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747B1 -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747B1
KR100374747B1 KR10-2000-0026309A KR20000026309A KR100374747B1 KR 100374747 B1 KR100374747 B1 KR 100374747B1 KR 20000026309 A KR20000026309 A KR 20000026309A KR 100374747 B1 KR100374747 B1 KR 100374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media
water
artificial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001A (ko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최원영 filed Critical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7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수역에서 생물 자원을 보호.육성하기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중심로프(1)에 가느다란 화학 섬유를 방사형 또는 섬모형으로 직조하여서된 로프형 메디아(2)와; 상기 로프형 메디아(2)를 로프(3)로 격자 교차점마다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간격의 격자형으로 파이프관을 서로 통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도록하고 격자 교차점에 일정 간격으로 공기 배출관(4a)을 상부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음 하부쪽에 기초내부의 침전물 배출관(4b)을 설치하며 일측외부에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기 유입관(4c)과 호스(4d)를 설치하는 한편, 사변의 가장자리에는 침추(6)를 로프(7)로 고정시키거나 앙카를 별도 설치하여 물속에 가라 앉게한 하부 기초(4)와;
상기 로프형 메디아(2)를 부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프형 메디아의 상단에 부력통(5)을 연결함을 특징으로하는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로서, 상기의 인공수초를 설치하여 메디아에 많은 미생물이 서식하도록하고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이 미생물들이 유기물을 분해하며 또한 동물 플랑크톤과 미소동물이 어류의 포식으로부터 도피 가능토록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조류를 섭식하여 번식함으로서 부영양화 발생을 방지하여 수질을 개선되도록하는 수질정화방법인데 이것은 첫째, 많은 미생물이 번식하고 이들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수질이 정화되고, 둘째, 동물 플랑크톤이 천적 어류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므로 번식하게 되고 조류를 섭식하여 부영양화가 억제되며, 셋째, 생산력이 높은 생태 공간이 조성되어 먹이 연쇄에 의해 오염 물질이 제거되고, 넷째, 부착 조류가 증식되어 어류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산소를 발생시키며, 다섯째, 포식어류에게 먹이를 급습할 수 있는 에지(edge)를 제공하고 햇볕을 막아 그늘을 제공하고, 여섯째, 사체 및 배설물로 바닥에 영양물질이 공급되어져서 생태계가 유지되며, 일곱째, 각종 어류의 산란 장소가 됨과 동시에 저서동물들이 포식어로 부터 보호를 받고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an artificial water grass of lope type for bringing up a bio resources rearing and that is used to purify method of the quality of water}
본발명은 수역에서 생물 자원을 보호.육성하기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영화된 수체에 인공수초를 설치하여 수중생물에게 서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건전한 수중 생태계를 복원시켜 생물 자원을 육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체된 수역에서의 부영양화는 질소,인등의 영양물질이 풍부할 때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인이 제한 요소가 된다.
수계에 유입된 인은 용해성 무기 인산염이나 유기인으로 존재하며 수중의 식물 플랑크톤인 조류나 수생식물,박테리아는 이들을 동화하여 핵산을 합성하여 생물학적 인으로 변환시킨다.
조류나 박테리아에 의한 인의 흡수 섭취는 매우 빨리 진행되어 수분내에 세포로 흡수된다.
한편, 동물 플랑크톤은 조류를 먹이로 하므로 부영양화된 수체에 많은 수의 동물 플랑크톤이 존재하면 조류는 동물 플랑크톤의 섭식으로 줄어들어 부영양화 현상은 억제된다.
그러나 부영양화된 자연 수역에서는 동물 플랑크톤이 각종 어류에게 포식되어 서식 밀도가 낮아져 그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게 된다.
수역에는 다양한 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상호경쟁, 공생 및 먹이 연쇄에 의해 생태계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환경이 바뀌면 종간의 경쟁이 영양을 받으며 환경에 유리한 종은 번식하고 불리한 종은 쇄락의 길을 걷게 된다.
수중 생태계에서 중요한 1차 생산자는 수중식물과 식물 플랑크톤이다.
이들은 상호 경쟁자의 관계에 있으며 특히 부영양화된 수역에서는 빛의 경쟁으로 수중식물이 악영양을 받게된다.
수중 생태계에서 수중식물은 생산자의 역할과 함께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수생식물들은 다양한 형태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단독군락 또는 혼합하여 서식하므로 수중의 수심, 경사도, 장애물등 자연 지형과 어울려 매우 다양한 환경을 조성하여 수중의 동물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수초지역 등에 서식하게 된다.
미생물, 미소동물, 어류등은 수중식물을 근거지로 번식과 먹이 섭취등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수초가 있는 지역은 높은 생산력과 다양한 종이 서식하는 환경이 된다.
낮은 영양상태의 호수는 물이 깨끗하고 식물 플랑크톤과 부착조류가 거의 없으며 빛은 깊은 곳까지 투과하고 물밑에는 수중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무척주 동물과 어류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영양물질이 풍부해지면 1차 생산이 증가하게 되며 초기에는 수중식물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유근 수중식물의 생산이 감소하게 된다.
수중식물에 있어서 영양물질의 증가에 대한 영향은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며 식물 밀도와 함께 키가 커지는 것이다.
이것으로 햇빛에 대한 경쟁을 심하시키고 개개의 식물줄기가 약해지게 되며 조류 생산량이 가속되고 이에따라 조류 사체가 침전되어 저질토에 유기물량이 많아지며 식물 줄기에 부착하여 성장하는 조류의 증식이 촉진된다.
또한 증가된 질소가 후막 조직의 감소와 줄기 강도를 약화시킨다.
이러한 결과로 식물 줄기는 무게에 비하여 약해져서 파도등의 물리적 힘에 안정성을 잃게되어 쓰러지게 된다.
이와같은 부영양화가 계속 진행됨에 따라서 침수 식물은 부착 조류및 부유성 조류와의 빛에 대한 경쟁으로 성장이 억제된다.
낮은 광도와 높은 용해물 농도에 적응을 못해 경쟁에 견디기 어려운 종은 사라지고 따라서 종의 다양성이 감소하며 종국에는 수중식물이 사라지게 된다.
이와같이 수중식물의 상태 변화는 어류 군집에 영양을 미친다.
식물 플랑크톤(조류)을 먹고사는 동물 플랑크톤과 동물 플랑크톤을 먹고사는 어류는 모두 숨고 서식할 수 있는 수중식물 군집은 필요로 한다.
따라서 수중식물이 사라지면 수중 생태계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동물 플랑크톤이 자신들을 포식하는 피라미,살치,끄리,빙어,잉어 등의 포식어류와 배스,브루길스 치어들로 부터 피하여 숨을 수 있는 장소가 없어지므로 이들에게 잡아 먹혀서 동물 플랑크톤의 서식 밀도가 낮아진다.
또한 동물 플랑크톤을 포식하는 물고기들을 잡아먹는 블루길스,배스,창고기 등의 포식어류가 숨어서 기다리며 먹이를 구하는 장소가 없어지고 번식한 조류로 인해 광투과성이 나빠지고 번식한 붕어, 도미 등이 바닥을 휘져어 투명도가 나빠져 먹이 획득이 어려워져 서식이 곤란해진다.
그 대신 동물 플랑크톤을 포식하는 잉어,빙어등이 우점하게 되어 동물 플랑크톤을 포식하므로 식물 플랑크톤의 포식압이 없어져서 대량으로 번식하여 부영양화를 촉진하게 된다.
또한 유근 식물이 사라지면 호수 바닥의 진흙 지역이 넓어지고 저서 생물을 먹고사는 잉어 붕어 도미류가 증가하여 이들이 진흙 바닥을 휘저어 투명도가 악화되어 햇빛 투과가 나빠지며 침전된 영양물질이 부상하여 조류가 재이용하여 번식하므로 수중식물은 더욱 불리한 환경이 된다.
또한 부영양화로 인한 조류의 대량 번식은 유기물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들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분해자인 미생물과 산소가 필요하게 된다.
유기물의 분해는 1차 분해자인 박테리아 등이 담당하며 이들은 수중에 부유상태로 존재하므로 서식 밀도가 낮다.
따라서 부영양화된 수체에서는 주간에는 조류의 광합성 작용으로 수표면 부근에 산소가 많이 있으나 분해자인 미생물수가 적어서 유기물 분해가 늦어지며 야간에는 조류와 미생물들의 호흡으로 산소가 부족하게된다.
조류는 사멸한 후 바닥에 침전하고 이들이 분해되면서 많은 산소를 소모하므로 바닥은 혐기성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산소의 부족은 어류 및 저서 생물 모두에게 악영양을 미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연수초는 동절기에는 생육이 불가하며 사멸시 분해하면서 산소를 소모하는 오염원이 되며 미역, 다시마등 바다의 해초는 수온이 상승하는 하절기에 사멸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부영양화된 수역에서 생태학적으로 수질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조류를 섭식하는 동물 플랑크톤을 포식어류로부터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또한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기 위한 산소의 공급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동물 플랑크톤을 포식어류로부터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 수초가 필요하나 국내외적으로 이에 적합한 방법이 없는 상태이며 다만 한국 해양연구소에서 바다 목장화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한 인공해초는 유연성 있고 가벼운 포리프로필렌 합성수지재로 깊이 2m, 폭 13㎜, 두께 1.3㎜의 플라스틱 벨트를 만들고 이것을 반으로 접어서 10개 단위로 옆으로 붙여서 결속 클립에 끼우고 이들 다수를 1m ×2m의 철망속에 부착시켜 해저에 설치하여 해초의 착생 매체, 치어의 은신처 등으로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인공어초는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져 공극이 없으므로 비표면적이 적어서 미생물 서식 공간이 적고 또한 플랑크톤의 도피 공간이 판자체에는 없어서 수질 정화 효율이 적은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가벼운 소재로 만들었으므로 부력은 있으나 해조등이 착색시에는 가라않게 되고 플라스틱판의 부착과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미국에서 개발된 Aquamats(미.MERIDIAN사)는 주로 양식장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부직포와 스폰지를 붙인 판형태의 가벼운 섬유 소재를 한쪽에 모래 주머니를 만들어 모래를 채우고 나머지 부분을 좁고 길게 여러 조각으로 잘라서 수중에 설치하여 미생물이나 부착 조류가 부착토록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것은 공극이 있고 비표면적은 다소 커서 미생물들은 서식할 수 있으나 수초 자체에는 동물 플랑크톤이 숨을 수 있는 공간이 없고 또한 수초가 일렬로 붙어 있으므로 수초 단위 면적당 수체와의 접촉 공간이 적어서 수공간 활용도가 적고 이로 인하여 수질 정화 효율이 적으며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대량 설치시에는 공간 구성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바람직한 생태계의 육성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염된 정체 수역에 비표면적이 크고 메디아에 내부공간과 사이공간이 있는 인공수초를 설치함으로서 자연 수초의 역할을 하며 건전한 수중 생태계를 복원하고 동시에 많은 미생물의 서식 공간을 제공하고 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 분해가 활발히 이루어져 수질을 정화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심로프에 가느다란 화학 섬유를 방사형 또는 섬모형으로 직조하여서된 로프형 메디아를 공기가 통하는 통로가 되어 공기 배출구가 있는 격자상 하부기초의 격자 교차점마다 고정시켜 물속에 가라앉히고 외부에서 파이프로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로프형 메디아의 상단에 부력통을 연결하여 부유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그 목적은 달성된다.
도1은 본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본발명에 따른 인공수초를 수계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가" 부분을 발췌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중심로프 2: 로프형 메디아
3:7: 로프 4: 하부기초
4a: 공기 배출관 4b: 침전물 배출관
4c: 공기 유입관 4d: 공기 유입호스
5: 부력통 6: 침추
본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로프(1)에 가느다란 화학 섬유를 방사형 또는 섬모형으로 직조하여서된 로프형 메디아(2)와;
상기 로프형 메디아(2)를 로프(3)로 격자 교차점마다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간격의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하부 기초(4)와;
상기 로프형 메디아(2)를 부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프형 메디아의 상단에 부력통(5)을 연결한 구성이다.
상기 격자상 하부기초(4)는 수체의 규모,형상,생태적 특성,수질특성,메디아의 특성 및 제작성, 유지 관리등을 고려하여 기초대와 격자의 크기를 결정하며 부식성이 없는 강재 또는 합성 수지재등으로 만들되 자중으로 부력에 대응토록하며 중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추가로 사변의 가장자리에는 침추(6)를 로프(7)로 고정시키거나 앙카를 별도 설치한다.
기초대의 내부에는 통로가 형성되어 공기가 소통하도록하고 상부쪽 교차점 또는 변에 공기 배출관(4a)을 설치하고 하부쪽에 기초 내부의 침전물 배출관(4b)을 설치한다.
공기 배출관(4a)은 기초대의 크기,산소 요구량 등을 고려하여 설치 위치를 선정하며 상부로 돌출되도록하고 배출구멍을 통로보다 좁도록하여 하상 침전물의 유입과 막힘을 방지한다.
또한 기초대에는 공기유입관(4c)을 달고 호스(4d) 등으로 외부의 송풍기 또는 콤프레샤에 연결하여 공기를 공급받는다.
송풍기에서 발생한 공기는 헤더(header)관으로 보내지고 이 헤더관에서 여러개의 메디아 기초대에 각각 공급된다.
만약 공기 배출 구멍이 막혔을 때에는 공기를 한쪽으로 집중시켜 큰 압력으로 막힌 구멍을 뚫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에서 로프형 메디아(2)는 부식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가볍고 유연하며 비표면적이 크고 공극률이 커서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부유상태로 유동하면서 많은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으며 크고 작은 공간에서 동물 플랑크톤, 미소동물 및 어류등이 서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로프형 메디아로 형성된 수초에는 메디아 자체 공간과 메디아 사이의공간이 형성되는데 메디아 자체의 공간에는 박테리아,곰팡이등의 미생물과 운동성이 적은 미소동물이 메디아에 부착 상태로 서식하며 운동성이 큰 동물 플랑크톤, 미소동물들은 자체 서식 공간과 사이 서식 공간을 넘나들며 서식하게 된다
또한 로프형 메디아를 검은색 또는 녹색으로 만들어서 햇볕을 흡수하여 수온이 상승되고 어류의 보호색이 되며 메디아가 자외선으로부터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인공수초는 유기물 제거가 필요한 곳, 동물플랑크톤의 육성이 필요한 곳, 어류의 증식이 필요한 곳 또는 이들을 모두 통제하여 건강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곳에 설치하면 좋다.
자연수초는 계절에 따라 생육,번식,사멸을 반복하며 생육장소는 햇볕이 드는 지역에서 자란다.
그러나 본발명의 인공수초는 계절과 수심에 관계없이 필요한 곳에 설치할 수 있으나 자연수초의 기능을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인공수초의 설치대상지역은 수변부로서 수심이 낮고 경사가 완만하며 정체된 수역으로서 조류 발생이 왕성한 곳이 좋다.
기존의 수초나 암초지역등 수중 장애물과 연계 설치하여 다양한 환경이 조성되도록한다.
어류의 은폐물과 이동 통로가 되도록 선형으로 설치하며 낮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연결 설치하여 어류의 도피가 가능토록한다.
흐름이 있고 부유물질이 있으며 유기물질 제거가 필요한 수역, 보, 침전지 등 하천의 정체 수역, 바다에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인공수초를 수계에 설치하면 첫째, 많은 미생물이 번식하고 이들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수질이 정화되고, 둘째, 동물 플랑크톤이 천적 어류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므로 번식하게 되고 조류를 섭식하여 부영양화가 억제되며, 셋째, 생산력이 높은 생태 공간이 조성되어 먹이 연쇄에 의해 오염 물질이 제거되고, 넷째, 부착 조류가 증식되어 어류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산소를 발생시키며, 다섯째, 포식어류에게 먹이를 급습할 수 있는 에지(edge)를 제공하고 햇볕을 막아 그늘을 제공하고, 여섯째, 사체 및 배설물로 바닥에 영양물질이 공급되어져서 생태계가 유지되며, 일곱째, 각종 어류의 산란 장소가 됨과 동시에 저서동물들이 포식어로 부터 보호를 받고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중심로프(1)에 가느다란 화학 섬유를 방사형 또는 섬모형으로 직조하여서된 로프형 메디아(2)와;
    상기 로프형 메디아(2)를 로프(3)로 격자 교차점마다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간격의 격자형으로 파이프관을 서로 통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도록하고 격자 교차점에 일정 간격으로 공기 배출관(4a)을 상부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음 하부쪽에 기초내부의 침전물 배출관(4b)을 설치하며 일측외부에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기 유입관(4c)과 호스(4d)를 설치하는 한편, 사변의 가장자리에는 침추(6)를 로프(7)로 고정시키거나 앙카를 별도 설치하여 물속에 가라 앉게한 하부 기초(4)와;
    상기 로프형 메디아(2)를 부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프형 메디아의 상단에 부력통(5)을 연결함을 특징으로하는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2. 삭제
  3. 삭제
  4. 비표면적이 큰 로프형 메디아로 구성된 청구항 1의 인공수초를 오염된 정체수역에 설치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매디아에 많은 미생물이 증식하여 수중의 유기물을 분해하고 메디아(2) 자체 공간과 메디아(2)와 메디아(2) 사이공간으로 동물 플랑크톤과 미소동물이 어류의 포식으로부터 도피 가능하도록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조류를 섭식하여 번식하게함으로서 부영양화 발생을 방지하여 수질이 개선되도록하는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태의 하부기초에 설치된 로프형 메디아(2)는 메디아(2) 자체에 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메디아(2)와 메디아(2)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게하여 이들 공간에 동물플랑크톤과 미소동물들이 서식하면서 질소, 인 등의 영양물질을 이용하여 번식하는 조류를 섭식하여 증식되게하고 이와같이 증식된 동물 플랑크톤과 미소동물들을 어류가 포식하여 어류가 증가되도록하는 먹이사슬을 형성시켜 생물자원을 육성되게함을 특징으로하는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KR10-2000-0026309A 2000-05-17 2000-05-17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KR100374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09A KR100374747B1 (ko) 2000-05-17 2000-05-17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09A KR100374747B1 (ko) 2000-05-17 2000-05-17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049A Division KR100374750B1 (ko) 2002-08-28 2002-08-28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망사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KR10-2002-0051047A Division KR100374749B1 (ko) 2002-08-28 2002-08-28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벨트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01A KR20000054001A (ko) 2000-09-05
KR100374747B1 true KR100374747B1 (ko) 2003-03-06

Family

ID=1966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309A KR100374747B1 (ko) 2000-05-17 2000-05-17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02B1 (ko) 2006-06-01 2006-08-29 주식회사 동호 생태환경에 적합한 하천의 기포발생블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4083A (zh) * 2019-09-25 2019-12-24 南京市水产科学研究所 用于池塘工业化养殖系统的浮床结构及净化区布置方法
CN112110542A (zh) * 2020-08-31 2020-12-22 北京东方风景智慧科技有限公司 人工水草安装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02B1 (ko) 2006-06-01 2006-08-29 주식회사 동호 생태환경에 적합한 하천의 기포발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01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232B2 (ja) 沈水植物用人工浮島を用いた沈水植物群の形成方法
CN101411311B (zh) 松江鲈鱼苗种的生产方法
US6089191A (en) Marine habitat systems
JP2008271989A (ja) 沈水植物用人工浮島を用いた沈水植物群の形成方法
KR200195063Y1 (ko) 종묘부착형 인공해조초
KR200485957Y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KR100582210B1 (ko)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KR102030965B1 (ko) 해삼의 유집과 중간육성 및 어패류 산란조성을 위한 수중복합 양식장치
CN112358054A (zh) 一种利用“藻螺鱼”共生体系净化水质的生态礁石装置
JP3535103B2 (ja) 真珠養殖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0374747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KR100374748B1 (ko) 동물플랑크톤 육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CN214299505U (zh) 一种利用“藻螺鱼”共生体系净化水质的生态礁石装置
JP3836771B2 (ja) 池内生態系保全方法並びに同方法に用いる浮体構造及びその付属設備
KR100374750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망사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KR100374749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벨트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KR100371959B1 (ko) 수경 농업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부체 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방법
KR101968913B1 (ko) 해삼 혼합 양식방법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KR20200106672A (ko) 육상용 해삼 양식장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102315956B1 (ko)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