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456A -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장치, 기종 변경 방법, 및 기종변경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장치, 기종 변경 방법, 및 기종변경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456A
KR20020010456A KR1020010016520A KR20010016520A KR20020010456A KR 20020010456 A KR20020010456 A KR 20020010456A KR 1020010016520 A KR1020010016520 A KR 1020010016520A KR 20010016520 A KR20010016520 A KR 20010016520A KR 20020010456 A KR20020010456 A KR 20020010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odel
model change
us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170B1 (ko
Inventor
다까에나오히또
다니히로유끼
미쯔하시마모루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1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65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for initial activation of new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2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lines between exchanges
    • H04M3/323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lines between exchanges for the arrangements providing the connection (test connection, test call, call simulation)

Abstract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청, 신 기종 휴대 전화의 입수, 신 기종으로의 전환을 점두(店頭) 외에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용자는 네트워크 상에서 기종 변경을 신청하여, 신기종의 휴대 전화(6)를 송달받는다. 휴대 전화(2)의 통화에서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은 그 휴대 전화(2)의 식별 번호를 네트워크 정보(4)로부터 취득한다.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은 접수 시에 통지 접수 번호, 신 기종 송부 시에 첨부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접수 시에 생성되는 예약 정보, 휴대 전화(2)의 식별 번호를 기초로 정규 의뢰 확인을 하고, 전환 지시 수단(13)이 교환기(5)로 전환 지시를 내보낸다.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은 메일 서버(7)를 사용하여 신 기종으로 정상 전환하여, 메일 기능의 정상성을 확인하고,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14b)은 IVR(자동 음성 응답) 장치(8)를 사용하여 음성계 기능의 정상성을 확인한다.

Description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장치, 기종 변경 방법, 및 기종 변경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MOBILE HANDSET, AND MEDIUM FOR STORING A MOBILE HANDSET UPGRADE PROGRAM}
본 발명은 기종 변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전환할 때 이동체 통신 사업자에게 있어서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을 사람 손을 통하지 않고 행하도록 한 기종 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이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 전화를 다른 휴대 전화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휴대 전화의 기능 확대 및 휴대 전화를 이용한 서비스의 확충에 따라, 구 기종으로부터 신 기종으로의 전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업무는, 기본적으로 이용자가 이동체 통신 사업자의 영업소 또는 대리점 등 신 기종 휴대 전화를 판매하고 있는 점두에서 행해지고 있다. 점두에서는, 점원이 구 기종의 확인과 본인 확인을 행하고, 이용자가 기입한 기종 변경 신청서에 기초하여 기종 변경 정보를 점두에 있는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입력하고, 기종 변경에 따른 교환기 측의 변경 수속인 구 기종의 폐색 및 신 기종의 개통을 행한다. 또한, 점두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 ROM 라이터(ROM writer)를 사용하여 신 기종 휴대 전화 내의 메모리에 구 기종으로 사용하고 있던 전화번호를 기입(이하, ROM 기입이라 함)함으로써 기종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종 변경에서, 기종 변경을 행하기 위해서는 전용 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므로, 기종 변경 희망자는 자신이 원하는 신 기종 휴대 전화를 그와 같은 전용 장치가 놓여 있는 점두에서밖에 구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 기종으로 전환한 경우에, 그 자리에서 점원 및 본인에 의한 확인 시험을 행하고, 확인 시험에서 문제점이 있으면 동일 기종에서 다른 휴대 전화로변환하여 받게 되지만, 이러한 확인 행위가 있기 때문에, 기종 변경은 점두에서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종 변경은, 구 기종 휴대 전화를 소유하고 있는 이용자 본인이 행해야 하지만, 기종 변경 희망자가 이용자 본인인지 여부의 확인은, 구 기종 휴대 전화를 지참하고 있는 것, 휴대 전화 가입시에 등록되어 있는 여러 가지 정보를 알고 있는 것, 신분 증명서를 가지고 있는 것 등으로부터 판단하여 행하지만, 이들은 점두에서밖에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및 신 기종 휴대 전화의 교환을 점두에서 행할 필요성을 없애고, 또한 점두가 아니더라도 신 기종으로의 정상적인 전환의 확인이 가능한 기종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원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기종 변경 신청 접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기종 변경 신청 접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고객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예약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기종 변경을 실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갱신된 예약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기종 변경 실시 확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갱신된 고객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기종 변경 실시 확인의 다른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종 변경 장치
2 : 제1 휴대 전화
3 : 예약 정보 축적 수단
4 : 네트워크 정보
5 : 교환기
6 : 제2 휴대 전화
7 : 메일 서버
8 : IVR(자동 음성 응답) 장치
11 :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
12 : 식별 번호 취득 수단
13 : 전환 지시 수단
14 : 기능 확인 수단
14a : 메일 기능 확인 수단
14b :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
도 1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원리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종 변경 장치(1)는, 이용자로부터의 구 기종인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휴대 전화로 통화할 때에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예약 정보 축적 수단(3)에 축적된 예약 정보 등으로부터 확인하는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과, 제1 휴대 전화(2)로 통화할 때에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네트워크 정보(4)로부터 취득하는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과, 교환기(5)에 대하여 제1 휴대 전화(2)의 폐색과 신 기종으로 하는 제2 휴대 전화(6)의 개통을 지시하는전환 지시 수단(13)과, 메일 서버(7) 및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자동 음성 응답) 장치(8)를 사용하여 제2 휴대 전화(6)가 갖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기능 확인 수단(14)과, 교환기(5)에 대하여 제2 휴대 전화(6)의 폐색과 제1 휴대 전화(2)의 개통을 지시하는 제2 전환 지시 수단(15)을 구비하고 있다. 기능 확인 수단(14)은, 제2 휴대 전화(6)의 메일 기능의 동작 확인을 하는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과, 제2 휴대 전화(6)의 음성계 기능의 동작 확인을 하는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14b)을 갖고 있다.
이용자는 사전에 기종 변경 신청을 네트워크 상에서 행하고, 이용자 본인 확인과 제1 휴대 전화(2)의 이용 확인을 받은 후, 접수 번호와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기입한 제2 휴대 전화(6)와,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받아 그 신청 시에 작성된 예약 정보가 예약 정보 축적 수단(3)에 축적되어 있도록 한다.
기종 변경을 행할 때, 이용자는 반드시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하여 기종 변경 의뢰를 네트워크 상에서 행한다. 이에 따라,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은 네트워크 정보(4)로부터 제1 휴대 전화(2)가 통화를 행할 때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취득할 수 있다.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은,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접수 번호 및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와,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이 취득한 식별 번호와, 예약 정보 축적 수단(3)에 유지되어 있는 예약 정보로부터, 기종 변경 신청을 한 이용자 본인에 의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확인한다.
전환 지시 수단(13)은 교환기(5)에 지시하여, 제1 휴대 전화(2)를 폐색하여사용 불가로 함과 함께, 제2 휴대 전화(6)를 개통시켜 사용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사용가능하게 된 제2 휴대 전화(6)가 갖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기능 확인 수단(14)이 행한다.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은 메일 서버(7)를 사용하여, 개통된 제2 휴대 전화(6)에 「작업 종료/대답 요망」 메일을 내보낸다. 메일 서버(7)가 그 메일에 대한 회신 메일을 제2 휴대 전화(6)로부터 받으면,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은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이며, 동시에 제2 휴대 전화(6)의 메일 기능이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메일 회신이 없으면, 제2 전환 지시 수단(15)이 교환기(5)에 지시하여 제2 휴대 전화(6)를 폐색하고, 제1 휴대 전화(2)를 개통하여, 기종 변경 실시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14b)은 IVR 장치(8)를 사용하여, 제2 휴대 전화(6)에 음성 메시지를 내보내고, 그 음성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 여부를 조사한다.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이며 동시에 제2 휴대 전화(6)의 음성계 기능은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이 아닌지 음성계 기능에 문제점이 있다고 하여, 제2 전환 지시 수단(15)이 교환기(5)에 지시하여 기종 변경 실시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메일 기능 및 음성계 기능에 이상이 없으면,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 종료하고 있으며, 제2 휴대 전화(6)의 동작은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휴대 전화(2)와, 기종 변경 신청에 의해 송부되어 온제2 휴대 전화(6)를 사용하여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및 제2 휴대 전화(6)로의 정상적인 전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 점두에서만 할 수 있었던 모든 작업을 이용자 본인에 의해 행할 수 있고, 또한 휴대 전화 사업자는 기종 변경에 따른 작업을 사람 손을 통하지 않고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담이 늘어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전환하는 기종 변경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에서 미리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의 기종 변경 신청을 한 이용자로부터의 그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에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기종 변경 의뢰를 확인하는 단계가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휴대 전화가 갖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단계가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전환하는 기종 변경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전환하는 기종 변경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를 동작시켜 네트워크 상에서 미리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휴대 전화로의 기종 변경 신청을 한 이용자로부터의 그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확인하는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과, 상기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이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제1 전환 지시 수단과, 상기 제2 휴대 전화가 갖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기능 확인 수단과, 상기 기능 확인 수단이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제2 전환 지시 수단을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 제1 전환 지시 수단, 기능 확인 수단, 제2 전환 지시 수단의 각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개략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원리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종 변경 장치(1)는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 전환 지시 수단(13), 기능 확인 수단(14), 제2 전환 지시 수단(15)을 구비하고, 기능 확인 수단(14)은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과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14b)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은 이용자로부터의 구 기종으로 하는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확인하는 것으로, 제1 휴대 전화(2)에서는, 사전에 네트워크 상에서 기종 변경 신청을 접수했을 때 이용자에게 통지되는 접수 번호 및 제2 휴대 전화(6)와 함께 이용자에게 송부되는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받아, 예약 정보 축적 수단(3)으로부터는 신청을 접수했을 때 생성되는 접수 번호,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 등의 정보를 받아,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으로부터는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받아, 사전에 기종 변경 신청을 한 이용자로부터의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확인한다.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은,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하여 통화하고 있을 때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네트워크 정보(4)로부터 취득한다.
전환 지시 수단(13)은,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이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가 된 것을 확인한 경우에, 교환기(5)에 대하여 제1 휴대 전화(2)의 폐색과 제2 휴대 전화(6)의 개통을 지시한다.
기능 확인 수단(14)은,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이며, 전환한 제2 휴대 전화(6)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가를 확인하는 것으로,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은 메일 서버(7)를 이용하여 개통한 제2 휴대 전화(6)에 「작업 종료/대답 요망」 메일을 내보내도록 지시함과 함께 제2 휴대 전화(6)로부터의 회신 메일을 받아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인 것과 제2 휴대 전화(6)의 메일 기능의 정상성을 확인한다.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14b)은, IVR 장치(8)를 이용하여, 제2 휴대 전화(6)에 음성 메시지를 내보내고, 그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 여부로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인 것과 제2 휴대 전화(6)의 음성계 기능의 정상성을 확인한다.
제2 전환 지시 수단(15)은, 기능 확인 수단(14)이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이 아닌지, 메일 기능 또는 음성계 기능이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교환기(5)에 대하여, 제2 휴대 전화(6)를 폐색하여 제1 휴대 전화(2)를 개통시키는 지시를 낸다.
다음으로, 이상, 구성의 기종 변경 장치(1)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 전에, 이용자는 사전에 기종 변경 신청을 끝마쳐야 한다. 이 기종 변경 신청은, 이용자가 점두에서 행하는 것은 아니라, 네트워크 상에서 행한다.
휴대 전화 통신 사업자는, 이용자로부터, 제1 휴대 전화(2)의 전화번호 및 제조 번호와 이용자 본인만 알 수 있는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를 받음으로써, 이용자 본인 확인과 기종 변경하고자 하는 제1 휴대 전화(2)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 기종 변경 신청을 접수한다. 그 때, 예약 정보 축적 수단(3)에는, 제1 휴대 전화(2)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와, 접수 번호와, 접수 시에 생성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기록하고 이용자에게는 접수 번호를 통지해 둔다. 휴대 전화 통신 사업자는, 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제1 휴대 전화(6)의 조달, 전화번호의 ROM 기입,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인쇄하여, 이용자에게 제2 휴대 전화(6)를 인쇄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와 함께 송부해 둔다.
제2 휴대 전화(6)를 받은 이용자는, 반드시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하여 기종 변경 의뢰를 행한다. 이에 따라,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은 네트워크 정보(4)로부터 제1 휴대 전화(2)를 식별하는 식별 번호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식별 번호는, 휴대 전화가 통화하고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발신되는 것으로, 이용자로부터 개찬(改竄)할 수 없는 데이터이다.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은,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접수 번호 및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와 식별 번호 취득 수단(12)이 취득한 식별 번호를 받아, 예약 정보 축적 수단(3)에 유지되어 있는 예약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기종 변경 신청을 한 이용자로부터의 기종 변경 의뢰임을 확인한다.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11)이 제1 휴대 전화(2)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임을 확인한 경우에, 전환 지시 수단(13)은, 교환기(5)에 지시하여 제1 휴대 전화(2)를 폐색하여 사용 불가로 함과 함께, 제2 휴대 전화(6)를 개통시켜 사용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기능 확인 수단(14)의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이 메일 서버(7)를 사용하여 개통한 제2 휴대 전화(6)에 「작업 종료/대답 요망」 메일을 내보낸다. 메일 서버(7)가 그 메일에 대한 회신 메일을 제2 휴대 전화(6)로부터 받으면,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은,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과 제2 휴대 전화(6)의 메일 기능이 정상임을 확인한다. 만일, 일정 시간 경과하여도 제2 휴대 전화(6)로부터 회신 메일이 도착해 있지 않으면,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잘 되어 있지않거나 제2 휴대 전화(6)의 메일 기능이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메일 기능 확인 수단(14a)은 제2 전환 지시 수단(15)에 대하여 제2 휴대 전화(6)를 폐색하고, 제1 휴대 전화(2)를 개통하여 전환 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기능 확인 수단(14)의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14b)은 IVR 장치(8)를 사용하여, 제2 휴대 전화(6)에 음성 메시지를 내어, 그 음성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 여부를 조사하여,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과 제2 휴대 전화(6)의 음성계 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혹시, 소정 시간 내에 제2 휴대 전화(6)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있다고 해도 다른 응답이 오면,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거나 제2 휴대 전화(6)의 음성계 기능이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14b)은, 제2 전환 지시 수단(15)에 대하여, 제2 휴대 전화(6)를 폐색하고 제1 휴대 전화(2)를 개통하여 전환 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지시한다.
이와 같이, 기종 변경 신청, 제1 휴대 전화(2)로부터 제2 휴대 전화(6)로의 전환, 제2 휴대 전화(6)의 기능 확인을 점두에서 하지 않고 이용자 자신이 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사업자는 이 기종 변경을 사람 손을 통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 기종 휴대 전화(21), 신 기종 휴대 전화(22), 퍼스널 컴퓨터(23), 인터넷(24), 휴대전화망(25),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 정보 관리 마스터(27), 메일 서버(28), IVR 장치(29), 교환기(30)를 포함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 기종 휴대 전화(21), 신 기종 휴대 전화(22) 및 퍼스널 컴퓨터(23)는, 기종 변경을 하고자 하는 한 명의 이용자 측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구 기종 휴대 전화(21)는 휴대 전화망(25)을 통해 인터넷(24)에 접속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23)는 가입 전화망 또는 케이블 텔레비젼망을 통해 인터넷(24)에 접속할 수 있다.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6a), ROM(Read Only Memory)(26b), RAM(Random Access Memory)(26c), HDD(Hard Disk Drive)(26d) 및 I/F(Interface)(26e, 26f)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CPU(26a)는 장치의 각 부를 제어함과 함께, HDD(26d)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여러가지 연산을 실행한다.
ROM(26b)는 CPU(26a)가 실행하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RAM(26c)는 CPU(26a)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도중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HDD(26d)는 CPU(26a)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는, HDD(26d)로 예를 들면 기종 변경 신청 접수용 프로그램, 기종 변경 실시 프로그램, 기종 변경 실시 확인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I/F(26e)는 인터넷(24)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의 표현 형식을적절하게 변경한다.
I/F(26f)는 정보 관리 마스터(27), 메일 서버(28), IVR 장치(29) 또는 교환기(30)와 정보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의 표현 형식을 적절하게 변경한다.
정보 관리 마스터(27)는 이용자에 관한 고객 정보, 기종 변경 신청에 관한 예약 정보, 구 기종 휴대 전화(21)를 사용하여 통화에서 그 이동기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인 전화번호 및 MSI(Mobile Subscriber ID) 번호에 관한 번호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 MSI 번호는, 휴대 전화가 통화하고 있을 때에 자동 발신되는 데이터이고, 각 휴대 전화를 식별하는 번호이다. 따라서, 기종 변경 시에, 동일 전화번호의 휴대 전화가 2개 존재하지만, MSI 번호가 다름으로써 구 기종 휴대 전화(21)와 신 기종 휴대 전화(22)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이 MSI 번호는, 이용자로부터는 전혀 개변(改變)할 수 없는 데이터이다.
메일 서버(28)는, 메시지 데이터의 송수신 관리를 행하는 전자 메일 시스템이다.
IVR 장치(29)는,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여 지정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응답을 인식하고 그 키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교환기(30)는, 휴대 전화(21, 22)와 휴대 전화망(25)에 연결되는 다른 휴대 전화, 다른 휴대 전화 사업자가 운영하는 휴대 전화망과 연결되는 휴대 전화 또는 공중 회선망과 연결되는 전화기 사이에서의 회선 전환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구 기종 휴대 전화(21)를 소유하고 있는 이용자가 신 기종 휴대전화(22)로 전환하고자 한다. 이 경우, 이용자는, 구 기종 휴대 전화(21) 또는 퍼스널 컴퓨터(23)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기종 변경 신청을 한다. 이 때,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는, 정보 관리 마스터(27)로부터 고객 정보, 번호 정보를 호출하여 신청 내용을 체크하고, 정보 관리 마스터(27)에 예약 정보를 기입하기 시작하여 신청을 접수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 사업자는, 신청 시에 지정된 신 기종 휴대 전화(22)를 준비하여,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발행하여 이용자에게 송부한다. 신 기종 휴대 전화(22)가 도착한 이용자는, 구 기종 휴대 전화(21)를 사용하여 기종 변경 실시를 의뢰한다. 의뢰할 때, 신청 시에 통지된 접수 번호와 송부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구 기종 휴대 전화(21)에 입력한다.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는, 구 기종 휴대 전화(21)로부터의 통신임을 네트워크로부터의 정보로 체크하고, 입력된 접수 번호 및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의 정당성을 체크한다. 이들 체크를 패스하면,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는, 구 기종 휴대 전화(21)로부터 신 기종 휴대 전화(22)로의 전환을 교환기(30)에 지령한다. 이에 따라, 구 기종 휴대 전화(2l)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신 기종 휴대 전화(2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는, 대답 요망 메일을 작성하고 메일 서버(28)를 사용하여 신 기종 휴대 전화(22)에 메일을 송신해 본다.
신 기종 휴대 전화(22)에 메일이 도착하면, 이용자는 메일이 도착한 것을 확인하는 메일을 회신한다. 혹시,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가 회신 메일의 수신을 확인할 수 없으면, 교환기(30)에 신 기종 휴대 전화(22)를 사용 불가로 하여, 구 기종 휴대 전화(21)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지령을 내보낸다.
회신 메일의 수신을 확인한 경우에는, IVR 장치(29)를 사용하여 신 기종 휴대 전화(22)로 음성 메시지를 보내 본다. 이용자는, 이 음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신 기종 휴대 전화(22)의 지정된 버튼을 누른다. 이 이용자로부터의 응답을 IVR 장치(29)가 확인함으로써,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26)는, 신 기종 휴대 전화(22)로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종료함과 함께, 신 기종 휴대 전화(22)에 문제점이 없다고 판단하여, 정보 관리 마스터(27)의 이용자에 관한 고객 정보를 갱신한다. 혹시, 지정된 버튼 이외의 버튼이 눌러진 것을 IVR 장치(29)가 확인한 경우에는, 신 기종 휴대 전화(22)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환기(30)에 신 기종 휴대 전화(22)를 사용 불가로 하고, 구 기종 휴대 전화(21)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지령을 낸다.
다음으로, 기종 변경 신청으로부터 기종 변경이 완료하기까지의 처리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휴대 전화 기종 변경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휴대 전화 기종 변경을 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종 변경 신청을 한다(단계 S1). 이 때, 구 기종 휴대 전화 소유 여부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등록이 필요하고, 신청한 이용자에게는 신청한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정보로서 접수 번호를 통지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 사업자는, 신청 시에 선택한 신 기종 휴대 전화를 기종변경 신청한 이용자에게 송부한다(단계 S2). 이 때, 이 신 기종 휴대 전화를 받은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정보로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신 기종 휴대 전화와 함께 송부한다.
다음으로, 구 기종 휴대 전화로부터만의 지시에 의해 기종 변경을 실시한다(단계 S3). 이 때, 신청 시에 통지된 접수 번호와 송부 시에 첨부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모두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만이 기종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일 서버 및 IVR 장치를 이용하여, 기종 변경의 정상 종료와 신 기종 휴대 전화의 기본 기능이 정상임을 확인한다(단계 S4). 이 때, 기종 변경이 정상 종료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신 기종 휴대 전화의 기본 기능이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기종 변경 실시 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종 변경에 따른 대금, 즉 신 기종 휴대 전화 비용, 기종 변경 사무 수수료 등의 대금 청구를 한다(단계 S5). 이 때, 기종 변경 신청 시에 결제 방법을 불입, 대금 상환 등으로 행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송부할 때 청구서를 동봉 혹은 배송업자로의 교환을 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기종 변경 신청 접수를 행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종 변경 신청 접수부는, HDD(26d)에 저장된 기종 변경 신청 접수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도 4는 기종 변경 신청 접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기종 변경 신청 접수부(31)는, 신청 내용 확인부(31a)와, 신 기종 선택 접수부(31b)와,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생성부(31c)와, 접수 번호 통지부(31d)로 구성된다. 이 기종 변경 신청 접수부(31)는, 또한 정보 관리 마스터(27)에 접속되고, 고객 정보(27a), 번호 정보(27b) 및 예약 정보(27c)와 관련되어 있다.
신청 내용 확인부(31a)는, 이용자로부터의 기종 변경 신청을 접수하여, 그 때에 입력된 정보와 고객 정보(27a) 및 번호 정보(27b)를 비교해서 신청 내용이 옳은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처리를 행한다.
신 기종 선택 접수부(31b)는, 이용자에게 현재 이용 가능한 휴대 전화의 기종을 제시하여 기종 변경하고자 하는 휴대 전화를 선택해서 받는 처리를 행한다.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생성부(31c)는, 신청 내용이 확인되고, 신 기종 휴대 전화가 선택된 경우에, 신 기종 휴대 전화를 수취한 이용자만이 알 수 있는 정보인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및 신청한 이용자만이 알 수 있는 정보인 접수 번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접수 번호 통지부(31d)는, 생성된 접수 번호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상, 구성의 기종 변경 신청 접수부(31)에서는 이용자로부터 기종 변경 신청이 있으면, 신청 내용 확인부(31a)가 고객 정보(27a) 및 적어도 전화번호와 MSI 번호를 관리하고 있는 번호 정보(27b)를 참조하여 신청 내용을 확인한다. 신청 내용이 맞으면, 신 기종 선택 접수부(31b)가 이용자에게 신 기종 휴대 전화를 선택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옵션 서비스 등을 선택시킨다. 그 후,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생성부(31c)가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및 접수 번호를 생성하여, 신청 내용 확인에 사용한 고객 정보(27a) 및 번호 정보(27b)에서 예약 정보(27c)를 생성하여 축적한다. 그리고, 접수 번호 통지부(31d)가 이용자에게 접수 번호를 통지하여, 선택된 휴대 전화의 정보와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배송 부문으로 건네고, 이용자에게 송부해 받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용자 조작을 포함하는 접수 처리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기종 변경 신청 접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신청 접수로서 이용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이 두 가지 있다. 즉,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을 사용하여 WWW(World Wide Web) 상에서 기종 변경 신청을 행하는 경우와 구 기종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휴대 전화 사업자가 제공하는 기종 변경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경우라도, 종래와 같이 점두까지 갈 필요는 없고, 인터넷 쇼핑과 같이 이용자 자신이 신청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WWW 상에서 신청을 행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사업자의 홈페이지에서 기종 변경 신청 화면을 연다(단계 S11). 이용자는, 그 신청 화면을 사용하여 전화번호, 구 기종 휴대 전화의 제조 번호,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12). 전화번호, 구 기종 제조 번호 및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구 기종을 갖고 있는 이용자」임과 동시에 이용자 본인이 등록한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의 입력에 의해 「이용자 본인임」을 이용자는 어필한다.
제조 번호는, 구 기종 덮개 뒷면 등에 쓰여져 있는 번호이며, 구 기종이 없는 상태에서는 알 수 없는 점을 이용함으로써, 만일 도난당한 경우라도,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양방이 일치함으로써 이용자 본인임을 인식한다.
한편, 구 기종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신청을 행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기종 변경 신청을 선택한다(단계 S13).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전화번호, MSI 번호 등의 식별 번호를 인식할 수 있음으로, 휴대 전화 사업자 측에서는, 어떤 휴대 전화로부터의 액세스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WWW 상에서의 신청 경우와는 다르고, 이용자는,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만을 입력하여 송신하면 된다(단계 S14).
계속해서, 휴대 전화 사업자 측에서는, 입력된 정보 또는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초로 고객 정보를 참조하여, 신청 내용을 확인한다(단계 S15). 즉, WWW 상에서 입력되거나 휴대 전화의 이용으로부터 네트워크로 인식한 전화번호를 기초로 고객 정보를 참조하여, WWW 상의 경우에는, 제조 번호와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와의 조합, 휴대 전화 입력의 경우에는, MSI 번호와 착신용 비밀 번호의 조합으로부터 「이용자의 본인성」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그와 같은 조합이 옳은지의 여부가 판단되며(단계 S16),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종 변경 신청을 할 수 없으므로, 기종 변경 신청을 거절한다(단계 S17). 이상의 구조에 의해, 종래 점두에서 행하고 있는 「사람에 의한 이용자 체크」를 없애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이 때 참조하는 고객 정보(27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 코드, 전화번호, 제조 번호, 서비스 상태,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 등을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WWW 상에서 입력된 또는 휴대 전화의 이용으로부터 네트워크로 인식한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고객 정보(27a)를 검색함으로써,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조 번호 및 착신 전송용 비밀 번호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청 내용 확인이 옳으면, 사용자는 구입하는 신 기종 휴대 전화를 WWW 상, 또는 휴대 전화의 선택 화면에서 선택하고, 또한 그 신 기종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의 설정을 입력하고, 휴대 전화 사업자 측에서는, 그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8). 다음으로, 수신한 정보 내용을 체크해서(단계 S19), 그것이 옳은 지 판단한다(단계 S20). 혹시, 수신 내용에 오류가 있으면 이용자에게 재입력을 지시하고, 옳으면 기종 변경 신청을 수리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 사업자 측에서는,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및 접수 번호를 생성하고(단계 S21), 기종 변경 신청 내용을 예약 정보(27c)로 축적하며(단계 S22), 신청자에게는 접수 번호와 접수한 내용을 송신하고, 접수 번호에 대해서는 메모해 받도록 한다(단계 S23).
여기서, 단계 S22에서 축적되는 예약 정보(27c)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접수 번호, 가입자 코드, 전화번호, 구 기종 MSI 번호, 신 기종 MSI 번호, 패스워드, 제조 번호, 작업 종료일로 이루어지며, 기종 변경이 종료하기까지의 상황 관리와, 기종 변경 실시 시에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및 접수 번호의 인증용 정보를 관리하는 데 사용한다. 가입자 코드, 전화번호 및 구 기종 MSI 번호는, 고객 정보(27a)와의 확인으로 사용된 정보 및 네트워크로 인식 또는 전화번호와 MSI 번호를 관리하고 있는 번호 정보(27b)에서 얻은 정보이고, 신 기종 MSI 번호, 패스워드 및 제조 번호는, 선택된 기종에 관한 관리 정보 및 생성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이다. 신 기종 휴대 전화(22)의 제조 번호는, 예약 정보 작성 시간 또는 신 기종 배송 준비 시간 또는 ROM 기입 시간 등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이상의 기종 변경 신청 접수 처리가 끝나면, 휴대 전화 사업자 측에서는, 구입 희망이 있는 신 기종 휴대 전화를 준비하여,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인쇄한 송부표를 작성하고, 이들을 함께 기종 변경을 신청한 이용자에게 송부한다. 이 경우, 송부처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청구서의 송부처가 된다.
또, 신 기종 휴대 전화를 준비할 때, 접수 시에 신 기종 휴대 전화로 설정하여야 할 서비스 정보, 전화번호 변경 유무 등의 필요 정보를 이용자로부터 취득하고 있으므로, 이용자에게 출하하기 전에 사전에 신 기종에 대하여 ROM 기입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종 변경 신청자는, 점두에서 행하지 않고 신 기종 휴대 전화를 얻는 수 있으며, 나아가 종래에서는 점두에서만 행할 수 있었던 ROM 기입도 미리 행해진 상태에서 이용자에게 보내지게 된다.
또한, 기종 변경 신청 접수 시에, 기종 변경 수속에 관계되는 대금(신 기종 휴대 단말기 값,기종 변경 사무 수수료등)의 결제를, 불입으로 하도록 지정한 경우에는, 신 기종 휴대 전화 및 송부표 송부 시에 청구서도 동봉하여 기종 변경에 관계되는 대금 결제하고, 대금 상환으로 하도록 지정한 경우에는, 배송업자에게 청구서를 교환하도록 한다.
이용자는, 휴대 전화 사업자로부터 보내져 온 신 기종 휴대 전화와 송부표를 받음으로써 기종 변경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종 변경 실시는 기종 변경 실시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되어, 그 처리의 상세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종 변경을 실시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이용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 기종으로부터, 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기종 변경 실시 서비스를 호출하면(메뉴로부터 선택하면), 기종 변경 실시 프로그램은, 사전에 알려져 있는 접수 번호와, 신 기종 휴대 전화와 함께 송부한 송부표에 인쇄되어 있는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요구하여, 이용자로부터 접수 번호 및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받는다(단계 S31).
다음으로, 기종 변경 실시 프로그램은, 받은 입력 정보의 접수 번호를 기초로 예약 정보(27c)를 호출한다(단계 S32). 다음으로, 그 예약 정보(27c)에 해당하는 접수 번호의 정보 존재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3). 여기서, 해당하는 접수 번호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이미 실시 종료된 경우에는 에러가 되어, 이용자에게 「접수 없음」이라고 통지한다(단계 S34).
다음으로, 해당하는 접수 번호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와 기종 변경 접수 시에 예약 정보(27c)에 기억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패스워드는 옳은지 판단한다(단계 S35). 여기서, 입력된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가 틀린 경우에는, 에러가 되어 이용자에게 「패스워드가 맞지 않다」고 통지한다(단계 S36).
이들 접수 번호 및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 2개의 체크에 의해, 먼저 「신청한 본인」으로, 「신 기종을 받은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통신상에서 휴대 전화 사업자만이 취득할 수 있는 정보인 통신 상대 MSI 번호 등의 휴대 단말기 식별 번호와 전화번호를 취득한다(단계S37). 이 정보는,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개찬할 수 없는 정보로서, 그것을 이용하여, 기종을 변경하는 구 기종으로부터 통신하기 위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만일 접수 번호, 기종 변경용 패스워드가 제삼자에게 누설되어 있어도, 기종 변경해야 할 구 기종을 소유하지 않는 한, 본인으로 인정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들 올바른 정보는, 기종 변경 신청 접수시에 작성한 예약 정보(27c)에 기입되어 있으므로, 이 정보와 취득한 정보 사이에서 체크를 행하여, MSI 번호 및 전화번호가 옳은지 판단한다(단계 S38). 여기서, MSI 번호 및 전화번호가 잘못된 경우에는, 「이동기가 다르므로 구 기종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기종 변경을 실시하기 바란다」고 하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단계 S39).
다음으로, MSI 번호 및 전화번호가 올바른 경우에는, 기종 변경을 실시해서 좋은지 최종 확인을 이용자에게 재촉한다(단계 S4O). 다음으로, 이용자로부터의 응답이 OK인지 판단되며(단계 S41), OK가 아니면 이 기종 변경 실시 처리를 취소한다(단계 S42).
다음으로, 이용자로부터의 응답이 OK이면, 휴대 전화 사업자는, 예약 정보(27c)에 따라 교환기(30)에 대하여 구 기종의 폐색 의뢰와 신 기종의 등록 의뢰 2개의 지시를 발행한다(단계 S43). 교환기(30)는 이들 지시를 받아 두 가지 의뢰를 실행한다. 여기서, 구 기종의 폐색이 정상적으로 종료하면, 이 기종 변경 실시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 전화는 통신이 도중에 단절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신 기종 휴대 전화로의 등록이 정상적으로 종료하면, 신 기종 휴대 전화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이들 2개의 교환기 조작은 교환기 측의 제어 기구가 동기를 맞춰 행하는 것으로, 2개 모두 정상이거나, 어느 것도 이상이라는 상황이 일반적이다. 기종 변경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지 않는 이유로서 두 가지 원인을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교환기 측에서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은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신 기종 휴대 전화가 고장나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종 변경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다음 처리인 기종 변경 실시 확인에서 행하도록 있다.
그 때문에, 신 기종 휴대 전화에 대하여 「작업 종료/대답 요망」을 내용으로 하는 메일을 미리 송신해 둔다(단계 S44). 이에 따라, 신 기종 휴대 전화로의 교환기 측의 작업에 대한 정상 종료 여부, 메일을 보내는 기능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 신 기종 휴대 전화 자체가 고장나지 않고 메일을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척 관리를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약 정보(27c)에 「작업 종료일」을 설정한다(단계 S45).
다음으로, 기종 변경의 정상 수행을 체크하기 위한 기종 변경 실시 확인 처리로 이행한다. 이 처리는, 실제로는 기종 변경 실시에 연속해서 실행된다.
도 10은 기종 변경 실시 확인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신 기종 휴대 전화(22)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메일을 발행하고 있으므로, 당일 중으로 메일 회신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51). 여기서, 당일 중으로 메일 회신이 없던 경우에는, 예약 정보(27c)를 기초로 하여 구 기종 휴대 전화(21)를등록하여, 신 기종 휴대 전화(22)를 폐색함으로써, 기종 변경 실시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단계 S52).
당일 중에 메일 회신이 있는 경우에는, IVR 장치(29)의 자동적으로 전화를 거는 기능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이 소리가 들립니까? 들리면 1을 눌러 주십시오」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신 기종 휴대 전화(22)에 대하여 발호한다(단계 S53). 그 발호에 대하여 올바른 응답이 있는지가 판단된다(단계 S54). 여기서,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거나 1 이외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음성계 기능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단계 S52로 진행한다.
1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구 기종으로부터 신 기종으로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종료하여, 신 기종 음성계 기능 및 메일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고객 정보(27a)를 갱신한다(단계 S55). 여기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 정보(27a)는, 예약 정보(27c)에서 취득한 제조 번호를 갱신하게 된다. 이 때,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예약 정보에 작업 완료를 기입한다.
도 12는 기종 변경 실시 확인의 다른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방법의 경우, 상술한 기종 변경 실시에 있어서의 단계 S44의 처리에서 신 기종 휴대 전화(22)에 대하여 송신하는 메일 내용은 「감사」와 「작업 완료 보고」로 한다.
이 기종 변경 실시 확인 처리에서는, 우선 IVR 장치(29)의 자동적으로 전화를 거는 기능을 사용하여, 신 기종 휴대 전화(22)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발신을 자동적으로 행한다(단계 S61). IVR 장치(29)에서는, 「메일이 접수되는지」를 조회하여, IVR 장치(29)에 대하여 응답을 받는다. 그 응답 내용은, 「1. 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 「2. 메일을 수신할 수 없으므로, 구 기종으로 복귀한다」, 「3. 메일은 수신할 수 없지만, 신 기종 그대로 좋다」, 「4. 구 기종으로 전화가 왔다」, 「5. 오퍼레이터에게 연결한다」의 5개로부터 선택한다.
다음으로, 소정의 시간 내에 IVR 장치(29)의 발호에 대한 응답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62). 여기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IVR 장치(29)의 발호에 대하여 응답이 없거나, IVR 장치(29)의 발호는 수신하였지만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신 기종 휴대 전화(22)에 어떤 이상이 있는 것으로 하여, 예약 정보(27c)를 기초로 교환기(30)에 대하여 신 기종의 폐색, 구 기종의 등록 의뢰를 발행하고, 교환기(30)의 상태를 기초로 복귀하도록 한다(단계 S63). 이 경우, 이상이 있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메일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시스템으로부터 연락을 하고, 수신한 오퍼레이터는 이용자의 구 기종으로 전화를 걸어, 대응을 인간계에서 행한다.
소정의 시간 내에 IVR 장치(29)의 발호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 그 응답은 상기한 5개 중, 어느 것인가를 판단한다(단계 S64).
여기서, 「1. 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IVR 장치(29)로 신 기종 휴대 전화(22)와 회화를 할 수 있다는 것으로, 구 기종으로부터 신 기종으로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종료하고, 신 기종의 음성계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메일 수신을 확인함으로써 신 기종 휴대 전화(22)의 메일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정상 종료라고 인식하여 예약 정보(27c)에 작업 완료를 기입하고 고객 정보(27a)에 기종 변경 내용을 반영한다(단계 S65).
IVR 장치(29)로의 응답이 「2. 메일을 수신할 수 없으므로, 구 기종으로 복귀한다」인 경우, 이용자의 판단에 의해 음성계 기능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단계 S63으로 진행하여, 기종 변경 실시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IVR 장치(29)로의 응답이 「3. 메일은 수신할 수 있지만, 신 기종 그대로 좋다」인 경우, 자동적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접속하여(단계 S66), 사정을 파악해서 인간계에서 대응을 결정한다.
IVR 장치(29)로의 응답이 「4. 구 기종으로 전화가 왔다」인 경우, 교환기(30)측의 신구 전환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자동적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접속하여(단계 S66), 사정을 파악해서 인간계에서 대응을 결정한다.
IVR 장치(29)로의 응답이 「5. 오퍼레이터에게 연결한다」인 경우, 자동적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접속한다(단계 S66).
이와 같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 경우에, 「5. 오퍼레이터에게 연결한다」를 이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한, 전부 자동적으로 처리가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기종 변경 확인을, IVR 장치(29)에 의한 자동 호출에 의해 이용자가 신 기종 휴대 전화(22)로 수신한 것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이용자로부터의 IVR 장치(29)에 대한 회답 처리를 자동화하는 구조에 의해, 종래와 같은 점두에서의 기종 변경 후 확인이 불필요해진다.
마지막으로, 기종 변경 신청 접수 시에 기종 변경 수속에 관계되는 대금의 결제를 불입 또는 대금 상환 이외로 지정한 경우에는, 기종 변경에 관계되는 대금을 통상 청구서에 합산하여 청구한다(통상은 월별).
또한, 휴대 전화 기종 변경 개통 장치의 컴퓨터가 지녀야 할 기능의 처리 내용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기술시켜 놓을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컴퓨터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 기록 장치나 반도체 메모리 등이 있다. 시장에 유통시키는 경우에는, CD-R0M(Compact Disk Read 0nly Memory)이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가반형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유통시키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 저장해 두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실행할 때에는,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 장치 등에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고, 메인 메모리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신청함으로써 사업자로부터 직접 송부되어 온 신 기종 휴대 전화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 기종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기종 변경 의뢰 확인, 교환기에 대한 기종 전환 지시, 메일 기능 및 음성계 기능의 확인, 고객 정보의 갱신을 행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기종 변경 신청, 신 기종 휴대 전화의 구입, 신 기종으로의 기종 변경 실시 및 그 확인 등 종래 점두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종 변경을 정규 이용자 자신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점두에서 행하지 않고 끝나게 된다.
또한, 기종 변경 실시를 구 기종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개시하도록 함으로써, 구 기종을 사용하는 본인의 인증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용자가 되어 기종 변경이 행해지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신 기종 휴대 전화를 출하할 때에 발행한 패스워드 및 신청하여 접수 시의 접수 번호를 대조함으로써, 신청자가 아니면 기종 변경 실시를 행할 수 없다.
신 기종 휴대 전화에 대한 개통 확인에 대해서, 메일 기능, IVR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을 자동화하여 사업자의 작업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기종 변경에 따른 사업을 대리점을 통하지 않고 행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 직판화를 추진할 수 있고, 불필요한 수수료를 대리점 등에 지불하지 않아도 되며, 사업의 건전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전환하는 기종 변경 장치 (handset upgrading system)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의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에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되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확인하는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과,
    상기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이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폐색(閉塞)과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개통(開通)을 지시하는 전환 지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은, 사전에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상기 제2 휴대 전화로의 기종 변경의 신청을 한 이용자로부터의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신청 접수 시에, 이용자에게 통지되는 접수 번호, 상기 제2 휴대 전화와 함께 이용자에게 송부되는 패스워드 및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에 네트워크 상에 전송되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와, 신청 접수 시에 생성된 예약 정보와의 대조에 의해 확인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 전화가 갖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기능 확인 수단과,
    상기 기능 확인 수단이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제2 전환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확인 수단은 메일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로 메일을 송출하고 이용자로부터의 메일 회신을 받음으로써 상기 제2 휴대 전화가 갖는 메일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메일 기능 확인 수단과, 자동 음성 응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로 음성을 송출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응답을 받음으로써 상기 제2 휴대 전화가 갖는 음성계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기능 확인 수단은 이용자로부터의 메일 회신이 소정 시간 내에 없는 경우에,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은, 이용자로부터의 응답이 소정 시간 내에 없는 경우에,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은 이용자로부터의 응답이 소정의 응답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기능 확인 수단이 상기 메일 서버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로 메일을 송출하고, 상기 음성계 기능 확인 수단이 상기 자동 음성 응답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로 상기 메일 기능 확인 수단이 송출한 메일의 수신을 조회하여, 이용자로부터 그 음성 조회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종 변경 장치.
  9.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전환하는 기종 변경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에서 사전에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의 기종 변경신청을 한 이용자로부터의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에 네트워크 상에 전송되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기종 변경 의뢰를 확인하는 단계가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휴대 전화가 갖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단계가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전환하는 기종 변경 방법.
  10.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 이용가능한 휴대 전화를 전환하는 기종 변경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를 동작시켜 네트워크 상에서 사전에 제1 휴대 전화로부터 제2 휴대 전화로의 기종 변경 신청을 한 이용자로부터의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 의뢰인 것을, 휴대 전화가 통화를 행할 때에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휴대 전화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기초로, 확인하는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과,
    상기 기종 변경 의뢰 확인 수단이 상기 제1 휴대 전화를 사용한 기종 변경의뢰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제1 전환 지시 수단과,
    상기 제2 휴대 전화가 갖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기능 확인 수단과,
    상기 기능 확인 수단이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동작이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상기 제2 휴대 전화의 폐색과 상기 제1 휴대 전화의 개통을 지시하는 제2 전환 지시 수단
    을 기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10016520A 2000-07-27 2001-03-29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장치, 기종 변경 방법, 및 기종변경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614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7629 2000-07-27
JP2000227629A JP3639194B2 (ja) 2000-07-27 2000-07-27 機種変更装置および機種変更方法ならびに機種変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56A true KR20020010456A (ko) 2002-02-04
KR100614170B1 KR100614170B1 (ko) 2006-08-25

Family

ID=1872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520A KR100614170B1 (ko) 2000-07-27 2001-03-29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장치, 기종 변경 방법, 및 기종변경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95703B2 (ko)
JP (1) JP3639194B2 (ko)
KR (1) KR100614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441B2 (en) * 1998-09-03 2006-03-28 Casabyte, Inc. Test system for remotely testing switch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980294B2 (ja) * 2001-06-04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申請受付システム、申請受付装置、申請機能付き通信端末
US7162736B2 (en) * 2001-08-20 2007-01-09 Schlumberger Omnes, Inc. Remote unblocking with a security agent
US7219222B1 (en) * 2002-01-18 2007-05-15 Ge Medical Technology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to grant access to software options resident on a medical imaging device
US7363055B2 (en) * 2002-05-09 2008-04-22 Casabyte, Inc.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to remotely associat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with subscriber identities and/or proxy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20040005876A1 (en) * 2002-07-03 2004-01-08 Samuli Tuoriniemi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and controlling capabilities of a mobile device
JP3651605B2 (ja) * 2002-09-06 2005-05-25 株式会社東芝 認定試験方法、認定試験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認定装置
KR100539778B1 (ko) * 2002-12-31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어 파라메터 변경방법
FR2849705B1 (fr) * 2003-01-08 2006-03-03 Vanexp Procede et systeme de transfert de donneees entre des bornes publiques interactives et des terminaux personnels
US20040240653A1 (en) * 2003-02-05 2004-12-02 Artoun Rami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236780B2 (en) * 2003-07-21 2007-06-2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hanging mobile subscriber service plan
US7334261B2 (en) * 2003-07-30 2008-02-19 Xerox Corporation Machine post-launch configuration and option upgrade with master key
US20080280588A1 (en) 2004-02-20 2008-11-13 Brian Roundtree User Interface Methods, Such as for Customer Self-Support on a Mobile Device
KR100606119B1 (ko) * 2004-06-04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이동통신용 휴대 단말기를이용한 프린터 제어 방법
JP4516795B2 (ja) * 2004-08-06 2010-08-04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8923838B1 (en) 2004-08-19 2014-12-30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ctivating a cellular phone account
WO2006034399A2 (en) * 2004-09-21 2006-03-30 Snapin Software Inc. Secure software execution such as for use with a cell phone or mobile device
US20060094428A1 (en) * 2004-11-03 2006-05-04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set register system and method
WO2006089065A1 (en) * 2005-02-17 2006-08-24 Casabyt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to remotely test communications networks using digital fingerprints of content
US7539484B2 (en) * 2005-02-22 2009-05-26 Snapin Soft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voice calls, such as enhancing voice calls with data services
WO2007002499A2 (en) 2005-06-24 2007-01-04 Snapin Software Inc. Local intercept methods, such as applications for 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for training, information calls and diagnostics
US20060200814A1 (en) * 2005-03-02 2006-09-07 Nokia Corporation Software distribution with activation control
US8204204B2 (en) 2005-06-21 2012-06-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er routing of customers
US20070078957A1 (en) * 2005-08-24 2007-04-05 Nokia Corporation Firmware-licensing system for binding terminal software to a specific terminal unit
US20070053365A1 (en) * 2005-09-02 2007-03-08 Yongho Choi One digital network control system
US8682298B2 (en) * 2005-10-12 2014-03-25 Nuance Communications, Inc. Message intercept methods, such as for customer self-support on a mobile device
EP1969886B1 (en) * 2005-12-13 2017-09-20 Nuance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performing interactive services on a mobile device, such as time or location initiated interactive services
US8682748B1 (en) * 2005-12-21 2014-03-25 Nuance Communications, Inc. Self-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to communicate with a user regarding a conflict with a product
US20080195897A1 (en) * 2006-05-12 2008-08-14 David Alaniz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Assisting in Troubleshooting
US7617423B2 (en) * 2006-08-14 2009-11-10 Kyoce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porting, and repairing of software defects for a wireless device
EP2074807A4 (en) * 2006-10-03 2012-03-28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OR PERFORMING FUNCTIONS IN REMOVABLE MEMORY, SUCH AS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OF A MOBILE DEVICE
WO2008086320A1 (en) * 2007-01-05 2008-07-17 Snapin Software Inc. Methods of interacting between mobile devices and voice response systems
WO2008101135A1 (en) 2007-02-14 2008-08-21 Snapi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managing data stored on mobile devices, such as enterprise mobility data
WO2008128119A1 (en) 2007-04-12 2008-10-23 Snapi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utually supported capabilities between mobile devices
US8295457B2 (en) 2007-09-26 2012-10-23 Dsi-Iti,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ee phone calls through an institutional phone system
US9386154B2 (en) * 2007-12-21 2016-07-05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 method and software program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customer service agents and users of communication devices
KR101473460B1 (ko) * 2007-12-27 2014-12-18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모바일 전화 단말을 통해서 서비스를 향유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가입자 식별 카드
US8589149B2 (en) 2008-08-05 2013-11-19 Nuance Communications, Inc. Probability-based approach to recognition of user-entered data
JP5427019B2 (ja) * 2009-12-25 2014-02-26 株式会社ウィルコム 携帯端末機器契約装置及び携帯端末機器契約方法
JP5462021B2 (ja) * 2010-02-16 2014-04-02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US8391464B1 (en) 2010-06-24 2013-03-05 Nuance Communications, Inc. Customer service system, method, and software program product for responding to queries us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8755783B2 (en) * 2011-12-19 2014-06-17 Cellomat Israel Ltd. Automatic mobile communicator depot system and methodology
US9276934B2 (en) * 2014-03-31 2016-03-01 Cellco Partnership Self-activation of user device
US20150319612A1 (en) 2014-05-01 2015-11-05 Global Tel*Link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Called Parties of Individuals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CN105873010B (zh) * 2015-01-19 2021-11-2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支持用户设备接入无线网络的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US9769310B2 (en) 2015-11-19 2017-09-19 Global Tel*Link Corporation Authentication and control of incoming communication
US9794399B1 (en) 2016-12-23 2017-10-17 Global Tel*Link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lingual authentication access to communication system in controlled environment
US10140601B2 (en) * 2017-04-11 2018-11-27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les, provisioning, and user care vending kiosk
JP2023008559A (ja) * 2021-07-06 2023-0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501A (en) * 1988-08-08 1992-05-26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ic regrouping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JPH02174448A (ja) * 1988-12-27 1990-07-05 Sony Corp 電話機
JP2630227B2 (ja) * 1993-11-25 1997-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ソフトウェア自動同時更新システム
EP0746955A4 (en) * 1994-02-24 1999-08-18 Gte Mobile Comm Servinc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WITH REMOTE PROGRAMMING STATIONS
US5745850A (en) * 1994-10-24 1998-04-28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e.g. cellular or wireless) telephone call handover and impersonation
SE516006C2 (sv) * 1995-01-10 2001-11-05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ystem för ett företag/organisation
US6167253A (en) * 1995-01-12 2000-12-2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obile data/message/electronic mail download system utilizing network-centric protocol such as Java
GB2304257A (en) * 1995-08-08 1997-03-12 Northern Telecom Ltd Method of Effecting SIM Card Replacement
US6026293A (en) * 1996-09-05 2000-02-15 Ericsson Inc. System for preventing electronic memory tampering
KR100287137B1 (ko) * 1997-04-11 2001-04-16 윤종용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버전 관리방법
DE19732294A1 (de) * 1997-07-26 1999-01-28 Alsthom Cge Alcatel Verfahren zur Steuerung der Anrufleitung und Kommunikationsendgerät
US6587684B1 (en) * 1998-07-28 2003-07-01 Bell Atlantic Nynex Mobile Digital wireless telephone system for downloading software to a digital telephone using wireless data link protocol
US6247142B1 (en) * 1998-08-21 2001-06-12 Aspect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cy in a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US6195547B1 (en) * 1998-09-24 2001-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a previously activated mobile station to challenge network mobile station knowledge during over the air activation
US6449479B1 (en) * 1999-04-30 2002-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ubscriber service modification
KR100606806B1 (ko) * 1999-09-2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20010090626A (ko) * 2000-04-08 2001-10-19 이기방 특정영역을 인식하여 휴대폰의 작동모드변환방식과 이를이용한 이동통신기기
JP2001296995A (ja) * 2000-04-13 2001-10-26 Nec Corp 情報更新方法、情報更新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情報更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39194B2 (ja) 2005-04-20
JP2002044731A (ja) 2002-02-08
KR100614170B1 (ko) 2006-08-25
US6795703B2 (en) 2004-09-21
US20020034940A1 (en)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170B1 (ko) 휴대 전화의 기종 변경 장치, 기종 변경 방법, 및 기종변경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160219B2 (en) Controlled three way calling
KR20000053241A (ko) 선납 전기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40029561A1 (en) Revert charg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RU2165679C1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лат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варианты)
JPH10164234A (ja) 電話の通話制御方法
US20020035479A1 (en) Access contract changing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an access contract between a prepaid contract and a postpaid contract
CA24566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bills for use in communications services
JPH06243150A (ja) 電話回線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によるサービス提供方式
JP4302277B2 (ja) 情報表示型携帯電話所有者に対する課金代行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090080631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renting telephone number
KR100342723B1 (ko) 은행 계좌 내용 변경 통보 방법
KR100803103B1 (ko) 전화번호 임대 처리방법 및 전화번호 임대 처리시스템
CN100411397C (zh) 用于基于VoIP技术的对方付费呼叫业务的方法及其系统
JP3352637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2763082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残金額・残度数集中管理装置
KR100568128B1 (ko)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아웃 바운드형 결제의 전자동 처리시스템 및 방법
JP3447668B2 (ja) 携帯電話機の機種変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58565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42972B1 (ko)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형 국제전화카드와 그 판매방법 및그것을 이용한 전화서비스방법
JP3821668B2 (ja) プリペイド型携帯電話の通話度数登録・更新方法
KR100674344B1 (ko) 무료전화 서비스에서 소규모(soho)가입자 관리 방법
JP2002142023A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通信データ送出方法
KR100848373B1 (ko)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JP2003143331A (ja) プリペイド管理方法及びプリペイド管理システム及びプリペイド管理プログラム及びプリペイド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