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373B1 -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373B1
KR100848373B1 KR1020060064557A KR20060064557A KR100848373B1 KR 100848373 B1 KR100848373 B1 KR 100848373B1 KR 1020060064557 A KR1020060064557 A KR 1020060064557A KR 20060064557 A KR20060064557 A KR 20060064557A KR 100848373 B1 KR100848373 B1 KR 10084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peed dial
toll
communication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781A (ko
Inventor
김채용
조장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6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37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8Metering calls to called party, i.e. B-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VoIP를 포함한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기간통신사업자가 수행하고 있는 부가통신서비스 중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비교적 빈번하게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특정한 개별 전화기 사이에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자부담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통신사업자가 발신자 측의 요청에 따라 일정 규모의 단축번호를 발신자 측에 할당하는 한편,
단축번호의 부여와 함께 고객DB에 등록된 수신자에게 이를 고지한 후, 발신자로부터의 통신 요청이 있을 경우 수신자부담으로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수신자의 승낙을 사전에 일괄적으로 득하고,
이어서 당해 번호에 대한 단축번호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등록되었음을 발신자 측에 알린 다음, 이를 고객DB에 등록하여 두고,
이후 상기 발신자 측으로부터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정 전화번호로의 통신이 단축번호로 요청되면,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하여 본인의 인증 및 수신자 측의 승락과정을 생략한 채, 곧 바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축번호, 수신자부담, 개인화, 전화기, 휴대폰, 인증, 과금, 단축번호서버, 단축번호DBMS

Description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A short dialing and collectcall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
도1은 종래의 수신자부담 방식 통화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종래의 수신자부담 방식 통화시스템의 흐름도
도3은 종래의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방식 통화시스템의 구성도
도4는 종래의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방식 통화시스템의 흐름도
도5는 본원발명에 의한 개인화된 수신자부담 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6은 본원발명에 의한 고객등록 흐름도
도7은 본원발명에 의한 회원관리 DB의 구성도
도8은 본원발명에 의한 고객관리 DB의 구성도
도9는 본원발명에 의한 단축번호 DB의 구성도
도10a는 본원발명에 의한 수신자부담 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 제공 흐름도
도10b는 본원발명에 의한 신자부담 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 제공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 200 : 유무선통신교환기
300 : 데이터시스템
310 : 과금시스템 311 : 과금서버
312 : 과금DBMS 320 : 단축번호시스템
321 : 단축번호서버 322 : 단축번호DBMS
330 : 인증시스템 331 : 인증서버
332 : 인증DBMS
340 : 고객DB
400 : 통신사업자교환기 500 :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
<발명의 기술적 배경>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정보통신의 수요를 촉진하고, 정보통신수요의 촉진은 곧 바로 정보통신기기의 공급 체계에 치열한 경쟁을 불러왔으며, 공급 체계의 경쟁은 다시 피드백되어 통신수요를 더욱 부채질하면서 통신시장을 급격히 확장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통신시장의 확장은 새로운 수요의 촉진을 가져와 급기야 1인 1대의 전화 보급률을 시현하면서 새로운 소비자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공급자가 개발한 기술에 한정되었으며, 소비자는 이를 선택하는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조건을 공급자가 개발하여 충족시켜 주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미리 인지하고 이를 먼저 개발하여 공급하는 자가 시장을 선점하는 방식으로 수요 공급의 패턴이 전환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장 패턴의 변화는 소비자의 구미에 맞는 통신서비스의 출현으로 가시화되고 있으며,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이미 통신기술이 고도화되고 보편화되어 있는 기간통신 분야를 제외한다면, 현시점에서의 통신서비스의 품질 개선은 결국 누가 먼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는 매력적이고 편리한 부가통신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통신사들은 앞 다투어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새로운 부가통신 서비스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원발명은 기간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통신서비스 중, 단축번호서비스와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일반 전화기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매 통화시마다 개별적인 수신자 인증을 위한 과정을 생략함으로서 통신수행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신자부담방식의 콜렉트콜 통신이나 단축번호 서비스가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기술 1>
현재 일반 전화기에 제공되고 있는 수신자 부담 통신 서비스는 도1 및 2에서와 같은 방식이 있다.
이 통신시스템은 일반 전화기 가입자가 콜렉트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폰 사업자에게 콜렉트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면 휴대폰 사업자 교환기는 인증서버와 고객DB를 확인하여 이를 인증한 후, 수신자를 호출하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군입대를 포함한 여러 가지 이유로 사용이 일시정지중인 가입자, 기존 휴대전화서비스 가입자 및 일반 휴대전화서비스에는 가입하지 않고 가상 휴대전화번호서비스에만 가입한 자 가운데 자신의 휴대전화가 없는 상태에서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신전화기; 상기 발신전화기로부터 콜렉트콜번호 해당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전화사업자용 교환기; 상기 유선전화사업자용 교환기와 호 신호를 교환하는 휴대폰 사업자 교환기; 상기 휴대폰 사업자 교환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호를 이루는 수신전화기; 및 상기 휴대폰사업자 교환기의 협조로 회원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버,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장비 및 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수신자부담서비스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1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도2의 동작과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수신자부담서비스 이용자가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사업자의 특정 전화번호(예를 들면 1682, 1677, 1633 등)를 누르고 콜렉트콜 서비스사업자의 확인을 거쳐 콜렉트콜 서비스사업자가 제공하는 메시지에 따라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한 다음, 특정키(서비스 통화 신청을 위한 #버튼 혹은 통화버튼 등)를 누르고 나서, 최종적으로 수신자의 발신자 인증 및 수신 승낙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한 통의 수신자부담 전화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대단히 많은 횟수의 다일얼링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수신자 인증을 위해 본인의 신원을 확인토록 허용해야만 하는 불쾌함을 감수해야 하며, 수신자 인증 등에 필요한 시간을 불필요하게 소비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 2>
또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단축번호 서비스는 도3 및 도4와 같은 방식이 있다.
도3은 가입자가 발신자측 교환기의 고객관리 서버에 미리 자신이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두고 해당 번호를 호출하고자 할 경우 단축번호를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소수의 특정한 전화번호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서비스이다.
<종래의 기술 2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콜렉트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만일 이를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는 시스템에서 적용하고자 한다면, 통화를 개시하기 이전에 반드시 종래의 기술1에서와 같이 별도의 콜렉트콜 서비스를 신청하는 절차를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수신자에게 발신자의 신원을 확인시켜주는 과정과 수신자의 통화승낙을 받아야만 하는 과정은 여전히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즉 콜렉트콜서비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수신자가 발신자의 번호를 등록하여 두고 단축번호 서비스를 이용해서 다이얼링을 하더라도 이는 오직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수신자는 당해 시스템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기 때문에 통신사업자는 수신자에게 수신자부담의 통신임을 고지하고 미 리 허락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수신자는 여전히 발신자의 확인과 함께 수신 승락을 하여야만 하며, 이로 인해 발신자는 일정시간 수신자의 승낙이 있을 때까지 통화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원발명은 VoIP를 포함한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기간통신사업자가 수행하고 있는 부가통신서비스 중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비교적 빈번하게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특정한 개별 전화기 사이에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자부담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통신사업자가 발신자 측의 요청에 따라 일정 규모의 단축번호를 발신자 측에 할당하는 한편, 단축번호의 부여와 함께 고객DB에 등록된 수신자에게 이를 고지한 후 발신자로부터의 통신이 요청이 있을 경우 수신자부담으로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수신자의 승낙을 사전에 일괄적으로 득하고, 이어서 당해 번호에 대한 단축번호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등록되었음을 발신자 측에 알린 다음 이를 고객DB에 등록하여 두고, 이후 상기 발신자 측으로부터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정 전화번호로의 통신이 단축번호로 요청되면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하여 본인의 인증 및 수신자 측의 승낙과정을 생략한 채, 곧 바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구성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원발명에 의한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은, 도5에서와 같이,
발신자가 수신자부담통화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유무선전화기(100)와;
상기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100)로부터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해당 통신사업자의 교환기와 연결하여 주는 유무선전화사업자 교환기(200)와;
상기 유무선전화사업자 교환기(200)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데이터시스템(300)의 지원을 받아 발신자가 단축번호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단축번호 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이 아니면 일반적인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축번호 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이면 데이터시스템(300)의 고객DB(34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다운받아 수신자를 호출하는 통신사업자 교환기(400)와;
상기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로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가 단축번호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한편, 발신자가 단축번호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이면, 고객DB를 검색하여 등록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로 제공하는 데이터시스템(300)과;
상기 통신사업자교환기의 호출에 따라 수신자부담방식으로 발신자와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시스템(400)은 다시,
단축번호 및 수신자 부담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시스템(310)과;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발신자 측 가입자 및 수신자 측 전화기의 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한편, 발신자 측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단축번호시스템(320)과;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의 요청이 있을 경우 가입자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등록 관리하고 이를 인증하는 인증시스템(330)과;
상기 과금시스템(310), 단축번호시스템(320)과 인증시스템(330)에 연결되어 발신자 측 데이터와 수신자 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객DB(3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과금시스템(310)은 단축번호 및 수신자 부담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서버(311)와, 과금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과금DBMS(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축번호시스템(320)은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발신자 측 가입자 및 수신자 측 전화기의 데이터를 등록·관리·제공하는 단축번호서버(321)와,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를 관리하는 단축번호DBMS(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증시스템(330)은 발신자 측 가입자로부터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의 요청이 있을 경우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서버(331)와,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증DBMS(332)로, 각각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원서비스가 개시되기 위해서는 먼저 발신자 측에서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자가 통신사업자를 방문하여 회원 가입을 하고 수신자 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 신청을 한 다음, 고객고유번호를 부여받고 개인별 계정을 할당 받아야만 한다.
이를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원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해서 도6에서와 같이, 발신자측에서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자는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수단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 통신사업자를 방문하여 회원 가입을 한다.(S-1단계)
발신자자측의 회원가입 신청이 있을 경우, 통신사업자는 이를 단축번호서버(321)를 통해 고객BD(340)에 등록하고 일단 잠재적 고객으로 분류한 다음, 회원번호를 부여한다. (S-2단계)
이때 회원별로 작성되는 테이블을 예시하면 도7과 같다.
이어서 회원가입자가 통신사업자에게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 신청을 한다. (S-3단계)
서비스신청을 할 때, 회원가입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단축번호의 수를 같이 신청하게 되며, 단축번호의 수는 통신사업자의 과금정책을 고려하여 가장 경제적인 범위에서 결정을 함으로서 불필요한 지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개인별로 할당되는 단축번호의 수는 통신사업자의 시스템 구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과금정책결정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음 통신사업자는 신청서에 기재된 정보와 회원정보를 활용하여 고객DB를 작성하고, (S-4단계)
이어서 고객번호를 부여하는 한편, 개인별 계정을 할당한다. (S-5단계)
이 때, 통신사업자는 회원가입자가 서비스신청을 할 당시 신청하는 단축번호의 수에 따라 개인별로 할당되는 DB의 규모를 결정함으로서 개인별로 사용가능한 단축번호의 수의 상한선을 정하고 그에 따라 개인별 계정을 할당한 다음, 할당된 단축번호의 수에 따라 과금방식을 결정하고 나서 그 내역을 고지하게 된다.
이때 고객별로 작성되는 고객관리 테이블은 도8 및 도9와 같다.
또한 이 경우, 개인별로 할당되는 단축번호의 수의 상한선과 과금방식은 전적으로 통신사업자가 스스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단축번호의 수와 추가되는 단축번호의 수의 상한선을 미리 정해두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개인별로 할당되는 단축번호의 수는 시스템의 규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초기투자비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원가의 결정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단축번호의 수를 20개, 추가로 부여할 수 있는 단축번호의 수를 79개로 하여 개인별로 할당되는 단축번호의 수를 99개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불변의 것은 아니고, 통신사업자의 사업추진 방향 및 사업의지에 따라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다만, 추가되는 단축번호의 수를 무제한으로 하거나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단축번호의 수를 크게 할 경우 각 개인에게 기본적으로 할당해야할 데이터의 영역이 지나치게 넓어져서 기본요금의 상승을 가져옴으로서 서비스의 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개인적으로 부여되는 단축번호의 수를 제한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단축번호의 수가 두 자리 수(최대 99개)인데 반해 특정한 소수의 사람이 세 자리수(999)까지 청구하는 것을 수용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개인별로 할당해야 할 데이터의 영역이 10배로 커지게 되어 매우 불리해진다.
또한 과금 방식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단축번호의 수에는 기본 요금을 적용하고 추가되는 단축번호의 수에는 할인된 요금을 적용하여 수요를 촉진할 수 있다.
이때 고객별로 작성되는 테이블은 도8 및 도9와 같다.
또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신자 측 전화기에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단축번호는 고객번호(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고유의 고객번호 : 예를 들면 7654)와 고객별로 제공되는 단축번호의 순차번호(예를 들면 고객에게 부여된 단축번호 중 12번째의 것 : 예시된 번호 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수신자별로 중복을 피하고 쉽게 단축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9의 경우 단축번호의 조합은 7654 + 12가 됨으로서 부여되는 단축번호는 765412가 된다. 이는 고객번호가 유일한 것이며, 단축번호의 순차번호도 당해 고객에게는 유일한 것이므로 고객간에 별도의 고려를 하지 않더라도 중복의 우려는 전혀 없다.
따라서 위와 같이 단축번호를 부여할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번호에 대응하는 수신자 번호(xxx-xxx-xxxx : 10자리)가 위 단축번호(765402 : 6자리)로 대체되게 된다.
또한 이 때 통신사업자가 수용 가능한 고객의 수는 9999명이 되며, 각 고객별로 수용 가능한 단축번호의 수는 99개가 되고, 전체적으로 수용 가능한 단축번호의 수는 손실되는 번호를 고려하더라도 최소한 900000개 이상은 확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계정을 부여 받은 고객은 자신에게 부여된 단축번호의 수를 활용하여 언제든지 단축번호를 입력, 변경,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즉 예시된 바에 따라 99개의 단축번호를 부여받았다면, 자신이 희망하는 수신자에게 부여되는 단축번호는 자신이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고객번호 7654의 단축번호 순번 11에 등재됨으로서 단축번호 765411을 배정받았던 성명 000의 전화번호 000-000-0000을 삭제하고, 고객번호 7654의 단축번호 순번 12에 등재됨으로서 단축번호 765412를 배정받았던 성명 xxx의 전화번호 xxx-xxx-xxxx를 단축번호 순번 11에 등재하면 성명 xxx의 전화번호 xxx-xxx-xxxx의 단축번호가 765412에서 765411로 변경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축번호 등록이 완료되고 나면, 통신사업자는 상기 등록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가진 가입자에게 전화를 연결하여 수신자 부담의 단축번호 서비스를 요청한 사람의 정보를 제공하고, 과금방식을 고지하는 한편, 이후부터 동 발신자로부터 수신자부담의 통신요청이 있을 경우 수신자의 사전 동의가 없어도 계속 수신을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수신자가 이에 수락하면 도9의 테이블의 수락여부 란에 이를 기록함으로서, 이후부터는 수신자의 확인이 없어도 곧 바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조치해 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에게 부여된 단축번호는 고객이 임의로 등재·변경·삭제할 수 있으므로 고객이 자신에게 주어진 단축번호의 수의 범위 내에서 통신사업자의 간섭을 받지 않고 단축번호를 임의로 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축번호의 등재·변경·삭제는 별도의 엄격한 사용자 인증을 거치도록 하여야 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강화된 보안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적용하므로서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등록된 단축번호는 단축번호 서버(321)와 그에 탑재된 단축번호DBMS(322)에 의해 고객DB(340)에 저장되며, 이후 고객의 요청에 따라 활용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고객별 단축번호가 부여된 상태에서 본원발명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발신자 측에서 유무선 전화기(100)를 소지한 소지자가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면,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교환기(400)의 전화번호를 먼저 선택하여 다이얼링한다.
예를 들면, 1682, 1633, 1677 등이 된다.
이어서 유무선전화사업자교환기(200)를 통해 통신사업자교환기(400)가 연결되고 착신음이 떨어지면 발신자(100)는 곧바로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버튼을 누른다.
여기에서 단축서비스를 요청하는 버튼은 특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통신사업자가 미리 선택하여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면, 본원에서 콜렉트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나 *버튼이 될 수도 있고, 특정한 숫자 버튼이 될 수도 있으나, 이는 오직 통신사업자가 결정할 선택의 문제로서 통신사업자 교환기(400)가 이를 인식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단축번호서비스 제공요청이 오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발신자측 전화번호를 인증서버(331)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인증서버(331)는 통신사업자교환기(400)의 요청에 따라 인증 DBMS(332)를 활용해서 고객DB(340)를 검색하여,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한 발신자측 전화전화번호가 등록된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을 한다.
이어서 인증서버(331)는 인증된 결과를 통신사업자교환기(400)로 통보한다. 여기에서 인증된 결과를 통보한다 함은, 고객DB(340)를 검색한 결과 서비스 요청자가 등록된 고객일 경우 고객번호(예를 들면, 7654)를 전송하고, 등록된 고객이 아닐 경우 고객번호가 없음을 통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인증서버(331)로부터 통보된 인증결과를 확인하고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한 자가 인증된 자가 아니면(등록된 고객이 아니면) 종래의 수신자 부담 서비스방식으로 전환한 다음, 일반 고객에게 제공하는 수신자부담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라 수신자부담 서비스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후의 과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요청한 자가 인증된 자이면(등록된 고객이면), 인증서버로부터 제공된 고객번호(예를 들면, 7654)를 단축번호서버(321)로 전송하여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전화번호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에 따라 단축번호서버(321)는 인증DBMS(332)를 통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로부터 제공된 고객번호에 할당된 단축번호순번(예를 들면, 12)을 검색하여 단축번호(예를 들면, 765412)에 상응하는 수신자전화번호를 찾는다.
이어서 단축번호서버(321)는 고객관리테이블(도9)를 검색하여 요청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예를 들면, xxx-xxx-xxxxx)의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예를 들면, xxx-xxx-xxxxx)를 가진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지 않았으면, 이 사실을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로 통보한다.
이어서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는 발신자에게 수신자번호(예를 들면, xxx-xxx-xxxxx)의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지 않았음을 통보하고,
일반적인 수신자부담 절차에 따라 종래의 수신자부담 방식으로 통신을 계속할 것인지 아니면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발신자가 상황 종료를 요청하면 상황을 종료하고 호를 차단한다.
한편 발신자가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으로 계속해서 통신하기를 희망하면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 체제로 전환하고 이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위 수신자 동의 여부 판단과정에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예를 들면, xxx-xxx-xxxxx)의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였으면 단축번호서버(321)는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예를 들면, xxx-xxx-xxxxx)를 리딩 하고,
이어서 단축번호서버(321)는 요청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예를 들면, xxx-xxx-xxxxx)를 통신사업자교환기(400)로 전송한다.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단축번호서버(321)로부터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전화번호가 수신되면 동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수신자와 통신네트웍을 연결한다.
위에 예시한 것은 수신자부담 서비스 요청 번호(예를 들면 1682, 1633, 1677)를 다이얼링한 후, 단축번호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예를 들면 #, *, 기타 특정 신호)를 다이얼링한 다음, 단축번호(예를 들면 01 ~ 99)를 다이얼링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다이얼링 과정에서 위에서 예시한 것과는 달리 다이얼링 순서를 바꾸어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버튼을 단축번호의 뒤에 둘 수도 있다.
즉, 먼저 수신자부담 서비스 요청 번호(예를 들면 1682, 1633, 1677)를 다이얼링한 후, 곧 바로 단축번호(예를 들면 01 ~ 99)를 다이얼링한 다음, 마지막으로 단축번호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예를 들면 #, *, 기타 특정 신호)를 다이얼링할 수도 있다.
이는 다이얼링의 편의상 숫자를 연속하여 다이얼링한 다음 기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리듬감이 있어 다이얼링에 더 편리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수신자부담 서비스 요청번호(예를 들면 1682, 1633, 1677)를 다이얼링한 후, 단축번호를 시간간격을 두지 않고 연속적으로 입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일반적인 수신자부담 서비스만을 요청하는 경우와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만일 수신자부담 서비스 요청번호(예를 들면 1682, 1633, 1677)를 다이얼링한 후,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1 ~ 2초) 이상의 시간간격이 존재하게 되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이를 단순히 수신자부담 서비스만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종래의 방식에 따른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어서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양측의 통신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감시를 개시한다.
발신자 측과 수신자 측에 통신네트웍이 연결되면 양측은 통신을 수행한다.
이어서 통신수행과정을 감시하는 통신사업자교환기(400)에게 통신이 종료되었음이 감지되면(네트웍이 차단되었음이 감지되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통신시간 및 서비스제공 수수료 산정에 필요한 약정내용(예를 들면, 개인별로 할당된 단축번호의 수 및 기본 요금 등)을 과금서버(311)로 전송한다.
상기 내용을 제공받은 과금서버(311)는 과금DBMS(312)를 활용하여 서비스요청 당시 약정한 기준에 따라 고객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한 데 대한 수수료를 과금하게 된다.
과금이 완료되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다른 고객의 서비스 신청을 기다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일반 유무선용 전화기에서 수신자 부담 방식으로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에 의하면,
VoIP를 포함한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기간통신사업자가 수행하고 있는 부가통신서비스 중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비교적 빈번하게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특정한 개별 전화기 사이에서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자부담방식으로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자 부담에 대한 수신자 측 허락을 사전에 득하고, 그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므로 매 통화시마다 수신자 측이 발신자를 확인하는 과정과 발신자가 수신자의 허락을 득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빠르고 유쾌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발신자가 수신자부담통화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유무선전화기(100)와;
    상기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100)로부터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될 경우 이를 인지하여 해당 통신사업자의 교환기와 연결하여 주는 유무선전화사업자 교환기(200)와;
    상기 유무선전화사업자 교환기(200)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데이터시스템(300)의 지원을 받아 발신자가 단축번호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단축번호 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이 아니면 일반적인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축번호 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이면 데이터시스템(300)의 고객DB(34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다운받아 수신자를 호출하는 통신사업자 교환기(400)와;
    상기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로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가 단축번호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한편, 발신자가 단축번호서비스 등록을 마친 고객이면, 고객DB를 검색하여 등록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로 제공하는 데이터시스템(300)과;
    상기 통신사업자교환기의 호출에 따라 수신자부담방식으로 발신자와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500)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시스템(300)은,
    단축번호 및 수신자 부담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시스템(310)과;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발신자측 가입자 및 수신자 측 전화기의 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한편, 발신자 측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단축번호시스템(320)과;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의 요청이 있을 경우 가입자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등록 관리하고 이를 인증하는 인증시스템(330)과;
    상기 과금시스템(310), 단축번호시스템(320)과 인증시스템(330)에 연결되어 발신자 측 데이터와 수신자 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객DB(340)로;
    구성되며,
    상기 과금시스템(310)은 단축번호 및 수신자 부담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서버(311)와, 과금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과금DBMS(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축번호시스템(320)은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발신자 측 가입자 및 수신자 측 전화기의 데이터를 등록·관리·제공하는 단축번호서버(321)와,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축번호DBMS(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증시스템(330)은 발신자 측 가입자로부터 단축번호 및 수신자부담 서비스의 요청이 있을 경우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서버(331)와,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증DBMS(332)로,
    각각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발신자 측에서 유무선 전화기(100)를 소지한 소지자가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면,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교환기(400)의 전화번호를 먼저 선택하여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유무선전화사업자교환기(200)를 통해 통신사업자교환기(400)가 연결되고 착신음이 떨어지면 발신자(100)는 곧바로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단축번호서비스 제공요청이 오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발신자 측 전화번호를 인증서버(331)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인증서버(331)는 통신사업자교환기(400)의 요청에 따라 인증 DBMS(332)를 활용해서 고객DB(340)를 검색하여,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한 발신자 측 전화번호가 등록된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인증서버(331)는 인증된 결과를 통신사업자교환기(400)로 통보하는 단계와;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인증서버(331)로부터 통보된 인증결과를 확인하고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한 자가 인증된 자가 아니면(등록된 고객이 아니면) 종래의 수신자 부담 서비스방식으로 전환한 다음, 일반 고객에게 제공하는 수신자부담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라 수신자부담 서비스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후의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요청한 자가 인증된 자이면, 인증서버로부터 제공된 고객번호를 단축번호서버(321)로 전송하여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전화번호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진자전화번호 제공요청에 따라 단축번호서버(321)는 인증DBMS(332)를 통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로부터 제공된 고객번호에 할당된 단축번호순번을 검색하여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전화번호를 찾는 단계와;
    단축번호서버(321)는 고객관리테이블을 검색하여 요청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의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를 가진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지 않았으면, 이 사실을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로 통보하는 단계와;
    통신사업자 교환기(400)는 발신자에게 수신자번호의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지 않았음을 통보하고 일반적인 수신자부담 절차에 따라 종래의 수신자부담 방식으로 통신을 계속할 것인지 아니면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발신자가 상황 종료를 요청하면 상황을 종료하고 호를 차단하는 단계와;
    발신자가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으로 계속해서 통신하기를 희망하면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 체제로 전환하고 이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위 수신자 동의 여부 판단과정에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의 가입자가 수신자부담 서비스에 동의하였으면 단축번호서버(321)는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를 리딩하는 단계와;
    단축번호서버(321)는 요청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번호를 통신사업자교환기(400)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단축번호서버(321)로부터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전화번호가 수신되면 동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수신자와 통신네트웍을 연결하는 단계와;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양측의 통신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감시를 개시하는 단계와;
    발신자 측과 수신자 측에 통신네트웍이 연결되면 양측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통신수행과정을 감시하는 통신사업자교환기(400)에게 통신이 종료되었음이 감지되면 통신사업자교환기(400)는 통신시간 및 서비스제공 수수료 산정에 필요한 약정내용을 과금서버(311)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내용을 제공받은 과금서버(311)는 과금DBMS(312)를 활용하여 서비스요청 당시 약정한 기준에 따라 고객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한 데 대한 수수료를 과금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60064557A 2006-07-10 2006-07-10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KR10084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57A KR100848373B1 (ko) 2006-07-10 2006-07-10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57A KR100848373B1 (ko) 2006-07-10 2006-07-10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81A KR20080005781A (ko) 2008-01-15
KR100848373B1 true KR100848373B1 (ko) 2008-07-24

Family

ID=3921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557A KR100848373B1 (ko) 2006-07-10 2006-07-10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3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615A (ko) * 2003-11-03 2005-05-10 주식회사데이콤 단축번호를 이용한 기본통화 혹은 그룹통화 전화 서비스방법
KR20050059497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데이콤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20050082882A (ko) * 2004-02-20 2005-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등록된 발신자에 대한 수신자 요금 부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08513A (ko)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615A (ko) * 2003-11-03 2005-05-10 주식회사데이콤 단축번호를 이용한 기본통화 혹은 그룹통화 전화 서비스방법
KR20050059497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데이콤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20050082882A (ko) * 2004-02-20 2005-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등록된 발신자에 대한 수신자 요금 부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08513A (ko)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81A (ko)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4881B2 (ja) 個人用共有携帯電話の使用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310873B1 (en) Internet telephony directory server
US20040249649A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CA2904902C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JPH0865720A (ja) 追加機能の供給自動方法
CA273918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itiating a call
CN1863252B (zh) 为用户增加特殊用途号码的方法及系统
US985410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JP4323089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へのアクセス手順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030031305A1 (en) Phone service provisioning
JP2004096249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コールバック通話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ならびにコールバック通話システム
KR100848373B1 (ko) 개인화된 수신자부담방식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CN100531106C (zh) 一种智能网的接入方法
WO2001060092A2 (en) Phone service provisioning
KR100739221B1 (ko) 단말의 식별정보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55470A (ko) 다른 통신 서비스 업체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 방법
JP2003348239A (ja) 電話交換接続システムおよび電話交換接続方法
JP5098108B2 (ja) 通信回線接続装置および通信回線接続システム
CN100499724C (zh) 一种主叫绑定预付费用户呼叫方法
CN100596246C (zh) 智能业务的实现方法和接入方法及其系统
EP1045568A2 (en) Prepaid billing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s
JP2001309088A (ja) 着信課金方法及び着信課金システム
KR20040018721A (ko) 무선 통신망에서 선택적 수신자 과금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RU41946U1 (ru) Система &#34;невидимка&#34;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и анонимной переадресации входящих телефонных звонков в сети связи на базе предоплаченных карт
JP2004023313A (ja) 電話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