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067A - 방직 섬유 처리시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유도체의 용도 - Google Patents

방직 섬유 처리시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유도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067A
KR20020019067A KR1020017015772A KR20017015772A KR20020019067A KR 20020019067 A KR20020019067 A KR 20020019067A KR 1020017015772 A KR1020017015772 A KR 1020017015772A KR 20017015772 A KR20017015772 A KR 20017015772A KR 20020019067 A KR20020019067 A KR 20020019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
formula
alkyl
compounds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렁쯔질르
반데르스퓌이앙드레
Original Assignee
트롤리에 모리스, 다니엘 델로스
로디아 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롤리에 모리스, 다니엘 델로스, 로디아 쉬미 filed Critical 트롤리에 모리스, 다니엘 델로스
Publication of KR2002001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06Ether- or thioether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4Derivatives of acids of phosphorus
    • C11D1/345Phosphates or phosph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11D1/721End blocked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65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13Polyethers without nitro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13Polyethers without nitrogen
    • D06P1/6131Addition products of hydroxyl groups-containing compounds with oxir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13Polyethers without nitrogen
    • D06P1/6131Addition products of hydroxyl groups-containing compounds with oxiranes
    • D06P1/6133Addition products of hydroxyl groups-containing compounds with oxiranes from araliphatic or aliphatic alcoho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51Compounds without nitrogen
    • D06P1/65106Oxygen-containing compounds
    • D06P1/65131Compounds containing ether or aceta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직 섬유의 처리동안 하기 화학식I의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유도체 또는 상기 화합물의 혼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Zi-X-[CH(R3)-CH(R4)-O]n-A
[식 중,
Zi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 라디칼로 임의 치환된, 비시클로[a,b,c]헵테닐 또는 비시클로[a,b,c]헵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a, b 및 c 는 a + b + c = 5, a = 2, 3 또는 4, b = 1 또는 2, c = 0 또는 1 이고;
X 는 -CH2-C(R1)(R2)-O- 또는 -O-CH(R,1)-CH(R,2)-O-를 나타내며(식 중, Ri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R3및 R4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를 나타내고;
n 은 1 내지 200 사이의 범위의 평균값이며;
A 는 수소 원자, 알킬, (알킬)아릴 라디칼, 할로겐, -CH2-CH(OH)R5, -SO3M, -OPO3(M)2, -(CH2)a-COOM, -(CH2)b-SO3M 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의 사용은 염색 작업시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방직 섬유 처리시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유도체의 용도{USE OF POLYALKOXYLATED TERPENE DERIVATIVES FOR TREATING TEXTILE FIBRES}
방직 섬유 처리는 털 태우기(singeing), 풀빼기(desizing), 세탁, 표백, 머서화 가공(mercerization), 염색 단계, 및 마무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 중에서, 습윤제 및/또는 침투제는 고려중의 단계 동안 사용되는 제제가 유효하도록 사용되어야 한다. 에톡실화 노닐페놀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제제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다량의 포말을 생성하는 단점이 있다. 이들을 실리콘 유화제-기재 소포제와 같은 소포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불행하게도, 염색 작업에서 접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전단 조건하에서, 소포제는 종종 불안정화되고 실리콘 젤이 형성되어 섬유상에 침착되고, 섬유 상에 영구적인 얼룩의 외관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방직 섬유 처리시, 더욱 특히 염색 작업시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하기의 명세서에서 방직 섬유는 단지 섬유, 얀(yarn), 편성포(knitted fabrics), 직포(woven fabrics) 및 부직포(non woven fabrics)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사용됨을 지적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방직 섬유(천연 및 재생 셀룰로스 섬유(면), 모) 및 합성 섬유(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를 처리하는데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직 섬유 처리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효과적이지만, 포말의 발생과 연관된 단점을 가지지 않는 습윤제 및/또는 침투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직 섬유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 a) 털 태우기, b) 풀빼기, c) 세탁, d) 표백, e) 머서화 가공, f) 염색 단계, g) 마무리, 여기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은 상기 단계 중 하나 이상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Zi-X-[CH(R3)-CH(R4)-O]n-A
[식 중,
ㆍZi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로 임의 치환된, 비시클로[a,b,c]헵테닐 라디칼 또는 비시클로[a,b,c]헵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a, b 및 c 는 하기이고:
ㆍa + b + c = 5;
ㆍa = 2, 3 또는 4;
ㆍb = 1 또는 2;
ㆍc = 0 또는 1;
Zi는 하기에 보여지는 것들(Z1내지 Z7) 및 이중 결합이 없는 그들의 해당하는 헵틸로부터 선택된 골격을 포함하고:
ㆍ X 는 -CH2-C(R1)(R2)-O- 또는 -O-CH(R,1)-CH(R,2)-O-를 나타내며, 식 중;
ㆍ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R1및 R2는 수소 또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C1-C6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며;
ㆍ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R,1및 R,2는 수소 또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C1-C22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고;
ㆍ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R3및 R4는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22(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 기를 나타내고;
ㆍn 은 1 내지 200 의 범위의 평균값이며;
ㆍA 는 수소 원자, C1-C6알킬 라디칼, 아릴 또는 알킬아릴 라디칼, 할로겐 원자, -CH2-CH(OH)R5기(식 중, R5는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시클릭 C1-C22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을 나타냄), 또는 -SO3M, -OPO3(M)2, -(CH2)a-COOM, -(CH2)b-SO3M(식 중, a 및 b 는 1 내지 6이며, M 은 H, Na, K, Li, N(R4)+(식 중,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라디칼 R 은 수소 원자, 또는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시클릭 C1-C22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부터 선택된 기를 나타낸다].
사용된 화합물(테르펜 화합물로 불리워짐)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상기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는 상기에서 언급된 화학식을 갖는다.
상기 식에서, 라디칼 Zi는 1 내지 6 탄소 원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슬잔기에 바람직하게 부착된다. 더욱 특별한 구현에서, 라디칼 Zi는 탄소 원자 1, 5 및 6 을 통해 사슬 잔기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에서, 상기 화합물은 라디칼 Zi가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서 2 개 이상의 C1-C6알킬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메틸 라디칼에 의해 치환되는 것이다. 더욱 특히, 치환체는 탄소 원자 7 상에 위치한다.
첫 번째 계열의 화합물은 X 가 -CH2-C(R1)(R2)-O-를 나타내는 것에 해당한다. 이 경우, 라디칼 Zi는 더욱 특히 라디칼 Z3내지 Z7에 해당한다. 또한, 고리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한다. 또한, 그것들은 2개의 치환체, 바람직하게는 메틸을 탄소 원자 7 상에 갖는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탄소 원자 7 상에 2개의 메틸기를 갖는 라디칼 Z4및 Z5로 정의된다.
두 번째 계열의 화합물은 X 가 -O-CH(R,1)-CH(R,2)-O-를 나타내는 것에 해당한다. 더욱 특히, 고리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함유하지 않으며, 라디칼 Z3로 나타내어진다. 이 계열의 경우, 적어도 R,1또는 R,2는 수소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현에서, 화합물은 R,1또는 R,2이 메틸 라디칼인 것이다. 이 계열의 화합물의 특수한 특성에서, 탄소 원자 7 은 탄소 원자 2 또는탄소 원자 5 상에 위치한 2개의 메틸 치환체 및 하나의 C1-C6알킬 치환체, 바람직하게는 메틸을 갖는다.
-[CH(R3)-CH(R4)-O]-모티프에 관하여, 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으로 이미 정의되었으며,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22(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기, 바람직하게는 C1-C6을 나타낸다. 더욱 특히,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라디칼 R3및 R4는 수소 원자, 메틸 라디칼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다.
모티프 -[CH(R3)-CH(R4)-O]- 가 상이하다면, 그들의 분포는 랜덤하거나 블럭화된다. 후자의 가능성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이한 블럭이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적합한 화합물은 하기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CH2-CH2O]q-[CH(R3)-CH(R4)-O]r또는 -[CH(R3)-CH(R4)-O]r-[CH2-CH2O]q-
(식 중, R3및 R4는 수소 이외의 것이며, n = q + r 임).
본 발명에 적합한 한가지 유형의 블럭 화합물은 하기 서열을 포함한다:
-[CH(R3)-CH(R4)-O]p-[CH2-CH2O]q-[CH(R3)-CH(R4)-O]r-
(식 중, R3또는 R4는 수소 이외의 것이며, n = p + q + r 임).
특수한 구현에서, 상기 모티프는 옥시에틸렌화 및/또는 옥시프로필렌화 모티프에 해당한다.
n 은 1 내지 200 범위에서의 평균값이다. 그것은 -[CH(R3)-CH(R4)-O]- 모티프의 총 합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화 모티프의 수는 1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더욱 특히 1 내지 20 의 범위이다.
옥시프로필렌화 모티프의 수에 관해, 그들의 평균 수는 0 내지 20, 더욱 특히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의 범위이다.
그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언급된 블럭을 가지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혼합물에 해당하는 테르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은 국제 특허 출원 WO-A-96/01245 및 WO-A-98/28249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의 정의 및 제조에 대해 상기 출원을 참조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방직 섬유의 처리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상기에 설명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합물은 방직 섬유속으로 고려 중인 반응물의 침투를 촉진하는, 중요한 방직 섬유 습윤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확립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섬유 처리동안 접하는 종종 심각한 조건하에서 양호한 내성을 가진다. 많은 단계가 매우 알카리성인 매질에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들의 구조를 그들이 사용되는 작업의 요구에 적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공통의 베이스를 사용하여, 섬유 처리를 위한 용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합물과 혼화가능한,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 유효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될 수 있는 방직 섬유는 이전 단계로부터의 잔류 첨가물, 예를 들어 윤활제(유연 첨가제(합성 섬유의 경우 염색을 위한 윤활제), 폴리비닐 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섬유 포합제(녹말), 필름-형성제(하이드로콜로이드)를 함유한다. 이들 화합물은 섬유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풀빼기(단계 b))는 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풀빼기 작업은 효소적으로(존재한다면, 녹말을 탈중합시킴), 및/또는 화학적 산화 및/또는 알칼리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 특히, 산화 반응은 예를 들어 과산화 수소, 퍼술페이트, 또는 퍼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산화제로 수행된다. 또한, 알카리 처리와 같은 알칼리성 매질에서 수행된다.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및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및 비카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수산화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알칼리성 제제의 농도는 10 내지 12 범위의 pH를 얻기 위해 약 2 내지 5 g/l이다. 풀빼기 작업은 또한 일반적인 첨가물(킬레이트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70% 내지 80%의 물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수행된다.
또한, 고온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50℃ 초과의 온도가 일반적이다.
또한, 풀빼기는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는 용도의, 상기 설명된 테르펜 화합물의 존재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더욱 특히 풀빼기 액체에서 상기 화합물의 양은 1 내지 5 g/l의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방직 섬유는 연속적으로(증기 상자) 또는 회분식(회전 롤러)으로 용액 중에 침지된다.
이 단계는 한번 이상의 통과로 수행된다.
방직 섬유의 성질에 따라, 털 태우기(단계 a))로 공지된 예비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고 또는 단순히 유리할 수도 있다. 이 단계는 더욱 부드러운 표면의 방직 섬유를 제공한다. 이 단계는 표면으로부터 튀어나온 섬유를 태우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털 태우기 단계의 수행은 풀빼기 단계를 촉진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한 처리를 거친 방직 섬유는 실질적으로 과건조되어, 풀빼기 단계의 효율이 보유되어야 한다면 결과적으로 강한 습윤력을 갖는 용액이 필수적이다.
일단 풀빼기 단계가 수행되고, 세탁 단계(단계 c))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는 방직 섬유가 면을 포함할 때 더욱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작업은 면 섬유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셀룰로스 잔류물(헤미셀룰로스, 미성숙 셀룰로스), 또는 염색 또는 비염색 최종 직물에서 불균질성을 야기하는 천연 오일 또는 왁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세탁 작업은 매우 알카리성인 매질에서 수행된다.
액체에서 알칼리성 제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40 g/l이다.
유리하게는, 수산화 나트륨이 사용된다.
매질은 또한 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양은 유리하게는 1 내지 5 g/l의 범위이다.
더욱 특히, 상기 단계는 약 60 - 8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 단계는 일반적으로 증기 상자에서 수행된다.
이 작업의 끝에, 방직 섬유는 색상이 어두운 조건으로 직접 염색될 수 있다.
그러나, 방직 섬유 처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표백 단계(단계 d))에 의해 계속된다.
작업은 산화제, 더욱 특히 과산화 수소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안정화제, 예를 들어 실리케이트, 하이포클로라이트 또는 폴리포스포릭산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표백 단계는 고온, 70 ℃ 내지 80℃에서 수행된다.
표백 단계의 끝에, 머서화 가공 또는 이완 머서화 가공 단계(단계 d))를 임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알카리성 용액에 방직 섬유를 침지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방직 섬유는 임의적으로 이 단계동안 기계적 장력을 받게 된다. 이 작업은 섬유 염색 작업의 효율 및 섬유 인열 강도를 증진시킨다.
수많은 가능성이 이 작업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 가능성에서, 침지는 알칼리성 제제의 농도가 200 내지 300 g/l 인 용액으로 수행된다. 변형에서, 상기 단계는 약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또한 변형에서, 알칼리성 제제의 농도가 약 200 g/l인 용액으로 침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작업은 55℃ 내지 7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고 공지되어 있으며, 이어서 장력하에 방직 섬유를 위치시키고, 상온에서 냉각 단계 및 린스 단계가 이어진다.
또한, 알칼리성 제제 농도가 100 - 160 g/l 인 용액으로, 방직 섬유에 아무런 장력을 가하지 않고 약 20℃ 내지 40℃의 범위의 온도에서 상기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머서화 가공" 보다는 "이완 머서화 가공"으로 불리워진다.
또한, 알칼리성 용액은 더욱 특히 1 내지 5 g/l의 범위의 농도의 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방직 섬유는 일련의 단계 e)에서 염색된다. 이들 단계는 당 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분산 염료가 사용되고 즉, 수불용성인 안료가 사용되거나, 또는 반응성 염료가 사용되고, 즉 섬유에 존재하는 반응성 사이트 상에 고정되는 수용해성 색소를 사용한다.
예로서, 섬유가 합성 섬유 및 천연 섬유의 혼합물(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면)일 때, 염색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디: 합성 섬유의 컬러링(단계 e1)), 이들 색소의 고정(단계 e2)), 비 고정 염료의 씻어냄(단계 e3)), 천연 섬유의 컬러링(단계 e4)), 비 고정 색소의 세척(단계 e5)).
섬유가 단지 하나 또는 다른 유형의 섬유를 포함할 때, 그 후 이 유형의 섬유에 특수한 단계만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염색 작업은 7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의 pH에서 수행된다.
그러한 pH 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같은 알칼리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득된다.
사용되는 용액 또는 분산액은 수성이다.
안료 또는 염료에 더하여, 용액 또는 분산액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인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예로는 알콕실화(에톡실화 및/또는 프로폭실화)될 수 있는 지방 알콜 술페이트 에테르, 알콕실화될 수 있는 인산 에스테르, 모노- 및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폴리알콕시화 지방 알콜, 리그노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와 방향족 술폰산(예를 들어 나프탈렌 술폰산)의 축합 생성물 등이 있다.
염색 액체 첨가물로서 하기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콜로이드, 예를 들어 폴리술포네이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폴리비닐술포네이트, 알지네이트, 폴리사카리드,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이들 계면활성제 및 콜로이드는 분산액을 안정화시키지만, 또한 불순물이 액체중에 침전 또는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액 또는 분산액은 또한 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들은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이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테르펜 화합물의 사용이 염색 단계의 상황에서 매우 유리하다. 그들은 매우 약간 발포성이거나 또는 비-발포성이거나, 또는 전단이 매우 높은 염색 조건하에서조차, 파포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용된 테르펜 화합물의 사용은 다량의 소포제의 존재를 더이상 필요하게 만들지 않는다. 그러한 제제의 사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들 테르펜 화합물의 양은 유리하게는 1 내지 5 g/l 의 범위이다.
적당한 염색 작업은 통상적으로, 특히 배치(제트 또는 지거(jigger))에서 수행된다.
그들은 연속적으로, 또는 바람직한 경우 회분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염색은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즉 50℃ 내지 9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작업이 가압하에 수행된다면 더 높은 온도가 구현될 수 있다.
연속 공정에서, 방직 섬유는 먼저 염료 액체에서 함침되고, 그 후 롤러를 통과해 과량의 액체가 제거된다. 섬유는 색이 고정되기 전에 몇가지 경로를 거칠 수 있다. 고전단 조건을 특히 침지 단계동안 접하게 되어 포말이 발생된다.
지거에서 수행되는 회분식 방법에서, 섬유는 하나의 카트리지에서 다른 것으로, 둘 사이의 액체의 침지로 전개된다. 이러한 경우, 교반이 적당한다. 이러한 이유로, 발생되는 포말의 양이 또한 적당하다. 그러나, 포말은 방직 섬유상에 침착될 수 있으며, 외관상의 얼룩의 원인이 된다.
제트 형 회분식 방법에서, 많은 포말이 발생한다. 직물은 사실 물의 분출에 동반된다. 원심분리 펌프가 사용될 때, 전단이 매우 높고 교반이 매우 강하다. 필수적인 종래의 소포제가 불안정화될 수 있고, 상기 제제가 섬유상에 침착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외관상의 얼룩을 야기할 수 있다.
일단 함침이 완성되며, 염료는 열에 의해 방직 섬유 상에 고정된다.
방직 섬유가 염색될 때, 마무리 단계는 직물에 궁극적인 의도의 용도에 따라 특수한 특성을 직물에 부여할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방직 섬유는 유연제(음이온성, 양이온성, 실리콘), 직물을 다소 경직되도록 하는 제제(수지), 얼룩방지제(플루오로카본), 또는 직물의 외관을 변형시킬 수 있는 제제(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에 플록(flock)을 적용하여 예를 들어 벨벳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로 처리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 설명된 시험은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폴리에스테르 텍스타일 미세섬유의 풀빼기 단계에서 테르펜 화합물의 효과를 증명한다.
시험 조건:
풀빼기 수조는 하기를 포함한다:
수산화 나트륨(박편): 2g/l
킬레이트화제(Neocrystal 70, Nicca사 판매) 1g/l
풀빼기제(테르펜 화합물 또는 일반적인 계면활성제) 1g/l
직물을 지지대에서 인장시킨 후, 오일(HN100 파라핀 광유), 에스테르화오일(평지씨유 메틸 에스테르) 또는 왁스(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 한 방울을 떨어뜨렸다. 그 후 전체를 180℃에서 1 분 동안 처리했다.
그리고나서 직물을 110℃에서 20 분간 풀빼기 수조에 침지시켰다. 처리되는 물품 대 풀빼기 수조의 중량 비는 1 대 20 이었다.
그 후, 직물을 약 30 초간 과량의 물로 린스하고, 30 초간 배수했다. 그 후, 수득된 직물을 분산 염료(1 중량% Palanil Violet 3RL-BASF)로 염색했다. 물품을 상온에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수조에 침지시키고, 교반하면서 온도를 80℃로 상승시켰다.
침착된 오일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은 다른 방식으로 염색되었다.
하기 풀빼기 제제를 시험했다:
비교 시험 1: Igepal NP8.5, 8.5 몰의 에틸렌을 함유한 노닐페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화합물은 고리 4)에 해당하며, 3-탄소는 2 개의 메틸 라디칼을 수반하고, 식 중 X 는 -CH2-CH2-O를 나타내며, 5몰의 프로필렌 옥시드 및 9몰의 에틸렌 옥시드를 함유한다.
비교 시험 2: 풀빼기 제제가 없는 조성물에 해당함.
풀빼기 시험(오일 얼룩의 제거)
결과는 1(매우 불량) 내지 7(우수)로 등급화되었다.
추출 시험 이어서 풀빼기
처리된 직물의 일부를 직물상에 남아있는 잔류물(오일, 풀빼기 제제)의 비율을 측정하는데 사용했다.
잔류물을 에틸 에테르로 추출했다.
잔류물은 100 ×건조 추출 중량/직물 조각 중량에 해당했다.
이 측정을 위해, 풀빼기 수조는 3g/l의 풀빼기 제제를 함유했다.
포말 높이의 측정
사용된 풀빼기 수조는 시험 1 에서 사용된 것이었다.
5분간 터보믹서(40 mm 터빈, 2000 rpm)로 900 g의 용액을 교반하여 포말을 수득했다. 온도는 50℃였다.
5 분간 정치시킨 후 샘플에서 포말의 높이를 기록했다.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낸다:
시험 오일 비교 시험 1 비교 시험 2 본 발명
시험 1 무기물 7 2 7
시험 1 에스테르화 4 2 4
시험 1 왁스 5 2 5
시험 2 (%) 0.8 1.44 0.7
포말 (ml) >500 <100 <100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풀빼기에 관해 비교예 1의 제제만큼 효과적이었으며, 처리후 섬유상의 남아있는 잔류물의 양에 관해 놀랍게도 비교예 1의 제제만큼 효과적이었다. 반대로, 본 발명의 풀빼기 제제는 포말 높이에 관해서는 비교예 1 의 제제보다 양호하게 수행되었다.

Claims (9)

  1. 하기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직 섬유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털 태우기, b) 풀빼기, c) 세탁, d) 표백, e) 머서화 가공, f) 염색 단계, g) 마무리,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이 하나 이상의 상기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I]
    Zi-X-[CH(R3)-CH(R4)-O]n-A
    [식 중,
    ㆍZi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로 임의 치환된, 비시클로[a,b,c]헵테닐 라디칼 또는 비시클로[a,b,c]헵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a, b 및 c 는 하기이고:
    ㆍa + b + c = 5;
    ㆍa = 2, 3 또는 4;
    ㆍb = 1 또는 2;
    ㆍc = 0 또는 1;
    Zi는 하기에 보여지는 것들(Z1내지 Z7) 및 이중 결합이 없는 그들의 해당하는 헵틸로부터 선택된 골격을 포함하고:
    ㆍ X 는 -CH2-C(R1)(R2)-O- 또는 -O-CH(R,1)-CH(R,2)-O-를 나타내며, 식 중;
    ㆍ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R1및 R2는 수소 또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C1-C6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며;
    ㆍ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R,1및 R,2는 수소 또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C1-C22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고;
    ㆍ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R3및 R4는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C1-C22(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 기를 나타내고;
    ㆍn 은 1 내지 200 의 범위의 평균값이며;
    ㆍA 는 수소 원자, C1-C6알킬 라디칼, 아릴 또는 알킬아릴 라디칼, 할로겐 원자, -CH2-CH(OH)R5기(식 중, R5는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시클릭 C1-C22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을 나타냄), 또는 -SO3M, -OPO3(M)2, -(CH2)a-COOM, -(CH2)b-SO3M(식 중, a 및 b 는 1 내지 6이며, M 은 H, Na, K, Li, N(R4)+(식 중,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라디칼 R 은 수소 원자 또는 히드록실화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시클릭 C1-C22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부터 선택된 기를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라디칼 Zi가 그의 탄소 원자 1 내지 6의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5 및 6을 통해 사슬 잔기에 바람직하게는 부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화학식 I 에서 라디칼 Z 가 그의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상에서, 더욱 특히 탄소 원자 7 상에서 2개의 C1-C6알킬기에 의해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CH2-C(R1)(R2)-O-를 나타내고, 라디칼 Zi가 라디칼 Z3내지 Z7,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Z4내지 Z5에 해당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O-CH(R,1)-CH(R,2)-O-를 나타내고, 라디칼 Zi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라디칼 Z3에 해당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화학식 I에서, 라디칼 Z 가 비-사이클의 탄소 2 또는 5 상에서 C1-C6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들의 하나 이상에서 기 -[CH(R3)-CH(R4)-O]-가 하기 서열에 해당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CH(R3)-CH(R4)-O]p-[CH2-CH2O]q-[CH(R3)-CH(R4)-O]r-
    (식 중, R3또는 R4는 수소 이외의 것이며, n = p + q + r 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염색 단계 e)동안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 내지 5 g/l의 범위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15772A 1999-06-07 2000-06-06 방직 섬유 처리시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유도체의 용도 KR20020019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7240A FR2794476B1 (fr) 1999-06-07 1999-06-07 Utilisation de derives terpeniques polyalcoxyles dans le traitement de fibres textiles
FR99/07240 1999-06-07
PCT/FR2000/001543 WO2000075416A1 (fr) 1999-06-07 2000-06-06 Utilisation de derives terpeniques polyalcoxyles dans le traitement de fibres text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067A true KR20020019067A (ko) 2002-03-09

Family

ID=954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772A KR20020019067A (ko) 1999-06-07 2000-06-06 방직 섬유 처리시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유도체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183418A1 (ko)
JP (1) JP2003528988A (ko)
KR (1) KR20020019067A (ko)
CN (1) CN1358246A (ko)
AR (1) AR024303A1 (ko)
AU (1) AU5412000A (ko)
CO (1) CO5210971A1 (ko)
FR (1) FR2794476B1 (ko)
WO (1) WO2000075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524B1 (ko) * 2001-06-27 2004-02-19 주식회사 효성 천연 테르펜을 캐리어로 사용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염색방법
FR2918994B1 (fr) 2007-07-20 2012-10-19 Rhodia Operations Formulations de diesters d'acide carboxylique et leur utilisation pour le traitement de materiaux.
FR2918993B1 (fr) * 2007-07-20 2012-12-14 Rhodia Operations Utilisation de diesters d'acide carboxylique pour le traitement de textiles et formulation.
KR101673589B1 (ko) * 2009-10-30 2016-1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의 유리기판용 세정제 조성물
CN103511897B (zh) * 2013-09-26 2017-02-08 江苏彤明高科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led驱动电路
JP6870878B1 (ja) * 2020-09-23 2021-05-12 竹本油脂株式会社 弾性繊維用処理剤及び弾性繊維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31119A (de) * 1953-12-29 1958-06-30 Ciba Geigy Beständiges Präparat zur Erhöhung des Netzvermögens von Mercerisierflotten
GB2014618B (en) * 1978-02-17 1982-05-06 Bayer Ag Dyeing process
EP0638635A1 (de) * 1993-08-12 1995-02-15 Ciba-Geigy Ag Wässrige Textilhilfsmittel
FR2721921B1 (fr) * 1994-07-01 1996-10-31 Rhone Poulenc Chimie Derives d'origine terpenique, composition tensioactive et/ou parfumante en contenant et formulation detergente a base de cette composition
FR2757508B1 (fr) * 1996-12-20 1999-02-26 Rhodia Chimie Sa Composes terpeniques polyalcoxyl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agents demoussants
EP0881324A3 (de) * 1997-05-26 1999-12-01 Bayer Ag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Avivage-Entfernen und Einfärben von Synthesefas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94476A1 (fr) 2000-12-08
EP1183418A1 (fr) 2002-03-06
WO2000075416A1 (fr) 2000-12-14
AR024303A1 (es) 2002-09-25
CO5210971A1 (es) 2002-10-30
FR2794476B1 (fr) 2001-11-16
AU5412000A (en) 2000-12-28
JP2003528988A (ja) 2003-09-30
CN1358246A (zh)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29954C2 (de) Verfahren zum Behandeln von textilen Fasermaterialien
CA1080574A (en) Stain removing agents and process for cleaning and optionally dyeing textile material
US4861342A (en) Dyeing or finishing process using padding with continuous fixing of textile materials: graft polymer and microwave heating
CN109371721A (zh) 全棉针织物染色生产工艺
EP0197001B1 (de) Hilfsmittelgemisch und seine Verwendung als Färberei- oder Textilhilfsmittel
NL8520041A (nl) Kleurstofmengsel alsmede werkwijze voor het kleuren van thermoplastische materialen onder toepassing van dat mengsel.
EP0360736B1 (de) Wässriges, hartwasserbeständiges Netz- und Waschmittel, seine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der Textilvorbehandlung
US5484453A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s
KR20020019067A (ko) 방직 섬유 처리시 폴리알콕실화 테르펜 유도체의 용도
JPH0583671B2 (ko)
GB1594596A (en) Textile teatment process and composition for use therein
US4844710A (en) Aqueous textile assistant of high storage stability and hard water resistance
US5833719A (en) Alkyl polyglycosides in textile scour/bleach processing
KR100221114B1 (ko) 저발포성 비실리콘계 수성 섬유용 조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섬유의 처리방법
GB343872A (en)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and production of wetting, cleansing and dispersing agents
JPH06508184A (ja) 織物の前処理における助剤としての特別なアルキルグリコシドの使用
CA2238259A1 (en) Simultaneous finish-stripping and dyeing of synthetic fibers
GB206842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DE3119518A1 (de) Verfahren zum faerben oder ausruesten von textilen fasermaterialien
KR101147633B1 (ko) 폴리아미드 염색용 산 공여체
KR20060067962A (ko) 다기능성 직물-전처리제
EP0220170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alkaline treatment of cellulosic substrates.
US5176715A (en) Process for dyeing cellulosic fiber materials with vat dyes: dosing continuously over time interval
DE4133995A1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mischfasern aus cellulosehaltigen fasermaterialien und hydrophoben fasermaterialien
CN117107519A (zh) 一种同浴除油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