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272A - 부어초 - Google Patents

부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272A
KR20020018272A KR1020000051510A KR20000051510A KR20020018272A KR 20020018272 A KR20020018272 A KR 20020018272A KR 1020000051510 A KR1020000051510 A KR 1020000051510A KR 20000051510 A KR20000051510 A KR 20000051510A KR 20020018272 A KR20020018272 A KR 20020018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artificial
anchor
fish
sub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3083B1 (ko
Inventor
안희도
박우선
김갑종
Original Assignee
박병권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권,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박병권
Priority to KR102000005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0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부어초에 관한 것으로, 각각은 합성수지재로서 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복수개의 부력재(11)를 그 상하단에서 연결부재(12)로 관통고정시켜 폐곡형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부구체(10)와, 상기 부구체(10)에 식모된 복수개의 인공해조(20)와, 상기 부구체(10)를 해저바닥에 대하여 일정수심으로 부양고정하고 중앙에 오목홈(41)이 형성되며 외벽에 복수개의 관통홀(42)이 형성된 앵커(40)로 이루어져, 인공해조를 통해 집어효과가 크고 공간의 활용가치를 높이며, 미생물의 서식처 제공은 물론, 해저바닥에 서식하는 어류에게도 활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부어초{ Buoyant reef }
본 발명은 부어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력재가 사용되고 인공해초가 이식된 부구에 어초겸용 앵커가 설치된 부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초는 어장조성을 위해 해양에 설치된 인위적 구조물로서, 어류에게는 은신처와 산란처 및 서식장으로 이용되고, 해양시설의 내구성에 관한 실증실험과 어장조성의 효과를 조사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부어초는 일정깊이의 수중에 떠 있도록 제작된 어초로서, 착저식 인공어초는 정착성 및 저서성 어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표층과 중층에 서식하는 어류에 대한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회류성 어류는 해중의 표류물체를 근거로 하여 위집하는 습성에 의해 부어초가 적당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연안용 어초가 수심 20미터보다 얕은 해역에 설치되는 것에 반해, 부어초는 수심 20미터이상 50미터이하 정도의 해역에 설치가능하고, 해저지반이 연약하여 어초침설 후 매몰 우려가 있는 연약층 지반에도 설치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어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어초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이 연결프레임(113)로 서로 연결된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11)에 복수개의 부자(114)가 인접하여 연속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12)에 해양의 바닥에 안착설치되는 추(140)가 로우프(130)로 연결된 구조이다.
종래의 부어초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은 스텐과 같은 부식하지 않고 강도가 강한 재질로 되어 미생물이나 식물이 자라기가 어렵고, 로우프(130)는 이러한 미생물이나 식물이 자리잡기에는 그 표면적이 부족하여, 회류성 어류의 산란장이나 먹이 채취장으로써의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추(140)는 해저바닥에 고정설치되어 본체(110)의 유동범위를 제한할 뿐, 해저바닥에 서식하는 어류의 서식처는 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공해조를 이식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해저바닥에도 어류의 서식처를 조성할 수 있는 부어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은 합성수지재로서 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복수개의 부력재를 그 상하단에서 연결부재로 관통고정시켜 폐곡형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부구체와, 상기 부구체에 식모된 복수개의 인공해조와, 상기 부구체를 해저바닥에 대하여 일정수심으로 부양고정하고 중앙에 오목홈이 형성되며 외벽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앵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부력재로 인해 상기 부구체가 일정수심에 부양되고, 앵커로 인해 그 일정수심에 부구체가 고정부양된다.
이와 같은 부어초에 의하면, 인공해조를 통해 집어효과가 크고 공간의 활용가치를 높이며, 미생물의 서식처 제공은 물론, 해저바닥에 서식하는 어류에게도 활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어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어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구체 11 : 부력재
12 : 연결부재 13 : 지지부재
20 : 인공해조 30 : 연결로우프
40 : 앵커 41 : 오목홈
42 : 관통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어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발명은, 각각은 합성수지재로서 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복수개의 부력재(11)를 그 상하단에서 연결부재(12)로 관통고정시켜 폐곡형태로 결합하여 이루어고 상기 연결부재(12)에는 그 연결부재(12)의 내경을 가로질러 복수개의 지지부재(13)가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 부구체(10)와, 상기 부구체(10)에 해조식물과 유사한 형상으로 식모된 복수개의 인공해조(20)와, 상기 부구체(10)의 하부에 연결로우프(30)로 연결되어 부구체(10)를 해저바닥에 대하여 일정수심으로 부양고정하고 중앙에 오목홈(41)이 형성되며 외벽에 복수개의 관통홀(42)이 형성된 앵커(4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발명의 특징은 합성수지재로 된 기둥형상의 복수개의 부력재(11)와 인공해조(20)가 구비된 것에 있는 바, 부력재(11)에 다양한 미생물이 자생할 수 있고, 인공해조(20)에 의해 어류의 집어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부구체(10)는 다수개의 부력재(11)를 원형으로 된 복수개의 연결부재(12)가 관통하여 연결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부재(12)의 내경을 가로질러 복수개의 지지부재(13)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력재(11)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의 기둥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 물을 흡수하지 않는 가벼운 재질로 되어 부구의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복수개의 부력재(11)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한 형태로 고정결합하는 수단으로, 부력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부력재(11)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개의 부력재(11)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부재(12)에 끼워 링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부력재(11)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3)는 상기 연결부재(12)의 내측으로 내경을 가로질러 연결부재(12)의 대각선단을 고정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인공해조(20)는 자연의 해조모양을 본 딴 형태로 제작되고, 해수의 흐름에 따라 움직임이 자유로운 재질로 되어 수중에서 어류의 유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공해조(20)는 상기 부력재(11)와 연결부재(12) 및 지지부재(13)에 다수개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앵커(40)는 상기 부구체(10)의 하부에 연결로우프(30)로 연결설치되어 해저바닥에 안착됨으로써 부구체(10)를 일정수심으로 부양고정시키는 추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앵커(40)는 중앙에 오목홈(41)이 형성되고 외벽에 복수개의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어초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 밖에도 상기 앵커(40)는 내부 중앙이 관통된 형태등 어류에게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구체(10)를 연결로우프(30)로 이어 수심에 따라 어종을 달리하여 집어할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부어초를 소정의 간격으로 수중에 배치함으로써 일단의 부어초군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어초에 의하면, 회류성 어류의 집어효과가 커 은신처 및 휴식장, 산란장으로 활용가치가 높고, 각종 미생물의 서식이 증가하여 어류의 육성장과 서식장으로도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해저바닥에 서식하는 어류에게도 어초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각은 합성수지재로서 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복수개의 부력재(11)를 그 상하단에서 연결부재(12)로 관통고정시켜 폐곡형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부구체(10)와;
    상기 부구체(10)에 해조식물과 유사한 형상으로 식모된 복수개의 인공해조(20)와;
    상기 부구체(10)의 하부에 연결로우프(30)로 연결되어 부구체(10)를 해저바닥에 대하여 일정수심으로 부양고정하는 앵커(40);로 이루어진 부어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에는 그 연결부재(12)의 내경을 가로질러 복수개의 지지부재(13)가 고정설치되어 연결부재(12)를 일정 형태로 유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어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40)는 중앙에 오목홈(41)이 형성되고 외벽()에 복수개의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어초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어초.
KR1020000051510A 2000-09-01 2000-09-01 부어초 KR10035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10A KR100353083B1 (ko) 2000-09-01 2000-09-01 부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10A KR100353083B1 (ko) 2000-09-01 2000-09-01 부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272A true KR20020018272A (ko) 2002-03-08
KR100353083B1 KR100353083B1 (ko) 2002-09-18

Family

ID=1968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510A KR100353083B1 (ko) 2000-09-01 2000-09-01 부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0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8791A (zh) * 2014-12-29 2015-04-08 浙江海洋学院 一种多水层增殖鱼礁
CN107912348A (zh) * 2017-11-15 2018-04-17 浙江海洋大学 一种固定浮球式浮鱼礁
GB2581979A (en) * 2019-03-05 2020-09-09 Welch Marti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95B1 (ko) * 2007-02-07 2008-06-25 주식회사 코아마 수중부자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초 및 그 조성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8791A (zh) * 2014-12-29 2015-04-08 浙江海洋学院 一种多水层增殖鱼礁
CN107912348A (zh) * 2017-11-15 2018-04-17 浙江海洋大学 一种固定浮球式浮鱼礁
CN107912348B (zh) * 2017-11-15 2020-06-16 浙江海洋大学 一种固定浮球式浮鱼礁
GB2581979A (en) * 2019-03-05 2020-09-09 Welch Marti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GB2581979B (en) * 2019-03-05 2021-12-15 Welch Marti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3083B1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121B1 (ko) 바다의 양어장
KR200485957Y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KR200477010Y1 (ko) 해삼 등의 어패류 및 해조류용 인공어초
KR200399819Y1 (ko) 인공 해조류를 이용한 해중림초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KR20150143001A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CN112772476A (zh) 一种红树林种植耦合中华乌塘鳢养殖的海洋生态系统
KR100353083B1 (ko) 부어초
KR102030965B1 (ko) 해삼의 유집과 중간육성 및 어패류 산란조성을 위한 수중복합 양식장치
KR102157038B1 (ko) 친환경 높이조절형 김양식 장치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KR100424135B1 (ko) 다기능성 어초
CN211353533U (zh) 一种供鸟类栖息的水上浮岛装置
CN209732302U (zh) 一种红树林湿地的螃蟹幼苗养殖装置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JP2002000113A (ja) 海中藻場造成用構造物
KR200405469Y1 (ko) 연안해역의 조장 목장 형성을 위한 어소ㆍ어초 블록
KR100374747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LU103092B1 (en) Lantern-shaped foldable sepia esculenta spawning reef
CN220044587U (zh) 稻草捆绑式斜立竹制鱼礁
CN218278271U (zh) 一种吸引野生鸟类栖息的湿地生态边坡
KR200260107Y1 (ko) 어패류 및 해조류 양식용 어초
EP3912463A1 (en) Underwater device for submersible artificial fish habitat and use thereof
KR101981486B1 (ko) 전복 해상가두리 중간 육성용 기능성 쉘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