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264B1 -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64B1
KR100893264B1 KR1020020069210A KR20020069210A KR100893264B1 KR 100893264 B1 KR100893264 B1 KR 100893264B1 KR 1020020069210 A KR1020020069210 A KR 1020020069210A KR 20020069210 A KR20020069210 A KR 20020069210A KR 100893264 B1 KR100893264 B1 KR 10089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ocket
arm
arms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871A (ko
Inventor
류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2Devices for guiding or positioning the winding material on the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94Tensioning or bra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아암의 하단에 형성된 토우부가 코일의 내경부 양측에 끼워지고 천정기중기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20A)(20B)의 상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프로켓(31)과, 상기 아암(20A)(20B)의 하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프로켓(32)과, 상기 스프로켓(31)(32)에 무한궤도 운동토록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아암(20A)(20B)의 내측으로 돌출된 체인벨트(50)와, 상기 체인벨트(50)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판(52)과, 상기 스프로켓(31)과 연동하여 코일의 상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아암(20A)(20B)에 장착된 클램프(90)를 포함함으로써, 코일의 양측에 자력으로 밀착된 자력판에 의해 코일과 아암의 상대 이동에 의한 코일의 측면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기중기, 코일, 아암, 자력, 벨트

Description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with face damage prevention function of a coil}
도1은 종래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 이송 작업이 수행되는 상태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개략도;
도2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 도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 이송 작업이 수행되는 상태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스프로켓 지지구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프팅 장치 10 : 본체
12 : 구동모터 20A, 20B : 아암
21b, 41b : 스토퍼 21 : 베이스
21a : 하우징 22A, 22B : 토우부
31, 32, 33 : 스프로켓 41, 42, 43 : 지지구
41a : 슬라이더 50 : 체인벨트
52 : 자력판 62 : 리미트스위치
72 : 체인 80 : 커버
90 : 클램프 92 : 스프링
94 : 쿠션볼 200 : 천정기중기
210 : 후크 300 : 코일
본 발명은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의 양측에 자력으로 밀착된 자력판에 의해 코일과 아암의 상대 이동에 의한 코일의 측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 이송용 리프팅 장치(100)는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기중기(200)의 후크(210)에 장착되는 본체(11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된 한 쌍의 아암(120A)(120B)과, 상기 아암(120A)(120B)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암(120A)(120B)의 하단에는 타측 아암 쪽으로 절곡된 토우부(Toe Part)(122A)(122B)가 각각 형성되고, 코일(300)과 접촉되는 부분인 아암(120A)(120B)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과 상기 토우부(122A)(122B)의 상단 부분에는 코일(300)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방지 등을 이유로 라이너(124A)(124B)가 장착된다.
즉, 리프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코일(300)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천정 기중기(200)를 운전하여 내경부(310)가 지면과 나란하도록 눕혀진 코일(300)의 직상부에 리프팅 장치(100)를 위치시킨다. 물론, 이때 리프팅 장치(100)의 아암(120A)(120B)은 토우부(122A)(122B) 사이의 간격이 코일(300)의 폭보다 더 크도록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벌어진 상태이다.
리프팅 장치(100)가 코일(300)의 직상부에 위치되면, 천정 기중기(200)를 운전하여 토우부(122A)(122B)가 코일(300)의 내경부(310) 양측에 위치되도록 리프팅 장치(10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토우부(122A)(122B)가 코일(300)의 내경부(310) 양측에 위치되면, 구동모터(112)를 가동시켜 토우부(122A)(122B)가 코일(300)의 내경부(310)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도록 아암(120A)(120B)을 서로 근접되도록 이동시킨다.
계속하여, 상기 아암(120A)(120B)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장착된 라이너(124A)(124B)가 코일(300)의 양 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구동모터(112)의 가동을 중단시킨 후, 천정 기중기(200)를 이용하여 리프팅 장치(100)를 상승시킴으로써 코일(300)을 들어 요구 개소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프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코일(300)을 이송시킬 때 라이너(124A)(124B)와 코일(300)의 접촉 부분에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면서 코일(300)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도2에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아암(120A)(120B)의 토우부(122A)(122B)를 코일 내경부(310)의 양측 중앙 부분에 끼운 다음 리프팅 장치(100)를 상승시키면, 라이너(124A)(124B)와 코일(300) 사이의 접촉 부분에서 발생되어 코일(30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코일(300)의 자중에 의해 그 코일(300)을 유지시키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라이너(124A)(124B)가 코일(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상승하면서 코일(300)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라이너(124A)(124B)가 코일(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러짐에 의하여 코일(300)의 양측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파손부위(320)는 코일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실수율의 하락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코일(300)의 적치장소, 예컨대 공장의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 그 적치장소에 적치된 코일(300)은 내경부(3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과 수직하지 않으며, 게다가 천정 기중기(200)를 운전하여 리프팅 장치(100)의 이동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사실상 곤란하기 때문에, 코일(300)이 기울어진 상태로 리프팅 장치(100)의 아암(120A)(120B)에 장착되면서 코일(300)의 외경쪽 가장자리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라이너(124A)(124B)에 먼저 밀착되어 미끄러지면서 그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이렇게 코일(300)이 불안정한 상태로 리프팅 장치(100)에 장착된 경우, 라이너(124A)(124B)와 코일(300)이 견고한 상태로 서로 면 접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의 이송 도중에 발생되는 리프팅 장치(100)의 흔들림 등에 의해 라이너(124A)(124B)와 코일(300)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심 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암에 장착된 코일이 아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서로의 접촉 부분에서 미끄럼이 유발되는 것을 억제하여 코일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아암의 하단에 형성된 토우부가 코일의 내경부 양측에 끼워지고 천정기중기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상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프로켓과, 상기 아암의 하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에 무한궤도 운동토록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아암의 내측으로 돌출된 체인벨트와, 상기 체인벨트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판과, 상기 스프로켓과 연동하여 코일의 상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아암에 장착된 클램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 이송 작업이 수행되는 상태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개략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이송용 리프팅 장치(1)는 천정 기중기(200)의 후크(210)에 장착되는 본체(1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된 한 쌍의 아암(20A)(20B)과, 상기 아암(20A)(20B)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아암(20A)(20B)의 하단에는 타측 아암 쪽으로 절곡된 토우부(Toe Part)(22A)(22B)가 각각 형성된 구성은 종래의 리프팅 장치(100)와 대략 유사하다.
좌측 아암(20A)과 우측 아암(20B)에는 코일(300)의 좌우 양 끝단과 상단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구조물이 좌측 아암(20A)의 전방과 후방 및 우측 아암(20B)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바, 이하에서는 우측 아암(20B)의 전방에 구비된 구조물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4는 도3의 우측 아암(20B)의 전방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아암(20B)은 타측 아암, 즉 좌측 아암(20A)과 근접한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상부 스프로켓(31)과 하부 스프로켓(32)을 가지며, 상기 스프로켓(31)(32)는 체인벨트(50)가 무한궤도 운동토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벨트(50)의 외측에는 자력을 갖는 자력판(52)이 장착된다.
도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 스프로켓(31)은 스프로켓 지지구(41)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프로켓 지지구(41)는 아암(20B)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21)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스프로켓 지지구(41)쪽으로 긴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하우징(21a)이 다수 개소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로켓 지지구(41)에는 베이스(21)쪽으로 긴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21a)의 내부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장착된 슬라이더(41a)가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21a)과 슬라이더(41a)는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 받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21)와 스프로켓 지지구(41)의 최대 거리는 스토퍼(21b)(41b)에 의해 설정되는바, 하나의 스토퍼(21b)는 상기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로켓 지지구(41)쪽으로 긴 길이를 가지면서 그 끝단이 절곡된 형태이고, 다른 하나의 스토퍼(41b)는 상기 스프로켓 지지구(41)에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21)쪽으로 긴 길이를 가지면서 그 끝단이 절곡된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21)와 스프로켓 지지구(41)가 서로에 대하여 일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질 때 상기 스토퍼(21b)(41b)의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분이 서로 걸려 베이스(21)와 스프로켓 지지구(41)가 서로에 대하여 더 이상 멀어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21)와 스프로켓 지지구(41)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62)가 상기 베이스(21) 또는 스프로켓 지지구(41)에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21a), 슬라이더(41a), 스프링(60) 및 스토퍼(21b)(41b)에 대한 구성은 하부 스프로켓(32)과 그 스프로켓(32)을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로켓 지지구(4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에서 베이스(21)에 대한 스프로켓 지지구(41)(42)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은 스프로켓 지지구(41)(42)가 타측 아암(20A) 쪽으로 수평하게 전, 후진될 수 있 게 설정되며, 이러한 스프로켓 지지구(41)(42)에 장착된 스프로켓(31)(32)은 그 일부가 아암(20B)의 가장자리에 인접되거나 그 가장자리보다 더 외측, 즉 타측 아암(20A)쪽으로 돌출되도록 위치가 설정됨에 의하여 상기 스프로켓(31)(32)에 의해 지지된 체인벨트(50)가 상기 아암(20B)의 가장자리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벨트(50)는 별도의 장력 조절용 스프로켓(33)에 의해 소정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 스프로켓(33)도 상기 스프로켓(31)(32)과 동일한 구조로 스프로켓 지지구(43)에 의해 지지된 것이 좋다.
상기 상부 스프로켓(31)의 회전축(31a)에는 기어(71)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어(71)는 체인(72)을 매개로 다른 기어(7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기어(71)의 회전 운동에 의해 기어(73)가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73)는 아암(20B) 또는 별도로 마련되어 아암(20B)에 고정된 커버(80)에 장착된 회전축(74)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74)은 상기 스프로켓(31)의 회전축(31a)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커버(80)는 상기 스프로켓(31)(32)(33)과 체인벨트(50)를 감싸는 형태로 아암(20B)에 고정된 부재이다.
상기 회전축(74)에는 클램프(90)의 일단이 장착되고, 상기 클램프(90)는 스프링(92)에 의해 그 자유단이 상향되도록 탄력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프(90)의 자유단은 아암 사이의 공간 쪽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클램프(90)의 자유단에는 탄성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쿠션볼(94)이 장착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천정기중기(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1)를 코일(300)의 직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1)는 아암(20A)(20B)이 서로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 벌려진 상태이고, 또한 클램프(90)는 스프링(92)의 탄성력에 의해 도3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상향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계속하여, 천정 기중기(200)를 운전하여 아암(20A)(20B)의 토우부(22A)(22B)가 코일(300)의 내경부(310) 양측에 위치되도록 리프팅 장치(1)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토우부(22A)(22B)가 코일(300)의 내경부(310) 양측에 위치되면, 구동모터(12)를 가동시켜 토우부(22A)(22B)가 코일(300)의 내경부(310)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도록 아암(20A)(20B)을 서로 근접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아암(20A)(20B)에서 코일(300)쪽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인 체인벨트(50)의 자력판(52)이 코일(3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먼저 밀착되고, 계속하여 아암(20A)(20B)을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체인벨트(50)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로켓(31)(32)이 베이스(21) 쪽으로 이동된다.
적정한 시점에 상기 구동모터(12)를 정지시킨 후, 천정 기중기(200)를 운전하여 리프팅 장치(1)를 상승시킨다. 이때, 적정한 시점은, 코일(300)의 양측이 자력판(52)에 밀착된 시점부터 스프로켓(31)(32)의 이동에 의해 리미트스위치(62)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된 시점까지의 어느 때로 설정되어도 좋다.
상기 리프팅 장치(1)가 상승되면, 코일(300)의 내경부로 삽입된 토우(22A)(22B)가 코일(300)의 내경부 상단까지 상승할 때까지 코일(30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아암(20A)(20B)만이 상승한다.
특히, 상기 아암(20A)(20B)에 설치된 체인벨트(50)의 자력판(52)이 코일(300)의 양측에 자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300)과 아암(20A)(20B)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체인벨트(50)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로켓(31)(32)(33)이 회전되며, 상기 스프로켓(31)의 회전력이 체인(72)을 매개로 회전축(74)에 전달됨으로써 클램프(90)가 도3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코일(300)의 상부쪽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90)가 코일(300)쪽으로 회동되어 그 클램프(90)의 자유단에 구비된 쿠션볼(94)이 코일(300)의 외경측 가장자리 부분에 밀착된다.
따라서, 자력판(52)이 코일(300)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코일(300) 권상시 그 코일(300)과 아암의 접촉 부분에서의 상대 이동에 의해 코일(300)이 손상되던 문제점이 해결되며, 쿠션볼(94)에 의해 코일(300)이 지지됨으로써 코일(300)의 흔들림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코일이 흔들리면서 아암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코일(300)을 소정 위치로 권하시킬 때에도 자력판(52)은 코일(300)의 양측에 자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코일(3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때에는 상기 클램프(90)는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쿠션볼(94)이 코일(30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아암(20A)(20B)의 토우부(22A)(22B)를 코일(300)의 내경부에서 빼낼 때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코일(300)이 자력판(52)에서 떨어지면 스프링(92)에 의한 복원력으로 클램프(90)와 체인벨트(50) 등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차기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에 의하면, 코일의 양측에 자력으로 밀착된 자력판에 의해 코일과 아암의 상대 이동에 의한 코일의 측면 파손이 방지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아암의 하단에 형성된 토우부가 코일의 내경부 양측에 끼워지고 천정기중기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20A)(20B)의 상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프로켓(31)과,
    상기 아암(20A)(20B)의 하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프로켓(32)과,
    상기 스프로켓(31)(32)에 무한궤도 운동토록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아암(20A)(20B)의 내측으로 돌출된 체인벨트(50)와,
    상기 체인벨트(50)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판(52)과,
    상기 스프로켓(31)과 연동하여 코일의 상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아암(20A)(20B)에 장착된 클램프(9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31)(32)을 공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로켓 지지구(42)와, 상기 스프로켓 지지구(42)를 코일 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아암(20A)(20B)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21)와, 상기 스프로켓 지지구(42)를 코일 쪽으로 이동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60)과, 상기 스프로켓 지지구(42)가 베이스(21)쪽으로 접근되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스위치(62)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 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90)의 자유단에는 코일의 상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탄성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쿠션볼(94)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KR1020020069210A 2002-11-08 2002-11-08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KR10089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10A KR100893264B1 (ko) 2002-11-08 2002-11-08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10A KR100893264B1 (ko) 2002-11-08 2002-11-08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871A KR20040040871A (ko) 2004-05-13
KR100893264B1 true KR100893264B1 (ko) 2009-04-17

Family

ID=3733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210A KR100893264B1 (ko) 2002-11-08 2002-11-08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947U (ko) * 1998-10-29 2000-05-25 이구택 권취코일 외권 교정장치
KR20000012941U (ko) * 1998-12-22 2000-07-15 이구택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KR20010021313A (ko) * 1999-08-26 2001-03-15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코일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947U (ko) * 1998-10-29 2000-05-25 이구택 권취코일 외권 교정장치
KR20000012941U (ko) * 1998-12-22 2000-07-15 이구택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KR20010021313A (ko) * 1999-08-26 2001-03-15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코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871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536B1 (ko)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JPH0617295Y2 (ja) 基板受け渡し装置
US7611023B2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CN110901987A (zh) 一种瓷砖翻转装置
KR100893264B1 (ko) 코일 측면 파손 방지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
JP2007273854A (ja) 基板搬入出装置及び基板の搬入出方法
KR102061273B1 (ko)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KR20090074882A (ko) 플레이트용 리프트
KR200431940Y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20040105483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드롭 리프터
JP3246868B2 (ja) 搬送装置
US20060033259A1 (en) Paper storage device, paper feed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comprising paper feeding device
KR100694694B1 (ko) 코일 스키드 편마모 방지장치
KR20020007484A (ko) 운송장치용 웨이퍼카세트 지지장치
JP3283253B2 (ja) 自動麻雀卓におけるドラ表示牌の反転装置
KR200150644Y1 (ko) 컨베이어벨트가 장착된 아암을 가지는 코일 리프터
KR016089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JP2004238088A (ja) 昇降台
SU16679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рулона с вала барабана моталки на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0879347B1 (ko) 선재코일 적재장치용 코일 검출수단
KR20070008038A (ko) 벨트 컨베이어의 굴곡부 부상장치
KR19980053074A (ko) 이송장치의 그리퍼 구조
JP3645646B2 (ja) 照明器具の昇降装置
KR20120057763A (ko) 코일 이송 장치
JPH11301816A (ja) 自動倉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