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387A -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의 2,4-이치환된 옥사졸린 살충제 - Google Patents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의 2,4-이치환된 옥사졸린 살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387A
KR20020008387A KR1020017012185A KR20017012185A KR20020008387A KR 20020008387 A KR20020008387 A KR 20020008387A KR 1020017012185 A KR1020017012185 A KR 1020017012185A KR 20017012185 A KR20017012185 A KR 20017012185A KR 20020008387 A KR20020008387 A KR 20020008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spp
cyano
enantiomer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973B1 (ko
Inventor
올리비에르 프로엘리히
자끄 보비에르
Original Assignee
한스 루돌프 하우스, 헨리테 브룬너, 베아트리체 귄터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루돌프 하우스, 헨리테 브룬너, 베아트리체 귄터,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한스 루돌프 하우스, 헨리테 브룬너, 베아트리체 귄터
Publication of KR2002000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6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61,3-Oxazoles; Hydrogenated 1,3-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4Ectoparasiticides, e.g. scab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의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이들 거울상이성질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활성 성분이 이들 거울상이성질체로부터 선택된 살충제; 및 이들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 Y, Z, R1, R2, m 및 n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의 2,4-이치환된 옥사졸린 살충제 {Pesticidal Enantiomer-Pure 2,4-Disubstituted Oxazolines}
본 발명의 주제는 각각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이들 화합물 및 그의 염의 제조 및 사용 방법; 활성 성분이 이들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살충제; 이들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 및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의 이들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의 중간체이다.
상기 식에서,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시아노-C1-C4-알킬, 시아노-C1-C4-할로알킬, 시아노-C1-C4-알콕시, 시아노-C1-C4-할로알콕시, 시아노-C1-C4-알킬티오, 시아노-C1-C4-할로알킬티오,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또는 니트로이고;
Z는 수소,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디(C1-C4-알킬)아미노이고;
R1은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시아노-C1-C4-알킬, 시아노-C1-C4-할로알킬, 시아노-C1-C4-알콕시, 시아노-C1-C4-할로알콕시, 시아노-C1-C4-알킬티오, 시아노-C1-C4-할로알킬티오, C2-C6-알케닐, C2-C6-할로알케닐, C2-C6-알케닐옥시, C2-C6-할로알케닐옥시, C2-C6-알키닐, C2-C6-할로알키닐, C2-C6-알키닐옥시, C2-C6-할로알키닐옥시, C3-C8-시클로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C1-C4-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 OC(O)R3또는 할로겐이고;
R2는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또는 할로겐이고;
R3는 C1-C4-알킬, C1-C4-알콕시, C2-C6-알케닐, C2-C6-알케닐옥시, C2-C6-알키닐, C2-C6-알키닐옥시,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옥시,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옥시, N(R4R5), 비치환 페닐 또는 모노 내지 펜타-치환된 페닐 (여기서, 치환체는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할로겐, 시아노 및 니트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이고;
R4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5는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C1-C4-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 비치환된 또는 모노 내지 펜타-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또는 모노 내지 펜타-치환된 페닐-C1-C4-알킬 (여기서,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이고;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며, m 또는 n이 2인 경우, R1또는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은 작물 보호의 분야에서 해충 방제용으로 문헌 예컨대, 유럽 특허 제0,432,661호, 유럽 특허 제0,696,584호 및 독일 특허 제19,523,3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혼합물의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살충제로서 사용될 때 공지된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의 성질이 모든 해충에 대해 언제나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해충 방제성이 개선된 화합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이 문제점은 화학식 1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의 제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제시된 화학식 1의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를 사용하면 상기 필요성이 매우 만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 거울상이성질체 (이하, "A"로 부름)는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보다 해충에 대해 보다 높은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몇몇 경우,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보다 치료받은 동물 및 식물에서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낮은 내성을 나타내는 반면, 기타 거울상이성질체 (이하, "B"라 부름)는 해충에 대해 전혀 효능을 나타내지 않거나 훨씬 낮은 효능을 보인다. 거울상이성질체 A의 증가된 효능과 함께 사용자를 위한 보다 넓은 안전 한계가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활성 성분의 양을 증가시켜 치료받은 동물 또는 식물이 동시에 해를 입을 것을 걱정할 필요 없이 예를 들어, 퇴치하기 어려운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 A의 개선된 성질로 인해 기타 활성 물질과의 배합을 위한 파트너를 혼합하여 예컨대, 활성 스펙트럼을 넓히는 것에 대한 관심이 극도록 증가되고 있다. 혼합물에서, 두 파트너는 실질적으로 저량으로 사용할 수 있고, 혼합물에서 파트너와 불필요한 불활성 거울상이성질체 B의 임의의 불리한 상호작용은 배제된다. 더욱이, 성공적인 내성 관리의 관점에서 볼 때, 치사량보다 낮은 양의 불활성 거울상이성질체 B의 영구적인 존재가 표적 해충의 내성의 발생을 상당히 가속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 A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의 개선된 결정화 거동 및 보다 우수한 제제화 성질은 주목할 만하다.
통상적으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나트륨 증기 램프의 극성 NaD광 (589 nm)에서 음성 광학 회전을 나타낸다. 그러나, 양성 광학 회전을 보이는 거울상이성질체 A는 배제해야 한다. 임의의 경우, 훨씬 더 활성이 높은 거울상이성질체는 A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를 살충제, 특히 곤충 및 기타 아카리나 (Acarina) 목에 속하는 해충을 방제하는 하기 위한 살충제로서 제공한다.
순도가 95% 이상인 거울상이성질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염, 예컨대,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은 강한 유기산, 예컨대, 광산 (예: 황산, 인산 또는 히드로할르산); 강한 유기 카르복실산, 예컨대, 경우에 따라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알칸-카르복실산 (예: 아세트산), 임의로 비치환된 디카르복실산 (예: 옥살산, 말론산, 말레산, 푸마르산 또는 프탈산),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예: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말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또는 벤조산); 또는 유기 황산, 예컨대, C1-C4-알칸술폰산, 또는 경우에 따라 예컨대, 할로겐으로 치환되는 아릴술폰산 (예: 메탄술폰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유리 형태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염 중 농화학적으로 유익한 염이 바람직하다.
이전 및 이후에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및 그의 염은 경우에 따라 화학식 1의 유리 거울상이성질체 및 상응하는 염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전 및 이후에 사용된 일반적인 용어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할로겐-알킬 및 할로겐-알콕시의 치환체로서 생각되는 할로겐 원자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이고, 불소 및 염소가 바람직하다.
모순되게 정의되지 않는다면, 탄소-함유 기 및 화합물은 1 내지 4, 특히 1 또는 2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 자체로서의 알킬, 그리고 기타 기 및 화합물, 예컨대, 알콕시, 할로겐-알킬 또는 할로겐-알콕시의 구조 요소로서의 알킬은, 직쇄 또는 분지쇄인 해당 기 또는 화합물에 있는 탄소 원자의 특정 수를 충분히 고려하는 각 경우에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또는 그의 각 이성질체 중의 하나이다. 바람직한 알킬기는 C1-C2-알킬기, 특히 메틸기이다.
기 자체로서의 시클로알킬, 그리고 기타 기 및 화합물, 예컨대, 할로시클로알킬, 시클로알콕시 및 시클로알킬티오의 구조 요소로서의 시클로알킬은, 해당 기 또는 화합물에 있는 탄소 원자의 특정 수를 충분히 고려하는 각 경우에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이다.
기 자체로서의 알케닐, 그리고 기타 기 및 화합물, 예컨대, 알케닐옥시의 구조 요소로서의 알케닐은, 해당 기 또는 화합물에 있는 탄소 원자의 특정 수 및 접합된 또는 분리된 직쇄 이중 결합의 수를 충분히 고려하는 각 경우에서, 예컨대, 알릴, 2-부테닐, 3-펜테닐, 1-헥세닐, 1-헵테닐, 1,3-헥사디에닐, 1,3-옥타디에닐 또는 분지된 것 (예컨대, 이소프로페닐, 이소부테닐, 이소프레닐, tert-펜테닐, 이소헥세닐, 이소헵테닐 또는 이소옥테닐)이다.
기 자체로서의 알키닐, 그리고 기타 기 및 화합물, 예컨대, 알키닐옥시의 구조 요소로서의 알키닐은, 해당 기 또는 화합물에 있는 탄소 원자의 특정 수 및 접합된 또는 분리된 직쇄 이중 결합의 수를 충분히 고려하는 각 경우에서, 예컨대, 프로파르길, 2-부티닐, 3-펜티닐, 1-헥시닐, 1-헵티닐, 3-헥센-1-이닐, 1,5-헵타디엔-3-이닐, 또는 분지된 것 (예를 들어, 3-메틸부트-1-이닐, 4-에틸펜트-1-이닐, 4-메틸헥스-2-이닐 또는 2-메틸헵트-3-이닐)이다.
할로겐-치환된 기, 즉 할로겐-알킬 및 할로겐-알콕시는 부분 활로겐화되거나 과할로겐화될 수 있다. 기 자체로서의 할로겐-알킬, 그리고 기타 기 및 화합물, 예컨대, 할로겐-알콕시의 구조 요소로서의 할로겐-알킬의 예는 불소, 염소 및(또는) 브롬으로 모노- 내지 트리-치환된 메틸, 예컨대, CH2F 또는 CF3; 불소, 염소 및(또는) 브롬으로 모노- 내지 펜타-치환된 에틸, 예컨대, CH2CH2F, CH2CF3, CF2CF3, CF2CCl3, CF2CHCl2, CF2CHF2, CF2CFCl2, CF2CHBr2, CF2CHCIF, CF2CHBrF 또는 CCIFCHCIF; 및 불소, 염소 및(또는) 브롬으로 모노- 내지 헵타-치환된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예컨대, CH2CHBrCH2Br, CF2CHFCF3, CH2CF2CF3또는 CH(CF3)2이다.
순도가 약 95-100%, 바람직하게는 98-100%인 거울상이성질체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거울상이성질체는
(1) X 및 Y가 각각 독립적으로 염소 또는 불소, 바람직하게는 불소이고, Z가 수소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2) R1이 C1-C2-알킬, C1-C2-할로알킬, C1-C2-알콕시, C1-C2-할로알콕시, C1-C2-알킬티오, C1-C2-할로알킬티오, 시아노-C1-C2-알킬, 시아노-C1-C2-할로알킬, 시아노-C1-C2-알콕시, 시아노-C1-C2-할로알콕시, 시아노-C1-C2-알킬티오 또는 시아노-C1-C2-할로알킬티오, 바람직하게는 메틸, 할로메틸, 할로메톡시, 할로메틸티오, 시아노할로메틸 또는 시아노메틸,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시아노메틸 또는 시아노디플루오로메틸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3) R2가 수소, C1-C2-알킬, C1-C2-알콕시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할로겐,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4) m이 1 또는 2, 바람직하게는 1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5) n이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0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6) R1이 C1-C2-알킬, C1-C2-할로알킬, C1-C2-알콕시, C1-C2-할로알콕시, C1-C2-알킬티오, C1-C2-할로알킬티오, 시아노-C1-C2-알킬, 시아노-C1-C2-할로알킬, 시아노-C1-C2-알콕시, 시아노-C1-C2-할로알콕시, 시아노-C1-C2-알킬티오 또는 시아노-C1-C2-할로알킬티오이고, R2가 수소, C1-C2-알킬, C1-C2-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m이 1 또는 2이고, n이 0 또는 1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7) R1이 메틸, 할로메틸, 할로메톡시, 할로메틸티오, 시아노할로메틸 또는 시아노메틸이고, R2가 수소, 메틸 또는 할로겐이고, m이 1이고, n이 0 또는 1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및
(8) R1이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시아노메틸 또는 시아노디플루오로메틸이고, R2가 수소이고, m이 1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이다.
화학식 1의 하기 거울상이성질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2-(2,6-디플루오로페닐)-4-(4'-메틸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2-(2,6-디플루오로페닐)-4-(4'-디플루오로메톡시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2-(2,6-디플루오로페닐)-4-(4'-시아노디플루오로메톡시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2-(2,6-디플루오로페닐)-4-(4'-{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및
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는 거울상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데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공지된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임의로 키랄 고정상 상의 분획 결정화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물리적 방법 뿐만 아니라 정의된 광학 활성 보조제로의 유도체화이고, 이로써 상기 분리 방법에 의해 거울상이성질체 쌍을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순수한 광학 거울상이성질체는 보조제의 분할에 의해 상기 단리된 거울상이성질체 유도체로부터 수득된다. 라세미체로부터 거울상이성질체를 얻는 다른 방법은 임의로 광학 활성 출발 물질로부터 특이적 및 입체선택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가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탄화수소와 혼합된 알콜,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파놀과 헥산의 혼합물을 사용한 키랄 고정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을 분리함으로써 수득된다는 것을 밝혔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가 식물 보호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의 경우, 인간 및 바람직하게는 가축 및 애완동물에 있어서 외부기생충 및 내부기생충의 예방 및 치유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밝혔다.
뜻밖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 및 B는 그의 살충 작용에서 약간 다를 뿐만 아니라 완전히 상이한 살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거울상이성질체 A는 B보다 100 내지 1000배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고, B의 활성은 유의한 상업적인 값이 아니다. B의 활성은 생물학적으로 적합하지 않는데, 이는 B를 사용할 때 너무 많은 기생충이 생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B는 내성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결론적으로, 이는 거울상이성질체 A를 제외한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류 및 거울상이성질체 B의 활성은 생물학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A의 내성은 B의 내성보다 매우 높다. 이는 저량의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로의 활성과 동일한 활성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증가된 내성이 고량의 활성 성분을 사용가능하게 하여 숙주 식물 또는 동물에 해를 주지 않으면서 퇴치하기 어려운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동물 해충의 예로는 레피도프테라 목 (Lepidoptera), 예컨대, 아클레리스 속 (Acleris spp.), 아독소피에스 속 (Adoxophyes spp.), 아게리아 속 (Aegeria spp.), 아그로티스 속 (Agrotis spp.), 알바마 아르길라세애 (Alabama argillaceae), 아밀로이스 속 (Amylois spp.), 안티카르시아 겜마탈리스 (Anticarsia gemmatalis), 아르칩스 속 (Archips spp.), 아르기로태니아 속 (Argyrotaenia spp.), 오토그래파 속 (Autographa spp.), 부세올라 푸스카 (Busseola fusca), 카드라 코텔라 (Cadra cautella), 카르포시나 니폰엔시스 (Carposina nipponensis), 칠로 속 (Chilo spp.), 코리스토뉴라 속 (Choristoneura spp.), 클리시아 앰비규엘라 (Clysia ambiguella), 시나팔로크로시스 속 (Cnaphalocrocis spp.), 시네파시아 속 (Cnephasia spp.), 코칠리스 속 (Cochylis spp.), 콜레오포라 속 (Coleophora spp.), 크로시돌로미아 비노탈리스 (Crocidolomia binotalis), 크립토프레비아 류코트레타 (Cryptophlebialeucotreta), 시디아 속 (Cydia spp.), 디아트라애 속 (Diatraea spp.), 디파롭시스 캐스타니아 (Diparopsis castanea), 어리아스 속 (Earias spp.), 에페스티아 속 (Ephestia spp.), 에쿠스마 속 (Eucosma spp.), 유포에실리아 앰비규엘라 (Eupoecilia ambiguella), 유프로크티스 속 (Euproctis spp.), 육소아 속 (Euxoa spp.), 그래폴리타 속 (Grapholita spp.), 헤디아 누비페라나 (Hedya nubiferana), 헬리오티스 (헬리코베르파) 속 [Heliothis (Helicoverpa) spp.)], 헬루라 운달리스 (Hellula undalis), 히판트리아 쿠니아 (Hyphantria cunea), 케이페리아 리코페르시셀라 (Keiferia lycopersicella), 류코프테라 시텔라 (Leucoptera scitella), 리토콜레티스 속 (Lithocollethis spp.), 루베시아 보트라나 (Lobesia botrana), 리만트리아 속 (Lymantria spp.), 리오네티아 속 (Lyonetia spp.), 말라코소마 속 (Malacosoma spp.), 마메스트라 브라시캐 (Mamestra brassicae), 만두카 섹타 (Manduca sexta), 오페로프테라 속 (Operophtera spp.), 오스트리니아 누빌라리스 (Ostrinia nubilalis), 파메네 속 (Pammene spp.), 판데미스 속 (Pandemis spp.), 파놀리스 플라미아 (Panolis flammea), 펙티노포라 고시피엘라 (Pectinophora gossypiella), 프토리마애 오페르쿠렐라 (Phthorimaea operculella), 피에리스 라파애 (Pieris rapae), 피에리스 속 (Pieris spp.),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 (Plutella xylostella), 프레이스 속 (Prays spp.), 쉬르포파가 속 (Scirpophaga spp.), 세사미아 속 (Sesamia spp.), 스파르가노티스 속 (Sparganothis spp.), 스포도프테라 속 (Spodoptera spp.), 시난테돈 속 (Synanthedon spp.), 타우메토포이아 속 (Thaumetopoea spp.), 토르트릭스 속 (Tortrix spp.), 트리코플루시아 니(Trichoplusia ni) 및 욥노메우타 속 (Yponomeuta spp.); 콜레오프테라 목 (Coleoptera) 예컨대, 아그리오테스 속 (Agriotes spp.), 안토노무스 속 (Anthonomus spp.), 아토마리아 리네아리스 (Atomaria linearis), 캐톡네마 티비알리스 (Chaetocnema tibialis), 코스모폴리테스 속 (Cosmopolites spp.), 쿠르쿨리오 속 (Curculio spp.), 데르메스테스 속 (Dermestes spp.), 디아브로티카 속 (Diabrotica spp.), 에필락나 속 (Epilachna spp.), 에렘누스 속 (Eremnus spp.), 렙티노타르사 데켐리네아타 (Leptinotarsa decemlineata), 리소르홉트루스 속 (Lissorhoptrus spp.), 멜로론타 속 (Melolontha spp.), 오리캐필루스 속 (Orycaephilus spp.), 오티오르힌쿠스 속 (Otiorhynchus spp.), 프릭티누스 속 (Phlyctinus spp.), 포필리아 속 (Popillia spp.), 실리오데스 속 (Psylliodes spp.), 리조페르타 속 (Rhizopertha spp.), 스카라베이대 (Scarabeidae), 시토필루스 속 (Sitophilus spp.), 시토트로가 속 (Sitotroga spp.), 테네브리오 속 (Tenebrio spp.), 트리볼리움 속 (Tribolium spp.) 및 트로구데르마 속 (Trogoderma spp.); 오르토프테라 목 (Orthoptera) 예컨대, 블라타 속 (Blatta spp.), 블라텔라 속 (Blattella spp.), 그릴로탈파 속 (Gryllotalpa spp.), 류코파이아 마데래 (Leucophaea maderae), 루쿠스타 속 (Locusta spp.), 페리플라네타 속 (Periplaneta spp.) 및 스키스토세르카 속 (Schistocerca spp.); 이소프테라 목 (Isoptera), 예컨대, 레티쿨리테르메스 속 (Reticulitermes spp.); 소코프테라 목 (Psocoptera), 예컨대, 리포스셀리스 속 (Liposcelis spp.); 아노플루라 목 (Anoplura), 예컨대, 해마토피누스 속 (Haematopinus spp.), 리노그나투스 속(Linognathus spp.), 페디쿨루스 속 (Pediculus spp.), 펨피구스 속 (Pemphigus spp.) 및 필록세라 속 (Phylloxera spp.); 말로파가 목 (Mallophaga) 예컨대, 다말리니아 속 (Damalinia spp.), 트리코덱테스 속 (Trichodectes spp.) 및 보비콜라 속 (Bovicola spp.); 티사노프테라 목 (Thysanoptera), 예컨대, 프랜클리니엘라 속 (Frankliniella spp.), 헤르시노트립스 속 (Hercinothrips spp.), 태니오트립스 속 (Taeniothrips spp.), 트립스 팔미 (Thrips palmi), 트립스 타바키 (Thrips tabaci) 및 쉬르토트립스 오란티이 (Scirtothrips aurantii); 헤테로프테라 (Heteroptera) 예컨대, 시멕스 속 (Cimex spp.), 디스탄티엘라 테오브로마 (Distantiella theobroma), 디스데르쿠스 속 (Dysdercus spp.), 유키스투스 속 (Euchistus spp.), 유리가스테르 속 (Eurygaster spp.), 렙토코리사 속 (leptocorisa spp.), 네자라 속 (Nezara spp.), 피에스마 속 (Piesma spp.), 로드니우스 속 (Rhodnius spp.), 살베르겔라 싱굴라리스 (Sahlbergella singularis), 스코티노파라 속 (Scotinophara spp.) 및 트리아토마 속 (Triatoma spp.); 호모프테라 목 (Homoptera), 예컨대, 알레우로트릭수스 플루코수스 (Aleurothrixus floccosus), 알레이로데스 브라시캐 (Aleyrodes brassicae), 아오니디엘라 속 (Aonidiella spp.), 아피디대 (Aphididae), 아피스 속 (Aphis spp.), 아스피디오투스 속 (Aspidiotus spp.), 베미시아 타바시 (Bemisia tabaci), 세로플라스테르 속 (Ceroplaster spp.), 크리솜팔루스 아오니디움 (Chrysomphalus aonidium), 크리솜팔루스 딕티오스페르미 (Chrysomphalus dictyospermi), 코쿠스 헤스페리듐 (Coccus hesperidum), 엠포아스카 속 (Empoasca spp.), 에리오소마 라리게륨 (Eriosomalarigerum), 에리트로뉴라 속 (Erythroneura spp.), 가스카르디아 속 (Gascardia spp.), 라오델팍스 속 (Laodelphax spp.), 레카니움 코미 (Lecanium comi), 레피도사페스 속 (Lepidosaphes spp.), 마크로시푸스 속 (Macrosiphus spp.), 미주스 속 (Myzus spp.), 네포테틱스 속 (Nephotettix spp.), 닐라파르바타 속 (Nilaparvata spp.), 파라토리아 속 (Paratoria spp.), 펨피구스 속 (Pemphigus spp.), 플라노코쿠스 속 (Planococcus spp.), 슈다울라카스피스 속 (Pseudaulacaspis spp.), 슈도코커스 속 (Pseudococcus spp.), 실라 속 (Psylla spp.), 풀비나리아 애티오피카 (Pulvinaria aethiopica), 쿠아드라스피디오투스 속 (Quadraspidiotus spp.), 로팔로시품 속 (Rhopalosiphum spp.), 사이세티아 속 (Saissetia spp.), 스카포이데우스 속 (Scaphoideus spp.), 쉬자피스 속 (Schizaphis spp.), 시토비온 속 (Sitobion spp.), 트리아류로데스 바포라리오륨 (Trialeurodes vaporariorum), 트리오자 에리트레애 (Trioza erytreae) 및 우나스피스 시트리 (Unaspis citri) ; 히메노프테라 (Hymenoptera), 예컨대, 아크로미르멕스 (Acromyrmex), 아타 속 (Atta spp.), 세푸스 속 (Cephus spp.), 디프리온 속 (Diprion spp.), 디프리오니대 (Diprionidae), 길피니아 폴리토마 (Gilpinia polytoma), 호플로캠파 속 (Hoplocampa spp.), 라시우스 속 (Lasius spp.), 모노모리움 파라오니스 (Monomorium pharaonis), 네오디프리온 속 (Neodiprion spp.), 솔레놉시스 속 (Solenopsis spp.) 및 베스파 속 (Vespa spp.); 디프테라 목 (Diptera), 예컨대, 애데스 속 (Aedes spp.), 안테리고나 속카타 (Antherigona soccata), 비비오 호르튤라누스 (Bibio hortulanus), 칼리포라 에리트로세팔라 (Calliphoraerythrocephala), 세라티티스 속 (Ceratitis spp.), 크리소미아 속 (Chrysomyia spp.), 큘렉스 속 (Culex spp.), 쿠테레브라 속 (Cuterebra spp.), 다쿠스 속 (Dacus spp.), 데르마토비아 속 (Dermatobia spp.),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터 (Drosophila melanogaster), 패니아 속 (Fannia spp.), 가스트로필루스 속 (Gastrophilus spp.), 글로시나 속 (Glossina spp.), 헤마토비아 속 (Haematobia spp.), 히포데르마 속 (Hypoderma spp.), 히포보스카 속 (Hyppobosca spp.), 리리오미자 속 (Liriomyza spp.), 루실리아 속 (Lucilia spp.), 멜라나그로미자 속 (Melanagromyza spp.), 무스카 속 (Musca spp.), 오에스트루스 속 (Oestrus spp.), 오르세올리아 속 (Orseolia spp.), 오시넬라 프리트 (Oscinella frit), 페고미아 히요스키아미 (Pegomyia hyoscyami), 포르비아 속 (Phorbia spp.), 라골레티스 포모넬라 (Rhagoletis pomonella), 쉬아라 속 (Sciara spp.), 스토목시스 속 (Stomoxys spp.), 타바누스 속 (Tabanus spp.), 타니아 속 (Tannia spp.) 및 티퓰라 속 (Tipula spp.); 시포나프테라 목 (Siphonaptera), 예컨대, 세라토필루스 속 (Ceratophyllus spp.), 제노실라 캐오피스 (Xenopsylla cheopis), 스테노세팔리데스 펠리스 (Ctenocephalides felis), 퓰렉스 속 (Pulex spp.) 및 스테노세팔리데스 캐니스 (Ctenocephalides canis) ; 티사누라 목 (Thysanura), 예컨대, 레피스마 사카리나 (Lepisma saccharina); 및 아카리나 목 (Acarina), 예컨대, 아카루스 시로 (Acarus siro), 아세리아 셀도니 (Aceria sheldoni), 아큘루스 스클렉텐달리 (Aculus schlechtendali), 앰브리오마 속 (Amblyomma spp.), 아르가스 속 (Argas spp.), 보오필루스 속 (Boophilus spp.), 브레비팔푸스 속 (Brevipalpus spp.), 브리오비아 프래티오사 (Bryobia praetiosa), 칼리피트리메루스 속 (Calipitrimerus spp.), 코리오프테스 속 (Chorioptes spp.), 데르마니수스 갈리내 (Dermanyssus gallinae),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속 (Dermatophagoides spp.), 데르마센토르 속 (Dermacentor spp.), 에오테트라니쿠스 카르피니 (Eotetranychus carpini), 에리오피에스 속 (Eriophyes spp.), 해마피살리스 속 (Haemaphysalis spp.), 히알로마 속 (Hyalomma spp.), 익소데스 속 (Ixodes spp.), 미요비아 속 (Myobia spp.), 미요코프테스 속 (Myocoptes spp.), 올리고니쿠스 프라텐시스 (Olygonychus pratensis), 오르니토도로스 속 (Ornithodoros spp.), 파노니쿠스 속 (Panonychus spp.), 필로코프트루타 올레이보라 (Phyllocoptruta oleivora), 폴리파고타르소네무스 라투스 (Polyphagotarsonemus latus), 소레르가테스 속 (Psorergates spp.), 소로프테스 속 (Psoroptes spp.), 리피세팔루스 속 (Rhipicephalus spp.), 리조글리푸스 속 (Rhizoglyphus spp.), 사르코프테스 속 (Sarcoptes spp.), 타르소네무스 속 (Tarsonemus spp.) 및 테트라니쿠스 속 (Tetranychus spp.), 아카라피스 우디 (Acarapis woodi), 쉐일레티엘라 파라시티보락스 (Cheylettiella parasitivorax), 키토디테스 누두스 (Cytodites nudus), 데모덱스 속 (Demodex spp.), 크네미도코프테스 뮤탄스 (Knemidocoptes mutans), 옥토덱테스 시노티스 (Otodectes cynotis), 바로아 자콥소니 (Varroa jacobsoni); 선충류 (nematodes), 예컨대, 필라리이대 족 (Filariidae), 세타리이대 족 (Setariidae), 해몬쿠스 속 (Haemonchus), 트리코스토론길루스 (Trichostrongylus), 오스테르타기아 (Ostertagia), 네마토디루스 (Nematodirus), 코오페리아 (Cooperia), 아스카리스 (Ascaris), 부노스투뮴(Bunostumum), 오에소파고스토늄 (Oesophagostonum), 카베르티아 (Chabertia), 트리쿠리스 (Trichuris), 특히 트리쿠리스 불피스 (Trichuris vulpis), 스트론길루스 (Strongylus), 트리코네마 (Trichonema), 딕티오카울루스 (Dictyocaulus), 카필라리아 (Capillaria), 스트론길로이데스 (Strongyloides), 헤테락키스 (Heterakis), 톡소카라 (Toxocara), 특히 톡소카라 캐니스 (Toxocara canis), 아스카리디아 (Ascaridia), 옥시우리스 (Oxyuris), 안실로스토마 (Ancylostoma), 특히 안실로스토마 캐니늄 (Ancylostoma caninum), 운시나리아 (Uncinaria), 톡사스카리스 (Toxascaris) 및 파라카리스 (Parascaris); 디로필라리아 (Dirofilaria), 특히 디로필라리아 이미티스 (Dirofilaria immitis) (심장충)가 있다.
인간 또는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생충의 생존주기는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복잡한 생존주기로 인해 기생충을 방제하기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진드기는 단일 숙주 또는 여러 숙주에서 기생할 수 있다. 이들은 숙주 동물에 스스로 부착하여 숙주 동물의 피를 먹는다.
암컷은 충혈되면 숙주 동물로부터 떨어지고, 이어서 주위 환경 중 보호된 부위에서 다수의 알을 낳는다. 발생중인 유충은 새로운 숙주 동물을 찾는데, 유충은 상기 새로운 숙주 동물에서 애벌레 단계를 통해 성충으로 발생하고, 이 성충은 충혈될 때까지 피를 먹는다. 일부 종은 생존주기 동안 2 종의 숙주의 피를 먹고 살고, 일부는 3 종의 숙주의 피를 먹고 산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진드기는 앰블리오마 속 (Amblyomma), 보필루스 (Boophilus), 히알로마 (Hyalomma), 익소데스 (Ixodes), 리피세팔루스(Rhipicephalus) 및 데르마센토르 (Dermacentor), 특히 보필루스 마이크로플루스 속 (Boophilus microplus) 및 보필루스 애뉼라투스 (B. annulatus),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필루스 마이크로플루스 (B. microplus)에 속하는 진드기이다. 이들 진드기는 인간 및 동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많은 질환을 전염시킨다. 주로 전염되는 질환은 박테리아 질환, 원충류 질환, 리케치아병 및 바이러스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의 병원체는 특히, 하나 이상의 숙주의 피를 먹고 사는 진드기에 의해 전염된다. 이들 질환은 숙주 동물의 쇠약 및 심지어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상기 질환은 경제적으로 상당한 손해, 예컨대, 가축의 고기 가치의 하락, 쓸수 있는 피부의 손상 또는 우유 생산의 감소를 초래한다.
상기 진드기 종은 보통 관련된 감염의 타입에 따라 항진드기 활성 조성물로 감염된 동물을 치료함으로써, 즉 치료 수단으로 방제된다. 그러나, 예컨대, 방목장에서의 진드기 발생은 주로 계절 기후 조건에 달려 있고, 숙주 동물 자체의 최종 감염은 진드기에 대한 숙주 동물의 내성에 달려 있다. 이는 특히 기생충에 의한 감염도, 기생충에 대한 동물의 내성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드기의 예방 방제가 어렵고 시간 소모적임을 의미한다. 더욱이, 기생충의 예방 방제를 하고자 하는 경우, 가능한 감염에 대한 장기간의 감시가 필요하므로 추가적인 문제점이 생긴다. 기생충의 치료 방제는 통상적으로 주목적이 아닌데, 이는 방제가 시작되는 시간에 종종 상당한 손상이 이미 일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벼룩의 복잡한 생존주기로 인해 이들 기생충을 방제하는 공지된 방법 중 어떤 것도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데, 특히 대부분의 공지된 방제 방법은활성 성분이 벼룩의 다양한 발생 단계에 존재하도록 투여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종종 신뢰성이 없는데, 이는 다양한 부류의 물질에 매우 다양하게 반응하는, 벼룩이 거치는 다양한 발생 단계 때문이다.
동물, 특히 개 및 고양이의 벼룩 감염은 치료받을 동물 뿐만 아니라 동물 사육자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들 악영향은 예컨대, 국소 염증, 까다로운 소양증 또는 심지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고, 종종 심한 찰상을 초래한다. 게다가, 벼룩으로 감염된 동물은 벼룩에 의해 전파되는 디필리디움 속 (Dipylidium spp.) (즉, 촌충, 촌충류)에 감염될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경우에 따라 효과를 증대시키는 하나 이상의 기타 물질, 예컨대, 메토프렌, 히드로프렌, 디시클라닐, 시티오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 이외에 화학식 1의 이성질체 A를 특정 형태로 투여, 예컨대, 국소 투여하면 (특히, 전신 투여는 제외됨) 상기 외부기생충을 매우 신속하고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기생충의 복잡한 발생 주기를 차단하고, 동시에 내부기생충의 효율적인 방제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들 조성물은 숙주 동물에 전신, 즉 경구, 비경구, 피하,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여된 경우에도 우수한 구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해, 이들 화합물의 선택적인 산발 투여를 통해 다양한 기생충에 숙주 동물이 꾸준히 재감염되는 반복 주기를 단순한 방식으로 차단하고 기생충을 지속적으로 박멸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생충은 죽거나 복제가 차단되거나, 또는 유년 단계가 진행되지 않고(거나) 성장이 차단되어 더 이상 숙주 동물에게 해를 줄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목적은 구충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하나 이상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숙주 동물에게 경구 및 비경구 투여, 또는 이식재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가축 및 애완동물에서의 기생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 본질적인 사실은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 성분이 숙주 동물의 피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되어 내부기생충, 외부기생충, 및 내부기생충의 전염용 벡터로서 생각될 수 있는 기타 기생충에 의해 섭취됨으로써 성충기의 기생충이 낳은 알 및(또는) 그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다른 형태의 투여,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 제제, 예를 들어, 산제, 정제, 과립제, 캡슐제, 에멀젼제, 포말제,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의 제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동물에게 직접 투여할 필요가 없고 동물의 먹이와 편리하게 혼합될 수 있다. 물론, 경구 투여될 모든 조성물은 통상적인 제제화 부형제 이외에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예컨대, 적당한 방향 물질 및 향미제는 숙주 동물이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한다. 경구 투여의 단순한 수행성 때문에, 경구 투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주제 중 하나이다. 다른 투여 형태는 예컨대, 피하 주사, 정맥내 주사 또는 국부 투여에 의한 비경구 투여, 또는 이식재의 형태 또는 마이크로캡슐 (소위 "마이크로스피어")의 주사와 같은 장기 제제 (저장 형태)이다.
또한, 경구 투여로는 사료 상으로 적하될 수 있는 수용성 형태 또는 동물 사료와 혼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미 혼합되어 있는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동물 사료 예를 들어, 개 및 고양이 사료, 예컨대, 비스킷, 껌, 수용성 캡슐 또는 정제로서의 투여가 있다. 또한, 이식재에는 동물의 체내로 삽입되어 물질을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포함된다.
경피 투여 형태로는 예컨대, 피하 투여, 피부 투여, 근육내 투여 및 주사가능한 형태의 정맥내 투여가 있다. 바늘이 있는 통상적인 주사기와는 별도로, 바늘이 없는 시스템, 푸어-온 (pour-on) 제제 및 스팟-온 (spot-on) 제제도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제제를 선택함으로써, 활성 성분이 동물의 생체 조직을 침투하는 능력을 상승시키고 그의 효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컨대, 가용성이 낮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이 사용되는 경우에 중요한데, 동물의 체액이 한번에 소량의 물질만을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활성 성분의 낮은 가용성은 가용성-상승 방법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활성 성분은 매트릭스 제제에 존재할 수도 있는데, 상기 매트릭스 제제는 이들의 분해를 물리적으로 막고 활성 성분의 효능을 유지한다. 이 매트릭스 제제는 체내로 주사되어 조류조의 형태로서 체내에 남아 있는데, 상기 제제로부터 활성 성분이 계속 방출된다. 이러한 매트릭스 제제는 매트릭스 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밀초의 (waxy) 반고상 부형제, 예를 들어, 식물 왁스 및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분해가능한 폴리에스테르의공중합체이다.
활성 성분의 우수한 효능은 활성 성분의 이식재를 동물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이식재는 수의학에 널리 사용되고, 종종 실리콘-함유 고무로 구성된다. 여기서, 활성 성분은 고상 고무에 분포되어 있거나, 할로우 고무 요소의 내부에서 발견된다. 고무 이식재에서 가용성인 활성 성분을 선별해야 하는데, 이는 활성 성분이 먼저 고무에 용해되어 고무 물질로부터 치료받을 동물의 체액으로 꾸준히 침투하기 때문이다.
활성 성분이 이식재로부터 방출되는 속도, 및 이식재가 활성을 보이는 동안의 시간은 이식재에 포함된 활성 성분의 양의 측정 정확도, 이식재의 환경 및 이식재를 만드는 중합체 제제에 의해 결정된다.
이식재에 의한 활성 성분의 투여는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의 투여는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데, 이는 정확한 크기의 이식재가 숙주 동물의 조직내 활성 물질의 일정 농도를 보장하기 때문이다. 현재, 이식재가 수개월에 걸쳐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 위치에 있도록 단순한 방식으로 이식재를 디자인하여 이식할 수 있다.
동물 사료에 첨가된 수의학적 약물의 투여는 동물 건강의 분야에서 가장 잘 공지되어 있다. 통상, 무엇보다도, 활성 물질이 액체에 분산되어 있거나 고상 담체내에 미세하게 분포되어 있는 소위 프리믹스가 생산된다. 이 프리믹스는 통상적으로 사료내의 원하는 최종 농도에 따라 kg 당 약 1 내지 800 g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더불어, 활성 성분이 사료의 성분에 의해 가수분해될 수 있거나 그 효과가 약화될 수 있다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들 활성 물질은 통상적으로 보호 매트릭스, 예컨대, 젤라틴으로 제제화하여 후 프리믹스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단독 또는 다른 살충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활성 범위가 동일한 살충제와 배합하여 예컨대,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거나, 또는 활성 범위가 다른 물질과 배합하여 예컨대, 활성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소위 방충제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범위가 내부기생충까지 영향을 줄만큼 넓어야 한다면, 예컨대, 구충제라야 한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내부기생충에 대한 구충성을 나타내는 물질과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물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항균성 조성물과 병용될 수도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항성충 효과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즉 이들은 구체적으로 표적 기생충의 성충 단계에 대해 효과적이기 때문에, 기생충의 유충 단계에 대해 효과적인 살충제를 첨가하는 것이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매우 큰 경제적 손실을 주는 기생충의 대다수가 방제될 것이다. 또한, 이 방식은 내성 제제를 피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또한, 많은 배합이 상승적인 효과, 즉 활성 성분의 총량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배합 파트너 및 특히 바람직한 배합 파트너의 바람직한 군의 명칭은 하기와 같고, 상기 배합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 함께 하나 이상의 이들 파트너를 함유할 수 있다.
혼합물에서의 적당한 파트너는 하기에 명명되어 있는, 장기간 동안 당업자에게 공지된 살충제, 예컨대, 활성 기작이 다양한 항곤충제 및 항진드기제, 예를 들어, 키틴 합성 억제제, 성장 조절제; 유충기 호르몬으로 작용하는 활성 성분; 성충 살충제로서 작용하는 활성 성분; 활성 범위가 넓은 항곤충제, 활성 범위가 넓은 항진드기제 및 항선충제; 및 잘 공지된 구충제 및 곤충-및(또는) 진드기-퇴치 물질, 상기 방충제 또는 탈착제일 수 있다.
적당한 항곤충제 및 항진드기제의 비제한적 예는 아래와 같다:
(I) 알디카르브; (II) 아진포스-메틸; (III) 벤푸르아카르브; (IV) 비펜트린; (V) 부프로페진; (VI) 카르보푸란; (Vll) 디부틸아미노티오; (VIl) 카르탭; (IX) 클로르플루아주론; (X) 클로르피리포스; (Xl) 시플루트린; (Xll) 람다-시할로트린; (XIII) 알파=시퍼메트린; (XIV) 제타-시퍼메트린; (XV) 델타메트린; (XVI) 디플루벤주론; (XVII) 엔도술판; (XVIII) 에티오펜카르브; (XIX) 페니트로티온; (XX) 페노부카르브; (XXI) 펜발레레이트; (XXII) 포르모티온; (XXIII) 메티오카르브; (XXIV) 헵테노포스; (XXV) 이미다클로프리드; (XXVI) 이소프로카르브; (XXVII) 메타미도포스; (XXVIII) 메토밀; (XXIX) 메빈포스; (XXX) 파라티온; (XXXI) 파라티온-메틸; (XXXII) 포살론; (XXXIII) 피리미카르브; (XXXIV) 프로폭수르; (XXXV) 테플루벤주론; (XXXVI) 테르부포스; (XXXVII) 트리아자메이트; (XXXVIII) 아바멕틴; (XXXIX) 페노부카르브; (XL) 테부페노지드; (XLI) 피프로닐; (XLII) 베타-시플루트린; (XLIII) 실라플오펜; (XLIV) 펜피록시메이트; (XLV) 피리다벤; (LI) 아버멕틴B1; (XLVI) 페나자퀸; (XLVII) 피리프록시펜; (XLVIII) 피리미디펜; (XLIX) 니텐피람; (L) NI-25, 아세타미프리드; (LII) 식물로부터의 곤충-활성 추출물; (Llil) 곤충-활성 선충을 함유하는 제제; (LIV)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로부터 수득된 제제; (LV) 곤충-활성 진균을 함유하는 제제; (LVI) 곤충-활성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제제; (LVII) AC 303 630; (LVIII) 아세파트; (LIX) 아크리나트린; (LX) 알라니카르브; (LXI) 알파메트린; (LXII) 아미트라즈; (LXIII) AZ 60541; (LXIV) 아진포스 A; (LXV) 아진포스 M; (LXVI) 아조시클로틴; (LXVII) 벤디오카르브; (LXVIII) 벤술탭; (LXIX) 베타시플루트린; (LXX) BPMC; (LXXI) 브로펜프록스; (LXXII) 브로모포스 A; (LXXIII) 부펜카르브; (LXXIV) 부토카르복신; (LXXV) 부틸피리다벤; (LXXVI) 카두사포스; (LXXVII) 카르바릴; (LXXVIII) 카르보페노티온; (LXXIX) 클로에토카르브; (LXXX) 클로에톡시포스; (LXXXI) 클로르메포스; (LXXXII) 시스-레스메트린; (LXXXIII) 클로시트린; (LXXXIV) 클로펜테진; (LXXXV) 시아노포스; (LXXXVI) 시클로프로트린; (LXXXVII) 시헥사틴; (LXXXVIII) 데메톤 M; (LXXXIX) 데메톤 S; (XC) 데메톤-S 메틸; (XCI) 디클로펜티온; (XCII) 디클리포스; (XCIII) 디에티온; (XCIV) 디메토아트; (XCV) 디메틸빈포스; (XCVI) 디옥사티온; (XCVII) 에디펜포스; (XCVIII) 에마멕틴; (XCIX) 에스펜발레라트; (C) 에티온; (CI) 에토펜프록스; (CIl) 에토프로포스; (CIII) 에트림포스; (CIV) 페나미포스; (CV) 펜부타티녹시드; (CVI) 페노티오카르브; (CVII) 펜프로파트린; (CVIII) 펜피라드; (CIX) 펜티온; (CX) 플루아지남; (CXI) 플루시클록수론; (CXII) 플루시트리나트; (CXIII) 플루페녹수론; (CXIV) 플루펜프록스; (CXV) 포노포스; (CXVI) 포스티아자트; (CXVII) 푸브펜프록스; (CXVIII) HCH; (CXIX) 헥사플루무론; (CXX) 헥시티아족스; (CXXI) 이프로벤포스; (CXXII) 이소펜포스; (CXXIII) 이속사티온; (CXXIV) 이버멕틴; (CXXV) 람다 시할로트린; (CXXVI) 말라티온; (CXXVII) 메카르밤; (CXXVIII) 메술펜포스; (CXXIX) 메트알데히드; (CXXX) 메톨카르브; (CXXXI) 밀베멕틴; (CXXXII) 목시덱틴; (CXXXIII) 날레드; (CXXXIV) NC 184; (CXXXV) 오메토아트; (CXXXVI) 옥사밀; (CXXXVII) 옥시데메톤 M; (CXXXVIII) 옥시데프로포스; (CXXXIX) 퍼메트린; (CXL) 펜토아트; (CXLI) 포라트; (CXLII) 포스메트; (CXLIII) 폭심; (CXLIV) 피리미포스 M; (CXLV) 피리미포스 A; (CXLVI) 프로메카르브; (CXLVII) 프로파포스; (CXLVIII) 프로티오포스; (CXLIX) 프로토아트; (CL) 피라클로포스; (CLI) 피라다-펜티온; (CLII) 피레스메트린; (CLIII) 피레트륨; (CLIV) RH 5992; (CLV) 살리티온; (CLVI) 세부포스; (CLVII) 술포텝; (CLVIII) 술프로포스; (CLIX) 테부펜피라드; (CLX) 테부피림포스; (CLXI) 테플루트린; (CLXII) 테메포스; (CLXIII) 테르밤; (CLXIV) 테트라클로르빈포스; (CLXV) 티아페녹스; (CLXVI) 티오디카르브; (CLXVII) 티오파녹스; (CLXVIII) 티오나진; (CLXIX) 쑤린기엔신; (CLXX) 트랄로메트린; (CLXXI) 트리아르텐; (CLXXII) 트리아조포스; (CLXXIII) 트리아주론; (CLXXIV) 트리클로르폰; (CLXXV) 트리플루무론; (CLXXVI) 트리메타카르브; (CLXXVII) 밤미도티온; (CLXXVIII) 크실릴카르브; (CLXXIX) Yl 5301/5302; (CLXXX) 제타메트린; (CLXXXI) DPX-MP062; (CLXXXII) RH-2485; (CLXXXIII) D 2341; (CLXXXIV) XMC (3,5,-크실릴메틸카르바마트); (CLXXXV) 루페뉴론; (CLXXXVI) 플루아주론; (CLXXXVII) 메토프렌; (CLXXXVIII) 히드로프렌; (CLXXXIX) 페녹시카르브; (CXC) 클로르페나피르; 또는 (CXCI) 스피노사드.
적당한 구충제의 비제한적 예는 하기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구충제 활성 이외에 항곤충 및 항진드기 활성도 나타내고, 일부는 이미 상기 리스트에 있다.
(A1) 프라지쿠안텔 = 2-시클로헥실카르보닐-4-옥소-1,2,3,6,7,11 b-헥사히드로-4H-피라지노[2,1-α]이소퀴놀린
(A2) 클로산텔 = 3,5-디요오도-N-[5-클로로-2-메틸-4-(α-시아노-4-클로르벤질)페닐]살리실아미드
(A3) 트리클라벤다졸 = 5-클로로-6-(2,3-디클로르페녹시)-2-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
(A4) 레바미솔 = L-(-)-2,3,5,6-테트라히드로-6-페닐이미다조[2,1b]티아졸
(A5) 메벤다졸 = (5-벤조일-1H-벤즈이미다졸-2-일)카르밤산 메틸 에스테르
(A6) 옴팔로틴 = WO 97/20857에 기재된 옴팔로투스 올레아리우스 (Omphalotus olearius) 진균의 마크로시클릭 발효 생성물
(A7) 아바멕틴 = 아베멕틴 B1
(A8) 이버멕틴 = 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
(A9) 목시덱틴 = 5-0-데메틸-28-데옥시-25-(1,3-디메틸-1-부테닐)-6,28-에폭시-23-(메톡시이미노)-밀베마이신 B
(A10) 도라멕틴 = 25-시클로헥실-5-O-데메틸-25-데(1-메틸프로필)-아버멕틴A1a
(A11) 밀베멕틴 = 밀베마이산 A3와 밀베마이신 A4의 혼합물
(A12) 밀베마이신옥심 = 밀베멕틴의 5-옥심
적당한 방충제 및 탈착제의 비제한적 예는 (R1) DEET (N,N-디에틸-m-톨루아미드), (R2) KBR 3023 N-부틸-2-옥시카르보닐-(2-히드록시)-피페리딘 또는 (R3) 시미아졸 = N,-2,3-디히드로-3-메틸-1,3-티아졸-2-일리덴-2,4-크실리덴이다.
혼합물내의 상기 파트너는 이 분야의 전문가에게 가장 잘 공지되어 있다. 대부분은 문헌 (the Pesticide Manual,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의 여러 개정판에 기재되어 있고, 나머지는 문헌 (The Merck Index, Merck & Co., Inc., Rahway, New Jersy, USA)의 여러 개정판 또는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하기 리스트는 예로서 나타낼 수 있는 몇몇 경우로 한정되어 있다.
(I) 2-메틸-2-(메틸티오)프로피온알데히드-O-메틸카르바모일옥심 (알디카르브) (Pesticide Manual, 11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6);
(II)S-(3,4-디히드로-4-옥소벤조[d]-[1,2,3]-트리아진-3-일메틸)O,O-디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아진포스-메틸)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7);
(III) 에틸-N-[2,3-디히드로-2,2-디메틸벤조푸란-7-일옥시카르보닐-(메틸) 아미노티오]-N-이소프로필-β-알라린에이트 (벤푸라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96);
(IV) 2-메틸비페닐-3-일메틸-(Z)-(1RS)-시스-3-(2-클로로-3,3,3-트리플루오프로프-1-에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비펜트린)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8);
(V) 2-tert-부틸이미노-3-이소프로필-5-페닐-1,3,5-티아디아지안-4-온 (부프로페진)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57);
(VI) 2,3-디히드로-2,2-디메틸벤조푸란-7-일-메틸카바메이트 (카르보푸란)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86);
(VII) 2,3-디히드로-2,2-디메틸벤조푸란-7-일-(디부틸아미노티오)메틸카바메이트 (카르보술판)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88);
(VIII)S,S-(2-디메틸아미노트리메틸렌)-비스(티오카바메이트) (카르탭)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93);
(IX) 1-[3,5-디클로로-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 (클로르플루아주론) (The Pesticide Manual, 11 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13);
(X)O,O-디에틸-O-3,5,6-트리클로로-2-피리딜-포스포로티오에이트 (클로르피리포스)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35);
(XI) (RS)-α-시아노-4-플루오로-3-페녹시벤질-(1RS,3RS;1RS,3RS)-3-(2,2-디클로르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시플루트린)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93);
(XII) (S)-α-시아노-3-페녹시벤질-(Z)-(1R,3R)-3-(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와 (R)-α-시아노-3-페녹시벤질-(Z)-(1R,3R)-3-(2-클로로-3,3,3-트리플루오르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람다 시할로트린)의 혼합물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00);
(XIII) (S)-α-시아노-3-페녹시벤질-(1R,3R)-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R)-a-시아노-3-페녹시벤질-(1S,3S)-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된 라세미체 (알파-시퍼메트린)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08);
(XIV) (S)-α-시아노-3-페녹시벤질 (1RS, 3RS, 1RS, 3RS)-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 (제타-시퍼메트린)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Council, London, page 314);
(XV) (S)-α-시아노-3-페녹시벤질-(1R,3R)-3-(2,2-디브로모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델타메트린)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44);
(XVI) (4-클로로페닐)-3-(2,6-디플루오르벤조일)우레아 (디플루벤주론) (The Pesticide Manual, 11 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95);
(XVII) (1,4,5,6,7,7-헥사클로로-8,9-10-트리노르본-5-엔-2,3-일렌비스메틸렌)-술피트 (엔도술판)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459);
(XVIII) α-에틸티오-o-톨릴-메틸카바메이트 (에티오펜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479);
(XIX)O,O-디메틸-O-4-니트로-m-톨릴-포스포로티오에이트 (페니트로티온)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14);
(XX) 2-sec-부틸페닐-메틸카바메이트 (페노부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16);
(XXI) (RS)-α-시아노-3-페녹시벤질-(RS)-2-(4-클로로페닐)-3-메틸부티레이트 (펜발레레이트)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39);
(XXII)S-[포르밀(메틸)카르바모일메틸]-O,O-디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포르모티온)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25);
(XXIII) 4-메틸티오-3,5-크실릴-메틸카바메이트 (메티오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13);
(XXIV) 7-클로로비시클로[3.2.0]헵타-2,6-디엔-6-일-디메틸포스페이트 (헵테노포스)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70);
(XXV) 1-(6-클로로-3-피리딜메틸)-N-니트로이미다졸리딘-2-일리덴아민 (이미다클로프리드)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06);
(XXVI) 2-이소프로필페닐-메틸카바메이트 (이소프로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29);
(XXVII)O,S-디메틸-포스포라미도티오에이트 (메타미도포스)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08);
(XXVIII)S-메틸-N-(메틸카르바모일옥시)티오아세티미데이트 (메토밀)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15);
(XXIX) 메틸-3-(디메톡시포스피노일옥시)부트-2-에노에이트 (메빈포스)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44);
(XXX)O,O-디에틸-0-4-니트로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파라티온)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26);
(XXXI)O,O-디메틸-O-4-니트로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파라티온-메틸)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28);
(XXXII)S-6-클로로-2,3-디히드로-2-옥소-1,3-벤족사졸-3-일메틸-O,O-디에틸-포스포르디티오에이트 (포살론)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63);
(XXXIII) 2-디메틸아미노-5,6-디메틸피리미딘-4-일-디메틸카바메이트 (피리미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85);
(XXXIV) 2-이소프로폭시페닐-메틸카바메이트 (프로폭수르)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1036);
(XXXV) 1-(3,5-디클로로-2,4-디플루오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 (테플루벤주론)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58);
(XXXVI)S-tert-부틸티오메틸-O,O-디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테르부포스)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65);
(XXXVII) 에틸-(3-tert-부틸-1-디메틸카르바모일-1H-1,2,4-트리아졸-5-일-티오)-아세테이트 (트리아자메이트)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224; (XXXVIII) Abamectin, from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
(XXXVIII) 아버멕틴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
(XXXIX) 2-sec-부틸페닐-메틸카바메이트 (페노부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16);
(XL)N-tert-부틸-N-(4-에틸벤조일)-3,5-디메틸벤조히드라지드 (테부페노지드)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47);
(XLI)(±)-5-아미노-1-(2,6-디클로로-α, α, α-트리플루오로-p-톨릴)-4-트리플루오로메틸-술피닐피라졸-3-카르보니트릴 (피프로닐)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45);
(XLII) (RS)-α-시아노-4-플루오로-3-페녹시벤질(1RS,3RS;1RS,3RS)-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베타-시플루트린)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95);
(XLIII) (4-에톡시페닐)-[3-(4-플루오로-3-페녹시페닐)프로필](디메틸)실란 (실라플루오펜)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05);
(XLIV) tert-부틸 (E)-α-(1,3-디메틸-5-페녹시피라졸-4-일-메틸렌아미노-옥시)-p-톨루에이트 (펜피록시메이트)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30);
(XLV) 2-tert-부틸-5-(4-tert-부틸벤질티오)-4-클로로피리다진-3(2H)-온 (피리다벤)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61);
(XLVI) 4-[[4-(1,1-디메틸페닐)페닐]에톡시]-퀴나졸린 (페나자퀸)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507);
(XLVII) 4-페녹시페닐-(RS)-2-(피리딜옥시)프로필-에테르 (피리프록시펜)(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073);
(XLVIII) 5-클로로-N-{2-[4-(2-에톡시에틸)-2,3-디메틸페녹시]에틸}-6-에틸피리미딘-4-아민 (피리미디펜)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070);
(XLIX) (E)-N-(6-클로로-3-피리딜메틸)-N-에틸-N-메틸-2-니트로비닐리덴디아민 (니텐피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80);
(L) (E)-N 1-[(6-클로로-3-피리딜)메틸]-N 2-시아노-N 1-메틸아세타미딘 (NI-25, 아세타미프리드)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9);
(LI) 아버멕틴 B1(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3);
(LII) 식물로부터의 곤충-활성 추출물, 특히 (2R,6aS,12aS)-1,2,6,6a, 12,12a-헥스히드로-2-이소프로페닐-8,9-디메톡시-크로메노[3,4-b]푸로[2,3-h]크로멘-6-온 (로테논)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097); 및 아자디라크타 인디카 (Azadirachta indica)로부터의 추출물, 특히 아자디라크틴 (Azadirachtin)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59); 및
(LIII) 곤충-활성 선충, 바람직하게는 헤테로하브디티스 박테리오포라 (Heterorhabditis bacterophora) 및 헤테로하브디티스 메기디스 (Heterorhabditis megidis)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671), 스테이네메마 펠티애 (Steinemema feltiae)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15) 및 스테이네메마 스카프테리시 (Steinemema scapterisci)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166)를 함유하는 제제;
(LIV) GC91 또는 NCTC11821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제외하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2); 또는 바실러스 쑤린기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의 균주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3)로부터 수득가능한 제제;
(LV) 곤충-활성 진균, 바람직하게는 버티실리움 레카니이 (Verticillium lecanii)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266; 베아우리아 브로그니아티이 (Beauveria brogniartii)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5); 및 베아우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83)를 함유하는 제제;
(LVI) 곤충-활성 바이러스, 바람직하게는 네오디프리돈 세르티페르(Neodipridon Sertifer) NPV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342); 마메스트라 브라시캐 (Mamestra brassicae) NPV (The Pesticide Manual, 11 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759; 및 시디아 포모넬라 그래뉼로시스 바이러스 (Cydia pomonella granulosis virus) (The Pesticide Manual, 11 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291)를 함유하는 제제;
(CLXXXI) 7-클로로-2,3,4a,5-테트라히드로-2-[메톡시카르보닐(4-트리플루오르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인돌[1,2e]옥사졸린-4a-카르복실레이트(DPX-MP062, 인독시카르브)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453);
(CLXXXII)N-tert-부틸-N'-(3,5-디메틸벤조일)-3-메톡시-2-메틸벤조히드라지드 (RH 2485, 메톡시페노지드) (The Pesticide Manual, 11th Ed. (1997),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 page 1094); 및
(CLXXXIII) (N'-[4-메톡시-비페닐-3-일]-히드라진카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D 2341) (Brighton Crop Protection Conference, 1996,487-493);
(R2) 요약편 (212th ACS National Meeting Orlando, FL, August 25-29 (1996), AGRO-020. Publisher: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 C. CONEN: 63BFAF).
상기 자세한 설명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필수적인 측면은 화학식 1의화합물 이외에 활성 범위가 동일하거나 다른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 성분 및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에 의해 방혈되는 동물에서 기생충을 방제하기 위한 배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가지가 혼합된 배합물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체중 1 kg 당 0.01 내지 80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특히 0.5 내지 50 mg/kg의 양으로 인간 또는 숙주 동물에게 편리하게 투여되고, 이 때,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숙주 동물에게 규칙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양은 고양이의 경우 특히 체중 1 kg 당 2.5-5 mg이고, 개의 경우 특히 체중 1 kg 당 0.5-15 mg이다. 일정한 간격, 예컨대, 수일, 수주 또는 수개월 마다 투여하는 것이 좋다.
동일한 활성 성분이 총량은 동물 목 사이 및 동물 목 내 둘다에서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양이 무엇보다도 동물의 체중 및 구성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인간, 가축 및 애완동물에게 투여될 조성물 제제의 경우, 경구, 비경구 및 이식재 형태용으로 수의학 관행으로부터 공지된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험예의 리스트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담체는 특히, 충전제, 예컨대, 당 (예: 락토스, 사카로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셀룰로스 제제 및(또는) 인산칼슘, 예컨대,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인산수소칼슘이고, 보다 광범위한 의미로는 결합제, 예컨대, 옥수수, 밀, 쌀 또는 감자 전분을 사용한 전분 반죽, 젤라틴, 트라가칸쓰, 메틸 셀룰소스와 같은 결합제 및 (또는), 원하는 경우, 상기 전분과 같은 붕해제이고, 보다 광범위한 의미에서 카르복실메틸 전분,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아가, 알긴산 또는 그의 염, 예컨대, 알긴산나트륨이다. 부형제는 특히 유동 조절제 및 활제, 예컨대, 규산,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염 (예: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정제 코어는 경우에 따라 적당한 장용코팅할 수 있는데, 특히 아라비아산 검, 탈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는 농축된 당 용액, 적당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의 코팅 용액, 또는, 장용코팅하는 경우, 아세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와 같은 적당한 셀룰로스 제제 용액을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예컨대, 용도를 확인하거나 상이한 양의 활성 성분을 표시하기 위해, 염료, 방향제 또는 색소를 정제 또는 정제 코팅에 첨가할 수 있다.
경구 투여가능한 추가 제약 조성물로는 젤라틴으로 구성된 경질 캡슐, 및 젤라틴과 가소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로 구성된 연질 밀봉 캡슐이 있다. 경질 캡슐은 과립의 형태, 예를 들어, 락토스와 같은 충전제, 전분과 같은 결합제 및(또는) 탈크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활제, 그리고 경우에 따라 안정화제와의 혼합물 형태로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캡슐의 경우, 활성 성분은 지방 오일, 파라핀 오일 또는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적당한 액체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정화제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형태 중에서 쉽게 씹히고 통째로 삼킬 수 있는 캡슐이 바람직하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특히, 수용성 형태의 활성 성분 수용액, 예컨대, 수용성 염의 수용액, 보다 넓은 의미로는 활성 성분의 현탁액, 예컨대, 오일 (예: 참께유)과 같은 적당한 친지성 용매 또는 비히클, 또는 에틸 올레에이트와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한 적당한 주사가능한 유성 현탁액, 또는 점도-증가제, 예컨대,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소르비톨 및(또는) 덱스트란, 및 경우에 따라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주사가능한 현탁액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코팅, 용해 또는 동결 건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면, 활성 성분을 고상 담체와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 생성된 혼합물을 과립화하고,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혼합물 또는 과립을 가공하여 정제 또는 정제 코어를 형성한 후 적당한 부형제를 첨가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기생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도는 본 발명의 핵심이다.
식물, 특히 농업, 원예 및 임업에 있어서의 작물 및 장식물, 또는 과일, 꽃, 잎, 줄기, 괴경 또는 뿌리와 같은 상기 식물의 일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유형의 해충은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방제, 즉 박멸할 수 있고, 몇몇 식물의 경우 남아 있는 이러한 보호 효과로 인해 나중까지 해충이 발생하지 못한다.
표적 작물로는 특히 곡류, 예컨대, 밀, 보리, 호밀, 귀리, 벼, 옥수수 또는 사탕수수; 사탕무, 예컨대, 당 사탕무 또는 사료 사탕무; 과실, 예컨대, 이과, 핵과 및 연질 과실 (예를 들어, 사과, 배, 건포도, 복숭아, 아몬드, 체리 또는 장과 (예를 들어, 딸기, 나무딸기 또는 검은딸기); 콩과 식물, 예컨대, 콩, 렌즈콩, 완두콩 또는 대두; 유성 과실, 예컨대, 레이프, 겨자, 양귀비, 올리브, 해바라기, 코코넛, 비버유 식물, 코코아콩 또는 땅콩; 오이과 식물, 예컨대, 호박, 오이 또는 멜론; 섬유 식물, 예컨대, 목화, 아마, 대마 또는 황마; 감귤류 과실, 예컨대, 오랜지, 레몬, 그레이프플루이트 또는 귤; 야채, 예컨대, 시금치, 양상추,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당근, 양파, 토마토, 감자 또는 파프리카; 월계수, 예컨대, 아보카도, 계피 또는 캠퍼; 및 담배, 견과, 커피, 가지열매, 당 줄기, 차, 후추, 포도나무, 홉, 바나나 식물, 천연고무 식물 및 장식물이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은 야채, 과실 및 벼 작물에서 특히, 닐라 파르바타 루겐 (Nila parvata lugen), 헬리오티스 비레센스 (Heliothis virescens), 스포도프테라 리토랄리스 (Spodoptera littoralis), 디아브로티카 발테아타 (Diabrotica balteata), 파노니쿠스 울미 (Panonychus ulmi),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 (Tetranychus urticae)를 방제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의 다른 적용 영역은 저장품 및 비품의 보호, 원료의 보호, 및 특히 위생 분야에 있어서 상기 유형의 해충로부터의 가축 보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목적과 주변 환경에 따라 선택된 살충제, 예컨대, 유화가능한 농축물, 현탁액 농축물, 분무가능한 또는 희석가능한 용액, 코팅가능한 연고, 묽은 에멀젼, 분무 산제, 가용성 산제, 분산가능한 산제, 습윤가능한 산제, 먼지, 중합 물질 중의 과립 또는 캡슐화물에 관한 것이다.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입자 크기가 특정한 순수한 형태의 고상 활성 성분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제제 분야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 예컨대, 증진제 (용매 또는 고상 담체) 또는 표면-활성 화합물 (계면활성제)과 함께 이들 조성물에서 사용된다. 인간, 가축 및 애완동물에 있어서의 기생충 방제를 위해서는, 물론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만을 사용한다.
작물 보호의 경우, 적당한 용매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 (필요한 경우 부분 수소화됨), 탄소 원자의 수가 8 내지 12인 알킬벤젠의 분획 (예컨대, 크실렌 혼합물), 알킬화된 나프탈렌 또는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파라핀 또는 시클로헥산), 알콜 (예컨대, 에탄올, 프로파놀 또는 부타놀), 글리콜 및 그의 에테르와 에스테르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에틸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또는 에틸 에테르), 케톤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또는 디아세타놀 알콜, 극성이 강한 용매 (예컨대, N-메틸피롤리드-2-온, 디메틸 술폭시드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물, 경우에 따라 에폭시드화된 식물성 오일 (예컨대, 평지씨유, 비버유, 코코넛, 또는 필요한 경우 에폭시드화된 대두유), 및 실리콘 오일이 있다.
분제 및 분산성 산제에 사용되는 고상 담체는 통상적으로 천연 광필터, 예컨대, 방해석, 활석, 고령토,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아타풀가이트이다. 물성을 개질하기 위해, 매우 분산된 규산 또는 매우 분산된 흡수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당한 과립화된 흡착 담체는 다공성 형태, 예컨대, 경석, 깨진 벽돌, 해포석 또는 벤토나이트이고, 적당한 비흡착 담체는 칼사이트 또는 모래와 같은 물질이다. 또한, 다수의 무기 또는 유기성 예비과립화된 물질, 예컨대, 특히 백운석 또는 분쇄된 식물 잔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제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적합한 표면 활성 화합물은 유화성, 분산성 및 습윤성이 우수한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하기 계면활성제는 예로서만 간주되어야 하고, 관련 문헌에는 제제 기술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본 발명에 적합한 많은 다른 계면활성제가 기재되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족 알콜, 시클로지방족 알콜, 포화된 지방산 또는 불포화된 지방산의 폴리글리콜 에테르 유도체 및 알킬페놀이 바람직한데, 상기 유도체의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에는 3 내지 30개의 글리콜 에테르기 및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가 있고, 알킬페놀의 알킬 잔기에는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가 있다.
다른 적당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가 알킬쇄에 존재하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수용성 부가 생성물, 에텔렌디아민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알킬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인데, 상기 부가 생성물은 20 내지 250개의 에틸렌 글리콜 에테르기 및 10 내지 100개의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기를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은 통상 프로필렌 글리콜 단위 당 1 내지 5개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를 함유한다. 적당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노닐페놀폴리에톡시에탄올, 참께유 폴리글리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트리부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이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도 적합하다.
양이온성 게면활성제로는 치환체로서 하나 이상의 C8-C22알킬 라디칼 및, 다른 치환체로서 (경우에 따라) 할로겐화된 저급 알킬, 벤질 또는 저급 히드록시알킬 라디칼을 포함하는 4급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염은 할로겐화물, 메틸술페이트 또는 에틸술페이트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벤질-디(2-클로로에틸)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가 있다.
적당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성 비누 및 수용성 합성 계면활성 화합물 둘다일 수 있다. 적합한 비누는 알칼리성 금속염, 알칼리성 토금속염, 고지방산 (C10-C22)의 불포화된 암모늄 염 또는 포화된 암모늄 염, 예를 들어, 올레산 또는 스테아르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 또는 예컨대, 코코넛유 또는 수지유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천연 지방산 혼합물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이고, 지방산 메틸타우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 계면활성제, 특히 지방 술포네이트, 지방 술페이트, 술폰화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알킬아릴술포네이트가 더 자주 사용된다. 지방 술포네이트 또는 술페이트는 통상 알칼리성 금속염, 알칼리성 토금속염, 비치환된 암모늄 염 또는 치환된 암모늄 염의 형태이고 탄소수가 8 내지 22개인 알킬 라디칼을 포함하고, 아실 라디칼의 알킬 잔기, 예를 들어, 리그논술폰산 또는 도데실술페이트의 나트륨 및 칼슘 염, 또는 천연 지방산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알콜 술페이트 혼합물의 나트륨 및 칼슘 염도 포함한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지방 알콜/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의 술푸르산 에스테르 및 술폰산의 염을 포함한다. 술폰화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는 2개의 술폰산기, 및 8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하나의 지방산 라디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예는 도데실벤젠술폰산,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 또는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 칼슘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염이다. 상응하는 포스페이트, 예컨대, p-노닐페놀과 4 내지 14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인지질의 부가 생성물의 포스포르산 에스테르의 염도 적합하다.
활성 성분이라는 용어는 거울상이성질체 A, 바람직하게는 하기 물질 표에 기재된 거울상이성질체 A이다.
작물 보호, 및 인간, 가축 및 애완동물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통상 0.1 내지 99%, 특히 0.1 내지 95%의 활성 성분 및 1 내지 99.9%, 특히 5 내지 99.9%의 고상 또는 액상 보조제 하나 이상을 함유하고, 조성물의 통상 0 내지 25%, 특히 0.1 내지 20%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각 경우의 %는 중량%를 의미함). 농축된 조성물이 상품으로서 바람직한 경향이 있지만, 최종 소비자는 대개 활성 성분의 농도가 실질적으로 낮아진 희석된 조성물을 사용한다.
바람직한 작물 보호제의 조성물은 특히 하기와 같다 (% = 중량%).
유화가능한 농축물
활성 성분: 1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계면활성제: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용매: 5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분제
활성 성분: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고상 담체: 99.9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99.9 내지 99%
현탁 농축물
활성 성분: 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물: 94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30%
계면활성제: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습윤가능한 산제
활성 성분: 0.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계면활성제: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고상 담체: 5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8%
과립제:
활성 성분: 0.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고상 담체: 99.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97 내지 85%
본 발명의 작물 보호제의 활성은 실질적으로 넓어질 수 있고, 다른 살충제를 첨가함으로써 우세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추가 활성 성분은 예컨대, 유기 인 화합물, 니트로페놀 및 이들의 유도체, 포름아미딘, 아실우레아, 카바메이트, 피레드로이드, 나트로에나민 및 이들의 유도체, 피롤, 티오우레아 및 이들의 유도체, 염소화된 탄화수소 및 바실러스 쑤린기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제제로부터의 물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고상 또는 액상 보조제, 예컨대, 안정화제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 에폭시화되는 식물성 오일, 예컨대, 에폭시화된 코코넛유, 평지씨유 또는 대두유), 소포제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방부제, 점도조절제, 결합제 및(또는) 접착제, 뿐만 아니라 비료 또는 특정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항진드기제, 항균제, 항진균제,, 항선충제, 살구제, 특정 제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물 보호제는 보조제의 부재 하에 고상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 혼합물을 분쇄하고, 체질하고(거나) 예컨대, 특정 크기의 입자로 압축함으로써, 그리고 하나 이상의 보조제의 존재 하에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 혼합물을 보조제(들)와 예를 들어, 철저히 혼합하고(거나) 분쇄함으로써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상기 제조 방법 및 이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도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작물 보호제를 투여하는 방법, 즉 상기 유형의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 예를 들어, 분무, 살포, 코팅, 드레싱, 흩뿌리기 또는 붓기 (원하는 목적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선택됨), 상기 유형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조성물의 용도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활성 성분의 전형적인 농도는 0.1 내지 100 pp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ppm이다. 투여 속도는 일반적으로 헥타 당 1 내지 2000 g의 활성 성분, 특히 10 내지 1000 g/ha,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0 g/ha이다.
작물 보호를 위한 바람직한 투여 방법은 활성 성분을 식물의 잎에 투여하는 것이고 (잎 투여), 투여 빈도 및 투여 속도는 해당 해충에 의한 감염도에 달려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은 액상 조성물을 식물에 주입시키거나 고상 형태의 화합물, 예를 들어, 과립 형태의 화합물을 토양에 적용함으로써 (토양 투여) 토양을 통해 식물의 뿌리까지 침투할 수 있다 (전신 투여). 벼농사의 경우, 과립은 범람한논밭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물 보호제는 해충로부터 무성 번식재, 예를 들어, 종자 (과실, 괴경 또는 낟알) 또는 식물 묘목을 보호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번식재는 경작 개시 전에 조성물로 처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종자를 뿌리기 전에 드레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은 종자를 액상 조성물내에 담그거나 또는 고상 조성물로 코팅함으로써 종자 (코팅)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번식재를 경작 장소에 뿌릴 때, 예컨대, 종자를 종자 이랑에 뿌릴 때 적용할 수 있다. 식물 번식재의 처리 방법 및, 이로써 처리된 번식재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인간, 가축 및 애완동물에 사용하기 위한 하기 제제예에서, 용어 "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활성 성분 또는 그의 염, 바람직하게는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의 A 형태를 의미한다.
정제: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중 하나를 함유하는 정제는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100정의 경우)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25 g
락토스: 100.7 g
밀 전분: 6.25 g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5.0 g
탈크: 5.0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8 g
탈광수: 충분한 양
제제:모든 고상 성분은 먼저 메쉬 크기가 0.6 mm인 체를 통과시킨다. 그 다음으로, 활성 성분, 락토스, 탈크 및 전분 절반을 혼합한다. 나머지 전분을 40 ml의 물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100 ml 물 중의 끊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에 첨가한다. 생성된 전분 반죽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이것을 과립화시키는데, 경우에 따라 물을 첨가한다.
과립을 35o에서 밤새 건조하고, 메쉬 크기가 1.2 mm인 체에 통과시키고,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혼합한 후, 직경이 6 mm이고 양면이 오목한 정제로 압축시킨다.
정제: 각각 총 0.0183 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는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조성물(10,000 정의 경우)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183.00 g
락토스: 290.80 g
감자 전분: 274.70 g
스테아르산: 10.00 g
탈크: 217.00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50 g
콜로이드성 실리카: 32.00 g
에탄올: 충분한 양
활성 성분, 락토스 및 감자 전분 274.70 g의 혼합물을 스테아르산의 에탄올계 용액으로 가습하고 체를 통해 과립화시켰다. 건조 후, 나머지 감자 전분,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압축하여 각각의 중량이 0.1 g인 정제를 형성하였는데, 원한다면, 용량을 더 정확하게 계산하여 조절할 수 있다.
캡슐: 각각 총 0.022 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는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1000 캡슐의 경우)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22.00 g
락토스: 249.80 g
젤라틴: 2.00 g
옥수수 전분: 10.00 g
탈크: 15.00 g
물: 충분한 양
활성 성분을 락토스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젤라틴 수용액으로 골고루 습윤시키고, 메쉬 크기가 1.2-1.5 mm인 체를 통해 과립화시킨다. 과립을 건조된 옥수수 전분 및 탈크와 혼합하고, 혼합물 중 300 mg을 경질 젤라틴 캡슐 (크기 1) 내에 채운다.
프리믹스 (사료 첨가제)
0.16 중량부의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및 4.84 중량부의 2급 인산칼슘, 알루미나, 에어로실, 카보네이트 또는 탄산칼슘을 균질해질 때까지 95 중량부의 동물 사료와 혼합하거나, 또는 0.41 중량부의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및 5.00 중량부의 에어로실/석회를 균질해질 때까지 시판되는 건조 사료 94.59 중량부와 혼합한다.
거환
I. 활성 성분 33.00 %
메틸셀룰로스 0.80 %
매우 분산된 규산 0.80 %
옥수수 전분 8.40 %
II. 결정화된 락토스 22.50 %
옥수수 전분 17.00 %
미세결정화된 셀룰로스 16.5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0 %
먼저, 메틸셀룰로스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한다. 이 혼합물이 팽창된 후, 규산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이 혼합물을 균질하게 현탁시킨다. 활성 성분 및 옥수수 전분을 혼합한다. 상기 수성 현탁액을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연한 덩어리로 반죽한다. 생성된 덩어리를 12 M 체를 통해 과립화시키고 건조한다. 추가 단계에서, 4 가지 보조제를 모두 철저히 혼합한다. 최종적으로, 첫번째 두 부분 단계로부터 생성된 프리믹스쳐를 혼합하고 압축하여 거환을 형성하였다.
주사제
A. 유성 비히클 (서방형)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0.1-1.0 g
땅콩유 100 ml
또는,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0.1-1.0 g
참께유 100 ml
제제: 교반하고 경우에 따라 서서히 가열하면서 활성 성분을 일부 땅콩유 또는 참께유에 용해시킨 후, 냉각시키고 원하는 부피까지 채우고, 공극 크기가 0.22 ㎛인 적당한 막 필터를 통해 멸균여과하였다.
제제예
제조예 P1: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의 거울상이성질체 A 및 B의 제조
a)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을 40 ml의 에탄올 및 60 ml의 헥산을 포함하는 용매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우선 150 ml/분의 유속의 헥산/이소프로파놀 혼합물 (9:1)로 키랄셀 컬럼 (Chiralcel column (OD 10x50 cm)) 상에서 120분 동안 크로마토그래한 후, 100 ml/분의 유속의 순수한 에탄올로 상기 컬럼 상에서 80분 동안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31 분 후, 표제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 A의 최대 피크에 도달되었고, 49분 후 거울상이성질체 B의 최대 피크에 도달되었다.
b)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을 순수한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1 ml/분의 유속의순수한 에탄올로 키랄셀 컬럼 (OJ (1082) 25x0.46 cm)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5.5분 후, 표제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 A의 최대 피크에 도달되었고, 7.5분 후에 거울상이성질체 B의 최대 피크에 도달되었다.
제조예 P2: 표 1의 기타 화합물도 제조예 P1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표 1>
번호 X Y (R1)m거울상이성질체 광학 회전1
1.1 F F 4-CF3A -24. 3 (20.7mg)
1.2 F F 4-CF3B +23.8 (21mg)
1.3 F F 4-CH3A
1.4 F F 4-CH3B
1.5 F F 4-OCF3A
1.6 F F 4-OCF3B
1.7 F F 3-CF3A
1.8 F F 3-CF3B
1.9 F F 4-OCF2CHF2A
1.10 F F 4-OCF2CHF2B
1.11 F F 4-OCHF2A
1.12 F F 4-OCHF2B
1.13 F F 4-SCF3A
1.14 F F 4-SCF3B
1.15 F F 4-CF2CN A
1.16 F F 4-CF2CN B
1.17 F F 3-CH3, 4-CF3A
1.18 F F 3-CH3, 4-CF3B
1.19 F Cl 4-OCF3A
1.20 F Cl 4-OCF3B
αD(589 nm NaD) (2 ml 메탄올에 용해됨)
작물 보호에 사용되는 제제의 예 (% = 중량%)
제제예 F1: 에멀젼 농축물a) b) c)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25% 40% 50%
칼슘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5% 8% 6%
비버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36몰 EO) 5% - -
트리부틸 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30몰 EO) - 12% 4%
시클로헥사논 - 15% 20%
크실렌 혼합물 65% 25% 20%
미세하게 연마된 활성 성분과 보조제를 혼합하여 에멀젼 농축물을 얻고, 이 농축물을 물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의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F2: 용액a) b) c) d)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80% 10% 5% 95%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0% - - -
폴리에틸렌 글리콜 (MW 400) - 70% - -
N-메틸피롤리드-2-온 - 20% - -
에폭시화된 코코넛유 - - 1% 5%
휘발유 (비점: 160-190O) - - 94% -
미세하게 연마된 활성 성분과 보조제를 혼합하여 미세한 방울의 형태로 투여하는 데 적합한 용액을 얻었다.
제제예 F3: 과립a) b) c) d)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5% 10% 8% 21%
고령토 94% - 79% 54%
매우 분산된 규산 1% - 13% 7%
아타풀가이트 - 90% - 18%
활성 성분을 디클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담체 혼합물 상에 분무한 후,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제제예 F4: 분제a) b)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2% 5%
매우 분산된 규산 1% 5%
탈크 97% -
고령토 - 90%
활성 성분과 담체를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분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F5: 습윤가능한 산제a) b) c)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25% 50% 75%
소듐 리그닌술포네이트 5% 5% -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3% - 5%
소듐 디이소부틸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 6% 10%
옥틸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7-8몰 EO) - 2% -
매우 분산된 규산 5% 10% 10%
고령토 - 62% 27%
활성 성분과 보조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적당한 제분기에서 연마하였다.
물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의 현탁액이 될 수 있는 습윤가능한 산제를 수득하였다.
제제예 F6: 에멀젼 농축물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10%
옥틸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4-5몰 EO) 3%
칼슘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3%
비버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36몰 EO) 4%
시클로헥산 30%
크실렌 혼합물 50%
미세하게 연마된 활성 성분과 보조제를 혼합하여 에멀젼 농축물을 얻고, 이 농축물을 물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의 에멀젼을 수득한다.
제제예 F7: 분제a) b)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5% 8%
탈크 95% -
고령토 - 92%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분제는 활성 성분과 담체를 혼합한 후, 혼합물을 적당한 제분기에서 연마함으로써 수득한다.
제제예 F8: 압출된 과립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10%
소듐 리그닌 술포네이트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
고령토 87%
활성 성분과 보조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연마하고, 물로 가습시키고, 압출시킨 후 과립화시키고, 과립을 공기 흐름내에서 건조시켰다.
제제예 F9: 코팅된 과립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3%
폴리에틸렌 글리콜 (MW 200) 3%
고령토 94%
미세하게 연마된 활성 성분을 혼합기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의해 가습된 고령토에 균질하게 첨가하여 분진이 없는 코팅된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제예 F10: 현탁 농축물
화학식 1의 활성 성분 40%
에틸렌 글리콜 10%
노닐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15몰 EO) 6%
소듐 리그닌 술포네이트 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37%) 0.2%
수성 실리콘 오일 에멀젼 (75%) 0.8%
물 32%
미세하게 연마된 활성 성분과 보조제를 혼합하여 현탁 농축물을 수득하고, 이 농축물을 물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의 현탁액을 얻었다.
생물학적 실험예
작물 보호에 사용된 예
실험예 B1: 헬리오티스 비레센스 (Heliothis virescens)에 대한 살란 효과
아세톤/물에서 시험하기 위해, 필터지 상에 탁란된 헬리오티스 비레센스의 알을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시험 용액에 잠시 담구었다. 시험 용액을 건조한 후, 상기 알을 페트리 디쉬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6일 후, 알의 부화율 (%)을 처리되지 않은 대조구의 부화율과 비교하였다 (부화율에서의 감소율 (%)).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B2: 디아브로티카 발테아타 (Diabrotica balteata) 유충에 대한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옥수수 묘목에 분무하였다. 분무 퇴적물을 건조시킨 후, 상기 옥수수 묘목을 디아브로티카 발테아타의 제2-기 유충 10마리로 감염시키고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두었다. 6일 후, 상기 묘목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옥수수 상의 죽은 유충의 수를 비처리된 옥수수 상의 죽은 유충의 수와 비교함으로써 유충 수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디아브로티카 발테아타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보였다.
실험예 B3: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 (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효과
어린 콩 식물을 혼합된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 군집으로 감염시키고, 1일 후,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상기 식물에 분무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식물을 25℃에서 6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알, 유충 및 성충의 총 수를 비처리된 옥수수 상의 죽은 수와 비교함으로써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 수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4: 헬리오티스 비레센스 모충에 대한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어린 대두 식물에 분무하였다. 분무 퇴적물을 건조시킨 후, 상기 대두 식물을 헬리오티스 비레센스의 제1-기 유충 10마리로 감염시키고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두었다. 6일 후, 상기 식물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유충의 수 및 영양 피해 정도를 비처리된 식물 상의 수 및 피해 정도와 비교함으로써 유충 수의 감소율 및 영양 피해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헬리오티스 비레센스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5: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 (Plutella xylostella) 모충에 대한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어린 양배추 식물에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을 건조시킨 후, 상기 양배추 식물을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의 제3-기 모충 10마리로 감염시키고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두었다. 3일 후, 상기 식물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유충의 수 및 영양 피해 정도를 비처리된 식물 상의 수 및 피해 정도와 비교함으로써 유충 수의 감소율 및 영양 피해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6: 헬리오티스 비레센스에 대한 살란/살유충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목화 상에 탁란된 헬리오티스 비레센스의 알에 분무하였다. 8일 후, 알의 부화율 및 모충의 생존률을 비처리된 대조구의 부화율 및 생존률과 비교하였다 (군집의 감소율%)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헬리오티스 비레센스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7: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에 대한 살란 효과
어린 콩 식물을 암컷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로 감염시키고, 상기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를 24시간 후에 제거하였다.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알로 감염된 식물에 분무하였다. 상기 식물을 25℃에서 6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알, 유충 및 성충의 총 수를 비처리된 식물 상의 수와 비교함으로써 군집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8: 파노니쿠스 울미 (Panonychus ulmi; 유기인산염 및 카바릴에 대한 내성을 나타냄)에 대한 효과
사과 묘목을 암컷 파노니쿠스 울미 성충으로 감염시켰다. 7일 후, 감염된 식물이 흠뻑 젖을 때까지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감염된 식물에 분무하고, 온실에서 재배하였다. 14일 후, 상기 식물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거미 진드기의 수를 비처리된 식물 상의 수와 비교함으로써 진드기 수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9: 닐라파르바타 루겐스 (Nilaparvata lugens)에 대한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벼에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을 건조한 후, 상기 벼를 식물 잎벌레의 제2 및 제3 영 유충으로 감염시켰다. 21일 후, 상기 식물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잎벌레의 수를 비처리된 식물 상의 수와 비교함으로써 잎벌레 수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10: 스포도프테라 리토랄리스 (Spodoptera littoralis)에 대한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어린 대두 식물에 분무하였다. 분무 퇴적물을 건조시킨 후, 상기 식물을 스포도프테라 리토랄리스의 제3-기 유충 10마리로 감염시키고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두었다. 3일 후, 상기 식물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모충의 총 수 및 영양 피해를 비처리된 식물 상의 총 수 및 피해 정도와 비교함으로써 모충 수의 감소율 및 영양 피해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11: 암피스 크라시보라 (Amphis craccivora)에 대한 효과
완두콩 묘목을 암피스 크라시보라로 감염시킨 후,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분무 혼합물을 상기 묘목에 분무하고, 이어서 2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3일 및 6일 후, 상기 묘목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묘목 상의 죽은 진딧물의 수와 처리되지 않은 묘목 상의 수를 비교함으로써 진딧물 수의 감소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12: 크로시돌로미아 비노탈리스 (Crocidolomia binotalis)에 대한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분무 혼합 수용액을 어린 양배추 식물에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을 건조시킨 후, 상기 양배추 식물을 크로시돌로미아 비노탈리스의 제3-기 모충 10마리로 감염시키고 플라스틱 용기에 두었다. 3일 후, 상기 식물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모충의 총 수 및 영양 피해 정도를 처리되지 않은 식물 상의 수 및 영양 피해 정도와 비교함으로써 모충 수의 감소율 및 영양 피해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13: 안쏘노무스 아란디스 (Anthonomus arandis)에 대한 효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어린 목화수에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을 건조한 후, 상기 목화수를 10마리의 안쏘노무스 아란디스 성충으로 감염시키고 플라스틱에 두었다. 3일 후, 상기 식물을 관찰하였다. 처리된 식물 상의 죽은 갑충의 총 수 및 영양 피해 정도를 비처리된 식물 상의 총 수 및 영양 피해 정도와 비교함으로써 갑충 수의 감소율 및 영양 피해율 (% 반응성)을 산출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14: 아오니디엘라 오란티이 (Aonidiella aurantii)에 대한 효과
감자 괴경을 아오니디엘라 오란티이의 유충으로 감염시켰다. 2주 후, 상기 감자를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또는 현탁 분무 혼합 수용액에 담구었다. 상기 괴경을 건조시킨 후, 플라스틱 용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0 내지 12주 후, 처리군의 첫번째 2세대 유충의 생존률을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의 생존률과 비교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실험예 B15: 베미시아 타바키 (Bemisia tabaci)에 대한 효과
어린 콩 식물을 가제 우리내에 두고 베미시아 타바키의 성충으로 감염시켰다. 산란 후, 모든 성충을 제거하였다. 10일 후, 400 ppm의 활성 성분이 함유된 에멀젼 분무 혼합 수용액을 식물 및 식물 상의 애벌레에 분무하였다. 14일 후, 알의 부화율을 비처리된 대조구의 부화율과 비교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수)의학 및 위생 분야에서의 사용 예
실험예 B16: 부필루스 마이크로플러스 (Boophilus microplus)에 대한 시험관내 효과
4가지 일련의 시험을 위해, 각각의 충혈된 암컷 부필루스 마이크로플러스 10마리를 플라스틱 플레이트에 고착시키고, 시험 물질의 현탁 또는 에멀젼 수용액으로 적신 면울 뭉치로 1시간 동안 덮어 두었다. 이 시험은 100, 32, 10, 3.2, 1.0및 0.32 ppm의 농도에서 수행하였다. 그 다음으로, 면울 뭉치를 제거하고, 진드기를 28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산란하게 하였다. 부필루스 마이크로플러스에 대한 효과는 하기 5가지 기준에 따라 산출하였다.
1. 산란 전에 죽은 암컷 (검게 변색된 채 움직이지 않음)의 수;
2. 산란은 하지 않았지만 수일 동안 생존해 있는 진드기의 수;
3. 산란은 했지만, 이 알이 부화되지 않은 경우의 수;
4. 산란하고, 알로부터 배아가 부화되었지만, 이 배아가 유충으로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수;
5. 배아가 부화되어 유충으로 발생하였지만 4주내에 전혀 변태를 나타내지 않은 경우의 수
이 시험에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4번에 기재된 효과를 보였다. 이들 물질은 100, 32, 10 및 3.2 ppm의 농도에서 유충의 부화를 100% 억제하였다. 1 ppm에서 조차도 부화율이 60 내지 90% 억제되었다. 따라서,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활성이 가장 높은 시험 물질이다. 반대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B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전혀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시험은 BIARRA 및 ULAM 균주 둘다에서 수행하였고, 두 경우의 결과는 동일하였다.
실험예 B17: 데르마니수스 갈리내 (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의 거울상이성질체 A 및 B와 거울상이성질체의 시험관내 비교 효과
플라스틱 접착 필름 상에 고정된 데르마니수스 갈리내 속의 암컷 진드기 성충 15마리를 시험 물질의 현탁 또는 에멀젼 수용액 50 ㎕와 접촉시켰다. 이 시험은 32, 10, 3.2, 0.32 내지 0.1 ppm의 농도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필름을 건조한 후 유리판 상에 고착시켰다. 이로 인해 각 진드기 주위의 기포가 생겼는데, 기포의 하면은 유리판에 의해 형성되었고 상면은 접착 필름의 팽창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 기포는 충분한 공기를 함유하고 있어 진드기가 질식하지 않았다. 5일 후, 시험 물질의 효과를 입체현미경을 사용하여 하기 4가지 기준에 따라 사망률, 탁란, 알의 질, 부화 속도, 번데기가 되는 속도, 및 애벌레의 발생에 대한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시험 물질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1. 9 내지 10 마리의 진드기가 죽은 경우, 이는 치명적인 효과를 나타냄 (M);
2. 2마리 이상의 진드기가 생존했지만 전혀 산란하지 않은 경우, 이는 불임증을 의미함 (S);
3. 2마리 이상의 진드기가 생존하고 산란하지만, 알로부터 유충이 전혀 부화되지 않아 애벌레로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는 발생-억제 효과를 의미함 (H);
4. 2마리 이상의 진드기가 생존하고 통상적인 수의 정상 알을 낳고, 이 알로부터 유충이 부화되어 애벌레로 발생하는 경우, 이는 활성이 없음을 의미함
라세미체 혼합물은 이 시험에서 1번에 기재된 효과를 보였다. 상기 혼합물은 0.02 ppm 이상의 농도에서 애벌레로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거울상이성질체 A는 0.0064 ppm의 매우 낮은 농도 및 훨씬 더 낮은 농도에서 이미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거울상이성질체 B는 10 ppm 이하의 농도에서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4번 참조), 비처리 대조구와 구별할 수 없었다. 상당한 효능을 얻기 위한 거울상이성질체 B의 농도는 20 ppm 이상이어야 했고, 이 농도에서 조차도 3번 유형의 활성만 나타낼 수 있다. 1번 유형의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거울상이성질체 B의 농도는 32 ppm 이상이어야 했다. 이 결과는 하기와 같이 요약하였다 (EC100= 100% 사망율에 도달하기 위한 최소량).
시험 화합물 EC100(ppm) 활성 유형
라세미체 0.2 1
거울상이성질체 A 0.0064 1
(거울상이성질체 B 20.0 3)
거울상이성질체 B 32.0 1
이로써 거울상이성질체 A의 활성이 라세미체의 활성보다 30배 이상 더 높고 심지어 거울상이성질체 B의 활성보다 3000-5000배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B18: 오스트레일리아 양의 검정파리 루실리아 쿠프리나 (Lucilia cuprina)에 대한 시험관내 효과
시험 튜브에서, 아가 기재 상의 검정파리 유충에 적합한 배양 배지 4 ml를 가열하여 액화시키고 현탁 또는 에멀젼 시험 용액 10 ml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켜 고화된 배양 배지를 얻었다. 10, 3.2, 1 및 0.32 ppm 농도의 시험 물질을 함유하는 시험 튜브를 준비하였다. 고화된 배양 배지를 새로 산란된 루실리아 쿠프리나 검정파리의 알 30 내지 50개로 접종시키고, 상기 시험 튜브를 면울 뭉치로 느슨하게 밀봉하고, 26 내지 28℃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일 후, 상기 시험 튜브를 인큐베이터에서 꺼내 시험 물질의 항유충 효과를 측정하였다. 제3 발생 단계에서 생존해 있는 유충이 액화된 갈색 배양 배지에서 발견되는 경우, 이는 항유충 효과가 없음을 나타낸다. 반대로, 배양 배지가 변색되지 않은 채 고화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유충이 발견되지 않으면 이는 100% 항유충 활성을 의미한다. 이 시험에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가 모든 시험 농도에서 검정파리에 대한 100% 항유충 효과를 보였다. 이와 반대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B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B19: 블라텔라 게르마니카 (Blattella germanica)에 대한 효과
활성 성분이 함유된 아세톤 용액의 양이 2 g/m2의 첨가 속도에 상응하도록 상기 용액을 페트리 디쉬에 첨가하였다. 용매가 증발되었을 때, 블라텔라 게르마니카의 애벌레 (마지막 애벌레 단계) 20 마리를 접시에 넣고 시험 물질의 작용에 2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그 다음으로, 상기 애벌레를 CO2로 마취시키고, 새로운 페트리 디쉬로 옮긴 후, 25O및 50 내지 70% 습도의 조건 하에 암실에 두었다. 48시간 후, 사망률을 측정하여 항곤충 효과를 평가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상기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성을 보였다.
실험예 B20: 무스카 도메스티카 (Musca domestica)에 대한 효과
밤새 건조한 후의 당 (sugar)내의 시험 물질의 농도가 250 ppm이 되는 방식으로 당 입방체를 시험 물질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된 상기 입방체를 면울 및 OP-내성 균주인 무스카 도메스티카 성충 10마리가 든 알루미늄 디쉬 상에 놓았다. 이 디쉬를 비이커로 덮고 25℃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24시간 후에 사망률을 측정하였다.
표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상기 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특히, 제조예 P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80% 이상의 반응성을 보였다.
실험예 B21: 고양이 벼룩인 스테노세팔리데스 펠리스 (Ctenocephalides felis)의 알, 유충 또는 번데기에 대한 시험관내 효과
15, 1.5, 0.15 및 0.015 ppm 농도의 시험 물질이 함유된 아세톤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각 시험 용액 9.9 ml를 벼룩 유충용 배양 배지 14.58 g과 혼합하고 약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약간 덩어리진 건조한 배양 배지가 균질하고 자유롭게 유동할 때까지 상기 배지를 다시 기계적으로 분쇄하였다. 그 다음으로, 이 혼합물을 벼룩 번식용 병으로 옮기고, 100 내지 200개의 벼룩 알을 첨가하고, 상기 병을 면울 뭉치로 느슨하게 밀봉한 후, 온도가 25 내지 26℃이고 상대 습도가 약 60%인 인큐베이터에 두었다. 21일 후, 다양한 농도에서 시험 물질의 효과를 측정하고 입체현미경을 사용하여 가장 낮은 효과를 보이는 농도를 측정하였다. 활성은 부화율, 유충 발생, 번데기로의 발생 및 새끼 벼룩의 부화를 기초로 하여 측정하였다.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다. 10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새끼 벼룩의 발생이 완전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2,6-디플루오로페닐)-4-(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일)-4,5-디히드로-옥사졸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활성이 가장 높은 시험 물질이다. 이와 반대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B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B22: 해몬쿠스 콘토르투스 (Haemonchus contortus)의 제3-기 유충에 대한 시험관내 효과
DSMO 또는 메탄올 중의 5% 시험 물질 용액 2 ㎕를 추가 용매로 희석하고, 시험 튜브의 내부를 상기 용액으로 적셨다. 건조 후, 2 ml의 아가를 각 시험 튜브에 첨가하였다. 각 시험 튜브를 탈이온수 중의 해몬쿠스 콘토르투스 신선란 100개로 감염시키고, 이 시험 튜브를 면울 뭉치로 느슨하게 밀봉한 후, 온도가 34 내지 36℃이고 상대 습도가 약 60 내지 100%인 인큐베이터에 두었다. 유충의 부화 후 24시간에, 30 ㎕의 박테리아용 배양 배지를 첨가하여 상기 신선란이 도입된 박테리아가 복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물의 부피는 상기 시험 튜브를 약 1/3 만큼 채우는 부피이어야 한다. 시험 물질의 효과를 부화율, 제3 단계 유충의 발생, 유충의 마비 또는 사망, 또는 기타 발생 단계를 기초로 하여 측정하였다.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이 시험에서 현저한 발생 억제 효과를 보였다. 32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제3 단계 유충의 발생이 완전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B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B23: 마우스 털 진드기로의 감염에 대한 국소 치료의 생체내 효과
진드기 [뮤코페테스 무스쿨리누스 (Myocopetes musculinus) 및 뮤비아 무스쿨 (Myobia muscull)]로 감염된 마우스를 마취시키고, 진드기 군집의 밀도를 입체현미경 하에서 조사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1 등급 (진드기 없음) 내지 30 등급 (가장 높은 진드기 밀도)으로 구성된 감염 지수가 동일한 군, 즉 각 경우 동일한 진드기 군집이 있는 군으로 나누었다. 시험 목적상, 지수가 25 등급 (높은 진드기 밀도) 이상인 마우스만을 사용하였다. 시험 물질을 부을 수 있는 용액의 형태, 현탁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투여, 즉 털에 국소 투여하였다. 투여량은 32 내지 0.1 mg/kg (체중)이었다. 마우스 당 150 ㎕의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을 상부선을 따라 투여하였다. 투여 후 7일, 28일 및 56일, 투여 후의 감염 지수와 투여 전의 감염 지수를 비교함으로써 효능을 측정하였다. 효능은 진드기 군집의 감소율로 표현하였다.
이 시험에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10 mg/kg (체중) 이하의 농도에서 진드기 감염도의 감소율이 80% 이상이었다. 이와 반대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B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B24: 피하 주사 후 마우스 털 진드기로의 감염에 대한 생체내 효과
진드기 (뮤코페테스 무스쿨리누스 및 뮤비아 무스쿨리)로 감염된 마우스를마취시키고, 진드기 군집의 밀도를 입체현미경 하에서 조사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1 등급 (진드기 없음) 내지 30 등급 (가장 높은 진드기 밀도)으로 구성된 감염 지수가 동일한 군, 즉 각 경우 동일한 진드기 군집이 있는 군으로 나누었다. 시험 목적상, 지수가 25 등급 (높은 진드기 밀도) 이상인 마우스만을 사용하였다. 시험 물질을 글리세롤 포르말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2:3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시험 동물내로 피하 주사하였다. 투여량은 20 내지 0.1 mg/kg (체중)이었다. 투여 후 7일, 28일 및 56일, 투여 후의 감염 지수와 투여 전의 감염 지수를 비교함으로써 효능을 측정하였다. 효능은 진드기 군집의 감소율로 표현하였다. 이 시험에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A는 0.32 mg/kg (체중) 이하의 농도에서 진드기 감염도의 감소율이 80% 이상이었다. 그러나, 마우스는 감염 부위에서의 피부 염증 및 기타 임의의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상기 물질에 대한 내성은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B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Claims (14)

  1. 각각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시아노-C1-C4-알킬, 시아노-C1-C4-할로알킬, 시아노-C1-C4-알콕시, 시아노-C1-C4-할로알콕시, 시아노-C1-C4-알킬티오, 시아노-C1-C4-할로알킬티오,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또는 니트로이고;
    Z는 수소,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디(C1-C4-알킬)아미노이고;
    R1은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시아노-C1-C4-알킬, 시아노-C1-C4-할로알킬, 시아노-C1-C4-알콕시, 시아노-C1-C4-할로알콕시, 시아노-C1-C4-알킬티오, 시아노-C1-C4-할로알킬티오, C2-C6-알케닐, C2-C6-할로알케닐, C2-C6-알케닐옥시, C2-C6-할로알케닐옥시, C2-C6-알키닐, C2-C6-할로알키닐, C2-C6-알키닐옥시, C2-C6-할로알키닐옥시, C3-C8-시클로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C1-C4-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 OC(O)R3또는 할로겐이고;
    R2는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또는 할로겐이고;
    R3는 C1-C4-알킬, C1-C4-알콕시, C2-C6-알케닐, C2-C6-알케닐옥시, C2-C6-알키닐, C2-C6-알키닐옥시,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옥시,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옥시, N(R4R5), 비치환 페닐 또는 모노 내지 펜타-치환된 페닐 (여기서, 치환체는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할로겐, 시아노 및 니트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이고;
    R4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5는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C1-C4-알킬, C3-C8-할로시클로알킬-C1-C4-알킬, 비치환된 또는 모노 내지 펜타-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또는 모노 내지 펜타-치환된 페닐-C1-C4-알킬 (여기서, 치환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4-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이고;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며, m 또는 n이 2인 경우, R1또는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메탄올에서 αD(589 nm NaD)의 광학 회전이 음성인 거울상이성질체.
  3. 각각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의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을 분리하고, 단리된 원하는 거울상이성질체 및(또는) 이 방법에 따라 수득된 화학식 1의 유리 거울상이성질체를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이 방법에 따라 수득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염을 유리 화합물 또는 다른 염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유리 형태 또는 염 형태의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제조 방법.
  4. 보조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 제1항의 화학식 1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를 유리 형태 또는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로 함유하는 살충제.
  5. 제4항의 조성물을 애완동물 또는 이들의 서식지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충의 방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곤충 및 아카리나 (Acarina) 목에 속하는 해충의 방제 방법.
  7. 보조제를 첨가하여 활성 성분을 보조제(들)와 철저히 혼합하고(거나) 분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4항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4항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 형태 또는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의,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용도.
  9.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제8항의 조성물의 용도.
  10. 제9항에 있어서, 식물 번식재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번식재 또는 상기 번식재를 재배하기 위한 장소의 처리를 포함하는, 식물 번식재의 보호 방법.
  12. 제11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처리된 식물 번식재.
  13. 제1항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를 포함하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 외부기생충 또는 내부기생충을 퇴치하는 조성물.
  14. 인간 또는 동물에서 외부기생충 또는 내부기생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항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의 용도.
KR1020017012185A 1999-03-26 2000-03-24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의 2,4-이치환된 옥사졸린 살충제 KR100699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58399 1999-03-26
CH0583/99 1999-03-26
PCT/EP2000/002641 WO2000058291A1 (en) 1999-03-26 2000-03-24 Pesticidal enantiomer-pure 2,4-disubstituted oxazol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387A true KR20020008387A (ko) 2002-01-30
KR100699973B1 KR100699973B1 (ko) 2007-03-27

Family

ID=419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185A KR100699973B1 (ko) 1999-03-26 2000-03-24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의 2,4-이치환된 옥사졸린 살충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20137781A1 (ko)
EP (1) EP1165527A1 (ko)
JP (1) JP2002540194A (ko)
KR (1) KR100699973B1 (ko)
CN (1) CN1135225C (ko)
AU (1) AU767434B2 (ko)
BR (1) BR0009357A (ko)
CA (1) CA2367508C (ko)
MX (1) MXPA01009788A (ko)
NZ (1) NZ514064A (ko)
RU (1) RU2233838C2 (ko)
WO (1) WO2000058291A1 (ko)
ZA (1) ZA2001078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3408B (en) * 2003-07-03 2007-09-19 Michael Hilary Burke Process for preparing a stable anthelmintic suspension formulation
JP5101508B2 (ja) * 2005-08-29 2012-12-19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魚寄生虫制御のためのオキサゾール誘導体の使用
CN101873801B (zh) * 2007-09-27 2014-12-10 巴斯夫欧洲公司 内吸提高剂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40429B (en) * 1994-08-12 2001-06-16 Bayer Ag Substituted biphenyloxazolines
AU684674B2 (en) * 1994-10-06 1997-12-18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ted diphenyl oxazolines
DE4444111A1 (de) * 1994-12-12 1996-06-13 Bayer Ag Substituierte m-Biphenyloxazolin-Derivate
JPH10512859A (ja) * 1995-01-20 1998-12-08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殺虫性および殺ダニ性のオキサゾリン類およびチアゾリン類
JP2000500755A (ja) * 1995-11-17 2000-01-25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ビフェニルエーテルオキサゾリン及びその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の使用
TW424089B (en) * 1996-01-16 2001-03-01 Du Pont Oxazoline arthropodicides
ZA979502B (en) * 1996-11-18 1999-04-23 Du Pont Arthropodicidal oxazoline derivatives and processes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DE59809344D1 (de) * 1997-03-05 2003-09-25 Bayer Cropscience Ag Disubstituierte biphenyloxazoline
DE19717228A1 (de) * 1997-04-24 1998-10-29 Bayer Ag Substituierte Oxazolin-Derivate
DE19727889A1 (de) * 1997-07-01 1999-01-07 Bayer Ag 2-(2-Methylphenyl)-oxazoline
CO5031296A1 (es) * 1997-11-04 2001-04-27 Novartis Ag Derivados de azolina, compuestos que la contienen y metodo para la preparacion y aplicacion de dicho compues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1009788A (es) 2002-03-27
CA2367508A1 (en) 2000-10-05
WO2000058291A1 (en) 2000-10-05
NZ514064A (en) 2004-01-30
US20020137781A1 (en) 2002-09-26
CN1345313A (zh) 2002-04-17
KR100699973B1 (ko) 2007-03-27
JP2002540194A (ja) 2002-11-26
EP1165527A1 (en) 2002-01-02
ZA200107811B (en) 2002-08-23
AU767434B2 (en) 2003-11-13
AU4290400A (en) 2000-10-16
RU2233838C2 (ru) 2004-08-10
CN1135225C (zh) 2004-01-21
CA2367508C (en) 2011-04-26
BR0009357A (pt) 200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6520B2 (en) Pesticide
WO2002037964A1 (en) Synergistic pest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n-cyanomethyl-4-(trifluoromethyl)nicotinamide
EP1642501A2 (en) Synergistic compositions comprising lufenuron and fenoxycarb
RU2259370C2 (ru) Аминогетероцикламид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обладающие пестицид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20020058046A (ko) 살충성 n-헤테로아릴 알파-알콕시미노-카르복사미드
KR100699973B1 (ko)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의 2,4-이치환된 옥사졸린 살충제
KR100485740B1 (ko) 상승작용을 갖는 살충제 조성물
JP2003501358A (ja) 4置換ミルベマイシ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