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588A -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588A
KR20020015588A KR1020000048739A KR20000048739A KR20020015588A KR 20020015588 A KR20020015588 A KR 20020015588A KR 1020000048739 A KR1020000048739 A KR 1020000048739A KR 20000048739 A KR20000048739 A KR 20000048739A KR 20020015588 A KR20020015588 A KR 20020015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416B1 (ko
Inventor
오세군
Original Assignee
오세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군 filed Critical 오세군
Priority to KR102000004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4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명일엽(선삼초), 홍화, 백지마, 백작, 백응변, 화분, 단삼, 감초로부터 얻은 특정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하여 함유하는 것으로서, 외관상의 피부 문제인 피부 흑화, 주근깨, 기미 등을 유발시키는 피부 색소인 멜라닌의 침착 억제 효과가 뛰어나 피부 미백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안정도(Stability)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Safety)이 우수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을 위해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함유할 뿐만 아니라, 멜라노사이트내에서의 멜라닌 색소의 배출을 각질의 제거와 함께 촉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을 통해 피부 미백을 위한 다각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명일엽, 홍화, 단삼, 화분, 백지마, 백작, 백응변, 감초를 건조 약재를 기준하여 일정 함량비로 혼합하여 에탄올 같은 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일정 함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백 화장료는 미백 임상 실험, 첩포실험 및 관능평가를 통한 효과 측정을 통하여 볼 때, 종래의 화장료보다 탁월한 미백 효과 및 안정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s of 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special herbal extracts}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명일엽(선삼초), 홍화, 백지마, 백작, 백응변, 화분, 단삼, 감초로부터 얻은 특정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하여 함유하는 것으로서, 외관상의 피부 문제인 피부 흑화, 주근깨, 기미 등을 유발시키는 피부 색소인 멜라닌의 침착 억제 효과가 뛰어나 피부 미백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안정도(Stability)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Safety)이 우수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즉, 자외선이 조사되면 멜라닌형성 세포(멜라노사이트; melanocyte)내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형성이 증가되어 흑색의 멜라닌 색소가 생성되고 방출되어 표피세포에 분포함으로써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연적인 스크리닝(Screening)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자외선과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닌 생성 경로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특히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촉진되며 멜라닌 생성이 증가되어 결국은 피부가 검게 되어 자외선을 차단하게 된다.그러나 멜라닌 색소의 과다한 형성 및 침착은 피부의 흑화, 기미, 주근깨 등의 외관상의 문제를 유발한다. 이에 따라 이들의 피부 증상을 막기 위해 미백 화장료가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미백 화장료는 제품의 안정도가 좋지 못하고 이로 인해 피부미백 효과가 불명확하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종래의 미백 화장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백 효과가 급속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미백 화장료는 피부 미백을 위한 물질로서 주로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코직산 유도체,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알부틴(Arbutin), 그리고 박 추출물, 송이 추출물, 상지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등 일부의 식물추출물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스코르빈산과 코직산은 공기나 열, 빛에 매우 불안정하여 이를 소량 함유하는 화장료는 실온에서 수주일만 보관하면 갈변 현상이 일어나며 알부틴은 세포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피부 안전성이 불량한 것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 식물추출물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는 그 효능에 있어 한계가 있거나 상술한 문제점들이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피부 미백을 위해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함유할 뿐만 아니라, 멜라노사이트내에서의 멜라닌 색소의 배출을 각질의 제거와 함께 촉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을 통해 피부 미백을 위한 다각적인 기능을 발휘하면서사용성이 우수한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바,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을 위해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함유할 뿐만 아니라, 멜라노사이트내에서의 멜라닌 색소의 배출을 각질의 제거와 함께 촉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을 통해 피부 미백을 위한 다각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명일엽, 홍화, 단삼, 화분, 백지마, 백작, 백응변, 감초를 건조 약재를 기준하여 일정 함량비로 혼합하여 에탄올 같은 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일정 함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백 화장료와 관련하여 과거에는 멜라닌 색소의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 억제와 새로이 생성되는 멜라닌을 환원시킨다는 미백 메카니즘에 기본을 두고 있었으나, 본 발명은 안정성과 실효성을 지닌 미백 성분의 개발과 함께 멜라닌 생성과 제어에 관한 오랜 기간 동안의 메카니즘 연구의 결과에 따라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내에서의 티로시나아제 저해작용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의 억제,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 억제, 멜라닌 배출 촉진 등 미백 메카니즘의 문제를 다각적으로 다루도록 화장료 조성을 구성하였기에 보다 탁월한 미백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서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식물들에 대해 피부 미백과 연관된 알려진 사실을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명일엽은 일본 삼단 태평양상의 팔장도라는 섬에서 원래 자생하던 미나리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잎과 뿌리가 인삼과 비슷한 식물(학명; Angelica Utilis)이며, 일명 아시다바, 선삼초라고도 부른다. 이 명일엽에는 생체에 쉽게 대사 흡수되어 산소를 공급해 주고 세포 활성 작용을 강력하게 촉진시켜 주는 유기 게르마늄[(GeCH2CH2COOH)2O3]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으며 그외에 비타민B12, 각종 영양소가 고루 함유되어 있다. 백작(白芍)은 작약과의 다년초로 산지의 숲에서 나는데 마디가 있는 뿌리를 이용하며, 피부 소독작용이 강하여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주며 노화된 각질 제거에 효과적이며 얼굴 반점을 제거해 준다. 백지마(白脂麻)는 참깨로서 모공을 열어 노폐물과 피지를 배출하여 모공의 이완, 수축을 조절하여 잔주름을 없애고 얼굴의 반점을 제거하여 희게 한다. 백응변(白鷹便)은 흰 독수리의 배설물로서 노화 각질만을 선택적으로 벗겨내어 잔주름, 미백작용이 탁월하다. 또한 피부에 침착된 색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며, 피부를 부드럽게해 준다. 단삼(丹蔘)은 꿀풀과의 다년초로 산지에 나는 삼류(參類)로서 뭉쳐있는 피(울혈)를 완화하고 안색을 좋게 하며 피부를 희게하고 기미를 없애는 탁월한 약성을 가지고 있다. 감초(甘草)는 콩과의 다년생 약용 식물로서 그 중에는 여러 가지 유용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바, 그 대표적인 것은 트리테르펜계 사포닌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며, 세균이나 공팡이에 대해 생육저지 효과가 있으며, 항균성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홍화(紅花)는 잇꽃을 일컬으며 꽃과 씨를 사용하며 비타민류와 불포화 지방산을 풍부히 함유하고 있어 피부노화의 억제와 영양 공급에 탁월한 약성을 가지고 있다. 화분(花粉)은 현화 식물의 수꽃술의 약(葯)속에 있는 낟알 모양의 세포, 즉 꽃가루를 말하며, 각종 비타민류와 미네랄, 그리고 SOD를 함유하며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유해산소를 제거하여 피부노화 억제에 뛰어난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의 식물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식물들의 배합 중량비는 건조 약재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명일엽; 50∼100g, 백작; 25∼50g, 백지마; 25∼50g,
단삼; 25∼50g, 백응변; 25∼50g, 화분; 25∼50g,
감초; 10∼25g, 홍화; 10∼25g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들은 종래의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시키고 미세분말화한 후, 추출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추출 용매는 에탄올 등의 극성 용매 또는 그들과 정제수의 혼합 용액이며, 추출 방법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건조된 식물 분말에 5∼10배량의 상기 추출 용매를 가하여 1∼7일간 실온에서 침적 추출하거나 1기압하 섭씨 60∼120도에서 1∼5시간 가온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의 형태로 하는 경우, 피부 외용제 중의 식물 추출물의 배합량은 전체의 0.01∼10.0 중량%, 특히 0.05∼5.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上記)한 식물추출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미백 화장료에 사용되어온 아스코르빈산(비타민 씨), 레티놀, 코직산, 코직산유도체,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및 일부의 미백용 식물추출물과의 병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되,종래의 화장료 제형인 크림, 밀크로션, 유연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등 뿐만 아니라, 비누, 세안폼과 같은 세안료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들은 오래 전부터 동양에서는 민간 요법 또는 한방에서 사용해 오던 재료로서 피부 외용제로 사용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어서,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실시예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
건조 약재를 기준으로 명일엽을 분쇄한 것 100g, 백작을 분쇄한 것 50g, 백지마를 분쇄한 것 50g, 백응변을 분쇄한 것 50g, 단삼을 분쇄한 것 50g, 화분 50g, 홍화 및 감초를 분쇄한 것 각각 25g 등을 에탄올에 4,000㎖에 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발하여 335g의 농축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구체적인 처방예 1∼6을 통해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처방예 1> - 크림(Cream)
<처방예 2> - 유연화장수(Skin Toner)
<처방예 3> - 수렴 화장수(Astringent)
<처방예 4> - 밀크 로션(Milk Lotion)
<처방예 5> - 유액상 파운데이션(Liquid Foundation)
<처방예 6> - 비누(Soap)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임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1의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처방예1)과 종래 처방의 화장료 조성물(대조용)을 크림으로 각각 제조하여 제품의 안정도에 대해서는 관능평가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은 첩포시험으로, 그리고 미백 효과에 대해서는 주근깨, 기미, 검버섯, 잡티 등으로 검고 어두운 피부를 가진 여성 25세이상 50세까지 여성 50명을 실험 대상으로 상기 2가지 크림을 사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백 효과(Whitening Effect);
실험대상자의얼굴좌우를반쪽으로나누어 화장료 2가지를 한달간 매일 2차례 사용하여 사용 전·후 피부가 희어진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2. 피부 안전성(Safety);
실험대상자의 양쪽 팔 상박부 안쪽에 화장료 2가지를 1주일 동안 첩포로 각각 붙여 나타나는 반응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 제품의 안정도(Stability);
상기 화장료 2가지를 섭씨 영상 45도와 영하 10도에서 하루동안 한번씩 번갈아 가며 방치시키는 순환온도법(Cycling test)을 사용하여 내용물의 외관(색상)과 유화가 파괴되어 가는 싯점의 순환 횟수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 1> - 미백 효과 및 사용성 비교 평가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미백 화장료는 종래의 화장료보다 피부 미백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제품의 안정도 등 사용성도 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본 발명에 의한 식물추출물을 하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 탁월한 미백 효과 및 안정성을 가진다.

Claims (2)

  1.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명입엽, 백작, 백지마, 백응변, 단삼, 화분, 홍화 및 감초로부터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0.05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밀크 로션, 파운데이션, 비누, 세안홈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48739A 2000-08-22 2000-08-22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35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39A KR100357416B1 (ko) 2000-08-22 2000-08-22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39A KR100357416B1 (ko) 2000-08-22 2000-08-22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588A true KR20020015588A (ko) 2002-02-28
KR100357416B1 KR100357416B1 (ko) 2002-10-19

Family

ID=1968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739A KR100357416B1 (ko) 2000-08-22 2000-08-22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4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WO2005067885A1 (en) * 2004-01-15 2005-07-28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synergic whitening effect
KR100530669B1 (ko) * 2002-05-21 2005-11-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987460B1 (ko) * 2010-01-12 2010-10-12 두화전자통신(주) 랜턴 겸용 전기스탠드
CN104434756A (zh) * 2014-11-18 2015-03-25 安徽综艺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护肤面霜及其制备方法
CN105496898A (zh) * 2016-01-07 2016-04-20 湖州凯妍生物科技有限公司 植物复合美白剂及美白护理霜
KR20160137910A (ko) 2015-05-20 2016-12-02 주식회사 콧데 리퀴리티제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약학적, 화장품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보이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298B1 (ko) * 2001-02-22 2003-12-31 박정호 미나리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의 조성물
KR101220850B1 (ko) * 2009-04-14 2013-01-16 주식회사 한방명가 항산화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생약복합재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909A (ja) * 1984-08-20 1986-03-13 Ichimaru Fuarukosu Kk 植物生薬の水溶性抽出エキス含有美白化粧料
JPS61271210A (ja) * 1985-05-28 1986-12-01 Pola Chem Ind Inc 化粧料
JPS63270613A (ja) * 1987-04-30 1988-11-08 Okuno Shoji:Kk 化粧料組成物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930010023A (ko) * 1991-11-05 1993-06-21 한동근 명일엽 플라보노이드의 제조방법
KR0150271B1 (ko) * 1994-08-20 1998-10-15 한동근 화장료용 유용성분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함유된 키토산 마이크로 스피어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0279428A (ja) * 1997-04-01 1998-10-20 Nisshin Oil Mills Ltd:The 化粧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669B1 (ko) * 2002-05-21 2005-11-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WO2005067885A1 (en) * 2004-01-15 2005-07-28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synergic whitening effect
KR100987460B1 (ko) * 2010-01-12 2010-10-12 두화전자통신(주) 랜턴 겸용 전기스탠드
CN104434756A (zh) * 2014-11-18 2015-03-25 安徽综艺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护肤面霜及其制备方法
KR20160137910A (ko) 2015-05-20 2016-12-02 주식회사 콧데 리퀴리티제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약학적, 화장품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보이는 조성물
CN105496898A (zh) * 2016-01-07 2016-04-20 湖州凯妍生物科技有限公司 植物复合美白剂及美白护理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416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5199B2 (ja) 皮膚外用剤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CN104784507A (zh) 一种具有多重美容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641856B (zh) 抗衰老的中药组合物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357416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9381419A (zh) 包含银木犀提取物及钝齿铁线莲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US20100166683A1 (en)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357417B1 (ko)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5095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2999306A (zh) 一种美白祛斑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2017013746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30004499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20044267A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CN105362134A (zh) 一种含有柠檬提取物、洋甘菊提取物和甘草提取物的美白化妆品
KR100500642B1 (ko) 전호 추출물 또는 정력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KR102561150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