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633A - 세정수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세정수 - Google Patents

세정수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세정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633A
KR20020023633A KR1020010007773A KR20010007773A KR20020023633A KR 20020023633 A KR20020023633 A KR 20020023633A KR 1020010007773 A KR1020010007773 A KR 1020010007773A KR 20010007773 A KR20010007773 A KR 20010007773A KR 20020023633 A KR20020023633 A KR 20020023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cell
electrolyzed
cathod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8444B1 (ko
Inventor
마사유키 다카하시
요시카즈 나카가와
키요시 니시무라
토시야스 히로카와
Original Assignee
다카하시 마사유키
다카하시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시 마사유키, 다카하시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시 마사유키
Publication of KR2002002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분해에 의한 알칼리성 물 보다도 높은 방청효과를 얻고, 안전성과 세정품질을 함께 성취할 수 있는 세정수를 얻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의 양극을 이보다 작은 직경이면서 원통형상인 음극의 바깥에 배치되고, 양극 사이에 이온투과성의 격막을 갖춘 전해조를 이용하여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한편, 얻어진 알칼리성 물은 용존수소농도가 0.01mg/L 이상이며 용존산소농도가 6mg/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이다.

Description

세정수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세정수{A method and a contrivance of producing a wash, and a wash itself}
본 발명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알칼리성인 세정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지세정(脫脂洗淨)에서는 지금까지 플론(flon) 113이나, 1·1·1-트리클로르에탄(trichloroethane)으로 대표되는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세정액이 대량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오존층의 파괴나, 지하수 또는 토양오염 등의 환경파괴가 지적되어서, 대부분의 물질이 사용금지로 되어 있다. 이들을 대신하는 대체 세정방법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각종 세정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각각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체 세정방법은 수계(水系)와 준수계 및 비수계로 크게 나누어진다.
수계는 알칼리세제 또는 중성세제 등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맑은 물 또는 순수한 물만으로 세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어느 수계 세정방법에서도 금속, 특히 철강을 세정하는 경우에는 녹의 발생이 문제로 되는 일이 많고, 건조공정에서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필요로 하거나, 방청제를 함께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세제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헹굼공정이 필요하거나, 세제의 농도관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 세제에 포함된 계면활성제에는 내분비 교란작용을 의심케 하는 성분(알킬페놀, 노닐페놀 등)을 포함하고 있는지 분해에 의해 일어나는 위험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맑은 물이나 순수한 물만으로의 세정에서는 충분한 세정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었다.
준수계는 글리콜에테르나 알코올, 에스테르 등을 물과 혼합한 세정액을 이용하는데, 인화(引火)의 위험성이 있다. 또, 헹굼공정이 필요하거나, 방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은 수계와 유사하다.
비수계는 알코올이나 탄화수소 등의 인화성 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폭대책이 필요하다. 또, 용제 중에는 건조가 느리게 되는 것도 있고, 건조설비를 대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운데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0-192860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알칼리성 물을 세정수로 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 방식은 계면활성제나 알칼리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맑은 물이나 공업용수 등을 원료로 전기분해를 한 알칼리성 물로 함으로써, 물의 세정력을 높이는 것이다.
물의 안전성을 해치지 않고서, 세정력을 높이게 되기 때문에 대체 세정으로서 효과가 있다.
또한, 알칼리성 이온수는 다른 물세정방식과 비교하여 녹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이는 모든 금속에서 장기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물세정인 이상 방청대책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다른 물세정과 동일하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137287호에서는, 전기분해에 의해 얻어진 알칼리성 물을 철가공품의 세정에 이용하는 경우에 산성이온수로 세정을 하고 나서 알칼리성 물로 세정하는 방법이 나타내어져 있다.
하지만, 산성이온수는 금속부식성이 있기 때문에, 도금 등의 표면처리가 되지 않고 철의 바탕이 노출된 철강 또는 주철제품에서는 산성이온수로 세정을 하는 단계에서 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의 전기분해에서는 수돗물에 포함된 전해질이 적기 때문에, 전해질을 첨가시키지 않고서 전기분해를 행하면 충분한 전해전류가 흐르지 않고, 요구되는 pH의 알칼리성 물이 대체로 얻어지지 않게 되어, 염화나트륨이나 염화암모늄 등의 전해질을 첨가하고 있다. 하지만, 첨가물이 많게 되면 생성된 알칼리성 물속에 잔류성분이 많게 되고, 건조얼룩(물자국(watermark))이 발생하기 쉬우며, 세정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이, 전해조의 내부구조에 있어서, 전극과 격막의 사이에 있는 스페이서 (spacer)가 전해조와 같은 티탄제나 다른 금속제로 된 경우가 있는데, 부식되기 어려운 티탄-백금의 도금제인 스페이서로 되더라도 장기간의 사용에서는 부식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분해에 의한 알칼리성 물 보다도 높은 방청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안전성과 세정품질을 함께 성취할 수 있는 세정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조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전류 공급전원회로의 회로도,
도 4는 전해전압의 파형도이다.
1 : 음극 2 : 양극
3 : 격막 4 : 전해조의 상부홀더
5 : 전해조의 하부홀더 6 : 원수용 수도관
7 : 산성 수도관 8 : 알칼리성 수도관
9 : 음극실 10 : 양극실
11 : 평활회로 12 : 전원
13 : 스페이서 14 : 교류전원
15 : 트랜스 16 : 브릿지 다이오드
17 : 콘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기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물의 pH값이 8.0 내지 13.0이거나, 산화환원전위가 -100mV ~ -1000mV인 세정수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원통형상의 양극은 이보다 작은 직경이면서 원통형상인 음극의 바깥에 배치되고, 양극(兩極) 사이에 이온투과성의 격막을 갖춘 전해조를 이용하여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이면서, 이의 제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세정수의 제조방법에서 이온투과성의 격막에 경계지어진 양극실과 음극실의 용적비율이 5:5 ~ 8:2로 된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이고, 또한 이의 제조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세정수의 제조방법에서 이온투과성의 격막과 전극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의 재질이 폴리올레핀으로 된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이고, 또한 이의 제조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세정수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조와 전해전류 공급전원회로의 전파(全波)정류회로 사이에 평활회로를 설치하고, 전해조에 평탄화된 파형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이고, 또한 이의 제조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세정수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조의 음극표면에서의전류밀도를 0.1A/dm2~ 3.0A/dm2의 조건으로 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세정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성 물중의 용존수소농도가 0.01mg/L 이상이며 용존산소농도가 6mg/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원통형상의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해이온수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265861호가 있는데, 이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투과성의 격막을 설치하여 양극실과 음극실로 경계짓고, 이 양극실과 음극실의 용적비율을 4:6 ~ 2:8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해조는 살균수로 사용되는 산성수를 생성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세정에 이용하는 알칼리성 물을 얻기 위해 충분히 고려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칼리성 물을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양극(2)을, 이보다 직경이 작으면서 원통형상인 음극(1)의 바깥에 배치되고, 양극(兩極)의 사이에 이온투과성의 격막(3)을 갖춘 전해조를 이용하는 것이 세정수로 사용되는 알칼리성 물의 생성에 유용한 것임을 발견하였다.
원수(原水)는 원수용 수도관(6)을 통해서 격막(3)으로 경계지어진 음극실(9)과 양극실(10)로 유입된다. 음극(1)과 양극(2)에는 전원(12)의 전력을 평활회로(11)에서 평탄화시킨 전압이 인가된다. 원수는 전기분해되어 양극쪽의 산성 수도관 (7)으로부터 산성수가, 그리고 음극쪽의 알칼리성 수도관(8)으로부터 알칼리성 물이 분출된다. 참조번호 4는 전해조의 상부홀더이고, 참조번호 5는 전해조의 하부홀더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음극실(9)은 양극실(10)의 안쪽에 배치되어서 음극의 표면적이 양극의 표면적 보다도 작게 된다. 그 결과, 음극쪽의 전류밀도가 높게 되고 양이온(Kation)이 음극실에 쉽게 집중되는 것에 의해서, 음극실을 양극실의 바깥에 배치하는 구조인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전기에너지로 알칼리성 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수 중에 포함된 전해질이 적더라도 효율적으로 전기분해를 할 수 있으며, 원수의 수질에 따라서는 전해질을 첨가시키지 않아도 세정력이 있는 알칼리성 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알칼리성 물에 포함된 잔류성분이 감소되고, 건조얼룩(물자국)을 줄일 수 있다. 잔류이온도 감소하기 때문에, 전자부품 등의 정밀기기의 세정에도 응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전해조에 접속된 전원회로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다이오드(16)와 전해조 사이에 평활회로로서의 콘덴서(17)를 추가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압파형이 평탄하게 되고, 전해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참조번호 14는 교류전원이고, 참조번호 15는 트랜스를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17)를 설치하지 않은 전파정류만의 회로에서는 전압이 0V에서 최고전압까지 주기적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통전 중의 약 30%는 최고전압의 1/2 이하밖에인가되지 않고, 전기분해가 불완전하게 되는 시간이 있었다. 반면에, 평활회로를 추가하는 것으로 전압이 평탄하게 되고, 전압변동도 10% 이내로 감소되며, 통전시간 전체에 걸쳐 균일한 조건에서 전기분해를 할 수 있다. 평활회로로서 사용되는 콘덴서의 용량은 전해조의 전기용량에 맞추어 최적화한다. 또, 콘덴서 이외에도 전력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기능이 있으면, 평활회로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기분해를 수행하면, 얻어지는 알칼리성 물에 포함된 용존수소농도가 0.01mg/dm3이상으로 되고, 용존산소농도를 6mg/ dm3이하로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수중의 용존산소는 금속을 부식시키는 성질이 강하고, 철강에 대해서는 용존산소농도 15mg/dm3까지의 범위에서는 농도에 비례하여 부식속도가 빠르게 되는 경향이 있는 바, 용존산소를 감소시킨 알칼리성 물은 통상의 알칼리성 물 보다도 철강이나 다른 금속에서 녹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용존산소가 감소되는 작용은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기체가 수중으로 용해되는 것은 헨리(Henry)의 법칙에 의해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 전기분해에 의해서 음극쪽에 발생하는 수소가 충분히 많으면, 음극실내의 수소분압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산소분압이 감소한다. 산소분압을 낮추게 되면, 용존산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전해조 구조에 의해 음극쪽의 전해효율이 개선되는 것과, 전원회로에 평활회로를 설치함으로써 음극의 전위를 수소 과전압 이상으로 할 수 있는 시간이 길게 되어서, 음극실내에서의 수소발생이 증가하고, 용존산소가 적은 알칼리성 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서는 전해전류의 전류밀도를 0.1A/dm2~ 3.0A/dm2의 범위로 함으로써, 수소발생을 가장 효율적인 상태로 하면서, 알칼리성 물의 pH와 산소환원전위를 소정의 범위의 값으로 할 수가 있다.
더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의 격막을 음극으로부터 이격되게 하기 위한 스페이서(13)의 재질에 대해서는, 이들을 금속제로 하면 음극표면의 전류밀도에 의해 서서히 부식작용을 받게 되는데, 폴리올레핀제로 함으로써 부식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여기에 이용된 세정수(제 1실시예)는 원수로 수돗물(일본국 시가켄 히가시아자이군 비와초의 수돗물)을 이용하고, 이를 연수(軟水)장치(일본연수(주)가 제조한 모델명 ME-5S형, 사용 이온교환수지:스틸렌계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나트륨형))에 통과시켜 칼슘이온농도 및 마그네슘이온농도를 0.005mmol/dm3이하로 하였다. 전해질의 첨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기 물을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의 격막을 갖춘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를 하고, 알칼리성 물을 얻어 이를 세정수로 하였다. 전기분해의 조건은 인가전압이 직류 60V이고, 음극표면에서의 전류밀도가 1.0A/dm2, 생성량이 2L/분이다. 양극실과 음극실의 용적비율은 6:4 이다. 여기에 이용된 전해조는 양극이 티탄을 모재로 하여 백금을 도금한 것으로, 직경은 101.6mm이고 길이가 400mm이며, 음금은 SUS 304로서, 직경이 76.3mm이고 길이는 400mm이다. 격막은 (주)유아사 코포레이션이 제조한 이온투과성 중성막을 사용하였다. 격막의 스페이서에는 폴리에틸렌제 네트를 원통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비교예 1부터 비교예 5까지의 알칼리성 물을 아래의 조건으로 생성하였다.
비교예 1의 알칼리성 물은 제 1실시예의 전해조에 있는 양극과 음극을 반대로(즉, 바깥을 음극으로, 그리고 안쪽을 양극으로) 하여 생성되었다.
비교예 2의 알칼리성 물은 제 1실시예의 양극실과 음극실의 용적비율을 4:6으로 하여 생성시켰다.
비교예 3의 알칼리성 물은 제 1실시예의 전해전류 공급전원회로의 평활회로를 떼어내고 생성시킨 것이다.
비교예 4의 알칼리성 물은 제 1실시예의 전류밀도를 0.05A/dm2으로 하여 생성시킨 것이다.
비교예 5의 알칼리성 물은 제 1실시예의 전류밀도를 5.0A/dm2으로 하여 생성시킨 것이다. 전극의 길이는 전류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양극과 음극을 같이 100mm로 하였다.
제 1실시예와 비교예 1부터 비교예 5까지의 전기분해의 조건과, 생성된 알칼리성 물의 성질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제 1실시예의 전해조건과 생성된 알칼리성 물의 성질
제 1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음극의 배치양극의 배치
용적비율(양극실 :음극실) 6 : 4 6 : 4 4 : 6 6 : 4 6 : 4 6 : 4
전극길이(mm) 400 400 400 400 400 100
평활회로 있음 있음 있음 없음 있음 있음
전류밀도(A/dm2) 1.0 1.0 1.0 1.0 0.05 5.0
인가전압(V) 60 60 60 60 5 75
pH 11.2 10.0 10.1 9.8 8.2 9.7
산화환원전위(mV) -827 -659 -620 -643 -213 -594
용존수소농도(mg/dm3) 0.043 0.006 0.004 0.008 0.001 0.012
용존산소농도(mg/dm3) 3.2 7.8 5.2 6.7 8.1 8.3
상기 알칼리성 물을 세정수로 하여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세정성과 방청성 및 세정후의 외관품질을 비교하였다.
피세정물로는, 샘플 A가 100×50×t1mm의 크기인 일반용 냉간압연강판(SPCC)이고, 샘플 B가 100×50×t1mm의 크기인 디프드로잉(deep drawing)용 냉간압연강판 (거친 마무리;SPCE-D)을 사용하였다. 이들에 프레스가공유(일본공작유주식회사의 PG-3066)를 도포하고, 각 세정수를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세정하며, 온풍건조시켜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실내에 방치하였다. 세정조건은 세정수의 온도가 60℃이고, 스프레이압은 0.5MPa이며, 세정시간은 2분, 세정수량은 15L/분으로 한다.
평가방법은 세정수에 대해서는 세정 후 온풍건조시킨 피세정물을 25%의 먹물수용액에 1분간 담그고 나서 끌어올려 자연건조시킨 후에, 표면에 남아있는 먹물의상황을 관찰하여 판단하였다.
또한, 방청성은 먹물수용액에 담그지 않은 피세정물을 실내에 방치하고서 녹의 발생상황을 관찰하여 판단하였다.
세정 후의 외관품질에 대해서는 건조얼룩(물자국)의 유무를 눈으로 보고 확인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제 1실시예의 세정평가결과
제 1실시예 비교에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세정성(먹물시험)
방청성(실내방치) × ×
외관품질(건조얼룩)
표 2에서, 세정성의 ◎는 먹물이 젖은 정도가 100%이고, ○는 85%이상이며, △는 60%이상을 나타낸다. 방청성의 ◎는 40일을 방치하여서 샘플 A,B가 모두 녹의 발생이 없고, ○는 40일을 방치하여 샘플 B에만 녹의 발생이 있고, △는 20일 방치하여 샘플 B에만 녹의 발생이 있으며, ×는 20일을 방치하여 샘플 A에, 또 5일을 방치하여 샘플 B에 녹의 발생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가 다음과 같이 고찰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와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양극을 음극의 바깥에 배치한 제 1실시예가 높은 pH에서 낮은 용존산소농도의 알칼리성 물이 얻어지고, 세정성과 방청성 및 외관품질의 전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용존수소농도가 높은만큼 용존산소농도가 낮게 되는 경향이 있고, 용존산소농도가 낮은만큼 방청성이 높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비교예 5에서, 용존수소농도가 비교적 높은데도 용존산소농도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전류밀도가 높아 전해시에 산소를 발생시킨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전류밀도는 0.1A/dm2~ 3.0A/dm2이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여기에 이용된 전해조 및 전해조건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비교예 6으로 격막의 스페이서를 SUS 304제 네트(직경 1mm)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2개의 전해조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기분해하는 스페이서의 부식량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제 2실시예의 평가결과
전해시간 제 2실시예 비교예 6
스페이서의 부식율(직경의 감소율) 100 시간 0 % 3 %
200 시간 0 % 5 %
300 시간 0 % 10 %
비교예 6의 SUS제 스페이서는 전해시간이 길게 되어도 그 부식이 진행하고 있으나, 폴리에틸렌제 스페이서는 부식이 없고 안정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세정수를 이용하는 세정방법은, 전술된 재료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철강 이외의 피세정물에도 유효하게 되며, 세정방법도 담금교반세정이나 담금초음파세정 등에서도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해질이 적은 원수에서도 높은 pH가 얻어지기 때문에, 높은 세정성이 얻어짐과 더불어, 세정 후의 건조얼룩과 잔류이온이 감소되며, 외관품질이 향상된다. 더욱이, 용존산소가 감소하기 때문에, 금속제품의 세정에 있어서 녹의 발생이 제어되는 효과가 높은 알칼리성 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격막인 스페이서의 부식이 없고, 장기간 안정된 전해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기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물의 pH값은 8.0 내지 13.0이거나, 산화환원전위는 -100mV ~ -1000mV인 세정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양극은 이보다 작은 직경이면서 원통형상인 음극의 바깥에 배치되고, 양극(兩極) 사이에 이온투과성의 격막을 갖춘 전해조를 이용하여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투과성의 격막에 경계지어진 양극실과 음극실의 용적비율이 5:5 ~ 8:2로 된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투과성의 격막과 전극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의 재질이 폴리올레핀으로 된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와 전해전류 공급전원회로의 전파(全波)정류회로 사이에 평활회로를 설치하고, 전해조에 평탄화된 파형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조의 음극표면으로의 전류밀도를 0.1A/dm2~ 3.0A/dm2의 조건으로 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방법.
  6. 전기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물의 pH값은 8.0 내지 13.0이거나, 산화환원전위는 -100mV ~ -1000mV인 세정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양극은 이보다 작은 직경이면서 원통형상인 음극의 바깥에 배치되고, 양극 사이에 이온투과성의 격막을 갖춘 전해조를 이용하여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투과성의 격막에 경계지어진 양극실과 음극실의 용적비율이 5:5 ~ 8:2로 된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투과성의 격막과 전극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의 재질이 폴리올레핀으로 된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장치.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와 전해전류 공급전원회로의 전파정류회로 사이에 평활회로를 설치하고, 전해조에 평탄화된 파형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제조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서, 알칼리성 물속의 용존수소농도가 0.01mg/dm3이상이며 용존산소농도가 6mg/dm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KR10-2001-0007773A 2000-09-21 2001-02-16 세정수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세정수 KR100398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9665 2000-09-21
JP2000329665A JP2002096065A (ja) 2000-09-21 2000-09-21 洗浄水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洗浄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633A true KR20020023633A (ko) 2002-03-29
KR100398444B1 KR100398444B1 (ko) 2003-09-19

Family

ID=1880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773A KR100398444B1 (ko) 2000-09-21 2001-02-16 세정수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세정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96065A (ko)
KR (1) KR100398444B1 (ko)
TW (1) TW5261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396B1 (ko) * 2018-01-31 2019-08-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 지속형 소독수 생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2972B (de) * 2003-10-14 2005-09-26 Bierbaumer Hans Peter Dr Vorrichtung zur umwandlung von energie
KR100709597B1 (ko) 2005-03-07 2007-04-20 나기태 자동 역전세정 전자 이온수처리기
CN102212837B (zh) * 2011-05-10 2013-05-01 北京博莱特威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制氢发生装置
CN114608140B (zh) * 2020-12-08 2024-01-0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计算机存储介质
CN114680349B (zh) * 2020-12-31 2023-05-26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758A (ja) * 1992-11-25 1994-06-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イオン水給水装置
JPH10128338A (ja) * 1996-10-29 1998-05-19 Ebara Corp 電気再生式連続脱塩装置のスケール析出防止方法及び装置
JPH10286571A (ja) * 1997-04-16 1998-10-27 Permelec Electrode Ltd 酸性水及びアルカリ水製造用電解槽
JP3952228B2 (ja) * 1997-11-19 2007-08-01 有限会社コヒーレントテクノロジー 電解装置及び電解方法
KR20010035910A (ko) * 1999-10-04 2001-05-07 문재덕 고효율 전해수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396B1 (ko) * 2018-01-31 2019-08-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 지속형 소독수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96065A (ja) 2002-04-02
KR100398444B1 (ko) 2003-09-19
TW526174B (en) 200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443B1 (ko) 세정수의 제조방법 및 세정수
EP0904428B1 (en) An electrolytic process for cleaning electrically conducting surfaces
TW552836B (en) Method for treating surface of copper articles
KR102572078B1 (ko) 스테인레스강의 부동태 표면 처리방법
JP2008138288A (ja) アルミニウム素材の塗装前表面処理方法
KR100398444B1 (ko) 세정수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세정수
CN104818478A (zh) 可提高耐腐蚀性的水电解极板表面处理液的使用方法
JP4194903B2 (ja) 洗浄用電解水とその生成方法及び生成装置
CN106011976A (zh) 一种高精密度弹簧表面处理工艺
JPH10192860A (ja) 洗浄水、該洗浄水の製造方法、該洗浄水を使用した洗浄方法、及び該洗浄水を使用した洗浄装置
JP4426383B2 (ja)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への酸化皮膜の形成方法
CN108264134B (zh) 一种高盐高cod废水电解电极及电解氧化处理方法
JP3984436B2 (ja) アルカリ洗浄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60026392A (ko) 친환경 탈지제, 친환경 탈지제 제조방법 및, 친환경 탈지제를 이용한 탈지장치, 세정시스템
JP2004275841A (ja) 強アルカリ性電解水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4339095B2 (ja) ガラス又はゴム或いは樹脂等の洗浄方法とその装置
JP2005230632A (ja) 電解水の製造方法及び金属製品の洗浄方法
JP4009385B2 (ja) 金属物品の脱脂洗浄方法
CN100451174C (zh) 金属氧化皮膜或锈的去除水及该去除水的使用方法
CN117053611B (zh) 一种板式换热器板片及其制备、清洗和应用方法
JP2007254878A (ja) 六価鉄イオン溶液製造方法及び非導電性部材のエッチング処理剤並びに非導電性部材のエッチング処理方法。
KR20130124045A (ko) 전기 분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2698B1 (ko) 금속의 산화피막 또는 녹 제거수, 상기 산화피막 또는 녹제거수를 사용하는 금속의 산화피막 또는 녹 제거법
JP3906110B2 (ja) 電気分解装置
KR100467721B1 (ko) 냉연강판의 산세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