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679A - 글루코오스 흡수 강화제로서의 나프탈렌 우레아 - Google Patents

글루코오스 흡수 강화제로서의 나프탈렌 우레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679A
KR20020022679A KR1020017015133A KR20017015133A KR20020022679A KR 20020022679 A KR20020022679 A KR 20020022679A KR 1020017015133 A KR1020017015133 A KR 1020017015133A KR 20017015133 A KR20017015133 A KR 20017015133A KR 20020022679 A KR20020022679 A KR 2002002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compound
naphthyl
alkyl
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6870B1 (ko
Inventor
스페박웨인
럼로버트티
시송얀
만쳄프라사드
코즈로우스키마이클알
스코우스티븐알
Original Assignee
텔리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리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텔리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2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28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309/45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309/51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30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45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at least one of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e.g. N-acylaminosulfonamides
    • C07C311/47Y being a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5/00Thiourea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35/04Derivatives of thiourea
    • C07C335/16Derivatives of thiourea having nitrogen atoms of thio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5/00Thiourea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35/04Derivatives of thiourea
    • C07C335/16Derivatives of thiourea having nitrogen atoms of thio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335/18Derivatives of thiourea having nitrogen atoms of thio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5/00Thiourea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35/30Isothioureas
    • C07C335/32Isothioureas having sulfur atoms of isothio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9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a hetero atom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96Sulfur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6Nitrogen atoms to which a second hetero atom is atta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30Oxygen or sulfur atoms
    • C07D233/32One oxygen atom
    • C07D233/36One oxygen atom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2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
    • C07D239/42On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 C07D24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4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41/20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40Esters thereof
    • C07F9/4003Esters thereof the acid moiety containing a substituent or a structure which is considered as characteristic
    • C07F9/4021Esters of aromatic acids (P-C aromatic link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과혈당증, 특히 II 형 당뇨병과 관련된 증세를 디나프틸우레아와 함께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화합물은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고,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며,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데 유용하다. 항당뇨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또한 개시하였다 :
[화학식 I]
[식중, R1및 R2는 A 고리상의 치환기가고, 독립적으로,-SO2NR7 2, -C(O)NR7 2, -NR7SO2R7, -NR7C(O)R7, -SO2OR7, -C(O)OR7, -OSO2R7또는 -OC(O)R7이며,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3및 R4는 함께 -(CH2)2-, -(CH2)3- 또는 -(CH2)4- 이거나, 또는 R3또는 R4는 전자쌍일 수 있으며,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SR8, -C(O)R8, -SO20R8, -OS02R8, -SO2NR8 2, -NR8SO2R8, -OC(O)R8, -C(O)OR8, -C(O)NR8 2, -NR8C(O)R8, -OR8또는 -NR8 2이고, 각각의 R7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헤테로시클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또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각각의 Y 는, 독립적으로, 아조 또는 아미드 결합을 통해 나프탈렌 고리에 결합되지 않은 비간섭성 치환기가고, 각각의 x 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 이며, 링커는 c 로 나타낸 탄소와 d 로 나타낸 탄소를 연결시킨다]

Description

글루코오스 흡수 강화제로서의 나프탈렌 우레아 {NAPHTHALENE UREAS AS GLUCOSE UPTAKE ENHANCERS}
신진대사에서 펩티드 및 단백질 호르몬에 의해 수행되는 많은 기능들 중의 하나는 고 특이적으로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이다. 인슐린 수용체는 실제적으로 모든 세포에 존재하며, 간, 골격근육 및 지방조직의 세포에 고농도로 존재한다. 인슐린에 의한 인슐린 수용체의 자극은 탄수화물 신진대사 및 저장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호르몬 (I 형)의 충분한 내재적 분비가 부족하거나, 내인성 또는 외인성 인슐린 (II 형 또는 비인슐린-의존성 당뇨병 멜리투스 (NIDDM))에 내성을 가지는 인슐린 수용체-중재 시스널링 경로를 갖는다. II 형 당뇨병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당뇨병이며, 산업국가의 약 5% 의 사람이 앓고 있다. II 형 당뇨병에서, 주 인슐린-반응성 조직, 예컨대, 간, 골격근육 및 지방은 인슐린 내성을보인다 (Haring and Mehnert, Diabetologia 36:176-182 (1993); Haring et al., Diabetologia, 37 Suppl. 2:S149-54 (1994)). II 형 당뇨병에서의 인슐린 내성은 복합적이고, 다계승적으로 보이나, 인슐린 수용체로부터 글루코오스 전달 시스템 및 글리코겐 합성으로 손상된 시그널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인다.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손상은 이러한 시그널링 결함의 병인론과 관련된다. 인슐린 내성은 또한 많은 비당뇨병의 사람들에서 발견되며, 질병의 진전에서 잠재적인 병인 요소일 수 있다 (Reaven, Diabetes, 37:1595-1607 (1988)).
상당한 정보가 인슐린 수용체 자체와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다. 수용체는 두 개의 동일한 α 및 두 개의 동일한 β사슬로 구성된 4 개의 분리된 서브유니트로 구성된다. β서브유니트는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 및 ATP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 인슐린 수용체는 이의 세포질 티로신 키나아제 영역에서 중요한 티로신 잔기의 자가인산화에 의해 활성화된다. 자가인산화는 인슐린 수용체의 후속 활성을 위해 필요하다. 자가인산화는 활성화된 수용체 키나아제를 안정화시켜, 세포간 시그널링 단백질을 포함하는 인산화 캐스캐이드를 유발한다.
현재 II 형 당뇨병의 치료에 대한 제한적인 약리학적 접근법이 존재한다. 인슐린은 현재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인슐린은 주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비록 인슐린의 여러 펩티드 상동체가 개시되어 있으나, 약 5000 달톤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것은 어느 것도 활성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 인슐린 수용체의 β-서브유니트상의 부위와 상호작용하는 일부 펩티드는 이의 수용체에 대한 인슐린의 활성의 강화를 보인다 (Kole et al., J Biol. Chem., 271:31619-31626 (1996);Kasuya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777-83 (1994)). 코한스키 등에 의해서 기본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다양이온성 종에 대하여 보고 되었으나, 인슐린 작용은 거의 강화시키지 못한다 (Kohanski, J. BioL Chem., 264:20984-91 (1989); Xu et al., Biochemistry 30:11811-19 (1991). 이러한 펩티드는 명백히 인슐린 수용체의 세포질 키나아제 영역에 대하여 작용한다.
또한, 특정의 비펩티드 성분은 펩티드 호르몬의 아고니스트 특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어느 것도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예컨대, 피오글리타존과 같은 티아졸리딘디온의 지방세포 분화를 강화시키는 능력이 개시되어 있다 (Kletzien, et al., Mol. Pharmacol., 41:393 (1992)). 이러한 티아졸리딘디온은 인슐린에 대한 표적 조직의 반응을 강화시키는 잠재적 항당뇨병성 화합물의 부류를 나타낸다 (Kobayashi, Diabetes, 41:476 (1992)). 티아졸리딘디온은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핵 전사요소인 퍼옥시좀 증식제-활성화 수용체 γ (PPARγ)에 스위치를 넣으며 (Kliewer et al., J. Biol. Chem., 270:12953 (1995)),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에 직접적인 영향은 끼치지 않는다. 현재 사용중인 기타 항당뇨병제는 간장 글루코오스 생산을 억제하는 인슐린 세크레타고구에스(예, 술포닐우레아) 및 비구아니드 (예,메트포르민) 모두를 포함한다. 현재까지,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인슐린의 활성적 영향을 모방할 수 있는 비펩티드성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비스나프탈렌 우레아가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수라민의 폴리술폰산 유도체로서 및 아조 염료로서 널리 기재되어 있다. 다양한 이러한 다음이온성술폰산 유도체가 다양한 질병의 징후에 대한 잠재적 치료제로서 확립되었다. 1917 년에 개시된 수라민은 광범위하게 연구된 폴리술폰산이다 (Dressel, J. Chem. Ed., 38:585 (1961); Dressel, J. Chem. Ed., 39:320 (1962)). 이것은 살충제 및 항원생동물제로서의 치료용도를 갖는다. 좀더 최근에, 이것은 특정 조류 및 뮤린 레트로바이러스에서 역전사효소에 대한 억제제로서 개시되었다. (De Clercq, Cancer Letter, 8:9 (1979); Mitsuya et al., Science, 226:172 (1984); Gagliardi et al., Cancer Chemother. Pharmacol, 41:117 (1988); Doukas et al., Cancer Res. 55:5161 (1995); Mohan et al., Antiviral Chem., 2:215 (1991)). 수라민과 관련된 많은 수의 화합물이 존재한다. 보고된 수라민 상동체의 대부분은 각각의 아릴 고리상에 다중 술폰산 관능기를 갖는다. 최근의 연구로 다음이온성 수라민 상동체는 항맥관형성 활성, 항증식 활성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이 밝혀졌다 (Gagliardi et al., Cancer Chemother. Pharmacol., 41:117 (1988); Doukas et al., Cancer Res., 55: 5161 (1995); Mohan et al., Antiviral Chem., 2:215 (1991)). 다수의 비스나프틸술폰산이 보조 억제제로서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US 4132730, US 4129591, US 4120891, US 4102917, US 4051176). 또한, 폴리술폰화 나프탈렌 아조 화합물이 개시된 다수의 아조 염료 특허 (DE 19521589, US 3716368, DE 2216592, FR 1578556)가 존재한다. 비스나프탈렌 우레아 2-술폰아미드 3-아조 화합물이 유일하게 기록(recording) 액체로서 보고되어 있다 (JP 58191772). 그러나, 수라민 상동체 또는 아조 염료의 어느 것도 과혈당증 또는 당뇨병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시사되지 않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포유류에서 글루코오스 흡수를 강화시키는 비스나프탈렌 우레아, 이의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을 이용한 글루코오스 흡수를 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
[식중,
R1및 R2는 A 고리상의 치환기가고, 독립적으로,
-SO2NR7 2, -C(O)NR7 2, -NR7SO2R7, -NR7C(O)R7, -SO2OR7, -C(O)OR7, -OSO2R7또는 -OC(O)R7이며,
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3및 R4는 함께 -(CH2)2-, -(CH2)3- 또는 -(CH2)4- 이거나, R3또는 R4는 전자쌍일 수 있으며,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SR8, -C(O)R8, -SO20R8, -OS02R8, -SO2NR8 2, -NR8SO2R8, -OC(O)R8, -C(O)OR8, -C(O)NR8 2, -NR8C(O)R8, -OR8또는 -NR8 2이고,
각각의 R7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헤테로시클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각각의 Y 는, 독립적으로, 아조 또는 아미드 결합을 통해 나프탈렌 고리에 연결되지 않은 비간섭성 치환기가고,
각각의 x 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 이며,
링커는 c 로 나타낸 탄소와 d 로 나타낸 탄소를 연결시키며, 이는 다음 화학식의 것들이고 :
(식중, K 는 0, S 또는 NR*이고, R*는 H,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H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H,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및
여기에서, 만일 R1및 R2가 모두 -SO20H 이면:
(i) Y 의 어느 것도 -SO20H가 아니고;
(ii) R5및 R6어느 것도 -SO20R8또는 -OS02R8이 아니며;
(iii) 하나 이상의 (Y)x가 (Y')x(식중, x' 는 1 또는 2 이고, Y' 는 할로이다)가 아닌 경우, R5및 R6은 모두 히드록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지 않는다]. 이러한 화합물은 글루코오스 흡수 아고니스트로서 및 다혈당증 및 당뇨병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두 번째 구현예로, 본 발명은 (a)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b) 활성성분으로서, 제 1 구현예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포유류에서 글루코오스의 세포로의 흡수를 자극시키거나, 또는 과혈당증, I 형 당뇨병 및 II 형 당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포유류 질병 상태의 치료에 유용하다.
세 번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인슐린 수용체 또는 이의 키나아제 부분을 제 1 구현예의 화합물과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네 번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인슐린 수용체 또는 이의 키나아제 부분을 제 1 구현예의 화합물과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섯 번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세포와, 임의적으로는 인슐린의 존재하, 제 1 구현예의 화합물을 글루코오스의 세포로의 흡수를 자극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슐린 수용체를 표출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포유류에서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유류에 투여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기타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1 구현예의 화합물 또는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과 같은 포유류에서 과혈당증, I 형 당뇨병 및 II 형 당뇨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슐린-의존성 글루코오스 흡수를 강화시키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글루코오스 흡수의 증가를 가져오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인간에게서 과혈당증의 치료방법, 특히 II 형 당뇨병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인슐린 존재 및 부재하의 화합물 15 를 이용한 IRS-1 및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를 보여준다.
도 2 는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 13 및 15 로 처리시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의 증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인슐린의 존재 또는 부재하, 화합물 13 또는 15 로 처리시 세포의 글루코오스 흡수의 증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워트만닌의 존재 또는 부재하, 화합물 13 또는 15 의 글루코오스 전달효과를 보여준다.
도 5 는 워트만닌 및 시토칼라신 B 의 존재 또는 부재하 화합물 15 의 글루코오스 전달 효과를 보여준다.
도 6 는 화합물 15 로 처리시, 세포의 GLUT4 면역형광을 보여준다.
도 7 는 인슐린 및 EGF 수용체에 대한 화합물 15 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8 은 db/db 마우스에서 인슐린의 존재하 화합물 15 의 혈중 글루코오스 저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단지 db/db 마우스에서의 화합물 15 의 혈중 글루코오스 저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ob/ob 마우스에서의 특정 혈중 성분에 대한 화합물 15 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11 은 STZ/HFD 래트에서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에 대한 화합물 15 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12 는 화합물 15 의 경구 투여후, 근육 조직에서 발견되는 인슐린 수용체 인산화의 양을 보여준다.
도 13 은 db/db 마우스에서 1 일 투여량으로 투여 3 일 후 화합물 15 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14 는 STZ/HFD 래트에서 1 일 투여량으로 투여 3 일후 화합물 15 의 영향을 보여준다.
(a) 정의 및 일반적 파라미터
"알킬" 또는 "알킬옥시" 에서의 "알킬" 은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일 수 있는 Cl-C20의 일가 히드로카르빌 부분을 의미한다. "저급 알킬", "할로-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에서의 "저급 알킬" 은 C1-C6알킬을 의미한다. "저급 알킬"이라는 용어에는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프로필메틸 또는 시클로헥실과 같은 부분이 포함된다. C1-C4저급 알킬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저급 알킬"에는 하나의 올레핀 결합을 갖는 부분, 예컨대 알릴이 포함된다.
"치환된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 은 각각 알킬 또는 저급 알킬이며, 이는 통상적으로 아릴, R'-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니트로, 시아노, 할로, -OR, -SR, -COR, -OC(O)R, -C(O)OR, -NR2, -SO20R, -OS02R, -SO2NR2, -NRS02R, -CONR2또는 -NRCOR (식중, 각각의 R 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R'-치환된 저급 알킬, 아릴, R'-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저급)알킬, R'-치환된 아릴(저급)알킬 또는 아릴(저급)알킬이며, 각각의 R' 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할로,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티오, 니트로,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또는 아미노이다) 과 같은 부분으로 일-, 이- 또는 삼치환된다. 시아노, 할로, 저급 알킬옥시, 티오, 니트로, 아미노 또는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치환된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이 특히 바람직하다.
"할로-저급 알킬"이라는 용어는 1 내지 3 개의 할로기로 치환된 저급 알킬을 의미하고, 이의 예로 -CF3, -CH2CF3및 -CH2CCl3와 같은 라디칼을 들 수 있다.
"아릴", "아릴옥시" 및 "아릴(저급)알킬" 에서의 "아릴" 는 단일 고리 (예, 페닐) 또는 2 개 이상의 축합 고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개의 축합 고리 (예, 나프틸) 또는 2 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개의 방향족 고리 (이는 단일 결합으로 연결된다 (예, 비페닐))을 갖는 6 내지 20 개의 고리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은 바람직하게는 C6-C16, 좀더 더 바람직하게는, C6내지 C14이다.
"치환된 아릴" 은 히드록시,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히드록시이속사졸릴, 포스폰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 알킬, R'-치환된 알킬,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SR, -OR, -COR, -OCOR, -SO20R, -OS02R, -SO2NR2, -NRS02R, -COOR, -NR2, -CONR2또는 -NRCOR (식중, 각각의 R 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R'-치환된 저급 알킬, 아릴, R'-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또는 R'-치환된 아릴(저급)알킬이고, 각각의 R' 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할로,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티오, 니트로,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아미노 또는 -COOR (식중, R 은 전술한 바와 같다)이다)과 같은 부분으로 독립적으로 일-,이- 또는 삼치환된 아릴 라디칼을 의미한다. 치환된 아릴상의 특히 바람직한 치환기는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할로, 시아노, 티오, 니트로, 아미노, 저급 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이다. 라디칼 -SO20R, -SO2NR2, -COOR, 및 -CONR2(식중, R 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상의 치환된 아릴의 특히 바람직한 치환기가다.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릴(저급)알킬"에서의 "헤테로아릴" 은 5 내지 14 개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고, 이중 1 내지 5 개는, 독립적으로, N, 0 또는 S 에서 선택된 헤테로원자인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라디칼을 의미하며, 이에는 모노시클릭, 축합 헤테로시클릭, 및 축합 카르보시클릭 및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고리(예, 티에닐, 푸릴, 피롤릴, 피리미디닐,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인돌릴, 이소벤조푸라닐, 푸리닐, 이소퀴놀릴, 프테리디닐, 이미다졸릴, 피리딜, 피라졸릴, 피라지닐, 퀴놀릴 등)이 포함된다.
"치환된 헤테로아릴" 은 알킬, R'-치환된 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SR, -OR, -COR, -OOCR, -SO20R, -OSO2R, -SO2NR2, -NRS02R, -COOR, -NR, -CONR2또는 -NRCOR (식중, 각각의 R 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R'-치환된 저급 알킬, 아릴, R'-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또는 R'-치환된 아릴(저급)알킬이고, 각각의 R' 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할로,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티오, 니트로,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또는 아미노이다)과 같은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헤테로아릴상의 임의의 2 개의 인접 치환기는 임의적으로 함께 저급 알킬렌디옥시를 형성할 수 있다. 치환된 헤테로아릴상의 특히 바람직한 치환기에는 히드록시, 할로,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티오, 니트로,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또는 아미노가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릴"은 5 내지 14 개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고, 이중 1 내지 5 개는 독립적으로 N, 0 또는 S 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인 지방족 시클릭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라디칼을 의미한다. 모노시클릭 고리 (예,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디닐 등)가 바람직하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은 1 내지 3 개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알킬, R'-치환된 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SR, -OR, -COR, -OOCR, -SO20R, -OS02R, -SO2NR2, -NRS02R, -COOR, -NR2, -CONR2또는 -NRCOR (식중, 각각의 R 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R'-치환된 알킬, 아릴, R'-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또는 R'-치환된 아릴(저급)알킬이고, 각각의 R' 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할로,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티오, 니트로,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또는 아미노이다)과 같은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상의 바람직한 치환기에는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할로, 시아노, 티오, 아미노, 저급 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가 포함된다.
"아릴(저급)알킬" 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아릴로 치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치환된 아릴(저급)알킬"은 라디칼의 아릴 부분 또는 알킬 부분 또는 두 부분 모두에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아릴(저급)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저급)알킬"은 전술한 바와 같이 헤테로아릴로 치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아릴"은 라디칼의 헤테로아릴 부분 또는 알킬 부분 또는 이 부분 모두에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아릴(저급)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저급 알킬옥시"는 R 이 저급 알킬인 -OR 라디칼을 의미한다.
"할로" 는 브로모,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를 의미한다.
"비간섭성 치환기"는, 주어진 화합물상에 존재하는 경우, 화합물의 특별한 목적하는 생물활성, 예컨대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고,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인슐린 수용체를 표출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거나 또는 억제시키지 않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비간섭성 치환기의 존재는 약 30% 초과로 화합물의 생물활성에 악영향을 미쳐서는 않된다. 바람직하게는, 비간섭성 치환기는 약 10% 미만으로 화합물의 생물활성을 감소시킨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간섭성 치환기는 화합물의 생물활성을 어떤 검출가능한 정도로도 감소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화합물에 대한 비간섭성 치환기의 존재의 영향은 중성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비간섭성 치환기는 임의적으로 화합물의 특정 생물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적합한 비간섭성 치환기에는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SR, -OR, 및 -NR2(식중, 각각의 R 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이다)가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조 결합" 은 -N=N- 기이다. 통상의 "아미드 결합"은 하기의 기이다 :
(식중, R 는 알킬, 아릴 또는 수소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은 무기 또는 유기산, 또는 무기 또는 유기염기로부터 유도된 임의의 염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음이온"이란 용어는 상기 산부가염과 같은 음이온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이온"이란 용어는 염기의 부가로 형성된 양이온을 의미한다. 염 및/또는 음이온 또는 양이온은 생물학적으로 또는 이와 다르게 비바람직하지 않도록 선택한다.
"입체이성질체" 는 동일한 서열의 공유결합을 가지며, 공간내 이들 원자의 상대적 배치가 상이한 화합물이다.
"내부염(inner salt)" 또는 "쯔비터이온"은 카르복실기의 양성자를 아미노기내 질소원자의 단독 전자쌍으로 전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질병을 치료코자 하는 포유류에 투여하는 경우, 질병에 대한 이러한 치료를 실시하는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포유류에서의 질병의 "치료" 에는 하기의 것들이 포함된다 :
(1) 질병에 쉽게 걸릴 수 있으나, 질병의 증세를 경험하거나 보이지는 않는 포유류에서 질병의 발생 방지,
(2) 질병의 억제, 즉 이의 진전의 저지, 또는
(3) 질병의 완화, 즉, 질병의 퇴화 유발.
인슐린 수용체와 관련하여 "이의 키나아제 부분" 은 인슐린 수용체의 세포질 티로신 키나아제 영역을 의미한다.
(b) 명명법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 를 참조로하여 후술한 바와 같이 번호를 부여하여 명명하였다.
화학식 la의 화합물에서, 치환기 R1은 나프탈렌 고리의 7-위치에 존재하고, R2는 나프탈렌 고리의 2-위치에 존재한다. 예컨대, 만일 R1이 SO2OH 이고, R2가 S020H 이며, R3이 H 이고, R4가 H 이며, R5가 H 이고, R6이 H 이며, K 가 0 이고,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링커가 고리상에 R5치환기를 갖는 나프탈렌 고리의 C2 에 결합하고, R6치환기를 갖는 나프탈렌 고리의 C7 에 결합하면, 화합물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
7-{[(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c)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의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
[화학식 I]
[식중,
R1및 R2는 A 고리상의 치환기가고, 독립적으로,
-SO2NR7 2, -C(O)NR7 2, -NR7SO2R7, -NR7C(O)R7, -SO2OR7, -C(O)OR7, -OSO2R7또는 -OC(O)R7이며,
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3및 R4는 함께 -(CH2)2-, -(CH2)3- 또는 -(CH2)4- 이거나, R3또는 R4는 전자쌍일 수 있으며,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SR8, -C(O)R8, -SO20R8, -OS02R8, -SO2NR8 2, -NR8SO2R8, -OC(O)R8, -C(O)OR8, -C(O)NR8 2, -NR8C(O)R8, -OR8또는 -NR8 2이고,
각각의 R7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헤테로시클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각각의 Y 는, 독립적으로, 아조 또는 아미드 결합을 통해 나프탈렌 고리에 연결되지 않은 비간섭성 치환기가고,
각각의 x 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 이며,
링커는 c 로 나타낸 탄소와 d 로 나타낸 탄소를 연결시키고, 이는 다음의 화학식의 것 들이며 :
(식중, K 는 0, S 또는 NR*이고, R*는 H,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H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H,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및
상기에서, 만일 R1및 R2가 모두 -SO20H 이면:
(i) Y 의 어느 것도 -SO20H 가 아니고;
(ii) R5및 R6어느 것도 -SO20R8또는 -OS02R8이 아니며;
(iii) 하나 이상의 (Y)x가 (Y')x(식중, x' 는 1 또는 2 이고, Y' 는 할로이다)가 아닌 경우, R5및 R6은 모두 히드록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지 않는다].
화학식 I 의 바람직한 화합물에는, 하기 화학식 II 의 화합물,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의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
(식중, 링커는 c 로 나타낸 탄소와 d 로 나타낸 탄소를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I 의 화합물에는 하기 화학식 IIa 의 화합물, 또는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
(식중, R1내지 R6, Y, 및 x 는 화학식 II 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비간섭성 치환기 Y 는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SR9, -OR9또는 -NR9 2(식중, 각각의 R9는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이다)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Y 는 저급 알킬, 할로-저급알킬,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할로, 티오, 니트로, 아미노 또는 히드록시이다.
화학식 I, Ia, II, 및 IIa 의 화합물에서, 각각의 x 는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 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각각의 x 는 0 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SO2OR10, -C(O)OR10, -SO2NR11R1O, -C(O)NR11R1O, -OSO2R1O, -OC(O)R10, -NR11SO2R1O또는 -NR11C(O)R1O이고; 각각의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며;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헤테로시클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R1및 R2는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으로, -SO2NR11R10, -C(O)NR11R1O, -NR11SO2R1O또는 -NR11C(O)R1O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R11는 수소이다. 예컨대,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SO2NHR10또는 -NHSO2R1O이다.
바람직한 대안적 구현예로서, R1은 -SO2OR1O, -C(O)OR1O, -SO2NR11R10, -C(O)NR11R10, -OSO2R1O, -OC(O)R1O, -NR11SO2R1O또는 -NR11C(O)R10이고, R2는 -SO2OR11또는 -C(O)OR11(식중, R10및 R11은 선행의 문단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이다. R1은, 바람직하게는, -SO2NR11R1O, -C(O)NR11R1O, -NR11SO2R1O또는 -NR11C(O)R1O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R11은 수소이다. 예컨대,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은 -SO2NHR10또는 -NHS02R1O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R2는 -C(O)NR11 2또는 -C(O)OR11이다. 바람직한 대안적 구현예로서, R2는 -SO2NR11 2또는 -SO2OR11, 예컨대 -SO20H 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아릴,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10상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R12이며;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SO20R13, -C(O)OR13, -SO2NR13 2, -C(O)NR13 2, 히드록시,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히드록시이속사졸릴, 포스폰산 잔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이고; 각각의 R1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 이 구현예에서의 R10은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R10이 치환된 페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C(O)OR13, -C(O)NR13 2, -SO20R13, 히드록시,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히드록시이속사졸릴, 포스폰산 잔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이다. 특히, R12가 -C(O)OR13, -SO20R13, 히드록시,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히드록시이속사졸릴, 포스폰산 잔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각의 R12는 -C(O)OH, -SO20R13또는 -C(O)OCH3이다. 바람직한 대안적 화합물에서,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SO20R13또는 -SO2NR13 2이다. R12가 -SO2OR13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2는 SO2OH 이다. R12가 -C(O)OR13또는 -SO2OR13인 경우, R12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서 클로로 또는 히드록시와 같은 치환기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안적 구현예로서,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저급)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저급)알킬이다. 이 구현예에서, R10은 바람직하게는 페닐, 피리딜, 피라지닐 또는 피리미디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각각의 R1및 R2는, 독립적으로, -SO2NR7 2, -C(O)NR7 2, -SO2OR7또는 -C(O)OR7이고;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1및 R2는, 독립적으로, -C(O)OR7또는 -C(O)NR7 2이다. 그러나, 화학식 I 의 기타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SO2OR7또는 -SO2NR7 2이다. 예컨대, R1및 R2는 모두 -SO2OH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일 R1및 R2가 모두 -SO20H 이면, R5및 R6은 모두 히드록시 또는 수소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R3및 R4는 수소이다.
바람직하게는,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OR8, -NR8 2또는 -SR8(식중, 각각의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저급)알킬이다)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할로, 시아노,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저급 알킬옥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티오이다. 본 발명의 많은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5및 R6모두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다.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대칭적이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치환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만일 하나의 화합물이 2 차 화합물보다 좀더 바람직한 치환기를 포함한다면, 1 차화합물이 2 차 화합물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각의 치환기 R1내지 R4및 R10내지 R12에 대한 바람직한 라디칼을 갖는 화학식 I 의 화합물이 단지 치환기 R1내지 R3만에 대한 바람직한 라디칼을 갖는 화합물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에는 하기 화학식 III 의 화합물,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의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식중, R5및 R6은 수소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R10상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R12이고;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SO2OR13, -C(O)OR13, -SO2NR13 2, -C(O)NR13 2,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이속사졸릴, 포스폰산 잔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이며; 각각의 R1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12가 -CO(O)R13또는 -SO2OR13인 경우, R12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서 클로로 또는 히드록시에 인접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기타 예로는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의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식중, R5및 R6은 수소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고; R10은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R10상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R12이고;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SO2OR13, -C(O)OR13, -SO2NR13 2, -C(O)NR13 2,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이속사졸릴, 포스폰산 잔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이며;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12가 -CO(O)R13또는 -SO2OR13인 경우, R12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서 클로로 또는 히드록시와 같은 치환기에 인접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에는 하기의 화합물들,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의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
4-히드록시-7-{[(5-히드록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디소듐 염;
3-{[(4-히드록시-7-{[(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2-[6-({[5-(카르복시메톡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3-술포나프틸옥시]아세트산;
3-브로모-7-{[(6-브로모-5-히드록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나프탈렌-2-술폰산;
4-[(2-술포페닐)메톡시]-7-[({7-술포-5-[(2-술포페닐)메톡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4-히드록시-7-{[(5-메톡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4-메톡시-7-{[(5-메톡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7-[({5-[(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나프탈렌-2-술폰산;
4-[(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7-[({5-[(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4-(3-술포프로폭시)-7-({[7-술포-5-(3-술포프로폭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4-히드록시-7-({[7-술포-5-(3-술포프로폭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N-(5-히드록시-7-술파모일(2-나프틸))[(5-히드록시-7-술파모일(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4-히드록시-7-{[(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메틸 3-({[4-히드록시-7-({[5-히드록시-7-({[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3-{[(7-{[(7-{[(3-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4-{[(7-{[(7-{[(4-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4-{[(4-히드록시-7-{[N-(5-히드록시-7-술포(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 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메틸 4-({[4-히드록시-7-({N-[5-히드록시-7-({[4-(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히드록시-7-({[5-히드록시-7-({[4-(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7-{[(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7-{[(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3-{[(7-{[N-(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 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메틸 3-({(7-({[7-({[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3-{[(7-{[N-(7-{[(3-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N-{7-[(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7-[(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N-(7-{[(3-술파모일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7-{[(3-술파모일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N-{7-[(3-피리딜아미노)술포닐](2-나프틸)}({7-[(3-피리딜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N-{7-[(피라진-2-일아미노)술포닐](2-나프틸)}({7-[(피라진-2-일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N-{7-[(피리미딘-2-일아미노)술포닐](2-나프틸)}({7-[(피리미딘-2-일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4-메틸페닐 3-[({7-[(N-{7-[({3-[(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4-메틸페닐4-[({7-[({7-[({4-[(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7-[({7-[(피리미딘-2-일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4-{[(7-{[N-(7-{[(4-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 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메틸 4-({[7-({N-[7-({[4-(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7-{[N-(7-{[(4-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메틸 (2S)-2-({[7-({N-[7-({[(1S)-2-(4-히드록시페닐)-l-(메톡시카르보닐)에틸]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3-(4-히드록시페닐)프로판노에이트; 및
(2S)-2-({[7-({N-[7-({[(lS)-1-카르복시-2-(4-히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3-(4-히드록시페닐)프로판산.
상기 화합물의 합성 및 기술은 하기 실시예 1 내지 10 에 개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모든 입체이성질체는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러한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각각의 단리된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모든 방법 및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가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할 수 있는 경우 형성될 수 있는 염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모(parent) 화합물은 적절한 양이온을 함유하는, 과량의 알칼리성 시약, 예컨대 히드록시드, 카르보네이트 또는 알콕시드로 처리된다. Na+, K+, Ca2+및 NH4+와 같은 양이온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존재하는 양이온의 예이다. Na+염이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허용가능한 무기 염기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및 수산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염은 또한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에탄올아민 및 트로메타민과 같은 유기 염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성 기를 함유하는 경우, 산 부가 염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의 산 부가 염은 모 화합물 및 과량의 산, 예컨대 염산, 브롬산, 황산 (술페이트 및 비술페이트 염 생성), 질산, 인산 등, 및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산, 말론산, 숙신산, 말레산,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살리실산, p-톨루엔술폰산, 헥사노산, 헵타노산, 시클로펜탄프로피온산, 락트산, o-(4-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1,2-에탄디술폰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클로로벤젠술폰산, 2-나프탈렌술폰산, 캄포르술폰산, 4-메틸-비시클로-2.2.2]옥트-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4,4'-메틸렌비스(3-히드록시-2-나프토)산, 3-페닐프로피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부틸아세트산, 라우릴황산, 글루쿠론산, 글루탐산, 3-히드록시-2-나프토산, 스테아르산, 뮤콘산 등으로부터 적절한 용매 내에서 표준 방식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내부 염 또는 쯔비터이온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화합물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i) 활성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ii)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비경구 투여용 용액 또는 동결 건조된 분말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분말은 사용 전에 적절한 희석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 액체 제형물은 일반적으로는 완충된 등장성의 수용액이다. 적절한 희석제의 예는 일반 등장 식염수 용액, 수 중 5 % 덱스트로스, 또는 완충 나트륨 또는 암모늄 아세테이트 용액이다. 상기 제형물은 특히 비경구 투여에 적절하나, 경구 투여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젤라틴, 히드록시셀룰로스, 아카시아, 폴리에틸렌 글리콜, 만니톨, 염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나트륨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경구 투여용 에멀젼 또는 시럽 내에서 캡슐화, 정제화 또는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고체 또는 액체 담체는 조성물을 향상 또는 안정화시키거나, 조성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액체 담체로는 시럽, 땅콩유, 올리브유, 글리세린, 식염수, 알콜 및 물을 들 수 있다. 고체 담체로는 전분, 락토스, 황산칼슘, 디히드레이트, 테라 알바 (terra alba),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스테아르산, 탈크, 펙틴, 아카시아, 한천 또는 젤라틴을 들 수 있다. 담체로는 또한 단독으로 또는 왁스와 함께 서방성 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를 들 수 있다. 고체 담체의 양은 변화하나,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 당 약 20 mg 내지 약 1 g 사이일 수 있다. 약학적 제제는 혼련 (miling), 혼합, 과립화 및,정제형에 대해서는 필요한 경우, 압착;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형에 대해서는 혼련, 혼합 및 충전을 포함하는 약학의 통상적 기술에 따라 제조된다. 액체 담체가 사용되는 경우, 제제는 시럽, 엘릭서, 에멀젼, 또는 수성 또는 비수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제형물은 직접 경구 투여되거나, 연질 젤라틴 캡슐 내로 충전될 수 있다. 중량 기재 백분율로, 전형적인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 0.1 내지 9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를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한 약학적 조성물의 일부 특정 예는 하기 실시예 25 에 기재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과혈당증, I 형 당뇨병, 및 II 형 당뇨병, 또는 상기 질환의 임의의 조합의 치료시, 약학적 조성물의 사용을 지시하는 라벨과 함께 용기 내에 포장될 수 있다. 화합물은 식사 후 일정한 시간 동안 II 형 당뇨병에서 과도하게 상승되는 글루코오스를 억제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식전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은 글루코오스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과도하게 상승된 글루코오스 수준을 정상화하기 위해 당뇨병에 투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I 형 당뇨병에서 발견되는 매우 소량의 잔류 순환 인슐린은 심각한 지질 분해 및 그 결과 케토산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생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I 형 환자에서 케토산혈증에 대해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혈당의 조절을 위해서가 아니라, 인슐린에 바로 접근하지 않는 I 형 당뇨병에서의 심각한 지질 분해의 억제를 위해, 인슐린 수용체 활성화를 거쳐 케토산혈증으로부터의 회복을 제공할 수 있다.
(c)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슐린 수용체의 자가인산화를 자극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하기 실시예 11 및 12). 또한, 상기 화합물들은 배양된 섬유아세포 내로의 글루코오스의 전달을 실행하기 위한 인슐린의 능력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기 실시예 13). 화합물은 또한 인슐린 비의존성 방식으로 db/db 마우스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8 및 9, 실시예 17; 도 11, 실시예 19).
인슐린 수용체의 자가인산화를 자극하고, 하기 특정 실시예 11-24 에서 입증된 세포 내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능력은 당뇨병을 가진 대상자의 치료 및 관리에서의 그것의 유용함을 나타낸다. 어떠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기능에 대해 직접 작용하고, 인슐린 결합 자리에 결합하기 위해 반드시 인슐린과 경쟁하거나, 인슐린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유사한 메커니즘에 의해 수용체의 활성화를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은 직접 당뇨병 대상자에서 자가인산화하기 위해 키나아제를 활성화하고, 인슐린의 효과를 상승시키고, 외인성 기질을 인산화하는 것에서 수용체의 키나아제 기능을 활성화하고, 일반적으로 지방 세포 및 인슐린 수용체 함유 세포에 의한 글루코오스의 흡수 증가를 수행하고, 혈중 글루코오스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에 의해, 이들은 당뇨병 대상자에서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화를 자극하고, 인슐린에 의한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를 증강시키고, 인슐린에 의한 세포의 글루코오스 흡수의 자극을 증강시키고,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유류의 과혈당증 및 당뇨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는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인슐린 수용체 또는 그것의 키나아제 부분을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외인성 기질의 인산화 뿐만 아니라 자가인산화가 증강된다.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의 자극은 생체 내 또는 시험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의 자극 방법은 선택적으로는 인슐린과 인슐린 수용체를 접촉시키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 질환 중 잠재적인 치료 효과를 위해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의 후속적인 저하와 함께 인슐린 수용체에서 자극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입증되었다. 유사하게, 인슐린 수용체 및 이에 따른 순환 글루코오스에 대해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화합물들은 당뇨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잠재성을 갖는다. 본 특허에서 청구된 화합물은 인슐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당뇨 환자 중 글루코오스 순환 수준을 저하시키는 기타 신규 제제를 발견하기 위한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가 신규 인슐린 수용체 아고니스트/활성제 및 글루코오스 저하 치료제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정 단계는 하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다른 화합물들의 발견에 필요한 분석을 유효화, 최적화 및 표준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1.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세포질 키나아제 영역 또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를 활성화/자극하고;
2.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자극하고;
3. 세포 및 조직 내로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자극하고;
4. 포유류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5. 인간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6. 세포 및 조직 내 지질 분해를 억제하고;
7. 포유류에서의 지질 분해를 억제함.
상기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분석에서 향상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발견하기 위한 벤치 마크 (bench mark) 로서 이용될 수 있다:
1.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세포질 키나아제 영역 또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를 활성화/자극하고;
2.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자극하고;
3. 세포 및 조직 내로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자극하고;
4. 포유류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5. 인간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6. 세포 및 조직 내 지질 분해를 억제하고;
7. 포유류에서의 지질 분해를 억제함.
시험 화합물의 계열 내의 구조 또는 화학적 성질 및/또는 짝 구조 또는 화학적 성질을 비교하는 알고리즘과 조합하여, 상기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생분석(bioassay)에서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세포질 키나아제 영역 또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를 활성화/자극하고;
2.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자극하고;
3. 세포 및 조직 내로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자극하고;
4. 포유류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5. 인간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6. 세포 및 조직 내 지질 분해를 억제하고;
7. 포유류에서의 지질 분해를 억제함.
분자 상호작용을 모델링하기 위해 구조 및/또는 짝 구조를 비교하는 알고리즘과 조합하여, 상기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생분석에서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세포질 키나아제 영역 또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를 활성화/자극하고;
2.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자극하고;
3. 세포 및 조직 내로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자극하고;
4. 포유류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5. 인간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6. 세포 및 조직 내 지질 분해를 억제하고;
7. 포유류에서의 지질 분해를 억제함.
II 형 당뇨병 환자 및 증후군-X 와 같은 전-당뇨병 위험 인자를 나타내는 환자에서조차 인슐린 수용체의 수의 감소가 있으므로, 상기 특허의 방사활성 화합물은 당뇨병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순 조직 생검 후 상기 방사활성 화합물에 대한 조직 샘플의 노출은 생검 조직에 대한 수용체의 계수의 측정을 가져올 수 있다. 그 후 낮은 수용체 밀도 계수는 환자에서의 당뇨병 또는 전-당뇨병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사활성 화합물은 신규 약물의 발견에서의 긴 사용 역사를 갖는다. 상기 특허에서 청구되는 화합물은 모두 쉽게 방사표지될 잠재성을 갖고, 인슐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당뇨 환자에서 글루코오스의 순환 수준을 저하시키는 기타 신규 제제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가 신규 인슐린 수용체 아고니스트/활성제 및 글루코오스 저하 치료제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정은 하기와 같다:
상기 환자의 방사활성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다른 화합물들의 발견에 필요한 분석을 유효화, 최적화 및 표준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1.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세포질 키나아제 영역 또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를 활성화/자극하고;
2.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자극하고;
3. 세포 및 조직 내로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자극하고;
4. 포유류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5. 인간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6. 세포 및 조직 내 지질 분해를 억제하고;
7. 포유류에서의 지질 분해를 억제함.
상기 환자의 방사활성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분석에서 향상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발견하기 위한 벤치 마크로서 이용될 수 있다:
1.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세포질 키나아제 영역 또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를 활성화/자극하고;
2.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자극하고;
3. 세포 및 조직 내로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자극하고;
4. 포유류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5. 인간에서의 순환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6. 세포 및 조직 내 지질 분해를 억제하고;
7. 포유류에서의 지질 분해를 억제함.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인슐린 수용체는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과 인슐린 수용체 또는 그것의 키나아제 부분을 접촉시킴으로써 활성화된다. 표적화된 인슐린 수용체는 선택적으로는 포유류의 세포 표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은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유류에 투여함으로써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그 방법은 또한 인슐린과 인슐린 수용체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슐린 수용체를 표시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선택적으로는 인슐린의 존재 하에,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표적 세포는 선택적으로는 포유류 내에 있을 수 있고, 화합물과 수용체의 접촉 단계는 그 후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유류에 투여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인슐린 수용체를 표시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세포는 또한 외인성 인슐린과 접촉된다.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과혈당증의 치료 방법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그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유류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그 방법은 또한 과혈당증을 위한 요법 또는 치료의 하나 이상의 부가 형태로 포유류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한 가지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더하여 외인성 인슐린을 포유류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인슐린 약물 또는 과혈당증을 위한 기타 대안적 치료와 조합하여 포유류에 투여될 수 있다. 각각의 약물의 양은 그 자체로 치료 목적을 위한 최적량 이하일 수 있으나, 포유류에 투여되는 약물의 배합물의 총량은 치료 유효량이어야 한다.
인슐린 투여의 매우 위험한 부작용은 혼수, 가능하게는 죽음에 대한 가능성을 가진 인슐린 유도 저혈당증이다. 상기 문제는 인슐린에 대한 예기치 않은 반응을 가져오거나, 순환 글루코오스의 과-가변성 수준을 갖는 당뇨 환자에서 꽤 심각해질 수 있다. 이런 환자에 대해, 인슐린의 부-치료 용량과 상기 화합물의 동시투여는 당뇨 환자가 인슐린을 과다복용하여, 혼수 및 죽음과 같은 심각한 결과로 고통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인슐린의 존재 또는 부재시 저혈당증을 유도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인슐린의 효과를 증가시키나, 저혈당증과 같은 진성 인슐린 유사(mimetic)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효과적인 인슐린 안정화제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포유류의 I 형 당뇨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유류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포유류는 인간이다. I 형 당뇨병의 치료 방법은 선택적으로는 I 형 당뇨병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부가 요법 또는 치료로 포유류를 치료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I 형 당뇨병의 치료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인슐린은 모두 포유류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와 조합된 I 형 당뇨병의 치료의 부가 형태는 인슐린 이외의 항당뇨병 제제 또는 I 형 당뇨병의 치료의 다른 대안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약물이 I 형 당뇨병을 가진 포유류에 단독으로 전달된다면, 비록 각각의 약물의 양이 치료 목적에 대한 최적량 이하일 수 있으나, 포유류에 투여되는 항당뇨병 제제의 조합물의 총량은 치료 유효량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유류의 II 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대상자는 인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치료 방법과 같이, 상기 방법은 포유류에 인슐린을 투여하는 것과 같은 II 형 당뇨병에 대한 요법의 하나 이상의 부가 형태로 포유류를 치료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슐린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치료 유효량으로 포유류에 전달된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과 배합하여 사용되는 치료 유효량의 인슐린은 포유류에 단독으로 전달되는 경우 치료 유효량 미만의 인슐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치료에 투여되는 인슐린은 천연원으로부터 단리되거나 재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인슐린 유사체가 본 발명의 임의의 치료시 인슐린을 대체할 수 있다.
조합 요법에 의해 II 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는 또한 II 형 당뇨병에 대한 비-인슐린, 항당뇨병성 제제 또는 기타 치료법과 조합하여 포유류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과 배합하여 포유류에 투여되는 항당뇨병성 약물은 선택적으로는 티아졸리딘디온, 예컨대 트로글리타존, 또는 술포닐우레아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약물이 II 형 당뇨병을 가진 포유류에 단독으로 전달된다면, 비록 각각의 약물의 양이 치료 목적에 대한 최적량 이하일 수 있으나, II 형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 포유류에 투여되는 약물 (발명 화합물과 인슐린의 조합, 및/또는 기타 항당뇨병성 약물) 의 조합물의 총량은 치료 유효량이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치료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약학적 담체 내에 분산된,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비경구 및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의 투여 단위는 일반적으로는 0.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mg/kg 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나, 투여 경로, 환자의 나이 및 상태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즉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g/kg 의 투여 단위로 투여된다. 상기 투여 단위는 급성 또는 만성 질환에 대해 1 일 1 내지 10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되는 경우 어떠한 허용불가능한 독성 효과도 기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될 대상자 및 대상자의 상태의 성질에 적절한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국소 적용을 통한, 경점막 또는 경피 전달에 의한,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및 피하 주사를 포함하는 주사, 비강 분무, 좌제 등에 의한 투여 또는 경구 투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형물은 선택적으로는 리포솜형 제형물, 에멀젼, 점막을 가로질러 약물을 투여하도록 고안된 제형물, 경피 제형물일 수 있다. 각각의 투여 방법에 대한 적절한 제형물은 예컨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최종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상기 설명된 방법, 용도, 활성, 투여 및 약학적 조성물은 K=O 인 상기 화합물에 대해 바람직하다.
(d)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는 어떤 방법으로든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하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 기 K=C- (K 는 전술한 바와 같다)를 제공하는 활성화된 이관능성 시약과 함께, 하기 화학식 A 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분자간 또는 분자내 축합시키거나, 화학식 B 의 화합물에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화학식 A 의 화합물과 화학식 B 의 화합물사이에 링커를 형성시킴:
[화학식 A]
[화학식 B]
[식중, 화학식 A 및 B 의 아미노기는 선택적으로는 보호형이고, R1, R2, R3, R4, R5, R6, x 및 Y 는 본 발명의 개요의 첫 번째 양태에 따라 정의되고, X 는 R3또는 R4일 수 있고, WZ 는 S=C= 또는 O=C= 이거나, W 및 Z 는 R3또는 R4일 수 있음];
(ii)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R2, R5및 R6또는 Y 의 다른 치환기 화학적 설정 (상기 치환기는 또 다른 치환기로 전환가능하다);
(iii) 나프탈렌 고리 하나 또는 양쪽에의 치환기 R1, R2, R5및 R6또는 Y 의 도입;
(iv) 탈보호;
(v) 상기 링커를 다른 링커로 전환시키기 위한 링커의 설정;
(vi) 염 형성 또는 상호전환;
(vii) 에스테르 가수분해;
(viii)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염기의 유리화; 또는
(ix) 입체이성질체 분리 또는 합성.
상세 부분은 하기 표로부터 분명해지며, 이는 단계 (ⅰ) 내지 단계 (ⅷ) 에 대한 전형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반응식 반응 유형
고리 A 내에 치환기의 도입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브롬화, 아미드 형성, 가수분해)링커를 형성하는 축합
링커를 형성하는 축합
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알킬화, 가수분해)염의 상호전환 (NH4 +→Na+)
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 (알킬화)
링커를 형성하는 축합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가수분해, 산성화)
링커를 형성하는 분자내 축합아미노기의 탈 보호화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가수분해, 산성화)
링커를 형성하는 축합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가수분해, 산성화)
링커를 형성하는 첨가(-NH2+ SCN-)링커의 설정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가수분해, 산성화)
링커를 형성하는 첨가(-NH2+ SCN-)링커의 설정 (알킬화, 가아민분해:aminolysis)고리 A 상에 치환기의 설정(가수분해, 산성화)
링커를 형성하는 축합
축합 반응에서, 물과 같이 단순한 물질은 둘 이상의 분자 조합에 의해 방출된다. 축합 반응은 50 내지 125℃ 의 온도에서, 디브로모에탄 및 디요오도프로판과 같이, 유기 합성에 이용되는 수많은 출발 물질의 임의 첨가시에 발생할 수 있다. 화학식 A 및 B 에서, R3및 R4는 함께 -(CH2)2-, -(CH2)3- 또는 -(CH2)4- 일 수 있고, 이어서 축합은 분자내 반응이다 (반응식 Ⅵ 참조).
R1, R2, R5및 R6또는 Y 와 같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의, 한 상기 치환기에서 다른 치환기로의 전환을 통한 화학적 설정은 가수분해, 염형성, 산성화, 알킬화, 에스테르화, 산화 또는 환원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가수분해에서,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화합물은 물과의 반응에 의해 분리된다. 산 또는 염기로 촉매화되는 가수분해, 및 아미드의 가수분해에는, 에스테르의 가수분해에 요구되는 조건보다 일반적으로 더욱 더 격렬한 조건 (예, 1 내지 100℃ 에서 1 내지 5 시간동안, 더욱 고농도의 황산) 이 요구된다. 또한, 가수분해 반응은 100 내지 150℃ 에서 수성 염산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18 시간 정도가 요구될 수 있다.
염 형성에서, 유리 산 (free acid) 은, 산의 전체 또는 부분의 수소 이온을 하나 이상의 염기의 양이온으로 대체시키는 수성 소듐 히드록시드 또는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염기성 시약 첨가를 통해 염으로 전환된다. 상응하는 산 첨가 염으로의 화합물의 전환은, 염산과 같은 적당한 산의 화학양론량의 처리를 통해 달성된다. 전형적으로, 유리 염기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산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첨가한다. 온도는 0 내지 50℃ 로 유지시킨다. 상응하는 염은 자발적으로 침전되거나, 덜 극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용액에서 발생할 수 있다. 산성화에서, 화학적 화합물이 산으로 전환된다.
알킬화에서, 알킬기는 화합물에 첨가되거나 치환된다. 알킬화는, 0 내지 160℃, 전형적으로는 약 25℃ 내지 환류까지에서, 아세토니트릴, DMF, 또는 THF 와 같은 적합한 용매 내에서 수행되고, 약 1 내지 18 시간이 요구된다. 최종적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은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생성물의 형성을 결과로 한다. 간략히 말해, 화합물은,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유기 용매 중에서, 1.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25 몰 당량의 4차 유기 염기 (예,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또는 바람직하게 트리에틸아민) 의 임의 존재하에서,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몰 당량의 알칸올, 티올 또는 암모니아, 모노알킬, 또는 디알킬아민, 또는 복소환 아미노알칸올과 반응된다. 반응은 -10 내지 50℃ 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1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4 시간동안 일어난다.
화학식 Ⅰ 의 특정 화합물은 산 첨가를 통해 제조 가능하다. 또한,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은, K 를 알킬화시키는 것과 같이 K (K 는 상기 의미를 갖음) 를 변경시키고, 이어서 S-메틸기와 같은 이탈기를 아미노기가 대체하는 아미노 치환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호기가 도입되고 최종적으로는 제거될 수 있는 경우, 아미노, 히드록시, 카르복실기에 대한 적합한 보호기가 문헌 [Greene, et al.,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 2 판, John Wiley 및 Sons, New York, 1991] 에 기술된다.카르복실산의 활성화는 문헌 [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출판, New York, 1989] 에 기술된 수많은 상이한 시약들을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실시예 1
화합물 3, 4, 8-16, 및 19-93 이 반응식 Ⅰ 및 반응식 Ⅱ 에 따라 제조되었다.
7-{[(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디소듐염 (화합물 3).
80mL 의 물에 현탁된 5.25g (0.021mol) 의 7-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에, 물을 사용하여 30mL 로 희석된 6.5mL 의 10N NaOH (0.065mol) 수용액, 및 THF 30mL중 3.20g (0.011mol) 의 트리포스겐의 용액을 부분씩 첨가하고, 반응물의 pH 를 8 초과로 유지시키도록 변화시켰다. TLC (6:2:1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물)로써 반응이 완결된 후, 수성 HCl 로 pH 를 1 로 낮추고, 회전 증발로 휘발 물질을 제거시켰다. 고형 생성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는 3.41g 의 화합물 3 을 산출하였다.
4-히드록시-7-{[(5-히드록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디소듐염 (화합물 4).
45mL 의 1N 수성 NaOH 및 50mL 의 물에 용해된 10.77g (0.045mol) 의 7-아미노-4-히드록시나프탈렌-2-술폰산에, 3.70g (0.045mol) 의 소듐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용액의 pH 는 9 초과였다. 상기 반응을 얼음-물 배쓰 에서 5℃ 이하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15mL 의 THF 에 용해된 2.23g (0.045mol) 의 트리포스겐을 1/3 씩 3 회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의 pH 는 4-5 로 떨어졌고, 1N 수성 NaOH 를 적가함으로써 7-8 로 재조정되었다. TLC (6:2:1 에틸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물) 는 반응이 미완결임을 나타내었다. 1N 수성 NaOH 를 첨가함으로써 pH 를 7 초과로 유지시키면서, 10mL 의 THF 중 또 다른 2.20g (0.045mol) 의 트리포스겐을 부분씩 첨가하였다. TLC 로 반응이 완결되었다고 판단될 때, 수성 HCl 을 사용하여 pH 를 1 로 낮추고, 회전 증발로 휘발 물질을 제거시켰다. 고형 생성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였다. 상기는 10.85g 의 화합물 4 를 산출하였다.
4-메틸페닐 3-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5).
250mL 의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37mL (0.458mol) 의 피리딘 및 50g(0.463mol) 의 p-크레솔(4-메틸페놀) 에, 50g (0.226mol) 의 3-니트로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2 시간 후, TLC 로 반응이 완결되었다고 판단되었고, 휘발 물질을 회전 증발로 제거하였다. 결과 잔류물을 400mL 의 0.5M 소듐 비카르보네이트로 처리하였다. 불용성 생성물을 수합하고, 소듐 비카르보네이트(2회, 각각 200mL 씩) 및 물 (2회, 각각 300mL)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고형물을 메탄올(200mL), 이어서 물(200mL) 로 처리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고형물을 250mL 의 진한 HCl 에 용해된 170g(0.897mol) 의 주석(Ⅱ)클로라이드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0 시간 교반시킨 후, TLC 가 반응이 미완결이라는 것을 나타내어, 반응을 50℃ 에서 27 시간 가열하였다. 고형 침전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6N HCl 로 세척하였다. 고형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휘발 물질을 회전 증발로 제거하여, 42.5g 의 화합물 5 를 정지 상태에서 고형화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N-[7-(클로로술포닐)(2-나프틸)]{[7-(클로로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화합물 6).
2.35g (4.86mmol) 의 화합물 3 에, 116mL 의 술포란, 25mL 의 아세토니트릴, 31mL 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및 1mL 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72 시간 교반시켰다. 상기는 거의 맑은 용액을 생성하였다. 반응물을 1.5L 의 얼음, 및 얼음 배쓰에 놓여진 플라스크에 쏟아부었다. 모든 얼음이 용융된 후,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형물을 고 진공하에서 24 시간 건조시켰다. 상기는 2.56g 의 화합물 6 를 제공하였다.
7-{[(7-(클로로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나프탈렌-2-술포닐 클로라이드 (화합물 7).
8mL 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에 현탁된 500mg (0.912mmol) 의 화합물 4 에, 25mL 의 1:1(v:v) 술포란:아세토니트릴 및 0.5mL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시켰다. 반응물은 맑은 용액이 되었고, 이를 500mL 의 얼음상에 쏟아부었다. 얼음 혼합물을 얼음 배쓰내에 놓아두었고,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결과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형물을 고 진공하에서 24 시간 건조시켰다. 상기는 412mg 의 화합물 7 을 제공하였다.
7-[({7-[({3-[(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화합물 8) 및 4-메틸페닐 3-[({7-[(N-{7-[({3-[(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9).
40mL 의 피리딘에 용해된 250mg (0.95mmol) 의 4-메틸페닐 3-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5) 에, 5mL 의 THF 중 250mg (0.49mmol) 의 화합물 6 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3 시간 교반시켰다. 이어서,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휘발 물질을 회전 증발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완충 시스템 (완충액 A: 5% 아세토니트릴, 95% 물, 0.05% TFA; 완충액 B: 95% 아세토니트릴, 5% 물, 0.05% TFA; 35mL/분, 45분 내 0-100% B) 을 사용하여, 역상 (reverse-phase: RP) HPLC (C18, 30×250 mm 컬럼) 로 정제하였다. 조기의 용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배합하고, 동결 건조시켜 9mg 의 화합물 8 을 제공하였다. 후기의 용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배합하고 동결 건조시켜 51mg 의 화합물 9 를 제공하였다.
4-히드록시-7-[({5-히드록시-7-[({3-[(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화합물 10) 및 4-메틸페닐 3-[({4-히드록시-7-[(N-{5-히드록시-7-[({3-[(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11).
40mL 의 피리딘에 용해된 250mg (0.95mmol) 의 4-메틸페닐 3-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5) 에, 5mL 의 THF 중 265mg (0.49mmol) 의 화합물 7 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3 시간 교반시켰다. 이어서,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휘발 물질을 회전 증발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완충 시스템 (완충액 A: 5% 아세토니트릴, 95% 물, 0.05% TFA; 완충액 B: 95% 아세토니트릴, 5% 물, 0.05% TFA; 35mL/분, 60분 내 0-100% B) 을 사용하여, 역상 HPLC (C18, 30×250 mm 컬럼) 로 정제하였다. 조기의 용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배합하고, 동결 건조시켜 15mg 의 화합물 10 을 제공하였다. 후기의 용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배합하고 동결 건조시켜 65mg 의 화합물 11 를 제공하였다.
7-{[(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디소듐염 (화합물 12).
8mg (0.011mmol) 의 화합물 8 에, 2mL 의 5N NaOH 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6 시간 교반시켰다. 반응물을 6N HCl 로 산성화시키고, 용액을 작은 역상 (C18) 고체상 추출 컬럼에 첨가하였다. 컬럼을 H2O, 이어서 50:50 (v:v) CH3CN:H20 로 세척하여 생성물을 용출시켰다. 상기는 5mg 의 화합물 12 를 제공하였다.
3-{[(7-{[N-(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디소듐염 (화합물 13).
35mg(0.036mmol) 의 화합물 9 에, 2 mL 의 5N NaOH 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6 시간 교반시켰다. 반응물을 6 N HCl 로 산성화시키고, 용액을 작은 역상 (C18) 고체상 추출 컬럼에 첨가하였다. 컬럼을 H2O, 이어서 50:50 (v:v) CH3CN:H20 로 세척하여 생성물을 용출시켰다. 상기는 26mg 의 화합물을 화합물 13 을 제공하였다.
4-히드록시-7-{[(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화합물 14).
상기 화합물을 화합물 12 의 합성에 대해 기술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10 으로부터 제조하였다.
3-{[(4-히드록시-7-{[N-(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화합물 15).
상기 화합물을 상기 화합물을 화합물 12 의 합성에 대해 기술된 과정에 따라,화합물 11 로부터 제조하였다.
3-브로모-7-{[(6-브로모-5-히드록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나프탈렌-2-술폰산 디소듐염 (화합물 16).
1mL 의 물 및 2mL 의 디옥산 중 123mg (0.22mmol) 의 화합물 4 의 용액에, 300㎕ 의 사염화탄소 중 1M 브롬 용액을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또 다른 200㎕ 의 브롬 용액을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또 다시 1 시간 후, 부가적인 150㎕ 의 브롬 용액을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30 분 후, 반응물을 100mL 의 THF 에 쏟아부어 갈색 침전물을 생성하였고, 진공 여과로 수합하였다. 목적하는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5:2:1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물) 로 정제하여 17mg 의 화합물 16 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화합물의 대안적인 합성 방법이 반응식 Π에 기술된다. 상기 방법은 목적 생성물의 다량 합성에 유용하고, 화합물 15 의 합성으로 예시된다.
6-(아세틸아미노)-3-(클로로술포닐)나프틸 아세테이트 (화합물 17).
50g (0.209mmol) 의 화합물 2 에, 100mL 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100mL 의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시켰다. 상기 고형 침전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였다. 상기는 83g 의 생성물을 제공하였고, 이를 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고형물에 260mL 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16시간 교반시켰다. 이어서, 짙은색 용액을 3L 의 얼음에 쏟아부었다. 모든 얼음이 용융된 후(약 3 시간), 상기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형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50g 의 화합물 17 을 제공하였다.
3-{[(7-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소듐염 (화합물 18).
200mL 의 THF 에 용해된 25g (0.095mol) 의 화합물 5 에, 8.1mL 의 피리딘을첨가하였다. 이어서, 36.3g (0.106mol) 의 화합물 17, 이어서 부가적인 200mL 의 THF 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시켰다. 이어서, 휘발 물질을 제거하였고, 결과 잔류물은 에틸 아세테이트와 1N HCl 사이에 부분으로 나누어졌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처리하고, 여과시키고, 휘발 물질을 회전 증발로 제거하였다. 결과 고형물을 220mL 의 5N NaOH 및 30mL 의 디옥산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80℃ 에서 5 시간 가열하였다. 이어서, 용액의 pH 를 진한 HCl 을 사용하여 1 로 낮추었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이어서 200mL 의 물에, 20mL 의 5N NaOH 와 용해시켰다. 용액을 가열하여 흐릿한 용액을 수득하였고, 이를 가열 여과하여 맑은 용액을 생성시켰다. 물을 사용하여 용액을 1.5L 로 희석하고, 이어서 6N HCl 로 pH 를 1로 조정하였다. 고형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현탁액을 냉장고에서 밤새 냉각시키고, 상기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여, 건조 후, 21g 의 화합물 18 을 제공하였다.
3-{[(4-히드록시-7-{[N-(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디소듐염 (화합물 15).
17.7g (0.045mol) 의 화합물 18 에, 250mL 의 아세테이트 완충액 (1M NaOAC/HOAc, pH 4.6) 및 50mL 의 THF 를 첨가하였다. 상기는 짙은 갈색 용액을 형성하였다. 40mL 의 THF 중 4.4g (15mmol) 의 트리포스겐의 용액을, 상기 용액에 3 시간 1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HPLC 는 상기 반응이 완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반응을 농축 HCl (15mL) 로 산성화시켰다. 모든 휘발 물질을 회전 증발로 제거하고, 결과 찐득한 물질을 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헵탄, 및 이어서 헵탄으로 벗겨내었다. 결과 고형물을 140mL 의 물에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어서, 250mL 의 염수를 첨가하였다. 고형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플라스크를 4℃ 에서 15 시간 유지시키고, 이어서 상기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였다. 고형물을 소량의 얼음-냉 3:1 물:염수로 세척하였다. 고 진공하에서 건조 후, 상기는 19.2g 의 화합물 15 를 제공하였다.
하기 화합물 (표1)은 반응식 Ⅰ 또는 반응식 Ⅱ 에서 약술되고, 화합물 3-18 의 합성에 대한 상기 과정에서 상세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일반적 과정에 따라 제조된다. 화합물 19-91 의 합성을 위해 화합물 5 대신 사용되는 각종 분자들은, 상업적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하거나, 당해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표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산성 기를 갖는 표 1 의 화합물은 유리 산 형태로 나타난다.
[표 1]
실시예 3
화합물 94-102 는 반응식 Ⅲ 에 약술된 과정에 따라 합성되었다.
7-[({5-[(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나프탈렌-2-술폰산, 디암모늄염 (화합물94) 및 4-[(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7-[({5-[(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7-술포(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디암모늄염 (화합물 95).
50mL 의 에탄올에 현탁화된 275mg (0.5mmol) 의 화합물 4 에, 2.5mL 의 에탄올 중 소듐 에톡시드 용액 0.2M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56㎕ (0.5mmol) 의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2 시간 환류시켰다. 이어서, 고형물을 여과로 제거시키고, 휘발 물질을 여액으로부터 제거하여 220mg 의 조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암모늄 아세테이트 (NH4OAc) 완충 시스템 (완충액 A: 5% 아세토니트릴, 95% 물, 50mM NH4OAc; 완충액 B: 70% 아세토니트릴, 30% 물, 15mM NH4OAc; 15mL/분, 30분내 0-100% B) 을 사용하여, 역상 HPLC (C18, 20 ×250mm 컬럼) 으로 정제하였다. 조기의 용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배합하고, 동결 건조시켜 60mg 의 화합물 94 를 제공하였다. 후기의 용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배합하고 동결 건조시켜 32mg 의 화합물 95 를 제공하였다.
2-(6-{[N-(5-히드록시-7-술포(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3-술포나프틸옥시)아세트산 디소듐염 (화합물 96).
25mg (0.04mmol) 의 화합물 94 에, 1 mL 의 5N NaOH 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 교반시켰다. 수성 HCl 로 pH 를 1 로 낮추고, 결과 고형물을 진공 여과로 수합하여, 16mg 의 화합물 96 을 산출하였다.
2-[6-({N-[5-(카르복시메톡시)-7-술포(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3-술포나프틸옥시]아세트산 디소듐염 (화합물 97).
상기 화합물 94 에 대한 것과 같이 화합물 95 를 처리하여, 11mg 의 화합물 97 을 제공하였다.
하기 화합물 (표 2) 는 반응식 Ⅲ 에서 약술되고, 화합물 94-97 의 합성에 대한 상기 과정에서 상세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일반적 과정에 따라 제조되었다. 화합물 98-102 의 합성을 위해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 대신 사용되는 각종 분자들은, 상업적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하거나 또는 당해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표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표 2 의 모든 화합물은 유리 산 형태로 나타난다.
[표 2]
실시예 4
화합물 103-105 는 반응식 Ⅳ 에 약술된 과정에 따라 합성되었다.
3-{메틸[(7-{[(7-{[메틸(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디포타슘염 (화합물 103).
59mg (0.071mmol) 의 화합물 13 에, 2mL 의 DMF 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38mg 의 포타슘 카르보네이트를 첨가하였다. 교반된 현택액을 오일 배쓰 내에서, 70℃ 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36㎕ 의 요오도메탄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 시간 가열하고, 이어서 휘발 물질을 회전 증발로 제거하였다. 결과 고형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C18 고체상 추출 컬럼에 첨가하였다. 컬럼을 9 컬럼 부피만큼의 물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80% 아세토니트릴로 용출시켜, 휘발 물질의 증발 후, 55mg 의 화합물 103 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104 및 105 (표 3) 는 메틸 요오다이드 대신 알릴 브로마이드가 사용되고 화합물 13 대신에 화합물 48 이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03 의 합성에 대한 상기 과정에서 상세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일반적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표 3 의 모든 화합물은 유리 산 형태로 나타난다.
[표 3]
실시예 5.
화합물 112 내지 114 및 116 을 반응식 V 에 나타낸 하기의 공정에 따라 합성하였다.
7-(플루오렌-9-일옥시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카르복실산 (107). 0.504 g (2.70 mmol) 의 7-아미노나프탈렌-2-카르복실산 (106; Harrison, H. A. 및 Royle, F. A. J. Chem. Soc., 1926,84 의 공정에 따라 제조) 에 10 mL 의 디옥산, 5 mL 의 10% 탄산나트륨, 및 35 mL 의 물을 첨가하였다. 이 투명한 용액에 0.786 g (2.97 mmol) 의 9-플루오렌일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소량씩 15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1N HCl 을 사용하여 산성화하고, 수득된 백색 침전물을 진공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이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 중에 현탁하고, 교반하여 미세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를 진공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이는 0.948 g 의 화합물 107 을 제공하였다.
4-메틸페닐 3-{[7-(플루오렌-9-일옥시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108). 104 mg (0.026 mmol) 의 화합물 107 에 6.5 mL 의 클로로포름, 1.3 mL 의 티오닐 클로라이드, 및 100 μL 의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모든 휘발물을 진공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진공에서 클로로포름으로부터 2회 스트리핑하였다. 15 mL 의 클로로포름 중에서 현탁된 수득된 고체에, 74 mg (0.028 mmol) 의 4-메틸페닐 3-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5) 및 27 μL (0.033 mmol) 의 피리딘을 1.5 mL 의 클로로포름 중의 용액으로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수성) 사이에서 분별하였다. 유기층을 건조 (황산마그네슘) 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진공제거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하고, 고체 침전물을 진공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이는 110 mg 의화합물 108 을 제공하였다.
4-메틸페닐 3-{[(7-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110). 104 mg (0.16 mmol) 의 화합물 108 에 9 mL 의 THF 및 360 μL 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이 수득된 투명한 용액을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수성) 으로 추출하였다. 건조 유기층 (황산마그네슘) 을 여과하고, 휘발물을 진공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3 mL 의 디에틸 에테르 중의 1N HCl 중에서 용해시키고, 50 mL 의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고, 이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합하였다. 건조후, 이는 75 mg 의 화합물 110 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제공하였다.
4-메틸페닐 3-[({7-[(N-{7-[({3-[(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화합물 112). 3 mL 의 THF 및 1 mL 의 물에 용해된 75 mg (0.17 mmol) 의 화합물 110 에 소량씩 교대로 1 mL 의 물 중의 280 μL 의 5 N NaOH (수성), 이어서 1 mL 의 THF 중의 54 mg (0.18 mmol) 의 트리포스겐을 첨가하였다. 휘발물을, 고체 침전물이 형성되고, 투명한 용액이 될 때까지 제거하였다. 용액을 경사분리하고,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중에 용해시키고, 3회 증발시켰다. 이는 디클로로메탄 불용성 생성물을 생성시켜, 이를 진공여과에 의해 수합하여 24 mg 의 화합물 112 를 제공하였다.
3-{[(7-{[N-(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디소듐 염 (화합물 114). 20 mg (0.02 mol)의 화합물 112 에, 1.5 mL의, 메탄올 중의 1.37 M 나트륨 메톡시드, 1 mL 의 물, 및 0.5 mL 의 THF 를 첨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상온에서 2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N HCl (수성) 으로 산성화하고, 유기 휘발물을 진공제거하였다. 고체 침전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여 15 mg 의 화합물 114 을 수득하였다.
메틸3-({7(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화합물 109). 305 mg (0.75 mmol) 의 화합물 107 에, 10 mL 의 클로로포름, 3.5 mL 의 티오닐 클로라이드, 및 180 μL 의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회전 증발에 의해 휘발물을 제거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2 회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스트리핑하였다. 이어서, 50 mL 의 클로로포름, 124 mg (0.82 mmol)의 메틸-3-아미노벤조에이트, 및 100 μL 의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N HCl (수성) 으로 2회 및 물로 1회 추출하였다. 건조된 유기층 (황상마그네슘) 을 여과하고,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메탄올로 처리하여 고체 침전물을 형성하고, 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이는 380 mg 의 화합물 109 를 제공하였다
메틸 3-[(7-아미노-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화합물 111). 380 mg (0.70 mmol) 의 화합물 109 에 30 mL 의 디클로로메탄, 3 mL 의 THF 및 1 mL 의 피페리딘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투명한 용액을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수성) 으로 추출하였다. 건조 유기층 (황산마그네슘) 을 여과하고, 휘발물을 진공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3 mL 의 디에틸 에테르 중 1N HCl 및 50 mL 의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고, 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건조후, 이는 212 mg 의 화합물 111 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제공하였다.
메틸 3-[(7-{[N-(7-{N-3-(메톡시카르보닐)페닐]카르바모일}-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화합물 ll3). 2 mL 의 THF 및 1 mL 의 물 중에 용해된 21 mg (0.07 mmol) 의 화합물 111 에, 1 mL 의 물 중의 112 μL 의 5 N NaOH (수성), 이어서 1 mL 의 THF 중의 28 mg (0.10 mmol) 의 트리포스겐을 소량씩 교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N HCl 로 산성화하고, 휘발물을 고체 침전물이 형성되어 투명한 용액이 될때까지 제거하였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여 21 mg 의 화합물 113 을 제공하였다.
3-[(7-아미노-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산 (화합물 115). 51 mg (0.16 mmol) 의 화합물 111 에 1 mL 의 메탄올, 1 mL 의 물, 및 800 μL 의 1N 수산화 리튬 (수성) 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6 시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용액의 pH 를 1N HCl (수성) 을 사용하여 3 까지 낮추고, 휘발물을 진공제거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물중에 현탁하고, 진공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이는 16 mg 의 화합물 115 을 제공하였다.
3-({7-[(N-{7-[N-(3-카르복시페닐)카르바모일]-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산 (화합물 116). 2 mL 의 THF 및 1 mL 의 물 중에 용해된 10 mg (0.03 mmol) 의 화합물 115 에, 0.2 mL 의 물 중의 40 μL 의 5 N NAOH (수성) 용액, 이어서 0.2 mL 의 THF 중의 4 mg (0.02 mmol) 의 트리포스겐 용액을 소량씩 교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N HCl 로 산성화하고, 휘발물을 진공제거하였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여, 9 mg 의 화합물 116 을 제공하였다.
상기 기재된 공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 112 내지 114 및 116 을 표 4 에 나타낸다. 산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유리 산 형태로 나타낸다.
[표 4]
실시예 6.
화합물 122 및 123 을 반응식 VI 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합성하였다.
7-({2-[(7-술포-2-나프틸)아미노]에틸}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이칼륨 염 (화합물 117). 2.04 g (9.15 mmol) 의 7-아미노-2-나프탈렌 술폰산 (화합물 1) 에, 50 mL 의 건조 DMF 를 첨가하였다. 교반된 현탁액을 110 ℃ 에서 가열한 후, 1.4 g 의 탄산 칼륨, 이어서 400 μL (4.6 mmol) 의 1,2-디브로모에탄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10 ℃ 에서 18 시간 동안, 및 부가적으로 80 ℃ 에서 18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생성된 불용성 침전물을 진공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6:2:1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물) 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는 596 mg 의 화합물 117 을 제공하였다.
7-((플루오렌-9-일메톡시)-N-{2-[(플루오렌-9-일메톡시)-N-(7-술포(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에틸}카르보닐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디소듐염, (화합물118). 259 mg (0.47 mmol) 의 화합물 117 에 25 mL 의 물 및 207 mg 의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20 mL 의 디옥산을 첨가하였다. 불투명한 용액인 교반된 상기에, 290 mg (1.1 mmol) 의 9-플루오레닐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FMOC-Cl) 를 소량씩 첨가하였다. 2 시간 후, 또다른 260 mg (1.0 mmol) 의 FMOC-Cl 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를 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하였다. 이 조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메틸 5-[({7-[(플루오렌-9-일메톡시)-N-(2-{플루오렌-9-일메톡시)-N-[7-({[4-히드록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보닐아미노}에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화합물 119) 화합물 118 의 모든 생성물에, 15 mL 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황색 현탁액을 700 mL 의 얼음상에 부었다. 얼음이 용융된 후, 황색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밤새 진공건조하여, 194 mg 의 중간체 디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제공하였다. 이 고체에 3 mL 의 THF, 이어서 1.5 mL 의 THF 중의 72 mg (0.43 mmol) 의 메틸 5-아미노-2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41 μL 의 피리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사이에서 분별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여과하고,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중의0.5 % 메탄올을 용출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는 116 mg 의 화합물 119 를 제공하였다.
메틸 2-히드록시-5-[({7-[(2-{[7-({[4-히드록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에틸)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화합물 120). 99 mg (0.08 mmol) 의 화합물 119 에, 9 mL 의 5% (v/v) THF 중의 피페리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사이에서 분별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여과하고,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1 % 메탄올을 용출하는,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중의 2 % 메탄올을 용출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는 64 mg 의 화합물 120 를 제공하였다.
5-({[7-({2-[(7-{[(3-카르복시-4-히드록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에틸}-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히드록시벤조산 (화합물 121). 64 mg (0.08 mmol) 의 화합물 120 에, 20 mL 의 포화 탄산나트륨, 76 mg 의 나트륨 히드로술파이트 (Na2S204), 및 2 mL 의 DMF 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사이에서 분별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여과하고,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완충시스템 (완충액 A: 5% 아세토니트릴, 95% 물, 0.05% TFA; 완충액 B: 95% 아세토니트릴, 5% 물, 0.05% TFA; 17 mL/분; 10 분내 0-50% B, 17 분간 50% B , 20 분내 50-100% B) 를 사용하는, 역상 HPLC (C18, 250 x 20 mm 칼럼) 에 의해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조합하고, 동결건조하여 24 mg 의 화합물 121 을 제공하였다.
5-[({7-[3-(7-{[(3-카르복시-4-히드록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2-옥소이미다졸리디닐]-(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히드록시벤조산 (화합물 122). 2 mL 의 포화 탄산나트륨 및 2 mL 의 물 중의 8 mg (0.011 mmol) 의 화합물 121 에, 0.5 mL 의 THF 중에 용해된 3 mg (0.010 mmol) 의 트리포스겐을 적가하였다. 적가를 15 분에 걸쳐 하였다. 반응물은 HPLC 에 의해 불완전함이 판단되어, 또다른 0.5 mL 의 THF 중의 4.5 mg (0.015 mmol) 의 트리포스겐을 전과 같이 첨가하였다. 2 시간 후, 반응물을 6N HCl 로 산성화하고,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현탁액을 냉동 및 동결건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디메틸 술폭시드/물/아세토니트릴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완충시스템 (완충액 A: 5% 아세토니트릴, 95% 물, 0.05% TFA; 완충액 B: 95% 아세토니트릴, 5% 물, 0.05% TFA; 19 mL/분; 20 분내 0-100% B ) 를 사용하는, 역상 HPLC (C18, 250 x 20 mm 칼럼) 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는 1 mg 의 목적하는 화합물 122 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123 을 반응식 VI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사한 합성 과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표 6]
실시예 7.
화합물 129 을 반응식 VII 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합물 126 을 시중 구입가능한 3-술포벤조산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표준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나프탈렌-2, 7-디아민 (화합물 125). 1.39 g (6.37 mmol) 의 2,7-디니트로나프탈렌 (124) 에 25 mL 의 농축 HCl 및 15 mL 의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9.6 g (50.9 mmol) 의 주석 (II)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반응물을 78 ℃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NaOH 로 염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건조하고 (MgS04), 여과하고,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1 % 메탄올을 용출하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는 0.965 g 의 화합물 125 을 제공하였다.
메틸 3-{[(7-아미노-2-나프틸)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화합물 127). 277 mg (1.19 mmol) 의 화합물 125 에 30 mL 의 THF 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900 μL 의 피리딘 및 10 mL 의 술폴란을 이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10 mL 의 THF 중의 307 mg (1.31 mmol) 의 화합물 126 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x) 및 1N HCl 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경사분리하였다. 수성층을 NaOH 로 염기성화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출발 물질 (화합물 125) 이 유기층에서 검출되지 않을때까지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pH 2.6 에서 물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이어서 건조하고 (MgSO4), 여과하고,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중의 1N HCl 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수합하여, 48 mg 의 화합물 127 을 염산염으로서 수득하였다.
메틸 3-({[7-({[7-({[3-(메톡시카르보닐)페닐]술포닐}아미노)-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화합물 128) 및 3-{[(7-{[(7-{[(3-(카르복시페닐)술포닐]아미노}-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아미노]술포닐}벤조산 (화합물 129). 43 mg (0.11 mmol)의 화합물 127 에, 8 mL 의 1M 중탄산나트륨 및 0.5 mL 의 THF 를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0.5 mL 의 THF 중의 33 mg (0.11 mmol) 의 트리포스겐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HPLC 분석이 반응물의 불완전함을 표시하여, 또다른 33 mg 의 트리포스겐을 적가하였다. HPLC 분석이 반응물의 불완전함을 표시한 후, 트리포스겐의 세 번째 배치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의 완전함을 결정하여,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 (화합물 128) 을 2 N NaOH 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6N HCl 을 사용하여 pH 1 까지 조정하고,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6 mg 의 화합물 129 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8.
비대칭 화합물 136 내지 145 를 화합물 136 및 137 에 대한 반응식 Ⅷ 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합물 18 을 대신하여 사용된 다양한 아민을 반응식 Ⅱ 에 나타낸 화합물 18 에 대한 일반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7-(아세틸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나트륨 염 (화합물 130). 3.75 g (16.8 mmol) 의 7-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 (화합물 1) 에 각각의 20 mL 의 피리딘 및 아세트산 무수물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흑색 반응물을 얼음조에서 냉각한 후, 45 mL 의 메탄올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나트륨 메톡시드 (10 mL 메탄올 중의 425 mg 의 나트륨) 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는 4.4 g 의 화합물 130 을 제공하였다.
N-[7-(클로로술포닐)-2-나프틸]아세트아미드 (화합물 131). 3.6 g (12.5 mmol) 의 화합물 130 에 100 mL 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4 mL 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2 L 의 얼음상에 부었다. 얼음이 용융된 후, 고체 침전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진공건조후, 이는 3.4 g 의 화합물 131을 제공하였다.
5-({[7-(아세틸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화합물 132). 15 g (0.087 mol) 의 5-아미노-2-클로로벤조산을 450 mL 의 THF 및 15 mL 의 피리딘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5 ℃ 까지 얼음수조에서 냉각시켰다. 이어서, 200 mL 의 THF 중에 용해된 20.8 g (0.074 mol) 의 화합물 131 을 1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 ℃ 에서 30 분 동안 유지시킨 후, 실온까지 가온하였다. 반응물을 4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여과하여, 일부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수득된 투명한 여과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휘발물을 제거함으로써 고체를 수득하였다. 이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1N HCl 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0.5 M NaOH (1회) 및 0.33 M NaOH (3 회) 를 사용하여 더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조합하고, HCl 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회귀 추출하였다. 건조 (MgSO4), 여과, 및 회전 증발에 의한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제거 후, 고체 잔류물을 2.8 L 의 50/50 메탄올/물 중에 가열하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소량의 고체를 진공여과 및 경사분리함으로써 제거하였다. 투명한 여과물을 48 시간 동안 정치한 후, 회전 증발에 의해 약 500 mL 까지 부피를 감소시켰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진공 건조후, 이는 17.6 g 의 화합물 132 를 제공하였다.
5-{[(7-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화합물 133). 13.5 g (0.032 mmol) 의 화합물 132 에 100 mL 의 5 N NaOH 를 첨가하였다. 이용액을 50 ℃ 에서 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86 mL 의 6 N HCl 을 사용하여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1N HCl, 물, 염수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 (MgSO4), 여과하고,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11.3 g 의 화합물 133 을 수득하였다.
메틸 5-{[(7-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에이트 (화합물 134). 250 mL 의 메탄올 중에 용해된 10.1 g (0.027 mol) 의 화합물 133 에 50 mL 의 디옥산 중의 4 N HCl 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이 불완전하였기때문에, 5 시간 더 환류가열하였다. 이어서,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수득된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0.4 N 중탄산나트륨, 물 및 염수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 (MgSO4), 여과하고, 회전 증발에 의해 휘발물을 제거하여, 8.71 g 의 화합물 134 를 수득하였다.
메틸 2-클로로-5-{[7-이소티오시아네이토(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화합물 135). 4.5 g (11.5 mmol) 의 화합물 134 및 9.01 g (50.6 mmol) 의 1,1'-티오카르보닐디이미다졸에 50 mL 의 THF 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300 mL 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붓고, 1N HCl, 물, 및 염수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 (MgSO4), 여과하고, 회전 증발에 의해 휘발물을 제거하여, 4.77 g 의 화합물 135 를 수득하였다.
3-[({7-[({[7-({[4-클로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티옥소메틸)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화합물 136). 5 mL 의 DMF 중에 용해된 170 mg (0.039 mmol) 의 화합물 135 에 5 mL 의 DMF 중의 100 mg (0.25 mmol) 의 화합물 18 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4 일 후, DMF 를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고진공하에서 유지하여 미량의 DMF 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으로 처리하고, 초음파처리하여, 현탁액을 형성하였다. 불용성 생성물인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이 고체를 메탄올 중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다시 디클로로메탄으로 처리하고, 초음파처리하고, 진공 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이는 172 mg 의 오렌지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2-클로로-5-{[(7-{[(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화합물 137). 100 mg (0.12 mmol) 의 화합물 136 에 15 mL 의 아세토니트릴, 이어서 10 mL 의 THF 및 1 mL 의 요오도메탄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4 일동안 교반하였다. HPLC 분석은 반응물이 완전함을 나타내었다. 휘발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잔류물을 1N NaOH (수성) 중에서 0 내지 5 ℃ 에서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얼음조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실온까지 2 시간에 걸쳐 가온하였다. 반응 용액을 0.2 μm 나일론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일부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반응 pH 를 약 1 까지 6 N HCl 을 사용하여 조정하였다. 수득된 고체 침전물을 진공여과에 의해 수합하였다. 60 mg 의 화합물 137 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138 내지 145 (표 7) 를 상이한 아민이 화합물 18 을 대신하여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36 및 137 의 합성을 위한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일반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아민을 반응식 Ⅱ 에 도식된 화합물 18 의 합성에 관한 동일한 일반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산성기를 갖는 표 7 의 화합물은 유리산 형태를 나타낸다.
[표 7]
실시예 9
반응식 IX 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157-168을 제조하였다.
메틸 2-클로로-5-[({7-[({[7-({[4-클로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티옥소메틸)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화합물 157 ). 3.0 g (7.68 mmol) 의 화합물134에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 4.0 g (9.24 mmol) 의 화합물135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48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미세한 백색 고체를 수합하여, 5.2 g의 화합물157을 수득하였다.
메틸 5-({[7-(1-아자-2-{[7-({[4-클로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2-메틸티오비닐)(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에이트 (화합물 158 ). 아세토니트릴 50 mL 에 용해된 1.0 g (1.21 mmol) 의 화합물157에 메틸 요오드화물 1.1 mL (17.7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7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회전증발기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수득한 황색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1M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50/50 염수/물로써 세척하고,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휘발성 물질을 회전증발로 제거하여, 0.95 g의 화합물158을 수득하였다.
메틸 5-({[7-(2-아미노-1-아자-2-{[7-({[4-클로로-3-(메톡시카르보닐)-페 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비닐)(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에이트 (화합물 159 ). 220 mg (0.24 mmol)의 화합물158에 디옥산 중 0.5 M NH3용액 10 m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용액을 밀폐된 튜브에 넣고 70℃에서 18 시간동안 가열한 후, 80℃에서 24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NH3가스를 부가적으로 반응물에 4 분간 버블링하였다. 반응물을 밀폐하고, 80℃에서 51 시간 더 계속 가열하였다. 그 후, 반응 온도를 65℃로 낮추고, 11 일간 계속 진행하였다. 이 시점에서, 반응은 HPLC 분석을 기준으로 70% 완성되었다. 휘발성 물질을 회전증발로 제거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중 3%의 메탄올 및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중 5%의 메탄올로 용리하며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생성물을 90:2:1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물로 용리하여, 117 mg의 화합물159를 수득하였다.
5-{[(7-{2-아미노-1-아자-2-[(7-{[(3-카르복시-4-클로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비닐}(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화합물 160). 50 mg (0.062 mmol) 의 화합물159에 1N NaOH 10 m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N HCl 11 mL를 사용하여 pH 1로 산성화시켰다.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어, 이를 진공 여과로 수합하고 물로세척하였다. 고체를 진공에서 건조시켜, 45 mg 의 화합물160을 수득하였다.
화합물161-168(표 8)은, 암모니아 대신 다른 아민을 사용한 것 이외에, 상술한 화합물157-160의 합성 방법과 동일한 일반적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8의 산성기를 갖는 화합물들은 유리산 형태로 나타낸다.
[표 8]
실시예 10.
화합물169-181(표 9)을 반응식 I 및 II 에 개시되고 표 1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일반적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합물 6-아미노-나프탈렌-2-술폰산을 화합물 1 및 2 대신 사용하였다.
[표 9]
실시예 11.
[14C]로 표지된 화합물15를 반응식 X 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 14 C]-3-{[(4-히드록시-7-{[(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화합물 [ 14 C]-15 ). DMF 1.7 mL에 용해된 51 mg (0.013 mmol)의 화합물18에 2,6-디-tert-부틸피리딘 58 μL (0.026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THF 1.7 mL 중 이미디졸 13.6 mg (0.020 mmol)이 담긴 다른 시험관에 [14C]-포스겐 (톨루엔 중 20%) 36 μL(0.007 mmol)을 첨가하였다. 백색 고체가 형성되었다. 2 분 후, DMF 1.7 mL을 상기 THF 현탁액에 첨가하여, 맑은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 용액을 DMF 중 화합물18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4 시간 후,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완충액 계 (완충액 A: 아세토니트릴 5%, 물 95%, TFA 0.1%;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95%, 물 5%, TFA 0.1%)를 사용하여 역상 HPLC (C18, 250×20 mm 칼럼)로써 정제하여, 55 mCi/mmol의 활성을 갖는 화합물[ 14 C]-15를 16 mg 수득하였다.
기재된 일반적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그 구조가 표 1 내지 9 에 나타내어진 화합물들의 이름을 표 10에 나열하였다. 산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들은 모체 유리산으로 명명하였다. 하기의 IUPAC 명칭은 ChemInnovation Software, Inc. 사의 Chemistry 4D Draw™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도되었다.
[표 10]
실시예 11.
32P-세포질 키나아제 영역 (CKD) 자가인산화 분석
인슐린 신호 전달 체계는 인슐린 수용체의 자극을 통해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화의 주요 성분은 β-키나아제 영역이라 불리우는 수용체의 특정 부분을 인산화시키는 것이다. 인간 인슐린 수용체 (CKD)의 완전한 β-키나아제 영역은 바큘로바이러스 (baculovirus)에서 발현되고, 이들로부터 정제된다. 29 mM HEPES (pH 7.6), 0.05% Triton X-100, 10 mM MgCl2, 2mM MnCl2의 용액 (최종 부피 50 ㎕) 중 CKD (4.0 ㎍/㎖)를 50 μM ATP 및32P-ATP (3000 Ci/mmol) 5 μCi과 혼합하였다.시험 화합물, 또는 운반체 (디메틸 술폭시드 (DMSO))를 첨가하여 DMSO 최종 농도를 1%로 맞추었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간 배양하였다. 200 mM EDTA 10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부피 30 ㎕을 제거하고, 6X 렘멜리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Laemmeli SDS) 처리 완충액 5 ㎕와 혼합하고, 94℃로 5 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20 ㎕의 푼량을 SDS-PAGE 겔에 수행하였다. CKD 밴드로 도입된 방사능을 겔의 인 영상화 (phosphorimaging) 또는 절단된 밴드의 섬광 수세기로써 측량하였다. 인산화 증가에 대한 화합물의 효능을 운반체 양의 %로서 나타내었다. 상기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
실시예 12
전체 세포 인산화 분석:
인슐린 신호전달의 초기 단계는 인슐린 결합에 따른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이다. 인간 인슐린 수용체를 과발현하는 NIH 3T3 세포 (3T3HIR) 를 10% FBS 및 L-글루타민 함유 DMEM 내 6 웰 배양 디쉬에서, 2 ×105세포/ml 의 밀도로 2 일간 배양하였다. 실험 전에, 세포를 0.1% BSA 함유 DMEM 으로 하룻밤 동안 혈청 제거 배양하였다. 다음날 아침에, 세포를 PBS 로 세척하고, 배지를 150mM NaCl, 1.7mMKCl, 0.9mM CaCl2, K2HPO4(pH 7.4) 로 교체하여, 실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전달체 (DMSO) 를 첨가하였다. 인슐린 또는 그의 전달체 (0.01% BSA) 를 최종 농도 2.5nM 이 되도록 분석 완충액 (시험 화합물 또는 전달체를 각각 함유) 중에 희석하였다. 15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세포를 냉 PBS 로 2 회 세척하고, 50mM Tris HCl, pH 7.4 150mM NaCl, 0.25%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 NP-40, 1mM EGTA, 1mM PMSF, 1mM Na3VO4, 1mM NaF, 1μg/ml 씩의 아프로티닌 (Aprotinin), 류펩틴 (Leupeptin) 및 펩스타틴 (Pepstatin) 중에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물을 12000 rpm 에서 원심분리시켜 분리하고, 상청액으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세포 용해물 (~20 Xg) 을 2 X SDS-PAGE 시료 완충액과 함께 3 분 동안 끓여서, 분자량 지표로서의 아머샴 레인보우 표지 단백질 (Amersham rainbow marker protein) 과 함께, 7.5% SDS-PAGE 상에 로딩하였다.
SDS-PAGE 완료 후, 단백질을 임모빌론-P 멤브레인 (Immobilon-P membrane) 상에 옮기고, 블롯을 항-포스포티로신 항체와 인큐베이션하고 증강 화학발광 (ECL) 시킴으로써,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도 2 는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 13 및 15 에 의한 자가인산화의 증가를 나타낸다.
실시예 13
글루코오스 전달 활성 분석
인슐린 수용체의 자극은 혈액으로부터 세포로의 글루코오스 전달을 일으켜서,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조절한다. 3T3 L1 섬유아세포 (ATCC) 를 10% 소 태아혈청 (FBS) 함유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 (DMEM) 중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3 ×104세포/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세포가 콘플루언스에 도달한지 2 일 후, 세포를 3 일간 0.5mM 이소부틸메틸크산틴 (IBMX), 1μM 덱사메타손 및 1.7μM 인슐린으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1.7μM 인슐린이 보강된 10% FBS 함유 DMEM 으로 옮겨서 2 일 더 배양하였다. 세포를 10% FBS 함유 DMEM 중에 4 일 더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를 0.1% 소 혈청 알부민 (BSA) 함유 DMEM 중에서 하룻밤 동안 혈청 제거배양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150mM NaCl, 1.7mM KCl, 0.9mM CaCl2, K2HPO4(pH 7.4) 로 교체하여, 실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전달체 (DMSO) 를 첨가하였다. 인슐린 또는 그의 전달체 (0.01% BSA) 를 최종 농도 5.6nM 이 되도록 분석 완충액 (시험 화합물 또는 전달체를 각각 함유) 중에 희석하였다. 37℃ 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5μCi/ml14C-2-데옥시-D-글루코오스를 첨가하고, 37℃ 에서 추가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을 계속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냉 PBS/20mM 글루코오스로 3 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30 분 동안 용해 완충액 (50mM Hepes pH 7.6, 1% Triton X-100) 250㎕ 중에서 용해시켰다. 용해물 중의 방사활성은 신틸레이션 계측으로 정량하였다.
일단14C-2-데옥시-D-글루코오스는 세포 내로 전달되면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글루코오스 전달은 용해물 중 방사활성의 양에 비례한다. 전달체 대조군보다 글루코오스 전달을 150% 초과로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화합물의 농도 (일반적으로, 전달체 대조군의 표준 편차의 합 더하기 시험 시료의 최대 표준 편차를 나타냄) 를 EC (유효 농도) 로서 기록하였다.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도 3 은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 13 및 화합물 15 로 처리된 세포에 의한 글루코오스 흡수를 나타낸다.
[표 12]
실시예 14
글루코오스 흡수에 대한 워트만닌 (Wortmannin) 및 시토칼라신 (Cytochalasin) 의 영향
인슐린에 의해 자극받는 글루코오스 전달 기작에는 PI3 키나아제의 활성화가 관여한다. 워트만닌은 PI3 키나아제의 선택적 억제제이며, 인슐린 자극 글루코오스 전달을 억제한다. 3T3 L1 지방세포를 100nM 워트만닌으로 전처리하여, 인슐린의 존재 하 또는 부재 하에 화합물로 자극하였다. 워트만닌은 화합물 15 단독 또는 화합물 15 및 5.6nM 인슐린에 의해, 실시예 11 에서와 같이 측정된 글루코오스 전달의 자극을 억제하였다. 인슐린 자극 글루코오스 전달은 글루코오스 전달체 단백질에 의해 매개된다. 시토칼라신 B 는 글루코오스 전달체 단백질의 억제제이며, 인슐린 자극 글루코오스 흡수를 억제한다. 워트만닌과 마찬가지로, 시토칼라신 B (10μM) 도 또한 화합물 15 단독 또는 화합물 15 및 5.6nM 인슐린에 의한, 실시예 13 에서와 같이 측정된 글루코오스 전달의 자극을 억제하였다. 상기 결과는 화합물에 의한 글루코오스 전달의 활성화가 세포의 인슐린 신호전달 기전을 이용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결과를 도 4 및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3T3 L1 지방세포에서의 GLUT4 가동화의 면역형광 분석
세포로의 인슐린 의존성 글루코오스 전달은 GLUT4 와 같은 글루코오스 전달체 단백질을 이용한다. 인슐린 자극은 상기 전달체가 세포내 보관 위치로부터, 글루코오스 도입을 촉진시키는 세포막으로 이동하게 한다.
세포를 현미경 챔버 슬라이드 상에서 배양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 에서와 같이, 3T3 L1 지방세포를 배양 및 분화시켰다. 세포를 0.1% BSA 함유 DMEM 중에서 16 시간 동안 혈청 제거배양하고, 56μM 화합물 15 단독, 100nM 인슐린으로 37℃ 에서 1 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세포를 3.5% 파라포름알데히드로 5 분 동안 고정하고, 0.2% 사포닌 함유 1% BSA, TBS 로 5 분 동안 투과성으로 만든 후, 항-GLUT4 항체와 함께 실온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철저히 세척하고, FITC-콘쥬게이션된 이차 항체와 함께 실온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세척하고, 대기 건조시켜, 마운팅 배지로 마운팅시키고 콘포칼 (confocal) 현미경 하에서 검사하였다 (Stuart A. Ross 등, 1996, J. Biol. Chem. 271: 3328-3332).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극받지 않는 세포에서는, GLUT4 면역형광이 세포 전체에 분포되었다 (도 6A). 인슐린으로 자극된 후, 인슐린 유도 이동과 일치되게, GLUT4 가 일차적으로 세포 표면에 나타났다 (도 6B). 또한, 인슐린 유사 방식으로 세포내로의 글루코오스 전달을 자극하는 그 활성과 일치되게, 화합물 15 로 세포를 처리해도 GLUT4 의 세포 표면으로의 위치이동이 현저하였다 (도 6C).
실시예 16
EGFR, PDGFR 및 IGFR 에 대한 선택성
상기 화합물들의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선택성을 측정하기 위해, 인슐린 수용체와 유사한 활성화 메카니즘을 공유하는 다른 수용체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인간 표피양 암종 (A431) 을 10% FBS 및 L-글루타민 함유 DMEM 이 들어있는 6 웰 디쉬에, 웰 당 2 ×105세포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여, 75% 콘플루언스까지 배양하였다. 실험 전에, 세포를 하룻밤 동안 0.1% BSA 함유 DMEM 으로 혈청 제거배양하였다. 다음날 아침에, 세포를 PBS 로 세척하고, 배지를 150mM NaCl, 1.7mM KCl, 0.9mM CaCl2, K2HPO4(pH 7.4) 로 교체하여, 실험 화합물 또는 그의 전달체 (DMSO) 를 첨가하였다. 표피 성장 인자 (EGF) 또는 그의 전달체 (0.01% BSA) 를 최종 농도 2.5ng/ml 이 되도록 분석 완충액 (시험 화합물 또는 전달체를 각각 함유) 중에 희석하였다. 15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세포를 냉 PBS 로 2 회 세척하고, 50mM Tris HCl pH 7.4, 150mM NaCl, 0.25%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 NP-40, 1mM EGTA, 1mM PMSF, 1mM Na3VO4, 1mM NaF, 1μg/ml 씩의 아프로티닌, 류펩틴 및 펩스타틴 중에서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물을 12000 rpm 에서 원심분리시켜 분리하고, 상청액으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세포 용해물 (~20 ㎍) 을 2 ×SDS-PAGE 시료 완충액과 함께 3 분 동안 끓여서, 분자량 지표로서의 아머샴 레인보우 표지 단백질과 함께 7.5% SDS-PAGE 상에 로딩하였다.
SDS-PAGE 완료 후, 단백질을 임모빌론-P 멤브레인 상으로 옮기고, 블롯을 항-포스포티로신 항체와 인큐베이션하고 증강 화학발광 (ECL) 시킴으로써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
화합물 15 는 EGF 의 존재 하 또는 부재 하에, EGFR 의 인산화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당업자에 공지된 상기 프로토콜과 적절한 세포 유형을 변형하여, 화합물 15 등이 수용체들의 내부 리간드 (각각 IGF-1 및 PDGF) 의 존재 하 또는 부재 하에,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유형 1 (IGF-1) 또는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PDGF) 수용체들의 인산화를 증가시키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17
db/db 마우스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의 측정
화합물의 잠재적 항-당뇨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II 형 당뇨병의 허용 모델은 db/db 마우스이다. 7 내지 9 주령 웅성 db/db 마우스 (Jackson Laboratories, 바 하버, 메인 주) 를 사용하여,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동물들을 12 시간/12 시간 광/암 주기에서 유지시키고, 암 주기 (7:00 a.m.) 직후에 실험을 개시하였다. 이 시간에 음식을 제거하여, 최종 혈중 글루코오스 측정 후에 돌려주었다.
100U/mL 스톡 인슐린을 PBS (인산염 완충 식염수, Gibco, BRL) 로 1:200 으로 희석하여, 인슐린 (0.5U/ml, 휴물린 (Humulin) R, 카탈로그 HI-201, Lilly, 인디아나폴리스, 인디아나 주) 을 제조하였다. 화합물은 PBS 또는 20% DMSO 함유PBS 전달체 중에 제조하였다.
5 내지 10 마리 동물 (평균 중량 40-50g) 을 각 처리 조건에 사용하였다. 동물들에 PBS 중 0.01U 인슐린 또는 PBS 단독을 피하 주사한 후, 화합물 0.1 mL 또는 그의 전달체를 복강내 투여하였다. 꼬리 출혈에 의해, 약물 또는 전달체의 투여 0 분, 15 분, 30 분, 1 시간, 2 시간 및 4 시간 후에 혈액 시료를 채취하였다. 글루코오스 측정은 글루코미터 (Glucometer) 및 글루코오스 스트립 (Glucose strips, 바이엘) 으로 행하였다.
결과 데이타를 도 8 및 9 에 나타낸다. 도 8 에서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 단독, PBS 중 인슐린, 또는 PBS 중 화합물 15 및 인슐린을 주사한 후, 다양한 시점에서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나타낸다.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은 나타내는 시점에서, "0-시간" 값의 퍼센트로서 보고된다. 도 9 는 db/db 마우스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에 대한 화합물 15 단독 (인슐린 첨가 없이) 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9 에서는, db/db 마우스에 화합물 15 를 그의 전달체 (DMSO) 및 PBS 중 인슐린과 함께 주사한 후, 다양한 시점에서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를 위해, PBS 단독 주사 후 다양한 시점에서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나타낸다. 데이타로부터, 화합물 15 가 인슐린 의존적 방식으로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II 형 당뇨병의 ob/ob 마우스 모델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인슐린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저하
II 형 당뇨병의 또다른 표준 모델은 ob/ob 마우스이다. 웅성 ob/ob 마우스 (C57 BL/6J-ob) 3-5 마리를 우리에 넣고, 표준 설치류 먹이 펠렛을 자유롭게 먹게 했다. 1 주 후, 이들에게 화합물 15 (30mg/kg, p.o.) 를 단회 투여하였다. 화합물 15 는,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의 13% 감소, 혈장 중 인슐린 수준의 42% 감소 및 혈장 중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의 15% 감소를 일으켰다. 혈장 글루코오스 및 인슐린 수준의 동시 감소는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와 일치한다. 결과를 도 10 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II 형 당뇨병의 STZ/HFD 래트 모델에서 혈중 글루코오스의 측정
고지방 식사를 준 후, 저용량의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한(STZ/HFD), 유전적으로 정상인 래트에서, 대표 화합물의 프로파일을 또한 관찰하였다. 상기 처리 요법은 인간 II 형 당뇨병에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과 고혈당 둘 다를 재생성시킨다. NIH 기준에 따라, 웅성 CD 래트 (Jackson Labs, 바 하버, 메인 주) 를 우리 당 2 마리씩 수용하고, 표준 랩 먹이 (Tekland Laboratory Diets, James Grain, 산 호세, 캘리포니아 주) 또는 초콜렛 바, 쿠키 및 감자칩이 보강되어 그 최종 식사가 30중량% 지방을 포함하는 동일 먹이 (고지방 식사; HFD) 를 먹여 유지시켰다. 상기 식사 2 주 후, 동물들에 새로 제조된 스트렙토조토신 (35mg/kg, i.p.) 를 주사하고, HFD 를 계속하였다. 190 내지 380mg/dl 의 글루코오스 수준을 나타내는 동물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12 시간 광/암 주기의 말기 및 실험 직전에, 동물들을 새로운 우리로 옮겨서, 처리 4 시간 후까지는 음식을 주지 않았다. 화합물 또는 전달체 (PBS) 를 섭식에 의해 경구 투여하고, 꼬리 캡 방법을 이용하는 IACUC 허가 프로토콜에 의해 혈액을 채취하였다. 글루코미터 엘리트 (Glucometer Elite, 바이엘, 엘크하르트, IN) 를 이용하여 글루코오스를 측정하였다.
화합물 15 는 투여 1 시간 후부터 시작하여 실험의 총 6 시간 동안 지속되는,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의 감소를 일으켰다 (도 11). 감소는 화합물 15 의 투여 4 시간 후에, 최대 (20%) 였다. 상기 모델에서 다른 화합물들의 역가를 표 13 에 나타낸다.
[표 13]
경구 화합물 투여 (30mg/kg) 후 STZ/HFD 래트 모델에서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의 감소. 시간에 따라 최대 감소가 일어난 결과를 나타낸다.
화합물 번호 혈중 글루코오스의 감소%/시간 (h)
41 20/4
13 20/1
29 18/6
48 24/2
93 25/4
실시예 20
래트 근육 인산화
근육은 인슐린 수용체 자극에 따라 혈액으로부터 글루코오스를 흡수하는데 특히 중요한 조직이다. 따라서, 근육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는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의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다. 실시예 18 에서와 같이 제조된 STZ/HFD 래트에 화합물 15 (30mg/kg) 를 경구 투여하고, 근육 표본을 상이한 시점 (0.5 시간, 1 시간, 2 시간, 3 시간, 4 시간, 6 시간) 에 수확하여 추출 완충액 (50mM TrisHCl pH 7.4, 150mM NaCl, 0.25%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 NP40, 1mM EGTA, 1mMPMSF, 1mM Na3VO4, 1mM NaF, 1μg/ml 씩의 아프로티닌, 류펩틴 및 펩스타틴) 중에서 균질화시켰다. 조직 균질화물을 4℃ 에서 12K 로 3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보관하였다. 각 표본의 동일 단백질량을 항-인슐린 수용체 항체로 4℃ 에서 2 시간 동안 면역침전시킨 후, 단백질 G-아가로오스 비드와 함께 다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면역복합체를 추출 완충액으로 3 회 세척하고, 표본을 2 ×SDS-PAGE 로딩 완충액과 함께 100℃ 에서 5 분 동안 끓였다. 표본을 분자량 지표로서의 아머샴 레인보우 표지 단백질과 함께, 7.5% SDS-PAGE 상에서 분리하였다.
SDS-PAGE 완료 후, 단백질을 임모빌론-P 멤브레인 상으로 옮기고, 블롯을 항-포스포티로신 항체와 인큐베이션하고 증강 화학발광 (ECL) 시켜 웨스턴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12 는 화합물 15 가 혈중 글루코오스 감소 (도 11) 와 일치하는 시간-코스에 따라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를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실시예 21
db/db 마우스에서의 다회 투여
7 내지 8 주령 웅성 db/db 마우스 (Jackson Laboratories, 바 하버, 메인 주) 에, 화합물 15 (56mg/kg, p.o.) 또는 동량의 그의 전달체 (PBS) 를, 실시예 17 에서와 같이, 3 일 동안 매일 주었다. IACUC 허가 프로토콜 (꼬리 캡 방법) 에 의해, 각 투여 직전 또는 3 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은 글루코미터 엘리트 (바이엘, 엘크하르트, IN)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은 PBS 투여 2 시간 후에 거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13). 대조적으로, 화합물 15 는 매 3 일 동안, 투여 2 시간 후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14 내지 29% 저하시켰다.
실시예 22
STZ/HFD 래트에서의 다회 투여
실시예 19 에서와 같이, STZ/HFD 래트를 제조하였다. 화합물 15 또는 동량의 전달체 (PBS) 를 30mg/kg 용량으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IACUC 허가 프로토콜 (꼬리 캡 방법) 에 의해, 각 투여 직전과 4 시간 및 6 시간 (1 일에만) 후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은 글루코미터 엘리트 (바이엘, 엘크하르트, IN)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달체 처리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은 동물들이 저용량의 STZ 로부터 회복됨에 따라 실험 기간에 걸쳐 감소하였다 (도 14). 화합물 15 투여는 투여 6 시간 후, 전달체 처리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보다 저하되었고, 상기 저하는 나머지 3 일 동안 지속되었다.
실시예 23
급성 독성
화합물 15 를 PBS 전달체 중에서, 웅성 db/db 마우스 (i.p.) 및 웅성 CD 래트 (p.o.) 에, 그 유효 용량의 약 10 배인 300 mg/kg 투여하였다. 급성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24
에임즈 시험 (화합물 4)
화합물 4 를,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 TA89,TA100, TA1535 및 TA1537 의 히스티딘 오페론 및 대장균 (Escherichia coli) 균주 WP2uvrA 의 트립토판 오페론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는 화합물의 돌연변이 유발능에 대한 표준 시험을 나타내며, 총체적으로 에임즈 시험으로 불린다. 외래 활성화의 부재 하 및 유발 래트 간 S-9 및 보조인자의 존재 하에서, 비독성 용량 (50 내지 5000㎍/플레이트) 으로 화합물을 시험하였다. 본 연구의 조건 하에서, 화합물은 임의 시험 균주에 대한 복귀변이 콜로니의 수에 있어서 어떠한 유의미한 증가도 유도하지 않았으므로, 살모넬라 티피무리움/대장균 플레이트 삽입 돌연변이 분석에서 음성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5
P450 상호작용
체내로부터 약물을 제거하기 위한 주요 기작은 간의 시토크롬 P450 체계이며, 약물의 효능을 제한할 수도 있다. 화합물 15 는 인간 시토크롬 P450, CYP1A2, CYP2C9, CYP2C19, CYP2D6 또는 CYP3A4 의 촉매 활성을 억제하지 않았다. 또한, 화합물 15, 53 및 48 은 래트 간 마이크로좀과 1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대사되지 않았다.
실시예 26
경구 약학적 조성물 제조-고체 투여 제형
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을 하기의 조합으로 제조할 수 있다:
%w/w
본 발명의 화합물 1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5%
전분 2.0%
HPM 셀룰로오스 1.0%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86.5%
혼합물을 정제로 압축하거나, 경질 젤라킨 캡슐 내로 채울 수 있다.
정제에 막 형성제 (예, HPM 셀룰로오스), 색소 (예, 이산화티탄) 및 가소제 (예, 디에틸 프탈레이트) 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막을 건조함으로써, 코팅할 수 있다. 막 코팅은 정제 중량의 2.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약 3.0% 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7
경구 약학적 조성물 제조-캡슐
또한,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조성물을 하기의 조합으로 제조할 수 있다:
%w/w
본 발명의 화합물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80%
의약 화합물을 액체 담체 중에 분산시키거나 용해시키고, 필요하다면 증점제를 첨가한다. 그 다음, 적합한 기술에 의해, 제형물을 연질 젤라틴 캡슐에 봉입한다.
실시예 28
비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
비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을 하기의 조합으로 제조할 수 있다.
%w/w
본 발명의 화합물 1.0%
식염수 99.0%
용액을 멸균하여, 멸균 용기 내에 봉인한다.
실시예 29
경구 투여 후 화합물-[14C]-15 의 분포
실시예 19 에서와 같이 제조된 STZ/HFD 래트에, 실시예 11A 에서와 같이 제조된 14C 의 50μCi 로 표지된 30mg/kg 화합물-[14C]-15 의 단회 경구 용량을 주었다. 2 시간 후,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다양한 조직의 표본 200mg 을 IACUC-인증 프로토콜에 의해 제거하였다. 조직 표본을 균질화시키고, 이들의 방사활성 함량을 실틸레이션 계측으로 측정하였다. 방사활성의 최고 수준은 췌장, 간 및 대퇴부 근육에서 관찰되었다. 이들은 각각 화합물 15 농도의 약 780nM, 200nM 및 175nM 에 해당하였다. 상기 농도는 시험관 내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를 일으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50nM 내지 100nM 농도의 화합물을 나타내는, 보다 낮은 수준의 방사활성이 복부 근육, 지방, 신장 및 비장에서 관찰되었다. 혈액 중 방사활성의 양은 배경 수준을 넘지 않았다.
상기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문헌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이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게 현저할 것이다. 본 발명이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구현예에 연관되어 기재되었지만, 청구되는 바와 같은 발명이 상기 구체적 구현예에 부당하게 제한되지 않아야 함이 이해될 것이다. 실제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해 기재된 방식의 다양한 변형은 하기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50)

  1.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단일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화학식 I]
    [식중,
    R1및 R2는 A 고리상의 치환기가고, 독립적으로,
    -SO2NR7 2, -C(O)NR7 2, -NR7SO2R7, -NR7C(O)R7, -SO2OR7, -C(O)OR7, -OSO2R7또는 -OC(O)R7이며,
    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3및 R4는 함께 -(CH2)2-, -(CH2)3- 또는 -(CH2)4- 이거나, 또는 R3또는 R4는 전자쌍일 수 있으며,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SR8, -C(O)R8, -SO20R8, -OS02R8, -SO2NR8 2, -NR8SO2R8, -OC(O)R8, -C(O)OR8, -C(O)NR8 2, -NR8C(O)R8, -OR8또는 -NR8 2이고,
    각각의 R7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헤테로시클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각각의 Y 는, 독립적으로, 아조 또는 아미드 연결을 통해 나프탈렌 고리에 결합되지 않은 비간섭성 치환기가고,
    각각의 x 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 이며,
    링커는 c 로 나타낸 탄소와 d 로 나타낸 탄소를 연결시키며, 이는 다음 화학식의 것들이고 :
    (식중, K 는 0, S 또는 NR*이고, R*는 H,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H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H,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또는
    (식중, R*는 시아노 또는 저급 알킬이다);
    상기에서, 만일 R1및 R2가 모두 -SO20H 이면:
    (i) Y 의 어느 것도 -SO20H가 아니고;
    (ii) R5및 R6어느 것도 -SO20R8또는 -OS02R8이 아니며;
    (iii) 하나 이상의 (Y)x가 (Y')x(식중, x' 는 1 또는 2 이고, Y' 는 할로이다)가 아닌 경우, R5및 R6은 모두 히드록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지 않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x=0 인 화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K 는 N-R*,S 또는 S-R*인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K 는 S 또는 S-R*인 화합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1은 나프탈렌 고리의 7-위치에 존재하고, R2는 나프탈렌 고리의 2-위치에 존재하는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K=O 인 화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x = 0 인 화합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R1은 나프탈렌 고리의 7-위치에 존재하고, R2는 나프탈렌 고리의 2-위치에 존재하는 화합물.
  9.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Y 는, 독립적으로,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SR9, -OR9또는 -NR9 2이고;
    각각의 R9는,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인 화합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Y 는,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 할로-저급알킬,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할로, 티오, 니트로, 아미노 또는 히드록시인 화합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SO2OR10, -C(O)OR10, -SO2NR11R1O, -C(O)NR11R1O, -OSO2R1O, -OC(O)R10, -NR11SO2R1O또는 -NR11C(O)R1O이고;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헤테로시클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각각의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SO2NHR10또는 -NHSO2R1O인 화합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저급)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저급)알킬인 화합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아릴,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10상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R12이며;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SO20R13, -C(O)OR13, -SO2NR13 2, -C(O)NR13 2, 히드록시,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히드록시이속사졸릴, 포스폰산 잔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이고;
    각각의 R1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인 화합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R10은 치환된 아릴인 화합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R10은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17.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C(O)OR13, -C(O)NR13 2, 히드록시,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히드록시이속사졸릴, 포스폰산 잔기 또는 포스포네이트 잔기인 화합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R12는 -C(O)OR13, 히드록시,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히드록시이속사졸릴 또는 포스폰산 잔기인 화합물.
  19.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R12는, 독립적으로, -SO20R13또는 -SO2NR13 2인 화합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R12는 -SO20R13인 화합물.
  2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R1은 -SO2OR10, -C(O)OR10, -SO2NR11R1O, -C(O)NR11R1O, -OSO2R1O, -OC(O)R10, -NR11SO2R1O또는 -NR11C(O)R1O이고; R2는 -SO2NR11 2, -C(O)NR11 2, -SO2OR11또는 -C(O)OR11이며;
    각각의 R10은, 독립적으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저급)알킬,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 헤테로시클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각각의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인 화합물.
  2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C(O)OR7또는 -C(O)NR7 2이고;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인 화합물.
  23.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SO2OR7또는 -SO2NR7 2이고;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인 화합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R1및 R2는 -SO2OH 인 화합물.
  25.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SR8, -OR8또는 -NR8 2이고;
    각각의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저급)알킬, 치환된 아릴(저급)알킬,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저급)알킬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저급)알킬인 화합물.
  26. 제 24 항에 있어서, R5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할로-저급 알킬, 저급 알킬옥시, 시아노, 할로, 티오, 아미노, 니트로 또는 히드록시인 화합물.
  27. 제 14 항에 있어서, R12가 -C(O)OR13인 화합물.
  28. 제 14 항에 있어서, R12가 -C(O)OR13또는 -SO2OR13인 경우, R12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서 클로로 또는 히드록시와 같은 치환기에 인접하는 화합물.
  29. 제 19 항에 있어서, R12가 -SO2OR13인 경우, R12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서 클로로 또는 히드록시와 같은 치환기에 인접하는 화합물.
  3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R12가 -C(O)OR13인 경우, R12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서 클로로 또는 히드록시와 같은 치환기에 인접하는 화합물.
  31. 제 20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R12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서 클로로 또는 히드록시와 같은 치환기에 인접하는 화합물.
  32.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대칭적인 화합물.
  33. 제 1 항에 있어서, 메틸 2-클로로-5-[({7-[({[7-({[4-클로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티옥소메틸)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또는 메틸 5-({[7-((1Z)-1-아자-2-{[7-({[4-클로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2-메틸티오비닐)(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에이트인 화합물.
  34.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의 화합물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7-{[N-(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3-{[(4-히드록시-7-{[N-(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4-{[(7-{[(7-{[(4­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메틸 4-({[7-({N-[7-({[4­(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7-{[(7-{[(4­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메틸 4-({[4-히드록시-7-({N-[5-히드록시-7-({[4­(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7-{[(7-{[(4­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3-{[(7-{[N-(7-{[(3-카르복시­2-히드록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히드록시벤조산,5-{[(7-{[N-(7-{[(3-카르복시-4­히드록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히드록시벤조산, 메틸 3-({[7-({[7-({[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3-{[(7-{[(7-{[(3­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메틸 3-({[4-히드록시-7-({[5-히드록시-7­({[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3-{[(7-{[(7-{[(3-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5-{[(7-{[N-(7-{[(3­카르복시-4-히드록시페닐)-아미노]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히드록시벤조산, 5-{[(7-{ [N-(7-{[(3-카르복시-4­클로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 (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5-{[(7-{[N-(7-{[(3-카르복시-4­클로로페닐)-아미노]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메틸 2-히드록시­5-({[7-({[7-({(4-히드록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메틸 2-클로로-5-({[7-({N-[7-({[4-클로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N-(7-{([(3-(lH-1,2,3,4-테트라아졸-5-일)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7-{[(3-(1H-1,2,3,4-테트라아졸-5-일)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N-(5-히드록시-7-{[(3-(1H-1,2,3,4-테트라아졸-5-일)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5-히드록시-7-{[(3-(1H-1,2,3,4­테트라아졸-5-일)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N-[7-({[3-(디에톡시포스포릴)-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7-({[3-(디에톡시포스포릴)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N-[7-({[3-(에톡시(히드록시포스포릴))-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7-({[3-(에톡시(히드록시포스포릴))-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아미노}카르복사미드, 2-클로로-5-{[(7-{[(7-([(4-클로로-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 (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2-클로로-5-{[(7-{[(7-{[(4-클로로-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5-히드록시(2-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폰산, 5­[({7-[3-(7-{ [(3-카르복시-4-히드록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2-옥소이미다졸리디닐](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히드록시벤조산, 5-[{(7-(3-(7-{[(3-카르복시-4-클로로페닐)-아미노]술포닐} (2-나프틸))-2­옥소이미다졸리디닐](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2­클로로-5-{[(7-{[N-(5-히드록시-7-{[(3-술포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조산, 5-{[(7­{[N-(7-{[(4-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및 5-{[(7-{[N-(7-{[(3­카르복시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2-클로로벤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5. 하기를 포함하는, 과혈당증, I 형 당뇨병 및 II 형 당뇨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포유류 질병 상태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a)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 및
    (b) 1 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36. 인슐린 수용체 또는 이의 키나아제 부분과,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방법.
  37. 인슐린 수용체 또는 이의 키나아제 부분과,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 방법.
  38. 세포와,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글루코오스의 세포로의 흡수를 자극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슐린 수용체를 표출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 방법
  39.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유류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혈당증, I 형 당뇨병 및 II 형 당뇨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포유류 질병 상태의 치료방법.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상태에 대한 추가 형태의 요법으로 상기 포유류를 치료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1. 과혈당증, I 형 당뇨병 및 II 형 당뇨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포유류 질병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42. 하기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i) 기 K=C- (K 는 전술한 바와 같다)를 제공하는 활성화된 이관능성 시약과 함께, 하기 화학식 A 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분자간 또는 분자내 축합시키거나, 화학식 B 의 화합물에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화학식 A 의 화합물과 화학식 B 의 화합물사이에 링커를 형성시킴:
    [화학식 A]
    [화학식 B]
    [식 중, 화학식 A 및 B 의 아미노기는 선택적으로는 보호형태이고, R1, R2, R3, R4, R5, R6, x 및 Y 는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X 는 R3또는 R4일 수 있고, WZ 는 S=C= 또는 O=C= 이거나, W 및 Z 는 R3또는 R4일 수 있음];
    (ii)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R2, R5및 R6또는 Y 의 화학적 설정 (여기에서, 상기 치환기는 또다른 치환기 R1, R2, R5및 R6또는 Y 로 전환가능함) ;
    (iii) 나프탈렌 고리 하나 또는 양쪽에의 치환기 R1, R2, R5및 R6또는 Y 의 도입;
    (iv) 보호기의 탈보호;
    (v) 상기 링커를 다른 링커로 전환시키기 위한 링커의 설정;
    (vi) 염 형성 또는 상호전환;
    (vii) 에스테르 가수분해;
    (viii) 제 1 항의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염기의 유리; 또는
    (ix) 입체이성질체 분리 또는 합성.
  43.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고,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며 ,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 기능을 가진 화합물의 수득 및/또는 개발을 위한 모델로서의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44. 상기 화합물과 잠재적으로 부(sub)치료적인 용량의 인슐린을 함께 투여하여 치료 효능을 달성하는 것을 포함 하는, I 형 당뇨병 및 후기 II 형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45.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기능을 모방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i) 시험 화합물을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과 관련된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이의 자극의 측정을 위한 스크린에 제공하는 단계;
    (ii) 시험 화합물이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의 자극을 보이는 경우 상기 시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46. 생분석을 유효화, 최적화 또는 표준화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47.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방사선 표지 화합물.
  48. 제 47 항에 있어서,14C-4-메틸페닐-3-[({4-히드록시-7-[(N-{5-히드록시-7-[({3-[(4-메틸페닐)옥시술포닐]페닐}아미노)술포닐](2-나프틸)}카르바모일)-아미노]-2-나프틸}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인 화합물.
  49. 인슐린 수용체의 키나아제 활성을 자극하고,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며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자극하는 기능을 가진 화합물의 확인 및/또는 수득을 위한 진단제로서의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의 화합물의 용도.
  50. 글루코오스 흡수 강화제로서의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KR1020017015133A 1999-05-26 2000-05-25 글루코오스 흡수 강화제로서의 나프탈렌 우레아 KR10074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12899P 1999-05-26 1999-05-26
US60/136,128 1999-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679A true KR20020022679A (ko) 2002-03-27
KR100746870B1 KR100746870B1 (ko) 2007-08-07

Family

ID=2247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133A KR100746870B1 (ko) 1999-05-26 2000-05-25 글루코오스 흡수 강화제로서의 나프탈렌 우레아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6458998B1 (ko)
EP (1) EP1181271B1 (ko)
JP (1) JP2003500381A (ko)
KR (1) KR100746870B1 (ko)
CN (1) CN1364156A (ko)
AR (1) AR024109A1 (ko)
AT (1) ATE287394T1 (ko)
AU (1) AU776438C (ko)
BR (1) BR0011550A (ko)
CA (1) CA2374225A1 (ko)
CZ (1) CZ20014153A3 (ko)
DE (1) DE60017554T2 (ko)
EA (1) EA006763B1 (ko)
ES (1) ES2233386T3 (ko)
HK (1) HK1046399A1 (ko)
HU (1) HUP0201306A3 (ko)
IL (2) IL146576A0 (ko)
MX (1) MXPA01012079A (ko)
NO (1) NO20015713L (ko)
NZ (1) NZ515743A (ko)
PL (1) PL352631A1 (ko)
TR (1) TR200103409T2 (ko)
TW (1) TWI234557B (ko)
UA (1) UA73738C2 (ko)
WO (1) WO2000071506A2 (ko)
ZA (1) ZA2001096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8589B1 (en) * 1998-12-17 2006-06-06 Ie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mployee work scheduling
EP1158985B1 (en) 1999-01-13 2011-12-28 Bayer HealthCare LLC OMEGA-CARBOXY ARYL SUBSTITUTED DIPHENYL UREAS AS p38 KINASE INHIBITORS
US8124630B2 (en) 1999-01-13 2012-02-28 Bayer Healthcare Llc ω-carboxyaryl substituted diphenyl ureas as raf kinase inhibitors
US6897237B2 (en) 2000-04-28 2005-05-24 Shionogi & Co. Ltd. MMP-12 inhibitors
ITTO20010950A1 (it) * 2000-10-11 2003-04-09 Telik Inc Attivatori di recettori di insulina per il trattamento di disturbi metabolici in esseri umani che risultano dal trattamento di infezioni da
US6528037B2 (en) 2000-10-11 2003-03-04 Telik,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mpound is an insulin receptor kinase activator
PE20021091A1 (es) 2001-05-25 2003-02-04 Aventis Pharma Gmbh Derivados de fenilurea sustituidos con carbonamida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PT1478358E (pt) 2002-02-11 2013-09-11 Bayer Healthcare Llc Tosilato de sorafenib para o tratamento de doenças caracterizadas por angiogénese anormal
JP4411275B2 (ja) 2002-10-21 2010-02-10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置換テトラリンおよびインダンそしてこれらの使用
JP2007511203A (ja) 2003-05-20 2007-05-10 バイエル、ファーマシューテイカル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キナ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ジアリール尿素
DE602004010407T2 (de) 2003-07-23 2008-10-16 Bayer Pharmaceuticals Corp., West Haven Fluorsubstituierter omega-carboxyaryldiphenylharnstoff zur behandlung und prävention von krankheiten und leiden
IL160420A0 (en) * 2004-02-16 2004-07-25 Yissum Res Dev Co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with cannabidiol
BRPI0610034A2 (pt) 2005-04-28 2011-10-18 Ajinomoto Kk composto, agente de icremento do transporte de açúcar, agente hipoglicêmico, agente para prevenção e/ou tratamento de uma doença, medicamen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 uso do composto, e, método de preparação para o composto
AU2012200933B2 (en) * 2005-06-22 2015-04-30 Plexxikon, Inc. Pyrrolo [2, 3-B] pyridine derivative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P1893612B1 (en) * 2005-06-22 2011-08-03 Plexxikon, Inc. Pyrrolo [2, 3-b]pyridine derivative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WO2007030618A2 (en) 2005-09-09 2007-03-15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Bicyclic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voltage gated ion channels
WO2008063888A2 (en) 2006-11-22 2008-05-29 Plexxikon, Inc. Compounds modulating c-fms and/or c-kit activity and uses therefor
WO2009012283A1 (en) 2007-07-17 2009-01-22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SG173178A1 (en) 2009-04-03 2011-09-29 Hoffmann La Roche Propane- i-sulfonic acid {3- [5- (4 -chloro-phenyl) -1h-pyrrolo [2, 3-b] pyridine-3-carbonyl] -2, 4-difluoro-pheny l } -amid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NZ629615A (en) 2009-11-06 2016-01-29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EA028821B9 (ru) 2011-02-07 2018-10-31 Плексксикон, Инк. Соединения и способы для модуляции киназ, а также показания к их применению
TWI558702B (zh) 2011-02-21 2016-11-21 普雷辛肯公司 醫藥活性物質的固態形式
US9150570B2 (en) 2012-05-31 2015-10-06 Plexxikon Inc. Synthesis of heterocyclic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88212A (de) * 1967-09-01 1970-03-31 Ciba Geigy Photographisches Material
CA985675A (en) * 1971-04-07 1976-03-16 Ciba-Geigy Ag Azo dyestuffs, their manufacture and use
US4118232A (en) * 1971-04-07 1978-10-03 Ciba-Geigy Ag Photographic material containing sulphonic acid group containing disazo dyestuffs
US4051176A (en) * 1976-05-10 1977-09-27 American Cyanamid Company Ureidophenylenebis(carbonylimino)dinaphthalenetrisulfonic acid compounds
US4129591A (en) * 1976-10-27 1978-12-12 American Cyanamid Company Ureida-phenylenebis(substituted imino)multianionic substituted dinaphthalene sulfonic acids and salts
US4102917A (en) * 1977-06-01 1978-07-25 American Cyanamid Company Substituted phenyl naphthalenesulfonic acids
US4132730A (en) * 1977-07-29 1979-01-02 American Cyanamid Company Ureylene naphthalene sulfonic acids
US4120891A (en) * 1977-07-01 1978-10-17 American Cyanamid Company Ureylene naphthalene sulfonic acids
JPS58191772A (ja) * 1982-05-06 1983-11-09 Canon Inc 記録液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4591604A (en) * 1984-03-28 1986-05-27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the complement system by administering multisulfonated naphthalene ureas
DE19521589A1 (de) * 1995-06-14 1996-12-19 Bayer Ag Polyfunktionelle Azoreaktivfarbstoffe
EP0960335B1 (en) * 1997-01-15 2005-05-25 Telik, Inc. Modulators of insulin receptor activity
US5830918A (en) * 1997-01-15 1998-11-03 Terrapin Technologies, Inc. Nonpeptide insulin receptor agonists
AU7273598A (en) * 1997-05-05 1998-11-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Naphthols useful in antiviral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870B1 (ko) 2007-08-07
TR200103409T2 (tr) 2002-05-21
CZ20014153A3 (cs) 2002-05-15
HUP0201306A2 (en) 2002-09-28
NO20015713D0 (no) 2001-11-23
US7071231B2 (en) 2006-07-04
WO2000071506A3 (en) 2001-08-09
NO20015713L (no) 2001-12-20
EA200101231A1 (ru) 2002-06-27
JP2003500381A (ja) 2003-01-07
CN1364156A (zh) 2002-08-14
AR024109A1 (es) 2002-09-04
NZ515743A (en) 2003-08-29
EA006763B1 (ru) 2006-04-28
HUP0201306A3 (en) 2005-04-28
EP1181271B1 (en) 2005-01-19
DE60017554D1 (de) 2005-02-24
DE60017554T2 (de) 2006-03-30
ZA200109641B (en) 2003-02-24
BR0011550A (pt) 2002-06-04
IL146576A0 (en) 2002-07-25
MXPA01012079A (es) 2003-06-30
UA73738C2 (en) 2005-09-15
AU5168400A (en) 2000-12-12
AU776438B2 (en) 2004-09-09
EP1181271A2 (en) 2002-02-27
US20030135063A1 (en) 2003-07-17
WO2000071506A2 (en) 2000-11-30
WO2000071506A9 (en) 2001-09-20
IL146576A (en) 2006-10-05
ATE287394T1 (de) 2005-02-15
ES2233386T3 (es) 2005-06-16
CA2374225A1 (en) 2000-11-30
AU776438C (en) 2005-07-28
US6458998B1 (en) 2002-10-01
HK1046399A1 (en) 2003-01-10
TWI234557B (en) 2005-06-21
PL352631A1 (en)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870B1 (ko) 글루코오스 흡수 강화제로서의 나프탈렌 우레아
RU2309161C2 (ru) Эффекторы дипептидилпептидазу iv
US7109203B2 (en) Sulfonamide derivatives
KR100639544B1 (ko) 글루코오스 섭취 촉진제로서의 신규 나프틸술폰산 및 관련화합물
EP1289936B1 (en) Substituted stilbenes as glucose uptake enhancers
EP1315695B1 (en) Benzene tricarboxylic acid amides as insulin receptor activators
AU2001288891B2 (en) Benzene tricarboxylic acid amides as insulin receptor activators
AU2001288891A1 (en) Benzene tricarboxylic acid amides as insulin receptor activ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