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941U -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941U
KR20000012941U KR2019980026040U KR19980026040U KR20000012941U KR 20000012941 U KR20000012941 U KR 20000012941U KR 2019980026040 U KR2019980026040 U KR 2019980026040U KR 19980026040 U KR19980026040 U KR 19980026040U KR 20000012941 U KR20000012941 U KR 200000129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ront plate
cradle
mandrel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창석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26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941U/ko
Publication of KR20000012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941U/ko

Links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립퍼카에서 코일을 클램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선재공장의 맨드렐에 집적된 코일을 씨-훅크로서 인출할 때 코일이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아 인출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수 있는 스트립퍼카의 코일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맨드렐(1)에 집적된 코일(2)을 들어올릴수 있도록 크레들승하강장치(20)의 리프팅암(12)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크레들(10)을 갖추어 코일(2)과 맨드렐(1)을 분리시키는 스트립퍼 카에 있어서, 하단부에 보조가이드부재(3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클램프바(33)가 크레들(10)의 전면플레이트(17)에 장착되는 안내블록(32)의 안내공(31)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7)와 메인프레임(11)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단고정핀(36)(37)에 양단이 각각 고정연결되는 작동부재(35)가 상기 보조가이드부재(34)에 감기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7)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고정가이드부재(38)에 감기어 상기 전면플레이트(17) 상승시 상기 안내블록(32)을 통해 상기 클램프바(33)를 상부로 돌출시키는 스트립퍼카의 코일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 장치
본 고안은 스트립퍼카에서 코일을 클램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선재공장의 맨드렐에 집적된 코일을 씨-훅크로서 인출할 때 코일이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아 인출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수 있는 스트립퍼카의 코일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일 콘베어에서 리폼 튜브의 맨드렐(1)에 집적된 코일(Coil)(2)은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맨드렐(1)을 수평상태로 전환시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트립퍼 카(Stripper Car)(8)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맨드렐(Mandrel)(1)쪽으로 이동되는데, 이동시 집전된 코일(2)과의 간섭이 없도록 코일(2)의 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스트립퍼 카(8)는 높이 제한이 뒤따른다.
이러한 스트립퍼카(8)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Rail)(21)위에 휠(Wheel)(22)이 접촉하여 구동되며, 상기 휠(22)은 메인 프레임(Main Frame)(11)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은 고정형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11)위에는 리프팅 암(Lifting Arms)(12)으로 연결된 크레들(1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크레들(10)은 직접 코일(2)을 실어 운반하며, 코일(2)을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트롤리(Trolley)(1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트립퍼카(8)가 간섭없이 맨드렐(1)쪽에 완전히 도착하면 상기 코일(2)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크레들(Cradle)(10)을 상부로 상승시켜 코일(2)을 들어올려 맨드렐(1)과 코일(2)을 완전히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송설비인 씨-훅크(C-Hook)(3)를 이용하여 상키 맨드렐(1)로부터 외부로 인출하였다.
여기서, 상기 코일(2)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크레들(1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20)는 메인프레임(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와 3(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후진실린더(26)로서 회전축(25)에 조립된 중앙측 작동암(28)을 회전시키면, 좌우양측의 작동암(28)에 연결된 좌우양측의 이동바(27)가 전진되면서, 메임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이동바(27)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개의 리프팅암(12)은 눕혀진 수평상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동시에 전환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암(12)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크레들(10)을 하강상태에서 승강상태로 전환시켜 직상부의 코일(2)을 들어올려 맨드렐(1)과 분리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코일(2)을 맨드렐(1)과 분리시켜려고 상기 코일(2)을 크레들(10)로서 들어올릴 때, 자유로워진 코일(2)은 좌우로 넘어지게 되는데, 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트롤리(Troley)(13)이다. 상기 트롤리(13)는 맨드렐(1)쪽으로 강하게 밀착하여 넘어지는 코일(2)을 직립으로 바로 잡아줄수 있도록 상기 크레들(10)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롤리(13)의 반대편에 있는 전면플레이트(17)도 상기 크레들(10)과 마찬가지로 최고높이로 상승되지만 상기 전면플레이트(17)가 코일(2)의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코일(2)을 들어 올려 트롤리(13)가 압착하여 클램핑할 때, 코일 직경의 1/2 지점까지만 클램핑되므로 상기 전면플레이트(17)와 트롤리(13)로서 클램핑되지 못하는 상기 코일(2)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링이 외측으로 넘어지거나 직립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들어올려진 코일(2)의 내경부측으로 씨-훅크(3)를 인도하는 과정에서 코일(2)의 양끝단부가 직립상태가 되지 못하고 비스듬이 넘어지면서 상기 맨드렐(1)과 간섭되기 때문에, 제품코일과 맨드렐(1) 상부면과의 마찰, 걸림, 코일 링의 단선, 링의 찌그러짐등으로 인한 설비사고를 초래할 뿐만아니라, 생산장애를 발생시켜 작업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마찰흠과 권취형상 불량으로 코일제품의 품질저하를 일으켜 후공정은 물론 수요가에게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맨드렐에 집적된 코일을 직립상태로 정확히 클램핑하여 인출작업시 맨드렐과의 접촉이나 마찰을 없애고, 장애시간 발생 및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트립퍼 카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 2는 일반적인 스트립퍼 카에 채용되는 크레들승하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b)는 크레들승하강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
도 6(a)(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맨드렐(Mandrel) 2 ..... 코일(Coil)
3 ..... 씨-훅크(C-Hook) 10 .... 크레들(Cradle)
11 .... 메인프레임(Main Frame) 12 .... 리프팅 암
13 .... 트롤리(Trolley) 20 .... 크레들승하강장치
31 .... 안내공 32 .... 안내블록
33 .... 클램프바 34 .... 보조가이드부재
35 .... 작동부재 36 .... 상단고정핀
37 ,,,, 하단고정핀 38 .... 고정가이드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맨드렐에 집적된 코일을 들어올릴수 있도록 크레들승하강장치의 리프팅암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크레들을 갖추어 코일과 맨드렐을 분리시키는 스트립퍼 카에 있어서,
하단부에 보조가이드부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클램프바가 크레들의 전면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안내블록의 안내공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메인프레임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단고정핀에 양단이 각각 고정연결되는 작동부재가 상기 보조가이드부재에 감기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고정가이드부재에 감기어 상기 전면플레이트 상승시 상기 안내블록을 통해 상기 클램프바를 상부로 돌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퍼카의 코일 클램핑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퍼카의 코일 클램핑장치(30)는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맨드릴(1)에 집적된 코일(2)을 들어올리도록 레일(21)을 따라 이동되는 스트립퍼카(8)에 설치되어 씨 후크(3)를 이용하여 분리이송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수 있도록 크래들(10)로서 들어올려진 코일(2)의 양단을 트롤리(13)와 더불어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1)는 별도의 동력원없이 상기 코일(2)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크레들승하강장치(20)의 전,후진실린더(26)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크래들(10)의 승,하강력에 의해서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크래들(10)과 더불어 승하강되는 전면플레이트(17)의 상단부근에는 안내공(31)을 갖는 한쌍의 안내블록(32)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안내공(31)에 상단부분이 항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일정길이의 클램프바(33)는 상기 안내블록(32)의 안내공(32)단면구조와 동일한 단면구조로 이루어져 이에 상,하활주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작동부재(35)가 감기는 보조가이드부재(3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클래프바(33)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부재(35)는 상기 크래들(10)과 더불어 승하강하는 이동부재인 전면플레이트(17)에 고정설치되는 상단고정핀(36)에 의해서 일단이 고정연결되고, 고정부재인 메인프레임(11)에 고정설치되는 하단고정핀(37)에 의해서 타단이 고정연결되며, 상기 상,하단고정핀(36)(37)에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확고히 고정되는 작동부재(35)는 상기 클램프바(33)의 하단부에 설치된 보조가이드부재(34)에 감긴 다음, 연속하여, 상기 상단고정핀(36)과 서로 마주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7)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는 고정가이드부재(38)에 팽팽하게 감긴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35)는 상기 상,하단고정핀(36)(37)사이에서 팽팽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클램프바(33)를 원할하게 상승시킬수 있도록 체인 또는 와이어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작동부재(35)가 감겨진행되는 상기 보조가이드부재(34)와 고정가이드부재(38)는 상기 작동부재(35)에 맞추어 스프로켓 또는 롤러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7)에는 상기 크레들(10)의 승,하강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레일(19)과 안내롤러(18)을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맨드릴(1)에 집적된 코일(2)을 인출하고자 스트립퍼카(8)를 상기 코일(2)하부측에 위치시킬 때, 상기 스트립퍼카(8)의 크레들(10)은 도 4(a),5(a),6(a)에 도시한 바와같이,상기 맨드렐(1)측으로의 진입시 상기 코일(2)에 간섭되지 않도록 크레들승하강장치(20)에 의해서 하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크레들(10)의 전면플레이트(17)도 하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면플레이트(17)의 좌우양측에 각각 장착된 안내블록(32)의 안내공(31)에 조립된 클램프바(33)는 자중에 의해서 완전히 하강되어 그 상단부는 외부돌출없이 상기 안내블록(32)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스트립퍼카(8)가 이송하고자 하는 코일(2)직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2)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크레들승하강장치(20)의 전,후진실린더(26)를 전진작동시켜 크레들(10)을 일정높이 승강시키면, 도 4(b),5(b),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크레들(10)의 전면플레이트(17)도 상방으로 상승되면서 고정부재인 메인프레임(11)에 설치된 하단고정핀(37)과 이동부재인 상기 전면플레이트(17)에 설치된 상단고정핀(36)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상기 상,하단고정핀(36)(37)사이에 양단이 조립된 작동부재(35)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쪽으로 당기면서 클램프바(33)의 하단에 장착된 보조가이드부재(34)를 강하게 상부로 밀어 상기 클램프바(33)는 안내블록(3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조가이드부재(34)에 연결된 클램프바(33)가 설정된 값만큼 상승하여 코일후단부를 고정하도록 클램핑을 하게 되며, 상기 코일(2)의 선단부는 트롤리(13)에 의해서 밀착되어 클램핑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바(33)의 높이 조정은 상기 전면플레이트(17)에 장착되는 상단고정핀(36)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고, 이에 일단이 연결되는 작동부재(35)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클램프바(33)의 상단이 코일직경의 전면 혹은 2/3지점 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멘드렐(1)과 코일(2)을 상승작동되는 크레들(10)로서 분리시키고, 부상된 코일(2) 양단을 클램프바(33)와 트롤리(13)로서 압착하여 클램핑한 상태에서 씨-후크(3)를 이용하여 코일(2)을 이송한 후에, 상승된 상기 크레들(10)이 하강되면, 상기 상,하단고정핀(36)(37)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작동부재(35)에 의해서 상승되었던 상기 클램프바(33)는 자중에 의해서 스스로 내려와 다음 동작을 대기하도록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멘드렐(1)에 집적된 코일(2)에 걸리지 않도록 스트립퍼카(8)을 진입시킨 후에, 맨드렐(1)과 코일(2)을 분리하고자 승강되는 크레들(10)의 전면플레이트(17)의 승강력에 의해서 일정높이 상승되는 한쌍의 클램프바(33)와 이동밀착되는 트롤리(13)로서 코일(2)의 양단부를 클램핑하여 코일(2)의 직립상태를 유지할수 있기 때문에, 코일(2)의 인출시 마찰흠을 방지하고, 코일제품 링의 단선을 방지하며, 코일권취형상불량을 방지하여 종래와 같은 품질저하를 예방할수 있으며, 생산장애와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Claims (2)

  1. 맨드렐(1)에 집적된 코일(2)을 들어올릴수 있도록 크레들승하강장치(20)의 리프팅암(12)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크레들(10)을 갖추어 코일(2)과 맨드렐(1)을 분리시키는 스트립퍼 카에 있어서,
    하단부에 보조가이드부재(3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클램프바(33)가 크레들(10)의 전면플레이트(17)에 장착되는 안내블록(32)의 안내공(31)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7)와 메인프레임(11)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단고정핀(36)(37)에 양단이 각각 고정연결되는 작동부재(35)가 상기 보조가이드부재(34)에 감기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7)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고정가이드부재(38)에 감기어 상기 전면플레이트(17) 상승시 상기 안내블록(32)을 통해 상기 클램프바(33)를 상부로 돌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퍼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5)는 상기 상,하단고정핀(36)(37)사이에서 팽팽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클램프바(33)를 원할하게 상승시킬수 있도록 체인 또는 와이어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작동부재(35)가 감겨진행되는 상기 보조가이드부재(34)와 고정가이드부재(38)는 상기 작동부재(35)에 맞추어 스프로켓 또는 롤러부재를 선택하여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퍼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KR2019980026040U 1998-12-22 1998-12-22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KR200000129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040U KR20000012941U (ko) 1998-12-22 1998-12-22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040U KR20000012941U (ko) 1998-12-22 1998-12-22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41U true KR20000012941U (ko) 2000-07-15

Family

ID=6950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040U KR20000012941U (ko) 1998-12-22 1998-12-22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941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317B1 (ko) * 2002-07-24 2008-09-2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카의 코일 외권부 텔레스코프 교정 및 전도 방지용홀딩장치
KR100893264B1 (ko) * 2002-11-08 2009-04-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KR100895083B1 (ko) * 2002-09-13 2009-04-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자중으로 작동되는 코일붕괴 방지장치
KR101485695B1 (ko) * 2013-08-26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크랭크방식 지지롤을 구비한 코일 스트리퍼
KR101485696B1 (ko) * 2013-08-26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캠 어셈블리를 구비한 코일 스트리퍼
KR20200073791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317B1 (ko) * 2002-07-24 2008-09-2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카의 코일 외권부 텔레스코프 교정 및 전도 방지용홀딩장치
KR100895083B1 (ko) * 2002-09-13 2009-04-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자중으로 작동되는 코일붕괴 방지장치
KR100893264B1 (ko) * 2002-11-08 2009-04-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KR101485695B1 (ko) * 2013-08-26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크랭크방식 지지롤을 구비한 코일 스트리퍼
KR101485696B1 (ko) * 2013-08-26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캠 어셈블리를 구비한 코일 스트리퍼
KR20200073791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9602B (zh) 一种电缆架设用多线缆放线装置
JPH0360132A (ja) 半導体フレーム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US3131880A (en) Web roll winder shaft stripper
KR20000012941U (ko)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US4768727A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pallet-mounted electric motor armature to an armature winding formation station
KR101879063B1 (ko)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US6789659B2 (en) Stator winding system and method with pallet on pallet arrangement
CN209812936U (zh) 电熔管件模芯自动绕丝脱模机
KR101328220B1 (ko) 크레인 리프트
KR100923547B1 (ko) 압연설비의 후판 안내용 높이 가변형 브리지 장치
KR20020025599A (ko) 사이드 트리머의 스트립 에지부 평탄유지장치
KR20000020464U (ko) 대경선재 권취용 리프팅 테이블
CN209929134U (zh) 绕制变压器用的升降旋转装置
KR100419649B1 (ko) 텐션릴 슬리브 인입장치
JP2961270B2 (ja) ケーブル延線作業車
KR20080018654A (ko) 권선기
CN112845890B (zh) 一种快速的换模具系统及其更换方法
CN219429276U (zh) 无纺布上卷装置
CN213623169U (zh) 一种闸板移动起降装置
CN211110357U (zh) 一种线材绕线设备
CN220886513U (zh) 一种尾丝熔断装置及落卷机
CN220950521U (zh) 一种适应于多种盘宽放带装置
CN113352039B (zh) 一种多焊缝同步焊接设备
KR200227499Y1 (ko) 코일라인의승강식루프테이블장치
KR20030044593A (ko) 전기로의 전극봉 길이 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