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021A -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021A
KR20020025021A KR1020010058418A KR20010058418A KR20020025021A KR 20020025021 A KR20020025021 A KR 20020025021A KR 1020010058418 A KR1020010058418 A KR 1020010058418A KR 20010058418 A KR20010058418 A KR 20010058418A KR 20020025021 A KR20020025021 A KR 2002002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imbap
laver
rice laye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열
Original Assignee
박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열 filed Critical 박호열
Priority to KR102001005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5021A/ko
Publication of KR2002002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0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층 이상의 밥층을 두고 그 사이에 김밥속(내부재료층)을 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섭취하기 편하고, 포장 및 휴대가 간편하며, 김 특유의 씹는 맛 및 향을 느낄 수 있고, 김밥속(내부재료)이 골고루 넣어져 맛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크 아웃 문화와도 잘 어울릴 수 있도록 한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김밥 및 그 제조방법{LAVER RICE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2층 이상의 밥층을 두고 그 사이에 내부재료층을 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낱장의 김(1) 위에 밥(2)을 넓게 펼친 후, 그 위에 단무지, 시금치, 당근, 오이 등 야채와 기호에 따라 소시지, 고기 등을 길이 방향으로 김밥속(3;내부재료)을 배열한 다음 이를 김(1)과 함께 말아 통김밥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종래 김밥은 섭취할 때 먹기 적당하도록 소정 크기로 잘라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종래 김밥은 적당한 크기로 자른 상태에서 이를 포장하기가 다소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포장부피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김밥은 제조 후 수시간이 지나면 밥의 수분에 의해 김이 눅눅해져 김 특유의 씹는 맛을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김밥은 밥을 넓게 펼친 후, 그 위에 내부재료를 길이 방향으로 배열한 다음 이를 김과 함께 말아 만듦으로서, 내부재료를 김밥 전체에 골고루 넣기 힘들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맛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김밥은 휴대 및 포장이 번거로워 젊은층에 널리 퍼진 '테이크 아웃(take out;음식을 주문, 포장해서 갖고 나간다는 의미) 문화'와도 상충되는 면이 많아 외래 음식에 대항하여 우리 입맛에 맞는 고유 음식을 널리 확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섭취하기 편하고, 포장 및 휴대가 간편하며, 김 특유의 씹는 맛 및 향을 느낄 수 있고, 김 속(내부재료)이 골고루 넣어져 맛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크 아웃 문화와도 잘 어울릴 수 있도록 한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김밥의 모양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1,17 : 김 12,16 : 비닐
13 : 제1밥층 14 : 김밥속(내부재료층)
15 : 제2밥층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은,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밥층과, 밥층 사이에 위치하는 김밥속과, 김밥속와 접하는 밥층의 외측면에 김이 부착된다. 또, 밥층의 외면과 김 사이에 밥의 수분에 의해 김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습재가 더 포함된다. 또한, 김밥속과 김은 밥층의 소정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김밥 제조방법은, 밥을 소정형상으로 성형하는 밥층성형과정과, 밥층성형과정에서 성형된 밥층사이에 미리 만들어진 김밥속을 위치시키는 김밥속위치과정과, 김밥속이 그 사이에 내재된 밥층의 외측면에 김을 부착시키는 김 부착과정을 포함한다. 또, 밥층의 외측면에 김을 부착하기전 밥의 수분에 의해 김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습재를 삽입하는 과정이 더 포함한다. 또한, 밥층성형과정에 앞서 밥을 갖은 양념을 이용하여 비빔 조리하는 조리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 밥층성형과정에서 성형된 밥층의 일측면을 열원에 의해 굽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밥층성형과정에서 성형된 밥층의 일측면에 기호에 따라 향료나 기타 소스 등을 첨가한 기호첨가물을 바르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 김 부착과정은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밥층과 김밥속이 보이지 않도록 전체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김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제1밥층(13)과 제2밥층(15), 이 제1밥층(13)과 제2밥층(15) 사이에 위치한 김밥속(14;내부재료) 및 제1밥층(13)과 제2밥층(15)의 외면에 부착된 김(11,17)을 포함한다.
또, 제1밥층(13)과 제2밥층(15)의 외면에 각기 부착된 김(11,17)이 밥의 수분에 의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밥층(13,15)의 외면과 김(11,17) 사이에 삽입된 방습재질의 방습재, 일례로 비닐(12,1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김(11,17)이 눅눅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김과 접하는 밥층(13,15)의 일측 외면만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씹는 맛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방습재질의 비닐(12,16)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김밥속(14)은 갖은 야채와 양념된 육류 등을 씹는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소정크기로 자른 다음 이를 마요네즈나 기타 점성이 있는 식용재료로 버무려 성형시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1밥층(13)과 제2밥층(15) 및 김밥속(14)의 소정형상은 원형, 타원, 삼각, 사각, 다각형 및 하트 등의 모양 등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소정형상을 갖는 틀에 의해 성형된다. 또, 도 1에서는 김밥속(14)이 일층만으로 도시되었으나, 밥층(13,15)을 다수층 만들고 그 사이에 각각 김밥속(14)을 넣을 경우라도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임을 명확관화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밥층(13,15)을 각종 양념과 더불어 비빔 조리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을갖도록 압착 성형할 수 있음도 본 발명의 요지임은 자명하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밥을 소정형상(일례로 원형, 타원, 삼각, 사각, 다각형, 하트 등)으로 압착 성형하는 밥층성형과정과, 갖은 재료와 양념을 이용하여 김밥속(14)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으로 압착 성형하는 김밥속성형과정과, 미리 소정형상으로 만들어진 김과 비닐 등을 이용하여, 밥층(13)과 밥층(15) 사이에 김밥속(14)이 위치하도록 하고 밥층(13,15)의 외측면에 비닐(12,16)과 김(11,17)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완성시키는 조립과정을 본 발명은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밥층성형과정에 앞서 밥을 갖은 양념(일례로 후추, 소금, 간장, 참기름, 고추장 등)을 이용하여 비빔 조리하는 조리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밥층(13,15)의 일측면을 열원에 의해 가열하여 그 표면을 노릇노릇하게 익히(굽)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김(11,17)과 접하는 밥층(13,15)면의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씹는 맛을 배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밥의 수분에 의해 김(11,17)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닐(12,16)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밥층(13,15)의 일측면에 기호에 따라 향료나 기타 소스 등을 첨가한 기호첨가물을 바르는 첨가과정을 더 포함한다. 일례로, 기호첨가물은 식품의 품질,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가함으로서 특유의 냄새 또는 맛을 내기 위한 것이다.
또, 미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김밥은 밥층(13,15) 및 김밥속(14)이 보이지 않도록 김으로 전체를 감싸는 김밥형상 및 그 제조과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은 수동 및 자동화가 모두 가능한 것으로, 소정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밥층(13,15)과 김밥속(14)을 각각 성형하고 이를 컨베어로 이송시켜 미리 소정형상으로 절단된 비닐(12,16)과 김(11,17)을 부착함으로서 완성시킬 수 있다.
또,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밥층(13)에 미리 준비된 김밥속(14)을 골고루 펼쳐 놓은 다음 그 위에 다시 밥층(15)을 올려 놓음으로서 김밥을 완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각형상이나 소정형상으로 잘랐을 경우 자투리부분이 남지 않는 경우에는 밥층(13,15) 사이에 김밥속(14)을 채우고, 절단기를 통하여 절단함으로서 소정형상을 갖는 다수의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비닐(12,16)과 김(11,17) 등의 부착 과정은 절단 전이나 후에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은 하나의 밥층(13또는 15) 두께를 1.5cm 내로 압착 성형하였을 경우 대략 김밥전체의 두께가 3.5cm 정도를 갖게되어 섭취하기에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밥층(13,15)의 넓이를 임으로 조절할 경우 한 끼의 식사대용으로도 훌륭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완성된 김밥이 소정의 두께를 갖음으로서 섭취하기 편리하고 밥층의 성형시 그 넓이를 조절할 경우 한 끼의 대용으로도 그 양이 충분하여 간식 및 패스트 푸드로서 훌륭한 효과를 발휘할수 있다.
또,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김밥을 소정형상(일례로,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하트형, 성(星)형 등)으로 만듦으로서 시각적 효과와 함께 타제품과의 차별성을 더욱 부가시켜 판매촉진 및 제품의 출처를 명확이 구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은 낱개로 포장되므로서 포장이 용이하고 운송시 에도 파손율이 낮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은 밥층과 김 사이에 비닐 등이 삽입되므로서 밥의 수분에 의해 김이 눅눅해지는 현상이 없어 제조 후 수시간이 지나더라도 김 특유의 씹는 맛 및 향미를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은 밥층 사이에 김밥속이 골고루 넣어짐으로서 섭취시 일정한 품질의 맛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은 휴대 및 포장이 간편하여 젊은층에 널리 퍼진 '테이크 아웃(take out;음식을 주문, 포장해서 갖고 나간다는 의미) 문화'와도 잘 어울려 외래 음식에 대항하여 우리 입맛에 맞는 고유 음식을 널리 확산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밥과 김을 포함하여 만들어지는 김밥에 있어서,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밥층과,
    상기 밥층 사이에 위치하는 김밥속과,
    상기 김밥속와 접하는 밥층의 외측면에 김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층의 외면과 김 사이에 밥의 수분에 의해 김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습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속과 상기 김은 상기 밥층의 소정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4. 밥과 김을 포함하여 만들어지는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밥을 소정형상으로 성형하는 밥층성형과정과,
    상기 밥층성형과정에서 성형된 밥층사이에 미리 만들어진 김밥속을 위치시키는 김밥속위치과정과,
    상기 김밥속이 그 사이에 내재된 밥층의 외측면에 김을 부착시키는 김 부착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밥층의 외측면에 김을 부착하기전 밥의 수분에 의해 김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습재를 삽입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밥층성형과정에 앞서 밥을 갖은 양념을 이용하여 비빔 조리하는 조리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밥층성형과정에서 성형된 밥층의 일측면을 열원에 의해 굽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밥층성형과정에서 성형된 밥층의 일측면에 기호에 따라 향료나 기타 소스 등을 첨가한 기호첨가물을 바르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김 부착과정은 소정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밥층과 상기 김밥속이 보이지 않도록 전체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KR1020010058418A 2001-09-18 2001-09-18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5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418A KR20020025021A (ko) 2001-09-18 2001-09-18 김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418A KR20020025021A (ko) 2001-09-18 2001-09-18 김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021A true KR20020025021A (ko) 2002-04-03

Family

ID=1971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418A KR20020025021A (ko) 2001-09-18 2001-09-18 김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50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383A1 (en) * 2003-01-16 2004-07-29 Heui-Joo Cho Method of preparing koturi kimba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9656A (ja) * 1986-05-15 1987-11-24 Okabe:Kk サンドイツチ状飯おにぎり及びその製法
JPS6394946A (ja) * 1986-10-13 1988-04-26 Kisaku Suzuki 角形おむすびサンドの成形方法
JPH0360941A (ja) * 1989-07-26 1991-03-15 Okuma Mach Works Ltd パラメータ対応式工具搬送速度制御方法
KR910009185A (ko) * 1989-11-10 1991-06-28 한천수 식품 제조방법
JPH065488U (ja) * 1992-06-25 1994-01-25 和江 遠藤 フィルムに包装された握り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9656A (ja) * 1986-05-15 1987-11-24 Okabe:Kk サンドイツチ状飯おにぎり及びその製法
JPS6394946A (ja) * 1986-10-13 1988-04-26 Kisaku Suzuki 角形おむすびサンドの成形方法
JPH0360941A (ja) * 1989-07-26 1991-03-15 Okuma Mach Works Ltd パラメータ対応式工具搬送速度制御方法
KR910009185A (ko) * 1989-11-10 1991-06-28 한천수 식품 제조방법
JPH065488U (ja) * 1992-06-25 1994-01-25 和江 遠藤 フィルムに包装された握り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383A1 (en) * 2003-01-16 2004-07-29 Heui-Joo Cho Method of preparing koturi kimb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703B2 (en) Fill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food product
JP7153707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た巻寿司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調理方法
US20180064118A1 (en) Fill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food product
CN102726483A (zh) 带馅油炸食品
KR20140112624A (ko)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KR20020025021A (ko) 김밥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16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ushi Rolls
US20060121169A1 (en) Artistic pasta and method of making
KR101505178B1 (ko)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200422483Y1 (ko) 김밥 포장지
JP2008035754A (ja) 焼き稲荷飯、焼き稲荷飯弁当及び焼き稲荷飯の製造方法
US20130330443A1 (en) Food product
KR100506147B1 (ko) 라이스 커틀릿 및 그의 제조방법
JP3129104U (ja) 串刺しおでん食品
KR101598072B1 (ko) 스시 전용 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스시 전용 김
JP3207185U (ja) 巻層構造体を含む食品
JP2002136264A (ja) 肉寿司
GB2276306A (en) Snackfood product
KR20220076997A (ko) 토핑을 포함하는 만두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49220A (ko) 시루김밥과 시루스테이크
JP3163790U7 (ko)
KR20140113613A (ko) 주먹밥 성형틀
JP4481403B2 (ja) ソフトサラミソーセージ入り竹輪及びその製造方法
NZ527701A (en) Food product comprising a rice mixture and an edible filling or topping, which has been heated until it is caramelised
JP2008278874A (ja) 昆布加工食品及び昆布加工食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