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294A -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294A
KR20020028294A KR1020000059226A KR20000059226A KR20020028294A KR 20020028294 A KR20020028294 A KR 20020028294A KR 1020000059226 A KR1020000059226 A KR 1020000059226A KR 20000059226 A KR20000059226 A KR 20000059226A KR 20020028294 A KR20020028294 A KR 2002002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ender
shock
fender apron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350B1 (ko
Inventor
정경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5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3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펜더패널 내부에 충격완충부재를 설치하고 그에 따라 상기 펜더패널에 충격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에너지를 펜더패널,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 충격완충부재,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의 순서로 5차에 걸쳐 충격을 흡수하게 하여 보행자가 자동차의 펜더패널과 충돌하였을 때 그 보행자의 상해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패널 어셈블리와 연결 설치되는 펜더패널내부에 그 펜더패널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완충부재가 설치된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이 마련되고 그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의 내측에는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An Equipment for Shock-Absorption of Fender Panel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펜더패널 내부에 마련된 펜더에이프런 레인포스와 상기 펜더패널 사이에 충격완충부재를 설치하여 보행자가 자동차의 펜더패널과 충돌하였을 때 그 보행자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 상해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펜더패널은 도 1 및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패널 어셈블리(Hood panel assembly)(10) 끝단에 펜더패널(Fender panel)(11)이 설치되고 그 펜더패널(11)의 내부에는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Fender apron out panel)(12)과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Fender apron inner panel)(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은 상기 펜더패널(11)의 끝단부 연장편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은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의 양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어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과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이 일체화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는 보행자가 자동차(20)의 펜더패널(11)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보행자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하면 그 충격에 의해 상기 펜더패널(11)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그 펜더패널(11)이 충격에너지를 흡수한다.
그 후 상기 충격에너지를 흡수한 펜더패널(11)은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로 전달되고 그 충격에너지를 전달받은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변형이 발생하여 충격에너지를 2차로 흡수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충격에너지를 종래의 자동차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의 구조는 차체강성 확보위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너지의 흡수능력이 떨어져 보행자가 펜더패널(11)에 충돌하게 되면 신체 상해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펜더패널 내부에 충격완충부재를 설치하고 그에 따라 상기 펜더패널에 충격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에너지를 펜더패널,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 충격완충부재,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의 순서로 5차에 걸쳐 충격을 흡수하게하여 보행자가 자동차의 펜더패널과 충돌하였을 때 그 보행자의 상해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펜더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도
도 2는 자동차의 펜더에이프런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도
도 3은 종래의 것으로서 도 2의 A부분의 구조를 발췌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를 나타낸 발췌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후드패널 어셈블리 11 : 펜더패널
12 :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 13 :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
14 : 충격완충부재 15 : 펜더에이프런 레인포스
16 : 안착부 17 : 요철
18 : 노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는 자동차의 후드패널 어셈블리와 연결 설치되는 펜더패널내부에 그 펜더패널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완충부재가 설치된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이 마련되고 그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의 내측에는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완충부재의 설치는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을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 측으로 절곡하여 안착부를 마련하고 그 안착부에 충격완충부재를 안착시켰으며,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펜더 에이프런 레인포스로 감싸여져있다.
또 상기 충격완충부재의 상/하부에는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전방에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충격완충부재의 전방은 펜더패널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였고,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발포수지, 스치로폴, 스폰지, 탄성고무 중 어느 하나 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차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자동차의 펜더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도이고, 도 2는 자동차의 펜더에이프런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를 나타낸 발췌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20)의 후드패널 어셈블리(10) 끝단에 펜더패널(11)이 설치되고 그 펜더패널(11)의 내부에는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과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이 설치되는데, 상기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에는 펜더에이프런 레인포스(15)로 감싸여진 충격완충부재(14)가 상기 펜더패널(11)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충격완충부재(14)가 설치되는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은 상기 펜더패널(11)의 끝단부 연장편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은 상기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의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어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과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이 일체화가 된다.
그리고 상기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은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 측으로 절곡하여 충격완충부재(14)가 안착되는 안착부(16)을 형성시키고 그 안착부(16)에는 충격완충부재(14)를 안착시키는데, 상기 충격완충부재(14)는 펜더에이프런 레인포스(15)로 감싸여진다,
단 상기 충격완충부재(14)를 감싸는 펜더에이프런 레인포스(15)는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와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15b)로 나누어져 충격완충부재(14)의 아웃 측과 인너 측을 감싸고 상기 충격완충부재(14)의 아웃 측을 감싸는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는 상부가 펜더패널(11)의 끝단부 연장편에 고정되고 하부는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에 고정된다.
또 상기 충격완충부재(14)의 인너 측을 감싸는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15b)는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에 고정되고 상기 충격완충부재(14)의 전방은 펜더패널(11)의 내측과 약간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충격완충부재(14)와 그 충격완충부재(14)를 감싸는 펜더에이프런 레인포스(15)의 전방은 불규칙한 다수의 요철(17)이 마련되고 상기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의 후방 상/하부에는 노치부(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더패널(11)의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보행자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하면 그 충격에 의해 상기 펜더패널(11)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그 펜더패널(11)이 1차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한다, 이때 펜더패널(11)이 1차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원리는 상기 펜더패널(11)과 충격완충부재(14) 간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공간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외부의 충격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면서 펜더패널(11)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 그 밀려들어간 펜더패널(11)은 충격완충부재(14)의 아웃 측을 감싸는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로 전달되고 그 충격에너지를 전달받은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불규칙하게 형성된 요철(17)과 상/하부에 형성된 노치부(18)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2차로 흡수한다.
이때 상기 요철(17)과 노치부(18)에서의 충격에너지 흡수원리는 상기 요철(17)에서는 힘(충격)을 분사시키며 전달하는 작용을 하고 노치부(18)는 꺽임 작용을 하기 때문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15a)에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발포수지, 스치로폴, 스폰지, 탄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재(14)도 압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어 3차 충격흡수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충격완충부재(14) 재질은 발포수지, 스치로폴, 스폰지, 탄성고무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발포수지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 3차 충격에너지를 흡수한 충격완충부재(14)의 충격에너지는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15b)로 전달되고 그 충격에너지를 전달받은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15b)는 변형이 일어나면서 4차 충격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에서는 상기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15b)에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진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펜더패널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5차에 걸쳐 순차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충돌자(보행자)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따라서 신체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는 펜더패널 내부에 마련된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을 변형하여 안착부를 마련하고 그 안착부가 형성된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에 충격완충부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펜더패널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펜더패널과 펜더에이프런 아웃레인포스 및 충격완충부재 그리고 펜더에이프런 인너레인포스,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의 순서로 5차에 걸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충돌자의 신체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자동차의 후드패널 어셈블리(10)와 연결 설치되는 펜더패널(11)내부에 그 펜더패널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완충부재(14)가 설치된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12)이 마련되고 그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의 내측에는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의 설치는 펜더에이프런 아웃패널을 펜더에이프런 인너패널 측으로 절곡하여 안착부(16)를 마련하고 그 안착부에 충격완충부재가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펜더에이프런 레인포스(15)로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의 상/하부에는 노치부(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전방에 불규칙한 요철(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의 전방은 펜더패널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발포수지, 스치로폴, 스폰지, 탄성고무 중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KR10-2000-0059226A 2000-10-09 2000-10-09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KR10038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226A KR100380350B1 (ko) 2000-10-09 2000-10-09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226A KR100380350B1 (ko) 2000-10-09 2000-10-09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294A true KR20020028294A (ko) 2002-04-17
KR100380350B1 KR100380350B1 (ko) 2003-04-11

Family

ID=1969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226A KR100380350B1 (ko) 2000-10-09 2000-10-09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2136A1 (en) * 2012-09-06 2014-03-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ser welded structural fender inner blank for mass optim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039A (ko) * 2003-06-10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펜더 패널의 상부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491A (ko) * 1997-03-06 1998-11-05 김영귀 차량의 펜더 보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2136A1 (en) * 2012-09-06 2014-03-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ser welded structural fender inner blank for mass optim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0350B1 (ko)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886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US7097222B2 (en) Vehicle anti-crash safety device
KR1003712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101428243B1 (ko) 외장 에어백장치
KR10038035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CN213862508U (zh) 一种全包围保险杠
KR0129394Y1 (ko) 범퍼 스테이 완충구조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03803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펜더패널 및 후드패널의충격흡수구조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0171345B1 (ko) 도어의 측면 충돌충격 흡수용 내부재
KR200145817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960002580Y1 (ko) 자동차용범퍼의 범퍼아암완충장치
KR100511528B1 (ko) 자동차의 휀더와 후드의 연접구조
KR200252721Y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러 트림 보강구조
KR200149002Y1 (ko) 자동차 범퍼 구조
KR0139434B1 (ko) 승객보호용 도어 임팩트바
KR200146951Y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범퍼
KR200323352Y1 (ko) 보행자 친화형 이중 범퍼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0118987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101294527B1 (ko) 보행자를 위한 충격흡수구조
KR19980051739U (ko) 도어 충격 보강구조
KR19980035198U (ko) 소음방지 및 충격에너지 흡수용의 도어트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