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221A -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221A
KR20050000221A KR1020030040825A KR20030040825A KR20050000221A KR 20050000221 A KR20050000221 A KR 20050000221A KR 1020030040825 A KR1020030040825 A KR 1020030040825A KR 20030040825 A KR20030040825 A KR 20030040825A KR 20050000221 A KR20050000221 A KR 2005000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subway
data
signal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0221A/ko
Priority to US10/701,666 priority patent/US7555289B2/en
Publication of KR2005000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2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to plural spots in a confined site, e.g. MATV [Master Antenna Tele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6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play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71Based on the number of used servic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bar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8Metric aspects
    • H04M2215/7873Based on the number of used servic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bar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블루투스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콜-셋업을 수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정보에 응답하여 그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 전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요청된 유료컨텐츠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3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파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과의 콜-셋업을 해제하고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 유료방송 중지를 요청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서버들로부터 전달된 다양한 종류의 유료컨텐츠들을 그 유료컨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탑승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탑승객들이 객차 내에서 원하는 방송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SUBWAY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철의 객차마다 소정개의 방송장치를 설치하고 지하철 탑승객들에게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실시중인 지하철방송은 공중파와 같이 모든 승객들에게 공통된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탑승객들은 방송을 선택할 권리가 없다. 또한 화면은 보이지만 소리는 들리지 않음으로써 방송의 효과가 반감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소리가 들리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막을 표시하고 있지만 자막이 음성보다 늦게 표시됨으로써 화면이 바뀐 직후에는 이전 화면에 해당되는 내용이 자막으로 표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지하철 탑승객들이 객차 내에서 원하는 방송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방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컨텐츠 제공서버들로부터 전달된 다양한 종류의 유료컨텐츠들을 그 유료컨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탑승객들에게 제공하는 지하철 방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블루투스(bluetooth) 신호를 이용하여 지하철 탑승객들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음성 및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지하철 방송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방송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uetooth)부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방송을 위해 가입자가 유료컨텐츠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유료방송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공통방송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지하철 방송장치는 지하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지하철 공통방송데이터 및 유료컨텐츠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공통방송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유료컨텐츠데이터와 공통방송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수신된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지하철방송서버로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유료컨텐츠데이터 및 공통방송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방송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블루투스부 및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지하철 방송방법은 지하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전달된 방송용 데이터를 지하철 탑승객들에게 제공하는 지하철방송장치의 지하철 방송방법에 있어서,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블루투스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콜-셋업을 수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정보에 응답하여 그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 전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요청된 유료컨텐츠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에게 제공하는제3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파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과의 콜-셋업을 해제하고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 유료방송 중지를 요청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지하철 방송 방법 및 장치에 사용되는 블루투스(bluetooth)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블루투스(bluetooth)는 스웨덴의 에릭슨, 미국의 아이.비.엠(IBM), 핀란드의 노키아, 일본의 도시바 등이 개발중인 무선데이터 통신 규격의 개발코드명을 말하는 것으로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1Mbps에 최대 전송거리 10m의 무선 데이터 통신 실현을 우선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때, 1Mbps의 전송속도는 사용자가 면허 없이 이용할 수 있는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를 사용해 비교적 손쉽고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전송속도다. 전송거리 10m는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기와 책상 등에 설치해 둔 기기간의 전송거리로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이다.
또한 블루투스는 음성부호화 방식인 CVSD(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를 채용해 문자 데이터의 전송은 물론이고, 음성 전송에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암호기술을 사용한다.
그러나 블루투스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은 휴대 정보통신기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은 채로 다른 정보통신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점이다. 예컨대, 블루투스 방식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일정 거리 안에서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와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기와 케이블로 접속하는 번거로운 절차 없이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면, 셀룰러폰, 무선호출기 및 PDA 기능이 하나에 들어 있는 전화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화기는 가정과 사무실의 휴대용 전화기로서 두 가지 일을 할 수 있다. 상기 전화기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내에 있는 정보와 신속하게 동기화 할 수 있으며 팩스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고 프린트 출력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모든 휴대용 및 고정식 컴퓨터 장치들과 완전한 공동작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각 장치마다 저가의 트랜시버 칩(예컨대, 블루투스 칩)이 장착되어야 한다.
상기 블루투스 칩은 전 세계적으로 가용 주파수 대역인 2.45GHz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일부 국가에서는 다소 다른 주파수 대역이 있을 수도 있다) 데이터 외에도 음성채널을 최대 3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하면 점대점이나 멀티포인트 접속이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한 최대 범위는 10m 이다. 데이터의 전송은 1Mbps의 속도에서 이루어진다(2세대 기술에서는 최고 2 Mbps까지). 또한 블루투스의 주파수 홉 설계는 장치들이 엄청난 량의 전자기 장애가 있는 지역에서도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지하철 객차내 방송장치와 이동통신단말간의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방송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방송장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Subway Broadcast System, 이하, 'SBS'라 함) 서버(200)로부터 무선망(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및 IS-95(Interim Standard-95) 망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하철 탑승객들에게 방송을 한다. 이러한 지하철 방송장치는 통상적으로 지하철 객차에 설치된 객차내 방송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지하철 방송장치로서 객차내 방송장치를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하철 방송장치(이하, 객차내 방송장치라 함)(100)는 수신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130), 블루투스부(140), 송신부(150) 및 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110)는 무선망(예컨대, WLAN 및 IS-95망 등)을 통해 SBS 서버(200)로부터 송신되는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부(110)는 SBS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유료컨텐츠데이터, 공통방송데이터가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유료컨텐츠데이터 및 공통방송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방송하기 위해 객차내 방송장치(100)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SBS 서버(200)는 객차내 방송장치(100)로 방송용 데이터를 전달할때 제어부(120)에 의해 식별 가능한 소정의 식별정보를 방송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예컨대,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는 방송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 때 만일 방송용 데이터가 유료컨텐츠데이터인 경우 SBS 서버(200)는 그 유료컨텐츠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까지도 해당 방송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방송용 데이터에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유는 현재 무선망을 이용한 유료컨텐츠 서비스는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무선망을 이용한 유료컨텐츠 서비스에서 유료컨텐츠의 수신자를 식별하기 위해 유료컨텐츠데이터에 소정의 식별정보를 포함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방송용 데이터에 식별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은 상기 무선망을 이용한 유료컨텐츠 서비스에서 수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유료컨텐츠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방송용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그 방송용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객차내 방송장치(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데이터 중 유료컨텐츠데이터는 블루투스부(140)로 전달한다. 한편,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데이터 중 공통방송데이터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한 후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하고 음성신호는 블루투스부(14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블루투스부(140)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유료컨텐츠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그 사용자 인증정보 및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송신부(15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SBS 공통방송데이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블루투스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유료컨텐츠데이터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유료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블루투스부(140)는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송신부(150)로 전달한다. 블루투스부(14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송신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객차내 방송장치(10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SBS 서버(200)로 송신한다. 예컨대, 송신부(150)는 블루투스부(140)를 통해 수신된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SBS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160)는 SBS 서버(200)로부터 받은 화상, 음성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을 표시하고 단말기의 블루투스 정보를 엔코딩(encoding)하여 SBS 서버(20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부(14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루투스부(140)는 신호변환부(141),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142), 상태 표시부(143) 및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를 포함한다.
신호변환부(141)는 일반 무선망(예컨대, WLAN 및 IS-95망 등) 데이터와 블루투스 신호간 변환을 한다. 예컨대, 신호변환부(141)는 일반 무선망을 통해 전달된 유료컨텐츠데이터 또는 공통방송데이터의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거나,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일반 무선망 데이터로 변환한다.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142)는 신호변환부(141)를 통해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된 유료컨텐츠데이터 또는 공통방송데이터의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로 전달한다. 또한,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신호변환부(141)로 전달한다. 한편,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142)는 블루투스 신호의 처리 상태(예컨대, 송/수신 상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태표시부(143)로 전달한다.
상태표시부(143)는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142)로부터 전달된 블루투스 신호의 처리상태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색의 LED(Light Emitting Diode)들을 포함하여 처리용량, 수신상태, 송신상태를 각각 표시한다.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는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들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는 블루투스 신호처리부(142)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데이터 또는 공통방송데이터의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즉,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유료컨텐츠데이터를 요청자에게 송신하고 공통방송데이터의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칩이 장착된 이동단말을 소지한 불특정 다수에게 방송한다. 또한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144)는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신호처리부(142)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방송을 위해 가입자가 유료컨텐츠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지하철 탑승 시에 소정의 유료컨텐츠(예컨대, 음악방송, 영어방송, 스포츠 뉴스 등)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전에 유료컨텐츠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료컨텐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30)가 SBS업체(20)에게 소정의 정보(예컨대, 휴대폰번호, 블루투스 식별정보(ID), 원하는 컨텐츠정보(예컨대, 방송서비스), 비밀번호 등)를 전송하여 유료컨텐츠 서비스 가입신청을 하면(S10)은 SBS업체(20)는 그 정보들을 이용하여 금융회사(10)에 신용조회를 요청한다(S20). 그리고 금융회사(10)로부터 신용에 문제가 없다는 승인을 받은 후(S30) SBS 서버(40)로 상기 가입자(30)의 신청정보(예컨대, 원하는 컨텐츠정보, 휴대폰번호, 비밀번호 등)를 전달한 후(S40) SBS 서버(40)로부터 등록완료 메시지가 전달되면(S50) 단문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가입자(30)에게 이용 통보한다(S60). 즉 SBS 업체(20)는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하여 가입자(30)가 신청한 유료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음을 가입자(30)에게 알린다.
이러한 유료컨텐츠 서비스 등록 과정은 통상적인 유료컨텐츠 서비스 등록과정과 유사하다. 따라서 도 3에 예시된 처리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지하철 방송방법을 이용한 유료컨텐츠 서비스 등록 과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유료방송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하철 유료방송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하철 유료방송을 위해서는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이하, '블루투스 단말'이라 함)(300)과 객차내 방송장치(100)간에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한 통신이 이루어지고 객차내 방송장치(100)와 SBS 서버(200)간에 일반 무선망을 이용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 때, 블루투스 단말(300)은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하고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마스터(master)로 동작한다. 블루투스 통신방식에서 슬레이브(slave)와 마스터(master)는 클라이언트/서버 통신방식에서의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와 각각 매칭된다. 즉, 블루투스 통신방식에서는 슬레이브(slave)의 요청에 대하여 마스터(master)가 응답함으로써 통신이 이루어진다.
먼저 블루투스 단말(300)은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10.24 sec) 단위로 스캔(scan) 및 인콰이어리(inquiry)를 수행한다(S205). 이는 슬레이브(slave)가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상대(예컨대, 마스터(master))를 찾는 과정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절차이다.
상기 블루투스 단말(300)의 스캔(scan) 및 인콰이어리(inquiry)에 대하여 객차내 방송장치(100)로부터 응답이 오면(S210) 블루투스 단말(300)과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서로 간에 콜-셋업(S215)을 수행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방식에서 슬레이브(slave)의 스캔(scan) 및 인콰이어리(inquiry)는 반경 5m 내지10m 이내이다. 따라서 상기 과정(S215)과 같이 블루투스 단말(300)과 객차내 방송장치(100) 간에 콜-셋업이 수행되었다 함은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콜-셋업(S215)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가 블루투스 단말(300)을 이용한 유료방송 청취를 선택하면(S220) 블루투스 단말(300)은 해당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유료방송종류를 디스플레이한다(S225). 이를 위해 블루투스 단말(300)은 상기 그 블루투스 단말(300)의 사용자가 가입한 유료방송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3에 예시된 처리 과정을 통해 소정 유료컨텐츠에 등록이 완료되면 SBS 업체는 이용통보(S60)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단말(300)로 그 유료방송 정보를 전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S225)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보고 가입자가 청취하고자 하는 유료방송종류를 선택하면(S230) 블루투스 단말(300)은 유료방송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한다(S235). 블루투스 단말(300)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S240) 블루투스 단말(300)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와 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료방송정보를 객차내 방송장치(100)로 전달한다(S245). 이 때, 블루투스 단말(300)과 객차내 방송장치(100)간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면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일반 무선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와 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료방송정보를 SBS 서버(200)로 전달한다(S250).
객차내 방송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와 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유료방송정보를 수신한 SBS 서버(200)는 그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255). 즉, 해당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유료방송에 대하여 사전에 서비스 등록을 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증(S255) 결과 해당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유료방송에 대하여 사전에 서비스 등록을 한 사용자이면 SBS 서버(200)는 객차내 방송장치(100)로 상기 선택된 유료방송정보를 전달한다(S260). 이 때, SBS 서버(200)는 일반 무선망을 이용하여 유료방송정보를 전달한다. SB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유료방송정보의 종류는 음성, 정지화상 및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SBS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유료방송정보를 블루투스 단말(300)에게 전달한다(S265). 이 때,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블루투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유료방송정보를 전달한다.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하고 있는 동안에만 해당 유료방송정보를 제공하는데,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블루투스 단말(300)로부터 송신되는 파워(일명, 단말파워)의 크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70).
예를 들어, 블루투스 단말(300)의 단말파워가 기 설정된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SBS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유료방송정보를 계속하여 블루투스 단말(300)로 전달한다. 반면 블루투스 단말(300)의 단말파워가 기 설정된 설정값 이하이면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블루투스 단말(300)과의 콜-셋업을 해제(S275)하고 SBS 서버(200)로 유료방송 중지를 요청한다(S280).
한편, 블루투스 단말(300)과 객차내 방송장치(100)간에 콜-셋업(S215)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유료방송 청취를 선택하지 않으면 블루투스 단말(300)은 공통방송기능(S300)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단말(300)이 공통방송기능(S300)을 수행하기 위한 지하철 공통방송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공통방송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과정(S215)에서 객차내 방송장치(100)간에 콜 셋-업이 완료된 블루투스 단말(300)이 유료방송 청취를 선택하지 않으면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공통방송음성신호를 블루투스 단말(300)에게 전송한다(S305).
도 1을 참조한 설명부분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SBS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공통방송데이터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한 후 그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단말(300)에게 전송한다.
한편, 블루투스 단말(300)이 객차내 방송장치(100)로부터 전달된 공통방송음성을 청취하는 중에 매크로 무선망(400)으로부터 통화연결음이 수신되어(S310) 사용자가 통화를 선택하면 블루투스 단말(300)은 객차내 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공통방송음성을 차단한 후(S320) 매크로 무선망(400)을 통한 무선통화를 수행한다(S325).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S330) 공통방송음성차단을 해제하고(S335) 객차내 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공통방송음성 청취를 재개한다(S340).
이 때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하고 있는 동안에만 공통방송음성을 제공하며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유료방송방법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블루투스 단말(300)로부터 송신되는 파워(일명, 단말파워)의 크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45).
예를 들어, 블루투스 단말(300)의 단말파워가 기 설정된 설정값 보다 크면 블루투스 단말(300) 소지자가 지하철 객차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계속하여 블루투스 단말(300)에게 공통방송음성을 제공한다. 반면 블루투스 단말(300)의 단말파워가 기 설정된 설정값 이하이면 객차내 방송장치(100)는 블루투스 단말(300)과의 콜-셋업을 해제(S350)함으로써 공통방송 음성의 전달을 종료한다.
한편 블루투스 단말(300)이 지하철 공통 방송 청취 중에 매크로 무선망(400)으로부터 통화를 요청 받은 경우에 대한 처리 과정들(S310 내지 S335)은 블루투스 단말(300)이 유료 방송을 청취하고 있는 중에도 동일하게 수행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서버들로부터 전달된 다양한 종류의 유료컨텐츠들을 그 유료컨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탑승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탑승객들이 객차내에서 원하는 방송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장시간 지하철을 이용하는 탑승객들이 지하철 탑승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철 탑승객 개개인이 소지한 블루투스 단말을 이용하여 공통방송데이터의 음성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방송 음성을 원하지 않는 탑승객들에게 방해를 주지 않는다.

Claims (12)

  1. 지하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지하철 공통방송데이터 및 유료컨텐츠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공통방송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유료컨텐츠데이터와 공통방송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수신된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지하철방송서버로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유료컨텐츠데이터 및 공통방송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방송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블루투스부 및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에 의해 설정된 식별정보에 의해 유료컨텐츠데이터와 공통방송데이터로 구분되는 방송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방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용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유료컨텐츠데이터는 상기 블루투스부로 전달하고, 공통방송데이터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한 후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고 음성신호는 상기 블루투스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공통방송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음성신호 및 유료컨텐츠데이터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고,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무선망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단말들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된 공통방송데이터의 음성신호 또는 유료컨텐츠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로 전달하고 상기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 인증정보를 신호변환부로 전달하는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변환부 및 상기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의 처리결과에 따라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상태 및 처리 용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부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의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상태 및 처리용량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 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데이터를 상기 유료컨텐츠데이터 요청자에게 송신하고 상기 블루투스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된 공통방송데이터의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칩이 장착된 불특정 다수의 이동단말에게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장치.
  8. 지하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전달된 방송용 데이터를 지하철 탑승객들에게 제공하는 지하철방송장치의 지하철 방송방법에 있어서,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블루투스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콜-셋업을 수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전달된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정보에 응답하여 그 유료컨텐츠 요청메시지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 전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요청된 유료컨텐츠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3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파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과의 콜-셋업을 해제하고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 유료방송 중지를 요청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망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지하철 방송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지하철방송서버로부터 무선망 데이터로 전달된 데이터들을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콜-셋업이 완료된 후 상기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유료컨텐츠 요청 메시지 및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지하철방송서버로부터 공통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제5 과정과,
    상기 공통방송데이터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제6 과정과,
    상기 제6 과정에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7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7 과정은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방법.
KR1020030040825A 2003-06-23 2003-06-23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KR20050000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25A KR20050000221A (ko) 2003-06-23 2003-06-23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US10/701,666 US7555289B2 (en) 2003-06-23 2003-11-05 Subway broadcast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25A KR20050000221A (ko) 2003-06-23 2003-06-23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221A true KR20050000221A (ko) 2005-01-03

Family

ID=3351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825A KR20050000221A (ko) 2003-06-23 2003-06-23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55289B2 (ko)
KR (1) KR200500002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77B1 (ko) * 2007-04-26 2008-09-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공장소에 설치된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에 대한 음성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11555829A (zh) * 2020-04-23 2020-08-18 深圳市北海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旅客列车广播运行调图发布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6391A1 (en) * 2003-11-28 2005-06-01 Connexion2 Limited Lone worker monitor
US8077653B2 (en) * 2004-03-25 2011-12-13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GB0408990D0 (en) * 2004-04-22 2004-05-26 Nokia Corp Charg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US8001217B1 (en) * 2005-10-13 2011-08-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ediction-based adaptive content broadcasting over a network
US9060071B1 (en) * 2006-08-01 2015-06-16 Oracle America, Inc. Bluetooth location identifier and general information broadcaster
WO2008048186A1 (en) * 2006-10-16 2008-04-24 Oghma Pte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livering content to an ad hoc network mobile terminal
US7881702B2 (en) * 2007-03-12 2011-02-01 Socializeit, Inc. Interactive entertainment, social networking, and advertising system
US7957528B2 (en) * 2007-08-21 2011-06-07 Sony Corporation Near field registration of home system audio-video device
KR101426046B1 (ko) * 2007-09-17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JP5345641B2 (ja) * 2008-02-26 2013-11-2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信頼性のある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541648B2 (ja) * 2008-06-30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83271A (ko) *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서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US7899019B1 (en) 2010-06-17 2011-03-01 Oto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bandwidth management
FR3012005A1 (fr) * 2013-10-10 2015-04-17 Orange Securite d'une fourniture de contenus dans un train
CN109347911A (zh) * 2018-09-11 2019-02-15 北京经纬纺机新技术有限公司 基于ble的车间信息推送系统及用途
CN114727234A (zh) * 2022-04-27 2022-07-08 上海寰创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无人驾驶列车的远程广播系统及方法
CN115649214A (zh) * 2022-10-26 2023-01-31 大连海天兴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mvb总线的全数字化列车乘客信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4403B1 (en) * 1999-02-19 2002-08-13 Bodycom,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wireless telephone
US6714797B1 (en) * 2000-05-17 2004-03-3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fer of digital data to a mobile device
JP4136334B2 (ja) * 2000-07-27 2008-08-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収集システム
US7040987B2 (en) * 2001-04-11 2006-05-09 Walker Digit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ustomizing a gam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77B1 (ko) * 2007-04-26 2008-09-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공장소에 설치된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에 대한 음성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11555829A (zh) * 2020-04-23 2020-08-18 深圳市北海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旅客列车广播运行调图发布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55289B2 (en) 2009-06-30
US20040259500A1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0221A (ko) 지하철 방송방법 및 장치
US10547648B2 (en) Routing of data including multimedia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1123118B1 (ko) 동시대기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방법
US8279793B2 (en) Multi-stage setup for long-term evolutio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transmissions
CN1251502C (zh) 用于数字视频广播的移动多媒体终端
US6816730B2 (en) Message handover for networked beacons
US9060381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ocial networking
US6198942B1 (en) Telephone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228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dispatch
US201503345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7818784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EP23872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by Wi-Fi Device
CN109845373A (zh) 确定直连链路资源的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02111229A (zh) 广播转发方法以及广播转发设备、输出设备和转发系统
CN114390501B (zh) 数据传输的方法及电子设备
EP256308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80167038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201100090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ound volume of wireless connec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8716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회의 통화 중에 1:1 통화 제공방법
CN102215369A (zh) 移动终端和可视通话数据的交互方法
KR100965702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의 epg 정보 제공 장치및 방법
KR10064039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100883073B1 (ko)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677704B1 (ko)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20010066455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