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606A - 압출기 스크류 - Google Patents

압출기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606A
KR20020027606A KR1020027002708A KR20027002708A KR20020027606A KR 20020027606 A KR20020027606 A KR 20020027606A KR 1020027002708 A KR1020027002708 A KR 1020027002708A KR 20027002708 A KR20027002708 A KR 20027002708A KR 20020027606 A KR20020027606 A KR 20020027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extruder
reprocessing
along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017B1 (ko
Inventor
존 피. 크리스티아노
마이클 알. 톰슨
Original Assignee
데이비스-스탠다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5422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276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스-스탠다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데이비스-스탠다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2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8Barrels or cylinders
    • B29C48/685Barrels o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inner surfaces, e.g. having grooves, projections or threads
    • B29C48/686Barrels o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inner surfaces, e.g. having grooves, projections or threads having groove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1Extruder feed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3Screws having a varying channel depth, e.g. varying the diameter of the longitudinal screw tru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35Screws with thread pitch vary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64Screws with two or more threads
    • B29C48/65Screws with two or more threads neighbouring threads or channel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e.g. one thread being lower than its neighbouring 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Abstract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는 스크류 도입 말단의 공급 영역에 의해 규정된 축방향 연장 압출부, 스크류 출구 말단의 계량 영역 및 공급 영역 및 계량영역 사이의 장애 영역을 가진 스크류 몸체를 포함한다. 제 1 나선형 주 플라이트는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를 따라 스크류 몸체와 동축이고 그 주위로 연장된다. 제 2 나선형 주 플라이트는 공급 영역을 따라 압출기 스크류의 출구 말단으로 어느 정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압출기 스크류의 장애 영역은 주 플라이트들 사이에 위치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압출기 스크류의 장애 영역을 따라 연장된 제 1 및 제 2 용융 및 고체 채널을 형성시키는 제 1 및 제 2 장에 플라이트를 규정한다.

Description

압출기 스크류{Extruder Screw}
폴리머성 수지 물질의 용융, 혼합, 및 배합화에 사용되는 압출기의 스크류는 통상 3개의 구역, 즉, 공급 구역, 계량 구역, 및 상기 공급 구역 및 계량 구역의 중간에 위치한 용융 구역을 가진다. 전형적으로, 압출기의 스크류는 회전을 위해서, 스크류의 공급 영역에 인접한 호퍼(hopper) 영역을 포함하는 압출기 바렐(barrel), 및 호퍼 영역의 반대편 및 스크류의 계량 영역 부근에 있는 토출 말단 내에 위치된다. 운전중에, 고체 수지 물질은 호퍼 영역을 통하여 도입되고, 수지 물질이 녹기 시작하는 스크류의 공급 구역에 존재한다. 그후 고체 수지 물질은 공급 구역에서보다 큰 속도로 용융되는 용융 구역으로 이송되고, 궁극적이고 완전하게 용융상태로 전환된다. 용융물은 용융 구역에서 통상 수지물질이 형틀(die)로 통과하는 압출기의 토출 말단으로의 이송을 위해 계량 구역으로 전달된다.
연혁적으로, 통상적인 압출기 스크류는 스크류의 뿌리 또는 몸체 영역과 연동하여 배치되어, 압출기로 도입되는 수지물질이 그에 따라 이송되는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단일 나선형 플라이트(flight)를 가진다. 수지 물질은 용융 영역에 도입되면 수지 물질 그 자체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 및 외부 열원으로부터 바렐을 통하여 전도된 열에 의해 용융되기 시작한다. 용융물질은 압출기 바렐의 내부 표면에 접착되는 용융 필름을 형성한다. 상기 필름의 두께가 압출기 바렐과 플라이트간의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플라이트의 전연(leading edge)이 바렐 내부 표면으로부터 용융 필름을 긁어내어 용융 물질이 플라이트의 진행 가장자리를 따라 푸울(pool)을 형성하도록 한다. 수지 물질이 계속 용융됨에 따라, 보통 채널속의 고형층으로 불리워지는 고체 덩어리는 고체 물질의 응집체로 침입되고 용융물질의 푸울과 혼합된다.
상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가열된 바렐에 노출되는 고체 물질의 양은, 그 고체 물질이 용융 물질의 푸울 속에 동반된 응집체 형태이기 때문에, 현저히 감소된다. 그러므로, 동반되는 고체 물질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열이 용융된 푸울을 통하여 고체로 전달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폴리머는 단열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형층이 깨어지는 경우 압출기의 용융 효율은 감소한다.
용융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스크류의 몸체부 주위로 연장된 제 2 플라이트를 용융 구역에 도입함으로서 제 2 플라이트의 선도면(advancing surface)과 주(primary) 플라이트의 재처리면(retreating surface) 사이에 규정지어진 고체 채널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압출기 스크류는 개발되었다. 또한, 용융 물질 이송을 위한 용융 채널을 제 2 플라이트의 재처리면과 주 플라이트의 선도면 사이에 형성시켰다. 스크류의 뿌리 또는 몸체 영역의 직경을 고체 채널 내에서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용융 영역을 따라 채널 깊이를 감소시키고, 용융 채널을 따라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서 용융 채널의 깊이를 증가시킨다. 운전 중에, 고형층과 가열된 바렐 면간의 접촉면에 형성된 용융 필름은 제 2 플라이트를 지나 용융 채널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형층의 파괴를 최소화한다.
이 형태의 스크류에서, 고체 물질의 용융 속도는 가열된 바렐 벽면과 접촉하고 있는 고형층의 표면적과 바렐 벽과 고형층 간에 형성된 용융 필름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바렐 벽면과 접촉하고 있는 고체 물질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면 바렐에서 고형층의 노출 면으로의 열전달 개선에 의한 용융 속도 향상을 가져온다. 그러나, 고형층과 바렐간 용융 필름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용융 필름은 단열물질로써 작용하므로, 바렐에서 고체 물질로의 열전달을 감소시키고 용융 속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고체 수지 물질을 용융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압출기 스크류의 용융 영역이 상당히 길어져야 하고, 이는 다시 그러한 스크류를 사용하는 압출기의 제작 및 운전 비용 양자를 증가시킨다.
상기를 기초로, 선행 스크류의 문제점 및 결점을 극복한 압출기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포괄적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목적은 스크류에 도입되는 고체 물질이 용융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혼합되는 압출기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괄적으로는 고체 수지 물질 가공용 기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수지 물질의 혼합 및 용융용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바렐 및 스크류를 가진 압출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압출기 바렐의 공급 영역에 의해 규정된 그루브를 보여주고 있는, 제1도의 압출기 바렐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출기 스크류의 부분 측면도이며, 이는 스크류 길이를 따른 고체 및 용융 채널의 깊이에 대한 도식적 표현을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라인 3-3을 따라 그린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의 압출기 스크류의 공급 구역의 2개의 고체 채널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도 3의 라인 4-4를 따라 그린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의 압출기 스크류의 장애 구역 시작 부위의 2개의 고체 채널 및 2개의 용융 채널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도 3의 라인 5-5를 따라 그린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의 압출기 스크류의 장애 구역을 따라 대략적인 중간 부위의 2개의 고체 채널 및 2개의 용융 채널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도 3의 라인 6-6를 따라 그린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의 압출기 스크류의 공급 구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장애 구역 말단 부위의 2개의 고체 채널 및 2개의 용융 채널을 보여주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스크류 몸체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된 압출부를 가진 축 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출부는 3개의 구역 또는 영역, 즉, 압출기 스크류 도입 말단의 공급 구역, 스크류 토출구의 계량 구역 및 공급 구역과 계량 구역 사이의 장애(barrier) 구역으로 구분되어진다. 제 1 나선형 주 플라이트는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를 따라 스크류 몸체에서부터 연장되어 있고, 스크류 몸체와 동축이며, 제 1 선도면 및 제 1 재처리면을 가진다. 제 2 나선형 주 플라이트 역시 스크류 몸체에서 부터 최소한 어느 정도까지 공급 영역을 따라, 그 후에는 압출기의 스크류의 나머지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 2 선도면 및 제 2 재처리면을 가진다.
스크류 몸체는 제 1 고체 채널을 규정하기 위하여 제 1 선도면 및 제 2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과 연동하는 제 1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한다. 스크류 몸체는 또한 제 2 선도면과 제 1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한 제 2 나선형 회전면을 가진다. 제 2 선도면 및 제 1 재처리면은 제 2 나선형 회전면과 연동하여 제 2 고체 채널을 규정한다.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은 최소한 압출기 스크류의 장애 영역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장애 영역은 제 3 선도면 및 제 3 재처리면을 가지며 장애 영역의 길이를 따라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고 스크류 몸체와 동축인 제 1 장애 플라이트를 가진다. 제 1 장애 플라이트는 제 1 선도면 및 제 2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되며 이에 의해 제 1 나선형 회전면은 제 3 선도면과 제 2 재처리면 사이에 재규정된다. 제 1 장애 플라이트의 결과로써, 스크류 몸체는 제 1 선도면과 제 3 재처리면과 연동하고 이들 사이에서 제 3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여 장애 영역을 따라 연장된 제 1 용융물 채널을 형성한다.
제 4 선도면 및 제 4 재처리면을 가진 제 2 장애 플라이트는 또한 장애 영역을 따라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고 스크류 몸체와 동축이다. 제 2 장애 플라이트는 제 2 주 플라이트의 제 2 선도면과 제 1 주 플라이트의 제 1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제 4 선도면과 제 1 재처리면 사이에 제 2 나선형 회전면을 재규정한다.
제 2 장애 플라이트는 또한 제 2 선도면과 제 4 재처리면 사이의 제 4 나선형 회전면의 생성을 촉진하고 이들과 연동함으로서 장애 영역을 따라 연장된 제 2 용융 채널을 생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장애 플라이트의 피치는 물론 제 1 및 제 2 주 플라이트의 피치는 장애 영역의 길이를 따라 최소한 변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피치(pitch)의 변화는 장애 영역을 따라 다운스트림(downstream) 방향으로 고체 채널의 폭을 감소시키고 용융 채널의 폭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다운스트림 방향의 장애 영역을 따라 감소하는 고체 채널의 고형물 양을 가열된 압출기 바렐에 접촉하게 하고 용융되게 한다. 반대로, 증가하는 용융 채널의 폭은 그 안으로 이송되는 증가하는 용융물을 수용한다.
용융 채널 및 고체 채널의 폭의 변화 외에, 이러한 채널들에 의해 규정된 깊이도 또한 변화한다. 예를 들어, 고체 채널의 깊이는, 그 속의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고체 수지 물질의 양이 적당히 전단가공되고 가열된 압출기 바렐에 노출되게함으로서 수지물질의 용융을 확실히 촉진하기 위해 장애 영역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감소한다. 또한, 용융 채널의 깊이는 용융 물질의 증가량을 적절히 포함하도록 장애 영역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압출기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압출기 구동기를 포함하는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압출기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조정된 신장된 축 구멍(bore)을 가진 압출기 바렐도 역시 구동기에 장착된다. 압출기 바렐은 압출기로의 고체 수지 물질의 투입을 촉진하기 위하여 압출기 스크류의 공급 영역에 근접한 호퍼 영역을 가진다. 축 구멍은 축 벽에 의해 규정되고 축 구멍은 다시 공급 영역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진행하는 고체 수지 물질의 공급 속도 및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출기 스크류의 공급 영역 주위로 연장된 복수의 그루브(groove)를 규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괄적으로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된 압출기는 점선으로 표시된 일반적인 실린더형 구멍 벽(16)에 의해 규정된 구멍(14)를 가진 바렐(12)을 포함한다. 바렐(12)은 적당한 구동기, 예를 들어, 기어박스(18)(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에 장착되고, 기어박스에 인접한 바렐에 부착된 호퍼 영역(20)을 가진다. 축 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22)는 구멍(14)내에 위치되며 기어박스(1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압출기 스크류(22)는 3개의 구역 또는 영역, 즉, "F"로 라벨된 치수로 표시되고 압출기 스크류의 입구 말단(26)에 위치된공급 영역(24); "M"으로 라벨된 치수로 표시되고 압출기 스크류의 출구 말단(28)에 위치된 계량 영역(28); 및 "B"로 라벨된 치수로 표시되고 공급 영역 및 계량 영역 사이에 위치된 장애 영역(30)으로 나누어진다.
운전 중에 고체 수지 물질은 공급 호퍼(32)를 통하여 압출기 바렐(12)의 호퍼 영역(20)으로 도입된다. 고체 수지 물질은 그것이 녹기 시작하는 압출기 스크류(22)의 공급 영역(24)를 따라 진행하며 장애 영역(30)으로 들어간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체 수지 물질은 장애 영역(30)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 용융상태로 전환되고, 그 후, 압출기 스크류(22)에 의해 규정된 계량 영역(28)로 공급된다. 계량 영역(28)에서 한차례 용융물이 일반적으로 바렐(12)의 출구 말단(36)상에 장착된 형틀(die)(34)을 통하여 압출기 외부로 1회 진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압력 증가 및 그로 인한 압출기의 처리량 증가를 위해 압출기 바렐(12)의 구멍 벽(16)은 압출기 스크류(22) 주위를 따라 연장된 구멍 벽속으로 파여진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38)을 규정한다. 압출기(10)의 운전중에 압출기 바렐(12)의 상기 그루브(38)은 압출기 스크류(22)의 공급 영역(24)에 큰 압력 구배를 발생시킨다. 이 압력 구배는 압출기의 물질 처리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출기 스크류(22)는 스크류 길이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 압출부를 갖는 일반적인 실린더형 스크류 몸체(40)를 포함한다. 제 1 선도면(44) 및 제 1 재처리면(46)을 규정하고 있는 제 1 나선형 주 플라이트 (42)는 스크류 몸체(40) 주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스크류 몸체(40)와 동축이다. 표현된 구체예에서, 제 2 선도면(50) 및 제 2 재처리면(52)을 규정하고 있는 제 2 나선형 주 플라이트(48)도 역시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스크류 몸체(40)와 동축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나선형 주 플라이트(42 및 48)는 각각 압출기 스크류(22)의 입구 말단(26)에서 시작하며, 서로 약 180°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이트들은 서로간에 상대적으로 180°이외의 각도로 출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나선형 주 플라이트(42,48) 각각이 본 명세서에서 표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또는 2 이상의 주 플라이트들이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측면을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 몸체(40)는 제 1 나선형 회전면(54)를 규정하고, 이는 제 1 및 제 2 주 플라이트(42 및 48) 각각의 제 1 선도면(44) 및 제 2 재처리면(52)과 연동하여 제 1 고체 채널(56)을 형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스크류 몸체(40)는 제 2 나선형 회전면(57)를 규정하고, 이는 제 1 및 제 2 주 플라이트(42 및 48) 각각의 제 2 선도면(50) 및 제 1 재처리면(46)과 연동하여 제 2 고체 채널(58)을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애 영역 B에서, 제 1 및 제2 장애 플라이트(60 및 62) 각각은 제 1 및 제 2 주 플라이트(42 및 48) 각각중 하나에서부터 연장된다. 각 장애 플라이트(60 및 62)는 각각 하나의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56 및 58)을 재 규정한다. 따라서, 제 1 고체 채널(56)은 이제 제 2 주 플라이트(48)의 제 2 재처리면(52), 제 1 나선형 회전면(54) 및 제 1 장애 플라이트(60)의 선도면(64)의연동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고체 채널(58)은 제 1 나선형 주 플라이트(42)의 재처리면(46), 제 2 회전면(57) 및 제 2 장애 플라이트(62)의 선도면(64)의 연동에 의해 재규정된다.
스크류 몸체(40)는 제 3 나선형 회전면(66)을 규정하고, 이는 제 1 선도 면(44) 및 제 1 장애 플라이트(68)의 제 3 재처리면(68)과 연동함으로서 제 1 용융 채널(70)을 규정한다. 유사하게, 스크류 몸체(40)는 제 4 나선형 회전면(72)을 규정하고 이는 제 2 선도면(50), 및 제 2 장애 플라이트(62)의 제 4 재처리면(74)과 연동함으로서 제 2 용융 채널(76)을 규정한다. 고체 수지 물질이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56 및 58) 각각의 장애 구역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수지 물질은 용융되고 제 1 및 제 2 용융 채널(70 및 76)으로 이동한다.
도 5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56 및 58) 각각은 제3도에서 "D"로 표시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진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장애 구역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깊이, ds1및 ds2를 규정한다. 이 현상은 또한 도 3에서 나타낸 고체 채널의 깊이에 대한 개략적 표현(78)에 의해 도식적으로 나타내어진다. 고체 채널과 유사하게, 제 1 및 제 2 용융 채널(70 및 76) 각각은 깊이 dm1및 dm2를 각각 규정한다. 그러나, 이들 깊이는 제3도에 나타낸 용융 채널의 깊이에 대한 개략적 표현(80)에서 도식적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증가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채널 깊이의 변화 이외에도, 주 플라이트(42 및 48) 및 장애 플라이트(60 및 62)의 피치도 또한 장애 영역 내에서 변화한다. 피치의 변화는 제 1 및 제 2 용융 채널(70, 76) 각각에 의해 규정된 폭 wm1및 wm2이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장애 영역을 따라 증가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에 의해 규정되는 깊이 ws1및 ws2도 역시 변화한다. 따라서,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장애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은 점점 좁고 얕아지며, 제 1 및 제 2 용융 채널은 점점 넓고 깊어진다.
도 1 내지 7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압출기 스크류(22)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대표적으로 재분쇄물, 펠렛 및/또는 분말 형태의 고체 수지 물질은 호퍼(32)를 통하여 압출기 바렐(12)의 호퍼 영역(20)으로 투입된다. 고체 수지 물질은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48 및 58) 각각에 모아지고 제3도에서 "R" 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압출기 스크류(22)가 회전함에 따라 고체 수지 물질은 공급 영역 "F"를 따라 장애 영역 "B" 로 이송된다. 수지 물질이 공급 영역 "F" 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주 플라이트(42 및 48)의 제 1 및 제 2 선도면 (44 및 50) 각각은 고체 물질이 고형층으로 압축되도록 그안에 속박한다. 또한, 통상 온도 조절이 되는 압출기 바렐의 복수의 그루브는 고체 채널 내에서 추가로 수지 물질을 압축 및 가압하여 보다 신속히 이송되고 용융이 시작되도록 한다. 이 용융 작용은 압출기 스크류(22)의 공급 영역의 주 플라이트의 선도면에 인접한 용융 푸울의 생성을 촉진한다.
공급 영역의 수지 물질이 압출기 스크류(22)의 장애 영역으로 한번 들어가면, 그것은 수지 물질 내부의 전단가공 및 압출기 바렐(12)로부터의 열의 조합에 의하여 용융이 계속된다. 용융 물질은 장애 플라이트(60 및 62) 상에서,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56, 58) 각각에서부터 제 1 및 제 2 용융 채널(70 및 76) 각각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은 다운 스트림 방향으로 장애 영역을 따라 압출기 스크류 (22)의 계량 영역이 용융 물질을 형틀(34)를 통하여 공급하는 장애 영역 말단까지 계속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를 나타내고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과 치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일 뿐 한정으로서 기술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8)

  1. 스크류 입구 말단의 공급 영역, 상기 스크류의 출구 말단의 계량 영역 및 상기 공급 영역 및 계량 영역사이의 장애 영역에 의해 규정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압출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몸체를 가진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를 따라 상기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 몸체와 동축이고, 제 1 선도면과 제 1 재처리면을 가진, 제 1 선도면 및 제 1 재처리면을 가진 제 1 나선형 주 플라이트;
    상기 압출기 스크류의 상기 공급 영역을 최소한 어느 정도 따라서 상기 출구 말단까지 연장되고 제 2 선도면 및 제 2 재처리면을 가진 제 2 나선형 주 플라이트;
    상기 제 1 선도면과 제 2 재처리면 사이의 제 1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제 1 고체 채널을 규정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
    상기 제 2 선도면과 제 1 재처리면 사이의 제 2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제 2 고체 채널을 규정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
    제 3 선도면 및 제 3 재처리면을 가지며,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어 있고 그와 동축이며, 상기 제 1 선도면 및 상기 제 2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됨으로서 제 1 나선형 회전면이 제 3 선도면 및 제 2 재처리면 사이에 재규정되도록 하는 제 1 장애 플라이트; 상기 제 1 선도면과 제 3 재처리면 사이에 제 3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연장된 제1 용융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 제 4 선도면 및 제 4 재처리면을 가지며,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어 있고 그와 동축이며, 상기 제 2 선도면 및 상기 제 1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됨으로서 상기 제 4 선도면 및 제 1 재처리면 사이에 제 2 나선형 회전면을 재규정되도록 하는 제 2 장애 플라이트; 및 상기 제 2 선도면과 제 4 재처리면 사이에 제 4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연장된 제 2 용융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를 포함하는 상기 장애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주 플라이트 각각이 상기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피치를 규정하는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애 플라이트 각각이 상기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피치를 규정하는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용융 채널 각각이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깊이를 규정하는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 각각이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규정하는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체 채널 각각이 용융 채널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깊이를 규정하는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용융 채널 각각이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다운스트림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폭을 규정하는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
  8. 압출기 구동기;
    상기 압출기 구동기에 장착되고, 구멍 벽에 의해 규정된 구멍을 포함하며, 고체 수지 물질의 상기 구멍으로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압출기 구동기에 인접한 호퍼를 가진 신장된 압출기 바렐;
    상기 스크류 도입 말단의 공급 영역, 상기 스크류의 출구 말단의 계량 영역 및 상기 공급 영역 및 계량 영역 사이의 장애 영역에 의해 규정된 축방향 신장된 압출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몸체를 가진 축방향으로 신장된 압출기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기 스크류가 추가로,
    제 1 선도면과 제 1 재처리면을 가지며 상기 압출기 스크류의 길이를따라 상기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고 그와 동축인 제 1 나선형 주 플라이트;
    상기 압출기 스크류의 상기 공급 영역을 최소한 어느 정도 따라서 상기 출구 말단까지 연장되고 제 2 선도면 및 제 2 재처리면을 가진 제 2 나선형 주 플라이트;
    상기 제 1 선도면과 제 2 재처리면 사이의 제 1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제 1 고체 채널을 규정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
    상기 제 2 선도면과 제 1 재처리면 사이의 제 2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제 2 고체 채널을 규정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
    제 3 선도면 및 제 3 재처리면을 가지며,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어 있고 그와 동축이며, 상기 제 1 선도면 및 상기 제 2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됨으로서 제 1 나선형 회전면을 제 3 선도면 및 제 2 재처리면 사이에 재규정되도록 하는 제 1 장애 플라이트; 상기 제 1 선도면과 제 3 재처리면 사이에 제 3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연장된 제 1 용융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 제 4 선도면 및 제 4 재처리면을 가지며,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스크류 몸체 주위로 연장되어 있고 그와 동축이며, 상기 제 2 선도면 및 상기 제 1 재처리면 사이에 위치됨으로서 상기 제 4 선도면 및 제 1 재처리면 사이에 제 2 나선형 회전면을 재규정되도록 하는 제 2 장애 플라이트; 상기 제 2 선도면과 제 4 재처리면 사이에 제 4 나선형 회전면을 규정하고 그들과 연동하여 상기 장애 영역을 따라 연장된 제2 용융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스크류 몸체를 포함하는 상기 장애 영역; 및
    상기 바렐의 상기 호퍼 영역에 인접한 상기 구멍 벽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압출기의 운전중에 상기 공급 영역내에서 고체 수지 물질의 공급 속도 및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출기 스크류의 상기 공급 영역에 근접하게 연장된 복수의 그루브; 를 포함하는 압출기.
KR1020027002708A 1999-09-03 2000-08-29 압출기 스크류 KR100696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90,391 1999-09-03
US09/390,391 US6139179A (en) 1999-09-03 1999-09-03 Extruder screw having multi-channeled barrier s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06A true KR20020027606A (ko) 2002-04-13
KR100696017B1 KR100696017B1 (ko) 2007-03-15

Family

ID=2354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708A KR100696017B1 (ko) 1999-09-03 2000-08-29 압출기 스크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39179A (ko)
EP (1) EP1207991B1 (ko)
JP (1) JP3824536B2 (ko)
KR (1) KR100696017B1 (ko)
CN (1) CN1185091C (ko)
AT (1) ATE245090T1 (ko)
AU (1) AU6944800A (ko)
CA (1) CA2382111C (ko)
CZ (1) CZ2002778A3 (ko)
DE (1) DE60003930T2 (ko)
MX (1) MXPA02002102A (ko)
WO (1) WO2001017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2047B1 (fr) 1997-12-05 2004-04-09 Ct Nat D Etudes Veterinaires E Sequence genomique et polypeptides de circovirus associe a la maladie de l'amaigrissement du porcelet (map), applications au diagnostic et a la prevention et/ou au traitement de l'infection
DE19928870C2 (de) * 1999-06-24 2003-10-02 Extrudex Kunststoffmaschinen G Einschnecken-Extruder
US6599004B2 (en) * 2001-05-03 2003-07-29 Robert A. Barr Extruder screw with improved energy efficient melting
US7014353B2 (en) * 2002-02-25 2006-03-21 New Castle Industries, Inc. Plasticating screw and apparatus
US6672753B1 (en) * 2002-02-25 2004-01-06 New Castle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plasticating thermoplastics
US20040076472A1 (en) * 2002-10-18 2004-04-22 Holmes Ned W. Screeding apparatus and method
US6988821B2 (en) * 2002-12-30 2006-01-24 Dray Sr Robert F Plastics screw with barrier members
US7156550B2 (en) * 2004-07-22 2007-01-02 Xaloy, Inc. Apparatus for plasticating thermoplastic resin including polypropylene
US20070183254A1 (en) * 2005-10-25 2007-08-09 Desider Schobert-Csongor Infinitely variable shear mixer apparatus
TWI457133B (zh) 2005-12-13 2014-10-21 Glaxosmithkline Biolog Sa 新穎組合物
KR100827251B1 (ko) 2007-07-11 2008-05-07 주식회사 우진세렉스 사출성형기의 사출스크류
DE102008038529B3 (de) * 2008-08-20 2009-11-05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Einschneckenextruder
ATE516135T1 (de) 2008-12-22 2011-07-15 M R S Italia S R L Plastifizier-schnecke mit zwei schneckenstegen unterschiedlicher ganghöhe sowie eine plastifiziereinheit mit dieser
US8177413B2 (en) * 2010-03-05 2012-05-15 Chung Chan I Scientifically designed barrier screw
CN101890802B (zh) * 2010-03-25 2013-01-30 南京艺工电工设备有限公司 塑料挤出机用半圆形螺棱螺杆
US8870442B2 (en) 2011-05-25 2014-10-28 M.R.S. Italia S.R.L. Plasticating screw
US8889052B2 (en) 2012-01-13 2014-11-18 Gentex Optics, Inc. Uncoated, corrosion resistant resin delivery system
DE102012008023B4 (de) * 2012-04-21 2016-06-02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Einschneckenextruder
WO2015048115A1 (en) 2013-09-25 2015-04-02 Zoetis Llc Pcv2b divergent vaccin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CN103552228B (zh) * 2013-11-07 2015-12-02 苏州大云塑料回收辅助设备有限公司 分离型挤出螺杆
JP6947522B2 (ja) * 2017-03-30 2021-10-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機用スクリュ
DE102017113836B4 (de) * 2017-06-22 2022-04-21 KraussMaffei Extrusion GmbH Extruderschnecke, Extrusionsvorrichtung mit Extruderschnecke sowie Verfahren zum Plastifizieren eines Kunststoffes
DE102017124091B4 (de) * 2017-10-17 2019-08-01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Scherteil und Einschnecken-Plastifizier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652A (en) * 1970-05-05 1972-03-21 Feed Screws Inc Apparatus for extruding plastic material
US3698541A (en) * 1971-08-11 1972-10-17 Midland Ross Corp Extruder, or extruder-like melting apparatus
US4015832A (en) * 1972-08-23 1977-04-05 Koehring Company Extruder screws
CA1048720A (en) * 1974-04-12 1979-02-20 Reuben T. Fields Extruder having spiral groove in barrel
US4000884A (en) * 1975-07-25 1977-01-04 Chung Chan I Extruder screw
US4173417A (en) * 1977-04-15 1979-11-06 Hpm Corporation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128341A (en) * 1977-04-29 1978-12-05 Ingersoll-Rand Co. Extruder screw
GB1595850A (en) * 1978-05-31 1981-08-19 Hpm Corp Extruder with multi-channel wave screw
JPS5528817A (en) * 1978-08-21 1980-02-29 Toshiba Mach Co Ltd Screw for plastic molding apparatus
US4341474A (en) * 1980-08-27 1982-07-27 Wheeler Jr Norton C Extruder screw
JPS5889342A (ja) * 1981-11-25 1983-05-27 Japan Steel Works Ltd:The 単軸押出成形機用スクリユ
JPS63291632A (ja) * 1987-05-25 1988-11-29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塑化スクリュ
US4798472A (en) * 1988-01-14 1989-01-17 Harry Chan Extruder screw with balanced flights of different functional sections
US4944906A (en) * 1988-10-11 1990-07-31 Spirex Corporation Methods of injection molding and extruding wet hygroscopic ionomers
US4963033A (en) * 1988-10-19 1990-10-16 Wenger Manufacturing, Inc. Screw refiner
US5035509A (en) * 1990-08-13 1991-07-30 Hpm Corporation Multi-channel extrusion screw with a zig-zag undercut barrier
DE4039942C1 (ko) * 1990-12-14 1992-01-30 Berstorff Gmbh Masch Hermann
US5219590A (en) * 1991-06-13 1993-06-15 Hpm Corporation Triple channel wave screw
US5288223A (en) * 1991-06-14 1994-02-22 Alfonso Toro Three stage intermixing feed screw for polymers
US5599097A (en) * 1995-12-14 1997-02-04 The Black Clawson Company Extruder screw for plastic extruders
US5599098A (en) * 1995-12-14 1997-02-04 The Black Clawson Company Extruder screw with multiple flighting
US5855929A (en) * 1996-02-08 1999-01-05 Geyer; Paul Shredding strai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2508A (zh) 2002-10-02
DE60003930T2 (de) 2004-04-15
ATE245090T1 (de) 2003-08-15
KR100696017B1 (ko) 2007-03-15
CA2382111C (en) 2007-10-16
EP1207991B1 (en) 2003-07-16
US6139179A (en) 2000-10-31
CA2382111A1 (en) 2001-03-15
CN1185091C (zh) 2005-01-19
DE60003930D1 (de) 2003-08-21
AU6944800A (en) 2001-04-10
MXPA02002102A (es) 2002-09-18
JP3824536B2 (ja) 2006-09-20
JP2003508264A (ja) 2003-03-04
CZ2002778A3 (cs) 2002-07-17
EP1207991A1 (en) 2002-05-29
WO2001017751A1 (en)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017B1 (ko) 압출기 스크류
EP0046631B1 (en) Extruder screw
TWI417183B (zh) 單螺桿擠壓機
US5816698A (en) Screw and plastic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330214A (en) Plasticizing screw
EP0110694B1 (en) Screw extruders
EP1711322B1 (en) Apparatus for plasticating thermoplastics
US6705752B2 (en) Single screw extruder
US6672753B1 (en) Apparatus for plasticating thermoplastics
US5056925A (en) Extruder screws and method for accelerating melting in plasticating extruders
US7387426B2 (en) Extruder screw with mixing section
KR100696018B1 (ko) 압출기 스크류
US6176606B1 (en) Extruder screw
US44445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lting and conveying plasticated material
US20060018186A1 (en) Apparatus for plasticating thermoplastic resin including polypropylene
US6488399B1 (en) Apparatus for plasticating thermoplastics
US4770539A (en) Barrier screw
US3517095A (en) Extrusion process
JP2006500257A (ja) 移行領域のフライト幅が狭い押出機またはプレス機の可塑化スクリュー
KR200320148Y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장치
KR20040094108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장치
Myers Fundamental Approach to Screw Design
CS224080B1 (cs) Šnek pro zpracování termoplatfckých hmot a kaučukových směsí
JPH05713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