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591A -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591A
KR20020020591A KR1020000053853A KR20000053853A KR20020020591A KR 20020020591 A KR20020020591 A KR 20020020591A KR 1020000053853 A KR1020000053853 A KR 1020000053853A KR 20000053853 A KR20000053853 A KR 20000053853A KR 20020020591 A KR20020020591 A KR 2002002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tables
slab
truss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759B1 (ko
Inventor
남명중
박종보
Original Assignee
배종렬
삼성물산 주식회사
장문삼
(주)서영기술단
유성용
동아건설산업 주식회사
박재영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유수복
대양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렬, 삼성물산 주식회사, 장문삼, (주)서영기술단, 유성용, 동아건설산업 주식회사, 박재영,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유수복, 대양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배종렬
Priority to KR10-2000-005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7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공장에서 제작된 부재들을 작업장으로 운반하여 슬래브교량트러스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에서 교량슬래브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제1테이블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에 제2,3테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제2,3테이블의 전방측 교각에 제4,5테이블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이 설치된 슬래브교량트러스의 거푸집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양생된 교량슬래브로부터 제1테이블을 하강시켜 분리한 후, 궤도를 따라 2경간 전방 파킹 위치까지 전진 및 이동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양생된 교량슬래브로부터 제5,2,4,3테이블의 순으로 하강시켜 분리한 후, 궤도를 따라 다음 경간 위치까지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 의해서 2경간 전방 파킹 위치까지 전진된 제1테이블을 다시 1경간 후진시키는 제6단계와; 이 이동된 슬래브교량트러스의 거푸집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제7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 시공후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과 효율성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이 인력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간 이동시마다 발생되는 건설 쓰레기 부산물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별도의 야적장이 불필요함으로써 도심지에서의 교량공사 및 각종 인너 페이스 등으로 인한 현장여건, 파일등이 필요한 가시설 교량공사등에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Bridge constructive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단 1회의 설치 및 해체로 다경간의 교량슬래브 형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시공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과 함께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시공시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10) 사이의 거푸집(2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및 거푸집(210)의 하중으로 인한 교량슬래브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푸집(210)의 하부측에는 다수의 강재 및 강관 동바리(200)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량시공방법은 첫째, 교량의 경간(교각과 교각사이)마다 설치 및 해체의 반복작업이 이루어져야만 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투입으로 경제성 및 안전성이 결여되고, 또한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도심지 등에 교량 설치시 자재를 야적할 수 있는 많은 공간이 요구되므로 이로인해 교통난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시 관련 건축 쓰레기 부산물들로 인해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연약지반에서는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밀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 1회의 설치 및 해체로 다경간의 교량슬래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과 경제성 및 효율성 그리고 환경친화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제작된 부재들을 작업장으로 운반하여 슬래브교량트러스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에서 교량슬래브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제1테이블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에 제2,3테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제2,3테이블의 전방측 교각에 제4,5테이블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이 설치된 슬래브교량트러스의 거푸집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양생된 교량슬래브로부터 제1테이블을 하강시켜 분리한 후, 궤도를 따라 2경간 전방 파킹 위치까지 전진 및 이동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제3단계를 거쳐 양생된 교량슬래브로부터 제5,2,4,3테이블의 순으로 하강시켜 분리한 후, 궤도를 따라 다음 경간 위치까지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 의해서 2경간 전방 파킹 위치까지 전진된 제1테이블을 다시 1경간 후진시키는 제6단계와; 이 이동된 슬래브교량트러스의 거푸집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제7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 시공후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를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량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교량슬래브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제1테이블의 양측에 교량슬래브의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2,3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제2,3테이블의 전방측 교각에는 상기 교각의 상부측 교량슬래브를 형성하는 제4,5테이블이 설치되는 슬래브교량트러스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의 제1테이블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의 제2,3,4,5테이블의 각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3,4,5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의 제1,2,3,4,5테이블의 하단부에 각각 롤러를 설치하여 궤도를 따라 상기 제1,2,3,4,5테이블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한 테이블이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교량시공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의 제1,2,3,4,5테이블은 다리, 골조, 상부트러스, 거푸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함께 상기 제2승강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외측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부는 제2,3,4,5테이블에 각각 고정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수직로드의 단부측이 고정되고, 유압에 의한피스톤의 작동으로 상기 수직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중공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5테이블의 상부트러스가 교각에 대해서 골조를 따라 전.후진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하부측에는 상기 상부트러스가 교각에 대해서 골조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롤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너트에 나선축을 결합시킨 나선조립체가 형성된 수평조정부를 제4,5테이블의 골조와 상부트러스 사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시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교량시공장치의 이동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초기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b는 제1테이블의 전진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c는 제1테이블 및 제2,3,4,5테이블의 이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테이블의 분리 및 이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초기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b는 하강에 의한 분리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c는 전진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승강부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3테이블의 설치 및 해체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6a는 초기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b는 다리 해체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c는 하강상태를 보인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승강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4,5테이블의 설치 및 해체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8a는 하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b는 후진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c는 도 8b에서 전진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평조정부 구성을 보인 부분절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11은 종래의 강재 및 강관 동바리 공법에 의한 교량시공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슬래브교량트러스
11,12,13,14,15:제1,2,3,4,5테이블
111:다리 112:골조
113:상부트러스 114:거푸집
2:제1승강부
20:유압잭
3:제2승강부
31:지지봉 32:중공잭
32A:피스톤 32B:수직로드
33:슬라이더
4:테이블이송부
41:궤도 42:이송롤러A
5:수평조정부
51:이송롤러B 52:나선조립체
52A:고정너트 52B:나선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시공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가설-1차콘크리트타설-제1테이블전진-제2,3,4,5테이블이동-제1테이블후진-2차콘크리트타설-해체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제1단계의 조립공정은 본 발명의 슬래브교량트러스를 조립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재들이 공장에서 제작되고, 이들은 작업장으로 운반된 후 조립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슬래브교량트러스는 제2단계의 가설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크레인을 이용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1)는 교각(110) 사이의 교량슬래브 중심부를 형성하는 제1테이블(11)과, 상기 제1테이블(11)의 양측에 설치되어 교량슬래브의 양단부를형성하는 제2,3테이블(12)(13)과, 상기 제2,3테이블(12)(13)의 전방측 교각(110)에 설치되어 상기 교각(110) 상부측 교량슬래브를 형성하는 제4,5테이블(14)(15)로 분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3,4,5테이블(11)(12)(13)(14)(15)의 각각은 다리(111), 골조(112), 상부트러스(113), 거푸집(114)의 4개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슬래브교량트러스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1)는 교각(110) 사이에 제1테이블(11)이 설치되고, 이의 양측에는 제2,3테이블(12)(13)이 설치되며, 이의 전방측에는 교각(110)의 외부를 감싸는 식으로 제4,5테이블(14)(15)이 설치된다.
이같이 슬래브교량트러스(1)가 설치된 후에는 거푸집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 타설은 제1테이블(11)에서부터 제2,3테이블(12)(13) 및 제4,5테이블(14)(15)로 진행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테이블 이송과정을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연속되는 다음 경간의 교량슬래브 시공을 위해 본 발명의 제1,2,3,4,5테이블(11)(12)(13)(14)(15)을 이동시키는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작업을 수행한다.
제4단계는 제1테이블(11)을 이동시키는 공정으로서, 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테이블(11)을 바닥에 부설된 궤도(41)를 따라 2경간(교각과 교각사이) 전진시킨다. 그런 다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2,4,3테이블(15)(12)(14)(13) 순으로 각각 1경간씩 이동시키는 제5단계의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제1테이블(11)을 1경간 후진시키는 제6단계의 작업으로 다음 경간의 교량슬래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교량트러스(1)의 이동 및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테이블을 전진시키는 제4단계와, 제2,3,4,5테이블을 이동시키는 제5단계를 첨부된 도 4a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테이블 이동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이루어지고, 양생후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제1테이블(11)을 하강시켜 교량슬래브(10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부설되는 테이블이송부(4)의 궤도(41)를 따라 2경간 전진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윈치에 의한 로프 전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승강부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상기 제1승강부(2)는 제1테이블(11)의 승강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제1테이블(11)의 다리(111) 하부 양측에 각각 유압잭(20)을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테이블(11)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후 제1테이블(11)의 다리(111) 하부 양측에 유압잭(20)를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테이블(11)을 하강시켜 교량슬래브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유압잭(20)을 이용하여 제1테이블(11)을 약간 상승시킨 다음 궤도(41)와 제1테이블(11) 다리 사이에 테이블이송부(4)의 이송롤러A(42)를 설치하여 윈치에 의한 견인으로 상기 궤도(41)를 따라 상기 제1테이블(11)을 2경간 전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테이블(11)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는 다시 유압잭(20)을 이용하여 상기 제1테이블(11)을 상승시켜 궤도(41) 상에 이송롤러A(42)를 제거하고, 쐐기(120)를 박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제2,3테이블의 이동을 위한 해체 및 설치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먼저 본 발명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3테이블(12)(13)의 각 측면부에 상기 제2,3테이블(12)(13)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 즉 본 발명의 제2승강부(3)가 설치된다. 그런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3테이블(12)(13)의 다리(111)를 해체한 후, 골조(112)의 단부측에 이송롤러A(42)를 부착시킨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부(3)를 이용해 상기 이송롤러A(42)가 궤도(41) 상에 안착될 때까지 제2,3테이블(12)(13)을 하강시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10)을 피해 상기 궤도(41)를 따라 측방향 중앙부로 이동되고, 다시 방향을 바꿔 1경간 전진이동되는데, 이때 방향전환은 유압잭을 이용해 제2,3테이블(12)(13)을 다소 상승시킨후, 이송롤러A(42)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3테이블(12)(13)이 1경간 이동된 후에는 다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외곽으로 이동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제2승강부(3)를 이용해 제2,3테이블(12)(13)을 상승시켜 다리(111)를 조립한 후, 쐐기(120)를박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4,5테이블(14)(15)의 이동과정도 상기 제2,3테이블(12)(13)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승강부 구성을 보인 보인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부(3)는 수직방향의 봉체로 형성된 지지봉(3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31)의 외측에는 슬라이더(33)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33)의 일측부는 제2,3,4,5테이블(12)(13)(14)(15)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3)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봉(31)의 상부측에 중공잭(32)이 수직방향으로 고정 및 설치되고, 상기 중공잭(32)의 피스톤(32A)에는 유압공급으로 상.하 작동되는 수직로드(32B)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로드(32B)의 하단부측은 슬라이더(33)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잭(32)의 작동으로 수직로드(32B)와 슬라이더(33)가 상.하로 연동되고, 상기 슬라이더(33)의 동작에 의해서 제2,3,4,5테이블(12)(13)(14)(15)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4,5테이블의 이동을 위한 해체 및 설치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승강부에 의한 제2,3테이블의 해체 및 이동과 동일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3테이블(12)(13)과 다른 점은 제4,5테이블(14)(15)의 거푸집(114)과 상부트러스(113)가 교각(110)의 주변을 감싸는 식으로 설치되므로 일단 도 8a와 같은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5테이블(14)(15)의 거푸집(114)과 상부트러스(113)를 교각(110)에 대해서후진시킨 후, 이동시키고 다시 도 8c와 같이 상기 교각(110) 측으로 전진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수평이동은 제4,5테이블(14)(15)의 상부트러스(113)와 골조(112) 사이에 설치된 수평조정부(5)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조정부(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수평조정부(5)는 상부측에 제4,5테이블(14)(15)의 상부트러스(113)가 교각에 대해서 골조(112)를 따라 전.후진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이송롤러B(51)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B(51)의 하부측에는 상기 상부트러스(113)가 교각에서 대해서 골조(112)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B(5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너트(52A)에 나선축(52B)을 결합시킨 나선조립체(5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같이 구성된 수평조정부(5)는 윈치에 의한 견인으로 제4,5테이블(14)(15)의 거푸집(114) 및 상부트러스(113)가 이송롤러B(51)와 구름접촉되면서 교각(110)에 대해서 골조(112)를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동 후 설치시에는 상기 이송롤러B(5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나선축(52B)을 회전시켜 나선조립체(52) 및 이송롤러B(51)를 좌.우 소정폭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제4,5테이블(14)(15)의 거푸집(114) 및 상부트러스(113)의 좌.우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2,3,4,5테이블을 이동시키는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과정을 수행한 후에는 2경간 전진시킨 제1테이블(11)을 다시 1경간 후진시키는제6단계의 과정이 수행되고, 이로써 다음 경간의 교량슬래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교량트러스(1)의 설치가 완료되며,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1)의 거푸집(114)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제4단계에서 제7단계까지의 과정을 경간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시행되고, 최종 경간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이루어진 후에는 슬래브교량트러스(1)를 해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이 자유롭고 단 1회의 설치 및 해체로 다경간의 교량슬래브 형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과 효율성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이 인력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좀더 부가해서 설명하면, 기존의 강재 및 강관 동바리 공법에 비해서 공사비의 32%절감과 공기면에서 약47%의 공기단축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경간 이동시마다 발생되는 건설 쓰레기 부산물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별도의 야적장이 불필요함으로써 도심지에서의 교량공사 및 각종 인너 페이스 등으로 인한 현장여건, 파일등이 필요한 가시설 교량공사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밀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량의 가설공법의 설계 및 시공의 표준화 작업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이로인해 교량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공장에서 제작된 부재들을 작업장으로 운반하여 슬래브교량트러스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에서 교량슬래브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제1테이블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에 제2,3테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제2,3테이블의 전방측 교각에 제4,5테이블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이 설치된 슬래브교량트러스의 거푸집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양생된 교량슬래브로부터 제1테이블을 하강시켜 분리한 후, 궤도를 따라 2경간 전방 파킹 위치까지 전진 및 이동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양생된 교량슬래브로부터 제5,2,4,3테이블의 순으로 하강시켜 분리한 후, 궤도를 따라 다음 경간 위치까지 이동시켜 설치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 의해서 2경간 전방 파킹 위치까지 전진된 제1테이블을 다시 1경간 후진시키는 제6단계와;
    이 이동된 슬래브교량트러스의 거푸집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제7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 시공후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를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량시공방법.
  2. 교량슬래브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제1테이블(11)의 양측에 교량슬래브의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2,3테이블(12)(13)이 설치되고, 상기 제2,3테이블(12)(13)의 전방측 교각에는 상기 교각의 상부측 교량슬래브를 형성하는 제4,5테이블(14)(15)()이 설치되는 슬래브교량트러스(1)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1)의 제1테이블(11)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테이블(11)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2)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1)의 제2,3,4,5테이블(12)(13)(14)(15)의 각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3,4,5테이블(12)(13)(14)(15)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3)와;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1)의 제1,2,3,4,5테이블(11)(12)(13)(14)(15)의 하단부에 각각 이송롤러A(42)를 설치하여 궤도(41)를 따라 상기 제1,2,3,4,5테이블(11)(12)(13)(14)(15)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한 테이블이송부(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교량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교량트러스(1)의 제1,2,3,4,5테이블(11)(12)(13)(14)(15)은 다리(111), 골조(112), 상부트러스(113), 거푸집(1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교량시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3)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31)과;
    상기 지지봉(31)의 외측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부는 제2,3,4,5테이블(12)(13)(14)(15)에 각각 고정되는 슬라이더(33)와;
    상기 슬라이더(33)에 수직로드(32B)의 단부측이 고정되고, 유압에 의한 피스톤(32A)의 작동으로 상기 수직로드(32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중공잭(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교량시공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5테이블(14)(15)의 상부트러스(113)가 교각에 대해서 골조(112)를 따라 전.후진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이송롤러B(51)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B(51)의 하부측에는 상기 상부트러스(113)가 교각에 대해서 골조(112)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B(5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너트(52A)에 나선축(52B)을 결합시킨 나선조립체(52)가 형성된 수평조정부(5)를 제4,5테이블(14)(15)의 골조(112)와 상부트러스(113) 사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교량시공장치.
KR10-2000-0053853A 2000-09-09 2000-09-09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 KR10039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853A KR100390759B1 (ko) 2000-09-09 2000-09-09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853A KR100390759B1 (ko) 2000-09-09 2000-09-09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591A true KR20020020591A (ko) 2002-03-15
KR100390759B1 KR100390759B1 (ko) 2003-07-10

Family

ID=1968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853A KR100390759B1 (ko) 2000-09-09 2000-09-09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74A (ko) 2018-04-10 2019-10-18 이신호 보철근망 조립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18B1 (ko) * 2009-03-20 2011-11-10 계문교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74A (ko) 2018-04-10 2019-10-18 이신호 보철근망 조립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759B1 (ko)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30842B (zh) 一种大跨度钢混组合梁架设施工的架桥机及施工方法
KR100634848B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CN111119071A (zh) 混凝土预制节段箱梁拼装施工方法
JPH0841826A (ja)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ならびに主桁ユニット
CN109629449B (zh) 一种钢箱拱桥拱脚钢混结合段安装定位支架及对位方法
CN109457619B (zh) 一种用于混凝土主梁现浇施工的复合型多功能移动支架
JP5221474B2 (ja) 押し出し桁の後方支持装置及び押し出し架設方法
KR100734418B1 (ko) 압출용벽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거더세그먼트 제작장과,이를 이용한 일반구간과 확폭구간을 갖는 교량의 연속압출시공방법
CN108396749B (zh) 一种基坑内钢支撑的安装系统以及安装方法
KR100390759B1 (ko) 교량시공방법 및 장치
KR100565361B1 (ko)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한 교량시공방법
CN109371851B (zh) 多底模头罩支撑架造槽机
CN216640216U (zh) 一种用于现浇简支梁施工的滑动模机构
CN114016424A (zh) 适用于小角度斜交跨线桥施工的自行式平台及方法
CN112610014A (zh) 一种用于铁路客站改扩建工程的滑移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172923B (zh) 一种环境友好型下行自行式钢栈桥结构
CN108840234B (zh) 一种预制节段用吊装装置及其吊装方法
CN107313444B (zh) 一种双滑轨梁式重物移位装置及移位方法
CN110593117A (zh) 钢箱梁安装系统及其施工方法
CN111571206B (zh) 挤压机前横梁和后横梁的安装方法
CN220705161U (zh) 一种混凝土楼板后浇带吊挂行走模板系统
CN214220702U (zh) 一种滑移平台结构
CN111827073B (zh) 双幅钢箱梁的顶推施工方法
CN108557640B (zh) 现浇箱梁钢筋骨架整体吊装设备及吊装方法
CN219175028U (zh) 一种双肢桥墩爬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