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366A -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366A
KR20020028366A KR1020000059311A KR20000059311A KR20020028366A KR 20020028366 A KR20020028366 A KR 20020028366A KR 1020000059311 A KR1020000059311 A KR 1020000059311A KR 20000059311 A KR20000059311 A KR 20000059311A KR 20020028366 A KR20020028366 A KR 20020028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plate
branch pipe
suppor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화
Original Assignee
김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화 filed Critical 김병화
Priority to KR102000005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8366A/ko
Publication of KR2002002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9Changing web roll positioning the core, e.g. in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5Core or mandrel discharge or removal, also organisation of core removal
    • B65H2301/4186Core or mandrel discharge or removal, also organisation of core removal by lifting or lowering device, e.g. cran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이나 필름지 등을 권취하는 원통형의 지관을 샤프트에 탈,장착하기 위한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탈,장착은 기대(5)상에서 동력부(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이동작동부(20)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상부로 승하강작동부(40)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45) 및 상기 승하강프레임(45)상부에서 좌우이동작동부(50)에 의해 좌우로 이동조절되고,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케 다수의 지지롤(65)이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2)와 지관(3)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0)로 구성된 위치이동수단(100)과;
승하강작동부(70)에 의해 승하강하는 지지플레이트(80)의 상부에 "V"홈부(86)를 형성하는 지지구(85)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0)의 측방에는 지지구(85)상에 안착되는 샤프트(2)를 고정하는 클램핑부(90)로 구성된 샤프트 고정수단(200)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샤프트을 전후, 좌우, 승하강으로 위치이동시키면서 샤프트의 일측을 고정시킨 상태로 지관을 용이하게 탈,장착하도록 행하므로서 작업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상기 샤프트와 지관의 직경크기에 관계없이 상기한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도록 하므로서 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SHAFT FIXING DEVICE FOR INSERTED PAPER PIPE}
본 발명은 원단이나 필름지 등의 소재를 권취하는 원통형의 지관을 소재를 권취하도록 샤프트에 장착하거나 상기 샤프트상에서 지관을 탈착하는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한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원단이나 필름지 등의 소재는 원통형의 지관상에 권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관에 권취된 원단이나 필름지 등의 소재를 가공 처리하거나 분리 등의 후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도 이를 별도의 지관에 다시 재권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관에 원단이나 필름지 등의 소재를 권취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관을 샤프트에 외삽입하여 그 슬립을 방지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므로 권취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에 있어서, 상기 지관과 샤프트가 소형인 경우에는 수작업, 즉 상기 샤프트에 지관을 탈,장착하거나 상기 샤프트를 회전구동수단에 조립하는 작업을 손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관과 샤프트가 대형인 경우에는 상기한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기가 곤란하였다.
이 경우에 종래에는 상기 샤프트를 호이스트에 의해 들어 올려 위치이동 시킨 후, 이에 지관을 탈,장착하거나 샤프트를 회전구동수단에 조립하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호이스트에 의한 작업은 일정하고 정확한 작업이 곤란하여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안전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지관과 샤프트의 다양한 직경에 따라 그 작업에 필요로 하는 장비가 구비되어야만 하는 등의 비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을 위치이동시키거나 지관을 탈,장착하는 작업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므로서 작업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와 지관의 직경크기에 관계없이 상기한 과정을동일하게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탈,장착은 동력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이동작동부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상부로 승하강작동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 및 상기 승하강프레임상부에서 좌우이동작동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조절되고, 상부에 "V"홈부를 형성하고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다수의 지지롤이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샤프트의 위치를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조절하는 위치이동수단과;
승하강작동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V"홈부를 형성하는 지지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방에는 지지구상에 안착되는 샤프트를 고정하는 클램핑부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의 일측을 고정한 상태로 지관을 탈,장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샤프트에 장착된 지관에 소재를 권취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샤프트 위치조절수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후 이동작동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좌우 이동작동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력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샤프트 위치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샤프트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동력부 20: 이송작동부
21: 전후이송스크류 25: 이송구
30: 지지프레임 40: 승하강작동부
45: 승하강프레임 48: 좌우이송스크류
49: 이송구 50: 좌우이동작동부
60: 지지프레이트 65: 지지롤
66: "V"홈부 70: 승하강작동부
85: 지지구 86: "V"홈부
90: 고정부 95: 고정벨트
100: 위치이송수단 200: 고정수단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5)상에서 샤프트(2)를 전후 좌우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는 위치이동수단(100)과, 상기 위치이동수단에 의해 위치 이동된 샤프트(2)를 고정한 상태로 지관(3)을 탈,장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200)으로 대별되어 진다.
상기 위치이동수단(100)은 동력부(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이동작동부(20)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상부로 승하강작동부(40)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45) 및 상기 승하강프레임(45)상부에서 좌우이동작동부(50)에 의해 좌우로 이동조절되고,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케 다수의 지지롤(65)이 설치된 지지플레이트(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이동작동부(20)는 지지프레임(30)의 양측 전후방으로 전후이송스크류(21)(21)를 회전작동케 설치하여 이를 따라 전후 이송작동하도록 설치된 이송구(25)와 상기 지지프레임(30)을 연결설치하고, 일측 전후이송스크류(21)의 일측단에는 제1,2연동풀리(22a)(22b), 타측 전후이송스크류(21)의 일측단에는 제3연동풀리(23a)를 설치하여 상기 제1연동풀리(22a)와 제3연동풀리(23a)는 동시에 회전작동하도록 벨트(V1)로 감합하고, 상기 제2연동풀리(22b)는 동력부(10)에 벨트(V2)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후방 저면에는 양측 레일(7)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롤(32)이 설치되고, 전방 저면에는 이동롤(3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동력부(10)는 일측에 핸들(11)이 설치된 회전축(12)의 구동기어(G1)와 연동축(13)상의 연동기어(G2)가 치합되고, 상기 연동축(13)의 일측 풀리(14)는 상기 전후이송스크류(21)의 제2연동풀리(22b)와 벨트(V2)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를 연결하여 전동식으로 작동시킬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전후이동작동부(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기대(5)상에 유압실린더(28)를 양측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실린더로드(28a)가 상기 지지프레임(30)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8)의 전후 작동으로 지지프레임(30)의 안내롤(32)이 레일(7)을 따라 전후로 안내작동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작동부(40)는 지지프레임(30)과 그 상부의 승하강프레임(45)을 "X"자형태로 중앙이 힌지 연결된 링크(42a)(42b)가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링크(42a)의 일측은 작동실린더(42)의 로드 선단을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의 신축작동에 의해 승하강프레임(45)이 승하강작동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작동실린더(42)의 작동은 족답식으로 조절하도록 할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작동부(50)는 승하강프레임(45)의 좌우로 가이드레일(47)을 설치하여 지지플레이트(60)의 가이더(62)가 상기 가이드레일(47)을 따라 좌우로 안내되도록 하고,
상기 승하강프레임(45)의 중앙에는 좌우이송스크류(48)를 회전작동케 설치하여 이를 따라 좌우 이송작동하는 이송구(49)와 지지플레이트(60)를 연결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이트(60)상에 설치되는 지지롤(65)은 "V"홈부(66)를 형성하여서 샤프트(2)와 지관(3)의 다양한 직경에 상관 없이 이를 안착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작동부(70)에 의해 승하강하는 지지플레이트(80)의 상부에 "V"홈부(86)를 형성하는 지지구(85)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0)의 측방에는 지지구(85)상에안착되는 샤프트(2)를 고정하는 클램핑부(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작동부(70)는 기대(5)상에 입설되게 설치된 가이드봉(72)상에 상기 지지플레이트(80)의 측방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싱(82)이 삽입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0)의 저면에는 승하강작동실린더(75)의 로드(76)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80)를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90)는 지지플레이트(80)의 측방으로 입설된 브라켓트(92)의 양측에 일측이 연결되어 지지구(85)상에 안착되는 샤프트(2)의 일측을 감싸도록 하는 고정벨트(95)(95)와, 상기 고정벨트(95)(95)의 선단에 벨트를 걸어 당겨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는 통상의 벨트텐셔너(96)를 구비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6은 기대(5)의 이동캐스터, 18은 나합조절에 의해 선단의 가압롤(18a)전후 이동조절되면서 동력전달을 위한 벨트(V2)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샤프트(2)에 지관(3)을 삽입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샤프트(2)를 지관(3)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선택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이동수단(100)의 지지플레이트(60)상의 전후방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지롤(65)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롤(65)은 "V"형 홈부(6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2)의 직경에 관계없이 다양한 직경의 사이즈를 지지되게 안착시킬수 있게 되는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를 지지플레이트(60)의 지지롤(65)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2)의 길이가 긴 경우, 그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6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하여 샤프트(2)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동력부(10)의 핸들(11)을 회전조절하거나, 구동모터(M)를 작동시키는 방법, 즉 수동식이나 전동식을 이용하여 동력부(10)의 회전축(12)을 회전시키는 것에 연동축(13)상의 풀리(1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풀리(14)와 벨트(V2)로 감합된 전후이동작동부(20)의 일측 전후이송스크류(21)를 회전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 전후이송스크류(21)는 타측 전후이송스크류(21)와 제1연동풀리(22a), 제3연동풀리(23a)가 벨트(V1)로 감합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후이송스크류(21)(21)가 회전작동하면서 그 이송구(25)가 상기 전후이송스크류(21)(21)를 따라 전후 이송조절되고, 상기 이송구(25)에 연결된 지지프레임(30)이 전후방향으로 이송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안내롤(32)은 레일(7)을 따라 지지안내되게 된다.
결국, 상기 지지프레임(30)과 함께 승하강프레임(45), 지지플레이트(6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조절되면서 상기한 샤프트(2)의 길이에 따라 간섭되지 않고 지지플레이트(60)의 지지롤(65)에 샤프트(2)를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지지프레임(30)의 전후 이동조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는 유압실린더(28)를 출몰작동하는 것에 의해 그 실린더로드(28a)에 연결된 지지프레임(3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시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샤프트(2)의 길이에 따른 지지플레이트(60)를 전후 이동조절하여 샤프트(2)를 지지설치한 상태로, 이를 일정의 높이로 승하강조절하게 된다.
이는 상기 샤프트(2)에 지관(3)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이다.
이와 같은 작동은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승하강프레임(45) 사이의 승하강작동부(40)에 의해 가능하다.
이는 작동실린더(42)를 신장하게 작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승하강프레임(45)을 "X"자 형태로 연결하는 링크(42a)(42b)가 상부로 회동하면서 상기 승하강프레임(45)을 승하강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샤프트(2)가 설치된 지지플레이트(60)를 일정 높이로 승하강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0)를 좌우로 이동조절하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플레이트(60)상에 설치된 샤프트(2)의 위치와 상기 샤프트(2)의 일측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200)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8a)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좌우이송스크류(48)를 회전작동시켜서 이에 의해 이송구(46)가 상기 좌우이송스크류(48)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조절하게 되고,
상기 이송구(46)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60)를 좌우 이동조절시키므로 샤프트(2)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60)는 하부의 가이더(62)가 가이드레일(47)을 따라 안내되어 일정하게 안내작동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60)를 전후방향, 상하방향,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절한 상태에서, 고정수단(200)을 조작하게 된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200)의 승하강작동실린더(75)를 출몰하는 것에 의해 그 실린더로드(76)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8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80)는 그 가이드부싱(82)이 입설된 가이드봉(72)에 안내되어 일정하게 승하강 작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80)가 상승하면서 그 상부의 지지구(85)의 "V"홈부(86)가 상기 샤프트(2)를 지지하고 있는 위치이동수단(100)의 지지플레이트(60) 지지롤(65)의 "V"홈부(66)와 일치되는 높이로 조절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0)의 지지롤(65)에 지지되어 있는 샤프트(2)를 밀어 그 일측이 고정수단(200)의 지지구(85) "V"홈부(86)에 안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는 다수의 지지롤(65)이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므로 무리한 외력없이도 간단하게 밀어 이동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샤프트(2)의 일측이 상기 고정수단(200)의 지지구(85)의"V"홈부(86)에 안착되면, 고정벨트(95)(95)로 상기 샤프트(2)의 일측단을 감합하여 그 끝단에 있는 통상의 벨트텐셔너(96)를 연결하여 당기므로 상기 고정벨트(95)(95)에 의해 샤프트(2)의 일측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는 일측이 상기 지지구(85)에 안착되어 고정벨트(95)(95)로 고정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위치이동수단(100)의 다수의 지지롤(65)이 설치된 지지플레이트(60)를 전술한 승하강작동부(40)에 의해 역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는 그 일측이 지지구(85)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의 타측으로 지관(3)을 간단하게 삽입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샤프트(2)상의 지관(3)을 탈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지관(3)이 삽입된 샤프트(2)를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이동시켜 그 일측을 탈장착수단(200)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지관(3)의 탈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샤프트(2)에서 지관을 탈착한 후 이를 다시 위치이동수단으로 원위치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샤프트(2)의 일측이 고정수단(200)의 지지구(8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이동수단(100)의 지지플레이트(60)를 전술한 승하강작동부(40)에 의해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60)의 다수의 지지롤(65)이 상기 샤프트(2)의 타측으로 지지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의 일측을 고정하고 있는 클램핑부(90)의 고정벨트(95)(95)를 풀어 샤프트(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샤프트(2)를 위치이동수단(100)의 지지플레이트(60) 지지롤(65)상부로 밀어 원위치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의 상부로 샤프트(2)를 원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샤프트(2)에 지관(3)을 외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지관(3)에 원단이나 필림지 같은 소재를 권취하기 위해서는 상기 샤프트(2)를 회전수단(미도시)에 축삽입하여 설치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지관(3)이 삽입된 샤프트(2)를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이동수단(100)의 지지플레이트(60)의 지지롤(65)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를 전후, 상하, 좌우로 위치조절하여 상기 샤프트(2)를 회전수단(미도시)의 축삽입공 위치로 이동조절하고, 상기 샤프트(2)를 밀어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수단을 회전시키면서 샤프트(2)에 외삽입된 지관(3)에 원단이나 필름지 등을 권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샤프트(2)에 지관(3)을 탈,장착하는데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PVC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관재를 탈,장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중량의 샤프트를 기계적으로 전후, 좌우, 상하로 위치이동시키고, 그 일측단을 고정한 상태로 지관을 탈,장착시키는 작업은 물론, 상기 샤프트를 원단이나 필름지 등을 권취하기 위해 회전수단에 설치하는 작업등이 원활하게 제공되므로 작업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한 샤프트나 지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다양한 사이즈의 직경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인해 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샤프트(2)에 지관(3)을 탈,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기대(5)상부에서 승하강작동부(70)에 의해 승하강하는 지지플레이트(80)의 상부에 "V"홈부(86)를 형성하는 지지구(85)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0)의 측방에는 지지구(85)상에 안착되는 샤프트(2)를 고정하는 클램핑부(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작동부(70)는 기대(5)상에 입설되게 설치된 가이드봉(72)상에 상기 지지플레이트(80)의 측방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싱(82)을 안내작동하도록 삽입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0)의 저면에는 승하강작동실린더(75)의 로드(76)를 연결 설치하여 지지플레이트(80)를 승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90)는 지지플레이트(80)의 측방으로 입설된 브라켓트(92)의 양측에 일측이 연결되어 지지구(85)상에 안착되는 샤프트(2)의 일측을 감싸도록 하는 고정벨트(95)(95)와, 상기 고정벨트(95)(95)의 선단에 벨트를 걸어 당겨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는 통상의 벨트텐셔너(9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KR1020000059311A 2000-10-09 2000-10-09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KR20020028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311A KR20020028366A (ko) 2000-10-09 2000-10-09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311A KR20020028366A (ko) 2000-10-09 2000-10-09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366A true KR20020028366A (ko) 2002-04-17

Family

ID=1969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311A KR20020028366A (ko) 2000-10-09 2000-10-09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83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69B1 (ko) * 2005-11-11 2007-04-16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연선기의 내부 소선 공급기용 보빈 장착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738A (en) * 1983-10-20 1987-04-07 Esselte Pac Aktiebola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ubular container sleeve
JPH0428603A (ja) * 1989-08-12 1992-01-31 Murao & Co Ltd チーズストッカ
JPH06144704A (ja) * 1992-11-05 1994-05-24 Fujikura Ltd ボビンの軸への脱着機構
JPH06182441A (ja) * 1992-12-18 1994-07-05 Sumitomo Metal Ind Ltd ペイオフリールのスリーブ自動挿入装置
JPH071361A (ja) * 1993-06-15 1995-01-06 Werner Weitner ばね緊張装置
JPH11254343A (ja) * 1998-03-11 1999-09-21 Toshiba Fa Syst Eng Corp タンクドッキ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738A (en) * 1983-10-20 1987-04-07 Esselte Pac Aktiebola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ubular container sleeve
JPH0428603A (ja) * 1989-08-12 1992-01-31 Murao & Co Ltd チーズストッカ
JPH06144704A (ja) * 1992-11-05 1994-05-24 Fujikura Ltd ボビンの軸への脱着機構
JPH06182441A (ja) * 1992-12-18 1994-07-05 Sumitomo Metal Ind Ltd ペイオフリールのスリーブ自動挿入装置
JPH071361A (ja) * 1993-06-15 1995-01-06 Werner Weitner ばね緊張装置
JPH11254343A (ja) * 1998-03-11 1999-09-21 Toshiba Fa Syst Eng Corp タンクドッキ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69B1 (ko) * 2005-11-11 2007-04-16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연선기의 내부 소선 공급기용 보빈 장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8365A (ko)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이동장치
CN215854366U (zh) 一种通讯电缆收线器
KR101756055B1 (ko) 다용도 케이블 텐션 유지 및 포설장치
CN112678709B (zh) 一种电力电缆安装用张紧装置
KR20020028366A (ko)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KR200217823Y1 (ko)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고정장치
KR200217822Y1 (ko)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이동장치
JP4746605B2 (ja) 繰り出し装置
KR100997102B1 (ko) 케이블 포설기
JPH07123555A (ja) ケ−ブル繰り出しドラム駆動装置
KR200398666Y1 (ko) 전선 드럼용 긴장기
KR100697325B1 (ko) 전선 드럼용 긴장기
CN220201052U (zh) 一种渔网加工用渔网线收放装置
CN216441549U (zh) 一种电力输电线放线装置
KR20000012941U (ko)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CN219823073U (zh) 一种纸卷整理装置
CN219669818U (zh) 一种纯铜电线电缆传送装置
CN217458328U (zh) 一种电力工程施工用电缆收放装置
CN214100617U (zh) 一种市政亮化工程用电缆敷设装置
CN217922534U (zh) 一种大圆机的牵拉卷取装置
CN218619631U (zh) 一种棉纱线绕线机
CN114094265B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更换设备
CN115302256B (zh) 一种滤光片切换器产品全自动组装机
CN220604401U (zh) 一种线盘气动夹紧管绞机
CN220408882U (zh) 内衬修复管材的自动化切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