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137A - 도핑된 침강 실리카 - Google Patents

도핑된 침강 실리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137A
KR20020026137A KR1020010060568A KR20010060568A KR20020026137A KR 20020026137 A KR20020026137 A KR 20020026137A KR 1020010060568 A KR1020010060568 A KR 1020010060568A KR 20010060568 A KR20010060568 A KR 20010060568A KR 20020026137 A KR20020026137 A KR 2002002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precipitated silica
silica
doped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베르트위르겐
헬비히클라우스-디터
뮐러아스트리트
Original Assignee
올브리히트 게르하르트 및 슈베르트페거 한스-요아힘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0705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2613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올브리히트 게르하르트 및 슈베르트페거 한스-요아힘,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올브리히트 게르하르트 및 슈베르트페거 한스-요아힘
Publication of KR2002002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1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3/187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by acidic treatment of silicates
    • C01B33/193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by acidic treatment of silicates of aqueous solutions of silic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21H19/40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12Preparation of material for subsequent imaging, e.g. corona treatment, simultaneous coating, pre-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9Oil-absorption capacity, e.g. DBP 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90Other properties not specified ab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Paper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카 입자의 BET 표면적이 300㎡/g을 초과하고 알루미늄이 실리카 입자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 도핑된 실리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도핑된 침강 실리카를 포함하는, 종이용 착색 도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핑된 침강 실리카{Doped precipitated silica}
본 발명은 알루미나 도핑된 침강 실리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규산나트륨 용액과 황산을 사용하여 침강시키고 후속적으로 가용성 금속염을 첨가하여 실리카 및 규산알루미늄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는, 금속 이온, 예를 들면, Zr, Ti, Zn 이온을 이의 염 또는 용액 형태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가한다. 이들 이온은 실리카/실리케이트 표면 성분의 화학 결합으로 들어가서 간단한 세척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들 이온은 실리카/실리케이트의 표면에 양이온 전하를 발생시켜, 그 결과, 예를 들면, 잉크젯 용지의 피복에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음이온성 염료의 고착을 보장하고 종이 피막의 밝은 색상을 보장한다.
제지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잉크젯 매질 중에서, 예를 들면, 잉크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색상의 백색도를 유지하는 충전제가 필요하다. 인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잉크젯 인쇄에서 인쇄된 도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신속한 건조가 생명이다. 이들 요건을 충족시키는 한가지 방법은 매질에 실리카를 함유하는 피막을 도포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피막은 잉크를 신속하게 흡수하도록 하고, 도트 선명도(definition)를 강화시키며, 잉크 액적의 명확한 환상 퍼짐성(propagation)을 촉진시킨다. 또한, 당해 피막은 잉크의 뒤비침(showthrough) 또는 배어남(strikethrough)을 방지하고, 높은 색상 밀도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지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극도로 분산시키기 용이하고, 예를 들면, 잉크젯 용지 또는 잉크젯 필름에서 잉크를 잘 흡수하고, 색상의 백색도를 유지시키는 충전제가 필요하다.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실리카 및 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EP 제0 643 0 15호, DE 제177 22 45호, EP 제0 798 266호, DE 제314 42 99호 또는 DE 제124 50 06호에 이미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다.
실리카를 제조하는데 대하여 기재된 모든 침강방법은 세가지 공정 단계를 포함한다: 물 및 임의로 규산나트륨 용액을 도입하고, 임의로 염 또는 이의 용액(예: 황산나트륨)을 가하여 pH 및 전도율을 조절하는 단계(1), 통상적으로 황산과 같은 무기산을 가하여 상을 침강시켜 실리카 또는 실리케이트의 침강물을 발생시키는 단계(2) 및 실리카/실리케이트 현탁액을 산성화시킨 다음 추가로 후처리하는 단계(3). 모든 세 단계는 특정한 온도, 계량 및 pH 영역, 가능한 중단 단계 및/또는 중간 단계, 또는 이의 상이한 염 또는 용액의 첨가를 특징으로 한다.
실리카/실리케이트의 표면에 양이온성 부위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가의 금속 이온을 침강 실리카에 가한다(EP 제0 493 203호). 문제의 금속은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전이 금속(예: Ti, Zr, Fe, Ni, Zn)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금속은 이의 염 또는 용액의 형태로 이온으로서 가할 수 있다. 염은 유기 염 또는 착체, 예를 들면, 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기타 무기 염, 예를 들면, 할라이드, 옥시할라이드,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설페이트, 옥사이드 설페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한 이온은 특히 실리카 또는 실리케이트의 표면에 모여 있는(화학적으로 결합되고/거나 물리적으로 고착된) 경우 이의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렇게 되기 위하여, 이미 언급한 실리카 또는 실리케이트(이의 현탁액)를 언급한 이온의 염 또는 용액으로 처리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EP 제0 492 263호에는 이러한 실리카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의 제조를 위하여, 도핑용 금속염을 예비 제조되거나 재현탁된 실리카에 도포시키거나 이미 침강시켰지만 여과시키지 않은 실리카 현탁액에 도포한다. 두 경우 모두, 금속 이온은 입자의 표면에 부착되지만, 실리케이트 구조로의 금속의 화학적 혼입이 전혀 없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도핑된 실리카는 용이하게 블리딩(bleeding)되고, 금속 이온은 방출될 수 있다.
실리카는 특정한 입자 크기를 수득하기 위하여 종종 연삭(grinding)시켜야 한다. 연삭시키지 않은 실리카도 추가의 가공 단계에서 기계적 응력(예: 혼합 또는 혼련)에 노출시켜 원래의 입자의 부분적 파괴를 유도한다.
외부 금속으로 표면에만 도핑된 실리카 입자를 파쇄시키는 경우, 이러한 더 작은 입자의 표면에는 어떠한 외부 원자도 함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이 실리케이트 구조로 실질적으로 매봉되어 있는 알루미늄 도핑된 실리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리카 입자의 BET 표면적이 300㎡/g을 초과하고 알루미늄이 실리카 입자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를 제공한다.
도핑은 바람직하게는 Al2O3으로 수행한다. 기타 알루미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질량비를 Al2O3에 대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다음 파라미터를 갖는다: Al2O3함량 0.05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5중량%; DBP 흡수도 500 내지 200g/100g,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50g/100g; 입자 크기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특히 10 내지 12㎛.
본 발명의 침강 실리카의 BET 표면적은 300㎡/g 초과,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800㎡/g,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600㎡/g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물과 규산나트륨의 혼합물을 70 내지 86℃로 가열하고, 규산나트륨의 반이 중화될 때까지 황산을 가하는 단계(a),
혼합물을 30 내지 120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b),
혼합물의 pH를 황산을 가하여 3.0 내지 7.0으로 조절하는 단계(c),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케이크(filtercake)를 세척하는 단계(d),
세척한 필터케이크를 분무 건조시키고/거나 연삭시키는 단계(e)를 연속적으로 포함하며, 단 알루미늄 염 용액은 공정의 단계(a) 및/또는 (c)에서 계량 도입하고, 침강 실리카의 BET 표면적은 300㎡/g을 초과하며, 알루미늄은 실리카 입자에 균일하게 분포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한 침강 실리카는 제조 후 여과시킬 수 있고 물에 재분산된 필터케이크의 형태로 또는 필터케이크를 건조(예: 분무 건조기, 노즐 타워 건조기, 스핀 플래시 건조기, 뷔트너(Buttner) 건조기 또는 회전 튜브 노)시키고 연삭(건식 또는 습식, 예를 들면, 습윤-제트 밀)시킨 후에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알루미늄 염은 상이한 시점에 본 발명의 공정의 상이한 단계에서, 즉 침강시에 이의 염 형태, 예를 들면, 클로라이드, 니트레이트, 카보네이트,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옥시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옥시하이드록사이드, 옥사이드 설페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설페이트의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알루미늄 염 용액을 혼합물에 공정의 단계(a) 및/또는 단계(c) 동안에 계속해서 가할 수 있다. 추가로, 알루미늄 염 용액을 각각의 경우 황산을 가하기 전에 공정의 단계(a) 및/또는 단계(c)에서 혼합물에 가할 수 있다. 각각의 양태에서, 이온의여전히 성장하는 실리카/실리케이트 표면으로의 최적의 혼입 또는 우수한 물리화학적 결합이 보장되고,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서 매우 유효한 농도가 소량의 알루미늄 이온으로도 보장된다.
이러한 유형의 도핑으로 강조되어지는 점은 알루미늄이 실리카/실리케이트 구조를 파괴시킴으로써만 제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알루미늄 염을 침강 기간에 걸쳐 가하는 경우, 이는 실리카/실리케이트의 내부 표면으로도 혼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리카의 임의의 후속적인 연삭(건식 또는 습식 연삭)으로, 전체 표면에서 양이온 부위를 갖는 입자를 다시 수득한다.
그러나, 입자의 표면 영역의 알루미늄 비율(%)은 특히 황산의 첨가 종결시 첨가하는 경우, 입자 질량에 걸쳐 평균 중량비(%)의 배가 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양태에서, 공정의 단계(a), (b) 및 (c) 중의 하나 이상은 예를 들면 디스팍스(Dispax) 반응기를 사용하여 전단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황산 용액 중의 알루미늄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황산알루미늄은 실리카를 침강시키는데도 사용되는 황산에 용해시킨다.
온도, 교반 속도, 도입된 황산 또는 규산나트륨 용액의 농도의 일반적인 파라미터는 도핑되지 않은 침강 실리카의 제조 동안의 파라미터에 상응하며, 예를 들면, DE 제117 22 45호, EP 제0 798 266호, DE 제314 42 99호 또는 DE 제124 50 06호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의 용도
특히 잉크젯 인쇄 및 이의 관련 공정으로 공지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인쇄에 사용되는 현대의 잉크는 원래 음이온성이다. 그러므로, 이는 색소(염료 또는 안료)의 고착, 색상의 백색도 및 인쇄된 매질이 이의 표면 위에 또는 이의 표면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이온성 표면을 갖는 입자를 갖는 인쇄의 선명도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실리카 및 실리케이트는 위에서 언급한 피막(예: 종이 피막, 필름 코팅)의 배합물용으로 이미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리카 및 실리케이트를 이의 표면에 활성, 즉 이용 가능한 양이온성 부위를 발생시키도록 개질시키는 것은 종종 사용되는 음이온성 색소로 인한 오늘날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굴절률에 대한 혼입된 금속 이온의 영향 때문에, 추가의 이점이 투과성 매질에서의 용도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필름용 피막에서의 실리카/실리케이트의 용도와 관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 가능 매질의 제조시 첨가제로서 또는 광택 감소제(flatting agent)로서의 본 발명의 알루미늄 도핑된 실리카 및 각각 본 발명의 공정에서 제조된 도핑된 실리카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리카는 예를 들면, 잉크젯 용지용 피막 및 기타 인쇄 가능 매질, 예를 들면, 오버헤드 필름을 포함한 필름, 인쇄 가능 텍스타일, 직물 스크린 또는 일반적인 종이용 피막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카는 건조된 형태 및 임의로 연삭된 제품의 형태 뿐만 아니라분산액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가공 이점 및 비용 이점은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침강 실리카/실리케이트의 분산된 필터케이크의 용도에 있다.
본 발명의 침강 실리카는 예를 들면, DE 제117 22 45호, EP 제0 798 266호, DE 제314 42 99호 또는 DE 제107 45 5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란으로 처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추가로 소수성화시킬 수 있다.
제지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리카의 분산액을 제지 산업에서 통상적인 조제, 예를 들면, 폴리알콜, 폴리비닐 알콜,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안료(TiO2, Fe 옥사이드, Al 금속 필터) 뿐만 아니라 도핑되지 않은 실리카(침강 실리카 또는 에어로실)와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BET 표면적이 300㎡/g을 초과하고, 알루미늄이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30중량%인 현탁액의 형태로 실리카 입자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폴리비닐 알콜 및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를 포함하는 종이용 착색 피복 배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는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피복 배합물은 물, 라텍스,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르는 알루미늄으로 도핑된 침강 실리카는 광택 감소제로서 피복 물질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피복 물질은 예를 들면, 알키드 수지 피복 물질 또는 기타 베이킹 에나멜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고 설명하려는 것이다.
표준적으로 기재된 배합물은 침강 실리카 뿐만 아니라 열분해법 실리카도 포함하며, 이는 또한 색상 백색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강 실리카를 사용하는 경우, 열분해법 실리카를 가하지 않아도 더 우수한 결과가 수득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발명의 설명:
실시예 A1 내지 A3
침강 용기에 물 47kg과 규산나트륨(d = 1.35g/㎤, 모듈러스 SiO2: Na2O = 3.3) 16kg을 충전시키고 혼합물을 75℃로 교반시키면서 가열한다. 황산(50%, d = 1.340g/㎤)을 41.2㎖/min의 속도로 30분에 걸쳐 초기 침강 충전물로 계량 도입한다. 동시에, 황산알루미늄(d = 1.284g/㎤, 7.38중량%)을 제2 공급점을 경유하여 제1 침강 단계로 계량 도입한다. 25분 동안 침강시킨 다음, 전단 장치(Dispax reactor)를 켠다. 산 첨가의 종결 직후에, 실리카를 응집시키기 시작한다. 산 공급을 60분 동안 중단한다(대기 단계). 그 후, 산 첨가를 47.2㎖/분으로 추가의 35분에 걸쳐 지속하면서 동시에 황산알루미늄을 가한다. 후속적으로, 수득한 실리카 현탁액의 pH는 3.4이고 고형분 함량은 73.5g/ℓ이다. 전단 장치를 끈다.
현탁액을 필터 프레스를 통하여 통과시키고 세척하여 황산을 제거한다. 필터케이크를 분무 건조시키고 분말을 d50값이 10.5 내지 11.5㎛가 되도록 연삭시키고 후속적으로 분류한다.
건조 생성물은 다음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명칭 단위 실시예 A1 실시예 A2 비교 실시예 A3
Al2(SO4)3용액 [1] 0 0.26 2.25
계량 도입 속도 [㎖/분] 0
pH 6.0 7.1 6.4
비표면적 [㎡/g] 280 315 305
DBP 흡수 [g/100g] 320 310 240
탭핑된 밀도 [g/ℓ] 70 70 110
입자 크기 분포(Malvern)
d10 [㎛] 5.1 4.8 4.7
d50 [㎛] 11.4 11.0 10.1
d90 [㎛] 21.2 20.7 18.3
Al2O3함량 [%] 0 0.5 3.8
실시예 B1 내지 B3
착색 피복 슬립을 고형분 함량이 15% 및 14 내지 18%인 선형 실리카(straight silica)를 기본으로 하여 배합한다. 피복 슬립을 제조한 후 1일에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를 5, 10, 20, 50 및 100rpm에서 측정한다. 제조한 착색 피복 슬립을 표준 미처리지에 도포한 후 건조시키고 종이 샘플을 캘린더링(calendering)시킨다. 인쇄 시험을 HP 데스크젯(Deskjet) 550C 및 엡손 스타일러스 컬러(Epson Stylus Color) 800을 사용하여 4색 인쇄로 수행한다.
전체 평가는 혼입 용이성, 피복 거동, 피복 부착성, 부착 거동 및 인쇄적성을 포함한다.
잉크젯을 목적으로 착색 피복 슬립, 예를 들면, 특히 표준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비닐 알콜(PVA) 30부를 물 총량으로 혼입하고 95℃에서 용해시킨다. 후속적으로 실리카 또는 실리카 혼합물(침강 및 열분해법 실리카)을 1000rpm에서 혼입한 다음, 3000rpm에서 30분 동안 분산시킨다.
착색 피복 슬립은 통상적으로 첨가제 및 공결합제와 혼합하지 않는다. 착색 피복 슬립 배합물은 최적 특성을 추가로 강화시키지 않는다. 상이한 매질에 대한 피복 슬립 배합물은 특히 문헌[참조: Technical Information Bulletion No. 1212, Degussa-Huls, FP Division]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침강 실리카의 용도는 기타 배합물에 적용될 수 있다.
샘플을 다우 코터(Dow coator)를 사용하여 50m/분으로 시트상(DIN A4)으로 도포한다. 다우 터널 건조기(Dow tunnel dryer)에서 건조시킨 종이를 캘린더에 의해 9bar/45℃에서 글래이징시킨다. 종이를 HP 550C 및 엡손 스타일러스 컬러 800을 사용하여 4색 인쇄 모드로 인쇄한다.
명칭 단위 실시예 B1 실시예 B2 비교 실시예 B3 표준 배합물
침강 실리카 실시예 A1 실시예 A2 실시예 A3 Sip. 30/MOX 170
고형분 함량 [g/ℓ] 14 16 18 15
교반 후의짐도(브룩필드)[mPa*s] 5rpm 10240 6880 720 360
10rpm 5680 4520 640 420
20rpm 3180 3000 640 385
50rpm 1620 1830 680 300
100rpm 1030 1315 680 250
피막의 부착 중간 중간 중간 우수
피막의 평활성 중간-거침 중간 평활 평활-중간
HP 550C를 사용한 인쇄적성 평가
명칭 단위 실시예 B1 실시예 B2 비교 실시예 B3 표준 배합물
색상 강도 심홍색/황색/청록색 3+ 1 3+ 2
흑색 2- 2+ 2- 2
도트 선명도 흑색 색상 2 2+ 2+ 3
전환 컬러 색상 1 1 1 1
도트 밀도 흑색 인쇄 2- 2+ 2- 2
흑색 윤곽 2+ 2+ 2+ 3-
중간조 1- 1 1 2+
평가 합계 14 10 13.25 15.25
엡손 스타일러스 컬러 800을 사용한 인쇄적성 평가
명칭 단위 실시예 B1 실시예 B2 비교 실시예 B3 표준 배합물
색상 강도 심홍색/황색/청록색 2- 2+ 2+ 2
블랙 1- 1 1 2+
도트 선명도 흑색 색상 2+ 1 1 2
전환 컬러 색상 1- 1 1 1
도트 밀도 흑색 인쇄 1- 1 1 2+
흑색 윤곽 1- 1 1 2+
중간조 1- 1 1 1-
평가 합계 11.75 7.75 7.75 11.75
점도, 피막 및 인쇄적성의 전체적 평가는 잉크젯 매질에서의 이의 용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의 이점을 나타낸다.
색상 강도 도트 선명도 전환 도트 선명도 중간조 인쇄
심홍색/황색/청록색 흑색 흑색 색상 컬러 색상 흑색 인쇄 흑색 윤곽 색상 강도/윤곽
1+ 밝음,매우강함 1 전체 색상, 매우 강함 1 명확한 구별, 매우 우수 내지는 우수한 선명도 1 명확한 구별, 명백한 경계 1 전체색상,매우강함 1 명확한 구별, 매우 우수 내지는 우수한 선명도 1 회색조, 최적으로 명백하고 미세한 선 경계
1 무광택,매우강함 2 약간 진행, 여전히 우수 내지는 중간 선명도 2 약간 진행, 여전히 우수한 경계 2 약간 진행, 여전히 우수 내지는 중간 선명도 2 융합된 회색조, 미세한 선 경계
2 무광택,엷음 3 진행, 약간의 융합 3 최적으로 명확한 회색조, 미세한 선 융합
3+ 밝음,얼룩이있음 4 표백됨,엷은색상 4 블리드, 진행, 융합됨 4 표백됨,엷은색상 4 블리드, 진행, 융합됨 4 융합된 회색조, 미세한 선 융합
3 무광택, 얼룩이 있음 5 극심한 진행, 거의 알아볼 수 없음 5 극심한 진행 5 극심한 진행, 거의 알아볼 수 없음 5 암 내지 흑 회색조, 미세한 선 융합
3- 매우강함,대리석무늬 6 매우 표백된 색상 및/또는 대리석 무늬 6 매우극심한진행,불명확함,알아볼 수 없음 6 매우 극심산 진행, 중첩된 영역의 새로운 색상 6 매우 표백된 색상 및/또는 대리석 무늬 6 매우 심한 진행, 영역으로 침투, 불명확함, 알아볼 수 없음 6 완전히 흑색화된 회색조, 거의 알아볼 수 없는 미세한 선
4 무광택,대리석무늬
5 엷음,대리석무늬
6 매우무광택이고/거나대리석 무늬
본 발명으로 수득된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는 도료 등에 사용하기에 우수하다.

Claims (13)

  1. BET 표면적이 300㎡/g을 초과하고 알루미늄이 실리카 입자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
  2. 제1항에 있어서, Al2O3으로 도핑된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l2O3함량이 0.05 내지 0.5중량%인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핑된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 미만인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BP 흡수도가 500 내지 200g/100g인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
  6. 물과 규산나트륨의 혼합물을 70 내지 86℃로 가열하고 규산나트륨의 반이 중화될 때까지 황산을 가하는 단계(a),
    혼합물을 30 내지 120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b),
    혼합물의 pH를 황산을 가하여 3.0 내지 7.0으로 조절하는 단계(c),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케이크를 세척하는 단계(d),
    세척한 필터케이크를 분무-건조시키고/거나 연삭하는 단계(e)를 연속적으로 포함하며, 단 알루미늄 염 용액은 공정의 단계(a) 및/또는 단계(c)에서 계량 도입되고, 침강 실리카의 BEP 표면적은 300㎡/g을 초과하며, 알루미늄은 실리카 입자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염 용액이 공정의 단계(a)에서 황산을 가하기 전에 물과 규산나트륨의 혼합물에 첨가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염 용액이 공정의 단계(a) 및/또는 단계(c) 동안 계속해서 첨가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염 용액이 황산의 첨가 전에 공정의 단계(c)에서 첨가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정의 단계(a), 단계(b) 및 단계(c) 중의 하나 이상이 전단으로 수행되는 방법.
  11. 종이, 필름 또는 직물 스크린에서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의 용도.
  12. 피복 재료용 광택 감소제로서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의 용도.
  13. 알루미늄이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30중량%인 현탁액의 형태로 실리카 입자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폴리비닐 알콜과 BET 표면적이 300㎡/g을 초과하는 알루미늄 도핑된 침강 실리카를 포함하는, 종이용 착색 도료 제형.
KR1020010060568A 2000-09-30 2001-09-28 도핑된 침강 실리카 KR200200261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8616A DE10048616A1 (de) 2000-09-30 2000-09-30 Dotierte Fällungskieselsäure
DE10048616.9 2000-09-30
CA002364987A CA2364987A1 (en) 2000-09-30 2001-12-14 Doped precipitated silic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137A true KR20020026137A (ko) 2002-04-06

Family

ID=3207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568A KR20020026137A (ko) 2000-09-30 2001-09-28 도핑된 침강 실리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00267B2 (ko)
EP (1) EP1193220B2 (ko)
JP (1) JP3723113B2 (ko)
KR (1) KR20020026137A (ko)
CN (1) CN1344764A (ko)
AT (1) ATE250558T1 (ko)
CA (1) CA2364987A1 (ko)
CZ (1) CZ20013499A3 (ko)
DE (2) DE10048616A1 (ko)
ES (1) ES2204789T5 (ko)
HR (1) HRP20010710A2 (ko)
NO (1) NO20014782L (ko)
TR (1) TR2001026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17B1 (ko) * 2002-09-06 2009-12-14 에보닉 데구사 게엠베하 침강 실리카를 기본으로 하는 고효율 소광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2449A1 (de) * 2000-12-14 2002-06-20 Degussa Dotierte Fällungskieselsäure
FR2818966B1 (fr) * 2000-12-28 2003-03-07 Rhodia Chimie Sa Procede de preparation de silice precipitee contenant de l'aluminium
DE10123950A1 (de) * 2001-05-17 2002-11-28 Degussa Granulate auf Basis von mittels Aerosol mit Aluminiumoxid dotiertem, pyrogen hergestelltem Siliziumdioxi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7138162B2 (en) * 2002-06-26 2006-11-21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recording element
US6984033B2 (en) * 2002-06-26 2006-01-10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printing method
FR2843894B1 (fr) * 2002-08-30 2004-11-12 Rhodia Chimie Sa Compose forme de silice precipitee et de phosphate et son utilisation comme support de liquide a apport nutritionnel et comme agent antimottant a apport nutritionnel
DE102004034651B4 (de) * 2004-07-16 2008-04-24 Felix Schoeller Jr. Foto- Und Spezialpapiere Gmbh & Co. Kg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mit verbesserter Ozon- und Lichtstabilität
US7037476B1 (en) 2004-12-27 2006-05-02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preparing amorphous silica from kimberlite tailing
WO2007054955A1 (en) * 2005-11-10 2007-05-18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dium silicate from kimberlite tailings
EP2465605A3 (en) 2010-12-20 2014-04-30 Sachtleben Chemie GmbH Titania-supported hydrotreating catalysts
US9309126B2 (en) 2014-02-28 2016-04-12 Pall Corporation Rapidly dissolvable nanoparticles
US9446355B2 (en) 2014-02-28 2016-09-20 Pall Corporation Porous polymeric membrane with high void volume
US9776142B2 (en) 2014-02-28 2017-10-03 Pall Corporation Porous polymeric membrane with high void volume
US9610548B2 (en) 2014-02-28 2017-04-04 Pall Corporation Composite porous polymeric membrane with high void volume
US9737860B2 (en) 2014-02-28 2017-08-22 Pall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hexagonal voids
US9302228B2 (en) 2014-02-28 2016-04-05 Pall Corporation Charged porous polymeric membrane with high void volume
US9561473B2 (en) 2014-02-28 2017-02-07 Pall Corporation Charged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hexagonal voids
US9764292B2 (en) 2014-02-28 2017-09-19 Pall Corporation Porous polymeric membrane with high void volume
CN107848818B (zh) * 2015-07-17 2021-09-03 东洋制罐集团控股株式会社 多孔质二氧化硅和包含该多孔质二氧化硅的除臭剂
CN105214603B (zh) * 2015-11-13 2018-01-02 冷水江三A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介质复合吸附剂的制备方法
JP6929518B2 (ja) * 2016-01-21 2021-09-0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孔質シリカ、及び、消臭剤
KR20240019385A (ko) * 2017-05-05 2024-02-14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침전 실리카 및 이의 제조 방법
JP7490645B2 (ja) * 2018-11-08 2024-05-27 ローディア オペレーションズ 沈降シリカ及びその製造プロセス
KR20210088562A (ko) * 2018-11-08 2021-07-14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침전 실리카 및 이의 제조 공정
CN110316738B (zh) * 2019-07-03 2022-07-26 福建正盛无机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铝杂化高分散性白炭黑的制备方法
JP7406354B2 (ja) * 2019-11-20 2023-12-27 東ソー・シリカ株式会社 水性塗料用表面処理沈降シリカ
CN115667436A (zh) 2020-06-03 2023-01-31 东曹硅化工株式会社 涂料消光用表面处理含水硅酸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4559B (de) 1960-02-04 Chemische Fabrik Wesseling Aktiengesellschaft, "Wesseling (Bez. Köln) Verfahren zum Hydrophobieren von feinteiliger Kieselsäure
DE1172245B (de) 1963-01-23 1964-06-18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ydrophoben nassgefaellten Kieselsaeure
DE1245006B (de) 1965-07-09 1967-07-20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atriumaluminiumsilicat-Pigmentes
FR2453880A1 (fr) 1979-04-13 1980-11-07 Rhone Poulenc Ind Nouveau pigment a base de silice sous forme de bille, procede pour l'obtenir et application, notamment comme charge renforcante dans les elastomeres
DE3144299A1 (de) 1981-11-07 1983-05-19 Degussa Ag, 6000 Frankfurt Faellungskieselsaeuren mit hoher struktu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R2671068B1 (fr) * 1990-12-28 1993-04-23 Rhone Poulenc Chimie Nouvelles silic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charges notamment pour papiers.
ES2092850T3 (es) * 1993-08-07 1996-12-01 Degussa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 acido silicico de precipitacion.
FR2732328B1 (fr) * 1995-03-29 1997-06-20 Rhone Poulenc Chimie Nouveau procede de preparation de silice precipitee, nouvelles silices precipitees contenant de l'aluminium et leur utilisation au renforcement des elastomeres
US5484681A (en) 1994-10-31 1996-01-16 Xerox Corporation Conductive composite particl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FR2732351B1 (fr) * 1995-03-29 1998-08-21 Michelin & Cie Composition de caoutchouc pour enveloppe de pneumatique renfermant de la silice dopee aluminium a titre de charge renforcante
JP3107735B2 (ja) * 1995-09-29 2000-11-13 株式会社トクヤマ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ATE168663T1 (de) 1996-03-27 1998-08-15 Degussa Fällungskieselsäure
DE19847161A1 (de) * 1998-10-14 2000-04-20 Degussa Mittels Aerosol dotiertes pyrogen hergestelltes Siliciumdioxid
US6279633B1 (en) * 1999-03-23 2001-08-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EPDM-based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17B1 (ko) * 2002-09-06 2009-12-14 에보닉 데구사 게엠베하 침강 실리카를 기본으로 하는 고효율 소광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4782L (no) 2002-04-02
US6800267B2 (en) 2004-10-05
JP2002201380A (ja) 2002-07-19
CZ20013499A3 (cs) 2002-09-11
CA2364987A1 (en) 2003-06-14
NO20014782D0 (no) 2001-10-01
TR200102679A2 (tr) 2002-05-21
CN1344764A (zh) 2002-04-17
EP1193220B2 (de) 2016-01-20
DE50100670D1 (de) 2003-10-30
JP3723113B2 (ja) 2005-12-07
US20020061404A1 (en) 2002-05-23
ATE250558T1 (de) 2003-10-15
EP1193220A1 (de) 2002-04-03
DE10048616A1 (de) 2002-04-11
ES2204789T3 (es) 2004-05-01
ES2204789T5 (es) 2016-04-22
HRP20010710A2 (en) 2002-12-31
EP1193220B1 (de) 200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6137A (ko) 도핑된 침강 실리카
KR100499440B1 (ko) 도핑된 침강 실리카
RU2311432C2 (ru) Пигмент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окрытиях регистрирующей среды струйных систем и способы его получения
CA2453936C (en) High surface area aggregated pigments
EP1081197B1 (en) Ink jet recording paper incorporating milled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pigment
KR100948121B1 (ko) 수성 분산물 형태의 안료 조성물
CA2123407A1 (en) Synthetic, monodispersed color pigments for the coloration of media such as printing ink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6478865B1 (en) High surface area aggregated pigments
JP5717032B2 (ja) ナノ粒子鉱物顔料
US20140234639A1 (en) Self binding nano particle mineral pigment
MXPA97007114A (en) Paper for registration with ink jet that incorporates novedous pigment of calcium carbonate precip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