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081A - 정보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081A
KR20020010081A KR1020010044403A KR20010044403A KR20020010081A KR 20020010081 A KR20020010081 A KR 20020010081A KR 1020010044403 A KR1020010044403 A KR 1020010044403A KR 20010044403 A KR20010044403 A KR 20010044403A KR 20020010081 A KR20020010081 A KR 2002001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music
portable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495B1 (ko
Inventor
야마가요코
Original Assignee
스즈이 다께오
닛본 빅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이 다께오, 닛본 빅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이 다께오
Publication of KR2002001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bstract

점포 등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흐르고 있는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간단히 입수할 수 있다.
한정된 공간 내의 통신 영역 내에서 시청각 정보를 송출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갖는 정보 수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영역 내에 상기 휴대 단말이 있을 때에,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Description

정보 수집 시스템{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 내의 통신 영역 내에서 음악이나 영상 등의 시청각 정보를 흘릴 때에,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공간 내에 있는 유저가 간단히 입수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CD 숍 등의 음악이나 영상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는 가게에서는, 판매 촉진을 위해서 점포 내의 스피커나 모니터로부터 상술한 음악이나 영상 소프트웨어등의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다. 또한, 이러한 한정된 공간 내에서는, 상술한 판매 촉진을 위해서 시청각 정보를 흘릴 뿐 만이 아니라, 공간에 있는 사람(이하 유저라고 함)을 지루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스피커나 모니터를 설치하여 음악이나 영상을 흘리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유저를 지루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시청각 정보를 흘리는 것은, 상술한 판매점 뿐 만이 아니라, 기타 여러가지 장소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르고 있는 시청각 정보를 유저가 보고 들었을 때에, 유저는 상술한 시청각 정보에 흥미를 가지고, 관련하는 정보(음악이면 곡명이나 아티스트, 영상이면 타이틀이나 출연자 등의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를 입수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관련 정보를 입수하는 수단으로서는, 드물게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는 스피커나 모니터의 근방에 관련 정보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보고 듣거나, 가까이 있는 점원 등에게 듣거나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여 관련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확률은 대단히 낮고, 관련 정보를 확실하게 입수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다음에, 종래의 정보 수집 시스템을 설명한다. 유저가 있는 시청각 정보를 보고 들어서, 그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소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는 한정된 공간 내, 특히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는 스피커의 근방에, 지면 등의 게시나 모니터의 표시에 의해서 관련 정보를 제시하거나,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는 모니터의 근방에 지면 등에 의한 관련 정보의 게시를 행하거나,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는 모니터 내에 관련 정보를 표시하거나 함으로써 유저가 관련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시청각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정보 송출원(메이커나 제작자 등)을 아는 경우는 정보 송출원에 문의함으로써 관련 정보를 입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시청각 정보의 타이틀, 제작자명 등의 일부의 키워드를 아는 경우는, 키워드 검색 가능한 단말을이용하여, 이 키워드를 원래에 관련 정보를 입수하여도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예와 같이,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는 스피커 근방에 지면 등의 게시나 모니터의 표시에 의해서 관련 정보를 제시하거나, 시청각 정보를 흘리고 있는 모니터의 근방에 지면 등에 의한 관련 정보의 게시를 행하거나, 모니터 내에 관련 정보를 표시하거나 하는 경우는, 관련 정보를 갱신할 때에, 시청각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공간을 관리하는 측의 부담이 커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키워드 등의 일부의 정보로부터 관련 정보를 인출하는 경우, 시청각 정보에 대하여 아무런 정보가 없을 때에는, 단서가 없어, 관련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개평8-154074호 공보에는, FM 방송과 공중 전화망을 사용한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지만, 근거리 내에 정보를 발신하고 싶은 점포가 복수 존재한 경우, 각 점포는 통신의 주파수 변경을 행하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게 되어, 정보의 수신측(유저의 휴대 단말 등)은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그 점포의 주파수를 조사하거나, 통신시에 상술한 주파수를 맞추거나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점포가 밀집하는 구역에서의 정보 제공 수단으로서 방송을 사용한 경우, 편리성이 결여된 몇개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수신한 정보 및 전화 번호의 기록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정보는 그 장소만의 정보로서 끝나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단말을 가진 유저가 특정한 장소에 가서, 거기에 있는 정보를 자기의 단말에 입수하는 방법으로서, 특개평11-65494호 공보에 개재되어 있는 정보 제공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천장에 매단 광고나 간판 등의 광고 정보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 광고 매체에는 그 실태에 관해서의 보다 자세한 정보가 제공 가능한 정보제공 장치가 부수되어 있고, 광고되어 있는 실태에 대하여 정보 수신자가 흥미를 갖는 장소에서 상술한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에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그 자리에서 상세 정보의 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상세 정보의 수신에 시간이 걸리거나, 휴대 정보 단말에 용량이 큰 기억 장치가 필요하게 되거나, 쓸데 없는 정보까지 휴대 정보 단말에 수취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 방법에서는, 유저가 어떤 시청각 정보를 보고 들었을때에, 그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얻거나, 시청각 정보의 관련 물품의 구입 수단을 찾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유저가 있는 시청각 정보를 보고 들었을 때, 그 장소에서 상술한 시청각 정보가 흐르고 있는 것에 동기하여 즉시로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자체 단말에 시청각 정보의 관련 정보 URL이나 시청각 정보를 전자 데이터화한 것의 일부를 받아들여 기억하고, 그들의 정보를 언제나 참조할 수 있는 것, 전화 회선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술한 URL의 나타내는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여, 상세 정보의 수집, 물품의 구입을 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청각 정보 및 관련 정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 단말과 유저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의 관련 정보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악 데이터 전환 시의 관련 정보의 선택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출력의 동기와 시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한정된 공간 내
11; 휴대 단말
12; 서버
13; 정보 기억 수단
14; 음성·영상 재생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시청각 정보를 송출하는 서버와, 상기 한정된 공간 내의 서버의 통신 영역 내에서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갖는 정소 수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영역 내에 상기 휴대 단말이 있을 때에,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는 제 1 통신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관련 정보에 의해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한 더욱 상세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 2 통신 수단을 갖는 청구항의 제 1 항에 기재된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련 정보는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의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의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욱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시청각 정보를 송출하는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쌍방향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갖는 정보 수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로 제공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한정된 공간 내에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시청각 정보와 동기하여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청각 정보는 고유의 코드를 갖는 정보로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는 상기 고유의 코드에 의해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의 제 5 항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정된 공간 내에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를 갖고,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상기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의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제 1 통신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관련 정보에 의해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한 더욱 상세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 2 통신 수단을 갖는 청구항의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관련 정보는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의 제 5 항 내지 제 8 항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의 제 5 항 내지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의하면,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유저가 휴대하는 것으로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11), 상기 휴대 단말(11)과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서버(12)에 있어서, 서버(12)에는 휴대 단말(11)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수단(15)이 구비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11)에는 서버(12)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수단(15)이 구비되어 있다.
서버(12)는 점포 등의 한정된 공간 내(10)에 설치되어 있고, 서버(1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나 모니터 등으로부터 시청각 정보를 흘리는 음악 영상 송출 기능(1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서버(12)가 음악 영상 송출 기능(16)을 갖고 있지만, 서버(12)와의 통신 수단을 갖고, 음악 영상 송출 기능(16)을 갖는 다른 구성의 하드웨어를 준비하여도 된다.
음악 영상 송출 기능(16)은 시청각 정보(18)를 공간 내(10)에 흘리고, 서버(12)에서는 시청각 정보(18)가 공간 내(10)에 흐르는 것에 동기하여, 시청각 정보(18)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나 관련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정리하여 관련 정보라 함)을 서버(12)내의 정보 데이터 송신 기능(19)으로부터 무선 통신 수단(15)을 사용하여, 한정된 공간 내(10)에 송신하고, 서버(12)의 통신 영역(17)에 들어간 휴대 단말(11)에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정된 공간 내(10)의 통신 영역(17)에서 서버(12)와 휴대 단말(11)이 무선 통신 수단(15)을 통해 행하는 통신을 제 1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그리고, 휴대 단말(11)을 소유한 유저가 통신 영역(17) 내에서 시청각 정보(18)를 보고 듣고, 이 시청각 정보(18)에 관련하는 정보를 입수하고 싶다고 생각한 경우, 휴대 단말(11)은 서버(12)의 통신 영역(17)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여, 제 1 네트워크에 의해 서버(12)와의 통신을 확립한다. 서버(12)는 통신을 확립한 휴대 단말(11)에 대하여, 현재, 공간 내(10)에 흐르고 있는 시청각 정보(18)에 동기하여 상기 시청각 정보(18)의 관련 정보, 관련 URL 등을 휴대 단말(11)에 송신한다. 이 때, 휴대 단말(11)에서 얻어지는 것은 통신 시간의 균형으로부터 필요 최저한(必要最低限)의 정보이다. 또한, 서버(12)는 휴대 단말(11)에 데이터로서 시청각 정보(18)의 일부, 또는 압축한 시청각 정보(18)의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1)은 필요한 정보를 얻은 후, 서버(12)의 통신을 종료한다. 또한, 통신의 도중에서 휴대 단말(11)이 통신 영역(17)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통신은 종료한다. 이 때, 휴대 단말(11)이 두 번째 통신 영역(17)에 들어 가는 경우를 고려하여 통신을 보류하여 두고, 두 번째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에 계속하여 통신을 행하여도 되고, 통신을 강제적으로 중지하여 휴대 단말(11)이 다시 통신 영역(17)에 들어 간 경우에는 처음부터 통신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11)이 통신 영역(17)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경고음을 울리는 등으로, 유저에게 통지하여도 된다.
시간축에서 보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악(A), 음악(B), …, 음악(N)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음악 중, 음악 영상 송출 기능(16)으로부터 음악(N101)이 송출되고 있는 동안, 서버(12)는 음악(N101)에 관련하는 음악 N 관련 정보를 송신(1O2) 가능한 상태에 있고, 이 때, 통신 영역(17)에서 서버(12)와 통신(103)을 행한 휴대 단말(11)은 음악 N 관련 정보를 수신(1O4)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11)은 취득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고 있고, 유저는 그 자리에서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에 의해서 열람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11)은, 그 내부에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 기억 수단(13)을 구비하고 있고, 관련 정보나 시청각 정보(18)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10)의 통신 영역(17)을 벗어나 있어도, 유저는 관련 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11)이 음성·영상 재생 수단(14)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취득한 시청각 정보(18)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저는 전화 회선이나 그 밖의 공중 회선 등의 인터넷망을 사용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1)로부터 관련 정보(주로 관련하는 URL 등)의 나타내는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여, 거기에 나타낸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더욱 시청각 정보(18)의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 회선이나 그 밖의 공중 회선 등의 인터넷망 등을 이용하여 행하는 광역의 통신을 제 2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또한, 유저가 시청각 정보(18) 또는 시청각 정보(18)에 관련하는 물품(데이터를 포함한다)을 소망하는 경우, 그 자리에서 서버(12) 또는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로부터 인터넷 망을 통해 시청각 정보를 전자 데이터로서휴대 단말(11)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유저의 소망하는 물품이 상술한 시청각 정보(18)를 기억한 패키지 상품이나 그 밖의 관련하는 물품이고, 데이터로서 주고 받을 수 없는 경우는, 웹(Web) 페이지 상의 온라인 쇼핑으로 상술한 물품을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가 온라인 쇼핑 기능을 갖는 경우는, 휴대 단말(11)에서 서버(12)와 다시 통신을 행하고, 물품을 주문한다. 또한, 상술한 한정된 공간 내(10)가 CD 숍 등의 점포이고, 그 자리에서 유저의 소망하는 패키지 상품의 재고가 있는 경우는, 점포에 그 정보를 전달하고, 그 자리에서 상품을 구입하여, 수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품을 수취하는 장소로서는, 자택 등 뿐만아니라 각지에 존재하는 컨비니언스 스토어 등 제삼자의 시설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가 자택 등의 다른 공간(20)에 휴대 단말(11)과 함께 이동한 후도 상술한 관련 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즉시에 휴대 단말(11)에서 열람할 수 있다. 유저는 휴대 단말(11)에 의해서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나타내는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여 관련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때, 시청각 정보(18)의 데이터의 다운로드(유상 혹은 무상)나 온라인 쇼핑에 의한 물품의 구입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유저는 시청각 정보(18)에 관한 관련 정보나 필요에 따라서 시청각 정보(18) 자체를 휴대 단말(11)에 의해서 입수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휴대 단말(11)로부터 인터넷 망이나 케이블 통신, 무선 통신 등 어떠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시청각 정보(18)나 관련 정보 중 선택한 정보를 자택 등에 설치된 다른 단말(21)로 전송 또는 카피할 수 있다. 다른 단말(21)은 휴대 단말(11)과 마찬가지로 음성·영상 재생 수단(23) 및 정보 기억 수단(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보의 전송이나 카피에 관해서는 저작권상의 문제로부터 제한을 두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정보를 얻은 다른 단말(21)은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고, 액세스한 웹(Web) 페이지의 열람이나 시청각 정보(18) 데이터의 다운로드, 온라인 쇼핑에 의한 물품의 주문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어떤 점포(예를 들면, CD 숍으로 한다)에서, 점포 내의 스피커로부터 흐르고 있는 음악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유저가 휴대 단말(11)에서 취득하여, 물품의 구입을 행하는 실제의 흐름에 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CD 숍 내에는 한정된 공간 내(10)의 통신 영역(17) 내에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로컬 무선에 의한 무선 통신 수단(제 1 네트워크)을 갖는 서버(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저의 소유하는 휴대 단말(11)은 서버(12)와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CD 숍은 음악 송출 장치를 갖고, 점포 내에 음악을 흘리고 있다. 서버(12)에서는 정보·데이터 송신 기능(19)을 갖고 있고, 점포 내의 음악 송출 장치에 의해서 흐르는 음악에 동기하여, 음악의 관련 정보가 서버(12)로부터 제 1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11)에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CD 숍 내에서 스피커로부터 음악(A)이 흐르고 있을 때에, 휴대 단말(11)을 소지한 유저가 그 자리를 방문하여(S001), CD 숍 내에서 스피커로부터 흐르고 있는 음악(A)을 듣는다(S002). 여기서, 유저가 음악(A)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소망하는 경우(S003에서 YES), 유저는 음악(A)이 CD 숍 내에 흐르고 있는 시간 내에 휴대 단말(11)을 통신 모드에 설정하고(S021), 서버(12)의 통신 영역(17)에 들어간다(S022). 그리고,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서 휴대 단말(11)과 서버(12)와의 통신을 확립하고, 통신을 개시한다(S023). 여기서,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함으로써,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가 휴대 단말(11)과 서버(12)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확립되기 때문에, 유저 스스로 주파수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에, 서버(12)와 휴대 단말(11)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확립하면, 서버(12)로부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11)에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S024). 그리고, 유저는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11)로 수신하여, 정보 기억 수단(13)에 유지한다(S025). 휴대 단말(11)은 서버(12)로부터의 수신을 종료하면 통신 모드를 종료하므로, 서버(12)로부터 송신하는 관련 정보는, 음악(A)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이외에, 예를 들면, 물품 판매나 이벤트 정보 등의 특전 정보나 유저 ID의 발행 등, 서버(12)의 통신 영역(17)에 들어 간 유저만이 얻을 수 있는 특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CD 숍의 손님 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2차적인 효과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화된 음악(A)(이하, 음악(A)의 데이터라고 한다)의 일부 또는 압축한 음악(A)의 데이터를 서버(12)로부터 휴대 단말(11)이 수신한 경우, 데이터를 수신한 휴대 단말(11)이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것이면, 즉시에 휴대 단말(11)에 의해서 음악(A)의 재생을 행하여 시청할 수 있다(S027). 이 때,휴대 단말(11)에서 얻어지는 정보는 최저한의 정보이기 때문에, 유저가 필요로 하지 않는 여분의 정보를 얻는 일이 없다. 또한, 유저가 음악(A)에 관한 더욱 상세 정보를 얻는 경우, 공중 회선 등을 이용한 인터넷망과 같은 통신 수단(제 2 네트워크)을 통해, 휴대 단말(11)로부터 상술한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다.
다음에, 유저가 음악(A)을 구입하고 싶다고 희망하는 경우, 휴대 단말(11)에 의해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고(S028), 음악(A)의 보다 상세 정보나 온라인 쇼핑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S029). 온라인 쇼핑에 의해 상술한 음악(A)의 데이터나 그것에 관련하는 물품의 주문을 행하지 않은 경우(S30의 No)는 정보 열람 후에 제 2 네트워크의 통신을 종료한다(S042). 한편, 온라인 쇼핑에 의해 상술한 음악(A)의 데이터나 그것에 관련하는 물품의 주문을 행하는 경우(S030의 Yes), 우선 음악(A)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것인가, 패키지로서 구입할 것인가를 선택한다(S031).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경우(S031에서 ①), 상술한 웹(Web) 페이지 상에서 음악(A)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주문 요구를 행한다(S032). 주문 요구에 따라서 상품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 명, 상품 값 등의 구입 확인 정보가 웹(Web) 페이지에 표시된다(S033). 그리고, 구입하는 경우는 그것을 승낙하여(S034에서 YES), 지불 수속을 행(S035)한 후에, 음악(A)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 혹은 그들의 데이터를 압축한 것을 휴대 단말(11)에 다운로드한다(S036). 한편, 서버(12)로부터 음악(A)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는, 서버(12)와의 통신 영역(17) 내에서 제 1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11)과 서버(12)의 통신을 확립하고, 관련 정보를 토대로 음악(A)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의한 구입을 서버(12)에 요구한다. 그리고, 웹(Web) 페이지로부터의 다운로드의 경우와 같이 주문 수속을 행하고, 휴대 단말(11)은 서버(1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유저가 음악(A)의 기록된 CD 등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을 희망하는 경우(S031에서 ②), 예를 들면 유저가 상술한 미디어를 소망할 때에는, 관련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 상의 온라인 쇼핑으로 주문 요구를 행한다(S037). 상술한 미디어 값이나 재고 등의 정보가 웹(Web) 페이지 상에 표시되면(S038), 구입하는 경우는 그것을 승낙하여(S039에서 YES) 지불 수속을 행하고(S040), 지불 완료 통지를 받아들인다(S041). 그리고, 주문 종료 후에 제 2 네트워크의 통신을 종료한다(S042).
또한, 유저는 휴대 단말(11)을 자택에 갖고 가는 등 다른 장소로 이동한 후라도(SO05), 제 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상술한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를 열람하여, 음악(A)의 상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006). 그리고, 그의 웹(Web) 페이지를 기점으로 링크되어 있는 다른 웹(Web) 페이지도 열람할 수 있고, 음악(A)의 관련 정보 이외의 정보도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술한 음악(A)의 데이터를 다운로드에 의해서 구입하거나, 상술한 음악(A)에 관련하는 물품을 온라인 쇼핑 등으로 주문하거나 할 수 있다(S0O7).
이와 같이, 서버(12)로부터 얻은 관련 정보는, 유저가 자택에 소유하는 다른 단말(21)에 카피 가능하다(S008). 이로써, 휴대 단말(11)과 마찬가지로 다른 단말에서도 카피한 관련 정보를 열람하거나, 카피한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열람하거나, 음악(A) 데이터의 구입이나 관련하는 물품의 주문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점포 등의 한정된 공간(40) 내에 설치된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설치된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에서는 CD 등의 매체에 기록된 음악 정보 등의 디지털 신호의 재생이 가능하다. 상기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에 CD 등의 음악 정보가 기록된 매체(601)를 장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한다(S101). 상술한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에서는 매체(601)에 기술된 디지털 데이터의 고유의 코드를 판독하고(S102), 신호 처리 수단(603)의 신호 변환 수단(612)으로 그것을 식별 신호로 변환하여(S103), 판정 수단(613)에 보낸다.
상기 판정 수단(613)은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에 액세스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관련 정보가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에 없는 경우(S104에서 No), 통신 수단(605)으로부터 네트워크(80)를 통해 정보 제공 서버(50)의 통신 수단(504)에 접속하고, 상기 식별 신호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50)에 송신한다(S105).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통신 수단(504)에서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하면 (S121), 상기 식별 신호를 신호 처리 수단(503)에 입력하고, 상기 식별 신호로부터상술한 매체(60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어떠한 디지털 데이터인 가를 판별한다(S122). 이 디지털 데이터가 특정되면(S123에서 Yes), 기억 수단(501)에 있는 데이터 베이스(502)부터 상기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에 관련한 관련 정보를 호출한다(S124). 상기 관련 정보는 통신 수단(504)으로부터 네트워크(8O)를 통해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송신된다(S125). 또한, 디지털 데이터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던 경우나, 관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없는 경우는(S123에서 No), 그 취지를 전달하는 에러 코드를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송신한다(S126).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는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어떠한 정보를 수신하면(S106), 판정 수단(613)에 그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데이터가 판별되어 수신한 정보가 관련 정보이었던 경우(S107에서 관련 정보), 상기 관련 정보를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에 보존한다(S108). 상기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에 상기 관련 정보가 있는 경우(S104에서 Yes) 상기 정보 제공 서버(50)에는 액세스하지 않고 상기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의 관련 정보를 사용한다.
다음에, 관련 정보의 출력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에 의해서 매체(601)로부터 판독된 신호는 상술한 신호 처리 수단(603)에 입력되는 한편, D/A 변환 수단(607)에 보내어져 D/A 변환된 후, 앰플리파이어(608)에 의해서 증폭되어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609)에 의해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음악이 점포 등의 공간 내(40)에 출력되고 있는 동안, 그것에 동기하여 관련 정보를 유저에게 배신할 수 있도록 각각의 출력 시간(시각)을 동기 수단(614)으로 제어한다(S109).
이와 같이, 공간 내(40)에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609)으로부터 음성을 출력하고(S110), 그것에 동기하여, 앞서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수신한 또는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에 보존하고 있는 상기 관련 정보가 유저 단말(70)로부터의 관련 정보 요구 신호가 무선 통신 수단(606)에 송신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수단(606)을 사용하여 상기 공간 내(40)에 있는 유저 단말(70)에 송신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여 둔다(S111).
또한, 모니터 등의 영상 출력 수단(610)이 있으면, 관련 정보를 그 화면 상에 출력·표시한다(S112). 또한, 상기 동기 수단(614)에 의해서 이들의 출력의 감시를 행하고 있다. 음악이 종료하지 않고 있을 때(S113에서 No)에는, 동기 수단(614)에 의한 출력의 감시를 계속하고, 무선 통신 수단(606)으로부터 관련 정보의 송신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를 계속한다. 또한, 음악의 출력이 종료하였을 때(S113에서 Yes)에는, 무선 통신 수단(606)으로부터 관련 정보의 송신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를 종료하고, 영상 출력 수단(610)의 관련 정보 표시도 종료한다.
여기서, 각 출력의 동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각 출력의 동기와 시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5에 도시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에 의해서 매체(601)로부터 어떤 악곡을 나타내는 음악(A)의 디지털 데이터가 판독 입력되어, 재생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으로부터 동기 수단(614)에 음악 출력 스탠바이 신호가 보내어진다.
한편, 판정 수단(613)에서는, 음악(A)의 관련 정보의 데이터 출력 준비가 되면 관련 정보 출력 스탠바이 신호를 동기 수단(614)에 보낸다.
그리고, 쌍방의 출력 준비가 정리되면, 동기 수단(614)은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에 출력 비동기 신호를 보낸다.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은 출력 비동기 신호를 받으면 음악(A)의 디지털 데이터를 상술의 순서로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609)으로부터 출력한다. 그것과 동시에, 유저 단말(70)로부터의 관련 정보 요구 신호가 무선 통신 수단(606)에 송신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수단(606)에 의해서 상기 음악(A)의 관련 정보를 상기 공간 내(40)의 유저 단말(70)에 송신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로 한다.
또한, 모니터 등의 영상 출력 수단(610)이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의 출력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음악(A)의 관련 정보를 그 화면 상에 출력·표시한다. 또한, 상기 동기 수단(614)에서는 이들의 출력의 감시를 행하고 있다. 또한, 매체(601)로서 CD 등을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 데이터로서 음악의 연주 시간 등이 기록되어 있어, 언제 음악이 종료할 것인가를 아는 경우도 있지만, 연주 도중에 정지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동기 수단(614)으로 음성 출력의 감시를 해 둔다.
음악(A)의 연주가 종료하거나, 또는 음악(A)의 연주가 도중에 정지되는 등의 이유로 음성 출력이 종료하거나 하였을 때, 음성 출력 종료 신호를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으로부터 동기 수단(614)에 보낸다. 동기 수단(614)은 음성 출력 종료 신호를 받아서, 무선 통신 수단(606)으로부터 유저 단말(70)에 음악(A)의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스탠바이 상태를 종료하고, 모니터 등의 영상 출력 수단(610)에의 음악(A)의 관련 정보 표시도 종료한다.
다음에, 어떤 악곡을 나타내는 음악(B)의 음성 출력 스탠바이 신호가 동기 수단(614)에 보내여지고, 음악(B)의 관련 정보 출력 스탠바이 신호가 동일하게 동기 수단(614)에 보내어 오면, 음악(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악(B)이나 그 관련 정보의 출력을 행한다. 여기서 음악(A)의 음성 출력 종료 후, 곧 그의 관련 정보의 모니터 표시나, 유저 단말(70)에의 관련 정보 송신의 스탠바이 상태를 종료하고 싶지 않은 경우는, 음악(B)의 음성 출력이 시작된 후라도 출력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악(A)의 관련 정보인가 음악(B)의 관련 정보 어느 쪽을 알고 싶은 가를 유저가 선택하도록 한다(도 10에서 음악(A), 관련 정보 통신, 음악(A) 관련 정보 표시의 파선 부분). 일정 시간의 경과 후, 음악(A)의 관련 정보 종료 신호를 보내어 상기 음악(A)의 관련 정보의 통신 스탠바이 상태나 모니터 출력을 종료한다. 또한, 계속하여 음악(C, D…)의 출력이 있는 경우, 동일조작을 되풀이한다.
한편, S105에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에러 코드이었던 경우(S107에서 에러 코드), 다시 한번 관련 정보 수신 조작을 행하고 싶은 경우는(S114에서 Yes), S102로 되돌아가고, 디지털 신호 재생 수단(602)에서 조금전 매체(601)로부터 읽어들인 고유의 코드 이외의 정보를 매체(601)로부터 판독한다. 이 정보란,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음악 CD에는 그의 디지털 데이터 고유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지만, 디지털 데이터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고려할 수 있으므로 매체(601)에 기록된 곡수, 각 곡의 녹음 시간, 총 녹음 시간, 음악의 음성 신호 자체 등의 여러가지 정보로부터 그의 디지털 데이터 고유의 식별 정보를 작성하고, 정보 제공 서버(50)에 다시 송신한다. 그래도 식별 신호로부터 어떤 디지털 데이터인가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나 관련 정보의 데이터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는 다시,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정보 제공 단말(60)에 에러 코드를 송신한다.
그리고, 다시 에러 코드를 수신한 경우는 또다른 정보를 매체(601)로부터 판독하여 재시행하고, 디지털 데이터가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을 때까지 이 조작을 되풀이한다.
또한, 더 이상 관련 정보 수신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로(S114에서 No), 음악만을 출력하고 싶은 경우(S115에서 Yes), 관련 정보가 있는 경우와 동일하게 음악을 공간 내(40)에 출력하지만, 유저로부터의 관련 정보 요구 신호에 대하여는 관련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송신할 수 있는 상태로 해 두고, 모니터 등의 영상 출력 수단(610)에는 「관련 정보는 없습니다」등 관련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또한, 음악도 출력하지 않는 경우(S115에서 No), 아무것도 하지 않고 종료한다.
다음에, 유저 단말(70)의 조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유저 단말(70)과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관한 조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유저 단말(70)을 가진 유저(706)가 공간 내(40)에 들어가고, 공간 내(40)에서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609)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음악을 들었을 때에, 상기 음악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알고 싶다고 생각한 경우, 상기 유저(706)는 유저로부터의 관련 정보 요구 신호의 수신에 대하여 대기 중(S141)의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유저 단말(70)의 입력 수단(702)으로부터 상기 음악의 통신 요구 신호를 무선 통신 수단(701)에 의해서 송신한다(S161).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는 무선 통신 수단(606)에 의해서 유저 단말(70)로부터의 통신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S142).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와 상기 유저 단말(70)이 무선 통신 확립 후(S143, S162), 유저(706)는 상기 유저 단말(70)로부터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송신한다(S163).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는 상기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S144), 미리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취득하고 있던 상기 음악의 관련 정보를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유저 단말(70)에 무선 통신 수단(606)을 통해 송신한다(S145). 유저 단말(70)은 상기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수단(701)에 의해서 수신하고(S164), 신호 처리 수단(703)을 통과시키고 기억 수단(704)에 기록한다. 여기서, 유저 단말(70)의 입력 수단(702)에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전용 버튼 등을 구비하면, 번거로운 조작없이 간단히 상기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706)가 취득한 관련 정보는 유저 단말(70)에 표시 수단(705)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수단(705)에 출력할 수 있고, 유저(706)는 관련 정보를 즉석에서 보고 확인할 수 있다(S167). 또한, 유저(706)에게 있어서 그의 관련 정보가 특히 흥미가 없는 것이거나, 생각하고 있는 것과 틀리거나, 그 이상의 정보가 필요 없거나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최초에 유저에게 송신하는 상기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아티스트 명이나 곡명 등 최소한의 것으로 함으로써, 통신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유저(706)가 가진 유저 단말(70)의 기억수단(704)이나 신호 처리 수단(703)에 많은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유저(706)가 더 이상 정보를 알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조작을 종료한다(S168에서 No). 또한, 유저(706)가 관련 정보를 더알고 싶은 경우(S168에서 Yes)도 있으므로, 상기 최소한의 정보 중에 상기 음악의 상세 정보를 게재하고 있는 웹(Web) 페이지를 지시하는 URL(예를 들면 http://www.jvc-victor. co. jp 등)을 첨부하여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세 정보를 희망하는 유저(706)가 유저 단말(70)이 인터넷망(801)과의 통신 수단(707)과 브라우저 등의 웹(Web) 표시 수단(708)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유저 단말(70)은 통신 수단(707)에 의해서 인터넷 망(801)에 접속하고, 상기 URL 정보의 지시하는 웹(Web) 페이지(802)에 액세스(S169)하고, 웹(Web) 페이지 내에 기록되어진 정보를 웹(Web) 표시 수단(708)에 의해서 표시 수단(705)에 표시하면 유저(706)는 그 자리에서 즉석으로, 또는 후에, 추가로 상기 상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S170). 또한 상기 URL을 선택하여 하이퍼링크 등의 링크 수단에 의해서 상기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면, 번거로운 문자 입력없이 희망의 웹(Web)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다.
다음에, 정보 열람·물품 구입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URL 정보는 카피 가능한 정보이므로 자택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른 단말에 카피할 수 있고, 상기 다른 단말에서 상기 URL 정보의 나타내는 웹(Web) 페이지를 마찬가지로 열람할 수 있다. 또한, URL 정보는 그 자체의 데이터량은 적지만 범용적인 포인터이고, 그것을 사용하여 인터넷 상의 여러가지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가 가능하다. 웹(Web) 페이지는 전용의 HTML이나 JAVA 등의 언어를 사용하여, 문자 뿐만 아니라 소리나 영상 등의 다채로운 표현 수단을 사용하여 아티스트의 프로파일이나, 화상, 음성, 그 아티스트가 그 외에 발매하고 있는 CD, 콘서트·이벤트 정보 등의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처리나 송수신도 웹(Web) 페이지 상에서 가능하므로, 현상의 응모나 콘서트 티켓·아티스트 관련 상품·CD 등의 물품의 구입 수속이나 디지털 데이터의 다운로드, 그들의 지불 수속 등도 가능하다. 또한, 웹(Web) 페이지 상에서 다른 웹(Web) 페이지에 링크(보고 싶은 웹(Web) 페이지의 URL 정보를 기술)가 가능하므로, 그 웹(Web) 페이지 상에서 같은 쟝르의 아티스트의 정보나 관련이 있는 그러한 다른 정보의 웹(Web) 페이지 링크를 연결해 두면, 그것을 본 유저가 그들의 정보에 흥미를 가지고, 상기 다른 정보의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함으로써, 선전이나 상품의 구입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방법을 취함으로써, 많은 정보가 필요 없는 유저에게는 최저한의 정보를, 상세 정보가 필요한 유저에게는 상세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출력과 관련 정보의 송신에 지연이 생기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설치한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 중에 관련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네트워크(80)가 혼잡하거나, 상기 정보 제공 서버(50)에 부하가 걸리거나, 그 밖의 요인이 있거나 하여 관련 정보의 취득까지 시간이 걸리게 되었을 때, 음악이 음성 출력 수단(609)으로부터 출력하기 시작하는 것과 동시에 유저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없거나, 연속하여 음악을 흘리는 경우에 음악과 음악 사이에서 긴 공백 시간이 되어버리거나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음성 출력 수단(609)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을 들었을 때에, 그 곡의 연주가 종료하기 직전이면, 관련 정보를 취득하려고 유저 단말(70)로부터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을 행하기 전에 다음 음악 데이터로 출력이 전환되어 버리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그래서, 음악이 출력되기 시작한 순간에 유저 단말(70)로부터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송신하는 케이스는 그다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음악의 출력과 관련 정보의 시간(시각)을 완전히 동기시키는 것이 아닌 관련 정보의 송신에 어느 정도의 지연 시간을 갖게 하여도 된다.
또한, 음악 데이터의 출력을 전환할 때에, 일시적으로, 또는 그 음악이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609)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 직전에도 음악이 출력되고 있던 경우는 중복하여 직전에 출력되고 있던 음악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도 취득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악인가 직전에 출력되고 있던 음악 어느쪽인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두고, 어느쪽인가를 선택 후, 도 8과 같이 관련 정보를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어떤 음악이 공간 내(40)에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 다음에 출력할 예정인 매체(601)에 고유의 코드를 미리 판독하고,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다음음악의 관련 정보를 취득해 두거나, CD 등의 매체(601)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음악에 대하여 그의 고유 데이터를 최초에 판독하고, 각각의 음악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모든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취득하여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의 기억 장치(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에 정리하여 보존해 두는 등 방법을 취하면 지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 음악을 복수회 공간 내(40)에 출력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동일 음악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가 하루에 한번밖에 갱신되지 않는 등의 이유에 의해 관련 정보의 갱신의 필요가 없는 경우일지라도, 공간 내(40)에 음악이 출력될 때마다 네트워크(80)를 통해 정보 제공 서버(50)에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네트워크(80)나 정보 제공 서버(50)에 부하가 걸리거나, 관련 정보의 수신 지연으로 연결되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관련 정보를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의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에 보존해 두고, 거기에서 관련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동일 음악이 출력될 때에는 소정의 기간에 걸쳐 관련 정보의 취득을 간이 데이터 베이스(604)로부터 행하고, 필요할 때만 정보 제공 서버(50)에 요구를 하여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공간 내(40)에서 유저가 시청 가능한 장소에 모니터 등의 영상 출력 수단(610)을 설치하여, 음성 출력 수단(609)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음악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그 영상 출력 수단(610)에 표시시켜, 유저가 관련 정보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해두면, 유저가 일부러 가방이나 포켓 등의 안에서 유저 단말(70)을 꺼내어,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와의 통신을 행하게 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 없어진다. 또한, 결과적으로 불필요해지는 관련 정보를 유저 단말(70)에 취득하는 것도 없어진다. 이 때, 영상 출력 수단(610)에 표시되어 있는 관련 정보가 필요한 경우는, 유저 단말(70)에 의해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문자 입력 조작 등의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고 관련 정보를 유저 단말(70)에 취입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관련 정보에 관해서 보충 설명한다. 상술한 관련 정보는 상기 정보(음악) 등에 관련하는 정보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정보가 음악인 경우에는, 그 곡명, 아티스트 명, 가사, 아티스트의 프로파일, 그 아티스트의 다른 곡이나 앨범 정보, 콘서트나 이벤트 정보, 관련 물품 판매 정보, 선물 정보, 음성 정보, 파일 데이터, 제어 신호 등 디지탈화되는 정보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취득되는 모든 관련 정보에 대해서 필요는 없고, 일부의 관련 정보만 필요한 경우에는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50)에 송신하는 식별 신호에 바라는 관련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더하여 송신하면, 소망의 관련 정보 만을 정보 제공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502) 중에서 픽업하여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502)를 정보 제공 서버(50)가 아니라, 점포 등의 공간 내(40)에 설치된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에 설치하였으면, 그 관리나 갱신은 대단히 수고롭고 데이터량도 방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음악 등의 디지털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는, 가사나 아티스트 명 등 불변적인 것도 있지만, 그중에는 콘서트 정보나 이벤트 정보 등 오래되게 되면 진부화하여 버리는 것도 많다. 따라서, 각각의 점포에서 데이터의 관리나 갱신을 행하는 것보다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50)로 관리나 갱신을 행하고, 복수의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로부터 이 정보 제공 서버(50)에 네트워크(80)를 통해 액세스하는 편이 보다 효율적이다.
물론, 점포 내에 데이터 베이스를 두고 관리나 갱신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점포 내의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나 그 근처에 정보 제공 서버(50)를 두어도 상관 없다.
또한,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 내에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할 수 있는 기억 장치(간이 데이터 베이스(604))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면, 관련 정보가 갱신되어 있는지의 여부만을 정보 제공 서버(50)에 맞추어, 갱신되어 있는 경우만,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80)나 정보 제공 서버(50)의 부하를 경감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고유의 코드를 매체(601)나 매체(601)에 기록된 음악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코드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보 제공 단말 장치(60)나 유저 단말(70)에 고유의 코드로도 가능하며, 또한, 관련 정보가 공개되어도 관계없는 것이면, 고유의 코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수집 시스템에 의하면, 유저가 CD 숍이나 영화관, 음식점과 같은 점포나 스키장 등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스피커나 모니터로부터 송출되는 음악이나 영상 등의 시청각 정보를 보고 들어서, 이들의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소망한 경우, 거기에 설치된 서버의 통신 영역 내에 휴대 단말이 들어 가는 것으로 인해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자기가 가지는 휴대 단말에 즉석에서 입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저는 그 자리에서, 또는, 그 후에, 그 관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곧 그 자리에서, 또는 다른 장소로 이동하였을 때에, 인터넷망 등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의 나타내는 URL의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함으로써, 유저는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더욱 상세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간단히 상술한 시청각 정보의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측에서는, 상술한 웹(Web) 페이지의 액세스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온라인 쇼핑 등에의 도입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판매를 촉진하는 효과도 발휘한다. 한편, 시청각 정보를 흘리는 점포 등에서는, 상술한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유저가 점포에 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손님의 증가에도 연결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시청각 정보를 송출하는 서버와,
    상기 한정된 공간 내의 서버의 통신 영역 내에서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갖는 정보 수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영역 내에 상기 휴대 단말이 있을 때에,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는 제 1 통신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관련 정보에 의해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한 더욱 상세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 2 통신 수단을 갖는, 정보 수집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5.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시청각 정보를 송출하는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갖는 정보 수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에 제공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한정된 공간 내에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시청각 정보와 동기하여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각 정보는 고유의 코드를 갖는 정보이고,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는 상기 고유의 코드에 의해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련하는 관련 정보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된 공간 내에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를 갖고,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상기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제 1 통신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관련 정보에 의해서 상기 시청각 정보에 관한 더욱 상세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 2 통신 수단을 갖는, 정보 수집 시스템.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웹(Web)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속 시스템.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KR10-2001-0044403A 2000-07-27 2001-07-24 정보 수집 시스템 KR100403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6773 2000-07-27
JPJP-P-2000-00226773 2000-07-27
JPJP-P-2001-00179815 2001-06-14
JP2001179815A JP4136334B2 (ja) 2000-07-27 2001-06-14 情報収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081A true KR20020010081A (ko) 2002-02-02
KR100403495B1 KR100403495B1 (ko) 2003-10-30

Family

ID=2659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403A KR100403495B1 (ko) 2000-07-27 2001-07-24 정보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50790B2 (ko)
JP (1) JP4136334B2 (ko)
KR (1) KR100403495B1 (ko)
CN (1) CN1151614C (ko)
TW (1) TW5711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869B1 (ko) * 2002-02-27 2008-11-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티브이의 부가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407B2 (en) * 2001-10-22 2006-12-05 Pocketthis, Inc. Data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information browsing systems
JP2003333576A (ja) * 2002-05-15 2003-11-21 Nec Corp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動画像配信サービス方法
CN1328686C (zh) * 2002-06-25 2007-07-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用于商品陈列的移动商务辅助系统及方法
WO2004064355A2 (en) * 2003-01-03 2004-07-29 Gloolab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communications
US7724716B2 (en) 2006-06-20 2010-05-25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31199B2 (en) * 2006-01-03 2010-11-09 Apple Inc. Media data exchange, transfer or deliv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50000221A (ko) * 2003-06-23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JPWO2005015541A1 (ja) * 2003-08-08 2007-09-27 雅祥 ▲すぎ▼村 商品情報取得システム、商品情報取得方法、データ送信方法、コンパクトディスク試聴システム、およびアドレスが表示されてい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
KR100585748B1 (ko) * 2003-11-27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싱크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71818A1 (en) 2004-07-16 2014-03-13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JP2006094414A (ja) * 2004-09-27 2006-04-06 Toshiba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無線端末およびオーディオ再生装置
US7796975B2 (en) * 2004-11-23 2010-09-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transferring data files to and from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686766B1 (en) * 2005-01-28 2007-06-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Automated integration of content from multiple information store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999994B2 (en) 2005-02-23 2011-08-16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US9229222B2 (en) 2005-02-23 2016-01-05 Pixtronix, Inc. Alignment methods in fluid-filled MEMS displays
US9158106B2 (en) 2005-02-23 2015-10-13 Pixtronix, Inc.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US20070205969A1 (en) 2005-02-23 2007-09-06 Pixtronix, Incorporated Direct-view MEMS display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images thereon
US9261694B2 (en) 2005-02-23 2016-02-16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US8310442B2 (en) 2005-02-23 2012-11-13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8482496B2 (en) 2006-01-06 2013-07-09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MEMS display apparatus on a transparent substrate
US8159428B2 (en) 2005-02-23 2012-04-17 Pixtronix, Inc.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US8519945B2 (en) 2006-01-06 2013-08-27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9082353B2 (en) 2010-01-05 2015-07-14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2007164659A (ja) * 2005-12-16 2007-06-28 Absurd Spear:Kk 音楽情報を利用した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8526096B2 (en) 2006-02-23 2013-09-03 Pixtronix, Inc. Mechanical light modulators with stressed beams
US20090150825A1 (en) * 2006-03-13 2009-06-11 Fujitsu Limited Screen generation program, screen generation apparatus, and screen generation method
US7925244B2 (en) 2006-05-30 2011-04-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ublishing, sharing and accessing media files
JP2008097362A (ja) * 2006-10-12 2008-04-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展示物ガイドシステム及び方法
FR2911751A1 (fr) * 2007-01-18 2008-07-25 Tagattitude Sa Procede et installation de telecommunication pour la fourniture d'un service a l'utilisateur d'un equipement personnel, support de donnees correspondant
US9176318B2 (en) 2007-05-18 2015-11-03 Pixtronix,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fluid-filled MEMS displays
JP5135042B2 (ja) * 2008-04-22 2013-01-30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
US8169679B2 (en) 2008-10-27 2012-05-01 Pixtronix, Inc. MEMS anchors
KR20120139854A (ko) 2010-02-02 2012-12-27 픽스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US9134552B2 (en) 2013-03-13 2015-09-15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with narrow gap electrostatic actuators
JP6246689B2 (ja) * 2014-09-19 2017-12-13 慎治 長坂 情報提供システム
US10356743B2 (en) * 2016-08-05 2019-07-16 Neon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ocation
JP6426809B2 (ja) * 2017-09-20 2018-11-21 Pioneer DJ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074A (ja) 1994-11-28 1996-06-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選択的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選択的情報収集方法
JP3584688B2 (ja) * 1997-08-19 2004-11-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及び装置、並びに、情報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4484172B2 (ja) * 1998-04-28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
US6697632B1 (en) * 1998-05-07 2004-02-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ulti-media coordinat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FI109756B (fi) * 1998-09-21 2002-09-30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paikallisten resurssien hyödyn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 ja langaton viestin
US6615186B1 (en) * 2000-04-24 2003-09-02 Usa Technologies, Inc. Communicating interactive digital content between vehicles and internet based data processing resources for the purpose of transacting e-commerce or conducting e-busin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869B1 (ko) * 2002-02-27 2008-11-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티브이의 부가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13818A1 (en) 2002-01-31
CN1151614C (zh) 2004-05-26
JP2002108908A (ja) 2002-04-12
US7050790B2 (en) 2006-05-23
KR100403495B1 (ko) 2003-10-30
JP4136334B2 (ja) 2008-08-20
CN1336733A (zh) 2002-02-20
TW571199B (en) 200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495B1 (ko) 정보 수집 시스템
US844781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EP1314110B1 (en) Method of enhancing rendering of a content item, client system and server system
JP5204782B2 (ja) 近距離通信可能な無線通信デバイスを用いるマルチメディア配信
US20100121741A1 (en) Audio sampling and acquisition system
EP1160714A1 (en) System and method enabling remote access to and customization of multimedia
US20080214236A1 (en) Digital content download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radio broadcast items
JP2007053665A5 (ko)
JP2004185456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
CN101553805A (zh) 用于修改媒体库的系统及方法
US735318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oring predetermined multimedia information
KR100350706B1 (ko)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2006860A (ja) 音楽配信システム及び音楽配信仲介方法
KR20060094394A (ko) 프랜차이즈 업체와 연계를 통해 개선된 음원 제공 시스템및 방법
JP2008097122A (ja) コンテンツカタログ表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購入閲覧システム
KR101557119B1 (ko) 온라인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3982981B2 (ja) オーディオ試聴サービス方法及びオーディオ試聴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0035936A (ja) 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利用者端末及び情報中継装置及び情報利用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情報中継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EP1691554A1 (en) System for providing a media item
JP2003006495A (ja) 試聴システム及び販売方法
JP2002026829A (ja) 商品提供方法、放送信号送信方法、埋込信号取出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3524964A (ja) パーソナル・ディジタル・アシスタント・システム
JP2003005760A (ja) 試聴システム及び販売方法
KR20020014377A (ko) 데이터 다중 라디오 방송을 이용한 음악파일 구매 및판매방법
JP2012088821A (ja) コンテンツ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