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448A - 이동국의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키고 접속 용량이 감소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의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키고 접속 용량이 감소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448A
KR20020013448A KR1020010047893A KR20010047893A KR20020013448A KR 20020013448 A KR20020013448 A KR 20020013448A KR 1020010047893 A KR1020010047893 A KR 1020010047893A KR 20010047893 A KR20010047893 A KR 20010047893A KR 20020013448 A KR20020013448 A KR 2002001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control
communication state
control bit
transm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837B1 (ko
Inventor
미즈구찌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2001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45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modifying TPC bits in special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control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와 이에 접속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를 포함한다.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는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의 품질 악화를 검출한다.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가 품질 악화를 검출하는 경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는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조절한다.

Description

이동국의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키고 접속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BATTERY CONSUMPTION OF MOBILE STATION AND PREVENTING CONNECTION CAPACITY FROM BEING REDUCED}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방향 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또는 업 링크) 송신 전력은 일반적으로 이동국들과 통신하는 기지국에서의 원하는 수신 품질을 유지하면서 이동국의 배터리 소비를 절감하고,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들간의 간섭을 제어하도록 제어된다. 특히, CDMA 시스템에서는 이동국들이 동시에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그러한 송신 전력 제어는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에 필수적이다. 공통 주파수 대역은 또한 CDMA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링되는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에서도 이용된다.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기지국에 제공된 일부 및 기지국들에 제공된 다른 부분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역방향 링크(또는 업 링크) 송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수신기를 구비한다. 수신기의 개수가 N(N은 자연수)인 경우, 기지국은 N개의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수신기가 이동국의 특정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역방향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기지국에서 수신기에 각각 접속된 신호 대 잡음비(SNR) 결정 회로를 포함한다. 각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는 거기에 접속된 수신기로부터 공급된 복조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복조된 신호의 노이즈는 열적 노이즈뿐만 아니라 간섭을 포함한다. 따라서, 간섭에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에, 신호 대 잡음비는 신호 대 간섭비(SIR)로도 불려진다.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 발생기는 SNR 결정 회로에 각각 접속된다.
각 TPC 비트 발생기는 거기에 접속된 SNR 결정 회로에 의해 결정되는 SNR에 응답하여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 신호를 생성한다. TPC 비트 신호는 SNR이 소정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대응하는 이동국에게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라고 요구하는데 이용된다. 반면에, TPC 비트 신호는 SNR이 소정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대응하는 이동국에게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라고 요구하는데 이용된다.
기지국은 대응하는 이동국에 대한 TPC 비트 신호 및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 링크) 정보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대응하는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대응하는 이동국이 대응하는 이동국에 대한 TPC 비트 신호와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 대응하는 이동국에 대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와 함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TPC 비트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각 이동국의 송신 전력은 기지국에서의 대응하는 SNR이 원하는 SNR보다 크게 하고, 송신 전력이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제어된다.
그러한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JP-A) 제8-325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CDMA 시스템내의 기지국과 통신한다. 또한, 공통 주파수 대역은 CDMA 시스템내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링되는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에서도 이용된다. 그러므로, 공통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이용하는 이동국의 증가는 CDMA 시스템에 이용된 송신 신호간의 간섭을 증가시킨다. 간섭이 증가되면,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대응하는 이동국에게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요구하는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생성한다. 그 결과,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다수의 이동국이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간섭이 억제되지 않고, 오히려 더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이동국은 기지국에서의 SNR을 개선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을 허비하게 된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이동국 수는 셀간의 간섭으로 인해 작아지게 된다. 환언하면, 이동국 시스템의 접속 용량이 셀들간의 간섭으로 인해 작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원하는 SNR이 기지국에서 얻어질 수 없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국의 쓸데없는 배터리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접속 시스템의 접속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모니터 회로를 포함한다. 통신 모니터 회로는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 유닛을 포함한다. 판단 유닛은 모니터 유닛에 접속되고, 모니터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지 유닛은 판단 유닛에 접속되고,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된 경우, 품질 악화를 외부 회로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한다.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는 각 수신기에 접속되고,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한다.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는 각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고,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한다. 기지국은 수신기에 접속되고,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는 통신 상태 모니터를 포함한다. 송신 전력 비트 조절 회로는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고,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가 품질 악화를 검출한 경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이용된다.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한다.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는 각 수신기에 접속되고,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한다.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는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고,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한다.
전송 전력 제어 시스템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를 포함한다. 송신 전력 비트 조절 회로는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송신 전력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고,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가 품질 악화를 검출한 경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기지국에 배치된 모니터 유닛으로,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기지국에서 모니터 유닛에 접속돤 판단 유닛으로, 모니터링 단계에서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서 판단 유닛에 접속된 통지 유닛으로부터,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경우 품질 악화를 외부 회로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고,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 및 각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고,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를 포함하고,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에 의해,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된 송신 전력 비트 조절 회로에 의해, 검출 단계에서 품질 악화가 검출된 경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도 1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4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4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상태 모니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4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9는 도 8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상태 모니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11은 도 10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상태 모니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상태 모니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14는 도 13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기지국
20-1 ∼ 20-N : 이동국
11-1 ∼ 11-N : 수신기
12-1 ∼ 12-N : 디코더
13-1 ∼ 13-N : SNR 결정 회로
14-1 ∼ 14-N : TPC 발생기
15-1 ∼ 15-N : 멀티플렉서
16 : 송신기
41 : 통신 상태 모니터
42 : TPC 비트 조절 회로
21-1 ∼ 21-n : 수신기
22-1 ∼ 22-n : 디코더
23-1 ∼ 23-n : 비트 디코더
24-1 ∼ 24-n : 송신 전력 결정 회로
25-1 ∼ 25-n : 송신기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CDMA 시스템을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국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성을 위해 기지국들 중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에서, 기지국(10)은 수신기(11-1 내지 11-N)를 포함한다. 디코더(12-1 내지 12-N)는 수신기(11-1 내지 11-N)에 각각 접속된다. 신호 대 잡음비(SNR) 결정 회로(13-1 내지 13-N)는 수신기(11-1 내지 11-N)에 각각 접속된다.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는 SNR 결정 회로(13-1 내지 13-N)에 접속된다. 멀티플렉서(15-1 내지 15-N)는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에 각각 접속된다. 송신기(16)는 모든 멀티플렉서(15-1 내지 15-N)에 접속된다. SNR 결정 회로(13-1 내지 13-N) 및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의 조합은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기지국은 자신에 의해 커버링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는 N(N은 자연수)개의 이동국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이것은 수신기(11-1 내지 11-N)의 개수가 N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N개의 이동국들이 동시에 기지국과 통신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동국은 동일한 구조와 동작을 가지고 있으므로, n번째(1≤n≤N) 이동국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n번째 이동국(20-n)은 수신기(21-n)를 포함한다. 디코더(22-n)는수신기(21-n)에 접속된다.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 디코더(23-n)도 또한 수신기(21-n)에 접속된다. 송신 전력 결정 회로(24-n)는 비트 디코더(23-n)에 접속된다. 송신기(25-n)는 송신 전력 결정 회로(24-n)에 접속된다. TPC 비트 디코더(23-n) 및 송신 전력 결정 회로(24-n)의 조합이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다른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지국에서, 수신기(11-n)는 이동국(20-n)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또는 업 링크) 송신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201). 수신기(11-n)는 복조된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디코더(12-n) 및 SNR 결정 회로(13-n) 양쪽에 인가한다.
디코더(12-n)는 복조된 역방향 송신 신호를 역방향 링크 정보 신호로서 디코딩된 역방향 링크 신호로 디코딩한다. 디코딩된 역방향 링크 신호는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코딩된 역방향 링크 신호에 대한 처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NR 결정 회로(13-n)는 복조된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결정하고, 결정된 SNR을 나타내는 SNR 신호를 TPC 비트 생성기(14-n)에 인가한다(단계 S202)
TPC 비트 생성기(14-n)는 SNR 결정 회로(13-n)에 의해 결정된 결정 SNR과 거기에 기억된 원하는 SNR간의 차이를 구하여 송신 전력(TPC) 비트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203). 결정된 SNR이 원하는 SNR보다 작은 경우, TPC 비트 발생기(14-n)는그 차이에 기초하여 TPC 비트 신호로서 제1 TPC 비트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국(20-n)에게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요구한다. 반대로, 결정된 SNR이 원하는 SNR보다 큰 경우(또는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TPC 비트 발생기(14-n)는 그 차이에 기초하여 TPC 비트 신호로서 제2 TPC 비트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국(20-n)에게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요구한다. TPC 비트 발생기(14-n)는 TPC 비트 신호를 멀티플렉서(15-n)에 공급한다.
멀티플렉서(15-n)는 TPC 비트 신호를 이동국(20-n)에 대한 인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와 멀티플렉싱하여 멀티플렉싱된 신호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에러 정정 코드가 인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에 이용되어 송신 라인에 유발된 비트 에러를 정정한다. 멀티플렉서(15-n)는 멀티플렉싱된 신호를 송신기(16)에 공급한다(단계 S204).
송신기(16)는 멀티플렉서(15)로부터 공급된 멀티플렉싱된 신호와 나머지 멀티플렉서(15-1 내지 15-N)으로부터 공급된 다른 멀티플렉싱된 신호를 코드 분할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멀티플렉싱하여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 링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기(16)는 순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이동국(20-1 내지 20-N)으로 송신한다.
이동국(20-n)은 순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국(20-n)에서, 수신기(21-n)는 순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멀티플렉서(15-n)에 의해 생성된 멀티플렉싱된 신호를 추출한다(단계 S301). 이동국(20-n)은 추출된 멀티플렉싱된 신호를 디코더(22-n) 및 TPC 디코더(23-n) 양쪽에 공급한다.
디코더(22-n)는 추출된 멀티플렉싱된 신호로부터 인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를 추출하여 인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를 디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로 디코딩한다(단계 S302). 디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에 대해 에러 검출 및 정정이 수행된다. 디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으므로, 디코딩된 순방향 링크 정보 신호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TPC 비트 디코더(23-n)는 추출된 멀티플렉싱된 신호로부터 TPC 비트 신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TPC 비트 신호를 디코딩된 TPC 비트 신호로 디코딩한다(단계 S303). TPC 비트 디코더(23-n)는 디코딩된 TPC 비트 신호를 송신 전력 결정 회로(24)로 공급한다.
송신 전력 결정 회로(24)는 디코딩된 TPC 비트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기(25)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단계 S304). 그러나, 송신 전력 결정 회로(24)는 소정 최대 전력 이하로 송신 전력을 제한한다.
그리고나서, 송신기(25)는 송신 전력 결정 회로(24)에 의해 결정된 결정된 송신 전력으로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05).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의 개수가 증가하고, 이동국의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간의 간섭이 증가되는 경우, 종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이동국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셀들간의 간섭이 증가하는 경우, 기지국은 또한 이동국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는 종종 기지국에서의 복조된 신호의 SNR을 더욱 악화시킨다.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복조된 신호의 SNR을 개선시켰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우에 이동국이 최대 전력으로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송신하므로 배터리를 허비하게 된다. 또한, 이동국이 최대 전력으로 역방향 링크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는 것은 인접하는 셀들에 대한 간섭을 증가시키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 용량을 작게 만든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냈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기지국(10)내에 통신 상태 모니터(41)와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42)를 포함한다.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SNR 결정 회로(13-1 내지 13-N)에 접속되고, TPC 비트 조절 회로(42)는 통신 상태 모니터(41),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 및 멀티플렉서(15-1 내지 15-N)에 접속된다.
기지국(10)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따라 동작한다.
도 5의 단계 S501에서,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SNR 비트 결정 회로(13-1 내지 13-N)으로부터 공급된 SNR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10)과 이동국(20-1 내지 20-N)간의 통신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에 소정 상태보다 더 나쁜 상태를 유지하는 지 여부를 결정한다. 통신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에 소정 상태보다 더 나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간섭으로 인해 많은 검출된 SNR이 원하는 SNR보다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검출된 SNR은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에 의해 개선될 수 없다.통신 상태가 소정 시간동안 소정 상태보다 나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기지국(10)과 이동국(20-1 내지 20-N)간의 통신의 품질 악화를 TPC 비트 조절 회로(42)에 통지한다.
이어서, TPC 비트 조절 회로(42)는, 통신 상태 모니터(41)로부터 공급된 품질 악화 통지에 따라, TPC 발생기(14-1 내지 14-N)로부터 공급된 TPC 비트 신호를 조절한다(단계 S502). TPC 비트 조절 회로(42)는 TPC 발생기(14-1 내지 14-N)에 의해 생성된 TPC 비트 신호 대신에 조절된 TPC 비트 신호를 멀티플렉서(15-1 내지 15-N)에 공급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통신 상태 모니터(41)의 동작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기지국(10)과 이동국(20-1 내지 20-N)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를 이하와 같이 모니터링한다.
우선,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SNR 결정 회로(13-1 내지 13-N)로부터 공급된 SNR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당 결정된 SNR의 평균을 개별적으로 구한다(단계 S601).
다음으로,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각 평균과, 원하는 SNR보다 상당히 낮은 소정 임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소정 임계값보다 낮은 평균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카운팅된 숫자와 소정 숫자를 비교한다(단계 S602).
카운팅된 숫자가 소정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더 나쁜 것으로 판단하고, TPC 비트 조절 회로(42)에품질 악화를 통지한다(단계 S603). 반면에, 카운팅된 숫자가 소정 숫자보다 더 작은 경우에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그 후, 통신 상태 모니터(41)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도 6에 도시된 동작을 반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C 비트 조절 회로(42)가 통신 상태 모니터로부터 품질 악화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단계 S701),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으로부터 공급된 TPC 비트 신호의 제1 TPC 비트 신호를 제2 TPC 비트 신호로 소정 횟수만큼 변경시킨다(단계 S702). 이 이벤트에서, 제2 TPC 비트 신호는 이동국으로 하여금 측정된 SNR과 원하는 SNR간의 차이에 관계없이 고정된 값만큼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요구한다.
제2 TPC 비트 신호가 대응하는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요구하므로, 간섭이 억제된다. 그 결과, 이동국이 배터리를 허비하는 것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 용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인접하는 각 셀에서, 기지국(10)에 의해 커버링되는 셀로부터의 간섭이 감소되므로,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의 개수가 더 많아지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서,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 및 송신 전력 조절 회로(42)에 접속된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를 포함한다.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9의 단계 S901에서,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는 통신 상태로서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에 의해 생성되는 TPC 비트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는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에 대응하는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구비한다. 각 타이머는 대응하는 TPC 비트 발생기가 제1 TPC 비트 신호를 TPC 비트 신호로서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횟수를 카운팅한다.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는 각각이 소정 횟수보다 크거나 같은 횟수를 카운팅하는 타이머들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는 단계 S902에서 타이머의 카운팅된 숫자와 소정 숫자를 비교한다.
카운팅된 숫자가 소정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는 단계 S903에서 송신 전력 조절 회로(42)에 품질 악화를 통지한다. 한편, 카운팅된 숫자가 소정 숫자보다 낮은 경우,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81)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0에서,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수신기(11-1 내지 11-N) 및 송신 전력 조절 회로(42)에 접속되는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를 포함한다.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수신기(11-1 내지 11-N)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상태로서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간섭의 전체 전력을 모니터링한다(단계 S1101).
다음에,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전체 전력과 소정값을 비교한다(단계 S1102).
전체 전력이 소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송신 전력 조절 회로(42)에 품질 악화를 통지한다(단계 S1103). 반면에, 전체 전력이 소정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송신 전력 상태 모니터(101)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전송 전력 제어 시스템은 도 10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과는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수신기(11-1 내지 11-N)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간섭의 전체 전력뿐만 아니라 기지국(10)과 통신하는 이동국의 개수도 결정한다(단계 S1201). 그리고 나서,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통신 상태로서 이동국의 개수에 대한 전체 전력의 비를 모니터링한다.
다음으로,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이동국의 개수에 대한 전체 전력의 비의 변동 레이트와 소정 임계값을 비교한다(단계 S1202).
변동 레이트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송신 전력 조절 회로(42)에 품질 악화를 통지한다(단계 S1203). 반면에, 변동 레이트가 소정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송신 전력 제어 상태 모니터(101)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서,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 멀티플렉서(15-1 내지 15-N), 및 통신 상태 모니터(41, 또는 81 또는 101)에 접속된 TPC 비트 조절 회로(131)을 포함한다.
TPC 비트 조절 회로(131)는 도 14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동작한다.
TPC 비트 조절 회로(131)가 품질 악화의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단계 S1401),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에 기억된 원하는 SNR을 감소시킨다(단계 S1402).
원하는 SNR의 감소는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간섭이 억제되고, 이동국의 배터리가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 용량이 증가한다.
원하는 SNR의 감소는 모든 이동국 또는 일부 선택된 이동국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감소가 모든 이동국에서 수행되는 경우, TPC 비트 조절 회로(131)는 TPC 비트 발생기(14-1 내지 14-N)으로부터 공급된 TPC 비트 신호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선택된 이동국들은 예를 들면 제1 TPC 비트 신호를 생성하는 이동국들이다.
본 발명을 수개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기술계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품질 악화가 검출된 경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은 유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에 의해 간섭의 최소한의 영향이 크게 되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의 쓸데없는 배터리 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동 접속 시스템의 접속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4)

  1.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모니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니터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 유닛,
    상기 모니터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유닛, 및
    상기 판단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품질 악화를 외부 회로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 유닛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이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신호 대 잡음비의 평균을 주기적으로 구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가 평균보다 큰 회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 및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며,
    상기 판단 유닛은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각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의 개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에 대한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의 비의 변동 레이트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6.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가 상기 품질 악화를 검출한 경우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 비트 조절 회로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는, 신호 대 잡음비가 원하는 값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는,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가 상기 품질 악화를 검출한 경우,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상기 원하는 값을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가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전력의 감소를 요구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변경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 유닛,
    상기 모니터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유닛, 및
    상기 판단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품질 악화를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 유닛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이 소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 대신에 상기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신호 대 잡음비의 평균을 주기적으로 구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가 평균보다 큰 회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 대신에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각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의 개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에 대한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의 비의 변동 레이트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14.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 및 상기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를 포함함- 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가 상기 품질 악화를 검출한 경우,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는, 신호 대 잡음비가 원하는 값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는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가 상기 품질 악화를 검출한 경우,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상기 원하는 값을 감소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가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전력의 감소를 요구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변경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 유닛,
    상기 모니터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유닛, 및
    상기 판단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품질 악화를 상기 송신 전력 제어비트 조절 회로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 유닛
    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이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 대신에 상기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신호 대 잡음비의 평균을 주기적으로 구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가 평균보다 큰 회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 대신에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의 개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에 대한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의 비의 변동 레이트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22.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배치된 모니터 유닛으로, 상기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모니터 유닛에 접속된 판단 유닛으로,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판단 유닛에 접속된 통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경우 상기 품질 악화를 외부 회로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이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신호 대 잡음비의 평균을 주기적으로 구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가 평균보다 큰 회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 및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의 개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에 대한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의 비의 변동 레이트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7.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각 수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복조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 및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대 잡음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를 포함함- 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간의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의 품질 악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상태 모니터 회로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된 송신 전력 비트 조절 회로에 의해, 상기 검출 단계에서 상기 품질 악화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는, 신호 대 잡음비가 원하는 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검출 단계에서 상기 품질 악화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상기 원하는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가 상기 이동국의 상기 송신 전력의 감소를 요구하도록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모니터 유닛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 유닛에 접속된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가 소정 상태보다 나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유닛에 접속된 통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경우, 상기 품질 악화를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조절 회로에 통지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이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신호 대 잡음비 결정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신호 대 잡음비의 평균을 주기적으로 구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가 평균보다 큰 회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발생기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구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비트 신호의 개수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로서 상기 복조된 신호의 전체 간섭 전력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의 개수에 대한 상기 전체 간섭 전력의 비의 변동 레이트가 소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상태가 상기 소정 상태보다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2001-0047893A 2000-08-09 2001-08-09 이동국의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키고 접속 용량이 감소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418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0547A JP3573073B2 (ja) 2000-08-09 2000-08-09 送信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
JPJP-P-2000-00240547 2000-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448A true KR20020013448A (ko) 2002-02-20
KR100418837B1 KR100418837B1 (ko) 2004-02-18

Family

ID=1873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893A KR100418837B1 (ko) 2000-08-09 2001-08-09 이동국의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키고 접속 용량이 감소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13751B2 (ko)
EP (1) EP1179892B1 (ko)
JP (1) JP3573073B2 (ko)
KR (1) KR100418837B1 (ko)
CN (1) CN1162027C (ko)
BR (1) BR0104313A (ko)
DE (1) DE6011032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4296B2 (en) * 2001-02-09 2005-06-0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Inter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209517B2 (en) * 2002-03-04 2007-04-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maximum rate of data and for estimating power required for transmission of data at a rate of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283851B2 (en) * 2004-04-05 2007-10-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ode for receiver circuit blocks based on transmitter activity
US7809395B2 (en) 2006-02-15 2010-10-0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t circuitry in a wide band CDMA network
US8731593B2 (en) * 2006-02-15 2014-05-2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ransmit power control (TPC) commands in a wideband CDMA (WCDMA) network
US7907961B2 (en) 2006-06-07 2011-03-1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oise power estimate in a WCDMA network
US8050701B2 (en) * 2006-10-13 2011-11-01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05026B2 (en) * 2007-06-29 2011-08-23 Intel Corporation Multiple radio platform transmission power control
JP2009077284A (ja) * 2007-09-21 2009-04-09 Japan Radio Co Ltd 移動機テスタ
KR101572880B1 (ko) 2007-12-12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화율을 고려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CN102308642B (zh) * 2009-02-04 2015-05-13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上行传输功率的方法及其装置
US8634778B1 (en) * 2010-03-29 2014-01-21 Comtech Ef Data Corp. Carrier-in-carrier based performance optimiz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2547949B (zh) * 2010-12-22 2015-07-01 中国移动通信集团江苏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方法和装置
CN111337920B (zh) * 2020-03-03 2022-07-15 成都金宇防务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云雾干扰的弹载雷达对地探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56A (en) * 1862-07-29 Improvement in rattan machinery
EP0548939B1 (en) * 1991-12-26 2000-09-13 Nec Corpor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capable of keeping signal quality consta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5333175A (en) 1993-01-28 1994-07-26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ower control in TDMA portable radio systems
JPH07264660A (ja)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移動通信モニタ方式
US5859874A (en) * 1994-05-09 1999-01-12 Globalstar L.P. Multipath communication system optimizer
JP2974274B2 (ja) * 1994-05-12 1999-11-1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装置
JP2993554B2 (ja) 1994-05-12 1999-12-2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法および前記送信電力制御法を用いた通信装置
JPH088802A (ja) * 1994-06-22 1996-01-12 N T T Ido Tsushinmo Kk 移動無線機
US5603096A (en) * 1994-07-11 1997-02-11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5822318A (en) * 1994-07-29 1998-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JP2798012B2 (ja) 1995-07-14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信電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AU3260195A (en) * 1995-08-31 1997-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3039402B2 (ja) 1996-12-05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装置
JP2785809B2 (ja) * 1996-06-21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バースチャネル送信電力制御方式
JP3111906B2 (ja) * 1996-07-17 2000-11-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
JP3254390B2 (ja) * 1996-10-18 2002-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装置
EP0856955A3 (en) * 1997-01-29 2000-09-06 YRP Mobile Telecommunications Key Technology Research Laboratories Co., Ltd. CDMA power control system
JP3586348B2 (ja) 1997-03-05 2004-11-10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対干渉電力比測定装置及び信号対干渉電力比測定方法並びにcdma通信方式下での送信電力制御方法
KR100243425B1 (ko) * 1997-07-10 2000-02-01 곽치영 씨디엠에이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순방향 트래픽 채널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JP3132427B2 (ja) * 1997-07-11 2001-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S/n測定回路,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ディジタル通信システム
US6185432B1 (en) * 1997-10-13 2001-0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ower control modes
KR100369602B1 (ko) * 1997-11-03 200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이동통신시스템의전력제어비트삽입방법
JP3355295B2 (ja) * 1997-11-13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送受信装置
JPH11196456A (ja) * 1998-01-05 1999-07-21 Oki Electric Ind Co Ltd 送信電力制御装置
JPH11275035A (ja) 1998-01-26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局通信装置、基地局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970653B1 (ja) 1998-05-27 1999-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とその基地局
US6256476B1 (en) * 1998-06-25 2001-07-03 Conexant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for a telephone system by dynamically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JP3471662B2 (ja) * 1998-08-28 2003-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00022672A (ko) * 1998-09-07 2000-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동국 통신 장치, 기지국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0277071B1 (ko) 1998-09-15 2001-01-15 윤종용 셀룰러시스템의역방향전력제어방법
JP3199238B2 (ja) 1998-09-18 2001-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6956840B1 (en) * 1998-09-21 2005-10-18 Ipr Licensing, Inc. Power control protocol for highly variable data rate reverse lin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17976B1 (en) * 1998-12-21 2004-04-06 Nortel Network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o noise power ratio estimation in a multi sub-channel CDMA receiver
US7076264B2 (en) * 1999-02-19 2006-07-11 Qualcomm, Inc. Power control in a cellular system using ES/IO and NT/I0 values
US6603746B1 (en) * 1999-06-18 2003-08-0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ted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633552B1 (en) * 1999-08-06 2003-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losed loop power control set point in a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697343B1 (en) * 1999-08-26 2004-02-2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variable-rate vocoded communications
JP3389951B2 (ja) * 2000-02-07 2003-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下り回線送信電力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837B1 (ko) 2004-02-18
US7813751B2 (en) 2010-10-12
EP1179892B1 (en) 2005-04-27
JP3573073B2 (ja) 2004-10-06
EP1179892A2 (en) 2002-02-13
CN1337833A (zh) 2002-02-27
BR0104313A (pt) 2002-03-19
CN1162027C (zh) 2004-08-11
DE60110329T2 (de) 2005-10-06
DE60110329D1 (de) 2005-06-02
JP2002057634A (ja) 2002-02-22
EP1179892A3 (en) 2003-09-24
US20020018516A1 (en)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662B1 (ko) Wan 시그널링 및 피어 투 피어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혼합형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및/또는 간섭 관리에 관한 방법 및 장치
US7873327B2 (en)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other cell interference
KR100418837B1 (ko) 이동국의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키고 접속 용량이 감소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26590B1 (ko) 간섭 제어를 위한 로딩 인자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결정,통신,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23106B1 (ko) 기지국의 전송 파워 레벨 제어 방법
KR100970086B1 (ko) 간섭 제어를 위한 로딩 인자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결정,통신,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85645B1 (ko) 트랜스포트 포맷 콤비네이션 선택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및 이동국
EP18928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multi-user MIMO system, as well as system thereof
US63490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mploying control for broadcast transmission
KR101013041B1 (ko) 공통 제어 채널에 대하여 할당된 타임 슬롯들을 유저 트래픽에 대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JP3389951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下り回線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80096825A (ko) 다운링크 자원 할당을 위한 채널 품질 측정값 제공 방법, 무선 디지털 통신 시스템 및 사용자 장치
AU2002259200A1 (en) Common control channel uplink power control for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techniques
JPH11514172A (ja) 可変データレート移動c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迅速な出力制御
KR100981464B1 (ko)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이웃의 지원을 결합하는 장치 및방법
KR19990045446A (ko) 스펙트럼 확산 통신 시스템_
EP1069702B1 (en) Synchronization of transmit power level settings for soft handoff in wireless systems by the use of power level constraints
JP2992563B2 (ja) 移動通信方式
US20050036458A1 (en) Method of rate control
US20140362786A1 (en) Fix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Capacity Enhanced Dynamic Power Control
KR100340831B1 (ko) 확산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EP1209838B1 (en) Asymmetric rate feedback and adjustment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50002422A1 (en) Information rate contol method, mobile station, radio control apparatus,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588504A1 (en) Output power control for multislot uplinks
JP3898018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