000060382 A KR20000060382 A KR 20000060382A KR 20020029725 A KR20020029725 A KR 2002002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skid
transport
cent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6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9725A/ko
Publication of KR2002002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7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65G21/2081Laterial guidance means for bulk material,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송물유도박스의 출측 단부에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를 좌우유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수송물유도박스의 출측으로 나오는 차기 벨트컨베이어 상에 실려진 수송물을 그 차기 벨트컨베이어의 중앙부로 모아줌으로서 차기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함은 물론, 낙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슈트 하부에 벨트컨베이어의 폭 보다 작은 수송물유도박스가 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된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유도박스의 출측 양단부에는 출측은 좁고 입측은 넓은 형태의 스키드가 연결부재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스키드 외측에는 벨트컨베이어의 양측 단부와 접촉되어 그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제어해주는 롤러가 설치된 사행제어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의 상부에는 스키드고정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Centering apparatus for transport raw material of belt conveye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적장에서 벨트컨베이어를 통하여 슈트로 이송되고 그 슈트는 차기 벨트컨베이어에 적치하여 상기 수송물을 목적지로 운송할 때에 그 적치되는 수송물이 차기 벨트컨베이어에 편적되지 않고 중앙부에 모아져 수송되게 함으로서 수송 중의 낙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야적장에 적치된 연료 및 원료(이하 "수송물"이라 칭함)를 목적지로 수송하는 것으로서, 그 수송물을 목적지로 수송하는 벨트컨베이어는 여러 개가 사용되고 그 여러 개의 벨트컨베이어 끝단부에서 차기 벨트컨베이어로 이송할 때에는 슈트를 매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송물을 벨트컨베이어에서 차기 벨트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슈트는 그 내부에 부착탄이 발생되게 되고 그 부착탄이 슈트에 누적되게 되면 차기 벨트컨베이어로의 이송시 편적이 발생하여 수송 중 낙탄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 차기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 종래의 벨트컨베이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트(13)내부에는 수송물(12)을 실은 벨트컨베이어(11)가 리턴 되면서 수송물(12)을 낙하시켜 차기 벨트컨베이어(11a)로 이송되게 하는 리턴롤러(14)가 마련되고 상기 슈트(13)의 하부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상에는 그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차기 벨트컨베이어(11a) 폭 보다는 작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송물유도박스(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송물유도박스(10)는 슈트(13)에서 차기 벨트컨베이어(11a)로 수송물(12)이 적치될 때에 그 적치되는 수송물(12)의 비산을 막아주는 역할은 하나 수송물(12)이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에 편적되는 것을 방지해주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에는 편적이 발생하게 되고 그 편적의 발생은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사행을 유발시키게 되며 이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사행은 낙탁으로 이루어져 주위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수송물(12)이 훼손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도 막대한 낭비를 가져왔다.
또한 상기 수송물(12)의 편적에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사행은 계속적인 편적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그에 따른 낙탄의 증가는 물론, 부대설비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상기 부대설비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송물유도박스의 출측 단부에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를 좌우유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수송물유도박스의 출측으로 나오는 차기 벨트컨베이어 상에 실려진 수송물을 그 차기 벨트컨베이어의 중앙부로 모아줌으로서 차기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함은 물론, 낙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의 슈트로부터 수송물이 벨트컨베이어에 유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5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키드 21 : 연결부재
22 : 보조프레임 30 : 사행제어수단
31 : 롤러 32 : 휠
33 : 고정바 34 : 연장프레임
40 : 스키드 고정수단 41 : 연결바
42 : 스터드볼트 43 : 가이드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는 슈트 하부에 벨트컨베이어의 폭 보다 작은 수송물유도박스가 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된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유도박스의 출측 양단부에는 출측은 좁고 입측은 넓은 형태의 스키드가 연결부재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스키드 외측에는 벨트컨베이어의 양측 단부와 접촉되어 그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제어해주는 롤러가 설치된 사행제어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의 상부에는 스키드고정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키드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그 고무재로 된 스키드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스키드의 내외측에는 각각의 보조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스키드와 수송물유도박스간을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재는 경첩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사행제어수단은 스키드의 외측으로 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고정바가 마련된 연장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벨트컨베이어의 양측단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와 벨트컨베이어의 양측단부 상하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각각의 휠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키드고정수단은 스키드의 상부중앙에 연결바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키드의 상부 전방에는 스터드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의 중앙부에는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는 가이드바의 일측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단은 수송물유도박스의 상부와 회동되게 연결 설치되어 잇다.
이와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발췌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물유도박스(10)의 끝단부 양측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로 된 스키드(20)가 연결부재(21)인 경첩을 이용하여 좌우 유동 가능하게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하였고 상기 스키드(20)의 상부 내외면에는 그 스키드(20)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조프레임(22)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키드(20)의 전방은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또 상기 스키드(20)를 보강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된 보조프레임(22)은 전방의 절곡부와 그 나머지부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스키드(20)의 전방을 절곡할 때에 그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스키드(2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보조프레임(22)에는 연장프레임(34)이 설치되고 상기 연장프레임(34)에는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진행방향을 따라 고정바(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바(33)에는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양측단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31)의 후방으로는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양측단부 상하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각각의 휠(32)이 설치되어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사행을 제어해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키드(20)의 상부 즉 보조프레임(22)에는 연결바고정구(45)가 설치되고 그 연결바고정구(45) 상에는 연결바(41)가 결합되어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키드(20)의 전방 절곡부에 설치된 보조프레임(22)에는 너트(46)가 설치되어 이에 스터드볼트(4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키드(20)의 상부 보조프레임(22)에 스터드볼트(42)를 설치한 이유는 스키드(20)의 전방을 절곡할 때에 그 절곡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스키드(20)가 수송물에 의해서 벌어지는 것을 방자하기 위함이고 연결바(41) 역시도 상기의 스키드(20)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41)의 중앙부에는 회전가이드(47)가 설치되고 그 회전가이드(47)에는 가이드바(43)의 전방이 힌지(4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43)의 후방은 수송물유도박스(10)상에 설치된 가이드바고정수단(4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단 상기 가이드바(43)가 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유는 스키드(20)가 수송물유도박스(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줌과 동시에 스키드(20)가 좌우로 유동될 때에 그 유동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야적장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11)를 통하여 수송물(12)이 슈트(13)로 떨어지면 그 떨어진 슈트(13)내의 수송물(13)은 차기 벨트컨베이어(11a)로 적재되는데, 이때 상기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상에 위치하며 수송물(12)의 비산을 방지해주는 수송물유도박스(10)의 안내를 받게된다.
이와 같이하여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에 적재된 수송물(12)은 수송되다가 상기 수송물유도박스(10)의 출측에 설치된 스키드(20)의 안내를 받으며 진행하던 도중 상기 스키드(20)의 전방에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에 의해서 수송물(12)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송물(12)이 중앙부에 모아진 차기 벨트컨베이어(11a)는 사행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기동됨은 물론, 종래에 문제시되던 낙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행제어수단(30) 구성인 롤러(31)와 휠(32)은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양측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기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그 차기 벨트컨베이어(11a)의 사행을 제어해 준다.
또 본 발명의 스터드볼트(42) 설치 이유는 스키드(20)의 전방 절곡부 개도를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키드(20)의 전방 절곡부 개도 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는 전체가 연결부재(21)인 경첩을 매개로 좌우 유동되게 설치하였는데, 그 이유는 수송물(12)이 편적되거나 차기 벨트컨베이어(11a)가 사행을 하게되면 그에 따라 상기 스키드(20)가 약간씩 유동되어야 함으로 그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는 수송물을 항상 벨트컨베이어의 중심에 적재할 수 있음으로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편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수송물의 낙탄 발생 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편적 수송물의 중심유도에 따른 회전간 리턴되는 벨트컨베이어의 근본적인 사행을 방지함으로서 설비보호는 물론, 수송물의 안정된 수송이 가능하고 또 상기 낙탄을 방지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슈트의 하부에 벨트컨베이어의 폭 보다 작은 수송물유도박스가 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된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유도박스(10)의 출측 양단부에는 출측은 좁고 입측은 넓은 형태의 스키드(20)가 연결부재(21)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스키드 외측에는 벨트컨베이어의 양측 단부와 접촉되어 그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제어해주는 롤러(31)가 설치된 사행제어수단(30)이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의 상부에는 스키드고정수단(4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그 고무재로 된 스키드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스키드의 내외측에는 각각의 보조프레임(22)이 고정되고 상기 스키드와 수송물유도박스간을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재는 경첩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제어수단은 스키드의 외측으로 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고정바(33)가 마련된 연장프레임(34)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벨트컨베이어의 양측단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31)와 벨트컨베이어의 양측단부 상하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각각의 휠(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고정수단은 스키드의 상부중앙에 연결바(4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키드의 상부 전방에는 스터드볼트(42)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의 중앙부에는 힌지(44)를 축으로 회동되는 가이드바(43)의 일측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단은 수송물유도박스의 상부와 회동되게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KR1020000060382A 2000-10-13 2000-10-13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KR20020029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82A KR20020029725A (ko) 2000-10-13 2000-10-13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82A KR20020029725A (ko) 2000-10-13 2000-10-13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725A true KR20020029725A (ko) 2002-04-19

Family

ID=1969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382A KR20020029725A (ko) 2000-10-13 2000-10-13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97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33B1 (ko) * 2002-12-28 2009-11-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과 수송물 편적 조절장치
KR101129280B1 (ko) * 2009-04-27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CN117125315A (zh) * 2023-10-27 2023-11-28 南通千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制品加工用的包装设备及包装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33B1 (ko) * 2002-12-28 2009-11-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과 수송물 편적 조절장치
KR101129280B1 (ko) * 2009-04-27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CN117125315A (zh) * 2023-10-27 2023-11-28 南通千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制品加工用的包装设备及包装方法
CN117125315B (zh) * 2023-10-27 2024-01-23 南通千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制品加工用的包装设备及包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891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20020029725A (ko)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중심 유도장치
KR101962734B1 (ko)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KR100918696B1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KR10081572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박스부 낙하물 차단장치
SE470097B (sv) Transportör för in- eller utmatning av gods inom ett långsträckt område, vilken transportör innefattar ett enda ändlöst transportband
US5152391A (en) Hopper feed elevator
KR101808169B1 (ko) 덤핑 피더
KR101887270B1 (ko) 리크레이머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US5950540A (en) Swingable conveyor device for printing units
KR102177868B1 (ko) 슈트용 부착광 제거장치
KR20190015881A (ko) 낙탄 방지 수단이 구비된 석탄 적재용 선박의 석탄 이송장치
KR100511512B1 (ko) 언로더 슈트 방호장치
KR102135454B1 (ko) 낙탄회수효율이 개선된 낙탄회수장치
KR10214421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Gupta Safety measures for reduction of failure in belt conveyor for thermal power plant
SU102164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ировани ленты конвейера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KR200267270Y1 (ko) 리턴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보정장치
KR100908089B1 (ko)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이송물 중앙 유도장치
KR100928573B1 (ko) 원료 이송용 컨베이어의 커버장치
KR20050048840A (ko) 컨베이어에 부설되는 원료내 이물질 제거장치
KR19990008774U (ko) 벨트 컨베어의 부상벨트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